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615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615A
KR20210030615A KR1020190111945A KR20190111945A KR20210030615A KR 20210030615 A KR20210030615 A KR 20210030615A KR 1020190111945 A KR1020190111945 A KR 1020190111945A KR 20190111945 A KR20190111945 A KR 20190111945A KR 20210030615 A KR20210030615 A KR 20210030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istles
coupled
bodies
bris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600B1 (ko
Inventor
이영종
Original Assignee
이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종 filed Critical 이영종
Priority to KR102019011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6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Enhancing with he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3Magazins or sets of brushes components, e.g. plurality of brushes linked as a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칫솔은 일단에는 바 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부분들이 서로 분리되면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칫솔모들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양치효과가 개선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약과 함께 사용하면서 치아표면, 치아사이, 잇몸 또는 입천장 등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또는 프라그를 제거하여 치아 및 잇몸의 건강을 유지시키는 도구이다.
그러나 단일의 칫솔모를 가진 칫솔을 통해 치아를 세정하는 경우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치아 마모 또는 치주 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치아의 외측과 내측을 세정하기 위해 장시간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62621호는 칫솔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3680호는 칫솔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에서는 치아에 가해지는 과도한 압박을 방지하고 세정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치아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동시에 세정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칫솔은 일단에는 바 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부분들이 서로 분리되면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칫솔모들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칫솔은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 끝단에 제1칫솔모가 형성되는 제1바디 및 후방은 상기 제1바디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제1칫솔모와 마주하는 제2칫솔모가 형성된 제2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칫솔은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바디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3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은 테두리의 제1돌출부는 슬라이딩홈을 둘러싸도록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를 제외한 일부분은 다시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이 마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홈들은 서로 연결되어 제1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홈들을 통해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바디는 양측으로 돌출된 날개들이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서 연장되어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세정바 및 상기 제1공간의 상부에 형성되고, 전방 일부분이 상기 제1공간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이동유닛과 결합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홈 안쪽의 상부 내측면에서 상부를 향해 함몰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삽입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바디는 일단은 이동유닛의 후방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양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 끝단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바디는 일단은 상기 스토퍼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버튼의 후방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칫솔모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은 전방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전방 끝단이 상기 제1 및 제2 칫솔모들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바디들 중 어느 하나는 전방 내부에 발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칫솔은 상부를 향해 내부공간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바디와 연결되어 전력을 상기 발열부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칫솔은 서로 마주하는 칫솔모들이 형성되어 치아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동시에 세정 가능하고, 칫솔이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립편의성이 개선되고 단일 칫솔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칫솔은 수납부와 연결되면 발열하여 칫솔모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스에 수납되면 자외선 살균을 통해 살균되어 칫솔모의 위생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인 칫솔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들.
도 2는 도 1의 칫솔의 분해사시도 및 확대도들.
도 3은 도 1의 칫솔의 슬라이딩부의 확대된 사시도들.
도 4은 도 1의 제1바디의 측면도 및 칫솔을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칫솔을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 및 모식도들.
도 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
도 8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인 칫솔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칫솔의 분해사시도 및 확대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칫솔의 슬라이딩부의 확대된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100)은 제1바디(200), 제2바디(300), 제3바디(400) 및 수납부(500)들을 포함한다.
칫솔(100)의 일단에는 바 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부분들이 서로 분리되면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칫솔모들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1바디(200)는 제1칫솔모(210) 및 슬라이딩부(220)들을 포함하고, 제2바디(200)는 제2칫솔모(310) 및 슬라이딩부(320)들을 포함한다.
제1바디(2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된 형태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칫솔(100)의 일측에 해당하는 제1방향(1)쪽에 위치한 제1바디(200)의 일단 일측면은 아치 형태로 일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바디(200)의 타단은 일단의 일측면에 인접한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되며, 타단의 외측면은 일단의 외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된다.
제2바디(300)는 제1바디(2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마주한 상태에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칫솔(100) 형태로 조립된다.
제2바디(3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된 형태로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바디(300)의 일단의 일측면은 아치 형태로 칫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제2방향(2)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2바디(300)의 타단은 일단의 일측면에 인접한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되며, 타단의 외측면은 일단의 외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된다.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 각각의 타단 사이에는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 각각의 타단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칫솔모(210)는 제1바디(200)의 타단 타측면에 형성되고, 제2칫솔모(310)는 제2바디(300)의 타단 타측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칫솔모(210, 310)들 각각은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2 및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20)는 제1바디(200)의 일단 타측면에 삽입되고, 개구부(15)를 제외한 테두리의 일부가 제2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된 제1슬라이딩홈(12)이 형성된다.
제2돌출부(224)는 제1돌출부(222)의 상부 일부분을 제외한 제2방향(2)쪽 타측면 테두리 일부분이 제2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돌출부(224)가 제1바디(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돌출부(224)의 타측면은 제1바디(200)의 타측면과 단차없는 평면을 형성한다.
슬라이딩부(220)의 상부에 해당하는 제1바디(200)의 타측면 상부 일부분은 제1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제1홈(11)이 형성되고, 제1홈(11)에 해당하는 제1바디(200)의 내측면은 제1바디(200)에 삽입된 슬라이딩부(220)의 제1돌출부(222)의 타측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서로 단차없이 연결된다.
제1삽입홈(13)은 제1슬라이딩홈(12)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1바디(200)의 후방 끝단에 위치한 상부 내측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2삽입홈(14)은 제1삽입홈(13)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바디(200)의 상부 내측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다.
개구부(15)는 제1슬라이딩홈(12)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2돌출부(224)의 일부분 및 제2돌출부(224)의 전방을 둘러싸는 제1바디(200)의 타측면 일부분이 제1방향(1)을 향해 제1홈(11)이 함몰된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슬라이딩부(320)는 제2바디(300)의 일단 타측면에 삽입되고, 개구부(25)를 제외한 테두리의 일부가 제1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된 제2슬라이딩홈(22)이 형성된다.
제2돌출부(324)는 제1돌출부(322)의 상부 일부분을 제외한 제1방향(1)쪽 타측면 테두리 일부분이 제1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돌출부(324)가 제2바디(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돌출부(324)의 타측면은 제2바디(300)의 타측면과 단차없는 평면을 형성한다.
슬라이딩부(320)의 상부에 해당하는 제2바디(300)의 타측면 상부 일부분은 제2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제1홈(21)이 형성되고, 제1홈(21)에 해당하는 제2바디(300)의 내측면은 제2바디(300)에 삽입된 슬라이딩부(320)의 제1돌출부(322)의 타측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서로 연결된다.
제1삽입홈(23)은 제1슬라이딩홈(22)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2바디(300)의 후방 끝단에 위치한 상부 내측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2삽입홈(24)은 제1삽입홈(23)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2바디(300)의 상부 내측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다.
개구부(25)는 제1슬라이딩홈(22)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2돌출부(324)의 일부분 및 제2돌출부(224)의 전방을 둘러싸는 제2바디(300)의 타측면 일부분이 제2방향(2)을 향해 제1홈(21)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슬라이딩홈(12, 22)들은 서로 연결되어 제1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공간은 제1홈(11, 21)들 각각의 연결을 통해 형성된 상부공간을 통해 외부에 개방된다.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개구부(15, 25)들 각각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공간은 개구부(15, 25)들을 통해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 각각의 타단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과 연결된다.
제3바디(400)는 이동유닛(410), 세정바(420), 버튼(430), 스토퍼(440) 및 가압유닛(450)들을 포함한다.
제3바디(400)의 일단은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 사이에서 슬라이딩부(220, 320)들 각각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및 제2 칫솔모(210, 310)들 각각의 사이까지 연장된다.
제3바디(400)의 타단은 제1 및 제2 칫솔모(210, 310)들이 사용자의 구강안에서 치아의 외측 및 내측을 세척하는 동안, 치아의 상부홈에 삽입되어 치아의 상부홈에 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 각각을 사용하여 치아를 세정하는 동안 조작을 통해 제3바디(400)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시켜 치아의 홈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유닛(410)은 제1돌출부(222, 322)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전방 상부 및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 중앙 일부분은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제1슬라이딩홈(12, 22)들 각각에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세정바(420)의 일단은 이동유닛(410)의 전방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바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이동유닛(41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에 의해 세정바(420)의 타단은 제1 및 제2 칫솔모(210, 310)들의 사이에 삽입되거나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세정바(420)의 타단 상부 및 하부에는 실리콘 재질의 돌출부가 부착되어 아랫쪽 치아의 상부면을 세정하거나, 윗쪽 치아의 하부면을 세정하기 위해 보조 세정 도구로 사용된다.
버튼(430)은 상기 제1공간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 각각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전방 하부에 해당하는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공간에서 이동유닛(4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버튼(430)의 상부는 상부를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되어 경사면이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단면이 아치 형태인 주름들이 전후방에 서로 균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스토퍼(440)의 일단은 이동유닛(410)의 후방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양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 끝단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가압유닛(450)의 일단은 스토퍼(44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버튼(430)의 후방 저면에 결합되며, 버튼(430)의 후방이 버튼(430)의 전방 하부에 해당하는 일부분의 절곡을 통해 하강하면, 스토퍼(440)의 타단이 절곡되면서 하강한다.
도 4은 도 1의 제1바디의 측면도 및 칫솔을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칫솔을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의 사이에서 이동유닛(410)의 양측 날개들 각각은 제1슬라이딩홈(12, 22)들 각각에 삽입되고, 이동유닛(410)의 양측 날개의 상하부에 해당하는 양측면들은 제1돌출부(222, 322)들 각각과 밀착된다.
스토퍼(440)의 양측 일부분은 제1슬라이딩홈(12, 22)들 각각에 삽입되어 이동유닛(410)과 함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스토퍼(440)의 타단 끝단 일부분은 제1 삽입홈(13, 23) 및 제2 삽입홈(14, 24)들 각각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되어 제1 삽입홈(13, 23) 또는 제2 삽입홈(14, 24)들에 삽입이 가능하다.
스토퍼(440)가 제1슬라이딩홈(12, 22)들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토퍼(440)의 타단 끝단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탄성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삽입홈(13, 23) 또는 제2 삽입홈(14, 24)들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부를 향해 탄성 이동하여 제1 삽입홈(13, 23) 또는 제2 삽입홈(14, 24)들에 삽입된다.
스토퍼(440)의 타단 끝단 일부분이 제2 삽입홈(14, 24)들에 삽입되면, 세정바(420)의 타단은 제1 및 제2 칫솔모(210, 310)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세정바(420)의 슬라이딩 이동은 제한된다.
반대로, 세정바(420)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스토퍼(440)의 타단 끝단 일부분이 제1 삽입홈(13, 23)들에 삽입되고, 세정바(420)의 이동이 제한된다.
스토퍼(440)의 타단 끝단 일부분이 제1 삽입홈(13, 23)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버튼(430)의 후방 상부를 하부를 향해 누르면, 제1 및 제2 바디(200, 300)들 사이에 형성된 제1공간(6)에 배치되는 가압유닛(450)이 하강하고, 스토퍼(440)의 타단이 하강하면서, 스토퍼(440)의 타단 일부분이 제1삽입홈(13, 23)들에서 분리된다.
버튼(430)에 의해 스토퍼(440)의 타단 일부분이 제1삽입홈(13, 23)들에서 분리되면, 이동유닛(410)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동유닛(410)이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스토퍼(440)의 타단 일부분이 탄성 회복을 통해 제2 삽입홈(14, 24)들에 삽입되고, 세정바(420)의 타단은 제1 및 제2 칫솔모(210, 310)들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토퍼(440)의 타단이 제2 삽입홈(14, 24)들에 삽입되어 세정바(420)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이빨홈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세정바(420)의 타단에는 이빨홈을 세정하기 위한 솔, 세정필름 또는 세정패드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세정바(420)의 소재는 이빨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이빨보다 경도가 낮은 고분자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 및 모식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칫솔(120)은 제1 및 제2 바디(610, 64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칫솔(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칫솔(120)은 제1 바디(610) 및 제2 바디(640)들을 포함한다.
칫솔(120)은 칫솔모들이 배치되는 전방 일부분이 칫솔(120)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립편의성이 높고 오염 및 마모가 발생하는 부분을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1바디(610)는 제1손잡이부(612) 및 제1칫솔모부(614)들을 포함하고, 제2 바디(640)는 제2손잡이부(642) 및 제2칫솔모부(644)들을 포함한다.
제1바디(6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된 형태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칫솔(120)의 일측에 해당하는 제1방향(1)쪽에 위치한 제1바디(610)의 일단 일측면은 아치 형태로 일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바디(610)의 타단은 일단의 일측면에 인접한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되며, 타단의 외측면은 일단의 외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된다.
제2 바디(640)는 제1바디(6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마주한 상태에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칫솔(120) 형태로 조립된다.
제2 바디(64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된 형태로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바디(640)의 일단의 일측면은 아치 형태로 칫솔(120)의 타측에 해당하는 제2방향(2)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2 바디(640)의 타단은 일단의 일측면에 인접한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되며, 타단의 외측면은 일단의 외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된다.
제1 및 제2 바디(610, 620)들 각각의 타단 사이에는 제1 및 제2 바디(610, 620)들 각각의 타단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1손잡이부(612)는 칫솔(120)의 후방에 해당하는 일단에서 중앙부까지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에서 중앙부 사이에 해당하는 제1방향(1)쪽 외측면은 제1방향(1)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되어 손바닥으로 파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제1손잡이부(612)의 타단은 중앙부의 제1방향(1)쪽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1칫솔모부(614)와 걸림턱 결합 방식으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손잡이부(612)의 타단에는 전방을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616)가 형성되고, 제1돌출부(616)의 제2방향(2)쪽 전방에는 제2방향(2)을 향해 돌출된 제1걸림턱(618)이 형성된다.
제1걸림턱(618)은 제1돌출부(616)에서 제2방향(2) 및 후방을 향해 축소 연장되어 전방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제1칫솔모부(614)의 후방에 삽입되어 제1칫솔모부(614)에 걸림턱 결합된다.
제1칫솔모부(614)의 일단에는 제1 돌출부(616) 및 제1 걸림턱(618)이 삽입 및 결합되는 걸림홈(615)이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의 제2 방향(2)쪽에는 칫솔모들이 형성된다.
걸림홈(615)의 안쪽에서 제1걸림턱(618)이 삽입되는 제2 방향(2)쪽 일부분은 외부에 개방되어, 제1걸림턱(618)이 걸림홈(615)에 삽입되면, 제1걸림턱(618)의 끝단은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는 제1걸림턱(618)의 끝단을 눌러서 제1칫솔모부(614)를 제1손잡이부(612)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제2손잡이부(642)는 칫솔(120)의 후방에 해당하는 일단에서 중앙부까지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에서 중앙부 사이에 해당하는 제2방향(2)쪽 외측면은 제2방향(2)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되어 손바닥으로 파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제2손잡이부(642)의 타단은 중앙부의 제2방향(2)쪽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2칫솔모부(644)와 걸림턱 결합 방식으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손잡이부(642)의 타단에는 전방을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제1돌출부(646)가 형성되고, 제1돌출부(646)의 제1방향(1)쪽 전방에는 제1방향(1)을 향해 돌출된 제1걸림턱(648)이 형성된다.
제1걸림턱(648)은 제1돌출부(646)에서 제1방향(1) 및 후방을 향해 축소 연장되어 전방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제2칫솔모부(644)의 후방에 삽입되어 제2칫솔모부(644)에 걸림턱 결합된다.
제2칫솔모부(644)의 일단에는 제2 돌출부(646) 및 제2 걸림턱(648)이 삽입 및 결합되는 걸림홈(645)이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의 제1 방향(1)쪽에는 칫솔모들이 형성된다.
걸림홈(645)의 안쪽에서 제2걸림턱(648)이 삽입되는 제1 방향(1)쪽 일부분은 외부에 개방되어, 제2걸림턱(648)이 걸림홈(645)에 삽입되면, 제2걸림턱(648)의 끝단은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는 제2걸림턱(648)의 끝단을 눌러서 제2칫솔모부(644)를 제2손잡이부(642)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칫솔(140)은 연결부(500), 제어부(510), 제1발열부(520), 제2발열부(530), 케이스(540), 발광부(550),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칫솔(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140)은 연결부(500, 502), 제어부(510, 512), 제1 발열부(520), 제2발열부(530), 케이스(540), 발광부(550),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을 포함한다.
제1바디(66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된 형태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칫솔(140)의 일측에 해당하는 제1방향(1)쪽에 위치한 제1바디(660)의 일단 일측면은 아치 형태로 제1방향(1)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2)을 향해 함몰되고, 제1바디(660)의 타단은 일단의 일측면에 인접한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되며, 타단의 외측면은 일단의 외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된다.
제2 바디(680)는 제1바디(66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마주한 상태에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칫솔(140) 형태로 조립된다.
제2 바디(68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된 형태로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바디(680)의 일단의 일측면은 아치 형태로 제1방향(1)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제2 바디(680)의 타단은 일단의 일측면에 인접한 일부분이 제2방향(2)을 향해 절곡된 아치형태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의 외측면은 일단의 외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된다.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 각각의 타단 사이에는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 각각의 타단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연결부(500, 502)들 각각은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 각각의 일단에 연결포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 전력을 제공하는 단자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수납부(500)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력과 연결되고, 내부공간 하부에 연결부(500, 502)들 각각과 연결이 가능한 단자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칫솔(140)의 후방부가 수납부(500)에 수납되면 상기 단자들은 연결부(500, 502)들 각각과 연결되어 칫솔(14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510, 512)들 각각은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 각각의 일단 내부에서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 각각의 타단에 인접하도록 내장되고,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 각각의 내부에 내장된 와이어들을 통해 연결부(500, 502)들 각각과 연결된다.
제1 및 제2 발열부(520, 530)들 각각은 제1 및 제2 칫솔모(662, 682)들이 각각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 각각의 타단 끝단 내부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발열부(520, 530)들 각각은 제어부(510, 512)들 각각과 전도성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제1 및 제2 바디(660, 680)들 각각의 타단 내부에 내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칫솔(14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 발열부(520, 530)들을 통해 제1 및 제2 칫솔모(662, 682)들 각각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칫솔(140) 사용전에 온도가 상승한 제1 및 제2 칫솔모(662, 682)들을 통해 잇몸마사지가 가능하여 잇몸마사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케이스(54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통해 칫솔(140)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며, 내부에는 외부전원과 연결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된다.
발광부(550)는 케이스(540)의 내부공간에 형성되고, 칫솔(140)이 케이스(54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면, 제1바디(660) 및 제2 바디(680)들 각각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켜 제1 및 제2 칫솔모(662, 682)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발광부(550)는 케이스(540)의 커버가 케이스(540)의 내부공간을 커버하면 자동으로 발광하여 제1 및 제2 칫솔모(662, 682)들을 살균한다.
구체적으로, 발광부(550)의 일단은 케이스(540)의 내부공간에서 케이스(540)의 전방쪽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발광소자들이 형성되며,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타단 일측 및 타측에는 발광소자들이 형성된다.
발광부(550)의 일단 저면은 케이스(540)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케이스(540)의 바닥면에 직사각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일단의 일측 및 타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칫솔(140)이 케이스(540)에 수납되면, 제1바디(660) 및 제2바디(680)의 타단 은 발광부(550)의 일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벌어지고, 제1 및 제2 칫솔모(662, 682)들 역시 서로 분리되면서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각각 이동한다.
발광부(550)의 일단의 높이는 칫솔(140)의 저면이 케이스(540)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3바디(400) 및 상기 바닥면의 사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사용자는 제3바디(400)의 타단을 발광부(550)의 일단 상부에 위치시켜 제3바디(400)의 타단을 살균할 수 있다.
발광부(550)의 타단은 벌어진 제1 및 제2 칫솔모(662, 682)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발광부(550)의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방향(1, 2)들쪽에 각각 발광소자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가 칫솔(140)을 케이스(540)에 수납하면, 제1 및 제2 칫솔모(662, 682)들은 자동으로 벌어지고, 케이스(540)의 커버를 닫으면, 자동으로 발광부(550)의 발광소자들이 자외선 발광하여 제1 및 제2 칫솔모(662, 682)들과 제3바디(400)를 살균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칫솔(160)은 제1바디(610)의 제1칫솔모부(619), 제2바디(640)의 제2칫솔모부(649), 제3바디(700)의 세정바(710) 및 측면돌출부(720, 730)들, 치간칫솔(800)을 제외하면, 도 6의 칫솔(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160)은 제1바디(610), 제2바디(640), 제3바디(700) 및 치간칫솔(800)들을 포함한다.
제1바디(610)는 제1손잡이부(612) 및 제1칫솔모부(619)들을 포함하고, 제2바디(640)는 제2손잡이부(642) 및 제2칫솔모부(649)들을 포함한다.
제1칫솔모부(619)의 일단은 제1손잡이부(612)의 타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을 향해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절곡되며 다시 전방을 향해 절곡되면서 연장된다.
제1칫솔모부(619)의 일단 내부에는 제1돌출부(616) 및 제1걸림턱(618)들이 삽입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제1걸림턱(618)이 삽입되는 상기 제1걸림홈의 일부는 제2방향(2)쪽 외부공간과 연결되며, 제1칫솔모부(619)의 타단 제2방향(2)쪽에는 복수의 칫솔모들이 형성된다.
제2칫솔모부(649)의 일단은 제2손잡이부(642)의 타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을 향해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절곡되며 다시 전방을 향해 절곡되면서 연장된다.
제2칫솔모부(649)의 일단 내부에는 제2돌출부(646) 및 제2걸림턱(648)들이 삽입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고, 제2걸림턱(648)이 삽입되는 상기 제2걸림홈의 일부는 제1방향(1)쪽 외부공간과 연결되며, 제2칫솔모부(649)의 타단 제1방향(1)쪽에는 복수의 칫솔모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칫솔(160)을 통해 칫솔(160)의 후방에 위치한 손잡이를 과도하게 상부를 향해 들어올릴 필요없이 편리하게 치아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세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칫솔모들이 치아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밀착이 가능하여,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치아를 세척할 수 있고, 상하로 칫솔질을 하는 동안 제1 또는 제2 손잡이부(612, 642)들과 치아의 충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제3바디(700)는 세정바(710) 및 측면돌출부(720, 730)들을 포함한다.
세정바(710)의 일단은 이동유닛(410)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 및 하부를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이동유닛(410)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세정바(710)의 타단은 상기 칫솔모들 사이에 배치된다.
측면돌출부(720, 730)들 각각의 일단은 세정바(71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및 제2 방향(1, 2)들 각각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 끝단은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된다.
세정바(710)의 타단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스토퍼(440)의 타단 끝단이 제1홈(11, 12)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612) 및 제2 손잡이부(642)들 각각의 타단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면, 측면돌출부(720, 730)들 각각의 타단 끝단이 외부에 노출된 제1걸림턱(618) 및 제2 걸림턱(648)들 각각을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각각 밀어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정바(710)가 전방에 연장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손잡이부(612, 642)들 각각을 세정바(710)를 향해 눌러 편리하게 제1칫솔모부(619) 및 제2칫솔모부(649)들 각각을 제1손잡이부(612) 및 제2 손잡이부(642)들 각각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치간칫솔(800)의 일단은 제1 칫솔모부(619) 또는 제2 칫솔모부(649)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 상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또는 제1 방향(2, 1)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칫솔모부(619, 649)들 각각을 통해 치아를 세척한 후 칫솔(160)을 180도 회전시켜 치간칫솔(800)을 사용할 수 있고, 제1바디(610) 및 제2 바디(640)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치아의 삽입이 가능하여 칫솔(160)에 의한 치아의 충돌염려없이 치간 세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치간칫솔(800)이 아랫쪽 치아들 사이에 삽입되기전에 해당 사용자는 윗쪽 치아들로 제1 및 제2 바디(610, 640)들을 눌러 용이하게 치간칫솔(800)을 아랫쪽 치아들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160: 칫솔 200, 610, 660: 제1바디
300, 640, 680: 제2바디 400: 제3바디

Claims (8)

  1. 일단에는 바 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부분들이 서로 분리되면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칫솔모들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 끝단에 제1칫솔모가 형성되는 제1바디; 및
    후방은 상기 제1바디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제1칫솔모와 마주하는 제2칫솔모가 형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바디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칫솔모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3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칫솔모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은,
    전방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전방 끝단이 상기 제1 및 제2 칫솔모들 각각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들 각각과 결합되는 타단 내부에 발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부를 향해 내부공간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칫솔의 일단과 연결되어 전력을 상기 발열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90111945A 2019-09-10 2019-09-10 칫솔 KR10226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45A KR102266600B1 (ko) 2019-09-10 2019-09-10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45A KR102266600B1 (ko) 2019-09-10 2019-09-10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615A true KR20210030615A (ko) 2021-03-18
KR102266600B1 KR102266600B1 (ko) 2021-06-18

Family

ID=7523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945A KR102266600B1 (ko) 2019-09-10 2019-09-10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6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829A (ja) * 1993-01-25 1994-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歯ブラシ
JP2004275683A (ja) * 2003-03-13 2004-10-07 Masahiko Kurano 不良化の原因となっている研磨面外周部の毛先部の変形特性を有効利用した歯ブラシ
KR200484576Y1 (ko) * 2017-01-03 2017-09-27 이영종 칫솔
US20180242727A1 (en) * 2017-02-24 2018-08-30 Gil Ofek Double headed toothbrush with flo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829A (ja) * 1993-01-25 1994-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歯ブラシ
JP2004275683A (ja) * 2003-03-13 2004-10-07 Masahiko Kurano 不良化の原因となっている研磨面外周部の毛先部の変形特性を有効利用した歯ブラシ
KR200484576Y1 (ko) * 2017-01-03 2017-09-27 이영종 칫솔
US20180242727A1 (en) * 2017-02-24 2018-08-30 Gil Ofek Double headed toothbrush with f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600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412B1 (ko) 양면칫솔
EP3073862B1 (en) Toothbrush
KR102266600B1 (ko) 칫솔
US9936795B2 (en) Toothbrush
GB2598713A (en) Toothbrush structure capable of expanding cleaning depth
CN208002914U (zh) 一种声波牙刷
JP6744649B1 (ja) 歯磨き用具
KR101069965B1 (ko) 회전 칫솔
KR200393316Y1 (ko) 칫솔
KR20130006411A (ko) 치간 칫솔을 포함하는 칫솔
KR102182096B1 (ko) 구강관리장치
KR102069335B1 (ko) 칫솔
CN218390179U (zh) 一种3d儿童牙刷
KR20140109055A (ko) 청결력 향상을 위한 치솔
CN215076161U (zh) 一种牙刷刷头及具有该牙刷刷头的电动牙刷
KR101356341B1 (ko) 휴대용 치간칫솔
CN211882700U (zh) 一种牙刷牙膏一体式便携正畸牙具
KR102553640B1 (ko) 근적외광 구강케어장치
CN210248896U (zh) 一种改良型牙刷
CN207590250U (zh) 一种新型牙刷
TWI516227B (zh) 活動式多功能牙刷
KR200210913Y1 (ko) 이중 치솔모세트를 갖는 치아용 브러시
KR200245173Y1 (ko) 칫솔
KR200407515Y1 (ko) 구석 구석이 잘 닦이는 기능성 치솔
CN102578799A (zh) 8字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