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700A - Displayport 대체 모드 통신의 검출 - Google Patents

Displayport 대체 모드 통신의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700A
KR20210028700A KR1020217003879A KR20217003879A KR20210028700A KR 20210028700 A KR20210028700 A KR 20210028700A KR 1020217003879 A KR1020217003879 A KR 1020217003879A KR 20217003879 A KR20217003879 A KR 20217003879A KR 20210028700 A KR20210028700 A KR 2021002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entation
connector plug
usb type
pin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에드워드 웬트로블
수잔 메리 비닝
하산 오마르 앨리
Original Assignee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9Mechan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USB 타입-C, 그리고, 특히, USB 타입-C 환경에서의 DisplayPort 대체 모드 통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10)는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고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120)의 배향을 결정한다. 멀티플렉서(142a)는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120)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DisplayPort 송신을 멀티플렉싱한다.

Description

DISPLAYPORT 대체 모드 통신의 검출
이것은 일반적으로 USB 타입-C, 그리고, 특히, USB 타입-C 환경에서의 DisplayPort 대체 모드 통신에 관한 것이다.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는 퍼스널 컴퓨터들, 디지털 전화 라인들, 모니터들, 모뎀들, 마우스들, 프린터들, 스캐너들, 게임 제어기들, 키보드들, 저장 디바이스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매우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어태치(attach)하기 위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이다.
USB 타입-C는 USB 엄브렐러(umbrella) 하의 새로운 표준이다. USB 타입-C 커넥터는 전력, 데이터, 및 비디오를 동시에 지원한다. 타입-C 커넥터는 최대 100W의 전력 전달, 최대 10Gbps의 USB SuperSpeed+(SS+) 데이터 전송 및 최대 8.1Gbps의 DisplayPort 대체 모드(DP Alt 모드) 비디오를 지원한다. DP Alt 모드 비디오에 부가적으로, 타입-C 커넥터는 MHL, HDMI, 및 썬더볼트(Thunderbolt)와 같은 다양한 다른 DP Alt 모드 비디오 및 데이터 표준들을 지원한다.
USB 타입-C 커넥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USB 타입-C 디바이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USB 타입-C 디바이스에서의 멀티플렉서는 동작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력 분배(Power Distribution)(PD) 제어기에 크게 의존한다. 그러한 이유로, PD 제어기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구성 핀들을 통해 멀티플렉서를 제어해야 한다. 이 타입의 동작은 멀티플렉서 및 PD 제어기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부담을 부과시킨다. 더욱이, PD 제어기와 멀티플렉서 양측 모두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해 전용 핀들이 이용가능해질 필요가 있고, PD 제어기는 그의 펌웨어 및 다른 프로그래밍 리소스들에 멀티플렉서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원격 부속 카드들, 케이블들, 또는 모듈들의 시나리오에서, PD 제어기와 멀티플렉서를 연결하기 위해 길고 비용-비효율적인 케이블링(cabling)이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고 범용 직렬 버스(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orientation)을 결정한다. 멀티플렉서는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DisplayPort 송신을 멀티플렉싱한다.
도 1은 USB 타입-C 커넥터를 통해 정보를 USB 타입-C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와 교환하는 USB 타입-C 소스 디바이스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2는 USB 타입-C 커넥터 핀아웃을 예시한다.
도 3은 정상 커넥터 플러그 배향으로의 USB 타입-C 소스 디바이스와 USB 타입-C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4는 반전된 커넥터 플러그 배향으로의 USB 타입-C 소스 디바이스와 USB 타입-C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5는 DisplayPort 대체 모드 송신 및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본 개시내용은 범용 직렬 버스(USB) 타입-C DisplayPort 대체 모드 및 커넥터의 배향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고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한다. 멀티플렉서는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DisplayPort 송신을 멀티플렉싱한다.
본 개시내용은 몇몇 기술적 이점들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방법의 기술적 이점들은, 전력 분배(PD) 제어기와 멀티플렉서 양측 모두에 대한 구성 핀들과 같은 하드웨어 리소스들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 그리고 양측 모두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긴 케이블링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리소스들의 양을 감소시키면 USB 타입-C 디바이스의 형태 사이즈를 또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 방법의 다른 기술적 이점은, PD 제어기 그리고 또한 USB 타입-C 디바이스에 대한 소프트웨어 부담을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USB 타입-C 커넥터(120)를 통해 정보를 USB 타입-C 싱크 디바이스(130)와 교환하는 USB 타입-C 소스 디바이스(110)의 시스템 아키텍처(100)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110)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a), 멀티플렉서(142a), PD 제어기(144a), 리셉터클(receptacle)(146a), 파워 서플라이(148a), USB 디바이스(150a), 및 DisplayPort(DP) 소스(152)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110)는, USB 타입-C와 호환가능한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DisplayPort 대체 모드(DP Alt 모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130)에 송신할 수 있다. 더욱이, 소스 디바이스(110)는 싱크 디바이스(130)로부터 DP Alt 모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130)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b), 멀티플렉서(142b), PD 제어기(144b), 리셉터클(146b), 파워 서플라이(148b), USB 디바이스(150b), 및 DP 싱크(154)를 포함한다. 싱크 디바이스(130)는, USB 타입-C와 호환가능한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130)에 대한 DP Alt 모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싱크 디바이스(130)는 DP Alt 모드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DP Alt 모드를 검출하고 플러그의 배향을 또한 검출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회로부, 및/또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42)와는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예시되었지만,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멀티플렉서(142), PD 제어기(144), 및/또는 소스 디바이스(110)에 포함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회로부, 및/또는 로직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소스 디바이스(110)의 외부에 있다.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소스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a)) 또는 싱크 디바이스(130)(예를 들어,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b))에서 구현될 때 유사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42)는, 몇몇 입력 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입력을 그의 적절한 내부 포트로 멀티플렉싱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회로부, 및/또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42)는 리셉터클(146)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그 신호를 USB 호스트(150) 및/또는 DP Alt 모드 소스(152)에 적절히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 추가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142)는 커넥터(120)의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수신된 신호의 멀티플렉싱을 변경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42)는 소스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멀티플렉서(142a)) 또는 싱크 디바이스(130)(예를 들어, 멀티플렉서(142b))에서 구현될 때 유사할 수 있다.
특히, 멀티플렉서(142)는 측파대 시그널링(예를 들어, 제1 측파대(first sideband)(SBU1) 신호 및 제2 측파대(second sideband)(SBU2) 신호)을 그의 각각의 포지티브 보조 및/또는 네거티브 보조 포트들에 연결한다. 예를 들어, 멀티플렉서(142)는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인지 또는 싱크 디바이스인지에 기초하여 그리고 커넥터 플러그 배향이 정상인지 또는 반전된인지에 기초하여 SBU1 및 SBU2 시그널링을 그의 각각의 포지티브 및/또는 네거티브 보조 포트들에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멀티플렉서(142)는 다음의 방식으로 SBU1 및 SBU2 시그널링을 그의 각각의 포지티브 및/또는 네거티브 보조 포트들에 연결할 수 있다:
표 1: 커넥터 배향에 기초하는 송신
Figure pct00001
타입-C 에코시스템이 의도된 대로 작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과 타입-C 포트(다운스트림 대향 포트 또는 업스트림 대향 포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디오, 및 AUX 신호들을 적절한 타입-C 커넥터 핀들로 지향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고속 USB 데이터, 비디오, 및 보조 시그널링을 적절한 핀들로 지향시키기 위해 멀티플렉서(142)가 필요하다. 이 태스크를 적절히 완료하기 위해, 멀티플렉서(142)는 DP Alt 모드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인식하고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검출해야 한다.
PD 제어기(144)는 USB PD 사양에 정의된 기능성들을 구현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10)의 호스트 제어기는 전력 전달을 위해 PD 제어기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커맨드들은 데이터 라인과 클록 라인을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PD 제어기(144)는 소스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PD 제어기(144a)) 또는 싱크 디바이스(130)(예를 들어, PD 제어기(144b))에서 구현될 때 유사할 수 있다.
리셉터클(146)은, 커넥터(120)를 통해 데이터, 전력, 및/또는 비디오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임의의 타입의 핀아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146a)은 커넥터(120)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10)로부터의 DP Alt 모드 비디오 정보, USB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셉터클(146b)은 커넥터(120)를 통해 싱크 디바이스(130)에 대한 DP Alt 모드 비디오 정보, USB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리셉터클(146)에서의 핀아웃들은 도 2에서 추가로 자세히 기술된다. 리셉터클(146)은 소스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리셉터클(146a)) 또는 싱크 디바이스(130)(예를 들어, 리셉터클(146b))에서 구현될 때 유사할 수 있다.
USB 디바이스(150)는, USB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 회로부, 및/또는 로직일 수 있다. USB 디바이스(150)는 소스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USB 디바이스(150a)) 또는 싱크 디바이스(130)(예를 들어, USB 디바이스(150b))에서 구현될 때 유사할 수 있다.
DP 소스(152)는, DP Alt 모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 회로부, 및/또는 로직일 수 있다. DP Alt 모드는 USB 타입-C 인터페이스의 대체 모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하나의 커넥터에서 비디오, SuperSpeed USB, 및 전력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120)는, 소스 디바이스(110)와 싱크 디바이스(130)를 연결하는 임의의 타입의 커넥터일 수 있다. 특히, 커넥터(120)는 소스 디바이스(110)의 리셉터클(146a) 및 싱크 디바이스(130)의 리셉터클(146b)에 플러그 연결된다. 커넥터(120)는 USB 타입-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력, 및/또는 비디오의 전송을 지원한다. 특히 커넥터(120)는 alt 모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120)는 커넥터의 각각의 단부가 소스 디바이스(110)의 리셉터클(146a) 및/또는 싱크 디바이스(130)의 리셉터클(146b)에 플러그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역적일 수 있다. 더욱이, 커넥터(120)는 정상 배향 또는 반전된 배향 중 어느 하나로 리셉터클(146)에 플러그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110)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a), 멀티플렉서(142a), 리셉터클(146a), 파워 서플라이(148a), USB 디바이스(150a), 및 DP 소스(152)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110)는, USB 타입-C와 호환가능한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110)로부터 DP Alt 모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130)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b), 멀티플렉서(142b), 리셉터클(146b), 파워 서플라이(148b), USB 디바이스(150b), 및 DP 싱크(154)를 포함한다. 싱크 디바이스(130)는, USB 타입-C와 호환가능한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110)로부터 DP Alt 모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멀티플렉서(142)는 PD 제어기(142)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멀티플렉서(142)는 DP Alt 모드가 존재하는지를 그리고/또는 커넥터(120)의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표시하는 시그널링을 PD 제어기(142)로부터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에,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DP Alt 모드가 존재하는지를 그리고/또는 커넥터(120)의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멀티플렉서(142)에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소스 디바이스(110) 및/또는 싱크 디바이스(130)는 PD 제어기(14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소스 디바이스(110) 및/또는 싱크 디바이스(130)는 PD 제어기(144)를 포함할 수 있지만, PD 제어기(144)는 DP Alt 모드가 존재하는지를 그리고/또는 커넥터(120)의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멀티플렉서(142)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멀티플렉서(142)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멀티플렉서(142)와는 별개일 수 있다.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핀 또는 SBU2 핀 중 어느 하나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P Alt 모드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결정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SBU1 및/또는 SBU2는 DP Alt 모드 신호들의 송신만을 단지 지원한다. 구체적으로는, SBU1 및/또는 SBU2는 특정 실시예들에서 DP Alt 모드 보조 신호 채널링으로서만 단지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가 SBU1 핀 및/또는 SBU2 핀 상에서 신호가 수신되고 있다고 결정할 때,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DP Alt 모드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디바이스의 SBU1 핀 또는 SBU2 핀 중 어느 하나에서의 하나 이상의 신호의 수신을 검출함으로써 DP Alt 모드의 존재 및/또는 부존재를 검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핀 또는 SBU2 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포지티브 보조물(positive auxiliary)에서 그리고/또는 SBU2 핀의 SBU1 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네거티브 보조물에서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핀 또는 SBU2 핀 중 어느 하나 상에서 풀업(pull up)(예를 들어, 고전압)을 검출함으로써 SBU1 핀 또는 SBU2 핀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10)에서의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풀업 저항기를 통해 신호 송신을 표시하는 고전압을 SBU1 핀 상에서 검출함으로써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싱크 디바이스(130)에서의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풀업 저항기를 통해 신호 송신을 표시하는 고전압을 SBU2 핀 상에서 검출함으로써 신호 송신을 검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 및/또는 멀티플렉서(142)는 디바이스에서의 핀, 메모리, 및/또는 레지스터를 통해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 및/또는 멀티플렉서(142)가 소스 디바이스 또는 싱크 디바이스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보조 신호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에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디스플레이 포트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USB 데이터 라인을 스누핑한다. USB 데이터 라인은 USB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저주파 폴링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DP Alt 모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USB 데이터 라인은 저주파 폴링 시그널링을 통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저주파 주기적 시그널링 신호들 없이 고속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DP Alt 모드 정보가 그 후에 USB 데이터 라인에 걸쳐 전송되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USB 데이터 라인에 걸쳐 DP Alt 모드 정보를 제출함으로써,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통신이 DP Alt 모드 4-레인이라고 결정한다. DP Alt 모드 4-레인은 커넥터(120)에 걸쳐 4개의 DisplayPort 레인들을 반송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저속 신호 및 저주파 주기적 시그널링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DP Alt 모드 정보가 USB 데이터 라인에 걸쳐 전송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다. USB 데이터 라인이 DP Alt 모드 정보를 송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통신이 DP Alt 모드 1-레인 또는 DP Alt 모드 2-레인 중 어느 하나라고 결정한다. DP Alt 모드 4-레인과는 달리, DP Alt 모드 2-레인은 커넥터(120)에 걸쳐 2개의 DisplayPort 레인들을 반송할 수 있고, DP Alt 모드 1-레인은 커넥터(120)에 걸쳐 하나의 DisplayPort 레인만을 단지 반송할 수 있다.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및/또는 SBU2 상의 신호 송신의 타입에 기초하여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또한 결정할 수 있다. 포지티브 보조물 및/또는 네거티브 보조물에서의 SBU1 및/또는 SBU2 상의 신호 송신의 타입에 기초하여,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10)에서의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신호가 포지티브 보조물에 통신된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그 후에, 커넥터(120)가 정상 배향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스 디바이스(110)에서의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이 네거티브 보조물에 통신된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그 후에, 커넥터(120)가 반전된 배향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예로서, 싱크 디바이스(130)에서의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신호가 네거티브 보조물에 통신된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 후에,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커넥터(120)가 정상 배향으로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최종 예로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신호가 포지티브 보조물에 통신된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그 후에, 커넥터(120)가 반전된 배향으로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다음의 표는 커넥터(120)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자동 추정 디바이스(140)에 의해 사용되는 조건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표 2: 커넥터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로직
Figure pct00002
특정 실시예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보조 신호를 스누핑하는 것에 기초하여 DP Alt 모드의 존재 및/또는 커넥터(120)의 배향을 검출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DP Alt 모드가 존재할 때마다, DP Alt 모드 신호들은 보조 채널을 통해 통신된다. 보조 채널 스누핑을 수행함으로써, 유효한 보조물이 검출될 때 DP Alt 모드의 존재가 확립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커넥터(120)의 배향은 보조 신호의 프리앰블(preamble)을 분석함으로써 결정된다.
더욱이, 배향은 포지티브 보조 신호와 네거티브 보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보조 신호의 맨체스터 디코딩 스킴(Manchester decoding scheme)을 통해 검출될 수 있다. 먼저,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보조 신호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다수회의 클록 사이클들(예를 들어, 28회의 클록 사이클들)을 분석한다. 이 시점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에 대한 상태 머신이 취득 모드에 있다.
다수회의 클록 사이클들이 경과한 후에,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에 대한 상태 머신은 싱크 하이 상태 모드(Sync High State mode)로 이동한다. 싱크 하이 상태 모드에서, 맨체스터 로직은 보조 신호에서 맨체스터 위반을 탐색할 것이다. 맨체스터 위반은,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가 예상한 것과는 상이한 수신 신호 레벨이다. 예를 들어,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가 커넥터 플러그 배향이 정상이라고 가정하지만 그 대신에 로우 보조 신호(low auxiliary signal)를 수신하기 때문에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가 하이 보조 신호를 예상하고 있는 경우, 그러면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맨체스터 위반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커넥터(120)가 반전된 것을 알고 내부의 반전된 배향 플래그를 설정한다.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맨체스터 위반이 발생한 경우 그의 상태 머신을 또한 재설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싱크 하이 상태 모드 동안, 유일하게 기대되는 입력은, 1 내지 5 클록 길이들인 입력 신호이다. 1 클록 길이 미만이거나 또는 5 클록 길이들보다 더 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러면 맨체스터 위반이 발생하였고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상태 머신을 재설정할 수 있다.
그 후에, 상태 머신은 싱크 로우 상태 모드(Sync Low State mode)로 이동할 수 있다. 싱크 로우 상태 모드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유효한 로우 보조 신호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신호가 다시 하이로 변경될 때,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내부의 반전된 배향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고, 나머지 신호에 대해 보조 신호 반전이 적용될 것이다.
보조 신호의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커넥터 플러그 배향이 정상인지 또는 반전된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보조 신호에서의 제1 데이터 비트가 도달할 때까지 신호의 극성이 이미 정정되었다.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결정할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는 보조 포트 극성이다. 보조 포트 극성은 보조 신호의 제1 패킷의 극성에 기초하여 인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보조 신호를 스누핑함으로써,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보조 신호로부터 DP Alt 모드를 송신하는 레인들의 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신호 데이터 스트림은 DP Alt 모드 신호가 2개의 레인들(즉, DP 2 레인 모드) 상에서 송신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보조 신호 데이터 스트림은 DP Alt 모드 신호가 4개의 레인들(즉, DP 4 레인 모드) 상에서 송신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예외적 경우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보조 신호 데이터 스트림이 오직 하나의 레인만이 DP Alt 모드 정보를 송신하고 있음을 표시하더라도 DP 2 레인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제, 커넥터(120)의 배향의 검출, 송신된 DP Alt 모드 신호의 검출, 및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110)인지 또는 싱크 디바이스(130)인지에 관한 지식이 주어지면, 멀티플렉서(142)는 그 후에 입력 신호들을 적절한 내부 포트들로 적절히 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멀티플렉서(142)는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DP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멀티플렉서(142)는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기초하여 SBU1 핀 및/또는 SBU2 핀에서 수신된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이들 변수들에 기초하는 멀티플렉서(142)에 의한 수신된 신호들의 적절한 멀티플렉싱을 추가로 상세히 예시한다.
멀티플렉서(172)는 USB 타입-C 커넥터(120)의 배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포트 송신을 상이하게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유사하게, SBU1 핀 및/또는 SBU2 핀에서 수신된 신호는 USB 타입-C 커넥터(120)의 배향에 따라 상이하게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도 2는 USB 타입-C 커넥터 핀아웃(200)을 예시한다. USB 타입-C 커넥터 핀아웃(200)은 소스 디바이스(110)의 리셉터클(146), 싱크 디바이스(130)의 리셉터클(146), 및/또는 커넥터(120)의 커넥터 플러그에서 발견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핀아웃(200)은 접지 핀들(210a-d), TX1+/- 신호 핀들(212a-b), RX1+/- 신호 핀들(213a-b), 버스 전력 핀(214a-d), 구성 채널 핀들(216a-b), USB 데이터 핀들(218a-d), 측파대 핀들(220a-b), RX2+/- 신호 핀들(222a-b), 및 TX2+/- 신호 핀들(223a-b)을 포함한다.
정상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USB 데이터는 TX1+/- 신호 핀들(212a-b) 및 RX1+/- 신호 핀들(213a-b)을 통해 전달되고, 플립된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는, USB 데이터가 TX2+/- 신호 핀들(223a-b) 및 RX2+/- 신호 핀들(222a-b)을 통해 전달된다. DP Alt 모드 비디오의 2개의 레인들이 USB 데이터와 함께 또한 송신될 때, 정상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DP Alt 모드 비디오는 TX2+/- 신호 핀들(223a-b) 및 RX2+/- 신호 핀들(222a-b)을 통해 채널링되고, 플립된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USB 데이터는 TX1+/- 신호 핀들(212a-b) 및 RX1+/- 신호 핀들(213a-b)을 통해 이동된다. USB 데이터가 없는 경우, 4개의 차동 쌍 핀들(TX1+/-, RX1+/-, TX2+/-, 및 RX2+/-) 모두가 사용되어 DP Alt 모드 신호들의 4개의 레인들을 전송할 수 있다.
DP Alt 모드 비디오는, 타입-C 커넥터의 측파대 핀들(220a-b)을 통해 송신되는 저속 보조(AUX) 신호를 또한 수반한다. 예시된 도면에서, 측파대 핀(220a)은 SBU1 핀을 나타내고 측파대 핀(220b)은 SBU2 핀을 나타낸다. AUX 신호는 반대 극성 - 포지티브(AUXP)와 네거티브(AUXN) - 을 갖는 2개의 단일-종단 신호들로 미분된다. AUXP 및 AUXN은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 및 타입-C 커넥터가 다운스트림 대향 포트(DFP) 또는 업스트림 대향 포트(UFP) 상에 있는지에 따라 SBU1 또는 SBU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도 3은 정상 커넥터 플러그 배향으로의 USB 타입-C 소스 디바이스와 USB 타입-C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46a) 및 리셉터클(146b)은 도 2에 예시된 것과 동일한 핀 레이아웃을 공유한다.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예시되었지만, 소스 디바이스(110)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a), 멀티플렉서(142a), 및/또는 PD 제어기(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예시되었지만, 싱크 디바이스(130)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b), 멀티플렉서(142b), 및/또는 PD 제어기(144b)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예시에 의해, 리셉터클(146a 및 146b) 사이의 연결들은 알파벳 표시자들로 나타내어진다. 각각의 알파벳 표시자는 2개의 핀들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문자 'A'로 표시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146a)에서의 RX2(222)는 (문자 'A'로 또한 표시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146b)에서의 TX2(223)에 연결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110)에 대한 정상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USB 데이터(320a)는 TX1+/- 신호 핀들(212) 및 RX1+/- 신호 핀들(213)을 통해 전달되고, DP Alt 모드 정보(310a)의 2개의 레인들이 송신될 때, DP Alt 모드 정보(310a)의 2개의 레인들은 TX2+/- 신호 핀들(223) 및 RX2+/- 신호 핀들(222)을 따라 송신된다. DP Alt 모드 비디오는, 측파대 핀들(220)을 통해 송신되는 저속 AUX 신호를 또한 수반한다. 정상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AUXp(330a)는 SBU1 핀(220a)에 연결되고 AUXn(220b)은 SBU2 핀(220b)에 연결된다.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130)에 대한 정상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USB 데이터(320b)는 TX1+/- 신호 핀들(212) 및 RX1+/- 신호 핀들(213)을 통해 전달되고, DP Alt 모드 정보(310b)의 2개의 레인들이 송신될 때, DP Alt 모드 정보(310a)의 2개의 레인들은 TX2+/- 신호 핀들(223) 및 RX2+/- 신호 핀들(222)을 따라 송신된다. 소스 측(110) 상에서 전송되는 DP Alt 모드 비디오와 유사하게, DP Alt 모드 비디오는, 측파대 핀들(220a-b)을 통해 송신되는 저속 AUX 신호를 또한 수반한다. 정상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싱크 디바이스(130) 상에서 AUXp(330b)는 SBU2 핀(220b)에 연결되고 AUXn(340b)은 SBU1 핀(220a)에 연결된다.
커넥터(120)의 배향의 검출, 송신된 DP Alt 모드 신호의 검출,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110)인지 또는 싱크 디바이스(130)인지에 관한 지식이 주어지면, 멀티플렉서(142)는 그 후에, 정상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 대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들을 적절한 출력 포트들로 적절히 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반전된 커넥터 플러그 배향으로의 USB 타입-C 소스 디바이스와 USB 타입-C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46a) 및 리셉터클(146b)은 도 2에 예시된 것과 동일한 핀 레이아웃을 공유한다.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예시되었지만, 소스 디바이스(110)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a), 멀티플렉서(142a), 및/또는 PD 제어기(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예시되었지만, 싱크 디바이스(130)는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b), 멀티플렉서(142b), 및/또는 PD 제어기(144b)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예시에 의해, 리셉터클(146a 및 146b) 사이의 연결들은 알파벳 표시자들로 나타내어진다. 각각의 알파벳 표시자는 2개의 핀들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문자 'A'로 표시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146a)에서의 RX2(222a-b)는 (문자 'A'로 또한 표시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146b)에서의 TX2(223a-b)에 연결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110)에 대한 반전된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USB 데이터(320a)는 TX2+/- 신호 핀들(223a-b) 및 RX2+/- 신호 핀들(222a-b)을 통해 전달되고, DP Alt 모드 정보(310a)의 2개의 레인들이 송신될 때, DP Alt 모드 정보(310a)의 2개의 레인들은 TX1+/- 신호 핀들(212a-b) 및 RX1+/- 신호 핀들(213a-b)을 따라 송신된다. DP Alt 모드 비디오는, 측파대 핀들(220a-b)을 통해 송신되는 저속 AUX 신호를 또한 수반한다. 정상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소스 디바이스(110) 상에서 AUXp(330a)는 SBU2 핀(220b)에 연결되고 AUXn(340a)은 SBU1 핀(220a)에 연결된다.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130)에 대한 반전된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USB 데이터(320b)는 TX2+/- 신호 핀들(223a-b) 및 RX2+/- 신호 핀들(222a-b)을 통해 전달되고, DP Alt 모드 정보(310b)의 2개의 레인들이 송신될 때, DP Alt 모드 정보(310a)의 2개의 레인들은 TX1+/- 신호 핀들(212a-b) 및 RX1+/- 신호 핀들(213a-b)을 따라 송신된다. 소스 측(110) 상에서 전송되는 DP Alt 모드 비디오와 유사하게, DP Alt 모드 비디오는, 측파대 핀들(220a-b)을 통해 송신되는 저속 AUX 신호를 또한 수반한다. 반전된 타입-C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서, 싱크 디바이스(130) 상에서 AUXp(330b)는 SBU1 핀(220a)에 연결되고 AUXn(340b)은 SBU2 핀(220b)에 연결된다.
커넥터(120)의 배향의 검출, 송신된 DP Alt 모드 신호의 검출,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110)인지 또는 싱크 디바이스(130)인지에 관한 지식이 주어지면, 멀티플렉서(142)는 그 후에, 반전된 커넥터 플러그 배향에 대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들을 적절한 출력 포트들로 적절히 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DisplayPort 대체 모드 송신 및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00)을 예시한다.
이 방법은 단계 510에서 시작할 수 있고, 여기서 디바이스는 SBU1 핀 또는 SBU2 핀 중 어느 하나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Alt 모드를 결정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SBU1 핀 및/또는 SBU2 핀은 DP Alt 모드 신호들의 송신만을 단지 지원한다. 구체적으로는, SBU1 및/또는 SBU2는 특정 실시예들에서 DP Alt 모드 보조 신호 포트로서만 단지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가 SBU1 및/또는 SBU2 상에서 신호가 수신되고 있다고 결정할 때,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DP Alt 모드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핀 또는 SBU2 핀 상에서 고전압(즉, 풀업)을 검출함으로써. 대안적으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포지티브 보조물 및/또는 네거티브 보조물 상의 풀업을 검출함으로써 신호 송신을 검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그 후에 SBU1 핀 또는 SBU2 핀에서 신호 송신을 검출한다. 더욱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 및/또는 멀티플렉서(142)는 디바이스에서의 핀, 메모리, 및/또는 레지스터를 통해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 및/또는 멀티플렉서(142)가 소스 디바이스 또는 싱크 디바이스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및/또는 SBU2 상의 신호 송신에 기초하여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또한 결정할 수 있다.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보조물에서의 SBU1 그리고/또는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보조물에서의 SBU2 상의 신호 송신에 기초하여,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커넥터 플러그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10)에서의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신호가 포지티브 보조물에 통신된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그 후에, 커넥터(120)가 정상 배향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스 디바이스(110)에서의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신호가 네거티브 보조물에 통신된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그 후에, 커넥터(120)가 반전된 배향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예로서, 싱크 디바이스(130)에서의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신호가 네거티브 보조물에 통신된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 후에,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커넥터(120)가 정상 배향으로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최종 예로서,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SBU1 신호가 포지티브 보조물에 통신된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 검출 디바이스(140)는 그 후에, 커넥터(120)가 반전된 배향으로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멀티플렉서(142)는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DP 신호를 멀티플렉싱한다. 단계 540에서, 멀티플렉서(142)는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SBU1 신호 및/또는 SBU2 신호를 멀티플렉싱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 또는 예시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 또는 예시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 또는 예시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 또는 예시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언급은 적절한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괄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더욱이,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언급은 적절한 경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을 포괄할 수 있다.

Claims (20)

  1. 방법으로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측파대 사용(first sideband use)(SBU1) 핀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측파대 사용(second sideband use)(SBU2) 핀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수신된 신호의 타입을 검출함으로써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orientation)을 결정하는 단계;
    멀티플렉서에 의해, 상기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DisplayPort 송신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상기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방법으로서,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멀티플렉서에 의해, 상기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DisplayPort 송신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측파대 사용(SBU1) 핀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측파대 사용(SBU2) 핀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SBU1 핀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SBU2 핀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SBU1 핀 또는 상기 SBU2 핀 중 어느 하나에서 풀업(pull up)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에 의해, 상기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신호의 타입을 검출함으로써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다음의 것:
    정상 배향으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에 커플링되는 소스 디바이스;
    반전된 배향으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에 커플링되는 소스 디바이스;
    정상 배향으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에 커플링되는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 또는
    반전된 배향으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에 커플링되는 싱크 디바이스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PD 제어기를 포함하지 않는, 방법.
  9. 시스템으로서,
    디바이스 - 상기 디바이스는: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고;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디바이스에 커플링되는 멀티플렉서
    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DisplayPort 송신을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측파대 사용(SBU1) 핀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측파대 사용(SBU2) 핀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SBU1 핀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SBU2 핀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SBU1 핀 또는 상기 SBU2 핀 중 어느 하나에서 풀업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타입을 검출함으로써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다음의 것:
    정상 배향으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에 커플링되는 소스 디바이스;
    반전된 배향으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에 커플링되는 소스 디바이스;
    정상 배향으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에 커플링되는 싱크 디바이스; 또는
    반전된 배향으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에 커플링되는 싱크 디바이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PD 제어기를 포함하지 않는, 시스템.
  16.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실행될 때: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고;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하고;
    상기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DisplayPort 송신을 멀티플렉싱하도록
    동작가능한, 저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제1 측파대 사용(SBU1) 핀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측파대 사용(SBU2) 핀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DisplayPort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SBU1 핀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SBU2 핀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SBU1 핀 또는 상기 SBU2 핀 중 어느 하나에서 풀업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실행될 때, 상기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결정된 배향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도록 추가로 동작가능한, 저장 매체.
  20. 제16항에 있어서,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타입을 검출함으로써 USB 타입-C 커넥터 플러그의 배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KR1020217003879A 2018-07-12 2019-07-11 Displayport 대체 모드 통신의 검출 KR20210028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33,873 US10545904B1 (en) 2018-07-12 2018-07-12 Detection of displayport alternate mode communication and connector plug orientation without use of a power distribution controller
US16/033,873 2018-07-12
PCT/US2019/041288 WO2020014410A1 (en) 2018-07-12 2019-07-11 Detection of displayport alternate mode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700A true KR20210028700A (ko) 2021-03-12

Family

ID=6913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879A KR20210028700A (ko) 2018-07-12 2019-07-11 Displayport 대체 모드 통신의 검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0545904B1 (ko)
EP (1) EP3821349B1 (ko)
JP (1) JP7477237B2 (ko)
KR (1) KR20210028700A (ko)
CN (1) CN112673363A (ko)
WO (1) WO2020014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6281B (zh) * 2018-04-28 2024-01-30 深圳汉王友基科技有限公司 一种三合一多媒体线和电子画板系统
US10545904B1 (en) * 2018-07-12 2020-01-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tection of displayport alternate mode communication and connector plug orientation without use of a power distribution controller
TWI728624B (zh) * 2019-12-26 2021-05-21 創意電子股份有限公司 電壓模式信號發射裝置
US20220100689A1 (en) * 2020-09-30 2022-03-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peater with Multiplexing Circuit for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and Embedded Universal Serial Bus (eUSB2)
TWI754477B (zh) * 2020-12-01 2022-02-01 創惟科技股份有限公司 Usb訊號傳輸裝置、usb纜線及其操作方法
CN115190260A (zh) * 2021-04-02 2022-10-14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影音传输系统
US11513575B1 (en) * 2021-06-14 2022-11-29 Dell Products L.P. Dynamic USB-C mode configuration
CN113438546B (zh) * 2021-07-06 2024-02-13 深圳市绘王动漫科技有限公司 多功能视频信号扩展接口
DE102022124995A1 (de) * 2022-09-28 2024-03-28 Fujitsu Client Computing Limited Schaltvorrichtung, Computersystem, und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1843B1 (en) * 2012-09-21 2016-04-06 Nxp B.V. DisplayPort over USB mechanical interface
CN104636096A (zh) * 2013-11-07 2015-05-20 辉达公司 一种图形卡和电子设备
GB2527481C (en) * 2013-11-28 2021-04-07 Displaylink Uk Ltd Electrical connectors
US9703729B2 (en) * 2014-04-04 2017-07-11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Detecting the orientation of a multimedia link connected to a device
US9952996B2 (en) * 2014-10-15 2018-04-24 Icron Technologies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current superspeed communication and four-lane displayport communication via a USB type-C receptacle
US9798689B2 (en) * 2014-11-03 2017-10-24 Icron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USB type-C connections and legacy connections over an extension medium
US9971719B2 (en) * 2014-12-02 2018-05-15 Mediatek Inc. System and circuit using USB Type-C interface
CN107408082B (zh) * 2015-01-08 2020-09-04 芯凯电子科技 传输设备、dp源设备、接收设备以及dp接受设备
CN107257966B (zh) * 2015-02-27 2020-09-18 谷歌有限责任公司 计算装置上的多功能端口
US10152442B2 (en) * 2015-02-27 2018-12-11 Google Llc Multi-function ports on a computing device
US10282337B2 (en) * 2015-02-27 2019-05-07 Google Llc Multi-function ports on a computing device
US9811483B2 (en) * 2015-06-19 2017-11-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figurable serial communication hub
US9559752B1 (en) * 2015-09-24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signal polarity of a network device plug for use in a powerline communication network
US9959239B2 (en) * 2015-10-16 2018-05-01 Dell Products L.P. Secondary data channel communication system
TWI653844B (zh) 2016-07-27 2019-03-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C型通用序列匯流排切換電路
KR20180024793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331579B2 (en) 2016-11-22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Universal serial bus (USB) system supporting display alternate mode functionality on a USB type-C adapter
JP2018197987A (ja) * 2017-05-24 2018-12-1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受電装置及び給電装置
US10268616B2 (en) * 2017-08-01 2019-04-2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disablement of protocols on a USB type-C port
JP2019046066A (ja) *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東芝 電子装置及びケーブル
US10311000B2 (en) * 2017-09-29 2019-06-04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C switching
US10613952B2 (en) * 2017-12-21 2020-04-07 Acroname, Inc. Multi-port communications switch with automated flip emulation
US10545904B1 (en) * 2018-07-12 2020-01-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tection of displayport alternate mode communication and connector plug orientation without use of a power distribution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10720A1 (en) 2020-04-09
CN112673363A (zh) 2021-04-16
EP3821349A4 (en) 2021-09-29
EP3821349A1 (en) 2021-05-19
US11762801B2 (en) 2023-09-19
US20230376441A1 (en) 2023-11-23
JP2021531569A (ja) 2021-11-18
US20220075745A1 (en) 2022-03-10
US11210255B2 (en) 2021-12-28
US10545904B1 (en) 2020-01-28
EP3821349B1 (en) 2023-06-28
JP7477237B2 (ja) 2024-05-01
US20200019526A1 (en) 2020-01-16
WO2020014410A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8700A (ko) Displayport 대체 모드 통신의 검출
US10339093B2 (en) USB interface using repeaters with guest protocol support
US7757020B2 (en) Point-to-point link negoti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363085B1 (en) Universal serial bus repeater
US9098642B2 (en) Dual bus standard switching bus controller
US9940277B2 (en) Multi-channel peripheral interconnect supporting simultaneous video and bus protocols
US20120290761A1 (en) USB Converter and Related Method
EP3234788A1 (en) DATA TRANSMISSION USING PCIe PROTOCOL VIA USB PORT
US9760525B2 (en) Sideband signal consolidation fanout using a clock generator chip
US20140006654A1 (en) Device connect detection
CN204576500U (zh) 一种兼容i2c通信的usb通信电路和系统
CN108920401B (zh) 多主多从的i2c通信方法、系统及节点设备
US2013025444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usb termination signals over extension media
US20160132448A1 (en) Hub module with a single bridge shared among multiple connection ports to support role reversal
CN100414526C (zh) 自动调整总线宽度的方法及装置
US10372645B2 (en) Universal serial bus type C transmission line and transmission device
CN107704403B (zh) 一种优化主背板信号传输的装置及方法
CN112968332A (zh) 平板电脑主板type-c接口转接uart串口通信的兼容装置及方法
WO2013042976A2 (ko) 유에스비 주변 장치 및 그의 송신 전력 감소 방법
EP2936760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usb termination signals over extension media
US11513978B2 (en) Dual data ports with shared detection line
CN115203098A (zh) 串行数据传输的方法、装置、智能电子设备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