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732A -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732A
KR20210030732A KR1020190112250A KR20190112250A KR20210030732A KR 20210030732 A KR20210030732 A KR 20210030732A KR 1020190112250 A KR1020190112250 A KR 1020190112250A KR 20190112250 A KR20190112250 A KR 20190112250A KR 20210030732 A KR20210030732 A KR 2021003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source
information
xpi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1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0732A/ko
Priority to US17/009,254 priority patent/US11277194B2/en
Publication of KR2021003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69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special antenna structures, e.g. cross polarized antennas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엑스홀(xhaul)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엑스홀 네트워크에 속한 제1 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자원 정보를 제2 노드 및 제3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무선 링크를 통한 무선 신호의 XPI(cross polarization interference) 측정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XPI 측정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제2 노드 및 제3 노드들에 할당된 자원을 지시하는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제2 노드 및 제3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XPI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노드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RESOURCE IN WIRELESS BACKHAUL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링크 및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세스(access) 네트워크, 엑스홀(Xhaul) 네트워크 및 코어(cor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편파 자원을 포함하는 무선 자원의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 기반의 통신 시스템(또는, LTE-A 기반의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LTE 기반의 통신 시스템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하, "통합(integration) 통신 시스템"이라 함)이 고려되고 있다. 통합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access) 네트워크, 엑스홀(Xhaul) 네트워크 및 코어(cor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엑스홀 네트워크는 엑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는 장거리 무선링크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인 E 밴드(E-band)를 통해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 대역 (E-밴드)에서 사용하는 무선백홀 시스템은 LTE 또는 LTE-Adv. 에서 사용하는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MCM) 방식보다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율(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 특성이 좋은 단일 반송파 변조(single carrier modulation, SCM) 방식을 사용하여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고정된 위치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점대점 (point to point, P2P)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점차 여러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점대다중점(point to multipoint, P2MP) 제품 개발에 대한 고려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단일 반송파 변조방식을 이용하는 P2MP 무선백홀 시스템에서는 여러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한 자원할당 방식으로써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TDMA)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이는 데이터 프레임화에 따른 오버헤드의 부담으로 데이터 전송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수신하는 측에서는 반송파 동기, 비트시간 복원, 그리고 프레임 동기 등과 같은 복잡한 구조의 복조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백홀(backhaul)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방식과 이중 편파(dual polarization) 방식을 이용한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엑스홀(xhaul)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엑스홀 네트워크에 속한 제1 노드의 동작 방법은 제1 자원 정보를 제2 노드 및 제3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무선 링크를 통한 무선 신호의 XPI(cross polarization interference) 측정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XPI 측정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제2 노드 및 제3 노드들에 할당된 자원을 지시하는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제2 노드 및 제3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XPI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노드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는,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및 직교성을 갖고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편파(polarization) 자원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엔티티(entity)이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허브(hub)이며, 상기 제3 노드들은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터미널(termin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상기 제3 노드들 각각에 의해 측정된 XPI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상기 제3 노드들 각각에 의해 측정된 XPI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노드들 각각에 편파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편파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노드들 중 하나의 노드의 XPI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하나의 노드에 이중 편파(dual polarization)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편파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노드들 중 하나의 노드의 XPI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하나의 노드에 단일 편파(single polarization)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엑스홀(xhaul)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엑스홀 네트워크에 속한 제1 노드의 동작 방법은 제2 노드로부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제3 노드들로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노드들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한 XPI(cross polarization interference)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XPI 측정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XPI 측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노드들로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노드들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는,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및 직교성을 갖고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편파(polarization) 자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허브(hub)이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엔티티(entity)이며, 상기 제3 노드들은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터미널(termin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MCM) 방식에 의해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노드는,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XP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단일 편파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하나의 편파 특성을 갖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XP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이중 편파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서로 다른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엑스홀(xhaul)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엑스홀 네트워크에 속한 제1 노드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2 노드로부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제3 노드들로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노드들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한 XPI(cross polarization interference)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XPI 측정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XPI 측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노드들로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3 노드들과 무선 링크를 설정하도록 실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는,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및 직교성을 갖고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편파(polarization) 자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노드 및 제 3 노드는 XDU(xhaul device unit)이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엔티티(entit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MCM) 방식에 의해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노드는,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실행된다.
여기서, 상기 XP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단일 편파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하나의 편파 특성을 갖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실행된다.
여기서, 상기 XP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이중 편파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서로 다른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실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은 다중 반송파 변조 방식과 이중 편파를 통신 노드들의 자원 할당에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단일 반송파 변조 방식을 이용한 자원 할당 방식에 비하여 낮은 복잡도로 더 많은 사용자들을 수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통합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E-밴드(E-band) 대역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b는 E-밴드(E-band) 대역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E-밴드 대역 중 71MHz 내지 76MHz 대역의 채널 배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b는 E-밴드 대역 중 81MHz 내지 86MHz 대역의 채널 배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는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채널 대역폭 사용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b는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채널 대역폭 사용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a는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전송 신호 생성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b는 무선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전송 신호 생성 결과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c는 무선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전송 신호 생성 결과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는 P2MP(point to multi point)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다중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 할당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b는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다중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 할당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a는 P2MP 무선 백홀 시스템의 자원 할당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b는 P2MP 무선 백홀 시스템의 자원 할당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a는 P2MP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이중 편파 자원 할당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b는 P2MP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이중 편파 자원 할당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c는 P2MP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이중 편파 자원 할당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예를 들어,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 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gNB, ng-eN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f(flexible)-TRP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s)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OBU(on board uni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예를 들어,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 기저대역(baseband)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은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예를 들어, f(flexible)-TRP)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baseband unit)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RP는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등일 수 있다. BBU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BBU 또는 적어도 하나의 DU(digita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BBU 블록은 "BBU 풀(pool)", "집중화된(centralized) BBU"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TRP는 유선 프론트홀(fronthaul)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링크 및 프론트홀 링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분리(function split) 기법이 적용되는 경우, TRP는 BBU의 일부 기능 또는 MAC/RLC의 일부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코어 네트워크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MME(310-1), S-GW(310-2), P-GW(3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매크로 기지국(320), 스몰 기지국(330), TRP(350-1, 350-2), 단말(360-1, 360-2, 360-3, 360-4, 36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RP(350-1, 350-2)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TRP(350-1, 350-2)를 위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 블록(3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BBU 블록(340)은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속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 속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MME, S-GW, P-GW, 매크로 기지국, 스몰 기지국, TRP, 단말, BBU 블록)는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320)은 유선 백홀 링크 또는 무선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MME(310-1), S-GW(310-2))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단말들(360-3, 360-4)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몰 기지국(330)은 유선 백홀 링크 또는 무선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MME(310-1), S-GW(310-2))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5 단말(360-5)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BBU 블록(340)은 MME(310-1), S-GW(310-2) 또는 매크로 기지국(320)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BBU 블록(340)은 MME(310-1), S-GW(310-2) 및 매크로 기지국(320) 각각과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BBU 블록(340)은 복수의 TRP(350-1, 350-2)들을 지원할 수 있고, 유선 프론트홀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사용하여 복수의 TRP(350-1, 350-2)들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BBU 블록(340)과 TRP(350-1, 350-2) 간의 링크는 "프론트홀 링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TRP(350-1)는 유선 프론트홀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340)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1 단말(360-1)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TRP(350-2)는 유선 프론트홀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340)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2 단말(360-2)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엑스홀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은 "통합(integration) 통신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합 통신 시스템에 속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MME, S-GW, P-GW,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UPF(user plane function), BBU 블록, XDU(Xhaul distributed unit), XCU(Xhaul control unit), 기지국, TRP, 단말 등)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에 속한 통신 노드들은 엑스홀 링크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엑스홀 링크는 백홀 링크 또는 프론트홀 링크일 수 있다.
또한, 통합 통신 시스템의 S-GW는 기지국과 패킷(예를 들어, 제어 정보, 데이터)을 교환하는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통신 노드를 지칭할 수 있고, 통합 통신 시스템의 MME는 단말의 무선 접속 구간(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코어 네트워크의 통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백홀 링크, 프론트홀 링크, 엑스홀 링크, XDU, XCU, BBU 블록, S-GW 및 MME 각각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예를 들어, 엑스홀 네트워크의 기능,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에 따라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통합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네트워크, 엑스홀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합 통신 시스템에 속한 통신 노드는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매크로 기지국(430), 스몰 기지국(440), TRP(450), 단말(460-1, 460-2, 46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420-1, 420-2, 420-3, 420-4, 420-5, 420-6)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는 "XDU"로 지칭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XDU들(420-1, 420-2, 420-3, 420-4, 420-5, 420-6)은 무선 엑스홀 링크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고, 멀티홉 방식에 기초하여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S-GW/MME(410-1), P-GW(41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GW/MME(410-1)는 S-GW와 MME를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제1 XDU(420-1)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매크로 기지국(430)에 연결될 수 있거나, 매크로 기지국(430)에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제2 XDU(420-2)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스몰 기지국(440)에 연결될 수 있거나, 스몰 기지국(440)에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제5 XDU(420-5)는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TRP(450)에 연결될 수 있거나, TRP(450)에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제4 XDU(420-4)는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통신 노드(예를 들어, S-GW/MME(410-1))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XDU들(420-1, 420-2, 420-3, 420-4, 420-5, 420-6) 중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통신 노드와 연결되는 XDU는 "XDU 애그리게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코어 네트워크에서 제4 XDU(420-4)는 XDU 애그리게이터일 수 있다. 복수의 XDU들(420-1, 420-2, 420-3, 420-4, 420-5, 420-6) 간의 통신은 엑스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엑스홀 프로토콜이 적용된 패킷(예를 들어, 데이터, 제어 정보)은 엑스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및 액세스 네트워크 각각에 전송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430)은 액세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 단말(460-1)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제1 XDU(420-1)에 연결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430)은 엑스홀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스몰 기지국(440)은 액세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2 단말(460-2)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제2 XDU(420-2)에 연결될 수 있다. 스몰 기지국(440)은 엑스홀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TRP(450)는 액세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3 단말(460-3)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제5 XDU(420-5)에 연결될 수 있다. TRP(450)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TRP(450)를 위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 블록(47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네트워크와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무선 자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E-밴드(E-band) 대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E-밴드 대역은 71GHz 내지 76GHz 대역 및 81GHz 내지 86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b를 참조하면, 71GHz 내지 76GHz 대역은 복수개(도 7b를 참조하면 19개)의 채널들과 보호 대역(guard ban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81GHz 내지 86GHz 대역은 복수개(도 5b를 참조하면 19개)의 채널들과 보호 대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E-밴드 대역(71GHz 내지 76GHz 대역 및 81GHz 내지 86GHz 대역)에 포함된 각각의 채널들은 250MHz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E-밴드 대역(71GHz 내지 76GHz 대역 및 81GHz 내지 86GHz 대역)에 포함된 각각의 보호 대역들은 125MHz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E-밴드 대역(71GHz 내지 76GHz 대역 및 81GHz 내지 86GHz 대역)에 포함된 각각의 채널들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E-밴드 대역의 채널 배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E-밴드 대역 중 71GHz 내지 76GHz 대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b를 참조하면, E-밴드 대역 중 81GHz 내지 86GHz 대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E-밴드 대역에 포함되는 채널들의 대역폭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채널 그룹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그룹이 A인 경우, 채널의 대역폭은 250MHz일 수 있으며, 각각의 대역은 19개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그룹이 R인 경우, 채널의 대역폭은 4500MHz일 수 있으며, 각각의 대역은 1개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채널 대역폭 사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의 최대 대역폭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채널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백홀 시스템의 최대 대역폭은 250MHz(채널 그룹 A인 경우) 내지 4500MHz(채널 그룹 R인 경우) 중 미리 설정된 하나의 값일 수 있다.
무선 백홀 시스템의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XCU, XDU 등)은 최대 대역폭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다른 통신 노드들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백홀 시스템의 통신 노드가 사용하는 최대 대역폭의 적어도 일부 대역을 사용 대역폭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의 사용 대역폭은 무선 백홀 시스템의 최대 대역폭과 동일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최대 대역폭에 포함된 보호 대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의 사용 대역폭은 무선 백홀 시스템의 최대 대역폭보다 작을 수 있다. 통신 노드는 사용 대역폭에 포함된 보호 대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전송 신호 생성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XCU, XDU 등)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개의 데이터 전송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통신 노드들은 사용자 대역폭에 위치하는 부반송파들에 데이터를 실어 주파수 영역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통신 노드들은 주파수 영역 전송 신호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시간 영역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 대역폭이 최대 대역폭보다 작은 경우, 통신 노드는 사용 대역폭에 실린 주파수 영역 전송 신호를 N-포인트 IFFT(N-poin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er)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 대역폭이 최대 대역폭과 동일한 경우, 통신 노드는 최대 대역폭 중 보호 영역을 제외한 부반송파들에 실린 주파수 영역 전송 신호를 N-포인트 IFFT에 입력할 수 있다. N-포인트 IFFT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변환하여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 엔티티일 수 있다. N-포인트 IFFT는 무선 백홀 시스템의 최대 대역폭을 처리할 수 있는 변환 엔티티일 수 있다.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예를 들어, XCU, XDU 등)는 생성한 시간 영역 신호에 CP(cyclic prefix)를 삽입하여, 시간 영역 신호에 포함된 인접한 심볼들 간의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는 RF 체인(radio frequency chain)을 이용하여 무선 백홀 시스템의 다른 통신 노드들로 시간 영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노드의 RF 체인은 하나(단일 RF 체인)로 구성될 수 있으며, RF 체인은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RF 체인에 포함된 안테나는 수직 편파(vertical polarization) 안테나 또는 수평 편파(horizontal polarization) 안테나 중 하나의 편파 특성을 갖는 안테나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P2MP(point to multi point)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다중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 할당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은 사용 대역폭 자원을 사용하여 다중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 대역폭은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채널 그룹에 따른 채널에 의해 정의되는 최대 대역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사용 대역폭에 포함된 부반송파 중 일부 부반송파들은 보호 대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대역폭의 양 단에 위치하는 부반송파들은 보호 대역일 수 있다.
무선 백홀 시스템은 사용 대역폭에 포함되는 부반송파들 중 보호 대역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부반송파들을 다수의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XDU 등)에 할당할 수 있다. 다수의 통신 노드들은 할당된 사용 대역폭의 일부 부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백홀 시스템은 각각의 통신 노드들에 동일한 개수의 부반송파들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대역폭이 L개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하고, 보호 대역이 G개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은 M개의 통신 노드들 각각에 (L-G)/M개의 부반송파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무선 백홀 시스템은 각각의 통신 노드들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용량에 비례하도록 터미널들에 부반송파를 할당할 수 있다.
무선 백홀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노드들에 사용 대역폭에 포함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를 참조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은 국부 할당(localization allocation) 방식으로 통신 노드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b를 참조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은 분산 할당(distributed allocation) 방식으로 통신 노드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다수의 통신 노드들에 자원 할당이 완료되고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변경이 없는 경우, 무선 백홀 시스템은 기존에 할당된 자원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고정 할당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노드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무선 백홀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존의 통신 노드가 제외되거나 신규 통신 노드가 추가되는 경우, 무선 백홀 시스템은 각각의 통신 노드들에 할당할 자원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노드들에 할당할 자원의 변동이 큰 경우 역시, 무선 백홀 시스템은 통신 노드들에 할당할 자원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P2MP 무선 백홀 시스템의 자원 할당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은 XCU 및 복수의 XDU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XDU는 하나의 마스터 XDU와 복수개의 슬레이브 XDU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XCU는 무선 백홀 시스템의 운용 관리(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OAM 엔티티(1010)로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XDU는 무선 백홀 시스템의 허브(hub)(102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슬레이브 XDU들은 무선 백홀 시스템의 터미널(1031, 1032, 1033)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OAM 엔티티(1010)는 허브(1020) 및 터미널(1031, 1032, 1033)들 각각에 할당할 무선 자원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터미널(1031, 1032, 1033)들은 허브(1020)와 미리 무선 링크를 통해 연결된 기존 터미널(1031, 1032)들과 무선 링크 설정 이후 추가된 신규 터미널(10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을 참조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의 허브(1020)와 기존 터미널(1031, 1032)들 간의 무선 링크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S1001). 허브(1020)는 기존 터미널(1031, 1032)들로 전송할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허브(1020)는 터미널들과 설정된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신호를 복수개의 기존 터미널(1031, 1032)들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브(1020)는 기존의 무선 링크를 통해 기존 터미널(1031, 1032)들로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터미널들은 기존의 무선 링크를 통해 허브(102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미널들은 수신한 무선 신호를 기초로 무선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자신의 버퍼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들은 무선 신호의 CQI, CSI 등의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들은 수신한 무선 신호의 교차 편파 간섭(cross polarization interference, XPI)을 측정할 수 있다.
기존 터미널(1031, 1032)들은 측정한 무선 채널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를 허브(1020)로 보고할 수 있다. 각각의 터미널들은 허브(1020)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터미널들은 생성한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신호는 터미널에 의해 측정된 무선 채널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브(1020)는 기존 터미널(1031, 1032)들로부터 생성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무선 신호로부터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1020)는 터미널들로부터 CQI, CSI 및 XPI 정보 등의 무선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허브(1020)는 복수의 터미널들로부터 획득한 XPI 정보를 OAM 엔티티(10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1020)는 터미널의 식별자와 터미널이 측정한 XPI 정보를 매핑할 수 있으며, 복수의 터미널 각각의 식별자 및 각각의 터미널들이 측정한 XPI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OAM 엔티티(1010)로 전달할 수 있다. OAM 엔티티(1010)는 허브(1020)로부터 터미널들에 의해 측정된 XPI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허브(1020)는 주기적으로 무선 신호를 터미널들로 전송할 수 있다(S1002). 그리고 허브(1020)는 터미널들로부터 주기적으로 무선 신호에 대한 XPI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3). OAM 엔티티(1010)는 주기적으로 터미널들의 XPI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1020)와 기존 터미널(1031, 1032)들 간의 무선 링크가 설정된 상태에서 신규 터미널(1033)가 추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신규 터미널(1033)가 추가된 경우, OAM 엔티티(1010)는 허브(1020)와 기존 터미널(1031, 1032)들 간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한 자원 할당 정보와 기존 터미널(1031, 1032)들이 측정한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 등(예를 들어, XPI 정보 등)을 기초로 한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05). 제1 자원 할당 정보는 기존 터미널(1031, 1032)에 할당되는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신규 터미널(1033)에 할당되는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OAM 엔티티(1010)는 허브(1020),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로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006).
허브(1020)는 OAM 엔티티(1010)로부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6). 허브(1020)는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로 제2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07).
터미널들(예를 들어,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은 허브(102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07). 터미널들(예를 들어,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은 수신한 무선 신호의 XPI를 측정할 수 있다. 터미널들은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무선 링크를 통해 생성한 무선 신호를 허브(1020)로 전송할 수 있다(S1008). S1008에서 터미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는 터미널의 식별자 정보 및 터미널에 의해 측정된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 등(예를 들어, XPI 정보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브(1020)는 터미널들(예를 들어,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신호로부터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 등(예를 들어, XPI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S1008). 허브(1020)는 터미널들(예를 들어,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로부터 획득한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 등(예를 들어, XPI 정보 등)을 OAM 엔티티(1010)로 전달할 수 있다(S1009). 예를 들어, 허브(1020)는 각각의 터미널의 식별자와 각각의 터미널에 의해 측정된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 등(예를 들어, XPI 정보 등)을 매핑할 수 있으며, 복수의 터미널 각각의 식별자 및 각각의 터미널들이 측정한 채널의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예를 들어, XPI 정보 등)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OAM 엔티티(1010)로 전달할 수 있다(S1009).
OAM 엔티티(1010)는 허브(1020)로부터 터미널(1031, 1032, 1033)들에 의해 측정된 채널의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 등(예를 들어, XPI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S1009). OAM 엔티티(1010)는 측정된 채널의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정보를 기초로 터미널(1031, 1032, 1033)들에 할당할 무선 자원을 변경하는 무선 자원 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1010). 무선 자원 결정 기능을 수행하는 OAM 엔티티(1010)는 터미널 단위로 무선 자원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AM 엔티티(1010)는 터미널들(예를 들어,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에 할당할 자원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S1010). 즉 OAM 엔티티(1010)는 신규 터미널(1033)에 할당할 자원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11).
허브(1020)는 OAM 엔티티(1010)로부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12). 허브(1020)는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로 제3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13). 허브(1020)는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들과 무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S1014).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P2MP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이중 편파 자원 할당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무선 백홀 시스템의 노드는 주파수, 시간, 공간 및 코드를 활용하여 무선 신호를 다중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면, 무선 백홀 시스템의 노드는 전기장 편파를 더 활용하여 무선 신호를 다중화할 수 있다. 노드는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활용하여 무선 신호를 다중화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노드는 수평 편파 안테나 및 수직 편파 안테나를 통해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 간의 직교성을 활용하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노드는 서로 다른 데이터를 동일한 자원(예를 들어,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등)을 통해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편파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허브(1020)와 하나의 터미널이 연결되는 P2P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식에서, 노드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서 이중 편파 자원을 사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허브(1020)와 복수개의 터미널이 연결되는 P2MP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식에서, OAM 엔티티(1010)는 각 단말들의 수신 신호의 XPI 정보를 기초로 서로 다른 편파 자원을 단말들에 할당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1010에서 무선 자원 결정 기능을 수행하는 OAM 엔티티(1010)는 각각의 터미널들이 측정한 XPI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OAM 엔티티(1010)는 각각의 터미널들(1031, 1032, 1033)에 의해 측정된 XPI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11). 제2 자원 정보는 허브(1020) 및 각각의 터미널들(예를 들어,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에 할당할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및 편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원 할당 정보는 신규 터미널(1033)의 XPI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된 자원 할당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터미널이 측정한 XPI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OAM 엔티티(1010)는 터미널에 단일 편파 특성을 갖는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즉, OAM 엔티티(1010)는 허브(1020) 및 터미널(1031, 1032, 1033)에 단일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터미널이 측정한 XPI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OAM 엔티티(1010)는 터미널에 이중 편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즉, OAM 엔티티(1010)는 허브(1020) 및 터미널에 서로 다른 편파 안테나들(예를 들어, 수직 편파 안테나 및 수평 편파 안테나)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1020)와 연결된 모든 터미널들로부터 수신한 XPI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OAM 엔티티(1010)는 도 11a와 같이 허브(1020)와 무선 링크를 통해 연결된 터미널들(1031, 1032, 1033) 각각에 단일 편파 자원(1111, 1121, 1131)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허브(1020)와 연결된 모든 터미널들로부터 수신한 XPI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OAM 엔티티(1010)는 도 11b와 같이 허브(1020)와 무선 링크를 통해 연결된 터미널들 각각에 이중 편파 자원(1112, 1122, 1132)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1020)와 연결된 일부 터미널들로부터 수신한 XPI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OAM 엔티티(1010)는 도 11c와 같이 허브(1020)와 무선 링크를 통해 터미널들 중 일부의 터미널(1031)에 이중 편파 자원(1113)을 할당할 수 있으며, 나머지 터미널들(1032, 1033)에 단일 편파 자원(1123, 1133)을 할당할 수 있다.
다만, 도 11a 내지 도 11c의 자원 할당 방식은 국부 할당 방식으로 터미널들에 무선 자원이 할당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분산 할당 방식으로 터미널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OAM 엔티티(1010)는 도 11a의 기존 터미널(1032) 및 신규 터미널(1033)에 분산 할당 방식으로 터미널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터미널(1032)에 할당되는 자원(1121)과 신규 터미널(1033)에 할당되는 자원(1131)은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OAM 엔티티(1010)는 도 11b의 기존 터미널(1031, 1032)들 및 신규 터미널에 분산 할당 방식으로 터미널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터미널(1031,1032)에 할당되는 자원(1110, 1122)과 신규 터미널(1033)에 할당되는 자원(1132)은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0a 내지 도 10b을 참조하면, OAM 엔티티(1010)는 생성한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허브(1020)로 전송할 수 있다(S1012). 허브(1020)는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터미널들(예를 들어, 기존 터미널(1031, 1032) 및 신규 터미널(1033))로 제3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S1013), 무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S1014). 허브(1020)는 무선 링크를 통해 주기적으로 무선 신호를 터미널들로 전송할 수 있으며, 터미널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어, XPI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엑스홀(xhaul)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엑스홀 네트워크에 속한 제1 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자원 정보를 제2 노드 및 제3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무선 링크를 통한 무선 신호의 XPI(cross polarization interference) 측정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XPI 측정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제2 노드 및 제3 노드들에 할당된 자원을 지시하는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제2 노드 및 제3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XPI 측정 정보는,
    상기 제3 노드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는,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및 직교성을 갖고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편파(polarization) 자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엔티티(entity)이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허브(hub)이며,
    상기 제3 노드들은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터미널(termi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상기 제3 노드들 각각에 의해 측정된 XPI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상기 제3 노드들 각각에 의해 측정된 XPI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노드들 각각에 편파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
    상기 편파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노드들 중 하나의 노드의 XPI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하나의 노드에 이중 편파(dual polarization)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
    상기 편파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노드들 중 하나의 노드의 XPI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하나의 노드에 단일 편파(single polarization)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7. 엑스홀(xhaul)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엑스홀 네트워크에 속한 제1 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2 노드로부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제3 노드들로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노드들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한 XPI(cross polarization interference)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XPI 측정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XPI 측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노드들로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노드들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는,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및 직교성을 갖고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편파(polarization) 자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허브(hub)이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엔티티(entity)이며,
    상기 제3 노드들은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터미널(termi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
    상기 무선 신호는,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MCM) 방식에 의해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
    상기 제1 노드는,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
    상기 XP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단일 편파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하나의 편파 특성을 갖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
    상기 XP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이중 편파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서로 다른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14. 엑스홀(xhaul)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엑스홀 네트워크에 속한 제1 노드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2 노드로부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제3 노드들로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노드들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한 XPI(cross polarization interference)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XPI 측정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XPI 측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노드들로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3 노드들과 무선 링크를 설정하도록 실행되는 제1 노드.
  15. 청구항 14에 있어,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는,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및 직교성을 갖고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편파(polarization) 자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16. 청구항 14에 있어,
    상기 제1 노드 및 제 3 노드는 XDU(xhaul device unit)이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시스템의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엔티티(entit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17. 청구항 14에 있어,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MCM) 방식에 의해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
    상기 제1 노드는,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실행되는 제1 노드.
  19. 청구항 18에 있어,
    상기 XP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단일 편파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하나의 편파 특성을 갖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실행되는 제1 노드.
  20. 청구항 18에 있어,
    상기 XPI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이중 편파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안테나들 중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서로 다른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실행되는 제1 노드.
KR1020190112250A 2019-09-10 2019-09-10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30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50A KR20210030732A (ko) 2019-09-10 2019-09-10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7/009,254 US11277194B2 (en) 2019-09-10 2020-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n wireless backhau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50A KR20210030732A (ko) 2019-09-10 2019-09-10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32A true KR20210030732A (ko) 2021-03-18

Family

ID=7485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250A KR20210030732A (ko) 2019-09-10 2019-09-10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77194B2 (ko)
KR (1) KR20210030732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7179A (ja) 2009-02-09 2012-07-2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リレー方式の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バックホールリンクリソース割当て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装置
EP2759108A4 (en) * 2011-09-23 2015-06-03 Zte Usa Inc SINGLE CABLE WITH MULTIPLE CONNECTIONS BETWEEN TWO FUNCTIONAL UNITS FOR CROSS-POLARIZATION INTERFERENCE SUPPRESSION
US20150381282A1 (en) 2014-06-27 2015-12-31 Qualcomm Incorporated Polarization assisted wireless transmission
US20160219584A1 (en) 2015-01-22 2016-07-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performance nlos wireless backhaul frame structure
KR102109918B1 (ko) 2015-06-15 202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한 빔포밍 장치 및 방법
US20170164213A1 (en) 2015-12-04 2017-06-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371879B1 (ko) 2016-07-21 2022-03-0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Mmw wlan 시스템에서의 mimo 모드 적응
US10631159B2 (en) 2016-09-01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UE capability reporting for dual-polarization wireless communication
KR102559576B1 (ko) * 2017-01-10 2023-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75493A1 (en) 2021-03-11
US11277194B2 (en)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59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에 기초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JP6469733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元接続(ofdma)のリソース割り振り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503614B2 (en) Down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11972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in communication system
JP2020504548A (ja) 柔軟な新無線(nr)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lte)共存のための信号表示
CN108141383B (zh) 配置修改的空口的系统和方法
JP2019501558A (ja) 候補ニューメロロジーの重複セットを使用して搬送波を設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479827B2 (ja) データ伝送インジケーション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端末
JP2014023108A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US110385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ased on beamforming in communication system
CN110291747A (zh) 用户设备及无线通信方法
KR20190098695A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30732A (ko)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7078721B2 (ja) ユーザ装置、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KR2021001797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805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비밀키를 사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22067826A1 (zh) 通信方法及装置
KR1025227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직교 시퀀스를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8559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ltra-high frequency and ultra-wide band
KR20130039638A (ko)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42560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기반의 신호의 송수신 방법
WO2023125761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6907251B2 (ja) データ伝送インジケーション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端末
KR20220061002A (ko)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자원의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240061612A (ko) Mtrp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