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847A -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847A
KR20210028847A KR1020190109894A KR20190109894A KR20210028847A KR 20210028847 A KR20210028847 A KR 20210028847A KR 1020190109894 A KR1020190109894 A KR 1020190109894A KR 20190109894 A KR20190109894 A KR 20190109894A KR 20210028847 A KR20210028847 A KR 2021002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fine dust
exhaust devic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식
신동준
김광원
Original Assignee
(주)대양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대양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19010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847A/ko
Priority to PCT/KR2019/015496 priority patent/WO2021045314A1/ko
Publication of KR2021002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서 공기청정장치와 환기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면서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에 의하면 수막식으로 형성되어 프리필터만 세척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고, 헤파필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막식 및 이오나이저를 통해서 완벽하게 미세먼지를 제거해줄 수 있으며, 환기장치에 미세먼지나 황사 등을 제거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를 실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게 장치를 하나 설치한 후에 공기정화장치만 설치하면 공조와 공기청정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편리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AIR CONDITION SYSTEM OF MICRO DUST REMOVE AND INPROVEMENT OF AIR QUILITY }
본 발명은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서 공기청정장치와 환기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면서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밀폐된 공간 특별히 건물의 실내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 덕트가 설치되어 설치되는 것이 환기장치 또는 환기시스템이다.
최근에 환기장치는 내부의 오염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여 환기시키는 환기장치와 실내오염공기를 가지고 신선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공기청정장치가 따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천정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실내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각 작동하게 된다.
최근에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고, 미세먼지가 발생하게 되면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게 된다.
종래에는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제공되는데,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061709호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은 천장 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실내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실외공기 및 실내오염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와, 상기 실내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토출하는 배기흡입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터보팬; 일단은 실외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안내하는 급기덕트; 일단은 실외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연통되게 설치되어, 실내오염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덕트 또는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을 상기 토출부 측으로 안내하는 공기가이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덕트측 토출구와 배기흡입부 사이를 구획 짓도록 설치된 차단부; 상기 급기덕트와 케이스가 연통된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공기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급기댐퍼; 및 상기 케이스 내부 중 상기 토출부가 형성된 상단 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실외공기 및 실내오염공기를 신선한 상태로 정화시키는 공기청정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과 환기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공기필터를 계속하여 교환하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어렵다.
(2) 최근 문제가 되는 미세먼지를 걸러주지 못하고, 미세먼지를 위한 별도 필터를 장착할 수 없다.
(3) 환기장치의 본래의 기능에만 부각되어 환기만을 시킬 수 있어서 미세먼지나 세균등의 공기질에 대한 부분에는 취약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급배기장치와; 상기 급배기장치를 통해서 덕트를 따라 내부로 연결되는 공기정화장치와; 상기 공기정화장치와 이격되도록 흡입하는 흡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급배기장치에서 급기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공기정화장치의 측면에 급기부가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공기정화장치는 내부공기를 끌어들여서 공기정화한 후에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공기정화장치의 측면에 급기부와 환기부가 각각 형성되어 하나의 시스템에 공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수막식으로 형성되어 프리필터만 세척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2) 헤파필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막식 및 이오나이저를 통해서 완벽하게 미세먼지를 제거해줄 수 있다.
(3) 환기장치에 미세먼지나 황사 등을 제거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를 실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4) 간단하게 장치를 하나만 설치하면 공조와 공기청정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의 급배기장치의 개념사시도.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급배기장치(100)와; 상기 급배기장치를 통해서 덕트를 따라 내부로 연결되는 공기정화장치(200)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00)와 이격되도록 흡입하는 흡기부(270)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는 급배기장치(100)에서 급기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배기장치(100)는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사각형의 열교환박스(110)가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박스(110)의 모서리와 내측으로 공간을 분리하는 4개의 분리판(102)이 각각 형성되어 각각 외기부(120), 배기부(130), 급기부(140), 환기부(150)를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기부(120)에는 외기관(121)이 형성되고, 상기 외기관(121)의 안쪽에는 프리필터와 이오나이저가 형성된 필터부(122)와, 상기 외기부(120) 쪽 열교환박스(110)의 전방에는 수막형집진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수막형집진부(123)는 얇은 합성수지재 박판에 상부에서 미세하게 물을 흘려주어 수막을 형성하고, 외부공기를 이부분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미세먼지나 황사를 집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수막형집진부(123)는 평판의 상단에 노즐이 형성되고, 수조(123a)로 부터 수로관(123b)을 따라 이송된 물이 자중에 의해서 평판을 따라 흐르면서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외기는 필터부(122)의 이오나이저에 의해서 미세먼지의 입자가 크게 되어 쉽게 수막에 부착될 수 있어서 제거효율이 매우 높다.
상기 급배기장치(100)는 급기부(140)와 환기부(150)를 연통시키고, 급기관(141)과 배기관(131)의 출입을 차단하면 외기를 유입하지 않는 공기청정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오나이저는 마이크로 탄소섬유 방전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오존의 발생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음이온을 방사할 수 있도 록 형성된다.
상기 급기부(140)의 끝단에는 급기관(141)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관(141)은 덕트를 통해서 실내의 공기정화장치(200)로 외기를 공급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는 내부에 별도의 팬을 형성하고, 실내 공기를 빨아드려서 공기를 정화시키고 측면으로 공기를 내보내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200)에 사용되는 필터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미세먼지, 세균 및 냄새 등을 잘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공기정화장치(200)의 측면에 공기유입부(250)가 형성되어 급배기장치(100)로 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유입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정화장치는 내부공기 만을 끌어들여서 공기정화한 후에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공기정화장치(200)의 측면에 공기유입부(250)와 환기부(270)가 각각 형성되어 하나의 시스템에 공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에 이미 덕트가 형성되고, 외부에 급배기장치(100)가 형성되어 있는 환경에서 실내에는 공기정화장치(200)를 설치하고, 공기유입부(250)와 환기부(27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공기정화장치(200)에 급배기장치(100)의 급기관(141)을 덕트로 연결하여 사용하되, 공기정화장치만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급배기장치(100)는 급기부(140)와 환기부(150)를 연통시키고, 급기관(141)과 배기관(131)의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면 외기를 유입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급배기장치(100)와 공기정화장치(200)의 측면에 별도로 형성되는 공기유입부(250)와 연결되고, 환기부(270)는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환기부(270)를 통해서 실내오염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급배기장치(100)와 공기정화장치(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공기유입부(250)와 환기부(270)와 연결되어, 공기조화 및 공기정화가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에 의하면 수막식으로 형성되어 프리필터만 세척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고, 헤파필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막식 및 이오나이저를 통해서 완벽하게 미세먼지를 제거해줄 수 있으며, 환기장치에 미세먼지나 황사 등을 제거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를 실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게 장치를 하나 설치한 후에 공기정화장치만 설치하면 공조와 공기청정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편리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급배기장치 102 : 분리판
110 : 열교환박스 120 : 외기부
121 : 외기관 122 : 필터부
123 : 수막형집진부 123a: 수조
123b: 수로관 130 : 배기부
131 : 배기관 140 : 급기부
141 : 급기관 150 : 환기부
200 : 공기정화장치 250 : 공기유입부
270 : 흡기부

Claims (5)

  1.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급배기장치(100)와; 상기 급배기장치를 통해서 덕트를 따라 내부로 연결되는 공기정화장치(200)로 형성되되,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는 급배기장치(100)에서 급기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2.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급배기장치(100)와; 상기 급배기장치를 통해서 덕트를 따라 내부로 연결되는 공기정화장치(200)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00)와 이격되도록 흡입하는 흡기부(270)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는 급배기장치(100)에서 급기된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3.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급배기장치(100)와; 상기 급배기장치를 통해서 덕트를 따라 내부로 연결되는 공기정화장치(200)로 형성되되,
    상기 공기정화장치(200)의 양측에는 공기유입부(250)와 환기부(270)가 형성되어 급배기장치(100)에서 급기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장치(100)는 급기부(140)와 환기부(150)를 연통시키고, 급기관(141)과 배기관(131)의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면 외기를 유입하지 않도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장치(100)는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사각형의 열교환박스(110)가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박스(110)의 모서리와 내측으로 공간을 분리하는 4개의 분리판(102)이 각각 형성되어 각각 외기부(120), 배기부(130), 급기부(140), 환기부(150)를 구성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외기부(120)에는 외기관(121)이 형성되고, 상기 외기관(121)의 안쪽에는 프리필터와 이오나이저가 형성된 필터부(122)와, 상기 외기부(120) 쪽 열교환박스(110)의 전방에는 수막형집진부(1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20190109894A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KR20210028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94A KR20210028847A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PCT/KR2019/015496 WO2021045314A1 (ko) 2019-09-05 2019-11-14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94A KR20210028847A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47A true KR20210028847A (ko) 2021-03-15

Family

ID=7485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894A KR20210028847A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8847A (ko)
WO (1) WO20210453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251B1 (ko) * 2004-06-24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0617079B1 (ko) * 2005-02-07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JP6167297B2 (ja) * 2013-07-25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換気装置
KR101638065B1 (ko) * 2015-09-07 2016-07-08 대림산업 주식회사 바이패스와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형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외 공기의 급배기방법
KR101958253B1 (ko) * 2018-10-18 2019-07-04 청정테크주식회사 집진모듈 교체형 수막형 공기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314A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US7497771B2 (en) Ventilating system
KR101921206B1 (ko)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KR101518624B1 (ko) 환기형 공기정화장치
KR10055643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2175153B1 (ko) 환기겸용 실내공기정화시스템
KR102036283B1 (ko) 공기질에 따른 가변형 환기 장치
KR20210063916A (ko) 공기청정형 디퓨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기청정시스템
KR102307537B1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101597324B1 (ko) 공기조화기
KR102111216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KR101892873B1 (ko) 특수필터 유닛을 구비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 고효율 천장설치형 환기장치
KR20130020164A (ko) 푸시팬과 풀팬 혼합형 공기청정시스템
KR20210028847A (ko) 미세먼지제거 및 실내 공기질향상을 위한 공기청정시스템
JP2551923Y2 (ja) クリーンルーム
KR100519301B1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CN115076829A (zh) 多隔室负压空气过滤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20200068438A (ko) 실내 하류공기를 배기하는 창문형 열교환 공기정화 시스템
JP2009092260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WO201214086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2116370B1 (ko) 공기청정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