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98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982A
KR20210028982A KR1020190110209A KR20190110209A KR20210028982A KR 20210028982 A KR20210028982 A KR 20210028982A KR 1020190110209 A KR1020190110209 A KR 1020190110209A KR 20190110209 A KR20190110209 A KR 20190110209A KR 20210028982 A KR20210028982 A KR 20210028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friction
friction member
damping unit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유도영
정보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982A/ko
Priority to US16/938,151 priority patent/US11499260B2/en
Priority to CN202010795507.6A priority patent/CN112442849B/zh
Publication of KR20210028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wound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4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 및 세탁조를 포함한다. 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세탁조는 본체와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통해 결합된다. 세탁조는 내부에 물과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수용된 물에 운동에너지가 가해지도록 구비된다.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지지로드, 탄성부재 및 댐핑유닛을 포함한다. 지지로드는 일단이 본체와 결합되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는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된다.
댐핑유닛은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댐핑유닛은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되고 지지로드를 둘러 싼 빈 공간인 격실을 형성하며, 격실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된다. 본체의 하중은 적어도 일부가 댐핑유닛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개시되는 내용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조의 하중을 지탱함과 아울러 세탁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함에 있어 그 성능을 개선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세탁, 건조, 보관 및 다림질 등 여러 형태의 관리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세탁, 건조, 보관 및 다림질 등을 각각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들이 실시되고 있다. 또는, 세탁과 건조, 보관과 다림질 등을 통합해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들도 실시되고 있다.
특히, 세탁을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살펴보면, 그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세탁조가 세워진 형태와 누운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세탁조가 누운 형태를 '드럼식'이라 하고, 세탁조가 세워진 형태는 '와류식(와권식)' 또는 '교반식'이라 칭한다.
세탁대상물의 투입 방향이나 내조의 회전축 방향에 차이가 있으나,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가 구비되고, 외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조가 배치되는 구성은 유사하다. 내부에서 세탁물이 물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세탁조에는 반복적인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세탁조가 주변의 구성물들과 충돌하거나 접하기도 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본체 내부에는 세탁조의 하중을 지탱함과 아울러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진동감쇄 장치들이 설치된다.
진동감쇄 장치들은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흔들림을 감소시켜 소음을 줄이고, 내조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이과 관련한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72833호(이하, '관련기술 1'이라 한다.)는 '세탁기용 현가 장치'를 개시한다.
관련기술 1은 세탁기의 터브(외조)와 연결되며 내부에 완충 공간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 축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장치 몸체를 관통하며 단부에 지지판이 설치되는 지지로드, 지지로드를 감싸고 장치 몸체와 지지판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완충공간에 배치되고 지지 로드의 외주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형성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하지만, 관련기술 1의 마찰부재는 완충 공간내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터브의 진동이나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마찰부재를 감싸는 수용부가 완충 공간의 내벽과 접했다 이격되는 현상이 반복된다. 따라서, 마찰 몸체 내부에서 간헐적인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관련기술 1에서 마찰부재는 터브의 진동에 따라 지지로드의 외주와 지속적으로 마찰된다. 이는 세탁기의 가동시간이 긴 경우 또는 터브에 큰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 지지로드나 마찰부재에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해 충격을 감쇄하는 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으로 작용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29853호(이하, '관련기술 2'라 한다.)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관련기술 2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일단이 케이싱과 연결된 지지봉, 외조가 케이싱에 매달리도록 지지봉의 타단과 외조를 연결함과 아울러 외조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서스펜션은 지지봉이 관통하고, 외조의 진동 시 지지봉을 따라 이동하는 에어캡, 에어캡 내에 배치되며 에어캡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마찰부재 및 지지봉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마찰부재를 포함한다.
관련기술 2 역시 외조에 큰 진동이 발생할 경우 마찰 감쇠부가 에어캡의 내벽과 접하게 되고, 이는 소음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찰 감쇠부의 제1마찰부재 및 제2마찰부재가 각각 지지봉과 에어컵의 내측면 사이에서 양측을 가압하므로 에어캡이 파손되기 쉬운 구조를 지녔었고,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내구성을 갖는다는 단점으로 작용했다.
그리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81742호(이하, '관련기술 3'이라 한다.)는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관련기술 3은 터브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댐퍼를 포함한다. 댐퍼는 한 쪽 단부가 캐비닛에 결합되는 현가봉, 현가봉을 따라 터브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현가봉 외측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현가봉의 다른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및 터브에서 전달된 진동에 의해 가변되도록 이동부재 및 지지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현가봉과 이동부재가 접하는 면에는 소정의 윤활제가 충전될 수 있는 윤활제수용부가 형성된다.
하지만, 관련기술 3은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고무와 펠트로 형성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나, 바디 내측에 형성된 공간인 제2관에 이격없이 수용됨으로써 이동부재가 현가봉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마찰부재는 현가봉과의 마찰로 그 외형이 변형되고, 마찰부재가 현가봉과의 마찰로 한 쪽으로 밀려 현가봉을 감싼 부분을 고르게 가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현가봉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수시로 변화하게 하였다. 이러한 배치는 진동을 안정적으로 감쇄시킬 수 없는 단점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마찰부재와 윤활제가 서로 인접해 배치되는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마찰부재와 윤활제가 각각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므로 윤활 및 방열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전술한 관련기술은 발명자가 개시되는 내용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개시되는 내용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개시되는 내용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과제는, 세탁조의 하중 및 진동을 감쇄하는 과정에서,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퍼의 일부에 힘이 편중됨으로써, 완충효율이 떨어졌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과제는, 세탁조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였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세탁조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댐퍼에서 마찰을 통한 발열 현상이 있었고, 이러한 발열 현상으로 인해 완충효율이 저하되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들이 복잡하게 조립되어야 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부분의 구성이 쉽게 파손되거나 수명이 짧았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마찰부재가 격실 내부에 배치되고 마찰부재 주변의 공간이 윤활제로 충전됨으로써, 지지로드와 마찰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고르게 발생되어 외력의 산포가 원활해 진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조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감소하도록, 댐핑유닛 내부에 배치되는 마찰부재가 상하로 구속되고 마찰부재의 주변은 윤활제가 채워진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 내부의 방열을 위해, 댐핑유닛은 그 내부에 격실이 형성되고 격실에는 윤활제가 충전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을 이루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가이드와 지지로드 사이에 마찰부재가 개재되고, 마찰부재는 복수 개의 작은 조각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마찰부재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그 이동이 구속되고 고정가이드 및 윤활제에 의해 지지로드 측으로 가압된다.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 및 세탁조를 포함한다. 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세탁조는 본체와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통해 결합된다. 세탁조는 내부에 물과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수용된 물에 운동에너지가 가해지도록 구비된다.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지지로드, 탄성부재 및 댐핑유닛을 포함한다. 지지로드는 일단이 본체와 결합되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는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된다.
댐핑유닛은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댐핑유닛은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되고 지지로드를 둘러 싼 빈 공간인 격실을 형성하며, 격실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된다. 본체의 하중은 적어도 일부가 댐핑유닛에 의해 지지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는 결합부 및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결합부는 지지로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본체와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재는 지지로드의 타단에 결합되고 탄성부재가 지지된다.
탄성부재는 댐핑유닛 및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댐핑유닛 및 지지부재 사이에서 탄성변형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댐핑유닛은 단턱을 포함한다. 단턱은 탄성유닛과 접한다. 댐핑유닛의 외측둘레는 세탁조에 구비되는 홀더와 접해 세탁조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유닛으로 전달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댐핑유닛은 캡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캡에는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제1관통구가 형성되고, 세탁조에 구비되는 홀더와 접해 세탁조의 하중이 전달된다. 하우징은 캡과 결합되어 내부에 격실이 형성되고,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제2관통구 및 탄성부재와 접하는 단턱이 외측둘레에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격실에는 윤활제가 충전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댐핑유닛은 고정가이드를 포함한다. 고정가이드는 마찰부재가 지지로드의 외측면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가하며 접하도록 마찰부재의 외측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가이드는 확장돌기를 포함한다. 확장돌기는 지지로드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고, 하우징의 내측면과는 이격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가이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고정가이드의 내측에 적어도 두 개의 마찰부재가 지지로드와 접한 상태로 고정되며, 각각의 마찰부재는 원통형의 고정가이드 내주연에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계벽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댐핑유닛은 제1마찰턱, 제2마찰턱을 포함한다. 제1마찰턱은 제1관통구의 둘레에 마찰부재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마찰턱은 제2관통구의 둘레에 마찰부재 방향으로 돌출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제1마찰턱 및 제2마찰턱은 각각 마찰부재와 접하는 면이 곡면으로 이뤄진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마찰부재는 지지로드와 접하는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철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마찰부재는 지지로드와 접하는 접하는 일면에 파인 홈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철패턴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요철패턴은 미리 정해진 패턴을 형성하는 장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서스펜션어셈블리는 본체 및 세탁조 사이에 결합된다. 그리고, 세탁조의 하중을 본체에 전달하며, 세탁조에서 발생한 운동에너지를 감쇄시킨다.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지지로드, 결합부, 댐핑유닛을 포함한다. 지지로드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지닌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부는 지지로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지지로드의 일단이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댐핑유닛은 지지로드에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이 탄성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그리고, 댐핑유닛은 내부에 미리 정해진 공간으로서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격실이 형성되고, 격실에는 윤활제가 충전된다.
또한, 댐핑유닛은 제1마찰부재 및 제2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제1마찰부재는 격실에 수용되어 지지로드의 외측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되 격실의 측벽과는 이격된다. 제2마찰부재는 격실에 수용되어 지지로드의 외측둘레를 감싸되 격실의 측벽과 이격없이 접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댐핑유닛은 서포터를 더 포함한다. 서포터는 제1마찰부재 및 제2마찰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제2마찰부재의 외측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 제2마찰부재를 지지로드에 압착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서포터는 메인플레이트 및 구속편을 포함한다. 메인플레이트는 지지로드 관통하는 제3관통구가 형성되고, 판상으로 이루어져 격실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지지로드 및 댐핑유닛을 포함한다. 지지로드는 일단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지지부재가 결합된다. 댐핑유닛은 지지로드의 외측둘레를 감싸 결합되고,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지되며, 본체의 하중이 걸려 지지된다.
또한, 댐핑유닛은 캡, 하우징 및 마찰유닛을 포함한다. 캡은 본체와 접해 본체의 하중이 전달된다. 하우징은 캡과 연결되되 캡과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공간인 격실을 형성한다. 마찰유닛은 격실에 배치되어 격실을 통과하는 지지로드의 외측둘레를 가압해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마찰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격실에는 윤활제가 충전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세탁조의 하중 및 진동으로 인한 움직임이 완화되는 과정에서, 지지로드 및 마찰유닛의 접면에 마찰력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해, 완충성능을 향상시킨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세탁조의 하중이 지지되는 서스펜션어셈블리에서, 세탁조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전달되는 구성들 간에 이격이 없도록 함으로써, 세탁조의 작동 시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감소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세탁조의 진동을 감쇄하는 과정에서 지지로드 및 마찰유닛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마찰유닛을 감싸며 배치된 윤활제를 통해 방열됨으로써, 내구성 및 완충효율이 제고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마찰부재 및 지지로드가 가이드를 통해 결합되고, 마찰부재가 배치되는 격실은 캡과 하우징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간결한 구조를 지니므로 부품의 수가 감소하여 조립이 용이하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세탁조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쇄하는 과정에서 마찰부재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마찰부재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마찰면을 지녀 반복되는 마찰을 수행함에도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마찰부재가 이중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재는 윤활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완충효율이 좋아지고, 안정적인 완충작용이 수행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5의 B-B'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마찰부재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6은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개시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시되는 내용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탑커버(20) 및 베이스(30)와 결합되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하부는 베이스(30)와 상부는 탑커버(20)와 결합된다.
베이스(30)는 본체(10)를 지탱해 본체(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베이스(30)는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네 개의 레그(32)를 포함하고, 레그(32)는 그 돌출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각각의 레그(32)는 그 돌출된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베이스(30) 및 본체(10)의 수평 및 평형을 조절할 수 있고, 베이스(30) 및 본체(10)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바닥면 위에 거치되도록 한다.
베이스(30) 및 레그(3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지탱하고, 하중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해 의류처리장치가 흔들리거나 기울지 않도록 한다.
본체(10)는 베이스(30)의 위에 결합된다.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을 두르는 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세탁조(40), 배수부(60)와 같은 구성들이 설치된다.
본체(10)의 상면에는 탑커버(20)가 결합된다. 탑커버(20)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22)를 포함한다. 도어(22)는 탑다운 형태일 수 있고, 도어(22)가 열리면 본체(10) 내부, 구체적으로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세탁조(40)가 개방되어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22)가 닫히면 세탁조(40)가 외부와 격리된다.
도어(22)는 센서가 부착되어 도어(22)가 열린 상태로 세탁조(40)의 작동이 차단될 수 있고,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어(22)와 인접한 위치로서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컨트롤패널(24)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4)은 표시부와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조작부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동작 등을 통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조작하고, 표시부를 통해서는 작동상태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세탁조(40)가 배치된다. 세탁조(40)는 외조(42)와 내조(46)를 포함한다.
외조(42)는 내조(46)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10)와 결합된다. 외조(42)는 본체(10)와 지지부재(220)를 통해 결합되되, 지지부재(220)에는 댐퍼가 구비되어 외조(42)는 본체(10)에 지지되나 소정의 움직임이 가능함과 아울러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외조(42)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외조(42)는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내조(46)는 외조(42)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며 물살을 형성한다. 내조(46)는 상부로 개방된 투입구를 포함하고, 외조(42)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조(42)와 같이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내조(46)는 저면이 구동부(50)와 연결되고, 구동부(50)의 작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외부의 급수전과 연결된 급수구로부터 외조(42)로 급수가 이뤄지면 외조(42)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차오른다. 외조(42) 내부의 세탁수는 내조(46)에 형성된 개방공들을 통해 내조(46)의 내부에도 유입된다. 세탁이나 헹굼 시 내조(46)의 회전에 따라 외조(42)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가 일련의 물살을 형성하고, 물살을 통해 세탁이나 헹굼이 수행된다.
탈수나 배수 시에는 배수밸브(64)가 열리고 외조(42)에 수용되었던 물이 배수밸브(64) 및 배수유로(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유로(62)는 별도의 배수펌프(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66)는 세탁조(40)에 수용되었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 세탁수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조(4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40)는 본체(10)의 내부에서 본체(10)에 결합된다. 본체(10)와 세탁조(40)는 서스펜션어셈블리(10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세탁조(40)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어셈블리(100)와 결합될 수 있다. 세탁조(40)는 본체(10)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세탁조(40)는 적어도 두 곳 이상이 본체(10)와 연결되되 그 하중이 본체(10)를 통해 지탱되는 구조를 지닌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탁조(40)의 외측둘레에 적어도 두 개의 서스펜션어셈블리(100)가 결합되어 본체(10)와 연결되고, 적어도 한 곳은 본체(10)와 힌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서스펜션어셈블리(100)는 본체(10) 및 세탁조(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세탁조(40)의 하중을 지탱함과 아울러 세탁조(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한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10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어셈블리(100)는 지지로드(200), 결합부(210), 지지부재(220), 탄성부재(230) 및 댐핑유닛(300)을 포함한다.
지지로드(200)의 일단에는 결합부(210)가, 지지로드(200)의 타단에는 지지부재(220)가 배치된다. 결합부(210)는 본체(10)와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10)에 대하여 지지로드(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220)는 지지로드(200)의 타단에 형성되고, 지지부재(2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20)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로드(200)의 타단에 결합되되, 지지로드(200)의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지지로드(200)를 감싸며 지지로드(200)의 외측둘레에 결합되고, 지지부재(220)에 한 쪽 끝이 구속되어 지지로드(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탄성부재(230)는 지지부재(220)와 댐핑유닛(300)의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댐핑유닛(300)에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230)는 수축되고, 댐핑유닛(30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30)가 원상태로 복구된다.
지지로드(200)는 봉 형상일 수 있고,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결합부(210)가 형성되는 일단은 위쪽을 향하고, 지지부재(220)가 마련된 타단은 아래쪽을 향하게 배치된다.
댐핑유닛(300)은 지지로드(200)의 외측둘레를 감싸며 결합되고, 지지로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핑유닛(300)은 탄성부재(230)와 접해 일 방향으로 이동 시 탄성부재(230)가 지닌 탄성력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댐핑유닛(300)에는 외조(42)의 아래부분의 외측에 형성되는 홀더(44)가 얹혀진다. 댐핑유닛(300)에는 홀더(44)를 통해 세탁조(40)의 하중 및 세탁조(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된다. 따라서, 댐핑유닛(300)에 홀더(44)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230)가 압축되고, 탄성부재(230)가 지닌 탄성력에 의해 댐핑유닛(300)이 지지로드(200)를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댐핑유닛(300)은 지지로드(200)와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조(40)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230)를 가압해 탄성부재(230)의 거동에 따라 댐핑유닛(3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댐핑유닛(300)이 지지로드(200)와의 사이에 가지는 마찰력이 탄성부재(230)의 거동을 감쇄시킴으로 댐핑유닛(300)이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즉, 세탁조(40)의 하중 및 세탁조(40)에서 생성된 외력은 댐핑유닛(300)으로 전달된다. 댐핑유닛(300)은 탄성부재(230)의 탄성력과 댐핑유닛(300) 자체가 지지로드(200)와의 사이에 가지는 마찰력이 조화를 이룸으로써 세탁조(40)로부터 전달된 외력을 감쇄시킨다.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300)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3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유닛(300)은 캡(310), 하우징(320) 및 마찰부재(330)를 포함한다.
캡(310) 및 하우징(320)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캡(310) 및 하우징(3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은 격실(324)이라 정의한다.
캡(310)과 하우징(320)에는 각각 지지로드(200)가 관통하는 제1관통구(312) 및 제2관통구(3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로드(200)는 캡(310)과 하우징(320)을 관통하고, 격실(324) 내부를 통과한다.
캡(310)과 하우징(320)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고, 캡(310)과 하우징(320)이 접하는 부분에 상호 치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지지로드(200)는 결합부(210)가 형성된 일단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지지부재(220)가 결합된 타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캡(310)은 결합부(210)와 인접하고, 하우징(320)은 지지부재(22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는 외조(42)에 형성되는 홀더(44)가 캡(310)에 얹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캡(310)은 그 외측둘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진다. 캡(310)의 외측면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지니고, 이러한 캡(310)의 형상은 홀더(44)가 접해 하중을 가하며 얹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320)은 내측에 격실(324)이 형성되고, 격실(324)의 적어도 일부가 캡(310)을 통해 폐쇄될 수 있다.
하우징(320)은 상기 캡(310)이 결합되는 측과 반대편에 탄성부재(230)와 접하는 단턱(322)이 형성된다. 탄성부재(230)와 접하는 단턱(322)은 하우징(320)의 외형 중 일부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탄성부재(230)가 지지부재(220)와 하우징(320) 사이에 개재된다.
격실(324)은 지지로드(200)가 그 내부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체적을 지니고, 지지로드(200)의 주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마찰부재(330)는 지지로드(200)의 외주연과 접하고, 지지로드(200)의 외측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마찰부재(330)는 마찰부재(330)의 외측둘레에 결합되며, 마찰부재(330)를 지지부재(220)를 향해 가압하는 고정가이드(340)를 통해 지지로드(200)에 결합될 수 있다.
마찰부재(330)는 면접촉을 통해 마찰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는 고무, 섬유 또는 펠트(fel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마찰부재(330)는 외력에 의해 그 외형이 변형될 수 있고, 소정의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고정가이드(340)는 마찰부재(330)의 외측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마찰부재(330)가 지지로드(200)와 접할 수 있게 가압한다.
그리고, 마찰부재(330)는 격실(324)의 측벽과는 이격되나 지지로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끝이 캡(310) 및 하우징(320)의 내측면과 접한다.
따라서, 세탁조(40)의 하중 및 진동이 캡(310)에 가해지면 캡(310)은 지지로드(200)를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캡(310)은 탄성부재(230)를 가압함과 아울러 마찰부재(330)도 가압하게 된다. 마찰부재(330)는 격실(324) 내부에서 지지로드(200)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있으므로, 마찰부재(330)와 지지로드(200)에는 그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에따라, 탄성부재(230)의 탄성력과 함께 마찰부재(330)와 지지로드(2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통해 세탁조(4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 구체적으로 세탁조(40)의 하중 및 진동이 감쇄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격실(324)에 윤활제가 충전된다. 윤활제는 방열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마찰부재(330)와 지지로드(2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일부 완화시킨다. 따라서, 서스펜션어셈블리(100)를 통한 진동 및 충격의 감쇄가 보다 부드럽게 수행되고, 마찰에 관여하는 부품들의 수명이 연장된다.
그리고, 캡(310)에 형성되는 제1관통구(312)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마찰턱(314)이 격실(324)을 향해 돌출된다. 제1마찰턱(314)은 마찰부재(330)와 접한다.
하우징(320)에 형성되는 제2관통구(326)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2마찰턱(328)이 격실(324)을 향해 돌출된다. 제2마찰턱(328)은 마찰부재(330)의 다른 쪽과 접한다.
따라서, 마찰부재(330)는 도 7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그 상단이 제1마찰턱(314)과, 그 하단은 제2마찰턱(328)과 접한다. 이는 마찰부재(330)가 지지로드(200)와 접해 마찰되는 과정에서 마찰부재(330)가 지지로드(2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제1마찰턱(314) 및 제2마찰턱(328)은 마찰부재(330)와 접하는 부분의 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5의 B-B'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격실(324) 내부에서 지지로드(200)의 외측둘레에 마찰부재(330)가 결합되는 몇 가지 예를 도시한 것이다.
마찰부재(330)는 고정가이드(340)에 구속되어 지지로드(200)의 외주연에 밀착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로드(200)의 외측둘레에는 마찰부재(330)가 면접한다. 마찰부재(330)는 고정가이드(340)를 통해 그 외측둘레가 구속되고, 고정가이드(340)는 마찰부재(330)보다 강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마찰부재(330)를 지지로드(200)를 향해 가압한다.
고정가이드(3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330)의 외측둘레 중 일부만을 감쌀 수 있다. 고정가이드(340)는 그 단면의 형상이 'C'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마찰부재(330)를 지지로드(200)의 외측면에 조립하는 과정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가이드(340)를 위해 사용되는 소재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가이드(340)는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다수 개의 확장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돌기(342)는 격실(324)의 내벽과 인접하게 형성되나 격실(324)의 내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이는 댐핑유닛(300)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댐핑유닛(300) 또는 지지로드(200)가 외력에 의해 진동하는 과정에서 댐핑유닛(300)과 지지로드(200)가 지탱할 수 있는 크기보다 더 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확장돌기(342)가 댐핑유닛(300)의 이동을 막아 보호한다. 이는, 정해진 외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댐핑유닛(300)과 지지로드(200)가 정해진 결합관계 및 수인할 수 있는 변형한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가이드(340)는 그 내측둘레에 경계벽(344)이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경계벽(344)은 고정가이드(340)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마찰부재(330)의 이동을 제한한다. 경계벽(344)은 다수 개의 마찰부재(330)를 고정가이드(340) 내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는 마찰부재(330)의 소재를 절약함과 아울러 조립성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마찰부재(330)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330)는 양면이 넓고 소정의 두께를 지닌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부재(330)는 지지로드(200)와 접하는 일면에 돌출되거나 일부 함몰된 형태를 지닌 요철부(336), 요철패턴(338)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336)는 다수 개가 마련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태의 돌출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요철패턴(338)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태가 미리 정해진 패턴형태로 형성된다. 요철패턴(338)은 격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물결무늬를 이루는 등 특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336)는 다수 개의 함몰된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요철부(336) 및 요철패턴(338)은 마찰이 일어나는 마찰부재(330)의 일면에 형성되고, 마찰부재(330)와 지지로드(2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보다 높이게 된다.
도 1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10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면 캡(310)에 세탁조(40)로부터 외력이 가해진다. 캡(310)은 세탁조(40)로부터 가해진 외력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때 탄성부재(230)는 탄성변형하여 수축된다. 댐핑유닛(300)이 지지로드(200)를 따라 아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마찰부재(330)는 지지로드(200)의 외주연과 접해 마찰하며, 마찰부재(330)와 지지로드(2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탄성부재(230)의 탄성력과 함께 작용해 세탁조(40)로부터 전달된 외력을 부드럽게 감쇄시킨다.
도 16은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서 댐핑유닛은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350)는 메인플레이트(352), 구속편(356) 및 고정편(358)을 포함한다. 메인플레이트(352)는 격실(324a)의 내측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지니고, 격실(324a)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메인플레이트(352)는 그 중심에 지지로드(200a)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제3관통구(354)를 포함한다.
따라서, 격실(324a)은 메인플레이트(352)를 기준으로 두 개의 공간으로 나뉘고, 격실(324a)의 캡(310a)과 가까운 위치는 제1마찰부재(33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마찰부재(332)는 지지로드(200a)와 면접하며 감싸도록 배치되고, 고정가이드(340a)를 통해 고정된다. 제1마찰부재(332)의 상단은 제1마찰턱(314a)과 접하고, 하단은 메인플레이트(352)의 제3관통구(354) 주변에 형성되는 제2마찰턱(328a)과 접한다. 제1마찰부재(332)의 주변은 윤활제로 채워진다.
메인플레이트(352)는 도 17을 기준으로 아래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구속편(356) 및 고정편(358)을 포함한다. 구속편(356)은 제2마찰부재(334)의 둘레를 감싸 제2마찰부재(334)가 지지로드(200a)와 밀착되도록 한다. 고정편(358)은 하우징(320a)에 형성되는 고정구(329)를 통과해 고정된다. 구속편(356) 및 고정편(358)은 다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고정편(358)은 고정구(329)를 통과해 하우징(320a)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고정편(358)은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끝단에 걸림턱이 마련되어 하우징(320a)의 외벽에 걸림으로써 격실(324a)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개시되는 내용의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본체 20:탑커버
22: 도어 24: 컨트롤패널
30: 베이스 32: 레그
40: 세탁조 42: 외조
44: 홀더 46: 내조
50: 구동부 60: 배수부
62: 배수유로 64: 배수밸브
66: 배수펌프
100: 서스펜션어셈블리 200: 지지로드
210: 결합부 220: 지지부재
230: 탄성부재
300: 댐핑유닛 310: 캡
312: 제1관통구 314: 제1마찰턱
320: 하우징 322: 단턱
324: 격실 326: 제2관통구
328: 제2마찰턱 329: 고정구
330: 마찰부재 332: 제1마찰부재
334: 제2마찰부재 336: 요철부
338: 요철패턴 340: 고정가이드
342: 확장돌기 344:경계벽
350: 서포터 352: 메인플레이트
354: 제3관통구 356: 구속편
358: 고정편

Claims (1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조;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세탁조가 지지되도록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지지로드를 둘러싼 공간인 격실을 형성하며, 상기 격실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로드와 접하는 마찰부재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댐핑유닛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댐핑유닛이 상기 지지부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변형 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는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의 외측둘레는 상기 세탁조에 구비되는 홀더와 접해 상기 세탁조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탄성유닛에 전달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제1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탁조에 구비되는 홀더와 접해 상기 세탁조의 하중이 전달되는 캡; 및
    상기 캡과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격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제2관통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접하는 단턱이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를 적어도 일부 감싸며,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제1관통구, 상기 격실 및 상기 제2관통구를 통과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에는 윤활제가 충전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면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가하며 접하도록 상기 마찰부재의 외측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지지로드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는 이격되는 복수 개의 확장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지지로드와 접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가이드는,
    각각의 상기 마찰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경계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가이드의 내주연에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벽;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제1관통구의 둘레에 상기 마찰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제1마찰턱; 및
    상기 제2관통구의 둘레에 상기 마찰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제2마찰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마찰턱 및 상기 제2마찰턱은 상기 마찰부재의 대향되는 양단에 각각 접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턱 및 상기 제2마찰턱은 각각 상기 마찰부재와 접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지지로드와 접하는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요철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지지로드와 접하는 일면에 파인 홈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철패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패턴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배치된 장홈으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
  14.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조; 및
    상기 본체와 세탁조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고, 윤활제가 충전되는 격실을 형성하고,
    상기 격실에는,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되, 상기 격실의 측벽과는 이격되는 제1마찰부재와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를 감싸되, 상기 격실의 측벽과 이격없이 접하는 제2마찰부재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마찰부재 및 상기 제2마찰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마찰부재의 외측둘레 적어도 일부를 감싸 상기 제2마찰부재를 상기 지지로드에 압착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는 제3관통구가 형성되고,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격실을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마찰부재의 외측둘레를 상기 지지로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구속편;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된 세탁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를 감싸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본체의 하중이 걸려 지지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본체와 접해 상기 본체의 하중이 전달되는 캡; 및
    상기 캡과 결합되되 상기 캡과의 사이에 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격실에는 상기 격실을 통과하는 지지로드의 외측둘레를 가압하는 마찰부재가 배치되며, 윤활제가 충전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10209A 2019-09-05 2019-09-05 의류처리장치 KR20210028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209A KR20210028982A (ko) 2019-09-05 2019-09-05 의류처리장치
US16/938,151 US11499260B2 (en) 2019-09-05 2020-07-24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010795507.6A CN112442849B (zh) 2019-09-05 2020-08-10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209A KR20210028982A (ko) 2019-09-05 2019-09-0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982A true KR20210028982A (ko) 2021-03-15

Family

ID=7473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209A KR20210028982A (ko) 2019-09-05 2019-09-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99260B2 (ko)
KR (1) KR20210028982A (ko)
CN (1) CN1124428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9578B2 (en) * 2019-10-28 2023-05-16 Suspa Gmbh Suspension damper with fluid contaminant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535A (ko) 1997-05-23 1998-12-05 구자홍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KR100437062B1 (ko) * 1999-06-01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댐퍼 장치
CN101356309A (zh) 2006-03-17 2009-01-28 三菱电机株式会社 洗涤机
WO2011159127A2 (en) 2010-06-17 2011-12-2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20120072833A (ko) 2010-12-24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현가 장치
KR20120029853A (ko) 2010-09-17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342650B1 (ko) 2012-02-22 2013-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이중댐퍼
US20160024705A1 (en) * 2013-03-13 2016-01-28 Suspa Gmbh Non-cylindrical damping element suspension
KR20150081742A (ko)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754683B1 (ko) * 2014-07-11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9963814B2 (en) 2014-07-11 2018-05-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20210028515A (ko) 2019-09-04 2021-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스펜션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99260B2 (en) 2022-11-15
CN112442849B (zh) 2023-03-14
CN112442849A (zh) 2021-03-05
US20210071339A1 (en)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567B2 (en) Damper for washing machine
CN102971457B (zh) 洗衣机
RU26320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9797081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suspension system
US7412852B2 (en) Washer damper thereof,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97820B1 (ko) 의류처리장치
TW564276B (en) Drum washing machine
US1016107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060075791A1 (en) Washing machine
US20140060120A1 (en) Washing machine
US20160010260A1 (en) Washing machine
KR101342650B1 (ko) 세탁기의 이중댐퍼
US20160010261A1 (en) Washing machine
US20040148976A1 (en) Damper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210028982A (ko) 의류처리장치
RU26320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20150054163A (ko) 세탁기용 현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RU26316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2133190B1 (ko) 세탁기 및 그 제조방법
US1168603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84298B1 (ko) 수평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214865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85977B1 (ko) 드럼세탁기
KR100587306B1 (ko) 세탁기의 댐핑장치
KR20070064022A (ko) 드럼세탁기의 댐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