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006A - arrowing Pen Device - Google Patents
arrowing Pe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0006A KR20210030006A KR1020190111392A KR20190111392A KR20210030006A KR 20210030006 A KR20210030006 A KR 20210030006A KR 1020190111392 A KR1020190111392 A KR 1020190111392A KR 20190111392 A KR20190111392 A KR 20190111392A KR 20210030006 A KR20210030006 A KR 202100300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tall
- stop
- sows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642 hu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720 Malnutri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31 f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343 nutrient deficienc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96 par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18—Farrowing or weaning crat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27—Battery cages for pigl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끼돼지를 분만한 갓난 젖먹이새끼를 키우는 모돈(sow)이 젖먹이 기간동안 일정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동물보호법 규정에서의 불편함과 고통 및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와 법 제3조(동물보호의 기본원칙)에 충족하도록 함과,
어미로부터 젓을 먹는 갓난 새끼가 모돈(sow)으로부터의 압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피난공간을 구성하는 모돈사(Farrowing Pen 또는 Farrowing crate)를 제공하는 동물복지형 모돈사로 모돈과 새끼 돼지가 더욱 행복하고 편안함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로 간주되는 돼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복지에 대한 우수한 표준을 도출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tress by creating a space in which sows raising newborn sucklings that deliver piglets can perform certain activities during the feeding period, thereby expressing discomfort, pain, and normal behavior in the regulation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To meet the freedom of the law and Article 3 of the Act (Basic Principles of Animal Protection),
It is an animal welfare type sowhouse that provides a sowhouse (Farrowing Pen or Farrowing crate) that constructs an evacuation space to prevent crushing from the sows of newborns that feed on the sows from their mothers. Sows and piglets are more happier and more comfortabl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innovations to show, pigs are effective in improving performance and eliciting good standards for well-be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돼지새기를 분만한 갓난 젖먹이새끼를 키우는 모돈과 갓난 새끼가 모돈으로부터 피난할 수 있도록 한 모돈사(Farrowing Pen 또는 Farrowing crate)를 동물 복지 수준에 의한 모돈의 최소한의 활동공간과 어미돼지로부터 새끼돼지가 피신할 수 있도록 피신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동물복지형 모돈사에 과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ow raising a newborn suckling and a sow (Farrowing Pen or Farrowing crate) capable of evacuating from the sows are provided from the minimum active space of the sows and the mother pig according to the level of animal welfare. This is too much for the animal welfare type sow house that created an evacuation space for piglets to escape.
분만돼지는 대략 35일 정도 분만사에서 기거하면서 분만하고, 새끼들을 기른다 출산한 어린 젖먹이 새끼는 대략 28일간 집중 관리와 보호를 받게 된다.Delivery pigs live in the delivery house for about 35 days, deliver, and raise their offspring. The young infants who give birth will receive intensive care and protection for about 28 days.
이때 모돈으로부터 젖먹이를 하는 어린새끼는 모돈이 일어나고 앉은 최소한의 활동에서 모돈에 의해 압사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모돈이 활동할 수 없도록 최소공간의 케이지 또는 스톨형의 모돈사(Farrowing Pen 또는 Farrowing crate)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최소공간의 모돈사는 모돈의 스트레스 가중과 정상적인 활동을 저해함으로써 동물보호법에 의해 국내외 돈사에서 이를 개선하고 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At this time, infants feeding from sows are composed of cages or stall-type sows (Farrowing Pen or Farrowing crate) with a minimal space so that the sows cannot act because the sows are crushed by the sows in the minimal activity of the sows standing up and sitting. However,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is in domestic and foreign pig houses by the Animal Protection Act by increasing stress and hindering normal activities of sows in such a minimal space.
이에 따른 "동물보호법"은 갈증, 배고픔, 불편함 그리고 고통, 상처 및 질병으로부터,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및 두려움과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를 기본으로 한 법 제3조(동물보호의 기본원칙)은 동물을 사육ㆍ관리 또는 보호하는 자는 동물이 본래의 습성과 신체의 원형을 유지하면서 정상적으로 살 수 있도록 할 것. 동물이 갈증 및 굶주림을 겪거나 영양이 결핍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동물이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수 있고 불편함을 겪지 아니하도록 할 것. 동물이 고통ㆍ상해 및 질병으로부터 자유롭도록 할 것. 동물이 공포와 스트레스를 받지 아니하도록 할 것을 기본원칙으로 하고 있다.Accordingly, the "Animal Protection Act" is based on freedom from thirst, hunger, discomfort and pain, injury and disease, expressing normal behavior, and freedom from fear and stress. Article 3 (Basic Principles of Animal Protection) protects animals. Anyone who breeds, manages, or protects the animal so that the animal can live normally while maintaining its original habits and physical shape. Make sure that the animal does not suffer from thirst, hunger, or nutritional deficiencies. Make sure that the animal is able to express its normal behavior and does not experience any discomfort. Keep animals free from pain, injury and disease. The basic principle is to keep animals free from fear and stress.
그러나, 국내에서의 사육은 공장식 축사로 건축된 돈사 내의 분할되고 비좁은 돈방에 가두어 사육하는 형태가 일반적이고, 특히, 임신한 돼지를 일정기간 좁은 케이지(cage)에 가두어 두는 스톨(stall) 사육방식과, 함께 새끼를 낳은 후 일정기간 젖먹이 활동을 하는 어미돼지와 새끼돼지를 사육하는 케이지 또는 스톨형의 모돈사(Farrowing Pen 또는 Farrowing crate) 역시 어미돼지가 활동할 수 없는 공간에 새끼돼지가 어미로부터 도피할 수 있는 약간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However, domestic breeding is generally divided into a pig house built as a factory-style barn and is kept in a narrow cage. In particular, a stall breeding method in which pregnant pigs are kept in a narrow c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fter giving birth together, a mother pig that is suckl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cage or stall-type sowhouse (Farrowing Pen or Farrowing crate) that raises piglets are also in a space where the mother pig cannot act, and the piglets escape from the mother. It is forming a little space to do.
이러한 선행기술로 본 발명인의 선행 특허등록 제 10-0693071호의 도면에서 도시된 구성은 돈방에 어미돼지 만이 수용되는 극히 비좁은 케이지를 구성하고 어린새끼는 외부에서 어미젓을 먹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미돼지가 전혀 활동을 할 수 없도록 한 구성을 볼 수 있다.With this prior art,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inventor's prior patent registration No. 10-0693071 constitutes an extremely narrow cage in which only the mother pig is accommodated in the pig room, and the mother pig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at the mother pig outside. You can see a configuration that made it impossible to do any activity at all.
특허 공개번호 제 10-2012-0022035호는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는 모돈사 내에 어미돼지가 수용되는 분만스톨을 구성시켜 어미가 분만스톨 내에 수용되어 활동을 제한하고 어린 새끼는 분만스톨외측에서 젖먹이를 할 수 있도록 하고,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22035 constitutes a delivery stall in which a mother pig is accommodated in a sow house that is formed in a certain size, so that the mother is accommodated in the delivery stall to limit their activity, and young offspring can breastfeed outside the delivery stall. To be able to
또다른 특허등록 제 10-1707309호에서는 분할된 분만실과 내에 어미돼지 만이 서있을 수 있는 공간의 분만틀을 배치하고 있다.Another patent registration No. 10-1707309 arranges a delivery frame with a space where only the mother pig can stand within the divided delivery room.
이러한 구성들은 어미가 최소한의 운동활동을 할 수 없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어미돼지가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또한 상기한 동물보호법에 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se configurations are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the mother cannot perform minimal exercise activities, and thus the mother pig receives a lot of stress and is contrary to the animal protection law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개선된 특허등록 제 10-1149483호에서는 보다 넓은 면적으로 구성되는 어미돼지용 사육틀로 구성하되, 새끼돼지의 압사 방지와 어미돼지의 활동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동물복지 수준이 향상되도록 사육틀의 한면을 신축시키는 사육틀로 구성하였다.Accordingly, the improved patent registration No. 10-1149483 consists of a breeding frame for mother pigs that is composed of a larger area, but breeding to prevent crushing of the piglets and to form an activity space for the mother pigs, and to improve the level of animal welfare. It is composed of a breeding frame that expands and contracts one side of the frame.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사육틀의 한면 울타리를 이동하여 확장하는 단순 기술에 한정되고 또한 좁은 돈사 면적에서 확장부 공간을 더 마련하여야 하는 단점 및 어린새끼가 어미로부터 압사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를 개선하고 있지 못하다.This configuration is limited to the simple technology of simply moving the fence on one side of the breeding frame to expand it, and also improve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provide more space for the expansion part in a narrow pig shed area and the inability to prevent the damage from being crushed by the younger to the mother. I can't do i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새끼돼지를 분만한 갓난 젖먹이새끼를 키우는 모돈(sow)이 젖먹이 기간동안 일정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동물보호법 규정에서의 불편함과 고통 및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와 법 제3조(동물보호의 기본원칙)에 충족하도록 함과,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press discomfort, pain and normal behavior in the regulation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by forming a space in which sows raising newborn sucklings that deliver piglets can perform certain activities during the feeding period. Freedom from stress and compliance with Article 3 of the Act (Basic Principles of Animal Protection)
어미로부터 젓을 먹는 갓난 새끼가 모돈(sow)으로부터의 압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피난공간을 구성하는 모돈사(Farrowing Pen 또는 Farrowing crate)를 제공하는 동물복지형 모돈사로 모돈과 새끼 돼지가 더욱 행복하고 편안함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로 간주되어 돼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복지에 대한 우수한 표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n animal welfare type sowhouse that provides a sowhouse (Farrowing Pen or Farrowing crate) that constructs an evacuation space to prevent crushing from the sows of newborns that feed on the sows from their mothers. Sows and piglets are more happier and more comfortabl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innovations to show, it is intended to improve pig performance and provide an excellent standard for well-being.
본 발명 과제의 해결수단은 모돈사(100)를 지지하는 H빔(110)에 돼지가 기거하고 분뇨를 배출하는 슬랏(120)에 개폐수단(150)으로 개폐되는 개폐문(151)을 형성한 전후외벽(130)과, 좌우외벽(140,140-1) 및 사료통(152)과 물통(154)을 구성하는 모돈사(100)에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를 구성하되,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fore and after 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문(151)을 중심으로 구성된 제 1전후외벽(130-1)의 외벽기둥(131)에 힌지된 연동판(21)에 고정되고 복수의 스톨봉(22)을 구성한 스톨제어판(20)과, A
스톨제어판(20)에서 돌출된 가이드봉(23)에 끼워지는 안내장공(24)과 손잡이(25)를 구성한 제어판(26),A control panel (26) comprising a guide hole (24) and a handle (25) inserted into the guide rod (23) protruding from the stall control panel (20),
스톨제어판(20)에 힌지되고 제어판(26)으로 연동되는 개폐판(27)에 돌출된 개폐핀(28)을 구성하고, It constitutes an opening/closing
상기 개폐핀(28)이 제어되는 체결홈(11)과 안착홈(12)을 구성한 가이드판(10)에 스톱봉(13)을 구성시켜 스톨제어판(20)을 내외로 이동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 1스톨수단(A),The
제 2전후외벽(130-2)의 외벽기둥(131-1)에 이송롤(41)이 이동하는 레일(32)과 복수의 정지홈(33)을 구성한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The
복수의 스톨봉(22)을 구성하고 돌출부를 형성한 연동판(40) 상부측 외향 돌출부에 한쌍의 이송롤(41)을 힌지시켜 레일(32)에서 이동되게 구성함과,A pair of
연동판(40)의 내향 돌출부에 ">"형상의 키제어판(42)을 힌지하고 키제어판(42)의 상부 단부에 이동조작봉(43)을 구성하고 하부끝단에 상기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에 구성된 정지홈(33)에서 출입되는 키봉(44)을 구성한 승하강키판(45)을 힌지시켜 이동조작봉(43)으로 승하강키판(45)을 조작하여 승하강되는 키봉(44)이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의 정지홈(33)에서 이탈과 삽입으로 제어하는 제 2스톨수단(B)으로 구성함과, A
상기 제 2스톨수단(B)에서 젖먹이 새끼돼지(210)의 회피 및 활동공간을 더욱 확장하기 위한 외향으로 더 확장된 스톨공간(300) 및 좌우외벽(140,140-1) 중 하나 또는 둘에 LED램프(155)를 구성시켜 어린 젖먹이 새끼의 성장촉진을 증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복지형 모돈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LED lamp on one or both of the
본 발명의 효과는 새끼돼지를 분만한 갓난 젖먹이새끼를 키우는 모돈(sow)이 젖먹이 기간동안 일정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동물보호법 규정에서의 불편함과 고통 및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와 법 제3조(동물보호의 기본원칙)에 충족하도록 함과,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space in which sows raising newborn sucklings that deliver piglets can perform certain activities during the feeding period, thereby allowing them to express discomfort, pain, and normal behavior in the regulation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Freedom from stress and compliance with Article 3 of the Act (Basic Principles of Animal Protection),
어미로부터 젓을 먹는 갓난 새끼가 모돈(sow)으로부터의 압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피난공간을 구성하는 모돈사(Farrowing Pen 또는 Farrowing crate)를 제공하는 동물복지형 모돈사로 모돈과 새끼 돼지가 더욱 행복하고 편안함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로 간주되는 돼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복지에 대한 우수한 표준을 도출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It is an animal welfare type sowhouse that provides a sowhouse (Farrowing Pen or Farrowing crate) that constructs an evacuation space to prevent crushing from the sows for newborns who eat salt from their mothers. Sows and piglets are more happier and more comfortabl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innovations that show the effect of improving pig performance and eliciting good standards for well-being.
도 1은 본 발명 동물복지형 모돈사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 제 1스톨수단의 작동설명도.
도 2의 (b)는 본 발명 제 1스톨수단과 제 2스톨수단의 작동상태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제 2스톨수단의 작동설명도.
도 4는 본 발명 모돈사의 제 1스톨수단과 제 2스톨수단이 확대상태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 모돈사의 제 1스톨수단과 제 2스톨수단이 이동 및 구성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모돈사의 제 1스톨수단과 제 2스톨수단의 사용예시 평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animal welfare type sow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al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tall means and the second stal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tal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enlarged state of the first stall means and the second stall means of the sow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tall means and the second stal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ows in a moving and configured state.
Figure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the first stall means and the second stall means of the sow yar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새끼돼지를 분만한 갓난 젖먹이새끼를 키우는 모돈(sow)이 젖먹이 기간동안 일정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동물보호법 규정에서의 불편함과 고통 및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와 법 제3조(동물보호의 기본원칙)에 충족하도록 함과,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tress by creating a space in which sows raising newborn sucklings that deliver piglets can perform certain activities during the feeding period, thereby expressing discomfort, pain, and normal behavior in the regulation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To meet the freedom of the law and Article 3 of the Act (Basic Principles of Animal Protection),
어미로부터 젓을 먹는 갓난 새끼가 모돈(sow)으로부터의 압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피난공간을 구성하는 모돈사(Farrowing Pen 또는 Farrowing crate)를 제공하는 동물복지형 모돈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o provide an animal welfare type sow house that provides a sow house (Farrowing Pen or Farrowing crate) that constructs an evacuation space so that newborn offspring eating salt from the mother can prevent crushing from the sow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도면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본 발명은 모돈사(100)를 형성하고 지지하기 위한 H빔(110) 상부로 돼지가 기거하고 분뇨가 배출되는 다공형 슬랏(120)과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전후외벽(130)과 좌우외벽(140,140-1)을 구성함과 함께 전후외벽(130) 중앙으로 힌지와 개폐 및 잠금용 조작손잡이로 구성되는 개폐수단(150)으로 여닫이되는 개폐문(151)을 구성시켜 모돈(200)과 관리자가 입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6 is formed at a constant height with a
그리고 상기 한쪽의 개폐문(151) 내측에 사료통(152)이 구성되고 타측 개폐문(151)에는 모돈(200)의 전후이동을 제어하는 한쌍의 제어봉(153)이 구성되는 모돈사(100)로 이루어짐과 함께, 본 발명의 모돈사(100) 전후외벽(130)에 물공급관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물통(154)과 좌우외벽(140,140-1) 중 하나 또는 둘에 LED램프(155)를 구성시켜 먹이공급과 성장촉진 등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And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모돈사(100)의 전후외벽(130)에 형성되는 개폐문(151)을 중심으로 제 1전후외벽(130-1)과 제 2전후외벽(130-2)을 구성하고, 제 1전후외벽(130-1)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외벽기둥(131)에 체결홈(11)과 안착홈(12) 그리고 스톱봉(13)을 구성한 가이드판(10)이 구성된다.The first front and rear outer walls 130-1 and the second front and rear outer walls 130-2 are formed around 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상기 외벽기둥(131)에 힌지된 연동판(21)에 고정되고 복수의 스톨봉(22)을 구성한 스톨제어판(20)과, 스톨제어판(20)에서 돌출된 가이드봉(23)에 끼워지는 안내장공(24)과 손잡이(25)를 구성시켜 손잡이(25)를 구성한 제어판(26)이 스톨제어판(20)에 힌지된 개폐판(27)을 연동시켜 개폐판(27)에서 돌출된 개폐핀(28)이 상기 가이드판(10)의 체결홈(11)에서의 이탈로 안착홈(12)으로 이동하면서 스톱봉(13)을 구성한 스톨제어판(20)이 외측으로 회전이동으로 도 2(a)로부터 도 2(b), 도 3(a)와 같이 상부가 이동된 넓은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시켜 모돈(200)의 상체부를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확장된 공간을 제공하는 제 1스톨수단(A),And it is fixed to the interlocking
상기 제 2전후외벽(130-2)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전후외벽(130-2)을 구성하는 외벽기둥(131-1)에 고정되고 상부로 이송롤(41)이 이동하는 레일(32)과 하부로 복수로 구성되는 정지홈(33)을 구성하는 제 1정지판(30) 및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복수의 정지홈(33)을 형성하는 제 2정지판(31)을 구성한다.The second front and rear outer walls 130-2 are fixed to the outer wall pillars 131-1 constituting the second front and rear outer walls 130-2 as shown in FIG. 3, and the
그리고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톨봉(22)을 구성하고 좌우로 돌출부를 형성한 연동판(40)의 상부측 외향 돌출부에 한쌍의 이송롤(41)을 힌지시켜 레일(32)에서 이동되게 구성함과 연동판(40)의 하부측 내향 돌출부에 ">"형상의 키제어판(42)을 힌지하고 키제어판(42)의 상부 단부에는 이동조작봉(43)을 구성하고 하부끝단에 상기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에 구성된 정지홈(33)에서 출입되는 키봉(44)을 구성한 승하강키판(45)을 힌지시켜 상기 이동조작봉(43)으로 승하강키판(45)을 승하강함으로써 연동하는 키봉(44)이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의 정지홈(33)에서 이탈과 삽입으로 정지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제 2스톨수단(B)으로 구성되는 것이다.Then, a pair of transfer rolls 41 are hinged on the upper outward protrusions of the interlocking
상기 승하강키판(45)의 상단은 안내판(46)으로 연동판(40)에 힌지시켜 승하가키판(45)이 쏠림없는 승하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제 2스톨수단(B)에서 젖먹이 새끼돼지(210)의 회피 및 활동공간을 더욱 확장하기 위하여 제 2스톨수단(B)으로부터 외향으로 더 확장된 스톨공간(300)을 구성하고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한 구성의 이동조작봉(43)을 이동하면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의 정지홈(33)에서 키봉(44)이 이탈되고 이탈된 상태에서 레일(32) 상의 이송롤(41)이 레일(32)를 따라 이동하여 모돈(200)이 기거하는 공간을 확장하고 다시 내측으로 이동하면 모돈(200)의 활동공간이 축소되어 활동공간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전후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한쪽은 넓은 공간과 타측은 좁은 공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mov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 미도시한 46은 승하강키판(45)을 상하로 연동할때 이탈제어를 위한 안내판(46)이며 47은 제 2스톨수단(B)에 의해 축소된 모돈(200)의 활동공간에서 모돈(200)이 일어나고 누울때 정위치로 또는 새끼돼지의 안전을 위한 안전봉을 도시한 것이다.46, which is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동물복지형 모돈사(Farrowing Pen Device)는 도면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젖먹이 모돈(200)의 활동공간을 최소공간 만으로의 제어시켜 젖먹이 새끼돼지(210)가 모돈(200)의 활동으로 인한 압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누워있는 모돈으로부터 쉽게 젓을 먹을 수 있도록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를 내향으로 이동시켜 모돈의 활동공간을 최소로 제어함과 함께,Animal welfare type sows (Farrowing Pe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by controlling the activity space of the
갓난 젖먹이새끼를 키우는 모돈(sow)이 젖먹이 기간동안 일정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동물보호법 규정에서의 불편함과 고통 및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와 법 제3조(동물보호의 기본원칙)에 충족하도록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스톨수단(A)과함께, 제 2스톨수단(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외향으로 이동 및 전후 넓이를 달리 한 이동으로 모돈(200)이 활동할 수 있는 넓은 공간으로의 확장과 젖먹이 새끼돼지(210)가 모돈으로부터의 압사 사고를 회피하기 위한 도피 공간을 마련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reedom from stress and Article 3 of the Act by providing a space for sows raising newborn infants to perform certain activities during the feeding period, allowing them to express discomfort, pain, and normal behavior under the Animal Protection Act regulations. As shown in Fig. 4 to satisfy (Basic Principles of Animal Protection), one or two of the second stall means (B) together with the first stall means (B) are moved outward and the front and rear widths are different This is to allow the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돈사(100)를 지지하기 위한 H빔(110) 상부로 돼지가 기거하고 배설 분뇨가 배출되는 다공형 슬랏(120)과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전후외벽(130)과 좌우외벽(140,140-1), 그리고 전후외벽(130)에는 힌지와 개폐 및 잠금용 조작손잡이로 구성되는 개폐수단(150)으로 여닫이되는 개폐문(151)으로 모돈(200)과 관리자가 입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a constant height with a
상기 전후로 구성된 개폐문(151)은 일방향성 모돈의 입실과 퇴실을 용이하도록 하려는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상기 한쪽의 개폐문(151) 내측에 구성된 사료통(152)으로 모돈(200)에 사료를 공급하고 전후외벽(130)에 물공급관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물통(154)으로 먹이와 물을 공급하는 사료 제공과 함께, 타측 개폐문(151)에는 모돈(200)의 전후이동을 제어하는 한쌍의 제어봉(153)으로 모돈(200)이 일정한 위치에 수용되고 공급 사료를 보다 쉽게 먹을 수 있도록 한다.And feed that supplies feed to the
이와 함께 좌우외벽(140,140-1) 중 하나 또는 둘에 공지된 LED램프(155)를 구성시켜 어린돼지의 성장촉진 등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Along with this, a known
이와 같은 모돈사(100) 전후외벽(130)에 형성되는 개폐문(151)을 중심으로 제 1전후외벽(130-1)과 제 2전후외벽(1300-2)에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이 내측으로 좁혀진 상태에서 모돈(200)이 최소공간에 수용되고 어린 새끼돼지(210)들은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 하부측 스톨봉(22)과 바닥재인 슬랏(1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 외측 좌우외벽(140,140-1)측으로 회피할 수 있게되고 특히 좌우외벽(140-1) 측의 스톨확장공간(300) 넓은 공간으로 이동하여 압사사고회피와 활동을 제공하면서 누워있는 모돈으로부터 어린 새끼돼지들은 젖먹이 활동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활동하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front and rear outer walls 130-1 and the second front and rear outer walls 1300-2 around the opening and closing
이러한 모돈사(100)에서 동물보호법 규정에서의 불편함과 고통 및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과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와 법 제3조(동물보호의 기본원칙)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을 외측부로 이동시켜 각각의 스톨봉(22)이 외향으로 이동되어 넓혀진 공간에서 모돈(200)이 기거하는 면적의 확장에 따라 모돈이 일어나거나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The first stall means (A) so that the
이상과 같은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모돈사(100)에 구성된 제 1스톨수단(A)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5)를 상부로 일정거리로 밀어 올리면 손잡이(25)를 구성한 제어판(26)이 함께 승강되면서 스톨제어판(20)에 힌지되고 제어판(26) 끝단에 힌지된 개폐판(27)이 함께 기점으로부터 회전하여 상승되면서 개폐판(27)에 돌출고정된 개폐핀(28)이 외벽기둥(131)에 고정된 가이드판(10)의 체결홈(11)에서 이탈된다.Looking at a preferre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bove embodiments, the first stall means (A) configured in the
그리고 상기한 손잡이(25)를 외측으로 밀어 이동함으로써 제어판(26)과 복수의 스톨봉(22)을 구성한 스톨제어판(20)이 하부측 연동판(21)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동하여 스톨제어판(20)이 외향된 각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으로 함께 이동하는 개폐판(27)이 가이드판(10)에 형성된 안착홈(12)으로 삽입과 스톱봉(13)에 의해 정지되면서 외향된 대각방향(도 2(b) 및 도 3참조)으로 형성되어 모돈(200)이 일어난 후 상체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And by pushing and moving the
상기와 함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전후외벽(130-2)을 구성하는 외벽기둥(131-1)에 고정되고 상부로 이송롤(41)이 이동하는 레일(32)과 하부로 복수로 구성되는 정지홈(33)을 구성하는 제 1정지판(30) 및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복수의 정지홈(33)을 형성하는 제 2정지판(31)에 구성된 제 2스톨수단(B)을 조작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as shown in FIG. 3, the
즉, 제 2스톨수단(B)의 연동판(40)의 하부측 내향 돌출부에 ">"형상에 힌지된 키제어판(42)의 이동조작봉(43)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힌지부를 기점으로 키제어판(42)이 연동하고 하부 단부에 힌지된 승하강키판(45)이 상승한다.That is, when the moving
이때 승하강키판(45) 하부와 상부측에 돌출된 키봉(44)이 상하측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에 형성된 정지홈(3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승으로 정지홈(33)에서 이탈시킨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이동조작봉(43)을 외측으로 밀어 이동함으로써 이동조작봉(43), 키제어판(42) 그리고 연동판(40)이 연동판(40)에 힌지된 이송롤(41)에 의해 레일(32)을 따라 외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nd by pushing the movable
이동된 위치에서 이동조작봉(43)을 하향하면 하강하는 승하강키판(45)이 하향되면서 상하 키봉(44)이 다시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의 정지홈(33)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이러한 이동은 필요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서 실시하거나 상기 연동판(40)을 전후 이동거리를 달리하여 대각된 넓이를 형성할 수 있다.Such movement may be performed at a selected position as necessary, or a diagonal width may be formed by vary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interlocking
이상에 의해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이 외향으로 이동한 넓은 면적을 형성하므로 도 4와 같이 모돈(200) 기거하는 면적이 확대된 상태에서 모돈(200)이 일정한 운동과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활동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동물보호법 규정에서의 불편함과 고통 및 정상적인 행동의 표현과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 그리고 법 제3조(동물보호의 기본원칙)에 충족시킬 수 있는 동물복지형 모돈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stall means (A) and the second stall means (B) form a large area moved outward, the
이상과 같은 공간의 형성과 활동을 제어하기 위하아 외측으로 이동된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을 외측부터 다시 이동시켜 넓은 공간을 좁은 공간으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In order to control the formation and activity of the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tall means (A) and the second stall means (B), which have been moved outward, are moved again from the outside to return the large space to the narrow space.
이때 도 2(b)의 외향 이동한 상태에서 손잡이(25)를 상부로 밀어 올리면 개폐판(27)의 개폐핀(28)이 안착홈(12)으로부터 이탈되고 손잡이(25)를 내측으로 이동하여 제어판(26)으로 연동하는 스톨제어판(20)이 연동판(21)을 기점으로 회전과 함께 상부측이 내향으로 이동하여 도 2(a)로 복귀된다.At this time, when the
그리고 제 2스톨수단(B)의 이동조작봉(43)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힌지부를 기점으로 키제어판(42)이 연동하고 하부 단부에 힌지된 승하강키판(45)이 함께 상승되면서 승하강키판(45) 하부와 상부측에 돌출된 키봉(44)이 상하측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의 정지홈(33)에서 이탈된다.And when the moving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조작봉(43)을 내측으로 밀어주면 연동판(40)에 힌지된 이송롤(41)이 레일(32)을 따라 내향으로 이동하면서 확장된 공간을 축소하므로써 모돈(200)의 활동공간을 축소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이동위치에 도달후 상기 이동조작봉(43)의 제어를 중지함으로써 승하강키판(45)이 하향하면서 상하 키봉(44)이 다시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의 정지홈(33)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fter reaching the moving position, the control of the moving
이와 함께 본발명은 제 2스톨수단(B)의 좌우외벽(140-1)을 외부로 더 넓게 확장하여 어린새끼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새끼의 건강한 운동활동과 모돈으로부터의 압사방지 회피공간을 확보하도록 하였다.Along with this,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left and right outer walls 140-1 of the second stall means (B) to the outside, thereby securing more space for young babies to work, thereby providing healthy exercise activities for young babies and crushing from sows. Prevented avoidance space was secur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을 보다 쉽게 확장과 축소시키고 넓은 활동공간을 제공하므로써 국제적인 이슈로 하고 있는 동물보호법 규정에서의 불편함과 고통 및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와 법 제3조(동물보호의 기본원칙)을 준수할 수 있고 또한 동물 사랑으로 표출할 수 있는 효과 및 어린 젖먹이 새끼돼지의 운동활동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고 어미로부터 젓을 먹는 갓난 새끼가 모돈(sow)으로부터의 압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효과를 충족하는 동물복지형 모돈사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facilitat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irst stall means (A) and the second stall means (B) and provide a wide activity space, thereby discomfort, pain and normality in the regulation of the animal protection law, which is an international issue. By allowing them to express their behavior, they can comply with Article 3 (Basic Principles of Animal Protection), freedom from stress, and also provide sufficient space for exercise activities for young suckling piglets and the effects that can be expressed with love for animals.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imal welfare type sow house that satisfies the effect so that newborn offspring who eat salted from the sow can prevent crushing from the sow.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related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ver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variation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claims.
10 : 가이드판 11 : 체결홈 12 : 안착홈
13 : 스톱봉 20 : 스톨제어판 21 : 연동판
22 : 스톨봉 23 : 가이드봉 24 : 안내장공
25 : 손잡이 26 : 제어판 27 : 개폐판
28 : 개폐핀 30 : 제 1정지판 31 : 제 2정지판
32 : 레일 33 : 정지홈 40 : 연동판
41 : 이송롤 42 : 키제어판 43 : 이동조작봉
44 : 키봉 45 : 승하강키판 46 : 안내판
47 : 안전봉 100 : 모돈사 110 : H빔
120 : 슬랏 130 : 전후외벽 130-1 : 제 1전후외벽
130-2 : 제 2전후외벽 131-1 : 외벽기둥
140, 140-1 : 좌우외벽 150 : 개폐수단 151 : 개폐문
152 : 사료통 153 : 제어봉 155 : LED램프
200 : 모돈 210 : 새끼돼지 300 : 스톨확장공간
A : 제 1스톨수단 B : 제 2스톨수단10: guide plate 11: fastening groove 12: mounting groove
13: stop rod 20: stall control panel 21: interlocking plate
22: stall rod 23: guide rod 24: guide ball
25: handle 26: control panel 27: opening and closing plate
28: opening and closing pin 30: first stop plate 31: second stop plate
32: rail 33: stop groove 40: interlocking plate
41: transfer roll 42: key control panel 43: moving control rod
44: key bar 45: elevating key board 46: information board
47: safety rod 100: sow thread 110: H beam
120: slot 130: front and rear outer wall 130-1: first front and rear outer wall
130-2: 2nd front and rear outer wall 131-1: outer wall pillar
140, 140-1: left and right outer walls 150: opening and closing means 151: opening and closing doors
152: feed container 153: control rod 155: LED lamp
200: sows 210: piglets 300: stall expansion space
A: first stall means B: second stall means
Claims (3)
상기 모돈사(100)에 제 1스톨수단(A)과, 제 2스톨수단(B)를 구성하되,
개폐문(151)을 중심으로 구성된 제 1전후외벽(130-1)의 외벽기둥(131)에 힌지된 연동판(21)에 고정되고 복수의 스톨봉(22)을 구성한 스톨제어판(20)과,
스톨제어판(20)에서 돌출된 가이드봉(23)에 끼워지는 안내장공(24)과 손잡이(25)를 구성한 제어판(26),
스톨제어판(20)에 힌지되고 제어판(26)으로 연동되는 개폐판(27)에 돌출된 개폐핀(28)을 구성하고,
상기 개폐핀(28)이 제어되는 체결홈(11)과 안착홈(12)을 구성한 가이드판(10)에 스톱봉(13)을 구성시켜 스톨제어판(20)을 내외로 이동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 1스톨수단(A),
제 2전후외벽(130-2)의 외벽기둥(131-1)에 이송롤(41)이 이동하는 레일(32)과 복수의 정지홈(33)을 구성한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
복수의 스톨봉(22)을 구성하고 돌출부를 형성한 연동판(40) 상부측 외향 돌출부에 한쌍의 이송롤(41)을 힌지시켜 레일(32)에서 이동되게 구성함과,
연동판(40)의 내향 돌출부에 ">"형상의 키제어판(42)을 힌지하고 키제어판(42)의 상부 단부에 이동조작봉(43)을 구성하고 하부끝단에 상기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에 구성된 정지홈(33)에서 출입되는 키봉(44)을 구성한 승하강키판(45)을 힌지시켜 이동조작봉(43)으로 승하강키판(45)을 조작하여 승하강되는 키봉(44)이 제 1정지판(30)과 제 2정지판(31)의 정지홈(33)에서 이탈과 삽입으로 제어하는 제 2스톨수단(B)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복지형 모돈사.
The front and rear outer walls 130 form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51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150 in the slot 120 for the pigs to live in the H beam 110 supporting the sow house 100 and discharge the manure, and the left and right In the sow house constituting the outer walls 140 and 140-1 and the feed container 152 and the water container 154,
The sow yarn 100 comprises a first stall means (A) and a second stall means (B),
A stall control panel 20 fixed to an interlocking plate 21 hinged to an outer wall pillar 131 of the first front and rear outer wall 130-1 configured arou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51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ll rods 22,
A control panel (26) comprising a guide hole (24) and a handle (25) fitted into the guide rod (23) protruding from the stall control panel (20),
Constructs an opening/closing pin 28 that is hinged on the stall control panel 20 and protruding from the opening/closing plate 27 linked to the control panel 26,
The stop bar 13 is configured on the guide plate 10 comprising the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ating groove 12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ins 28 are controlled so that the stall control plate 20 can be moved and controlled in and out. The first stall means (A) configured,
The first stop plate 30 and the second stop plate 30 comprising a rail 32 and a plurality of stop grooves 33 to which the transfer roll 41 moves to the outer wall pillars 131-1 of the second front and rear outer walls 130-2 Stop plate (31),
A pair of conveying rolls 41 are hinged on the upper outward protrusion of the interlocking plate 40 having a protrusion and a plurality of stall rods 22 to be moved from the rail 32,
A key control plate 42 having a ">" shape is hinged on the inward protrusion of the interlocking plate 40, and a movable control rod 4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key control plate 42, and the first stop plate 30 is at the lower end. ) And the elevating key plate 45 consisting of the key bar 44 that enters and exits from the stop groove 33 formed in the second stop plate 31, and manipulates the elevating key plate 45 with the moving operation bar 4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bar 44 that is raised and lowered is composed of a second stall means (B) that is controlled by separation and insertion from the first stop plate 30 and the stop groove 33 of the second stop plate 31. Animal welfare type sow house.
상기 제 2스톨수단(B)에서 젖먹이 새끼돼지(210)의 회피 및 활동공간을 더욱 확장하기 위한 외향으로 더 확장된 스톨공간(30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복지형 모돈사.
The method of claim 1,
Animal welfare type sow h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tall means (B) constitutes a stall space (300) that is further expanded outward for avoiding the suckling piglets (210) and further expanding the activity space.
상기 좌우외벽(140,140-1) 중 하나 또는 둘에 LED램프(155)를 구성시켜 어린 젖먹이 새끼의 성장촉진을 증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복지형 모돈사.
The method of claim 1,
An animal welfare type sow h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lamp 155 is configured on one or both of the left and right outer walls 140 and 140-1 to increase the growth promotion of young infan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1392A KR102308203B1 (en) | 2019-09-09 | 2019-09-09 | arrowing Pe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1392A KR102308203B1 (en) | 2019-09-09 | 2019-09-09 | arrowing Pe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0006A true KR20210030006A (en) | 2021-03-17 |
KR102308203B1 KR102308203B1 (en) | 2021-10-05 |
Family
ID=7524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1392A KR102308203B1 (en) | 2019-09-09 | 2019-09-09 | arrowing Pe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820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872604A (en) * | 2024-07-22 | 2024-11-01 | 青海永高农牧机械有限公司 | A sow farrowing be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9991A (en) | 2022-10-28 | 2024-05-08 |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Pig pen equipped with pig growth measurement device |
KR20240060004A (en) | 2022-10-28 | 2024-05-08 |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Pig pen equipped with pig body mass measuring device |
KR20240107813A (en) | 2022-12-30 | 2024-07-09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mother pig house of animal welfare type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8108U (en) * | 1996-12-18 | 1998-09-15 | 신일현 | Usa's resting partition |
KR200394509Y1 (en) * | 2005-06-16 | 2005-09-02 | 박종대 | The framework for childbirth that can be adjustment space for mother pig |
KR20060086648A (en) * | 2005-01-27 | 2006-08-01 | 전길상 | Eco-friendly pig house where the sows and piglets can be separated |
KR100693071B1 (en) | 2005-05-19 | 2007-03-12 | 신일식 | Ventilation system of laborers |
KR20110018146A (en) * | 2009-08-17 | 2011-02-23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Pig breeding frame |
KR20120022035A (en) | 2010-08-31 | 2012-03-09 | 최승찬 | Hog mix feeder |
KR20130006927U (en) * | 2012-05-23 | 2013-12-03 | 박규남 | A pigsty partition for protect piglet |
KR20140143127A (en) * | 2014-11-14 | 2014-12-15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en System for Protecting Baby Pig |
KR101707309B1 (en) | 2015-05-08 | 2017-02-15 | 주식회사 연합축산 | A keeping warm device for livestock |
KR101895770B1 (en) * | 2017-12-28 | 2018-09-07 |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 An air-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of the pigsty for livestock growth of pigs |
-
2019
- 2019-09-09 KR KR1020190111392A patent/KR1023082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8108U (en) * | 1996-12-18 | 1998-09-15 | 신일현 | Usa's resting partition |
KR20060086648A (en) * | 2005-01-27 | 2006-08-01 | 전길상 | Eco-friendly pig house where the sows and piglets can be separated |
KR100693071B1 (en) | 2005-05-19 | 2007-03-12 | 신일식 | Ventilation system of laborers |
KR200394509Y1 (en) * | 2005-06-16 | 2005-09-02 | 박종대 | The framework for childbirth that can be adjustment space for mother pig |
KR20110018146A (en) * | 2009-08-17 | 2011-02-23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Pig breeding frame |
KR101149483B1 (en) | 2009-08-17 | 2012-06-27 | 대한민국 | Breeding housing for lactating sow |
KR20120022035A (en) | 2010-08-31 | 2012-03-09 | 최승찬 | Hog mix feeder |
KR20130006927U (en) * | 2012-05-23 | 2013-12-03 | 박규남 | A pigsty partition for protect piglet |
KR20140143127A (en) * | 2014-11-14 | 2014-12-15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en System for Protecting Baby Pig |
KR101707309B1 (en) | 2015-05-08 | 2017-02-15 | 주식회사 연합축산 | A keeping warm device for livestock |
KR101895770B1 (en) * | 2017-12-28 | 2018-09-07 |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 An air-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of the pigsty for livestock growth of pig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872604A (en) * | 2024-07-22 | 2024-11-01 | 青海永高农牧机械有限公司 | A sow farrowing b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8203B1 (en) | 2021-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8203B1 (en) | arrowing Pen Device | |
US20210000077A1 (en) | Puppy apartment | |
US3181503A (en) | Farrowing pen with floor heated plight areas | |
Bolhuis et al. | Effects of loose housing and the provision of alternative nesting material on peri-partum sow behaviour and piglet survival | |
Van Beirendonck et al. | The association between sow and piglet behavior | |
EP0391602B1 (en) | Pig farrowing and weaning apparatus | |
CN201911144U (en) | Sow delivery bed | |
JP5308392B2 (en) | Feeding device for offspring | |
KR20240107813A (en) | mother pig house of animal welfare type | |
US3011475A (en) | Hog farrowing pen | |
NL2019564B1 (en) | Device provided with a first cage and a second cage for holding rabbits therein, application of the device for keeping rabbits. | |
Mack et al. | Case study: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s and mortality among piglets housed in alternative lactational systems | |
JPS6250084B2 (en) | ||
BE1002816A6 (en) | Maternity pen for sows | |
US347220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arrowing sows and rearing and brooding piglets | |
CN205196599U (en) | Young fence is educated to sow safety | |
CN105248293A (en) | Sow safe piglet breeding pigsty | |
JP3119783U (en) | Cat breeding cage | |
CN212911187U (en) | Device for group-breeding commercial raccoon dogs | |
CN216567603U (en) | Nursery pig house | |
CN207491773U (en) | One broad sow pigsty for brooding | |
US3276429A (en) | Insert for farrowing crate | |
CN206596498U (en) | A kind of special pig house that son is educated for wild boar | |
CN209788130U (en) | Grass mat type loose sow obstetric table | |
KR200324220Y1 (en) | Incubator for calf and fo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