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807A - 안전 주사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주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807A
KR20210030807A KR1020190112445A KR20190112445A KR20210030807A KR 20210030807 A KR20210030807 A KR 20210030807A KR 1020190112445 A KR1020190112445 A KR 1020190112445A KR 20190112445 A KR20190112445 A KR 20190112445A KR 20210030807 A KR20210030807 A KR 20210030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needle
protector
injection device
movem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827B1 (ko
Inventor
박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퍼위드
Priority to KR102019011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8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7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with guiding tracks for controlled sliding of needle protective sleeve from needle exposing to needle cover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85Preventing re-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57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는 바디 및 프로텍터를 포함한다. 바디에는 니들이 결합되고, 프로텍터는 바디의 외측둘레에 마련되는 제2레일, 제1레일 및 제3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프로텍터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니들은 첨예한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프로텍터의 내부로 수용된다.
프로텍터가 제2레일로부터 제1레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니들이 외부로 노출되고, 제1레일로부터 제3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니들이 프로텍터 내부에 수용된다.

Description

안전 주사 장치{SAFETY ENGINEERED INJECTION DEVICES }
본 발명은 안전 주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 시에만 주사바늘이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 후에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주사바늘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어 안전하며, 주사바늘에 캡을 씌우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사바늘에 찔릴 수 있는 위험성을 없앤 안전 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실린더의 한쪽 끝으로는 피스톤이 진입하여 결합되고, 다른 한 쪽 끝에는 주사바늘이 결합된다. 실린더의 내측공간에는 약액이 충전되며 피스톤을 가압해 실린더 내부에 압력이 높아지면 약액이 주사바늘을 통해 일방향으로 분사된다.
주사기는 주사바늘이 인체의 피부를 관통해 신체 내부로 약액을 주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주사바늘은 사용자의 피부를 침투해 혈액과 접하게 되므로 2차간염이나 주사기를 통한 오염에 대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주사기는 철저히 일회용으로 사용된다. 주사기는 날카로운 끝단을 지닌 주사바늘이 외부로 길게 노출되어 있어, 사용 전과 사용 후 주사바늘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사바늘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주사바늘을 덮어 날카로운 끝단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 구조가 널리 실시되고 있다.
주사기에 약액을 주입한 후 이동하거나, 주사기를 사용한 후에 예리한 끝단을 가진 주사바늘을 보호하기 위해 마개를 다시 닫는 과정(recapping)을 수행한다.
마개를 다시 닫는 리캡핑 과정은, 마개의 내경이 작기 때문에, 주사바늘에 마개를 씌우기 위해 주의를 요하였다.
종래에는 리캡핑 과정에서 주사바늘에 손이 찔리는 사고를 막기 위해, 주사바늘 및 마개에 대한 구조적인 변경을 시도하기 보다는, 경고문구 등을 기재하거나, 안전교육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리캡핑 과정에서 사용자가 큰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첨예한 주사바늘에 찔리는 사고가 발생하기 쉬웠고, 이는 주사기가 완전히 폐기되기까지 운반이나 청소 과정에서도 여전히 위험요소로 남아 있었다.
종래의 주사기는 바늘찔림사고 외에도 재사용이나 오사용, 악의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없었고, 이를 구조적으로 막아 강제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주사바늘을 인출하기 위한 조작이 간단하고, 사용자의 손이 주사바늘의 첨예한 끝단을 향해 다가가며 마개를 닫는 방식이 아닌, 주사바늘의 첨예한 끝단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손을 움직여 주사바늘을 보호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주사바늘을 보관할 수 있는 안전 주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주사바늘을 인출한 후에는 재사용 방지를 위한 잠금장치를 할 수 있게 해, 강제적이고 근본적인 재사용방지 및 오용 방지 기능을 가지는 안전 주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는 바디 및 프로텍터를 포함한다. 바디는 파지부 및 니들을 포함한다. 파지부는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고, 니들은 바디의 타단을 향해 첨예한 끝단이 배치된다. 파지부와 니들은 그 내부에 약액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서로 연결된다.프로텍터는 바디와 결합된다. 그리고, 니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되는 방향에 따라 니들의 끝단이 내부에 수용되거나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는 외측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텍터가 슬라이딩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레일, 상기 제1레일과 각각 그 경로의 한쪽 끝이 연결되며, 각각 상기 제1레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니들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기 프로텍터가 슬라이딩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레일 및 제3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는 그 내측면에 상기 제2레일, 제1레일 및 제3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제2레일, 제1레일 및 제3레일을 따라 상기 프로텍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2레일로부터 상기 제1레일로 이동 가능하나 상기 제1레일로부터 상기 제2레일로 복귀할 수 없도록 상기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이 만나는 지점에 단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레일, 제1레일 및 상기 제3레일은 상기 바디의 외측둘레에 각각 소정의 경로를 갖도록 파인 장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레일은 상기 니들과 인접한 끝단에 형성되고 주변보다 깊게 파인 홈으로 형성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터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외력이 가해져야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2수납부를 이탈함으로써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레일은 상기 니들과 인접한 끝단에 형성되고 주변보다 깊게 파인 홈으로 형성되는 제3수납부 및 상기 프로텍터의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3수납부에 진입하면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3수납부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3레일의 경로상에 형성되는 제3단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레일은 상기 제1레일보다 얕은 깊이의 장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로텍터의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1레일에 진입하면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2레일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제1단턱이 상기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이 연결되는 경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텍터는 그 외측둘레에 구비되고, 적어도 한 쌍이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파지부는 탄성 변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파지부는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 방향을 향해 자유단이 마련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프로텍터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관통구와 인접한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첨예한 끝단이 진입 시 상기 니들이 고정되는 이중홀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홀더는 상기 관통구와 인접할 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진입부, 상기 니들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니들이 수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ㅌ기 제1레일 및 상기 제3레일이 형성하는 경로는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레일이 형성하는 경로는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3레일이 형성하는 직선의 경로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에 지지되어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는 주사 바늘이 안전하게 수납되고 보관되고, 사용 시 간단한 조작만으로 주사 바늘을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을 마친 후 주사 바늘을 다시 안전하게 수납하는 과정이 단순하고, 사용자가 주사 바늘에 찔릴 위험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후 프로텍터에의해 수납된 주사 바늘은 쉽게 다시 노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폐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중으로 주사 바늘을 수납하여 보호하므로 주사 바늘로 인한 위험 발생 확률을 대폭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슐린 주사, 혈액체취를 위한 베큐테이너(Vacutainer), 인슐린 주사를 위한 펜니들, 수액과 같은 약액을 신체에 주입하기 위한 카테터(catheter), 메쓰 등에 두루 호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프로텍터가 슬라이딩 되어 주사바늘이 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프로텍터가 슬라이딩 되어 주사바늘을 폐기하기 위한 상태로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제2레일, 제1레일 및 제3레일이 이루는 경로를 나타낸 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의 사용상태로 전환 및 폐기상태로 전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프로텍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주사바늘이 이중으로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이중홀더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B-B'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C-C'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후술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술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바디(300)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는 바디(300) 및 프로텍터(20)를 포함한다. 바디(300)는 니들(400)을 포함한다.
바디(30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바디(300)는 주사기의 실린더와 결합될 수 있고, 바디(300)는 일단으로 유입된 약액이 니들(40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약액의 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프로텍터(20)는 바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바디(300)와 결합된다.
그리고, 프로텍터(20)는 바디(300)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방향에 따라 바늘의 첨예한 끝단이 내부에 숨겨지거나 관통구(5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바디(300)는 제2레일(310), 제1레일(320) 및 제3레일(330)을 포함한다. 제2레일(310) 및 제3레일(330)은 적어도 일부구간에서 그 경로가 합쳐지고, 그 경로가 합쳐지는 구간을 제1레일(320)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제2레일(310), 제1레일(320) 및 제3레일(330)은 바디(300)의 외측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형성되고 프로텍터(20)가 슬라이딩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2레일(310) 및 제3레일(330)은 각각 그 경로의 한쪽 끝이 제1레일(320)에서 만나고, 각각 제1레일(320)로부터 분기되어 바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프로텍터(20)는 그 내측면에 제2레일(310), 제1레일(320) 및 제3레일(330)에 삽입되어 제2레일(310), 제1레일(320) 및 제3레일(330)을 따라 프로텍터(20)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이동가이드(8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가이드(800)가 제2레일(310)로부터 제1레일(320)로 이동 가능하나 제1레일(320)로부터 제2레일(310)로 복귀할 수 없도록 제2레일(310) 및 제1레일(320)이 만나는 지점에 단턱이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각각의 구성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00)는 니들(400), 저장부 및 제1파지부(200)를 포함한다.
바디(30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지닌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바디(30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고, 그 단면이 형상이 타원형 또는 닥가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바디(300)는 그 내측공간에 저장부가 형성된다. 저장부는 약액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리고, 바디(300)의 한쪽 끝에는 니들(400)이 결합된다. 니들(400)은 가는 통로를 지닌 주사바늘로서, 돌출된 한 쪽 끝이 첨예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피부에 침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니들(400)은 저장부와 연결되어 저장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저장부에 충전되었던 약액이 니들(400) 내부의 가는 관을 통해 첨예한 끝단으로 분사된다.
바디(300)에서 니들(400)이 결합된 부분과 반대쪽의 다른 쪽 끝에는 제1파지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파지부(200)는 프로텍터(20)를 슬라이딩 시키는 과정에서 바디(3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파지부(200)에는 주사기의 실린더가 삽입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고, 주사기의 실린더가 제1파지부(200)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바디(300)의 내측공간으로 약액이 유입될 수 있다. 바디(300)의 내측공간으로 유입된 약액은 니들(40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300)의 외측둘레에는 바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 갈래로 형성되는 장홈인 제2레일(310) 및 제3레일(330)이 마련된다. 제2레일(310) 및 제3레일(330)은 제1파지부(200)와 인접한 위치에서 그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합쳐진다. 이때, 제2레일(310) 및 제3레일(330)이 만나서 이루는 경로가 제1레일(320)이다.
제1레일(320), 제2레일(310) 및 제3레일(330)은 음각된 장홈으로 형성된다. 그 너비는 프로텍터(20)에 마련되는 이동가이드(800)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레일(330)은 바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곧게 형성되고, 제2레일(310)은 제1레일(320)과 접한 부분으로부터 니들(400)과 가까워 질수록 제3레일(330)과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레일(310)은 바디(3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레일(310) 및 제3레일(330)은 각각 니들(400)과 인접한 끝단에 그 깊이가 주변보다 깊게 패이고, 각각 제2단턱(314), 제3단턱(334)에 의해 구획되는 제2수납부(312), 제3수납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레일(310)에서 제2수납부(312)는 제2레일(310)이 이루는 주변의 경로보다 더 깊은 깊이로 음각되고, 제2단턱(314)에 의해 구획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제2수납부(3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 장치를 사용하기 전, 니들(400)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고 보관할 수 있도록 프로텍터(20)의 이동가이드(800)가 제2수납부(312)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다만, 사용자에 의해 프로텍터(20)를 일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면 이동가이드(800)가 제2단턱(314)을 넘게 되고, 이동가이드(800)는 제2레일(310)을 따라 제1레일(3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가이드(800)의 이동과 함게 프로텍터(20)도 함께 슬라이딩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프로텍터(20)가 슬라이딩 되어 니들(400)이 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로텍터(20)를 제1파지부(200) 방향으로 밀게 되면, 제2수납부(312)에 수용되었던 이동가이드(800)는 외력으로 인해 제2단턱(314)의 구속을 극복하고 제1레일(320)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가이드(800)는 제2레일(310)을 벗어나 제1레일(320)의 경로를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동가이드(800)와 함께 슬라이딩하게 되는 프로텍터(20)는 바디(300)의 외측둘레를 덮게 된다. 이때, 니들(400)은 프로텍터(20)에 형성된 관통구(500)를 통과해 외부로 첨예한 끝단이 노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프로텍터(20)가 슬라이딩 되어 니들(400)을 폐기하기 위한 상태로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400)의 첨예한 끝단을 외부로 노출시켜 주사 장치를 사용한 후에는 프로텍터(20)를 다시 제1파지부(200)와 멀어지는 방향, 즉, 니들(400)의 첨예한 끝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 니들(400)을 다시 프로텍터(20)의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다.
사용한 니들(400)을 다시 프로텍터(20)의 내부로 수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프로텍터(20)를 니들(400)의 첨예한 끝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밀게 되면, 이동가이드(800)는 제1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다 제3레일(330)로 진입하게 된다. 이는 제3레일(330)이 곧게 형성되어 있는 영향뿐만 아니라, 제1레일(320)과 제2레일(310)의 깊이차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레일(320)을 형성하는 장홈의 깊이는 제2레일(310)을 형성되는 장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던 이동가이드(800)는 상대적으로 깊이가 낮은 제2레일(310)로 복귀하지 않게 되고, 제1레일(320)과 동일한 깊이거나 더 깊이 형성되는 제3레일(330)로 진입하게 된다. 제3레일(330)은 제1레일(320) 및 제2레일(310)이 접하는 영역을 지나서 그 깊이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점진적으로 제3레일(330)의 바닥면이 상승하도록 경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는 이동가이드(800)가 제3레일(33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3레일(330)의 바닥면과 접함으로써 이동의 저항을 받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프로텍터(20)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게 작용 할 뿐만 아니라, 제3수납부(332)를 구획하는 제3단턱(334)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제3단턱(334)은 제2단턱(314)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단턱(314)은 외력에 의해 이동가이드(800)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고, 제3단턱(334)은 외력이 가해져도 이동가이드(800)가 제3단턱(334)에 간섭되어 다시 제1레일(320)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제3단턱(334)을 넘어 제3수납부(332)에 이동가이드(800)가 진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는 사용을 마친 상태를 의미하게 되고, 사용을 마친 상태에서 다시 니들(400)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제3수납부(332)는 제3레일(330)을 이루는 장홈의 주변 깊이보다 깊게 패이고, 제3단턱(334)을 통해 그 경계가 결정된다. 즉, 제3수납부(332)에 이동가이드(800)가 진입하면 제3단턱(334)을 무시할 수 있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이동가이드(800)가 재차 제3레일(330)을 따라 제1레일(320)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는 사용 후, 니들(400)이 프로텍터(20)의 내측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다시 프로텍터(20)가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등의 사유로 니들(400)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황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레일(320)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1레일(320)의 제1파지부(200)와 인접한 끝단에 제1수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수납부(322) 역시 제1레일(320)이 형성하는 경로 상에서 주변보다 그 깊이가 깊게 파인 홈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동가이드(800)가 제1수납부(322)에 진입 시 소정의 구속력으로 이동가이드(800)를 고정시킨다. 이는 니들(400)이 노출된 상태에서 프로텍터(20)가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레일(320)과 제2레일(310)이 접하는 지점에는 제1단턱(3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단턱(324)은 제1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가이드(800)가 제2레일(310)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단턱으로서 제2레일(310)로부터 제1레일(320)로 향하는 방향의 면은 경사져서 이동가이드(800)가 넘을 수 있으나, 제1레일(320)로부터 제2레일(310)로 향하는 방향의 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이동가이드(800)가 넘지 못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제2레일(310), 제1레일(320) 및 제3레일(330)이 이루는 경로를 나타낸 바디(300)의 정면도이다.
바디(300)에 형성되는 제2레일(310), 제1레일(320) 및 제3레일(330)은 그 형상 및 경로의 모양이 전술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310) 및 제3레일(330)은 각기 적어도 일부 구간이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고, 다만, 이동가이드(800)의 이동에 있어서, 제2레일(310)을 벗어난 이동가이드(800)가 다시 제2레일(310)로 진입하지 못하게 구성되면 족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1레일(320), 제2레일(310) 및 제3레일(330)이 V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은 다소 베큐테이너(vacutainer)와 같이 다소 큰 의료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의 사용상태로 전환 및 폐기상태로 전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는 프로텍터(20)의 내부에 니들(400)이 수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주사를 사용하기 위해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파지부(200) 방향으로 멀어줌으로써, 니들(400)의 첨예한 끝단이 관통구(500)를 통과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니들(400)이 노출된 상태로 주사의 사용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20)를 니들(400)이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 줌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니들(400)의 첨예한 끝단이 다시 프로텍터(2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텍터(20)의 슬라이딩 과정은 바디(300)에 형성된 제2레일(310), 제1레일(320) 및 제3레일(33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가이드(800)에 의해 구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프로텍터(20)의 단면도이다.
프로텍터(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길이를 지닌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텍터(20)의 한쪽 끝단은 중심부에 니들(4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된 관통구(500)가 마련된다. 그리고, 프로텍터(20)의 내부공간에는 바디(3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으며, 프로텍터(20)의 다른쪽 끝의 개방된 공간인 결합구(700)로 가디가 진입될 수 있다.
프로텍터(20)의 외측둘레에는 적어도 한 쌍의 제2파지부(900)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2파지부(900)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탄성변형하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끝이 프로텍터(20)에 결합되고, 다른 쪽 끝은 니들(400)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2파지부(900)를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프로텍터(20)를 돌리거나 어느 한 방향으로 미는데 힘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텍터(20)를 바디(300)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꺽는 과정에서 제2파지부(900)가 탄성변형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적절하게 분산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제2파지부(900)의 니들(400)을 향한 끝단은 프로텍터(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텍터(20)의 내측면에는 제2레일(310), 제1레일(320) 및 제3레일(330)에 수용될 수 있는 이동가이드(80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동가이드(800)는 탄성력을 통해 지탱될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지면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돌출된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800)는 프로텍터(2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2레일(310), 제1레일(320) 및 제3레일(3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동가이드(800)의 이동은 프로텍터(20)를 바디(300)를 기준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토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니들(400)이 이중으로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이중홀더(60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프로텍터(20)의 관통구(500)가 형성된 한 쪽 단부는 그 내측면에 니들(400)홀더(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400)홀더(600)는 관통구(50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니들(400)이 니들(400)홀더(600)로 진입하면 니들(400)을 구속함으로써 니들(400)이 이탈하지 못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400)이 프로텍터(2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니들(400)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니들(400)홀더(600)가 마련되고, 니들(400)홀더(600)는 니들(400)과 인접한 위치에 점진적으로 그 간격이 좁아지는 진입부(610)가 형성된다. 진입부(610)는 입구가 넓게 형성되고, 니들(400)과 먼 위치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진다. 진입부(610)는 그 간격이 가장 좁아지는 지점에 홀딩부(620)가 형성된다. 홀딩부(620)는 니들(400)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로 이루어진 통로이다. 홀딩부(620)의 내부에는 니들(400)이 안착되어 고정될수 있도록 니들(400)이 끼워지는 고정부(630)가 마련된다.
니들(400)이 진입부(610)로 진입하게 되면 진입부(610)의 넓은 입구에 안내되어 진입부(610)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고, 일정한 외력의 작용으로 인해 홀딩부(620)가 이루는 좁은 공간을 통과하게 되면 고정부(630)에 끼워져 안착된다. 이때 니들(400)이 고정부(630)에 진입한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니들(400)은 고정부(630)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니들(400)을 폐기하기 위해 니들(400)을 수납하는 과정을 두 단계로 하여 보다 안전하게 니들(400)을 폐기할 수 있도록 한다.
니들(400)을 니들(400)홀더(600)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프로텍터(20)를 바디(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니들(400)을 프로텍터(20)의 내부로 수용시키고, 니들(400)이 프로텍터(20)의 내부로 수용되면, 프로텍터(20)에 마련된 제2파지부(900)에 외력을 가해 프로텍터(20)가 바디(300)로부터 기울어지도록 한다. 이때, 니들(400)은 프로텍터(20)의 내측공간에 형성된 니들(400)홀더(600)로 진입하게 되고, 니들(400)홀더(600)의 고정부(630)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바디(300)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A-A'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레일(330)은 일측에 비가역스토퍼(350)를 포함할 수 있다.
비가역스토퍼(350)는 제3레일(3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있고, 제3레일(330)을 따라 이동가이드(800)가 이동하여 제3수납부(332)에 수용된 후에, 이동가이드(800)가 제3레일(330)을 역행하여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가이드(800)는 제3수용부에 진입하면 제3단턱(334)에 의해 일차적으로 구속된다. 그리고, 비가역스토퍼(350)에 의해 이중으로 그 역행이 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 장치를 사용한 후 프로텍터(20)를 슬라이딩 시켜 니들(400)의 첨예한 끝단이 프로텍터(20)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는 프로텍터(20) 및 바디(300)에 외력이 가해진다 해도 니들(400)의 첨예한 끝단이 다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에서 바디(300)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B-B'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C-C'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310)의 깊이는 제3레일(330)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즉, 제3레일(330)은 제2레일(310)보다 깊게 패인 장홈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제2레일(310)을 따라 이동하여 제3레일(330)로 진입한 이동가이드(800)는 제1단턱(324)에 의해 제2레일(310)로 다시 복귀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제3레일(330)은 제3수용부와 인접할수록 그 깊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진다. 즉, 제3레일(330)의 바닥면은 제3수용부과 인접할수록 높아진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레일(330)의 깊이는 a로 형성되나, 제3수용부와 인접해서는 a보다 작은 길이의 b로 그 깊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레일(330)의 깊이변화는 제3수용부의 경계를 이루는 제3단턱(334)을 형성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프로텍터(20)를 밀어 니들(400)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프로텍터(20)가 올바른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촉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 장치는 프로텍터(20)를 바디(300)에 대하여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니들(400)을 노출시키거나 프로텍터(20) 내부로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쉽고 단순한 동작만으로 니들(400)을 사용가능한 상태로 변환시키거나, 폐기를 위한 상태로 변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린더유닛의 제1파지부(200) 측으로 다양한 형태의 피스톤이 진입하여 주사 장치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인슐린 주사, 혈액체취를 위한 베큐테이너(Vacutainer), 인슐린 주사를 위한 펜니들(400), 수액과 같은 약액을 신체에 주입하기 위한 카테터(catheter), 메쓰 등에 두루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20: 프로텍터 200: 제1파지부
300: 바디 310: 제2레일
312: 제2수납부 314: 제2단턱
320: 제1레일 322: 제1수납부
324: 제1단턱 330: 제3레일
332: 제3수납부 334: 제3단턱
350: 비가역스토퍼
400: 니들 500: 관통구
600: 홀더 610: 진입부
620: 홀딩부 630: 고정부
700: 결합구 800: 이동가이드
900: 제2파지부

Claims (11)

  1. 일단에 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을 향해 첨예한 끝단이 배치되는 니들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 및 상기 니들은 약액이 이동하는 통로가 서로 연결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니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슬라이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니들의 끝단이 내부에 수용되거나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외측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텍터가 슬라이딩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레일;
    상기 제1레일과 각각 그 경로의 한쪽 끝이 연결되며, 각각 상기 제1레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니들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기 프로텍터가 슬라이딩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레일; 및 제3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텍터는,
    내주연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 제2레일 및 제3레일 중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텍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2레일로부터 상기 제1레일로 이동 가능하나 상기 제1레일로부터 상기 제2레일로 복귀할 수 없도록 상기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이 만나는 지점에 단턱이 형성되는, 안전 주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 제2레일 및 상기 제3레일은,
    상기 바디의 외측둘레에 각각 소정의 경로를 갖도록 파인 장홈으로 형성되는, 안전 주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일은,
    상기 니들과 인접한 끝단에 주변보다 깊게 파인 홈으로 형성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터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외력이 가해져야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2수납부를 이탈함으로써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안전 주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일은,
    상기 니들과 인접한 끝단에 주변보다 깊게 파인 홈으로 형성되는 제3수납부; 및
    상기 프로텍터의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3수납부에 진입하면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3수납부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3레일의 경로상에 형성되는 제3단턱;을 포함하는, 안전 주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일은 상기 제1레일보다 얕은 깊이의 장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로텍터의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1레일에 진입하면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기 제2레일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제1단턱이 상기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이 연결되는 경계에 형성되는, 안전 주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그 외측둘레에 구비되고, 적어도 한 쌍이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파지부는 탄성변형되는, 안전 주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지부는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 방향을 향해 자유단이 마련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프로텍터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는, 안전 주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관통구와 인접한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첨예한 끝단이 진입 시 상기 니들이 고정되는 이중홀더;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 장치.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홀더는,
    상기 관통구와 인접할 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진입부;
    상기 니들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니들이 수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안전 주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3레일이 형성하는 경로는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레일이 형성하는 경로는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3레일이 형성하는 직선의 경로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전 주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에 지지되어 돌출되는, 안전 주사 장치.
KR1020190112445A 2019-09-10 2019-09-10 안전 주사 장치 KR10236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45A KR102367827B1 (ko) 2019-09-10 2019-09-10 안전 주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45A KR102367827B1 (ko) 2019-09-10 2019-09-10 안전 주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07A true KR20210030807A (ko) 2021-03-18
KR102367827B1 KR102367827B1 (ko) 2022-02-25

Family

ID=7523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445A KR102367827B1 (ko) 2019-09-10 2019-09-10 안전 주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8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024A (ko) * 1989-10-13 1991-05-30 하기주 폴리아미드 수지의 제조방법
KR100838905B1 (ko) * 2001-08-09 2008-06-16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주사침 수납가능한 주사침 조립체
KR20100010095U (ko) 2009-04-07 2010-10-15 유한회사 신신프락콘 안전마개가 부착된 주사기형 약품용기
US20130197474A1 (en) * 2010-02-05 2013-08-0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ted Module Having a Double Needle Guard
US20130324923A1 (en) * 2010-07-02 2013-12-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Safety Device for a Pre-Filled Syringe and Inj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024A (ko) * 1989-10-13 1991-05-30 하기주 폴리아미드 수지의 제조방법
KR100838905B1 (ko) * 2001-08-09 2008-06-16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주사침 수납가능한 주사침 조립체
KR20100010095U (ko) 2009-04-07 2010-10-15 유한회사 신신프락콘 안전마개가 부착된 주사기형 약품용기
US20130197474A1 (en) * 2010-02-05 2013-08-0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ted Module Having a Double Needle Guard
US20130324923A1 (en) * 2010-07-02 2013-12-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Safety Device for a Pre-Filled Syringe and Inj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827B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2576B (zh) 安全针装置
CA2254174C (en) Single-use safety syringe
US855686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intradermal injection
US5672161A (en) Needle assembly having single-handedly activated needle barrier
JP2002526174A (ja) 穿刺針装置
JP2004538103A (ja) 引込み式安全針装置
US6872190B1 (en) Safety assembly for a syringe pre-filled with liquid, in particular a medicine
CN113891735B (zh) 具有平坦标记显示表面的注射器
JPWO2017073658A1 (ja) グリップ及び注射器組立体
KR101536584B1 (ko) 의료용 주사 바늘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WO2014184321A2 (en) Syringes
WO2016021323A1 (ja) 針組立体
EP1545668A1 (en) Medical device
RU2580196C2 (ru) Безопасный шприц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бирающейся иглой для взятия пробы крови
JP3188771U (ja) 針組立体
KR102342500B1 (ko) 안전 주사기 보호 캡
KR20210030807A (ko) 안전 주사 장치
US5562635A (en) Parenteral device
EP3984578A2 (en) Disposable safety syringe needle and syringe device including same
EP3645086B1 (en) Safety syringe with needle redirection device
US11185638B2 (en) Needle assembly and needle device having same
RU2783499C2 (ru) Шприц, рукоятка шприца, корпус
KR20170083934A (ko) 슬라이드 타입 주사바늘 찔림 방지 안전장치
CA2542907A1 (en) Disposable needle rack system for syringe
KR20230059980A (ko) 자동 후퇴식 안전 정맥주사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