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628A -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628A
KR20210028628A KR1020210029009A KR20210029009A KR20210028628A KR 20210028628 A KR20210028628 A KR 20210028628A KR 1020210029009 A KR1020210029009 A KR 1020210029009A KR 20210029009 A KR20210029009 A KR 20210029009A KR 20210028628 A KR20210028628 A KR 20210028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air
exhaust
amount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5137B1 (en
Inventor
김창훈
김일형
박현배
이강규
황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825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27556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1002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137B1/en
Publication of KR2021002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6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upply apparatus capable of creat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preventing odors generated during cooking from diffusing into an indoor spa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is, the air supply apparatus comprises: at least one air inlet,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an exhaust device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outside a side surface of the exhaust device; an air supply blower for supplying air into the indoor through the air inl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blower.

Description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Ai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의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n air suppl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diffusion of contaminated air in an indoor space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n exhaust device that discharges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method of an air supply device.

주방기기의 하나인 주방후드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The kitchen hood, one of the kitchen appliances, is installed in the kitchen and is used to prevent air pollution in the kitchen by discharging combustion gases, food odors, and water vapor generated when cooking food in the kitchen.

이와 같은 주방후드는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등을 포함하는 주방기기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기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Such a kitchen hood is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a kitchen appliance including a gas range, an electric range, and the like, and discharges gas generat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and gas generated when cooking food to the outside using an exhaust fan.

그러나 주방후드를 가동시키더라도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의 일부는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거실 등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even when the kitchen hood is op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some of the combustion gases and food odors generated during cooking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exhaust fan and spread to the interior such as living rooms.

또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을 계속 가동시키면 실내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배기팬을 가동시키면 소음과 진동이 점점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exhaust fan is continuously operated to discharge contaminated air to the outside,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room and exhaust is not smoothly performed. If the exhaust fan is continuously operated in this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and vibration gradually increase. .

한편, 주방에서 발생한 냄새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배기팬의 용량이 커지면 배기팬의 크기가 커져 설치공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think of a method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exhaust fan in order to discharge odors generated from the kitchen to the outside more quickly. However, as the capacity of the exhaust fan increases, the size of the exhaust fan increases, and thus installation space and cost are high.

또한, 배기팬의 크기가 커지면 배기팬 동작시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어 전기요금이 증가하게 되며, 배기팬 동작시 진동 및 소음이 커져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exhaust fan increases, power consumption increase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due to increased vibration and nois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종래의 주방후드가 나타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65992호가 공개되어 있다.As a prior art in which the conventional kitchen hood appeare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65992 has been disclosed.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s to provide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apable of creat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from spreading to the indoor space.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공기로 인해 조리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unpleasant feelings to the cooker due to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장치를 낮은 세기로 가동하더라도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배기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indoor pollutants even when the exhaust system is operated at a low intensity and saving energy for operating the exhaust system. It is in the shi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장치의 가까운 제1영역에는 음압을 형성하여 오염된 공기의 실내 확산을 방지하고, 배기장치로부터 떨어진 제2영역에는 제1영역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배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iffusion of contaminated air into the room by forming a negative pressure in a first area close to the exhaust system, and to maintain a pressur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rea in a second area away from the exhaust system.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i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that can impro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제1전후영역의 급기구와 제2전후영역의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동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a first front and rear area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exhaust device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a second front and rear area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xhaust system to a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front and rear area; An air supply blower driven to supply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regions and through the air supply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region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blower.

상기 제1전후영역의 급기구의 급기방향은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와 일측면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air supply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s may be provided to face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and one side surface of the exhaust device.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on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may include a first air supply port and a second air supply port respectively provided outside both side surfaces of the exhaust device.

상기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후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ir supply and the second air supply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exhaust device.

상기 제1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2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직선거리가 동일한 것일 수 있다.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and the exhaust device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pply port and the exhaust device may be the same.

상기 제1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공기와 제2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 중앙부에서 일정구간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의 급기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The air supply directions of the first supply port and the second supply port may be set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port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supply port overlap for a predetermined period at a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exhaust device.

상기 제1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2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직선거리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and the exhaust device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pply port and the exhaust device may be different.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를 통한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량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An air supply amount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air supply amount through the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상기 급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복수의 실내공간으로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량 조절부는, 상기 급기구로 공급되는 급기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복수의 댐퍼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A plurality of dampers for distribut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blower to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The air supply amount control unit may adjust the opening degrees of the plurality of dampers so that the air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air supply port is adjusted.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저장하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량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배기량 정보에 대응하는 급기량으로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급기하는 것일 수 있다.An exhaust amoun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exhaust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It may be to supply air 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with an air supply amount corresponding to the air displac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상기 배기량은 고정된 값으로 상기 배기량 정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The displacement amount may be stored in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s a fixed value.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수신하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배기량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량이 설정될 수 있다.A displaceme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isplac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In the control unit, the supply air amount may be set in response to the exhaust amount information.

상기 급기구에는, 상기 배기장치를 향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기의 급기방향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The air supply port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for forming an air supply direction of the air in order to supply air toward the exhaust device.

본 발명의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은, a) 급기 송풍기를 가동하는 단계; b)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를 통해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operating an air supply blower; b)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a first front and rear area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exhaust device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and And supplying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blower to the room through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regions.

상기 제1전후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양측면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이 동일할 수 있다.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comprises a first air supply port and a second air supply port respectively provided outside both side surfaces of the exhaust syste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and the exhaust device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pply port and the exhaust device,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port and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air supply port This can be the same.

이 경우 상기 제1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배기장치로부터의 거리가 먼 급기구의 급기량이 상기 배기장치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많을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ir supply port and the exhaust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ir supply port and the exhaust device,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 at a distance from the exhaust device The distance may be greater than the supply air volume of a nearby air supply.

상기 제1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의 급기량의 합이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을 수 있다.The sum of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port and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air supply port may be smaller than the amount of exhaust air from the exhaust device.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의 합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큰 것일 수 있다.The sum of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and the air supply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air supply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region may be greater than the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device.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은 각각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을 수 있다.An air supply amount of a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and an air supply amount of a supply air supply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region may be smaller than an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device, respectively.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이 더 클 수 있다.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area may be greater than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에 먼저 도달하고,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에 나중에 도달할 수 있다.Air supplied through a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area may first reach the exhaust device, and air supplied through a supply port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area may reach the exhaust device later.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이 배기량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고; 제어부는 상기 배기량이 가변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 exhaust amou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is received by an exhaust am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When the amount of exhaust is chang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mount of supply air to be changed accordingly.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can be created by preventing the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from spreading to the indoor space.

또한,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공기로 인해 조리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ker from causing discomfort due to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

또한, 배기장치를 낮은 세기로 가동하더라도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배기장치를 낮은 세기로 가동시킴으로 인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exhaust system is operated at a low intensity, the concentration of indoor pollutants can be effectively reduced, and energy can be saved by operating the exhaust system at a low intensity.

또한, 배기장치의 가까운 제1영역에는 음압을 형성하여 오염된 공기의 실내 확산을 방지하고, 배기장치로부터 떨어진 제2영역에는 제1영역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배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xhaust system by forming a negative pressure in the first area close to the exhaust system to prevent the diffusion of contaminated air into the room, and by maintaining a pressure higher than the first area in the second area away from the exhaust system.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장치 및 배기장치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에서 배기장치를 향하여 공기가 급기되는 영역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의 설치를 위한 제1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의 가이드가 작은 각도로 설치된 경우와 큰 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의 설치를 위한 제2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배기장치에서 에어커튼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와 배기장치에 차단판이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air supply device and 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n air supply and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air supply and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n view sh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ir supply and the exhaust system
5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a region where air is supplied from an air supply port toward 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minimum and maximum angles of the first angle for installation of the ai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guide of the ai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small angle and at a large angle, respectively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minimum and maximum angles of the second angl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ai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curtain is formed in the exhau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provided in the air supply and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급기장치(100)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10)의 전방으로서, 상기 배기장치(10)의 측면 외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130,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suppl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side of an exhaust device 10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 130,140).

상기 배기장치(10)는, 주방에 구비되어 레인지(20; 도 2)를 이용하여 음식 조리시 가동되는 주방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를 가동시키면 배기 송풍기(11; 도 3)가 가동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15)를 통해 실외로 배기시킨다. The exhaust device 10 may be formed of a kitchen hood that is provided in the kitchen and is operated when food is cooked using a range 20 (FIG. 2). When the exhaust device 10 is operated, the exhaust blower 11 (FIG. 3) is operated to exhaust contaminated air from the room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15.

상기 배기장치(10)는, 조리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가동될 수도 있고, 실내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환경정보로는 일례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될 수 있다.The exhaust device 10 may be manually operated by a cooker's selection, or may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based on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The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a degree of pollution of indoor air.

상기 배기장치(10)가 자동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 감지부(미도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배기장치(10)의 제어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0)가 가동될 수 있다.When the exhaust device 10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 signal detected from an indoor environment detect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exhaust device 10, the exhaust device 10 ) Can be activated.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는, 일례로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해 배기장치(10)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에서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배기장치(10)의 가동 세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The indoor environment detec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smell or gas, for example, an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exhaust device 1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n addition, the intensity of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air pollution detected by the indoor environment detector.

상기 급기장치(100)는, 에어컨, 냉난방기기, 환기장치와 같은 공기조화기로 구성된 경우 급기모드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모드 이외에도 환기, 공기청정, 제습, 가습, 냉방 및 난방모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air supply device 100 is composed of an air conditioner such as an air conditioner,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and a ventilation device, an air supply mode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air supply mode, functions of ventilation, air cleaning,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cooling and heating modes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급기장치(100)는 배기장치(10)측에 구비되어, 배기장치(10) 가동시 급기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방후드에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가 구비되고, 주방후드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주방후드 근처에 별도로 설치된 급기장치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 송풍기는 급기구(130,140,150)에 연결되어 실외공기를 상기 급기구(130,140,15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도록 한다.Further, the air supply device 10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only an air supply function when the exhaust device 10 is operated. For example, an exhaust blower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is provided in the kitchen hood, and an air supply blower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room may be provided in an air supply device integrally coupled to the kitchen hood or separately installed near the kitchen hood. have. The air supply blower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air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상기 급기장치(100)의 급기 송풍기(120; 도 9)에서 흡입된 실외공기는 덕트(101)를 통해 분배기(102)로 유동하고, 상기 분배기(102)에서는 거실, 주방, 방, 화장실 등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고, 상기 분배기(102)에서 분배된 공기는 급기구(130,140,150,160,170,180)를 통해 상기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The outdoor air sucked from the air supply fan 120 (FIG. 9) of the air supply device 100 flows to the distributor 102 through the duct 101, and in the distributor 102, the living room, kitchen, room, toilet, etc. The air is distributed and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of, and the air distributed from the distributor 102 is supplied to each of the indoor spaces through supply ports 130, 140, 150, 160, 170, 180.

상기 분배기(102) 내부에는 덕트(101)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분배하기 위해 복수의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를 하고자 하는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댐퍼를 개방시키면 이에 연결된 급기구(130,140,150,160,170,180)를 통해 공기가 급기된다. 또한,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면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A plurality of dampers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distributor 102 to distribute air flowing through the duct 101 to each indoor space. Therefore, when the damper corresponding to the indoor space to be supplied is opened, air i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s 130, 140, 150, 160, 170, 180 connected thereto.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each indoor space can be adjusted.

상기에서는 분배기(102)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분배기(102) 없이 덕트(101)만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case in which the distributor 102 is provided is illustrated, but only the duct 101 may be provided without the distributor 102.

상기 급기구(130,140,150,160,170,180)는 천장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바닥에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주방의 경우 배기장치(10)에 인접한 위치의 바닥에 급기구가 구비되어 상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천장과 바닥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킬 수 있는 위치이면 다른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다.The air supply ports 130, 140, 150, 160, 170, 180 may be provided on the ceiling or the flo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kitchen, the air supply port may be provided on the floor adjacent to the exhaust device 10 so that air is discharged upward.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ceiling and the floor, and can be installed in other locations as long as it is a location capable of supplying outdoor air indoors.

또한, 상기에서는 급기장치(100)와 덕트(101)가 연결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덕트(101)가 연결되지 않고 급기장치(100)가 실내에 구비되어 급기장치(100)에 일체로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air supply device 100 and the duct 101 are connected is illustrated, but the air supply device 100 is provided indoors without the duct 101 being connected. Air supply can also be achieved through a device.

한편, 급기장치(100)가 공기조화기로 구성되지 않고, 배기장치(10) 측에 구비되어 급기 기능만 수행하는 경우에는, 분배기가 배기장치(10) 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급기구(130,140,150)에 공급되는 공기를 분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supply device 100 is not configured as an air conditioner, but is provided on the exhaust device 10 side and performs only the air supply function, a distributor is provided on the exhaust device 10 side and the plurality of air supply ports 130, 140, 150 The air supplied to) is distributed.

상기 급기장치(100)와 배기장치(10)는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연동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air supply device 100 and the exhaust device 1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dividually without interlocking.

상기 급기장치(100)와 배기장치(10)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급기장치(100)와 배기장치(1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배기장치(1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배기장치(10)에서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배기 송풍기(11)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배기장치(10)에서 급기장치(10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급기 송풍기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air supply device 100 and the exhaust device 10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air supply device 100 and the exhaust device 1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signal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air supply device 1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exhaust device 10,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haust device 10, the exhaust blower 11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Conversely, the exhaust device 1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air supply device 100,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100, the air supply blowe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상기 복수의 급기구(130,140,150,160,170,180) 중 조리시 배기장치(10)의 가동과 함께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에 대해 설명한다. Among the plurality of supply ports 130, 140, 150, 160, 170, 180, the first to third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for supplying air with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during cooking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는, 배기장치(10)의 전방으로서, 상기 배기장치(10)의 측면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급기구(150)는 배기장치(10)로부터 상기 제1, 제2 급기구(130,140)보다 더 먼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outside the side surfaces of the exhaust device 10. In addition, the third air supply port 150 is provided at a position farther from the exhaust device 10 than the first and second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미설명부호 20은 화장실에 구비된 배기장치(20)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n exhaust device 20 provided in the toilet.

도 2는 배기장치(10)와 급기구(130,14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다. 2 is a plan view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viewed from above.

배기장치(10)의 하부에 가스 또는 전기 레인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H1), 양 측면(H2,H3)에서 각각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을 그리면, 빗금으로 표시된 2개의 영역(A1,A2)을 설정할 수 있다.A gas or electric stove 20 is installed under the exhaust device 10. By drawing an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H1 and both side surfaces H2 and H3 of the exhaust device 10, two areas A1 and A2 indicated by hatching can be set.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H1)에서 후술하는 제3 급기구(150)가 위치한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한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air supply port 150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from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is referred to as a fro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rear.

상기 2개의 영역(A1,A2) 중 전면(H1)으로부터 왼쪽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1측면(H2)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1좌우영역(A1)이라 하고, 전면(H1)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2측면(H3)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2좌우영역(A2)이라 한다.Among the two areas A1 and A2, the area surrounded by a straight line extending left from the front surface H1 and a straight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side surface H2 is referred to as a first left and right area A1, and A region surrounded by a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H1 to the right and a straight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side surface H3 is referred to as a second left and right region A2.

상기 제1좌우영역(A1)과 제2좌우영역(A2)은 배기장치(10)의 전면(H1)의 전방으로서,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영역이다.The first left and right areas A1 and the second left and right areas A2 are areas in front of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are respectively formed outside of both sides H2 and H3 of the exhaust device 10. to be.

상기 제1좌우영역(A1)에는 제1 급기구(130)가 구비되고, 제2좌우영역(A2)에는 제2 급기구(140)가 구비된다.A first air supply port 130 is provided in the first left and right areas A1, and a second air supply port 140 is provided in the second left and right areas A2.

이와 같은 위치에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가 구비되어 조리시 공기를 급기하게 되면, 조리시 발생된 오염된 공기를 배기장치(10)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supply port 140 are provided in such a position to supply air during cooking, contaminated air generated during cooking is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evice 10. It can be exhausted and contaminated air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into the indoor space.

이 경우 상기 제1 급기구(130)는, 공기가 급기되는 방향이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제1측면(H2)을 동시에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may be provided such that a direction in which air is supplied faces the front surface H1 and the first side surface H2 of the exhaust device 10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제2 급기구(140)는, 공기가 급기되는 방향이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상기 제1측면(H2)의 반대측인 제2측면(H3)을 동시에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is provid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supplied faces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H3 opposite to the first side surface H2 at the same time. Can be.

레인지(20)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오염된 공기가 상방향으로 유동하고, 이렇게 유동하는 오염된 공기의 일부는 배기장치(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나머지 일부는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양 측면(H2,H3)을 통해 주방의 천장 방향으로 유동하여 실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When food is cooked in the range 20, contaminated air flows upward, and some of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in this wa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evice 10, but the rest of the It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of the kitchen through the front surface H1 and both sides H2 and H3, and may diffuse into the indoor space.

상기와 같이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를 통해 급기되는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측면(H2,H3)을 향하도록 하면, 레인지(20) 위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외부인 전면(H1)과 양 측면(H2,H3)을 타고 천장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supply port 140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side (H1) and side surfaces (H2, H3) of the exhaust device 10 as described above, the range 20 Contaminated air flowing upward from the top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ceiling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H1 and both sides H2 and H3, which are the outside of the exhaust device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from spreading to the indoor space.

또한, 조리자는 레인지(20)의 전면(H1)의 전방에 서서 조리를 하게 되는데, 제1 급기구(130) 또는/및 제2 급기구(140)가 레인지(20)의 양 측면(H2,H3)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평면 사이에 형성된 제3영역(A3)에 위치하게 되면, 제1 급기구(130) 또는 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조리자에게 영향을 미쳐 조리자의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를 제3영역(A3)을 벗어난 제1좌우영역(A1) 또는 제2좌우영역(A2)에 구비함으로써 급기되는 공기가 조리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er cooks while standing in front of the front surface H1 of the range 20, and the first supply port 130 or/and the second supply port 140 are on both sides H2 of the range 20. When located in the third area (A3) formed between the planes extending forward from H3),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port 130 or the second supply port 140 affects the cooker and cooks It can cause discomfort. Therefore, by providing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in the first left and right regions A1 or the second left and right regions A2 outside the third region A3, the air supplied to the cooker It can be prevented from affecting.

이 경우 상기 제1 급기구(130)가 제1좌우영역(A1)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급기구(130)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130a)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좌우영역(A1)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급기구(140)가 제2좌우영역(A2)에 위치한다는 것도 동일한 의미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급기구(130) 또는/및 제2 급기구(140)의 중심은 제3영역(A3) 내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급기구(130,140)의 길이가 수평방향으로 충분히 길면,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 중 하나의 측면과 정면(H1)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act that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is located in the first left and right regions A1 means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assage 130a through which air flows in the first air supply air 130 is the first left and right regions A1. It can be defined as being located in ). It may be defined in the same meaning that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is located in the second left and right areas A2. That is, even if the center of the first supply port 130 or/and the second supply port 140 is located in the third area A3, if the length of the supply ports 130 and 140 is sufficiently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upplied air May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one of the side surfaces H2 and H3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front side H1.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되는 공기 중 전면(H1)을 향하는 공기와 상기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되는 공기 중 전면(H1)을 향하는 공기는 레인지(20)의 전면(H1)의 중앙부에서 일정 구간 중첩되어 중첩구간(O)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의 급기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첩구간(O)이 형성되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전면(H1)을 타고 천장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mong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port 130, the air toward the front surface H1 and the air supplied by the second supply port 140 toward the front surface H1 are the front surface (H1) of the range 20.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may be supplied in directions such that an overlapping section O is formed by overlapping a certain s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of ). When the overlapping section O is 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contaminated air from leaking in the ceiling direction while riding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2 급기구(14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가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선거리가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가 상기 배기장치(10)의 전후방향의 중심선(C)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와, 중심선(C)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가 아닌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and the exhaust device 10 may be the same. That the linear distance is the same means that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are provided at a position 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Both the case and the case where the position is not symmetric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 are included.

이와 같이 직선거리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급기구(13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14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어느 일측으로 쏠림이 없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다.When the linear distanc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supply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air supply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to be the same, the contaminated Air can be smoothly exhaust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drawn to either side of the exhaust device 10.

또한, 상기 직선거리가 동일한 경우는,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는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배기장치(10)의 전후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급기구(130)의 중심과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 사이의 제1거리(D1)와, 상기 제2 급기구(140)의 중심과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 사이의 제2거리(D2)가 동일한 경우이다. In addition, when the linear distance is the same, the first air supply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140 are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from the front of the exhaust device 10. Includes cases where it becomes. That is, a first distance (D1)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supply port 13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ly port 14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exhaust device 10 This is the case where the second distance D2 between them is the same.

이 경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가 중심선(C)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직선거리는 상이하게 된다. 또한, 중심선(C)에 대하여 비대칭이 된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have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center line C, the linear distance is different. Moreover, it becomes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에서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가 멀수록 상기 급기구(130,140)에서 토출되어 배기장치(10)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 되고, 직선거리가 가까울수록 공기저항을 덜 받게 된다. As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and the exhaust device 10 increases, the air resistance until it reaches the exhaust device 10 by being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The closer the linear distance is, the less air resistance is received.

따라서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2 급기구(14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가 상이한 경우,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의 직선거리가 먼 급기구의 급기량이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의 직선거리가 가까운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많게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에 균일하게 도달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pply port 140 and the exhaust device 10 are different, from the exhaust device 10 It is possible to set so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 having a distant linear distance from the exhaust device 10 is greater than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near the air supply device 10. As a result,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may uniformly reach the exhaust device 10.

이와 같이 급기구(130,140)에서 배기장치(10)를 향해 급기하게 되면, 배기장치(10)를 낮은 세기로 가동하더라도 오염 물질이 배기장치(10)를 통해 실외로 원활하게 배기되어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10)를 낮은 세기로 가동하게 되면 배기장치(10)의 가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When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toward the exhaust device 10 in this way, even if the exhaust device 10 is operated at a low intensity, pollutants are smoothly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evice 10 to prevent indoor pollutants. The concentration reduction effec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exhaust device 10 is operated at a low intensity, energ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can be reduced.

한편,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는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H1)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H1)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Z1)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Z2)에 급기를 위한 제3 급기구(15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are provided in a first front and rear area Z1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exhaust device ( A third air supply port 150 for supplying ai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area Z2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H1 of 10) than the first before and after area Z1.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는,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배기장치(10) 주변으로 오염된 공기가 퍼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supply port 140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area Z1 are contaminated around the exhaust device 10 by directing the supplied air toward the exhaust device 10. It can prevent air from spreading out.

상기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제3 급기구(150)는,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제3 급기구(150)에서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를 향하여 급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급기구(150)는 배기장치(10)의 중심선(C) 상에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3 급기구(150) 이외에 다른 급기구를 더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급기구(150)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를 향하지 않고 바닥 또는 벽 등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제3 급기구(150) 전체 둘레를 따라 사방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third supply port 150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area Z2 is provided to face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third supply port 150 is exhausted. It may be provided to supply air toward (10). In addition, one of the third air supply ports 150 may be provided on the center line C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other air supply ports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hird air supply port 150. . In addition, the air supplied from the third supply port 150 may be configured not to face the exhaust device 10 but to face other directions such as the floor or the wall, and may be directed in all directions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hird air supply port 150.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do.

상기에서는 제1전후영역(Z1)과 제2전후영역(Z2)으로만 구분하였으나, 제3 급기구(150)의 전방에 제4 급기구(미도시) 및 제5 급기구(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4 급기구는 제2전후영역(Z2)의 전방에 형성된 제3전후영역(미도시)에 구비되고, 상기 제5 급기구는 제3전후영역의 전방에 형성된 제4전후영역(미도시)에 구비되는 등, 상기 제1,제2전후영역(Z1,Z2) 이외에도 복수개의 전후영역과 복수개의 급기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above, only the first before and after areas Z1 and the second before and after areas Z2 are divided, but a fourth supply port (not shown) and a fifth supply port (not shown)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third supply port 150. And the fourth supply port is provided in a third before and after area (not shown)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before and after area Z2, and the fifth supply port is formed in front of the third before and after area.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front and rear areas Z1 and Z2, such as provided in an area (not shown),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areas and a plurality of air supply ports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제1 급기구(130) 및/또는 제2 급기구(140)는 양 측면(H2,H3)에서 각각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급기구(130) 또는 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된 공기가 제1측면(H2) 또는 제2측면(H3)을 향해 직접 급기되는 것이 아니라, 제1측면(H2)의 좌측 공간 또는 제2측면(H3)의 우측 공간을 향해 급기된다.In addition, the first air supply 130 and/or the second air supply 140 may be located between virtual straight lines extending from both side surfaces H2 and H3,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port 130 or the second supply port 140 is not directly supplied toward the first side H2 or the second side H3, but the first side H2 ), or the space to the right of the second side H3.

도 3은 배기장치(10)와 급기구(130)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4는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를 나타낸 평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air supply port 130 as viewed from the side, and FIG. 4 is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stance L between the air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상기 배기장치(10)에는 배기 송풍기(11)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 송풍기(11)에 의해 오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2)가 배기장치(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저면에서 상기 흡입부(12)만 개방되어 있고, 흡입부(1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막혀 있다.The exhaust device 10 has an exhaust blower 11 therein, and a suction part 12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is sucked by the exhaust blower 1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haust device 10. Only the suction part 12 is open from the bottom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rest of the parts except for the suction part 12 are closed.

상기 흡입부(12)의 하부에는 유속 경계면(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2)와 유속 경계면(1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배기 송풍기(11)의 설정된 풍량에 의해 오염물이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A flow velocity interface 13 may be formed under the suction part 12. The area surrounded by the suction part 12 and the flow rate interface 13 represents an area in which contaminants can be smoothly discharged by the set air volume of the exhaust blower 11.

상기 배기 송풍기(11)의 풍량이 결정되면, 상기 유속 경계면(13)으로부터 급기구(130,140)까지의 거리(L)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air volume of the exhaust blower 11 is determined, the distance L from the flow velocity boundary surface 13 to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may be determined.

만약 급기구(130,14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우면, 상기 급기된 공기의 유속이 상기 유속 경계면(13) 내부의 유속보다 크게 되므로, 상기 유속 경계면(13) 내부의 유동장이 파괴되어 오염된 물질을 흡입부(12)에서 원활하게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ly ports 130 and 140 and the exhaust device 10 is too close, the flow velocity of the supplied air becomes larger than the flow velocity inside the flow velocity boundary surface 13, so that the flow field inside the flow velocity boundary surface 13 is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destroyed and contaminated material cannot be smoothly sucked in the suction unit 12.

상기 급기구(130,140)에서 급기된 공기가 상기 유속 경계면(13)에 도달했을 때의 유속과 상기 배기 송풍기(11)에 의해 흡입됨으로 인한 유속 경계면(13) 내부에서의 유속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급기구(130,140)까지의 거리(L)를 결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rate when the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ports 130 and 140 reaches the flow rate interface 13 and the flow rate inside the flow rate interface 13 due to being sucked in by the exhaust blower 11 are preferred. ,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distance L to the supply ports 130 and 140 may be determined.

상기에서는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제2 급기구(14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has been described,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pply port 140 and the exhaust device 10 may be set in the same manner.

도 4에서는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를, 제1 급기구(130)의 후단(배기장치(10)와 대향하는 단부) 중앙에서부터 유속 경계면(13)까지로 정의하였다. 이 경우 유속 경계면(13)의 위치는 흡입부(12)의 전방 단부(12a) 위치와 동일하다.In FIG. 4, the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is determined from the center of the rear end (end opposite to the exhaust device 10) of the first supply port 130. ) Was defined as up to.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flow velocity interface 13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front end 12a of the suction unit 12.

또한,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는, 제1 급기구(130)의 후단 중앙에서부터 흡입부(12)의 중심 또는 흡입부(12)의 전방 단부(12a)까지로 정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is from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ly port 130 to the center of the suction unit 12 or the front of the suction unit 12 It can also be defined as up to the end 12a.

상기 배기장치(10)의 전체 크기는 흡입부(12)보다 클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12)의 중심 또는 전방 단부(12a)를 기준으로 거리(L)를 정의하게 되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배기장치(10)에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를 적용할 수 있다.The overall size of the exhaust device 1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uction unit 12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Therefore, when the distance L is defined based on the center or the front end 12a of the intake part 12,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are provided in the exhaust device 10 of various shapes and sizes. The distance (L) between) can be applied.

물론,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는, 제1 급기구(130)의 후단 중앙에서부터 배기장치(10)의 전면(H1) 중앙까지로 정의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can be defined as from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ly port 130 to the center of the front sid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May b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급기구(130,140)에는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방향을 상기 배기장치(10)를 향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131,141)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may be provided with guides 131 and 141 for directing the supply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toward the exhaust device 10.

상기 가이드(131,141)는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날개 사이로 공기가 급기된다. 상기 가이드(131,141)는 하단이 상기 배기장치(10)를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급기구(130,140)에 결합되어 있다.The guides 131 and 141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wings, and air is supplied between the plurality of wings. The guides 131 and 141 are coupled to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in a state inclined so that their lower ends face the exhaust device 10.

상기 가이드(131,141)는 일측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경사 방향을 조절하게 되면 상기 공기의 급기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The guides 131 and 141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one end as a rotational center, and when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adjusted, the supply direction of the air can be changed.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평면도를 기준으로 급기구(130,140)의 설치 각도에 대해 설명한다.The installation angles of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based on a plan view.

도 5(a)를 참조하면, 제1 급기구(130)는 제1 급기구(130)의 후단 중앙을 통과하는 제1 급기구(130)의 중심선과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나란한 직선 사이의 각도(θ)로서 비교적 큰 각도로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의 전면(H1)의 대략 절반 영역과 제1측면(H2)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2 급기구(140)에서 공급된 공기는 전면(H1)의 나머지 절반 영역과 제2측면(H3)으로 유동한다.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includes a center line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As the angle θ between the and parallel straight lines, a state installed at a relatively large angle is shown.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port 130 flows to approximately half of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first side surface H2,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supply port 140 Flows to the other half of the front surface H1 and the second side H3.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급기구(130)는 제1 급기구(130)의 후단 중앙을 통과하는 제1 급기구(130)의 중심선과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나란한 직선 사이의 각도(θ)로서 비교적 작은 각도로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의 전면(H1)의 대략 절반 영역과 제1측면(H2)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2 급기구(140)에서 공급된 공기는 전면(H1)의 나머지 절반 영역과 제2측면(H3)으로 유동한다.Referring to FIG. 5(b),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includes a center line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As the angle θ between the and parallel straight lines, the installed state at a relatively small angle is shown. Even in this case,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port 130 flows to approximately half of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first side surface H2, and in the second supply port 140 The supplied air flows to the other half area of the front surface H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H3.

도 6을 참조하여, 평면도를 기준으로 급기구(130,140)의 설치를 위한 제1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급기구(13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제2 급기구(14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6, the minimum and maximum angles of the first angle for installation of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plan view. Hereinafter,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will be described,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상기 제1각도란 배기장치(10)의 전면과 나란한 직선(HL)에 대하여 제1 급기구(130)의 급기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The first angle means an angle formed by 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HL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xhaust device 10.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로길이를 W로 하고, 배기장치(10)의 세로길이를 D로 정의하였다. 상기 배기장치(10)와 제1 급기구(130) 사이의 거리를 L로 정의하였다.The horizontal length of the exhaust device 10 was defined as W,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exhaust device 10 was defined as D. The distance between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was defined as L.

상기 제1 급기구(130)가 최소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로길이(W)를 4등분하고, 상기 4등분된 영역에서 일측 가장자리 영역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DL1)을 그린다.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시작되어 상기 대각선(DL1)에 직교하는 직선(PL1)을 그린다.In order to calculate the case where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is installed at the minimum angle, the horizontal length (W) of the exhaust device 10 is divided into four, and the edge of one edge region is connected in the quarterly divided region. Draw a diagonal line (DL1). A straight line PL1 that starts from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is orthogonal to the diagonal line DL1 is drawn.

또한, 상기 제1 급기구(130)가 최대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계산하기 위해, 배기장치(10)의 대각방향의 모서리 사이를 연결하는 대각선(DL2)을 그린다.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시작되어 상기 대각선(DL2)에 직교하는 직선(PL2)을 그린다.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case where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is installed at the maximum angle, a diagonal line DL2 connecting the corners of the exhaust device 10 in the diagonal direction is drawn. A straight line PL2 that starts from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is orthogonal to the diagonal line DL2 is drawn.

상기 제1각도에서 최소각도(θ1)는 아래의 수학식 1로 정의할 수 있다.The minimum angle θ1 in the first angle may be defin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최소각도(θ1)는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제1측면(H2) 전부에 공급되고, 전면(H1)의 적어도 일부 영역까지 공급될 수 있는 최소한의 각도 조건을 의미한다. The minimum angle θ1 is the minimum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port 130 is supplied to all of the first side surface H2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can be supplied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ront surface H1. Means the angular condition of.

상기 제1각도에서 최대각도(θ2)는 아래의 수학식 2로 정의할 수 있다.The maximum angle θ2 in the first angle may be defined by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최대각도(θ2)는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전면(H1)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영역까지 공급되고, 제1측면(H2)의 전부에 공급될 수 있는 최대한의 각도 조건을 의미한다.The maximum angle θ2 is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port 130 is supplied to at least half of the front surface H1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may be supplied to all of the first side surface H2. It means the maximum angular condition.

상기와 같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한 급기구(130,140)의 설치각도를 배기장치(10)의 세로길이(D)와 가로길이(W)를 기준으로 최소각도와 최대각도 사이로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배기장치(10)에 적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급기구(130,140)에 적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angles of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based on the plan view are set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angles based on the vertical length (D) and the horizontal length (W) of the exhaust device 10 to exhaust various sizes and types of exhaust. Applicable to the device 10,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air supply (130, 140).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측면도를 기준으로 급기구(130,140)의 설치를 위한 제2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the minimum and maximum angles of the second angle for installation of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ide views.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급기구(130)는 천장과 나란한 직선(LL; 천장면)과 제1 급기구(130)의 가이드(131) 사이의 각도(θ)로서 비교적 작은 각도로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ure 7 (a), the first air supply 130 is a relatively small angle (θ) between a straight line (LL; ceiling surface) parallel to the ceiling and the guide 131 of the first air supply 130 The installation at an angle is shown.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급기구(130)는 천장과 나란한 직선(LL)과 제1 급기구(130)의 가이드(131) 사이의 각도(θ)로서 비교적 큰 각도로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7(b),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is installed at a relatively large angle as an angle (θ) between a straight line (LL) parallel to the ceiling and the guide 131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The state is shown.

도 8을 참조하여, 측면도를 기준으로 급기구(130,140)의 설치를 위한 제2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급기구(13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제2 급기구(14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8, the minimum and maximum angles of the second angle for installation of the supply ports 130 and 14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ide view. Hereinafter,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will be described,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상기 제2각도란 제1 급기구(130)가 설치된 천장과 나란한 직선(LL)에 대하여 제1 급기구(130)의 급기방향인 가이드(131)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The second angle refers to a straight line (LL) parallel to the ceiling in which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is installed. It means an angle between the guides 131 which are 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를 L로 정의하고, 천장과 배기장치(10)의 하단 사이를 x1으로 정의하며, 천장과 싱크대(30) 상단 사이를 x2로 정의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is defined as L, the distance between the ceiling and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device 10 is defined as x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iling and the top of the sink 30 is defined as x2. define.

상기 제2각도에서 최소각도(θ3)는 아래의 수학식 3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minimum angle θ3 in the second angle may be defined by Equation 3 below.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 제2각도에서 최대각도(θ4)는 아래의 수학식 4로 정의할 수 있다.The maximum angle θ4 in the second angle may be defined by Equation 4 below.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와 같이 측면도를 기준으로 한 수직 방향의 급기구(130,140)의 설치각도(즉, 가이드(131)의 각도)는 상기 최소각도(θ3)와 최대각도(θ4) 사이로 함으로써 천장을 기준으로 한 배기장치(10)의 다양한 설치높이에 적용 가능하고, 싱크대(30)까지 급기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upply ports 130 and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side view (that is, the angle of the guide 131) is between the minimum angle (θ3) and the maximum angle (θ4). Applicable to various installation heights of the device 10, and by allowing the supplied air to be supplied to the sink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from spreading.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100)의 제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ai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상기 급기장치(100)는, 상기 급기구(130,140,150,160,170,180)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급기 송풍기(120), 상기 급기 송풍기(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를 포함한다.The air supply device 100 includes an air supply fan 120 for supplying air 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ports 130, 140, 150, 160, 170, 180, and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fan 120.

상기 급기 송풍기(120)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급기 송풍기(120)는 실외공기 대신 다른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주방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air supply blower 120 sucks outdoor air and supplies it to the room. In this case, the air supply blower 120 may be configured to suck air from another indoor space instead of outdoor air and supply it to the kitchen.

상기 급기장치(100)는, 급기장치(100)를 가동시키기 위한 급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급기신호 발생부(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signal generator 101 that generates an air supply signal for operating the air supply device 10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급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급기신호 수신부(111), 상기 급기구(130,140,150,160,170,180)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량 조절부(112),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저장하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113),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수신하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n air supply signal receiving unit 111 for receiving the air supply signal, an air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12 for adjusting the supply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s 130, 140, 150, 160, 170, 180, and the exhaust device 10. ) May further include an emission amount information storage unit 113 for storing emission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an emission am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4 for receiving emission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상기 급기량 조절부(112)는, 앞서 설명한 분배기(102)에 구비된 댐퍼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에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amount control unit 112 may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first to third air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provided in the distributor 102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댐퍼의 개도는 급기장치(100)를 처음 설치할 때 일정 개도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댐퍼의 개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급기량 조절부(112)는 설정된 회전수로 급기 송풍기(12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에 급기되는 급기량을 설정된 급기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may be set in advance to a predetermined opening degree when the air supply device 100 is first installed. In the state where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is set, the air supply amount control unit 112 may drive the air supply blower 120 at the set rotational speed. In this way,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first to third air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may be supplied at the set air supply amount.

또한, 급기장치(100)를 처음 설치할 때 댐퍼의 개도를 설정하고,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면서,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 각각에서 원하는 급기량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에서의 급기량은 덕트의 길이, 덕트가 굽어진 정도 등 덕트의 설치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렇게 급기량이 확인되면, 상기 원하는 급기량이 공급되는 시점에서의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를 설정한다. 이렇게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가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면, 급기시 상기 설정된 회전수로 급기 송풍기(120)가 가동된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air supply device 100 for the first time,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is set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air supply blower 120 is varied, while determining whether the desired air supply amount is supplied from each of the first to third air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I can confirm. In this case,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first to third air supply ports 130, 140, 150 vari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uct, such as the length of the duct and the degree of bending the duct. When the amount of air supply is confirmed in this way,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ir supply fan 120 at the time when the desired air supply amount is supplied is set. Whe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ir supply fan 120 is set to a fixed value, the air supply fan 120 is operated at the set number of revolutions during supply.

상기 배기량 정보 저장부(113)는 배기장치(10)의 배기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기량에 대한 정보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113)에 미리 입력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배기장치(10)로부터 배기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exhaust amount information storage unit 113 may store information on an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device 10.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exhaust may be previously input and stored in the exhaust amount information storage unit 113, or may be configured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exhaust from the exhaust device 10.

상기 배기장치(10)와 급기장치(100)는 통신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배기량은 조리자가 배기장치(10)에서 가동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량에 대한 정보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114)에 수신되어, 배기량 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되고, 상기 급기장치(100)는 상기 저장된 배기량 정보에 따라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air supply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device 10 can be varied by the cooker adjusting the operation intensity in the exhaust device 10.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exhaust is received by the am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4 and stored in the amount information storage unit 113, and the air supply device 100 may adjust the amount of supply air according to the stored amount information.

도 10을 참조하여 배기장치(10)에서 에어커튼(AC1,AC2,AC3)이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A case where the air curtains AC1, AC2, and AC3 are formed in the exhaust devic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제1측면(H2) 및 제2측면(H3)에는 레인지(20)가 위치한 하방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에어커튼(AC1,AC2,AC3)이 형성될 수 있다.Air curtains (AC1, AC2, AC3) are formed on the front (H1), the first side (H2), and the second side (H3) of the exhaust device 10 by injecting air downwards where the range 20 is located. Can be.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분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분사부는 배기장치(10)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급기장치(100)에 구비된 급기 송풍기(120)에서 공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급기 송풍기(120)가 공기분사부로 기능한다.An air injection unit (not shown) for injecting air may be provided to form the air curtains AC1, AC2, and AC3. The air injection unit for forming the air curtains AC1, AC2 and AC3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exhaust device 10. In addition, when the air curtains AC1, AC2, and AC3 are formed by us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fan 120 provided in the air supply device 100, the air supply blower 120 functions as an air injection unit.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은,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제1측면(H2) 및 제2측면(H3)을 둘러싸도록 3방향에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air curtains AC1, AC2, and AC3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in all three directions so as to surround the front surface H1, the first side surface H2, and the second side surface H3 of the exhaust device 10.

또한, 하방향으로 형성된 전면(H1)의 에어커튼(AC1)을 제외한 양 측면(H2,H3)에만 에어커튼(AC2,AC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air curtains AC2 and AC3 only on both side surfaces H2 and H3 except for the air curtain AC1 of the front surface H1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제1측면(H2) 및 제2측면(H3) 중 한군데만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측면(H2)과 제2측면(H3) 중 제1,제2급기구(130,140)가 형성된 위치와 대향되는 측에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curtain may be formed in only one of the front surface H1, the first side surface H2, and the second side surface H3 of the exhaust device 1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orm an air curtain on a side of the first side surface H2 and the second side surface H3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orts 130 and 140 are formed.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는 배기장치(1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급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Control for forming the air curtains AC1, AC2, and AC3 may be performed in the exhaust device 10 or in the air supply device 100.

상기 배기장치(10)에서 제어하는 경우에는, 배기장치(10)의 가동과 함께 배기장치(10)의 제어부(미도시)에서 공기분사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시킨다. In the case of control by the exhaust device 10,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the air injection unit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exhaust device 10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the air curtains AC1 and AC2 , AC3) is formed.

또한, 상기 급기장치(100)가 배기장치(10)에 일체로 구비된 경우에는, 배기장치(10)에서 급기구(130,140,150)에 공기를 급기함과 동시에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시키기 위해 급기 송풍기를 가동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supply device 10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exhaust device 10, air is supplied from the exhaust device 10 to the air supply ports 130, 140, 150 and the air curtains AC1, AC2, AC3 are It is also possible to run a supply air blower to form.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제어하는 경우에는, 급기장치(100)에서 급기 송풍기(120)를 가동시켜 급기구(130,140,150)를 통해 급기를 하고, 상기 급기 송풍기(120)에서 공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controlling by the air supply device 100, the air supply fan 120 is op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100 to supply air through the air supply ports 130, 140, 150,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fan 120 is used. The air curtains AC1, AC2, AC3 may be formed.

또한,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통신부의 유무선 통신에 의해 배기장치(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공기분사부를 가동시켜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ir supply device 1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exhaust device 10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to operate the air injection unit to form the air curtains AC1, AC2, AC3.

이와 같이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게 되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 외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air curtains AC1, AC2, and AC3 are 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xhaust efficiency by preventing contaminated air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of the exhaust device 10.

도 11을 참조하여 배기장치(10)에 차단판(16)이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A case where the blocking plate 16 is provided in the exhaust devic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상기 차단판(16)은 배기장치(10)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6)이 하강하여 배기장치(10)의 하부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게 되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 외부로 누설되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plate 16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t least one side of the exhaust device 10. When the blocking plate 16 descends to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pace of the exhaust device 10, contaminated ai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spreading into the indoor space.

상기 차단판(16)이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에 구비된 경우에는 조리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장치(10)의 일측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blocking plate 16 is provided on both sides H2 and H3 of the exhaust device 10,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cook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exhaust device 10.

또한, 상기 급기구(130,140)가 상기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 외측인 제1좌우영역(A1) 또는 제2좌우영역(A2) 중 일측에만 구비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 중 상기 급기구(130,140)가 구비된 위치의 반대측면에 상기 차단판(1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급기구(130,140)에서 급기된 공기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하부공간에서 급기구(130,140)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차단판(16)이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ar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first left and right areas A1 or the second left and right areas A2 outside both sides H2 and H3 of the exhaust device 10, the exhaust system The blocking plate 16 may be provided on a side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are provided among both side surfaces H2 and H3 of (10).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blocking plate 16 prevents the air contaminated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ports 130 and 140 from being pushed out of the lower space of the exhaust device 1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ly ports 130 and 140 are located.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조리자가 주방에서 조리하면,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배기장치(10)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된다.When the cook cooks in the kitchen, the exhaust device 10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operated to exhaust the contaminated air to the outside.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라 급기장치(1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된다. 즉, 급기신호 수신부(111)에 수동 또는 자동 가동을 위한 급기신호가 수신되면, 급기 송풍기(120)를 가동시킨다.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the air supply device 100 is op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That is, when an air supply signal for manual or automatic operation is received by the air supply signal receiver 111, the air supply blower 120 is operated.

이 경우 제1 내지 제3급기구(130,140,150)에서 필요로 하는 급기량을 공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고정된 회전수로 급기 송풍기(120)를 가동시킬 수도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급기구(130,140,150)에서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급기량 조절부(112)에서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급기구(130,140,150)에서의 급기량을 상이하게 하기 위해 분배기(102)에 구비된 댐퍼의 개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ir supply blower 120 may be operated at a fixed rotational speed set in advance to supply the air supply amount required by the first to third air supply devices 130, 140, 150, and the first to third air supply devices 130, 140, 150 In order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y in ),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ir supply blower 120 may be varied in the air supply amount control unit 112. In addition,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provided in the distributor 102 may be adjusted in order to make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first to third air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different.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급기구(130,140,150)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신속히 배기장치(1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할 수 있어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supplying air through the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by this process, contaminated air can be quickly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evice 10, thereby preventing the contaminated air from spreading to the indoor space.

이와 같이 급기장치(100)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급기구(130,140,150)를 통한 급기량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When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에서의 급기량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으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 주변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급기구(130)의 급기량과 제2 급기구(140)의 급기량을 합한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작게 되도록 하여 배기장치(10) 주변을 음압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급기구(130)의 급기량과 제2 급기구(140)의 급기량을 합한 급기량이 배기량의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If the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is greater than necessary, contaminated air may diffuse around the exhaust device 10. Therefore, the amount of air supplied by the sum of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is made smaller than the amount of exhaust air,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is diffused by forming the surroundings of the exhaust device 10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Can be prevented. For example, the amount of air supplied by the sum of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may be about 50% of the exhaust amount.

만약,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 중 어느 하나에서만 급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하나의 급기구의 급기량은 배기량보다 작게 되도록 한다.If air is supplied only from one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the air supply amount of one of the air supply ports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exhaust amount.

상기 제1 급기구(130)의 급기량과 제2 급기구(140)의 급기량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먼저,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상기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140)와 상기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되는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급기가 이루어지면, 배기장치(1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 측에 균일하게 급기가 이루어져,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 외측으로 누설되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and the exhaust device 10,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 So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and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are the same. When air supply is made in this way, supply is uniformly suppli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center line (C) of the exhaust device 10,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ed air from leaking out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spreading into the indoor space. I can.

또한,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상기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140)와 상기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의 거리가 먼 급기구의 급기량이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많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급기가 이루어지면, 배기장치(1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 측에 균일하게 급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exhaust device 10 is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ir supply port 140 and the exhaust device 10, from the exhaust device 10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with a distance of is greater than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air supply at a distance from the exhaust device 10. When the air supply is performed in this way, air supply can be uniform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center line C of the exhaust device 10.

또한, 상기 제1전후영역(Z1)의 급기량보다 제2전후영역(Z2)의 급기량이 더 크게 할 수 있다. 즉, 제1, 제2 급기구(130,140)의 급기량의 합보다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이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은 배기량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은 배기량의 약 70% 정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은 배기량과 같거나 배기량보다 더 크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급기량을 설정하게 되면, 배기장치(10) 주변을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비하여 높은 압력 상태로 형성하여 배기장치(10)를 통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배기장치(1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region Z2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region Z1. That is,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third air supply port 150 may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sum of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In this case, the supply air amount of the third air supply port 150 may be smaller than the exhaust amount. For example,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third air supply port 150 may be set to be about 70% of the exhaust amount. In addition,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third air supply port 15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xhaust amount. When the supply air amount is set in this way, the area around the exhaust device 10 is formed at a higher pressure than that of the first front and rear area Z1, so that the exhaust through the exhaust device 10 is smoothly performed, and the exhaust device 10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제1전후영역(Z1)과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의 급기량의 합은 상기 배기장치(10)의 배기량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기량과 배기량을 설정하게 되면 배기장치(10)를 통한 배기가 원활하게 되어 배기장치(1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um of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first to third air supply ports 130, 140 and 150 provided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region Z1 and the second before and after region Z2 may be greater than the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device 10. . When the supply air amount and the exhaust amount are set in this way, exhaust through the exhaust device 10 becomes smooth, and the efficiency of the exhaust device 10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제1,제2 급기구(130,140) 각각의 급기량과 상기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은 각각 상기 배기장치(10)의 배기량보다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amount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orts 130 and 140 provided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region Z1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third supply hole 150 provided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region Z2 are Each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device 10.

한편,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급기구(130,140)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10)에 먼저 도달하고,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10)에 나중에 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provided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region Z1 reaches the exhaust device 10 first, and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s provided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region. Can be configured to reach the exhaust device 10 later.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한 일례로,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급기구(130,140)를 통해 먼저 급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급기구(150)를 통해 나중에 급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배기장치(10)의 가동 초기에는 제1,제2급기구(130,140)를 통해서만 급기함으로써 배기장치(10) 외측으로 오염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장치(10) 주변에 음압을 형성시켜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기장치(10)가 일정시간 가동되면, 배기장치(10) 주변의 음압으로 인해 배기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장치(10) 가동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3급기구(150)를 통해 급기함으로써 배기장치(10)에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s an example for such a configuration, air is first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provided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region Z1, and through the supply air supply 150 provided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region Z2.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supply air later. That is, at the beginning of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10, air is supplied onl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to prevent leakage of contaminated air to the outside of the exhaust device 10, and negative pressure around the exhaust device 10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from spreading into the indoor space. When the exhaust device 10 is operated in such a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exhaust efficiency may be lowered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around the exhaust device 10. Therefore, when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the exhaust device 10 is operated, air is supplied through the third air supply mechanism 150 so that exhaust from the exhaust device 10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급기구(130,140)와 상기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급기구(150)에서 동시에 급기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ir may be simultaneously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s 130 and 140 provided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region Z1 and the air supply holes 150 provided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region Z2.

한편, 조리자가 배기장치(10)의 가동세기를 1단에서 2단 또는 3단으로 변경하는 등 가동세기를 높이거나, 2단 또는 3단에서 1단으로 변경하는 등 가동세기를 낮추는 경우에는 급기구(130,140,150)의 급기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oker increases the operation strength, such as changing the operation strength of the exhaust device 10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econd stage or the third stage, or decreases the operation strength, such as changing from the second stage or the third stage to the first stag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devices 130, 140, 150.

이 경우 상기 배기장치(10)에서 배기 송풍기(11)의 가동세기에 대한 정보가 송신되어 상기 급기장치(100)의 배기량 정보 수신부(114)에 수신되면, 급기량 조절부(112)는 상기 배기 송풍기(11)의 가동세기에 대응하는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급기 송풍기(120)에서의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rength of the exhaust blower 11 is transmitted from the exhaust device 10 and is received by the exhaust am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4 of the air supply device 100, the air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12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blower 120 may be adjusted so that air supply is performed at an air supply amoun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trength of the blower 1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o do so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 : 배기장치 11 : 배기 송풍기
12 : 흡입부 13 : 유속 경계면
15 : 배기덕트 16 : 차단판
20 : 레인지 30 : 싱크대
100 : 급기장치 101 : 덕트
102 : 분배기 105 : 급기신호 발생부
110 : 제어부 111 : 급기신호 수신부
112 : 급기량 조절부 113 : 배기량 정보 저장부
114 : 배기량 정보 수신부 120 : 급기 송풍기
130 : 제1 급기구 140 : 제2 급기구
131,141 : 가이드 150 : 제3 급기구
160, 170, 180 : 급기구
10: exhaust device 11: exhaust blower
12: suction part 13: flow velocity boundary
15: exhaust duct 16: blocking plate
20: range 30: sink
100: air supply device 101: duct
102: distributor 105: supply air signal generator
110: control unit 111: air supply signal receiving unit
112: supply air quantity control unit 113: displac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14: displaceme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supply air blower
130: first air supply 140: second air supply
131,141: guide 150: 3rd air supply
160, 170, 180: air supply

Claims (17)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제1전후영역의 급기구와 제2전후영역의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동되는 급기 송풍기;
를 포함하는 급기장치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a first front and rear area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exhaust device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a second front and rear area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xhaust system to a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front and rear area;
An air supply blower driven to supply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regions and through the air supply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regions;
Air supply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comprises a first air supply port and a second air supply port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out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exhaus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영역의 급기구와 상기 제2전후영역의 급기구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량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ir supply apparatus comprising: an air supply amount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n air supply amount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s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areas and the supply ports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area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복수의 실내공간으로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량 조절부는, 상기 급기구로 공급되는 급기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복수의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dampers for distribut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blower to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The air supply amount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lurality of dampers so that the air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air supply port is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저장하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량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배기량 정보에 대응하는 급기량으로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급기하는 것을 급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xhaust amoun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exhaust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An air supply device that supplies air 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with an air supply amount corresponding to the air displac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stor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수신하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가 구비되고;
제어부에는 상기 배기량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량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displaceme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isplac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An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y amount is set in the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exhaust amount information.
a) 급기 송풍기를 가동하는 단계;
b)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를 통해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a) starting the supply air blower;
b)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a first front and rear area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exhaust device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a first air supply port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exhaust device to a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front and rear area. Supplying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blower to the room through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regions;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영역의 급기구와 상기 제2전후영역의 급기구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은 급기량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ai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s in the first before and after areas and the supply ports in the second before and after areas are adjusted by the supply air quantity control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is smaller than the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region is larger than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air supply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에 먼저 도달하고,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에 나중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first reaches the exhaust system, and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air supply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region reaches the exhaust system later. How to control the air suppl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먼저 급기가 이루어진 후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ir is supplied first through a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area, and then air is supplied through a supply port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양측면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의 급기량의 합이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air supply port locat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comprises a first air supply port and a second air supply port respectively provided outside both side surfaces of the exhaust system;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of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first air supply port and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second air supply air is smaller than the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의 합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of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first front and rear region and the air supply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air supply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region is greater than the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area is smaller than the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과 같거나 상기 배기량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second front and rear are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xhaust amount of the exhaust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이 배기량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고;
제어부는 상기 배기량이 가변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n exhaust amou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device is received by an exhaust amou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blower to be varied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exhaust amount.
KR1020210029009A 2018-07-16 2021-03-04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45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009A KR102345137B1 (en) 2018-07-16 2021-03-04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585A KR102227556B1 (en) 2018-07-16 2018-07-16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029009A KR102345137B1 (en) 2018-07-16 2021-03-04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585A Division KR102227556B1 (en) 2018-07-16 2018-07-16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628A true KR20210028628A (en) 2021-03-12
KR102345137B1 KR102345137B1 (en) 2021-12-30

Family

ID=7917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009A KR102345137B1 (en) 2018-07-16 2021-03-04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13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9599A (en) * 2000-07-25 2002-02-06 Osaka Gas Co Ltd Ventilating system, controller for ventilating and method for ventilating
JP2006145115A (en) * 2004-11-19 2006-06-08 Daikin Ind Ltd Ventilation control device
JP2014025621A (en) * 2012-07-25 2014-02-06 Toshiba Carrier Corp Air supply/exhaust system
JP2014129969A (en) * 2012-12-28 2014-07-10 Daikin Ind Ltd Ventil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9599A (en) * 2000-07-25 2002-02-06 Osaka Gas Co Ltd Ventilating system, controller for ventilating and method for ventilating
JP2006145115A (en) * 2004-11-19 2006-06-08 Daikin Ind Ltd Ventilation control device
JP2014025621A (en) * 2012-07-25 2014-02-06 Toshiba Carrier Corp Air supply/exhaust system
JP2014129969A (en) * 2012-12-28 2014-07-10 Daikin Ind Ltd Venti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137B1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25189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105674360A (en) Range hood
KR102227556B1 (en)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204648474U (en) Air conditioner room unit
CN104807098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48315B1 (en)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14830A (en) Exhaust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Air supply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20200115182A (en) Exhaust apparatus
KR102345137B1 (en)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210979966U (en) Side-jacking type range hood
KR102311159B1 (en)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50717B1 (en) Air conditioner
CN110207233A (en) A kind of laterally pushed type kitchen ventilator
KR20200111061A (en) A modula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EP1159090A1 (en) Arrangement for air evacuation
JP2002243232A (en) Ventilation system for kitchen
CN204648473U (en) Air-conditioner
KR20110040454A (en) Kitchen exhaust system
KR101167864B1 (en) The suction and exhaust device for circulation of indoor air
KR102058286B1 (en) Indoor ventilation apparatus for building
CN219389846U (en) Fume extractor and integrated kitchen
KR102260499B1 (en)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indoors exhaust apparatus
KR102120275B1 (en) Ventilation system for kitchen
CN221035989U (en) Air treatment device
KR102395958B1 (en) Rapid Kitchen Air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