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505A -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505A
KR20210028505A KR1020190109687A KR20190109687A KR20210028505A KR 20210028505 A KR20210028505 A KR 20210028505A KR 1020190109687 A KR1020190109687 A KR 1020190109687A KR 20190109687 A KR20190109687 A KR 20190109687A KR 20210028505 A KR20210028505 A KR 20210028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space part
water film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470B1 (ko
Inventor
이학연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Priority to KR102019010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4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는 실내와 연통되는 실내측 유입구와 실내측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실외와 연동되는 실외측 유입구와 실외측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 상기 실내측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 상기 실외측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 상기 실외측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4공간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에서 유입된 공기 또는 실외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챔버; 상기 제2공간부에 구비되어 급기를 수행하는 급기송풍기; 상기 제4공간부에 구비되어 배기를 수행하는 배기송풍기; 상기 제1공간부와 제3공간부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공기가 통하도록 하거나 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댐퍼부;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구획하는제1격벽; 상기 제2공간부와 제4공간부를 구획하는제2격벽; 및 상기 제2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송풍기 동작시 제2공간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되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실내측 유입구 또는 실외측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챔버를 거쳐 먼지제거부를 통과한 후, 실내측 배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VENTILATION APPARATUS WITH PRECIPITATION PLATE}
본 발명은 수막형집진판을 이용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를 순환하여 정화시키는 공기청정 기능과,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의 공기는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공간상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한다. 또한, 실내공기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에 의해서 오염된다. 이러한 오염 물질들은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과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유발하며, 유기물질의 부패로 인해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는 현기증과 무기력증 등의 증상을 유발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주택과 같이 밀폐된 실내는 주기적으로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 주는 환기장치를 설치하거나, 실내공기를 순환시켜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 공기오염을 감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환기장치를 통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 방법과,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방법이 있다.
환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환기장치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 측으로 배기함과 아울러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 측으로 급기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실내에 냉난방기기가 작동하는 경우, 실외의 덥고 차가운 공기가 그대로 유입되어 냉난방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급기되는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환기장치는 실외공기가 깨끗하다는 전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주택이나 사무실이 도시나 공장지대에 있는 경우, 또는, 황사나 미세먼지 등이 특히 많이 발생되는 특정한 시기에는 실외공기가 실내공기 못지 않게 오염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즉 환기장치는 환기를 통한 방법만으로는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공기를 계속하여 재활용하는 것이므로, 실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산소결핍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등의 성능에 따라 공기 정화능력의 차이가 현저히 나고, 나아가, 필터 등을 교환하지 못하는 경우 오히려 실내공기의 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공기청정기만으로는 실내의 공기오염을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환기 기능과 공기청정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환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정화하거나 또는,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정화할 수 있는 환기장치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도 1은 일반적인 환기장치(1)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환기장치(1)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2)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외기 급기통로(3)가 구비되고, 상기 외기 급기통로(3)와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내기 배기통로(5)가 구비된다. 상기 외기 급기통로(3)와 내기 배기통로(5)는 하우징(2)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4)에 의해 서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기 급기통로(3)의 일단에는 실외와 연통하는 외기 흡입구(3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실내와 연통되는 외기 토출구(34)가 형성되며, 상기 내기 배기통로(5)의 일단에는 실내와 연통되는 실내공기 흡기구(5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실외와 연통되는 내기 토출구(5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32, 34, 52, 54)에는 각각 덕트가 연결된다. 상기 외기급기통로(3)의 외기 토출구(34) 측에는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외기 급기팬(6)이 구비되고, 상기 내기 배기통로(5)의 내기 토출구(54) 측에는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내기 배기팬(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기 급기통로(3)와 내기 배기통로(5)가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는 하우징(2)의 가운데 부분에는 열교환기(7)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7)는 상하 모서리가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고 좌우 모서리가 격벽(4)에 의해 지지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외기 급기통로(3)와 연통하는 다수의 급기통로(미도시)와 내기 배기통로(5)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통로(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통로와 배기통로의 경계부분에는 열전도 효율이 뛰어난 열교환막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 환기장치(1)는 실내공기가 오염되었을 때, 상기 내기 배기팬(8)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실내공기가 내기 흡입구(52)를 통해 내기 배기통로(5)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의 배기통로(5b)를 지나 내기 토출구(54)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이와 동시에 외기 급기팬(6)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가 외기 흡입구(32)를 통해 외기 급기통로(3)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의 급기통로(3b)를 지나 외기 토출구(34)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7)를 지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열교환막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 분위기일 때 급기되는 실외공기가 실내공기와 1차적으로 열교환된 다음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실내온도의 급격한 상승이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나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으로 오염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경우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4693호(2018.07.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공기를 순환하여 정화시키는 공기청정 기능과,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의 공기는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공간상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는 일측에는 실내와 연통되는 실내측 유입구와 실내측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실외와 연동되는 실외측 유입구와 실외측 배출구가 형성되며, 실내측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 실내측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 실외측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 실외측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4공간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에서 유입된 공기 또는 실외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챔버; 제2공간부에 구비되어 급기를 수행하는 급기송풍기; 제4공간부에 구비되어 배기를 수행하는 배기송풍기; 제1공간부와 제3공간부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공기가 통하도록 하거나 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댐퍼부;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구획하는제1격벽; 제2공간부와 제4공간부를 구획하는제2격벽; 및 제2공간부에 구비되며, 급기송풍기 동작시 제2공간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되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실내측 유입구 또는 실외측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챔버를 거쳐 먼지제거부를 통과한 후, 실내측 배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순환하여 정화시키는 공기청정 기능과,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의 공기는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공간상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수막형집진판(습식방식)을 이용하여 물에 직접 미세한 먼지 등의 분진을 집진시킴으로써, 저전력으로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수행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환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챔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챔버의 평면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도 3에서 A-A를, (b)는 도 3에서 B-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환기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먼지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하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하전부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하전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챔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챔버에 구비된 회전부가 동작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챔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챔버에 구비된 회전부가 동작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순환하여 정화시키는 공기청정 기능과,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의 공기는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공간상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챔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챔버의 평면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도 3에서 A-A를, (b)는 도 3에서 B-B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는 후술되는 댐퍼부(50)의 동작에 의해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공기청정 기능과 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우징(10), 챔버(20), 급기송풍기(30), 배기송풍기(40), 댐퍼부(50), 제1격벽(60), 제2격벽(70) 및 먼지제거부(80)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실내와 연통되는 실내측 유입구(11)와 실내측 배출구(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실외와 연동되는 실외측 유입구(13)와 실외측 배출구(14)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내측 유입구(11)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15), 실내측 배출구(12)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16), 실외측 유입구(13)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17), 실외측 배출구(14)와 연통되는 제4공간부(18)가 형성된다.
이때, 제1공간부(15), 제2공간부(16), 제3공간부(17), 제4공간부(18)는 각각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실내측 유입구(11) 또는 실외측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후술되는 챔버(2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공간부(15)와 제4공간부(18)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통로(공기유로)가 되고, 제3공간부(17)와 제2공간부(16)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통로(공기유로)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공간부(15)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순환되어 다시 실내로 유입되는 통로(공기유로)가 되도록 한다.
챔버(20)는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에서 유입된 공기 또는 실외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챔버(2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내에서 유입된 공기 또는 실외에서 유입된 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실내에서 유입된 공기 또는 실외에서 유입된 공기가 각각의 공기유로를 따라 거쳐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채널(21) 및 제2채널(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채널(21)은 실내의 공기가 배기용 유입구(22), 배기통로(23), 배기용 배출구(24)를 거쳐 실외로 배기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부(15)와 제4공간부(18)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제2채널(25)은 실내의 공기 또는 실외의 공기가 급기용 유입구(26), 급기통로(27), 급기용 배출구(28)를 거쳐 실내로 급기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간부(16)와 제3공간부(17)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이때, 제1채널(21)과 제2채널(2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한 쌍 이상 구비되되, 상기 제1채널(21)과 제2채널(25)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적층됨으로써, 다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채널(21)과 제2채널(25)이 반복된 형태로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채널(21)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채널(25)을 통과하는 공기가 분할되어 인접함에 따라 효율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급기송풍기(30)는 실내 급기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2공간부(16)에 장착되어 챔버(20)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측 배출구(1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배기송풍기(40)는 실외 배기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4공간부(18)에 장착되어 챔버(20)를 통과한 공기가 실외측 배출구(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급기송풍기(30)와 배기송풍기(40)는 팬의 회전에 의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급기송풍기(30)와 배기송풍기(40)가 장착되는 위치는 팬의 구동방향, 하우징(10) 내의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변경되어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댐퍼부(50)는 제1공간부(15)와 제3공간부(17)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공기가 통하도록 하거나 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댐퍼부(5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댐퍼부(50)의 회전에 의해 제1공간부(15)와 제3공간부(17)가 서로 차단되도록 하거나 또는 서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부(50)의 동작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변경되는 실시예는 후술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격벽(60)은 제1공간부(15)와 제2공간부(16)를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각의 공간이 독립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격벽(70)은 제2공간부(16)와 제4공간부(18)를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각의 공간이 독립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1격벽(60) 및 제2격벽(70)은 제1공간부(15), 제2공간부(16), 제4공간부(18)가 각각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3공간부(17)는 댐퍼부)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공간부(15)와 구획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의 일부분이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제4공간부(18)와 구획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제3공간부(17)와 제4공간부(18)를 구획하는 격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지제거부(80) 제2공간부(16)에 구비되며, 실내에서 유입된 공기 또는 실외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속 미세한 먼지 등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2공간부(16)를 거쳐 실내측 배출구(1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공간부(16)에 구비된 먼지제거부(80)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먼지 등이 포집됨에 따라, 실내에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먼지제거부(8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되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댐퍼부(50)의 동작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변경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환기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환기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댐퍼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벽과 챔버(20) 양 끝단이 접촉됨에 따라, 제1공간부(15)와 제3공간부(17)가 서로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실내측 유입구(11), 실내측 배출구(12), 실외측 유입구(13) 및 실외측 배출구(14)가 모두 개방된 상태이므로, 실외의 공기는 급기송풍기(30)의 동작에 의해 제3공간부(17), 챔버(20)의 제2채널(25) 및 제2공간부(16)의 먼지제거부(80)를 거쳐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의 공기는 배기송풍기(40)의 동작에 의해 제1공간부(15), 챔버(20)의 제1채널(21) 및 제4공간부(18)를 거쳐 실외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하우징(10) 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먼지제거부(80) 통과하면서, 공기 속 미세한 먼지 등이 제거되고, 이에, 실내측으로 깨끗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공기청정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댐퍼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어 제1공간부(15)와 제3공간부(17)가 서로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실내측 유입구(11)와 실내측 배출구(12)는 개방된 상태이며, 실외측 유입구(13)와 실외측 배출구(14)는 차단된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외측 유입구(13)는 개폐식댐퍼(13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실외측 배출구(14)는 배기송풍기(40)의 미동작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개폐식댐퍼(13a)는 실외측 유입구(13)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전형 또는 슬라이드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외와 하우징(10) 내부를 연통하는 실외측 유입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실내로 유입되어 순환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실외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하우징(10) 내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부(15)와 댐퍼부(50)를 거쳐 챔버(20) 통과한 후, 제2공간부(16)의 먼지제거부(8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속 미세한 먼지 등이 제거된 후, 실내측 배출구(1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는 댐퍼부(50)의 동작과 실외측 유입구(13), 실외측 배출구(14)가 개방 또는 차단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공기청정 기능과 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에 필요한 공간상의 제약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먼지제거부(80)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먼지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하전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하전부의 저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하전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먼지제거부(8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먼지제거부(80)는 유입되는 미세한 먼지 등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전부(100), 수막형집진판(200), 수막 형성부(300) 및 전압인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먼지제거부(80) 전체가 육면체로 이루어진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하전부(100), 수막형집진판(200) 및 수막 형성부(300) 등 다양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하전부(100)는 먼지제거부(80)의 일측에 구비되며, 후술되는 전압인가부(400)와 전선(도면에 미표시)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압인가부(400)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해 먼지를 하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전부(1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블럭형 베이스(110)가 서로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럭형 베이스(110)의 저면에는 하전부재(120)가 결합되되, 상기 하전부재(120)는 후술되는 전압인가부(400)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압인가부(400)로부터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미세한 먼지 등을 하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다수의 블럭형 베이스(110)에 각각 하전부재(120)가 구비되어 다수 개 형성됨에 따라 먼지 등을 하전시키는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각각의 블럭형 베이스(110) 저면에 하전부재(12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전부재(1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블럭형 베이스(110) 자체를 교체하거나 또는 하전부재(120) 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전부재(120)는 미세한 먼지 등을 하전시키는 다수의 난소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블럭형 베이스(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탈부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탈부착홈(111)은 하전부재(120)가 끼워져 나사산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공간으로, 탈부착홈(111)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하전부재(120)의 겉면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됨에 따라, 탈부착홈(111)에 하전부재(12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블럭형 베이스(11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측면(112), 제2측면(113), 제3측면(114), 제4측면(115)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서로 연결된 제1측면(112)과 제2측면(113)의 외주면에 끼움돌기(116)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서로 연결된 제3측면(114)과 제4측면(115)의 외주면에 끼움홀(117)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끼움돌기(116)가 끼움홀(117)에 끼워짐에 따라, 다수 개의 블럭형 베이스(110)가 서로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홀(117)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형 베이스(110)의 상단과 하단을 연통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단만 연통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하단만 연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끼움돌기(116)가 끼움홀(117)에 끼워지는 과정은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다른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와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한다.
나아가, 끼움돌기(116)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되, 끝단에는 폭이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끼움돌기(116)가 끼움홀(117)에 끼워지게 되면, 다수의 블럭형 베이스(110)는 수평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맞물리게 됨으로써, 다수 개의 블럭형 베이스(110) 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제1측면(112), 제2측면(113), 제3측면(114), 제4측면(115)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주면에는 간격유지돌기(118)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에 형성된 끼움돌기(116)가 다른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에 형성된 끼움홀(117)에 끼워지면,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에 형성된 간격유지돌기(118)는 다른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의 외주면에 접촉됨으로써,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와 다른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 사이에 이격공간(118a)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격공간(118a)은 전선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블럭형 베이스(110) 각각에 설치된 하전부재(120)와 전선으로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블럭형 베이스(110)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전선연결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연결홈(119)은 탈부착홈(111)과 이격공간(118a)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격공간(118a)에 위치한 전선이 전선연결홈(119)으로 일부 삽입된 후, 탈부착홈(111)에 체결된 하전부재(120)에 연결된다.
수막형집진판(200)은 먼지제거부(80)의 타측에 구비되며,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어 먼지가 포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는 판 형태의 수막형집진판(200)을 이용함으로써,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판 형태의 수막형집진판(200)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하여 미세한 먼지 등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막형집진판(200)은 후술되는 수막 형성부(300)로부터 액체가 분사됨에 따라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전부(100)에 의해 하전된 미세한 먼지 등이 정전전기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에 포집되도록 한다.
이때, 수막형집진판(200)은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종래 수막형집진판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막형집진판(200)의 표면은 형성된 수막의 유지가 용이하도록 표면의 거칠기가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래를 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가공하는 샌드 블라스팅의 가공방법을 통해 표면의 거칠기가 거칠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샌드 블라스팅 가공된 상태에서 그 겉면에 코팅처리를 함으로써, 모래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초기 거칠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수막형집진판(200)은 일측은 낮고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높게 형성되는 타측에는 후술되는 수막 형성부(3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수막 형성부(300)에서 분사되는 액체는 수막형집진판(200)의 높게 위치한 부분으로 분사되되, 상기 수막형집진판(200)의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흘러 내리면서 수막형집진판(200)의 표면 전체에 걸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수막 형성부(300)는 수막형집진판(200)의 표면에 액체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액체가 수용된 탱크, 액체가 이송되는 배관, 액체를 이송시키는 동력원(펌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수막 형성부(300)를 통해 수막형집진판(200) 표면으로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수막형집진판(200)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수막 형성부(300)에서 사용되는 액체는 세정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수막형집진판(200)에 수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수막형집진판(200) 표면에 잔존하는 다양한 이물질 들을 세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압인가부(400)는 하전부(10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별도의 전선으로 하전부(10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는 수막형집진판(습식방식)을 이용하여 액체에 직접 미세한 먼지 등의 분진을 집진시킴으로써, 저전력으로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수행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챔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챔버에 구비된 회전부가 동작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챔버(2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챔버(20)는 회전부(29) 및 개폐식댐퍼(13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부(29)는 챔버(2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챔버(20)가 회전되는 방향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모두 회전이 가능한 양방향 모터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회전되는 정도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약 45° 이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식댐퍼(13a)는 실외측 유입구(13)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29)에 의해 챔버(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함께 동작되어 실외측 유입구(13)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29) 및 개폐식댐퍼(13a)를 포함하는 챔버(20)가 동작되는 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부(29)는 챔버(20)를 약 45° 회전시켜 제1공간부(15), 제2공간부(16), 제3공간부(17) 및 제4공간부(18)가 연통되도록 하고, 개폐식 댐퍼부(50)는 실외측 유입구(13)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급기송풍기(30) 동작시, 실내측 유입구(11)로 유입된 공기는 제1공간부(15)와 제2공간부(16)를 거쳐 먼지제거부(80)를 통과한 후, 실내측 배출구(1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실내측 유입구(11)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1공간부(15)와 제2공간부(16) 및 먼지제거부(80)를 통과하여 실내측 배출구(12)를 통해 바로 실내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 효과에 의해 공기청정 기능이 보다 빠르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에서 챔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챔버에 구비된 회전부가 동작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챔버(2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챔버(20)는 회전부(29) 및 필터(26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부(29)는 챔버(2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챔버(20)가 회전되는 방향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모두 회전이 가능한 양방향 모터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회전되는 정도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약 90° 이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26a)는 급기용 유입구(26)에 구비되는 것으로, 실내의 공기 또는 실외의 공기가 상기 필터(26a)를 통과하여 챔버(20)의 제2채널(25)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먼지 등을 걸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필터(26a)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회전부(29)가 동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제3공간부(17)을 거쳐 챔버(2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일부의 먼지 등을 걸러주게 되며, 걸러진 먼지 등은 필터(26a)의 겉면에 포집된 상태가 된다.
이후, 회전부(29)의 동작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6a)가 위치한 공간이 제3공간부(17)에서 제4공간부(18)로 변경되면, 배기송풍기(40)의 동작에 의해 챔버(20)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필터(26a) 겉면에 포집된 먼지 일부분이 함께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필터(26a)를 재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필터(26a)의 수명을 향상시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실내측 유입구
12 : 실내측 배출구 13 : 실외측 유입구
13a : 개폐식댐퍼 14 : 실외측 배출구
15 : 제1공간부 16 : 제2공간부
17 : 제3공간부 18 : 제4공간부
20 : 챔버 21 : 제1채널
22 : 배기용 유입구 23 : 배기통로
24 : 배기용 배출구 25 : 제2채널
26 : 급기용 유입구 26a : 필터
27 : 급기통로 28 : 급기용 배출구
29 : 회전부 30 : 급기송풍기
40 : 배기송풍기 50 : 댐퍼부
60 : 제1격벽 70 : 제2격벽
80 : 먼지제거부
100 : 하전부 110 : 블럭형 베이스
111 : 탈부착홈 112 : 제1측면
113 : 제2측면 114 : 제3측면
115 : 제4측면 116 : 끼움돌기
117 : 끼움홀 118 : 간격유지돌기
118a : 이격공간 119 : 전선연결홈
120 : 하전부재 200 : 수막형집진판
300 : 수막 형성부 400 : 전압인가부

Claims (10)

  1. 일측에는 실내와 연통되는 실내측 유입구(11)와 실내측 배출구(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실외와 연동되는 실외측 유입구(13)와 실외측 배출구(14)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유입구(11)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15), 상기 실내측 배출구(12)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16), 상기 실외측 유입구(13)와 연통되는 제3공간부(17), 상기 실외측 배출구(14)와 연통되는 제4공간부(18)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에서 유입된 공기 또는 실외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챔버(20);
    상기 제2공간부(16)에 구비되어 급기를 수행하는 급기송풍기(30);
    상기 제4공간부(18)에 구비되어 배기를 수행하는 배기송풍기(40);
    상기 제1공간부(15)와 제3공간부(17)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공기가 통하도록 하거나 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댐퍼부(50);
    상기 제1공간부(15)와 제2공간부(16)를 구획하는제1격벽(60);
    상기 제2공간부(16)와 제4공간부(18)를 구획하는제2격벽(70); 및
    상기 제2공간부(16)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송풍기(30) 동작시 제2공간부(16)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되는 먼지제거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실내측 유입구(11) 또는 실외측 유입구(13)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챔버(20)를 거쳐 먼지제거부(80)를 통과한 후, 실내측 배출구(1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20)는
    실내의 공기가 배기용 유입구(22), 배기통로(23), 배기용 배출구(24)를 거쳐 실외로 배기되도록 하는 제1채널(21); 및
    실내의 공기 또는 실외의 공기가 급기용 유입구(26), 급기통로(27), 급기용 배출구(28)를 거쳐 실내로 급기되도록 하는 제2채널(25);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채널(21)과 제2채널(25) 각각이 한 쌍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1채널(21)과 제2채널(25)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적층됨으로써,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부(80)는
    상기 먼지제거부(8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해 먼지를 하전시키는 하전부(100);
    상기 먼지제거부(80)의 타측에 구비되며,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어 상기 하전부(100)에서 하전된 먼지가 포집되는 수막형집진판(200);
    상기 수막형집진판(200)의 표면에 액체를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 형성부(300); 및
    상기 하전부(10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100)는
    다수 개가 서로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블럭형 베이스(110); 및
    상기 블럭형 베이스(110)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전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전부재(120)는
    상기 전압인가부(400)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압인가부(400)로부터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상기 수막형집진판(200)에 포집된 먼지를 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럭형 베이스(110)는
    저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탈부착홈(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전부재(120)는
    탈부착홈(111)에 끼워져 나사산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럭형 베이스(110)는
    제1측면(112), 제2측면(113), 제3측면(114), 제4측면(115)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서로 연결된 제1측면(112)과 제2측면(113)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끼움돌기(116); 및
    서로 연결된 제3측면(114)과 제4측면(115)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돌기(116)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홀(11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112), 제2측면(113), 제3측면(114), 제4측면(115)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간격유지돌기(118);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에 형성된 끼움돌기(116)가 다른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에 형성된 끼움홀(117)에 끼워지면,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에 형성된 간격유지돌기(118)는 다른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의 외주면에 접촉됨으로써,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와 다른 하나의 블럭형 베이스(110) 사이에 이격공간(118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블럭형 베이스(110)는
    저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전선연결홈(119);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선연결홈(119)은
    상기 탈부착홈(111)과 이격공간(118a)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챔버(20)는
    상기 챔버(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9); 및
    상기 실외측 유입구(13)를 개폐시키는 개폐식댐퍼(13a);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부(29)는 상기 챔버(20)를 회전시켜 제1공간부(15), 제2공간부(16), 제3공간부(17) 및 제4공간부(118)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식 댐퍼(50)는 실외측 유입구(13)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급기송풍기(30) 동작시, 실내측 유입구(11)로 유입된 공기는 제1공간부(15)와 제2공간부(16)를 거쳐 먼지제거부(80)를 통과한 후, 실내측 배출구(1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챔버(20)는
    상기 챔버(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9); 및
    상기 급기용 유입구(26)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 또는 실외의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26a);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부(29)는
    상기 챔버(20)를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필터(26a)가 제3공간부(17) 또는 제4공간부(18)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KR1020190109687A 2019-09-04 2019-09-04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KR10226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87A KR102265470B1 (ko) 2019-09-04 2019-09-04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87A KR102265470B1 (ko) 2019-09-04 2019-09-04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05A true KR20210028505A (ko) 2021-03-12
KR102265470B1 KR102265470B1 (ko) 2021-06-15

Family

ID=7517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687A KR102265470B1 (ko) 2019-09-04 2019-09-04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7304A (zh) * 2022-04-14 2022-07-29 高创建工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除尘装置
KR102544624B1 (ko) * 2022-10-21 2023-06-20 어썸레이 주식회사 공기 정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61A (ko)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409688Y1 (ko) * 2005-10-17 2006-03-03 (주)어플라이드플라즈마 플라즈마 살균정화기가 부착된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080026941A (ko) * 2006-09-22 2008-03-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2가지 재질을 이용한 전열교환소자
KR20180057747A (ko) * 2016-11-21 2018-05-31 한국기계연구원 수막형 스크러버 및 이를 이용한 집진 방법
KR20180084693A (ko) 2018-06-20 2018-07-25 주식회사 하츠 열교환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61A (ko)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409688Y1 (ko) * 2005-10-17 2006-03-03 (주)어플라이드플라즈마 플라즈마 살균정화기가 부착된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080026941A (ko) * 2006-09-22 2008-03-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2가지 재질을 이용한 전열교환소자
KR20180057747A (ko) * 2016-11-21 2018-05-31 한국기계연구원 수막형 스크러버 및 이를 이용한 집진 방법
KR20180084693A (ko) 2018-06-20 2018-07-25 주식회사 하츠 열교환 환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7304A (zh) * 2022-04-14 2022-07-29 高创建工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除尘装置
CN114797304B (zh) * 2022-04-14 2024-04-26 高创建工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除尘装置
KR102544624B1 (ko) * 2022-10-21 2023-06-20 어썸레이 주식회사 공기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470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813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환기장치
KR101461168B1 (ko) 창문형 공기청정장치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0988441B1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KR101797204B1 (ko) 실시간 환경 감응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1149815B1 (ko) 전열교환 환기유니트
KR102131439B1 (ko)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2079211B1 (ko) 하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대용량 필터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2039109B1 (ko) 필터박스가 연결된 전열교환기의 환기장치
KR101428212B1 (ko) 공기청정시스템
WO2006118372A1 (en) Wet type air cleaner
KR20080013585A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환기유닛
KR200429519Y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WO2015156636A1 (ko) 제습기능과 가습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1758644B1 (ko) 공청형 전열교환기
KR20210028505A (ko)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KR102554996B1 (ko)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20220008560A (ko) 실내 스탠드형 전열교환기
JP2006038449A (ja) 熱交換ユニット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WO2004111545A1 (ja) 調湿装置
KR102160260B1 (ko) 무덕트 전열교환기
WO2005100873A1 (ja) 熱交換ユニット
JP4124217B2 (ja) 熱交換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