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086A - 두피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두피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086A
KR20210030086A KR1020190111591A KR20190111591A KR20210030086A KR 20210030086 A KR20210030086 A KR 20210030086A KR 1020190111591 A KR1020190111591 A KR 1020190111591A KR 20190111591 A KR20190111591 A KR 20190111591A KR 20210030086 A KR20210030086 A KR 20210030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helmet
focusing
light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662B1 (ko
Inventor
박창식
전웅집
신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커스
Priority to KR1020190111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6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5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radi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기개방부를 구비하여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부와, 두피 관리를 위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헬멧부에 설치되는 광조사부와,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집속가능한 집속렌즈부를 구비하여 광조사부와 적층되게 배치되고, 머리와 접하는 광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피 관리장치{SCALP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두피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 관리 및 탈모 치료를 위한 두피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라는 3단계의 모주기를 거쳐 성장, 탈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40~50대 이상의 중년층 또는 노년층 외에도 20대나 30대의 청소년 또는 사회 초년층에게서도 탈모 증세가 심화되고 있으며, 나이가 어릴수록 사회 활동에의 수치심 등으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탈모가 진행 중이거나 아니면 두피가 약해서 탈모 우려가 예상되는 사람들이 양한방의 피부과를 비롯하여 전용 탈모 치료샵이나 미용실 등에서 탈모 치료 관리를 받고 있다. 탈모 치료를 위해 양한방의 피부과, 탈모 전용 치료샵, 미용실 등에서는 별도의 레이저 조사기를 갖추어, 레이저를 두피에 조사하거나 아니면 미세 생체전류를 두피에 공급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피 관리 방법은 피부과, 탈모 전용 치료샵, 미용실 등의 일정한 규모를 갖춘 업소에서 시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탈모 치료를 위한 두피 관리를 받기는 쉽지 않다. 또한, 탈모 치료를 위한 두피 관리는 일정 시간 간격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또한 장기간 시행되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피부과, 전용 탈모 치료샵, 미용실 등에서 두피 관리를 받기 위한 시간을 별도로 내기가 어려워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관리를 받기가 쉽지 않고, 무엇보다도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므로 금전적 부담으로 인해 탈모 치료를 장시간 지속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546080호(2006.01.18 등록, 발명의 명칭: 레이저와 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탈모치료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정, 직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소에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두피 관리 및 탈모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헤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는, 통기개방부를 구비하여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부; 두피 관리를 위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헬멧부에 설치되는 광조사부; 및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집속가능한 집속렌즈부를 구비하여 상기 광조사부와 적층되게 배치되고, 머리와 접하는 광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헬멧부는, 상기 통기개방부가 형성되는 제1커버부와, 상기 제1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통기개방부와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통기개방부를 커버하는 제2커버부가 구비되는 헬멧본체부; 복수개의 통기홀을 구비하여 상기 통기개방부에 설치되는 매쉬커버부; 및 상기 헬멧본체부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되고, 머리와 접하며, 상기 제1커버부, 상기 매쉬커버부와의 사이에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광집속부를 설치가능한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는 헬멧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통기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커버부의 전방부와 연결되며,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커버부와의 이격간격이 확장된다.
상기 광조사부는, 복수개의 상기 광원이 탑재되고, 상기 광집속부와 접하는 기판부; 및 쿠션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기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부에 작용하는 착용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쿠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광집속부를 적층되게 결속하고, 상기 헬멧부에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헬멧부의 상부에서 방사형으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광집속부와 상기 광조사부가 장착되는 설치공간부를 복수개로 구획하는 하부프레임부; 및 상기 광집속부와 상기 광조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프레임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상부프레임본체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쿠션부와 접하며, 착용압력이 작용되는 상기 쿠션부를 지지하는 쿠션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집속부는, 상기 광조사부와 접하고, 상기 집속렌즈부가 형성되는 기판안착부; 상기 기판안착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유동방지턱부; 및 상기 기판안착부 중 상기 집속렌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원이 수용되는 광원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속렌즈부는, 상기 집속렌즈부로 진입된 빛의 경로가 전반사에 의해 단부측으로 유도, 집속되게 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헬멧부에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스위치; 상기 헬멧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착용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착용감지스위치; 및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작동 시 상기 광원이 점등되지 않는 대기모드를 운용하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착용감지스위치의 온작동 시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워킹모드를 운용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는, 사용자가 헬멧부를 머리에 안착, 착용한 상태에서 가정, 직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소에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두피 관리 및 탈모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의 광조사부, 광집속부, 프레임부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의 광조사부와 광집속부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거치대에 거치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거치대에서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는 헬멧부(10), 광조사부(20), 광집속부(30), 프레임부(40), 광조사제어장치(50)를 포함한다.
헬멧부(10)는 머리를 감싸도록 착용가능한 헬멧 형상을 가진다. 헬멧부(10) 상에는 통기개방부(13)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원(22)의 점등으로 인해 과열된 헬멧부(10) 내측의 공기는 통개개방부(13)를 통해 헬멧부(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조사부(20)의 냉각 작용을 구현함과 동시에, 머리에 열이 전달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느끼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광조사부(20)는 두피 관리 및 탈모 치료에 도움이 되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장치부로, 헬멧부(10) 중 사용자의 머리와 마주하는 오목한 내측부에 설치된다. 광조사부(20)에는 두피 관리 및 탈모 치료를 위한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개의 광원(22)이 구비된다.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원(22)에서 발산된 광은 광집속부(30)를 거쳐 머리로 조사되고, 광원(22)의 파장 영역에 따라 두피 조직의 활성화, 청결, 발모 촉진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광집속부(30)는 광원(22)에서 발산되는 빛을 집속가능한 집속렌즈부(34)를 구비하여 광조사부(20)와 적층되게 배치되다. 광집속부(30) 중 집속렌즈부(34)는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돌출된 단부가 사용자의 머리와 접한다. 집속렌즈부(34)는 복수개의 광원(22)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집속렌즈부(34)로 진입된 빛은 집속렌즈부(34)의 단부를 향하게 그 진행방향이 전환되고, 광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된 상태로 두피에 도달된다. 이에 따라, 광원(22)에서 발산된 빛이 임의의 방향으로 발산, 진행되는 과정에서, 두피 관리장치의 다른 구성품이나, 머리카락, 공기나 이물질 등과 간섭되어 광에너지가 저감, 손실되거나, 파장의 가변되며 두피 관리 및 탈모 치료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40)는 광조사부(20)와 광집속부(30)를 적층되게 결속하는 장치부로,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광조사부(20)와 광집속부(30) 모두를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이루게 상호 결속가능한 반구형 갈빗살 구조를 가진다. 프레임부(40)는 이와 같이 복수개의 광조사부(20)와 광집속부(30)를 상호 결속한 상태로 헬멧부(10)에 결합된다.
광조사제어장치(50)는 광조사부(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부로, 사용자가 두피 관리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원(22)을 점등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두피 관리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만 광원(22)이 점등되게 광조사부(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두피 관리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광원(22)이 점등됨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고, 미사용 상태에서 광원(22)의 점등됨으로 인한 전기에너지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의 광조사부, 광집속부, 프레임부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의 광조사부와 광집속부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멧부(10)는 헬멧본체부(11), 매쉬커버부(15), 헬멧프레임부(17)을 포함한다.
헬멧본체부(11)는 헬멧부(1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이자,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즉 외피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머리에 대응되는 반구형 곡면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멧본체부(11)는 제1커버부(12), 통기개방부(13), 제2커버부(14)를 포함한다.
제1커버부(12)는 전두부, 정수리부, 후두부, 측두부를 커버가능한 반구형 곡면 형상을 가진다. 통기개방부(13)는 제1커버부(12)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통기개방부(13)는 전두부에서 정수리부까지 또는 전두부에서 정수리부를 거쳐 후두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통기개방부(13)는 헬멧본체부(11)의 전체 면적의 1/20~1/4에 달하는 대폭의 면적에 걸쳐 형성된다.
제2커버부(14)는 제1커버부(12)와 함께 연속된 반구형 곡면을 형성한다. 제2커버부(14)는 통기개방부(1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통기개방부(13)를 커버하게 배치된다. 제2커버부(14)의 전단부는 제1커버부(12)의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속된 곡면을 이룬다.
제2커버부(14)의 후단부는 통기개방부(13)를 상측에서 커버하며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2커버부(14)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제1커버부(12), 통기개방부(13)와의 이격간격이 점차 확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커버부(14)의 가장자리부와 통기개방부(13)의 가장자리부의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명확하게 형성된다.
통기개방부(13)를 대폭의 면적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헬멧부(10) 내부의 과열 공기의 냉각 효율과 착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와 같은 제2커버부(14)의 형상에 의해 대폭의 통기개방부(13)를 통해 매쉬커버부(15)나 내부 전장품의 노출됨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의 심미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매쉬커버부(15)는 헬멧부(10)의 내부공간부와 외부공간부를 구획하는 울타리 기능을 하는 장치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기홀(16)을 구비하여, 통기개방부(13)에 설치된다. 매쉬커버부(15)는 그물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매쉬커버부(15)의 가장자리부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통기개방부(13)의 가장자리부에 고정결합된다.
매쉬커버부(15)에 의해, 광조사부(20), 광조사제어장치(50) 등의 내부 전장품이 통기개방부(13)를 통해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이물질이나 손이 통기개방부(13)를 통해 인입됨으로 인해 내부 전장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헬멧프레임부(17)는 헬멧부(10)의 내피부 및 하부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헬멧본체부(11)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결합되고, 머리와 접한다. 헬멧프레임부(17)와 제1커버부(12), 매쉬커버부(15)와의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부(20)와 광집속부(30)를 설치가능한 설치공간부(S)가 형성된다. 광조사부(20)와 광집속부(30)를 결속하는 프레임부(40)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프레임부(17)에 조립, 결합된다.
헬멧프레임부(17) 중 사용자의 전두부와 접하는 전방부 상에는 쿠션소재의 전방쿠션부(61)가 결합된다. 헬멧프레임부(17) 중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후방부 상에는 후방밀착쿠션부(62)가 결합된다. 후방밀착쿠션부(62)는 쿠션소재를 포함함과 동시에, 판스프링 구조를가지는 금속부재를 포함하여 탄성적으로 후두부와 밀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거치대에 거치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거치대에서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에 거치 시 헬멧프레임부(17)가 거치대(70)와 접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70)는 거치본체부(71)와 안착안정돌출부(72)를 포함한다.
거치본체부(71)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가 안착되는 장치부로, 헬멧프레임부(17)의 하부 가장지리부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상단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는 거치본체부(71)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안착안정돌출부(72)는 거치본체부(71)의 상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거치대(70)와 접하는 헬멧프레임부(17)의 하단부 중 안착안정돌출부(7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안착안정홈부(18)가 상향 함몰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거치대(70)에 거치 시 안착안정홈부(18)에 안착안정돌출부(72)가 삽입되고,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가 안착안정돌출부(72)에 걸려, 임의의 외력에 의해 거치대(70)의 외부로 유동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조사부(20)는 기판부(21), 광원(22), 쿠션부(23)를 포함한다.
광조사부(20)는 프레임부(4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설치공간부(S) 각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광조사부(20)는 반구 형상으로 배치되며 광집속부(30), 프레임부(40)와 결합된다. 복수개의 광조사부(20) 각각은 기판부(21), 광원(22), 쿠션부(23)를 포함한다.
기판부(21)는 광조사부(20) 중 광집속부(30), 프레임부(40)와 접속, 결합되는 기본 골조를 제공하는 장치부로, 판상의 구조를 가진다. 기판부(21) 상에는 광원(22)의 점등과 소등, 전원 공급, 다른 구성품들과의 연계 작동 등을 위한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회로부품이 실장된다. 기판부(21)의 일측면부는 두피를 향하고, 타측면부는 헬멧본체부(11)와 마주한다. 기판부(21) 중 두피를 향하는 일측면부 상에는 복수개의 광원(22)이 탑재된다.
광원(22)은 두피 관리 및 탈모 치료를 위한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장치부로, LED를 적용할 수 있고 기판부(21)에 복수개가 종횡방향으로 탑재, 배열된다. 광원(22)은 서로 다른 파장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다양한 사양이 복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광원(22) 중 일부는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고, 다른 일부는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고, 또 다른 일부는 760nm 내지 900nm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다.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의 경우, 모낭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켜 두피 조직을 활성화함으로써 탈모 치료 효과를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의 경우, 두피 및 모낭의 청결을 유지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760nm 내지 900nm 파장의 적외선의 경우, 상기 서술한 2개의 파장 영역대를 가지는 광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쿠션부(23)는 스펀지, 고무, 스프링, 에어쿠션, 솜 등 하중에 의해 너비나 길이, 두께가 신축변형되는 쿠션소재를 포함하여 기판부(21)에 결합된다. 쿠션부(23)는 광원(22), 광원(22)에서 발산된 빛, 광집속부(30)와 간섭되지 않게, 기판부(21) 중 헬멧본체부(11)와 마주하는 타측면부 상에 결합된다.
사람의 머리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머리에 착용 시 복수개의 광집속부(30)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와 방향에서 사용자의 두피와 접하게 되고, 복수개의 광집속부(30)에 작용하는 착용압력이 기판부(21)를 통해 쿠션부(23)로 전달된다. 쿠션부(23)는 쿠션지지부(4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착용압력에 의해 유연하게 그 두께가 신축가변되는 변형을 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형상, 크기에 맞추어, 복수개의 광집속부(30)의 위치, 배열, 방향이 자연히 미세조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내피부에 해당되는 광집속부(30)가 쿠션부(23)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형상, 크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그 형상, 위가이 가변됨에 따라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위치에서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광집속부(30) 중 일부만이 두피에 밀착되고, 다른 일부는 두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빛을 이용한 두피 및 탈모 관리 효과를 두피 전반에 걸쳐 고효율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집속부(30)는 기판안착부(31), 유동방지턱부(32), 광원수용홈부(33), 집속렌즈부(34)를 포함한다.
광집속부(30)는 광조사부(2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부(4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설치공간부(S) 각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광집속부(30)는 반구 형상으로 배치되며, 광조사부(20), 프레임부(40)와 결합된다. 복수개의 광집속부(30) 각각은 기판안착부(31), 유동방지턱부(32), 광원수용홈부(33), 집속렌즈부(34)를 포함한다.
기판안착부(31)는 광집속부(30) 중 광조사부(20), 프레임부(40)와 접속, 결합되는 기본 골조를 제공하는 장치부로, 판상의 구조를 가진다. 기판안착부(31)의 일측면부는 두피를 향하고, 타측면부는 광조사부(20)와 접한다. 기판안착부(31) 중 두피를 향하는 일측면부 상에는 복수개의 집속렌즈부(34)가 형성된다.
기판안착부(31)는 광조사부(20)의 기판부(21) 하측에 적층되게 배치된다. 다른 표현으로 기판부(21)는 기판안착부(31)에 안착된다. 유동방지턱부(32)는 기판안착부(31)의 가장자리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기판부(21)의 가장자리부와 연속하여 접한다. 광조사부(20)는 유동방지턱부(32)에 걸려 광집속부(30) 외측으로의 유동, 이동이 구속된다.
광원수용홈부(33)는 광원(22)이 수용되는 장치부로, 기판안착부(31) 중 복수개의 광원(22)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광조사부(20)의 기판부(21)를 기판안착부(3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광원(22)은 복수개의 광원수용홈부(33) 각각에 삽입, 수용된다.
집속렌즈부(34)는 기판안착부(31) 중 광원(22) 및 광원수용홈부(33)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를 착용 시 두피는 복수개 집속렌즈부(34)와 접하게 된다. 복수개의 집속렌즈부(34)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두피 관리장치는 사용자의 두피 전면에 걸쳐 밀착되는 실시예와 비교해, 피부 압박감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렌즈부(34)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집속렌즈부(34)로 입사된 빛은 집속렌즈부(34)의 일측면부에 도달 시 타측면부측으로 전반사되고, 다시 일측면부측으로 전반사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집속렌즈부(34)의 단부측으로 진행이 유도된다.
일반적으로 LED는 120°의 조사각을 가진다. 광원(22)으로서 LED를 적용하는 경우, 집속렌즈부(34)의 입사단부 상에 광원수용홈부(33)가 형성됨에 따라, 광원수용홈부(33)의 내부에 배치된 광원(22)에서 발산된 빛의 전량이 집속렌즈부(34)의 내부로 자연히 입사된다. 집속렌즈부(34)의 내부로 입사된 빛은, 임의의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전반사 작용에 의해 집속렌즈부(34)의 단부측으로 유도, 집속되어 두피에 도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속렌즈부(34)는 원뿔 형상을 가지나, 이는 집속렌즈부(34)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한 것으로, 집속렌즈부(34)의 형상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집속렌즈부(34)는 광집속을 구현할 수 있다면 반구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40)는 하부프레임부(41)과 상부프레임부(42)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부(41)는 원형 내지 다각형의 중앙갈빗살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개의 분기갈빗살이 방사형으로 하향 연장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진다. 하부프레임부(41)에 의해 광집속부(30)와 광조사부(20)가 장착되는 돔 형상의 설치공간부(S)는 복수개로 구획된다. 복수개의 광집속부(30)와 광조사부(20)는 복수개의 설치공간부(S) 상에 분할, 배치된다. 광집속부(30)는 기판안착부(31)의 가장자리부가 하부프레임부(41)에 안착되고, 걸려, 하부프레임부(41) 상의 정위치에 구속된다.
상부프레임부(42)은 하부프레임부(41)에 대응되는 방사형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광집속부(30)와 광조사부(20)를 사이에 두고 하부프레임부(41)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프레임부(42)는 상부프레임본체부(43)와 쿠션지지부(44)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본체부(43)는 하부프레임부(41)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하부프레임부(41)에 대응되는 갈빗살 구조를 가지며, 체결부재(도면부호 미표기) 등에 의해 하부프레임부(41), 헬멧부(10)의 헬멧프레임부(17)와 체결, 고정된다. 쿠션지지부(44)는 쿠션부(23)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장치부로, 쿠션부(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쿠션지지부(44)는 상부프레임본체부(43)와 일체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쿠션부(23)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프레임본체부(43)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착용압력이 광집속부(30)와 광조사부(20)에 작용 시, 쿠션부(23)는 쿠션지지부(44)에 의해 일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즉 쿠션지지부(44)를 기준으로 하여 착용압력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 유연하게 신축 변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조사제어장치(50)는 전원스위치(51), 착용감지스위치(52), 제어부(53)를 포함한다.
전원스위치(51)는 헬멧부(10)에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조작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원스위치(51)로는 터치스위치(touch switch)를 적용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51)는 사용자가 헬멧본체부(11)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조작할 수 있도록, 헬멧본체부(11)의 외면부와 접하게 배치된다.
착용감지스위치(52)는 착용압력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장치부로, 헬멧부(10)의 내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헬멧부(10)와 광조사부(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착용압력에 의해 작동된다. 착용감지스위치(52)로는 푸쉬스위치(push switch)를 적용할 수 있다.
착용감지스위치(52)는 상부프레임부(42) 상에 광조사부(20)의 기판부(21)를 향해 돌출되게 설치된다. 착용감지스위치(52)는 복수개의 쿠션부(23)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의 공간부 상에 감지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착용압력으로 인해 쿠션부(23)가 압축되고 기판부(21)가 헬멧부(10)측으로 밀려 이동되면서 착용감지스위치(52)의 감지단부를 밀어내게 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착용감지스위치(52)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된다.
제어부(53)는 전원스위치(51)의 온작동 시 광원(22)이 점등되지 않는 대기모드를 운용하고, 대기모드에서 착용감지스위치(52)의 온작동 시 광원(22)을 점등시키는 워킹모드를 운용한다. 제어부(53)에 의해, 사용자가 전원스위치(51)를 조작하더라도 광원(22)은 점등되지 않고, 사용자가 두피 관리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만 착용감지스위치(52)의 작동에 연동하여 광원(22)이 점등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구현하는 광조사제어장치(50)에 의하면, 두피 관리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광원(22)이 점등됨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피 관리장치를 머리로부터 이탈시키면 광원(22)이 자연히 소등되므로, 전원스위치(51)를 재터치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전원스위치(51)가 터치되거나, 두피 관리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광원(22)이 점등된 상태로 방치됨으로 인한 전기에너지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헬멧부 11 : 헬멧본체부
12 : 제1커버부 13 : 통기개방부
14 : 제2커버부 15 : 매쉬커버부
16 : 통기홀 17 : 헬멧프레임부
18 : 안착안정홈부 20 : 광조사부
21 : 기판부 22 : 광원
23 : 쿠션부 30 : 광집속부
31 : 기판안착부 32 : 유동방지턱부
33 : 광원수용홈부 34 : 집속렌즈부
40 : 프레임부 41 : 하부프레임부
42 : 상부프레임부 43 : 상부프레임본체부
44 : 쿠션지지부 50 : 광조사제어장치
51 : 전원스위치 52 : 착용감지스위치
53 : 제어부 61 : 전방쿠션부
62 : 후방밀착쿠션부 70 : 거치대
71 : 거치본체부 72 : 안착안정돌출부

Claims (10)

  1. 통기개방부를 구비하여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부;
    두피 관리를 위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헬멧부에 설치되는 광조사부; 및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집속가능한 집속렌즈부를 구비하여 상기 광조사부와 적층되게 배치되고, 머리와 접하는 광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부는,
    상기 통기개방부가 형성되는 제1커버부와, 상기 제1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통기개방부와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통기개방부를 커버하는 제2커버부가 구비되는 헬멧본체부;
    복수개의 통기홀을 구비하여 상기 통기개방부에 설치되는 매쉬커버부; 및
    상기 헬멧본체부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되고, 머리와 접하며, 상기 제1커버부, 상기 매쉬커버부와의 사이에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광집속부를 설치가능한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는 헬멧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통기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커버부의 전방부와 연결되며,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커버부와의 이격간격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복수개의 상기 광원이 탑재되고, 상기 광집속부와 접하는 기판부; 및
    쿠션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기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부에 작용하는 착용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광집속부를 적층되게 결속하고, 상기 헬멧부에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헬멧부의 상부에서 방사형으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광집속부와 상기 광조사부가 장착되는 설치공간부를 복수개로 구획하는 하부프레임부; 및
    상기 광집속부와 상기 광조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상부프레임본체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쿠션부와 접하며, 착용압력이 작용되는 상기 쿠션부를 지지하는 쿠션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집속부는,
    상기 광조사부와 접하고, 상기 집속렌즈부가 형성되는 기판안착부;
    상기 기판안착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유동방지턱부; 및
    상기 기판안착부 중 상기 집속렌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원이 수용되는 광원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속렌즈부는,
    상기 집속렌즈부로 진입된 빛의 경로가 전반사에 의해 단부측으로 유도, 집속되게 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부에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스위치;
    상기 헬멧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착용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착용감지스위치; 및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작동 시 상기 광원이 점등되지 않는 대기모드를 운용하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착용감지스위치의 온작동 시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워킹모드를 운용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관리장치.
KR1020190111591A 2019-09-09 2019-09-09 두피 관리장치 KR102337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591A KR102337662B1 (ko) 2019-09-09 2019-09-09 두피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591A KR102337662B1 (ko) 2019-09-09 2019-09-09 두피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086A true KR20210030086A (ko) 2021-03-17
KR102337662B1 KR102337662B1 (ko) 2021-12-10

Family

ID=7524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591A KR102337662B1 (ko) 2019-09-09 2019-09-09 두피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036B1 (ko) 2021-05-10 2022-02-0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와 광선을 이용한 인공지능 모발 및 두피 관리 장치
KR102386722B1 (ko) 2021-10-19 2022-04-18 (주)이지템 헬멧형 두피관리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709A (ko) * 2014-02-27 2015-09-04 원텍 주식회사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KR101700158B1 (ko) * 2015-09-04 2017-01-31 지엔에스티주식회사 피부관리기
KR20170125499A (ko) * 2016-05-04 2017-11-15 김종천 헬멧타입 두피 관리 장치
KR101988303B1 (ko) * 2018-12-28 2019-06-12 (주)셀리턴 헤어 관리 장치
KR20190094053A (ko) * 2018-02-02 2019-08-12 전경천 광 시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709A (ko) * 2014-02-27 2015-09-04 원텍 주식회사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KR101700158B1 (ko) * 2015-09-04 2017-01-31 지엔에스티주식회사 피부관리기
KR20170125499A (ko) * 2016-05-04 2017-11-15 김종천 헬멧타입 두피 관리 장치
KR20190094053A (ko) * 2018-02-02 2019-08-12 전경천 광 시술 장치
KR101988303B1 (ko) * 2018-12-28 2019-06-12 (주)셀리턴 헤어 관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036B1 (ko) 2021-05-10 2022-02-0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와 광선을 이용한 인공지능 모발 및 두피 관리 장치
KR102386722B1 (ko) 2021-10-19 2022-04-18 (주)이지템 헬멧형 두피관리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662B1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533B1 (ko) 엘이디 마스크
US6955444B2 (en) Surgical headlight
KR101988303B1 (ko) 헤어 관리 장치
US20130178920A1 (en) Head mounted light therapy device
KR20210030086A (ko) 두피 관리장치
US20110022132A1 (en) Laser hair-loss treatment device
KR102177363B1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US20160158485A1 (en) Head mounted light therapy device
KR102204820B1 (ko) 헤어 관리 장치
WO2006080918A1 (en) Surgical headlight
KR20200083722A (ko)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20200081885A (ko) 헤어 상태 분석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177368B1 (ko)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023866A (ko) 피부 관리장치
KR102110233B1 (ko)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17736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20200081877A (ko) 헤어 관리 장치
KR20200081887A (ko) 통신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20210008796A (ko)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21811A (ko) 피부 관리용 마스크 장치
CN219764312U (zh) 基于光的头皮护理装置
KR102165721B1 (ko) 헤어 관리 장치
KR20200099677A (ko) 휴대용 led 피부미용기기
KR102204819B1 (ko) 헤어 관리 장치
KR102163756B1 (ko) 탈모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