KR20210031135A -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135A
KR20210031135A KR1020190112691A KR20190112691A KR20210031135A KR 20210031135 A KR20210031135 A KR 20210031135A KR 1020190112691 A KR1020190112691 A KR 1020190112691A KR 20190112691 A KR20190112691 A KR 20190112691A KR 20210031135 A KR20210031135 A KR 20210031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stage combustion
catalyst
induction pip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병찬
간우섭
배동호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조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호 filed Critical 조영호
Priority to KR102019011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1135A/ko
Publication of KR2021003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4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B90/08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the presence of cataly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9/00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 F23M9/02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in air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18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with fume afterburning by staged combus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실 내부 고온의 속불을 이용하여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을 향상시킨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바디에 구비된 연소실 내부와 상부바디를 연결하고 속불이 이동하는 통로인 이단연소유도파이프를 설치하고, 이단연소유도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화염에 의해 속불과 함께 이동하는 연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재 연소시키는 촉매제를 상부바디 내에 설치하여, 연기의 완전연소와 촉매를 유도하여 가스배출량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고, 연소실 내부에 시계방향의 나선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불꽃이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하면서 내부의 에어가 원활히 공급되어 높은 연소효율을 가지도록 하며, 연소실 하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연소실 내부 온도 유지와 함께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소각하는 물품의 내부온도를 높여 더 고온의 연소를 이용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소각로뿐만 아니라 난로 또는 보일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속불을 이용하여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을 향상시킨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High-Efficiency Combustion System with Two-stage Combustion}
본 발명은 연소실 내부 고온의 속불을 이용하여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을 향상시킨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바디에 구비된 연소실 내부와 상부바디를 연결하고 속불이 이동하는 통로인 이단연소유도파이프를 설치하고, 이단연소유도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화염에 의해 속불과 함께 이동하는 연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재 연소시키는 촉매제를 상부바디 내에 설치하여, 연기의 완전연소와 촉매를 유도하여 가스배출량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고, 연소실 내부에 시계방향의 나선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불꽃이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하면서 내부의 에어가 원활히 공급되어 높은 연소효율을 가지도록 하며, 연소실 하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연소실 내부 온도 유지와 함께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소각하는 물품의 내부온도를 높여 더 고온의 연소를 이용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소각로뿐만 아니라 난로 또는 보일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속불을 이용하여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을 향상시킨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체와 공사장 및 농축산물 산업 등에서는 재화를 만드는 과정 및 공정에 서 발생하는 고체연료(나무,괴탄, 갈탄 등)를 보관하여 겨울철에 난로 또는 보일러와 같은 연소장치를 사용하여 난방에 사용하거나 각종 고체연료를 처리하기위하여 소각로를 이용하여 소각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체연료 연소장치는 메인바디 내부에 연소실을 구비하고 있고, 연소실에서 고체연료가 연소되
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가 구비된 구성하여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소장치는 연소 온도가 낮아 연소효율이 낮고 그로인해 많은 양의 배기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 있다. 이러한 문제는 열효율의 문제로 이어져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와 함께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 10-2019-0075537 등록특허 10-2016-0176931 등록특허 10-1138127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바디(10)에 구비된 연소실(70) 내부와 상부바디를 연결하고 속불이 이동하는 통로인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설치하고, 이단연소유도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화염에 의해 속불과 함께 이동하는 연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재 연소시키는 촉매제(62)를 상부바디 내에 설치하여, 연기의 완전연소와 촉매를 유도하여 가스배출량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고, 연소실(70) 내부에 시계방향의 나선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불꽃이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하면서 내부의 에어가 원활히 공급되어 높은 연소효율을 가지도록 하며, 연소실(70) 하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연소실(70) 내부 온도 유지와 함께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소각하는 물품의 내부온도를 높여 더 고온의 연소를 이용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소각로뿐만 아니라 난로 또는 보일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속불을 이용하여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을 향상시킨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연소실(70)이 구비된 메인바디(10)와;
메인바디(10)와 받침대(40) 하측에 형성되고 양쪽에 송풍기(31), (32)가 형성된 하부바디(30)와;
하부바디(30) 내부에 공기의 유동유도와 연소효율을 위한 하부에어노즐(33)과;
메인바디(10)의 상측에 형성되고 배출구(80)가 형성된 상부바디(20)와;
연소실(70) 중간부와 상부바디(20)를 연결하여 고온의 속불이 상부바디(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와;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벗어난 고온의 화염이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유도벽(13)과;
유도벽(13)을 통해 유도된 화염이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과;;
상부바디(20) 내에 설치되고,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통해 공급되는 화염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연기를 재연소시키는 촉매부(60)와:
1차 촉매(60-1)를 거친 화염과 남은 연기 및 유해물질이 좀 더 효율적인 연소와 재연소를 위한 타공판(21);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실(70) 내부에 있는 속불의 온도를 고온으로 높여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을 높여 가스배출량을 현저히 줄이고, 고효율을 이용하여 난로 및 보일러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소실(70) 내부에 시계방향의 나선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불꽃이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하면서 내부의 에어가 원활히 공급되어 높은 연소효율을 가지도록 하며, 연소실(70) 하부인 받침대(40) 아래에 에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연소실(70) 내부 온도 유지와 함께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속불의 온도를 높여 더 고온의 연소를 이용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연소효율 및 촉매반응까지 향상시킨 장치로 소각로뿐만 아니라 난로 또는 보일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소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소장치에 대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바디에 위치한 촉매부의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매부의 자세한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바디(10)에 구성되어 있는 에어노즐과 에어공급관(12) 일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체에 대한 전체 구성도 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공기의 흐름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3은 본 발명 실시에 따른 상부바디(20)에 위치한 촉매부의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 실시에 따른 촉매부(60)의 자세한 구성도이고, 도5는 메인바디(10)에 구성되어 있는 에어노즐과 에어공급관 일부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소실(70)이 구비된 메인바디(10)와;
메인바디(10)와 받침대(40) 하측에 형성되고 양쪽에 송풍기(31), (32)가 형성된 하부바디(30)와;
하부바디(30) 내부에 공기의 유동유도와 연소효율을 위한 하부에어노즐(33)과;
메인바디(10)의 상측에 형성되고 배출구(80)가 형성된 상부바디(20)와;
연소실(70) 중간부와 상부바디(20)를 연결하여 고온의 속불이 상부바디(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와;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벗어난 고온의 화염이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유도벽(13)과;
유도벽(13)을 통해 유도된 화염이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과;;
상부바디(20) 내에 설치되고,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통해 공급되는 화염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연기를 재연소시키는 촉매부(60)와:
1차 촉매(60-1)를 거친 화염과 남은 연기 및 유해물질이 좀 더 효율적인 연소와 재연소를 위한 타공판(21);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촉매부(60)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통해 공급된 화염의 진행방향과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총 6개의 촉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촉매는 촉매제(62)와 촉매대(61)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촉매는 속풀파이프를 통과하는 화염과 연기와 반응하여 모든 촉매중 가장 높은 온도에서 반응하며 화염과 연기가 통과한다. 또한 제1 촉매와 제2 촉매로 가는 통로에는 타공판(21)으로 구성하여 내부 압력조절 및 연기와 화염의 속도조절을 유도하며 화염이 제 2차촉매이후로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압력조절과 속도조절을 통해 내부의 온도까지 조절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소각시 발생하는 모든 연기 및 유해물질가스는 제 1촉매(60-1)를 거쳐 제 2촉매(60-2), 제 3촉매(60-3)를 이용하여 제거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모든 촉매는 벽에 부착하는 형식으로 제 2촉매(60-2)와 제 3촉매(60-3)는 화염이 지나가는 방향이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제 3촉매(60-3)를 거쳐 연기와 유해물질 가스가 사라진 배기가스는 상부에 있는 배출구(8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상부바디(20)에서 촉매반응 후 발생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제 1촉매(60-1)와 제 2촉매(60-2)사이의 상부바디(20) 하부에 슬러지배출구(22)를 두어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유도벽(13)을 따라 외부로 흘러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연소실(70)의 내부 상단에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의 중간부와 연소실(70) 측벽에서부터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과 연결하는 유도벽(13)을 형성하여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로 들어가지 못한 화염과 연기가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을 통해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로 빨려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의 입구가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소실(70) 내의 화염 속불은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 내부로 빨려 들어가듯이 안내되어 상부바디(20)로 공급되는 것이며, 연소실(70) 내의 연기 또한 연소실(70) 내부의 회전하는 유동과 상승하는 유동으로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통해 속불과 함께 상부바디(2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후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로 들어가지 못하고 지나친 화염과 연기는 메인 벽으로부터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까지 연결된 유도벽(13)을 따라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으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럼에도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에 진입하지 못한 연기 및 화염은 내벽을 따라 다시 순환하여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로 들어가게 구성하였다.
상기 메인바디(10)에는 에어공급관 송풍기(31)가 연결되는 에어공급관을 메인바디(10)와 메인바디(10) 하단 외주연에 형성하고, 에어공급관 송풍기(31)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분기되는 복수의 에어공급관을 메인바디(10)의 외주연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며, 에어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연소실(70) 내부로 분사하는 메인에어노즐(11)을 메인바디(10)의 내벽에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불꽃이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하면서 내부의 에어가 원활이 공급되어 높은 연소효율을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30)에 하부송풍기(32)를 설치하여 하부바디(30)내부를 순환하고 하부바디(30)의 하부의 경사에 하부에어노즐(33)을 구성하여 에어를 공급함에 따라 연소실(70) 내부의 온도 조절과 원활한 에어공급으로 속불의 온도를 더 높여 완전연소를 유도하도록 하였다.
상기 상부바디(20) 및 메인바디(10)의 외측에 물순환라인(14)을 설치하여 보일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의 전면에는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특수유리가 구비된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연소실(70)이 구비되고, 연소실(70)의 바닥부에는 하부바디(30)로부터 이격되도록 받침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받침대(40)는 많은 타공으로 구성하여 에어공급이 원활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받침대(40)에 나무, 갈탄, 괴탄과 같은 고체연료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에어노즐(11)은 도 5 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인바디(10)의 내벽에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메인에어노즐(11)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연소실(70) 내에서 선회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연소실(70) 내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자연스럽게 회전을 하며 중앙으로 모여 지도록 하였다.
상기 제 1 촉매의 직경을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와 동일하거나 크도록 설정하고 이단연소유도파이프를 통해 안내된 화염이 제 1 촉매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 1 촉매와 제 2촉매에 사이에 타공판(21)을 두어 내부 압력조절 및 연기와 화염의 속도조적을 유도하여 연소실(70) 내부의 온도까지 조절하며 화염이 제 2차촉매로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촉배부를 연기가 배출구(80)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1차 촉매(60-1), 2차 촉매(60-2), 3차 촉매(60-3)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고온상태의 촉매 몸체에 부딪히면서 재 연소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1 차 촉매와 2차 촉매(60-2) 및 3차 촉매(60-3)는 화염의 진행방향으로 설치하여 연기와 촉매제간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고안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소실(70) 하부의 받침대(40) 위에 고체연료(나무, 갈탄, 괴탄 등)를 적재한 후 불을 붙이고, 에어공급관 송풍기(31)를 작동시키면, 에어공급관 송풍기(31)가 작동함에 따라 고압의 공기가 에어공급관(12)을 통해 공급된 후 각각의 에어공급관(12)에 설치된 메인에어노즐(11)을 통해 연소실(7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메인에어노즐(11)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메인에어노즐(11)을 통해 연소실(70)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연소실(70)내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승하게 되는데 이대 연소실(70) 내에 발생하는 화염은 회전하며 상승하는 유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중앙에 모이면서 상승하게 된다
또한 하부바디(30)에서는 하부송풍기(32)와 하부에어노즐(33)에서 분출하는 에어를 이용하여 내부의 온도조절과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부가적으로 상승하는 유동을 만들어준다.
따라서, 화염의 속불이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에 빨려 들어가듯이 유도되어 촉매부(60)로 공급되고, 촉매부(60)를 이루는 1차 촉매(60-1), 2차 촉매(60-2), 3차 촉매(60-3)는 벌겋게 달아오르면서 고온으로 가열된다.
한편, 연소실(70) 내에 발생된 연기는 화염과 함께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로 유도되어 지며 공기의 유동에 의해 미처 유도되지 못한 화염과 연기는 연소실(70) 내벽과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으로 연결된 유도벽(13)을 통해 유도되어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으로 들어가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그럼에도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에 진입하지 못한 연기 및 화염은 내벽을 따라 다시 순환하여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로 들어가게 된다. 화염과 연기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통과하면서 1차 촉매(60-1) 및 타공판(21)를 거치고 2차 촉매(60-2), 3차 촉매(60-3)를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기는 조밀하고 지그제그로 설치되어 있는 통로를 이동하면서 제1 차 촉매, 2차 촉매(60-2), 3차 촉매(60-3)와 반응하면서 재연소되어 연기(유해가스) 및 유해물질이 제거된다.
3차 촉매(60-3)을 통과한 연기는 배출구(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촉매반응 후 발생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제 1촉매(60-1)와 제 2촉매(60-2)사이의 상부바디(20) 하부에 슬러지배출구(22)를 두어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유도벽(13)을 따라 외부로 흘러갈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속불을 이용하여 촉매부(60)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연기가 촉매부(60)에 의해 재연소가 일어나 제거되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월등히 높여줄 수 있으면서 가스 배출량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 소각로뿐만 아니라 난로 및 보일러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 메인바디, 11: 메인에어노즐
12: 에어공급관, 13: 유도벽
14: 물순환라인 20: 상부바디,
21: 타공판 22:슬러지배출구
30: 하부바디, 31: 에어공급관 송풍기
32: 하부송풍기 33: 하부에어노즐
40: 받침대, 50: 이단연소유도파이프,
51: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 60:촉매부
60-1: 1차 촉매 60-2: 2차 촉매 60-3: 3차촉매
61:촉매대 62:촉매제
70:연소실 80:배출구

Claims (11)

  1. 연소실(70)이 구비된 메인바디(10)와;
    메인바디(10)와 받침대(40) 하측에 형성되고 양쪽에 송풍기(31), (32)가 형성된 하부바디(30)와;
    하부바디(30) 내부에 공기의 유동유도와 연소효율을 위한 하부에어노즐(33)과;
    메인바디(10)의 상측에 형성되고 배출구(80)가 형성된 상부바디(20)와;
    연소실(70) 중간부와 상부바디(20)를 연결하여 고온의 속불이 상부바디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와;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벗어난 고온의 화염이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유도벽(13)과;
    유도벽(13)을 통해 유도된 화염이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과;;
    상부바디(20) 내에 설치되고,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통해 공급되는 화염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연기를 재연소시키는 촉매부(60)와:
    1차 촉매(60-1)를 거친 화염과 남은 연기 및 유해물질이 좀 더 효율적인 연소와 재연소를 위한 타공판(21);
    촉매반응 후 발생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제 1촉매(60-1)와 제 2촉매(60-2)사이의 상부바디(20) 하부에 슬러지배출구(22);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촉매(60-1)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를 통해 공급된 화염의 진행방향과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2차 촉매(60-2)와 사이에 타공판(21)이 구비되고, 1차 촉매(60-1), 2차 촉매(60-2), 3차 촉매(60-3)를 조밀한 간격 및 지그제그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3. 제 1 항 있어서,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에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을 구성하여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로 미처 들어가지 못한 화염과 연기가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연소실(70)의 내부 상단에는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로 구성하여 상부바디(20)와 연결하고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 하단에 화염과 연기가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5. 제 1 항, 제 2항에 있어서,
    연소실(70) 내벽부터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까지 연결한 유도벽(13)을 구성하여 미처 들어가지 못한 화염과 연기가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을 통해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6. 제 1 항, 제 2항, 제 5항에 있어서,
    연소실(70) 내벽부터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까지 연결한 유도벽(13)을 구성하여 이단연소유도파이프관(51)를 통해 미처 들어가지 못한 화염과 연기가 다시 유도벽(13)과 연소실(70) 내벽을 따라 회전하여 이단연소유도파이프(5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공급관 송풍기(31)가 연결되는 에어공급관(12)을 메인바디(10)하단 외주연에 형성하고, 에어관을 수직방향으로 분기되는 복수의 에어공급관(12)을 메인바디(10)의 외주연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며, 에어공급관(12)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연소실(70) 내부로 분사하는 메인에어노즐(11)을 메인바디(10)의 내벽에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30)에 하부송풍기(32)를 설치하여 하부바디(30)내부를 순환하고 하부바디(30)의 하부경사에 하부에어노즐(33)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0) 및 상부바디(20)의 외측에 물순환라인(14)을 설치하여 보일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부(60)는 촉매제(62)와 촉매대(61)로 구성하여 상부바디(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배출구(22)는 촉매반응 후 발생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제 1촉매(60-1)와 제 2촉매(60-2)사이의 상부바디(20) 하부에 설치하여 슬러지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KR1020190112691A 2019-09-11 2019-09-11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KR20210031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91A KR20210031135A (ko) 2019-09-11 2019-09-11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91A KR20210031135A (ko) 2019-09-11 2019-09-11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135A true KR20210031135A (ko) 2021-03-19

Family

ID=7526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91A KR20210031135A (ko) 2019-09-11 2019-09-11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113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27B1 (ko) 2009-10-20 2012-04-23 홍성훈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KR20190075537A (ko)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각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27B1 (ko) 2009-10-20 2012-04-23 홍성훈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KR20190075537A (ko)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각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438B2 (en) Wood fired boiler
US6817354B2 (en) Wood burning furnace
KR101079694B1 (ko) 화목보일러
CN109185891A (zh) 阴燃炉及含有该阴燃炉的含油污泥处理装置
CN209042397U (zh) 阴燃炉及含有该阴燃炉的含油污泥处理装置
EP2884200B1 (en) Central heating boiler
RU2660987C1 (ru) Пиролизный котел-утилизатор
US4316444A (en) Stove construction
KR20210031135A (ko) 이단연소를 유도한 고효율 연소장치
US4506653A (en) Combus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043317B1 (ko) 난방 시스템
KR101312963B1 (ko) 화목연소장치
JP2002522734A (ja) 可燃性材料の部分酸化を利用した排気放出物低減方法および装置
KR102141300B1 (ko) 고체연료 열병합 발전 시스템
RU526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бытовы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тходов
RU2097660C1 (ru) Печь конвекционная
RU46335U1 (ru) Печь отопительная
KR20160058258A (ko) 속불을 이용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킨 연소장치
CN206430149U (zh) 一种中间流型炉膛结构的二次燃烧系统
CN105823060A (zh) 同时焚烧处理气、固、液态废弃物的焚烧装置及方法
CN206831510U (zh) 一种无尘无烟无电力自动循环碳化燃烧炉
US4413571A (en) Solid fuel hot water heater
RU223348U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на соломе
RU2133409C1 (ru) Печь для сжигания древесных отходов
CN110145748A (zh) 一种气态性废气燃烧催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