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604A - 스마트 도어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604A
KR20210030604A KR1020190111918A KR20190111918A KR20210030604A KR 20210030604 A KR20210030604 A KR 20210030604A KR 1020190111918 A KR1020190111918 A KR 1020190111918A KR 20190111918 A KR20190111918 A KR 20190111918A KR 20210030604 A KR20210030604 A KR 20210030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b
closing
open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동묵
Original Assignee
김영수
김동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김동묵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9011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0604A/ko
Publication of KR2021003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에 관한 것으로,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 및 상기 서브 도어 개폐 부동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SMART DOOR}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 도어를 포함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을 강화한 스마트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가 사용자에 의하여 강제로 열린 후 도어의 닫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도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 도어는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의 형태로 작동되는 것으로, 병원 등과 같이 환자들의 왕래가 많은 곳 또는 창고나 물품보관소 등과 같이 화물의 출입이 빈번한 출입구에 설치하여 환자나 물품을 운반하는 사람들의 왕래에 있어 편의를 도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옆으로 열리는 미닫이식(슬라이딩식) 자동 도어의 경우, 기존에 설치된 도어를 해체한 후 새로 설치해야 하고, 설치를 위해 많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어 사용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이에 반해, 앞뒤로 열리는 여닫이식(스윙식) 자동 도어는 기존의 수동문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설치를 위해 추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미닫이식 자동 도어에 비해 활용도가 훨씬 높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 도어는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열린 후 도어 클로저의 동작에 의해 닫히는 반자동 방식으로서 일반적인 단순 도어 개폐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출입문 도어 패널의 일정 부위에 서브 도어가 설치됨으로써, 택배 배달원 등이 택배 등의 물품을 자동 개방된 서브 도어를 통해서 출입문 내측의 실내 현관 공간 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구현된 케이스(혹은 이와 반대로 댁 내 거주자가 출입문 밖의 물품 수령자가 해당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그 서브 도어를 통해서 해당 물품을 실외 현관 공간 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구현된 케이스)에 맞춘 기술 및 보안 프로세스가 구체적으로 구축되고 있지 않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490583호 (2015년 1월 30일 등록)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는 자동 개폐 구동이 가능한 서브 도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인증 또는 도어 관리 운영 장치의 제어에 의해 자동 동작이 가능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는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물품을 해당 출입문의 내측 실내 공간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여 물품 분실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출입문 내의 물품 수령자가 해당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는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 및 상기 서브 도어 개폐 부동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는 동력을 인가하는 모터부; 상기 서브 도어의 양단에 고정되는 부싱부; 및 상기 서브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를 위하여 상기 서브 도어에 상기 모터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제어부는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감지 또는 인증을 처리하는 센서 및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의 사용자 감지 또는 인증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는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 받는 지문 센서;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PIR 센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로부터 인증 번호를 입력 받는 터치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패널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자동도어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의 사용자 감지 또는 인증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의 도어락부의 자동 개폐를 제어하거나,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락부의 자동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는 자동 개폐 구동이 가능한 서브 도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인증 또는 도어 관리 운영 장치의 제어에 의해 자동 동작이 가능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는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물품을 해당 출입문의 내측 실내 공간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품 분실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출입문 내의 물품 수령자가 해당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외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외측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내측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도어의 개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외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외측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내측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는 도어 패널(110) 및 서브 도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브 도어(120)는 도어 패널(110)의 일측에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서브 도어(120)는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열고 받는 미닫이 방식의 문 또는 앞뒤 방향으로 열고 다는 여닫이 방식의 문으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개폐 방식적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타입의 서브 도어가 활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는 도어 패널(110), 서브 도어(120), 센서 및 인증 처리부(130), 도어 제어부(140) 및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 도어(120)는 도어 패널(110)의 일측에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150)는 상기 서브 도어(12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 제어부(140)는 상기 서브 도어 개폐 부동부(15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12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110)에는 센서 및 인증 처리부(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130)는 카메라(131, 136), 터치 디스플레이(132, 137), 터치 키패드(133), 지문 센서(134), PIR 센서(135), 마이크,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31, 136)는 사용자를 촬영하고, 터치 디스플레이(132, 137)는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 받으며, 터치 키패드(133)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번호를 입력 받고, 지문 센서(134)는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 받으며, PIR 센서(135)는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고,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으며, 스피커는 사용자에게 음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및 인증 처리부(130)는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감지 또는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130)의 사용자 감지 또는 인증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도어(120)의 자동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제어부(140)는 별도의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브 도어(120)의 자동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130)는 각각 출입문(Entrance door)의 외측 패널(outdoor panel)과 내측 패널(indoor panel)의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예시되고 있지만, 그 설치 위치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각각의 센서는 반드시 출입문 자체에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된 장비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센서와 인증 수단은 각각 1개씩 구비되거나, 실외와 실내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모두 동종의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이종의 센서의 조합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13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을 더 포함하거나, 영상 촬영을 통한 사람의 움직임 감지를 위한 영상 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물건을 전달하는 주체는 사람인 바, 물건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이므로, 도플러 효과에 의해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도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도어(120)의 자동 개방 동작 또는 자동 폐쇄 동작이 일어남을 인지시키기 위한 경보 또는 알람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자에 의해 인지 가능한 한도 내에서, 음성 문구 안내(예, 서브 도어 이용 안내 케이스라고 한다면 "출입문 하단 서브 도어가 자동 개방됩니다. 하단 서브 도어를 통해서 물건을 밀어 넣어 주십시오" 등), 사운드 출력 안내(예,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 과정에서의 서브 도어와의 충돌 예방 케이스라고 한다면, 경보 사운드 출력 등)과 같은 청각적 경보/알람, 라이팅 경보 점멸 등의 기타 시각적 경보/알람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경보/알람이 활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도어의 개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도어의 개폐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도어(120)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150)는 모터부(151), 부싱부(152), 동력 전달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터부(151)는 동력을 인가하고, 부싱부(152)는 상기 서브 도어(120)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서브 도어(120)가 슬라이딩(sliding) 개폐 되도록 한다.
동력 전달부(153)는 상기 모터부(151)의 동력을 상기 서브 도어(120)로 전달하여 상기 서브 도어(12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 되도록 한다.
아울러, 고정부(154)는 상기 모터부(151)가 고정될 뿐만 아니라, 서브 도어(120) 양측의 부싱부(152)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부(152)는 볼 부싱(Ball bushing)으로 구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부싱(Linear bushing)으로 구성되어 서브 도어(120)의 자연스러운 상하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는 센서 및 인증 처리부(130)의 사용자 감지 또는 인증 신호에 따라 도어 패널(120)과 도어락부(121)의 자동 개폐되거나, 별도의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서브 도어(120)의 자동 개폐 동작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출입문 도어 패널(110)에 설치된 서브 도어(120)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도어(120)는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한 자동 개폐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인증 과정을 통해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필요한 경우, 서브 도어의 잠금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 후, 사용자(혹은 배송자)가 서브 도어(120)를 수동으로 직접 열어 물건을 개방 공간을 통해서 밀어 넣은 후, 그 서브 도어(120)를 통한 물건 전달이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다시금 서브 도어(120)의 잠금 상태를 잠금 설정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110)의 회전축에 자동도어 모터부(1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도어 모터부(160)는 도어의 자동 개폐, 수동 개폐 또는 자동과 수동 결합 방식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 도어 모터부(160)는 도어 패널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 박스와, 상기 기어 박스에 결합되는 클러치와, 도어 패널의 닫힘을 조절하는 도어 클로저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도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도어 패널의 자동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제어부(140)는 센서 및 인증 처리부(130)의 사용자 감지 또는 인증 신호에 따라 도어 패널(120)과 도어락부(121)의 자동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 패널(120)과 도어락부(121)의 자동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150)는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잠금 설정 제어 신호 및 잠금 해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서브 도어(120)의 개폐 동작에 관한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개방 구동 제어 신호 및 폐쇄 구동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 및
    상기 서브 도어 개폐 부동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 개폐 구동부는,
    동력을 인가하는 모터부;
    상기 서브 도어의 양단에 고정되는 부싱부; 및
    상기 서브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를 위하여 상기 서브 도어에 상기 모터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제어부는,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지 또는 인증을 처리하는 센서 및 인증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의 사용자 감지 또는 인증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는,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 받는 지문 센서;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PIR 센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로부터 인증 번호를 입력 받는 터치 키패드;
    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자동도어 모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센서 및 인증 처리부의 사용자 감지 또는 인증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의 도어락부의 자동 개폐를 제어하거나,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락부의 자동 개폐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
KR1020190111918A 2019-09-10 2019-09-10 스마트 도어 KR20210030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18A KR20210030604A (ko) 2019-09-10 2019-09-10 스마트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18A KR20210030604A (ko) 2019-09-10 2019-09-10 스마트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604A true KR20210030604A (ko) 2021-03-18

Family

ID=7523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918A KR20210030604A (ko) 2019-09-10 2019-09-10 스마트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06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2566A (zh) * 2023-07-20 2023-08-18 辽宁省智果数字科技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子母进户门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583B1 (ko) 2013-03-06 2015-02-05 주식회사 스마트시스템즈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583B1 (ko) 2013-03-06 2015-02-05 주식회사 스마트시스템즈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2566A (zh) * 2023-07-20 2023-08-18 辽宁省智果数字科技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子母进户门及控制方法
CN116612566B (zh) * 2023-07-20 2023-10-24 辽宁省智果数字科技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子母进户门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2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secured area
US10913160B2 (en) Mobile robot with arm for door interactions
US20210000276A1 (en) Receptacle for receiving and securing packages and other items
US11724399B2 (en) Mobile robot with arm for elevator interactions
US11325250B2 (en) Robot with rotatable arm
US10906185B2 (en) Mobile robot with arm for access point security checks
US20220234194A1 (en) Robot with rotatable arm
KR20210030604A (ko) 스마트 도어
KR101091559B1 (ko) 집합건물용 우편함 시스템
KR20120057779A (ko) 디지털 사물함을 장착한 서랍장
JP7011463B2 (ja) 異物検知システムと方法
KR101605141B1 (ko) 차량 출입용 자동 보안 게이트 장치
KR20070106282A (ko)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KR102291323B1 (ko)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4745849B2 (ja) 入退館管理システム
EP3604720A2 (en) Motorised closure system and method
JP2010195537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内監視装置
US11708716B2 (en) Security door
KR102291211B1 (ko)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JP2022187159A (ja) 自動ドア、自動ドアの画像制御装置
KR102349413B1 (ko)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JP2005155283A (ja) 自動ドアシステム
KR20210030603A (ko) 도어 구동 장치
KR200487428Y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제어 도어 시스템
TWI742664B (zh) 異物檢測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