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257A - Substrate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through fluid flow - Google Patents

Substrate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through fluid f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257A
KR20210028257A KR1020217005070A KR20217005070A KR20210028257A KR 20210028257 A KR20210028257 A KR 20210028257A KR 1020217005070 A KR1020217005070 A KR 1020217005070A KR 20217005070 A KR20217005070 A KR 20217005070A KR 20210028257 A KR20210028257 A KR 20210028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eaf
stretchable
substrate
orifice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데빈 조 바버
닐스 폴 포넬
추-헨 수
쿠오-쳉 우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8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2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20Packaging plate glass, tiles, or shi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2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jet can be 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6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being suspended; Suspending devices, e.g. clamps, supporting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B65G49/069Means for avoiding damage to stacked plate glass, e.g. by interposing paper or powder spacers in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기판 포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상기 방법은 포장 프레임 상에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그를 통해 유체가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가진 아암 툴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장치는 그를 통해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아암 툴을 포함한다.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 substrate. The method includes positioning the substrate on the packaging frame and positioning the flexible interleaf on the substrate using an arm tool having at least one orifice through which fluid flows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flexible interleaf. Includes. The device includes an arm tool including at least one orifice configured to flow a fluid therethrough.

Description

유체 유동을 통한 기판 포장 장치 및 방법Substrate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through fluid flow

본 출원은 35 U.S.C. § 119 하에 2018년 7월 30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711,88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병합된다.This application is filed under 35 U.S.C.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711,888 filed July 30, 2018 under § 119,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기판의 포장에 대한 것이며 특히 유체 유동을 통한 기판 포장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generally to the packaging of substrates and in particular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substrates via fluid flow.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 기판과 같은, 기판의 포장에서, 인터리프(interleaf) 종이 또는 발포 재료와 같은, 신축성 인터리프는 운송 중 기판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고 보호 완충하기 위한 노력으로 종종 기판들 사이에 위치된다. 신축성 인터리프가 기판 상에 위치될 때, 그 경로는 공기 저항으로 인해 방해될 수 있으며, 이는 인터리프가 접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의도치 않은 방식으로 기판 상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저항은 또한 기판으로 신축성 인터리프의 세틀링 시간(settling time)을 증가시키며, 이는 공정 시간 효율성 관점에서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들 사이의 신축성 인터리프를 포장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the packaging of substrates, such as glass substrates for display devices, stretchable interleaves, such as interleaf paper or foam materials, are often placed between substrates in an effort to minimize damage to the substrate during transportation and to protect and cushion it. do. When a stretchable interleaf is placed on a substrate, its path can be obstructed due to air resistance, which can cause the interleaf to fold or otherwise be placed on the substrate in an unintended manner. This air resistance also increases the settling tim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into the substrate, which can limit the speed in terms of process time efficiency.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solve this problem while wrapp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between the substrates.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는 기판을 포장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포장 프레임(packing frame) 상에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아암 툴(arm tool)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암 툴은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유체가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한다.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nclude a method of packaging a substrate. The method includes placing a substrate on a packaging frame. The method also includes position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on the substrate using an arm tool. The arm tool includes at least one orifice through which fluid flows over at least a portion of a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는 또한 기판을 포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포장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아암 툴을 포함한다. 아암 툴은 유체가 그를 통해 유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lso include an apparatus for packaging a substrate. The device includes a packaging frame. The device also includes an arm tool. The arm tool includes at least one orifice configured to allow fluid to flow therethrough.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될 것이며, 일부는 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며 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 범위, 및 첨부된 도면을 포함하여, 본원에 설명된 개시된 구현 예를 구현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다.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present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some of which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at description, or described herein, including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implementing the disclosed implementation examples.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가 청구된 구현 예의 본질 및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구현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첨부된 도면들은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며, 본 명세서로 혼입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구현 예를 예시하며, 설명과 함께 설명의 원리 및 작동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It is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represent implementation examples intended to provide an overview or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nature of the claimed implementation example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and are incorporated into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The drawings illustrate various implement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 and operation of the description.

도 1은 예시의 퓨전 하향 인발 유리 제조 장치(fusion down draw glass making apparatus) 및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유리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포장 프레임 상에 위치한 기판 상에 위치하는 신축성 인터리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클램핑 메커니즘 및 유체 유동 도관 및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아암 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클램핑 메커니즘 및 유체 유동 도관 및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아암 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각각 유체 유동 도관 및 오리피스의 개략적인 측면 및 정면 단면도이며, 여기서, 오리피스는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각각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정면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클램핑 메커니즘 및 유체 유동 도관 및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아암 툴을 이용하여 포장 프레임 상에 위치한 기판 상에 위치하는 신축성 인터리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emplary fusion down draw glass making apparatus and proces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lass sheet.
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retchable interleaf positioned on a substrate positioned on a packaging fram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rm tool including a clamping mechanism and a fluid flow conduit and an orifice.
5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arm tool including a clamping mechanism and a fluid flow conduit and an orifice.
6A and 6B are schematic side and front cross-sectional views of a fluid flow conduit and an orifice, respectively, wherein the orifice can be rotated transversely and longitudinally.
7A and 7B are front and side views, respectively, of fluid flowing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retchable interleaf positioned on a substrate positioned on a packaging frame using a clamping mechanism and an arm tool including a fluid flow conduit and an orifice.

이제 본 개시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그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서 예시된다. 가능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기 위해 도면 전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 제시된 구현 예로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examples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 possibl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to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part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shape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implementation examples presented herein.

범위는 "약" 하나의 특정 값으로부터 및/또는 "약" 다른 특정 값으로 같이 본원에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될 때, 다른 구현 예는 하나의 특정 값으로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 값으로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이 예를 들어, 선행하는 "약"의 사용에 의한 근사치로 표현될 때, 특정 값이 다른 구현 예를 형성한다고 이해될 것이다. 범위의 각각의 종단점이 다른 종단점과 관련하여, 그리고 다른 종단점과 별개로 모두 충족한다는 것을 더욱 이해할 것이다. Ranges may be expressed herein as "about" from one particular value and/or from "about" another particular value. When such ranges are expressed, other implementations include from one specific value and/or to another specific value. Similarly, when a value is expressed as an approximation, eg, by use of a preceding “abou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articular value forms another embodiment. It will be further understood that each endpoint of the range is satisfied both in relation to the other endpoint and independently of the other endpoint.

본원에 사용된 방향 용어는 - 예를 들어, 위, 아래, 우측, 좌측, 전방, 후방, 상단, 바닥 -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서만 이루어지며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려는 의도는 아니다. Directional terms as used herein-for example, top, bottom, right, left, front, rear, top, bottom-are made only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an absolute direction.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제시된 임의의 방법이 그 단계가 특정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임의의 장치로 특정 배향이 요구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법 청구항이 그 단계를 따르는 순서를 실제로 언급하지 않는 경우, 또는 장치 청구항이 개별 구성요소에 대한 순서 또는 배향을 실제로 언급하지 않거나, 또는 단계가 특정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청구항 또는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경우, 또는 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특정 순서 또는 배향이 언급되지 않은 경우, 어떤 면에서든, 순서 또는 배향이 추론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는 다음을 포함하여, 해석에 대한 가능한 비-표현적 근거를 유지한다: 단계의 배열, 작동 유동, 구성요소의 순서, 또는 구성요소의 배향에 대한 논리 문제; 문법적 구성 또는 구두점에서 파생된 일반 의미; 및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 예의 수 또는 유형.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any method presented herein is not to be construed as requiring the steps to be performed in a particular order, or requiring a particular orientation with any device. Thus, it is specifically stated in the claim or description that the method claim does not actually refer to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followed, or that the device claim does not actually refer to the order or orientation for individual components, or that the steps are limited to a particular order. If not, or if a specific order or orientation for the components of the device is not mentioned, in any respect, the order or orientation is not intended to be inferred. This maintains possible non-expressive basis for interpretation, including: the arrangement of steps, the working flow, the order of the components, or the logic problem of the orientation of the components; General meaning derived from grammatical construction or punctuation; And the number or type of implementation example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한", "하나", 및 "일"은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한" 구성요소에 대한 참조는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둘 이상의 이러한 구성요소를 가진 관점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 and “a” include plural objec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us, for example, reference to “a” component includes viewpoints having more than one such component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인"이라는 용어는 수평에서 45도와 90도 사이의 배향과 같이, 수평에서 45도 이상의 배향을 지칭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substantially vertical” refers to an orientation of at least 45 degrees in horizontal, such as between 45 degrees and 90 degrees in horizontal.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상부 부분"과 같은 용어는 신축성 인터리프가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인 경우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나머지 위에 있는 높이를 가진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일부분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상부 부분은 신축성 인터리프가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에 있는 경우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나머지에 대해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진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1/3에서 1/2을 포함할 수 있다.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the upper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refer to the main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having a height above the rest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when the stretchable interleaf i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orientation. Refers to a portion of the surface.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may contain 1/3 to 1/2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with the highest height relative to the remainder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if the stretchable interleaf i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orientation. I can.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하부 부분"이라는 용어는 신축성 인터리프가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에 있는 경우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나머지 아래에 있는 높이를 가진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일부분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하부 부분은 신축성 인터리프가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에 있는 경우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나머지에 대해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진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1/3 내지 1/2를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lower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refers to a stretchable interleaf having a height below the rest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when the stretchable interleaf i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orientation. Refers to a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For example, the lower portion may comprise 1/3 to 1/2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with the lowest height relative to the remainder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if the stretchable interleaf i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orientation. I can.

도 1에 나타낸 것은 대표적인 유리 제조 장치(10)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유리 제조 장치(10)는 용융 베셀(14, melting vessel)을 포함할 수 있는 유리 용융 노(12, glass melting furnace)를 포함할 수 있다. 용융 베셀(14)에 더해, 유리 용융 노(12)는 선택적으로 원료를 가열하고 원자재를 용융 유리로 변환하는 가열 요소(예컨대, 연소 버너 또는 전극)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 예에서, 유리 용융 노(12)는 용융 베셀 인근으로부터 열손실을 줄이는 열 관리 장치(예컨대, 절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유리 용융 노(12)는 유리 용융으로의 원료의 용융을 용이하게 하는 전극 디바이스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용융 노(12)는 지지 구조(예컨대, 지지 샤시(chassis), 지지 부재, 등)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Shown in Fig. 1 is a typical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10. In some embodiments, the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glass melting furnace 12, which may include a melting vessel 14. In addition to the melting vessel 14, the glass melting furnace 12 optionally includes one or more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heating elements (eg, combustion burners or electrodes) that heat the raw materials and convert the raw materials into molten glass. In a further embodiment, the glass melting furnace 12 may include a thermal management device (eg, an insulating component) that reduces heat loss from the vicinity of the melting vessel.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glass melting furnace 12 may include an electrode device and/or an electromechanical device that facilitates melting of raw materials into a glass melting furnace. Further, the glass melting furnace 12 may include a support structure (eg, a support chassis, support member, etc.) or other components.

유리 용융 베셀(14)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알루미나(alumina) 또는 지르코니아(zirconia)를 포함하는 내화 세라믹 재료와 같은 내화 세라믹 재료와 같은, 내화 재료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유리 용융 베셀(14)은 내화 세라믹 벽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 용융 베셀(14)의 특정 구현 예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glass melting vessel 14 is typically made of a refractory material, such as a refractory ceramic material, such as a refractory ceramic material including, for example, alumina or zirconia. In some embodiments, the glass melting vessel 14 may be constructed of refractory ceramic brick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glass melting vessel 1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일부 실시 예에서, 유리 용융 노는 연속 길이의 유리 리본과 같은 유리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유리 제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혼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개시의 유리 용융 노는 슬롯 인발(slot draw) 장치, 플롯 배스(float bath) 장치, 퓨전 공정과 같은 하향-인발 장치, 상향-인발 장치, 프레스-롤링(press-rolling) 장치, 튜브 인발 장치 또는 본원에 개시된 관점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임의의 다른 유리 제조 장치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혼입될 수 있다. 실시 예를 통해, 도 1은 개별 유리 시트로의 추후 공정을 위해 유리 리본을 퓨전 인발하기 위한 퓨전 하향-인발 유리 제조 장치(10)의 구성요소로서 유리 용융 노(12)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In some embodiments, a glass melting furnace may be incorporated as a component of a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substrate, such as a continuous length of glass ribbon. In some embodiments, the glass melting furna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slot draw apparatus, a float bath apparatus, a down-draw apparatus such as a fusion process, an upward-draw apparatus, a press-rolling apparatus. , Tube drawing apparatus, or any other glass making apparatus that would benefit from the viewpoints disclosed herein. By way of example, FIG.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glass melting furnace 12 as a component of a fusion down-draw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10 for fusion drawing a glass ribbon for later processing into individual glass sheets.

유리 제조 장치(10)(예컨대, 퓨전 하향-인발 장치(10))는 선택적으로 유리 용융 베셀(14)에 대해 상류에 위치한 상류 유리 제조 장치(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류 유리 제조 장치(16) 전체 또는 일부분은 유리 용융 노(12)의 일부로서 혼입될 수 있다.Glass making apparatus 10 (eg, fusion down-draw apparatus 10) optionally includes an upstream glass making apparatus 16 positioned upstream with respect to the glass melting vessel 14. In some embodiments, all or a portion of the upstream glass making apparatus 16 may be incorporated as part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12.

예시된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 유리 제조 장치(16)는 저장소(18), 원료 전달 디바이스(20), 및 상기 원료 전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18)는 화살표(2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용융 노(12)의 용융 베셀(14)로 공급될 수 있는 다량의 원료(24)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료(24)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리 형성 금속 산화물 및 하나 이상의 개질제(modifying agents)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원료 전달 디바이스(20)는 원료 전달 디바이스(20)가 저장소(18)로부터 용융 베셀(14)로 미리 정해진 양의 원료(24)를 전달하도록 모터(2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추가 실시 예에서, 모터(22)는 원료 전달 디바이스(20)를 구동하여 용융 베셀(14)로부터 하류에서 감지된 용융된 유리의 수준에 기초하여 제어된 속도로 원료(24)를 도입할 수 있다. 용융 베셀(14) 내의 원료(24)는 이후 가열되어 용융된 유리(28)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stream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16 may include a reservoir 18, a raw material delivery device 20, and a motor 22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delivery device. The reservoir 18 may be configured to store a large amount of raw material 24 that may be fed to the melting vessel 14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12, as indicated by arrow 26. Raw material 24 typically comprises one or more glass-forming metal oxides and one or more modifying agents. In some embodiments, the raw material delivery device 20 may be driven by a motor 22 such that the raw material delivery device 20 delivers a predetermined amount of raw material 24 from the reservoir 18 to the molten vessel 14. have. In a further embodiment, the motor 22 may drive the raw material delivery device 20 to introduce the raw material 24 at a controlled rate based on the level of molten glass sensed downstream from the melting vessel 14. . The raw material 24 in the melting vessel 14 can then be heated to form the molten glass 28.

유리 제조 장치(10)는 또한 유리 용융 노(12)에 대해 하류에 위치한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의 일부는 유리 용융 노(12)의 일부로서 혼입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아래에 논의된 제1 연결 도관, 또는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의 다른 부분은 유리 용융 노(12)의 일부로서 혼입될 수 있다. 제1 연결 도관(32)을 포함하는 하류 유리 제조 장치의 요소는 귀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귀금속은 백금, 이리듐(iridium), 로듐(rhodium), 오스뮴(osmium), 루테늄(ruthenium) 및 팔라듐(palladium),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금속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백금 그룹 금속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리 제조 장치의 하류 구성요소는 약 70% 내지 약 90% 중량의 백금 및 약 10% 내지 30% 중량의 로듐을 포함하는 백금-로듐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적합한 금속은 몰리브덴(molybdenum), 팔라듐, 레늄(rhenium), 탄탈룸(tantalum), 티타늄(titanium), 텅스텐(tungsten),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lass making apparatus 10 can also optionally include a downstream glass making apparatus 30 located downstream to the glass melting furnace 12. In some embodiments, a portion of the downstream glass making apparatus 30 may be incorporated as part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12. In some examples, the first connection conduit discussed below, or another portion of the downstream glass making apparatus 30, may be incorporated as part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12. The element of the downstream glass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first connecting conduit 32 can be formed from a precious metal. Suitable noble metals include platinum group metals selected from the group of metals consisting of platinum, iridium, rhodium, osmium, ruthenium and palladium, or alloys thereof. For example, the downstream component of the glass making apparatus may be formed of a platinum-rhodium alloy comprising about 70% to about 90% by weight platinum and about 10% to 30% by weight rhodium. However, other suitable metals may include molybdenum, palladium, rhenium, tantalum, titanium, tungsten, and alloys thereof.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용융 베셀(14)로부터 하류에 위치하고 위에서 언급한 제1 연결 도관(32)을 통해 용융 베셀(14, melting vessel)에 연결된 제1 컨디셔닝(conditioning)(즉, 프로세싱(processing)) 베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용융된 유리(28)는 제1 연결 도관(32)을 통해 용융 베셀(14)로부터 청징 베셀(34, fining vessel)로 중력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력은 용융된 유리(28)가 용융 베셀(14)로부터 청징 베셀(34)로 제1 연결 도관(32)의 인테리어 경로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컨디셔닝 베셀이 예를 들어 용융 베셀(14)과 청징 베셀(34) 사이에 용융 베셀(14)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구현 예에서, 컨디셔닝 베셀은 용융 베셀과 청징 베셀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초기의 용융 베셀로부터의 용융된 유리는 용융 공정을 계속하기 위해 더욱 가열되거나, 또는 청징 베셀로 들어가기 전에 용융 베셀의 용융된 유리의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The downstream glass making apparatus 30 is located downstream from the melting vessel 14 and connected to the melting vessel 14 via the first connecting conduit 32 mentioned above (i.e., processing processing)) may include a vessel. In some embodiments, the molten glass 28 may be supplied by gravity from the molten vessel 14 to the fining vessel 34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conduit 32. For example, gravity may cause the molten glass 28 to pass through the interior path of the first connecting conduit 32 from the molten vessel 14 to the clarifying vessel 34.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nditioning vessels may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melting vessel 14 between the melting vessel 14 and the clarifying vessel 34,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a conditioning vessel may be used between a melting vessel and a clarifying vessel, wherein the molten glass from the initial melting vessel is further heated to continue the melting process, or of the melting vessel prior to entering the clarifying vessel. It is cooled to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glass.

기포(bubbles)는 다양한 기술에 의해 청징 베셀(34) 내에서 용융 유리(2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24)는 가열될 때 화학적 환원 반응 및 산소 방출을 겪는 산화 주석과 같은 다가 화합물(multivalent compounds)(즉, 청징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청징제는 비소, 안티몬(antimony), 철 및 세륨(cerium)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청징 베셀(34)은 용융 베셀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 용융된 유리 및 청징제를 가열한다. 청징제(들)의 온도-유도된 화학적 환원에 의해 생성된 산소 기포는 청징 베셀 내에 용융된 유리를 통해 상승되며, 여기서 용융 노에 생성된 용융 유리의 가스는 청징제에 의해 생성된 산소 기포로 확산 또는 합체(coalesce)할 수 있다. 확대된 가스 기포는 이후 청징 베셀의 용융된 유리의 자유 표면으로 상승되고 이후 청징 베셀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산소 기포는 청징 베셀의 용융된 유리의 기계적인 혼합을 더욱 유도할 수 있다. Bubbles can be removed from the molten glass 28 within the clarifying vessel 34 by a variety of techniques. For example, the raw material 24 may include multivalent compounds (ie, clarifiers) such as tin oxide that undergo a chemical reduction reaction and release of oxygen when heated. Other suitable fining agents include, without limitation, arsenic, antimony, iron and cerium. The clarifying vessel 34 is heated to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vessel temperature to heat the molten glass and the clarifying agent. Oxygen bubbles generated by the temperature-induced chemical reduction of the clarifier(s) are raised through the molten glass in the clarifying vessel, where the gas of the molten glass generated in the melting furnace is converted into oxygen bubbles generated by the clarifier. Can diffuse or coalesce. The enlarged gas bubbles can then be raised to the free surface of the molten glass of the clarifying vessel and then discharged out of the clarifying vessel. Oxygen bubbles can further induce mechanical mixing of the molten glass in the clarifying vessel.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용융된 유리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베셀(36)과 같은 다른 컨디셔닝 베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 베셀(36)은 청징 베셀(34)로부터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혼합 베셀(36)은 균질의 유리 용융 조성을 제공하여, 청징 베셀을 빠져나가는 청징된 용융 유리 내에 존재할 수 있는 화학적 또는 열적 불균일성의 코드(cord)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청징 베셀(34)은 제2 연결 도관(38)을 통해 혼합 베셀(36)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용융된 유리(28)는 제2 연결 도관(38)을 통해 청징 베셀(34)로부터 혼합 베셀(36)로 중력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력은 용융된 유리(28)가 제2 연결 도관(38)의 내부 경로를 통해 청징 베셀(34)로부터 혼합 베셀(36)로 지나가게 할 수 있다. 혼합 베셀(36)이 청징 베셀(34)의 하류에 나타내지만, 혼합 베셀(36)은 청징 베셀(34)로부터 상류에 위치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일부 구현 예에서,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예를 들어, 청징 베셀(34)로부터 상류에 혼합 베셀 및 청징 베셀(34)로부터 하류에 혼합 베셀과 같이 다중 혼합 베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혼합 베셀은 동일한 디자인일 수 있으며, 또는 상이한 디자인일 수 있다.The downstream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30 may further include another conditioning vessel, such as a mixing vessel 36 for mixing molten glass. The mixing vessel 36 may be located downstream from the clarifying vessel 34. The mixing vessel 36 can be used to provide a homogeneous glass melt composition, reducing a cord of chemical or thermal non-uniformities that may exist in the clarified molten glass exiting the clarified vessel. As shown, the clarification vessel 34 may be connected to the mixing vessel 36 through a second connection conduit 38. In some embodiments, the molten glass 28 may be gravity supplied from the clarifying vessel 34 to the mixing vessel 36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conduit 38. For example, gravity may cause the molten glass 28 to pass from the clarifying vessel 34 to the mixing vessel 36 through the inner path of the second connecting conduit 38. While the mixing vessel 36 is shown downstream of the clarifying vessel 34,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ixing vessel 36 may be located upstream from the clarifying vessel 34. In some implementations, the downstream glass making apparatus 30 may include multiple mixing vessels, such as, for example, a mixing vessel upstream from the clarification vessel 34 and a mixing vessel downstream from the clarification vessel 34. These multiple mixing vessels may be of the same design or may be of different designs.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혼합 베셀(36)로부터 하류에 위치할 수 있는 전달 베셀(40, delivery vessel)과 같은 다른 컨디셔닝 베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베셀(40)은 하류 형성 디바이스로 공급되도록 용융된 유리(28)를 컨디셔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달 베셀(40)은 출구 도관(44)을 통해 형성 바디(42, forming body)로 용융된 유리(28)의 일관된 유동을 조정하거나 및/또는 제공하기 위해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및/또는 유동 컨트롤러(flow controller)로서 작동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 베셀(36)은 제3 연결 도관(46)을 통해 전달 베셀(40)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용융된 유리(28)는 제3 연결 도관(46)을 통해 혼합 베셀(36)로부터 전달 베셀(40)로 중력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력은 혼합 베셀(36)로부터 전달 베셀(40)로 제3 연결 도관(46)의 내부 경로를 통해 용융된 유리(28)를 구동할 수 있다.The downstream glass making apparatus 30 may further comprise another conditioning vessel, such as a delivery vessel 40, which may be located downstream from the mixing vessel 36. The delivery vessel 40 can condition the molten glass 28 to be fed to a downstream forming device. For example, the delivery vessel 40 is an accumulator and/or to regulate and/or provide a consistent flow of molten glass 28 through the outlet conduit 44 to the forming body 42. Alternatively, it can act as a flow controller. As shown, the mixing vessel 36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vessel 40 through a third connection conduit 46. In some embodiments, the molten glass 28 may be gravity supplied from the mixing vessel 36 to the delivery vessel 40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conduit 46. For example, gravity may drive the molten glass 28 through the inner path of the third connecting conduit 46 from the mixing vessel 36 to the transfer vessel 40.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전술한 형성 바디(42) 및 입구 도관(50)을 포함하는 형성 장치(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구 도관(44)은 전달 베셀(40)로부터 형성 장치(48)의 입구 도관(50)으로 용융된 유리(28)를 전달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 도관(44)은 입구 도관(50)의 내부 표면 내에 중첩되고(nested) 내부 표면에서 이격되어, 출구 도관(44)의 외부 표면과 입구 도관(50)의 내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용융된 유리의 자유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퓨전 하향 인발 유리 제조 장치의 형성 바디(42)는 형성 바디의 상부 표면에 위치한 트로프(52, trough) 및 형성 바디의 바닥 에지(56, bottom edge)를 따른 하향 방향으로 수렴하는 수렴 형성 표면(54, converging forming surfaces)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베셀(40), 출구 도관(44) 및 입구 도관(50)을 통해 형성 바디 트로프에 전달된 용융된 유리는 트로프의 측벽을 넘쳐 흐르고 용융된 유리의 개별 유동으로서 수렴 형성 표면(54)을 따라 하강한다. 용융된 유리의 개별 유동은 바닥 에지(56) 아래 그리고 에지를 따라 결합되어, 유리가 냉각되고 유리의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리 리본의 치수를 제어하기 위해, 예컨대 중력, 에지 롤(72,edge rolls), 및 풀링 롤(82, pulling rolls)에 의해 유리 리본에 장력을 적용함으로써 바닥 에지(56)로부터 인발 또는 유동 방향(60)으로 인발되는 유리의 단일 리본(58)을 생성한다. 따라서, 유리 리본(58)은 점탄성 전이(visco-elastic transition)를 거쳐 유리 리본(58)에 안정된 치수 특성을 제공하는 기계적 특성을 획득한다. 일부 구현 예에서, 유리 리본(58)은 유리 리본의 탄성 영역에서 유리 분리 장치(100)에 의해 개별 유리 시트(62)로 분리될 수 있다. 로봇(64)은 이때 그리핑 툴(65)을 이용하여 개별 유리 시트(62)를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그 후 개별 유리 시트는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The downstream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30 may further comprise a forming apparatus 48 comprising the forming body 42 and inlet conduit 50 described above. The outlet conduit 44 may be positioned to transfer the molten glass 28 from the delivery vessel 40 to the inlet conduit 50 of the forming device 48. For example, the outlet conduit 44 is nested with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conduit 50 and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so that it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conduit 4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conduit 50. Can provide a free surface of the melted glass. The forming body 42 of the fusion downward draw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trough 52 (trough)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ming body and a converging forming surface 54 that converges in a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bottom edge 56 of the forming body. , converging forming surfaces). The molten glass delivered to the forming body trough through the delivery vessel 40, the outlet conduit 44 and the inlet conduit 50 overflows the sidewalls of the trough and along the converging forming surface 54 as individual flows of molten glass. Descend. Individual flows of molten glass are combined below and along the bottom edge 56 to control the dimensions of the glass ribbon as the glass cools and the viscosity of the glass increases, e.g. gravity, edge rolls 72 ), and pulling rolls 82 to create a single ribbon 58 of glass that is drawn from the bottom edge 56 in the drawing or flow direction 60 by applying tension to the glass ribbon. Thus, the glass ribbon 58 undergoes a visco-elastic transition to obtain mechanical properties that provide stable dimensional properties to the glass ribbon 58. In some implementations, the glass ribbon 58 may be separated into individual glass sheets 62 by the glass separation device 100 in the elastic region of the glass ribbon. The robot 64 can then use the gripping tool 65 to transfer the individual glass sheets 62 to the conveyor system, after which the individual glass sheets can be further processed.

도 2는 제1 주 표면(162),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해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제1 주 표면과 같은 유리 시트(62)의 반대 측면 상에) 연장되는 제2 주 표면(164), 및 제1 주 표면(162)과 제2 주 표면(164)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및 제2 주 표면(162, 164)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 표면(166)을 가진 유리 시트(62)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2 shows a first major surface 162, a second major surface 164 extending in a direction generally parallel to the first major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lass sheet 62 such as the first major surface). ), and an edge surface 166 extending between the first major surface 162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164 and extending in a generally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162, 164. The perspective view of the glass sheet 62 is shown.

유리 시트(62)의 추가 가공은, 예를 들어, 에지 표면(166)의 그라인딩(grinding), 폴리싱(polishing), 및/또는 모따기(beveling) 및/또는 제1 및 제2 주 표면(162, 164)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거나 세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 시트(62)는 또한 더 작은 유리 시트(62)로 분할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잠재적인 처리 단계 동안, 다양한 처리 단계들 전, 이후, 또는 그 사이에 일시적으로 유리 시트(62)를 저장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은 제1 및 제2 주 표면(162, 164) 중 적어도 하나에 작은 유리 입자의 증가된 부착을 포함하여, 유리 시트의 품질에 어떤 역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 입자는 예를 들어, 개별 유리 시트(62)로의 유리 리본(58)의 분리뿐 아니라, 그라인딩, 폴리싱, 및/또는 모따기 단계를 포함하여, 특정 처리 단계 동안 발생될 수 있다. Further processing of the glass sheet 62 may include, for example, grinding, polishing, and/or beveling the edge surface 166 and/or the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162, 164) may include treating or washing at least one of. This glass sheet 62 can also be divided into smaller glass sheets 62. During these and other potential processing steps, it may be necessary to temporarily store the glass sheet 62 before, after, or between various processing steps. Such storage can cause some adverse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glass sheet, including increased adhesion of small glass particle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162, 164. Such glass particles may be generated during certain processing steps, including, for example, separation of the glass ribbon 58 into individual glass sheets 62, as well as grinding, polishing, and/or chamfering steps.

도 3은 포장 프레임(200, packing frame) 상에 위치된,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위치된 신축성 인터리프(9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특히, 도 3은 포장 프레임(200) 상에 위치한 복수의 기판(즉, 유리 시트(62))을 나타내며, 여기서, 신축성 인터리프(90)는 각각의 인접한 기판(즉, 유리 시트(62)) 사이에 위치하여 기판(즉, 유리 시트(62))과 신축성 인터리프(90)가 번갈아 배열되어 포장 프레임(200) 상에 위치된다. 기판(즉, 유리 시트(62))은 임의의 기계적(예컨대, 로봇식) 또는 수동 위치 결정 방법을 포함하여,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포장 프레임(2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3 show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retchable interleaf 90 positioned on a substrate (ie, glass sheet 62), positioned on a packing frame 200. In particular, FIG. 3 shows a plurality of substrates (i.e., glass sheet 62) located on the packaging frame 200, where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s each adjacent substrate (i.e., glass sheet 62).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substrate (ie, the glass sheet 62) and the elastic interleaf 90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positioned on the packaging frame 200.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may be placed on the packaging frame 200 using any method known to those of skill in the art, including any mechanical (eg, robotic) or manual positioning method.

신축성 인터리프(90)는 아암 툴(300)을 통해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위치된다. 아암 툴(300)은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상단 에지를 움켜쥐는(grips) 클램핑 메커니즘(302, clamp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아암 툴(300)은, 예를 들어, 제1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아암 툴(300)은 먼저 제2 위치로 신축성 인터리프(90)를 잡고 여기서 신축성 인터리프(90)는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 메커니즘(302)은 아암 툴(30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에지를 움켜쥐고 이후 아암 툴(30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에지를 풀어 주도록(release)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메커니즘(302)은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공압 그리핑 디바이스(pneumatic gripping device)와 같은 그리핑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위치에서, 그리핑 디바이스는 백플레이트(backplate)로부터 이격되고, 제2 위치에서, 그리핑 디바이스는 신축성 인터리프가 그리핑 디바이스의 표면과 백플레이트 사이에서 클램핑되도록 백플레이트를 향해 편향된다.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s positioned on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through the arm tool 300. The arm tool 300 includes a clamping mechanism 302 that grips the top edg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The arm tool 300 may be moved, for example, from a first position, where the arm tool 300 first grabs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to a second position, where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s a substrate (I.e., it is located on the glass sheet 62). For example, the clamping mechanism 302 grips the edg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when the arm tool 300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reafter grips the stretchable interleaf when the arm tool 300 is in the second position. 90) can be programmed to release the edge. For example, the clamping mechanism 302 may comprise a gripping device, such as a pneumatic gripping devic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s movable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position, wherein the first In position, the gripping device is spaced from the backplate, and in a second position, the gripping device is deflected toward the backplate such that the elastic interleaf is clamp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gripping device and the backplat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 프레임(200)은 포장 시트 후면(202) 및 포장 시트 바닥(204)을 포함하며, 여기서, 기판(즉, 유리 시트(62)) 및 신축성 인터리프(90)는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포장 프레임(200)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수직 배향이 수평에서 45도 이상인 임의의 배향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는 수평으로부터 약 45도(degrees) 내지 약 90도 사이, 예컨대 약 60도 내지 약 90도 사이, 또한, 예컨대 약 75도 내지 약 90도 사이의 배향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ackaging frame 200 includes a packaging sheet rear surface 202 and a packaging sheet bottom 204, wherein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and the elastic interleaf 90 are It is positioned on the packaging frame 200 in a substantially vertical orientation. While such vertical orientation can include any orientation that is at least 45 degrees in horizontal,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between about 45 degrees and about 90 degrees from horizontal, such as between about 60 degrees and about 90 degrees, and also,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orientation between about 75 degrees and about 90 degrees.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성 인터리프(90)는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아암 툴(300)을 통해 포장 프레임(200)을 향해 이동된다. 신축성 인터리프(90)가 포장 프레임(200)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공기 저항은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신축성 인터리프(90)의 곡선형 프로파일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상이한 구역의 상대 속도에서 실질적인 불균일성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 간단하게, 신축성 인터리프(90)는 아암 툴(300)을 통해 이동될 때 펄럭이거나 흔들릴 수 있다. 이러한 불균일성은 궁극적으로 신축성 인터리프(90)가 접히거나 의도치 않은 방식으로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저항은 또한 기판(즉, 유리 시트(62))으로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세틀링 시간(settling time)을 증가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s moved toward the packaging frame 200 through the arm tool 300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A. As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moves toward the packaging frame 200, the air resistance is, for example, by the curved profil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llustrated in FIG. 3, as shown,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can cause substantial non-uniformity in the relative velocities of different zones. Even more simply,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can flap or shake as it is moved through the arm tool 300. This non-uniformity may ultimately cause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to fold or be positioned on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in an unintended manner. This air resistance can also increase the settling tim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to the substrate (ie, the glass sheet 62).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신축성 인터리프(90)는 종이 및 발포체(foam)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포장 프레임(200)은 나무, 금속(즉, 스테인레스 강 또는 알루미늄), 및 플라스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In certain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may compris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paper and foam. In certain representative implementations, the packaging frame 20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wood, metal (ie, stainless steel or aluminum), and plastic.

도 4 및 5는 각각, 클램핑 메커니즘(302) 및 유체 유동 도관(310) 및 오리피스(312)를 포함하는 아암 툴(300)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다. 아암 툴(300)은 또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물을 포함하여,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는 지지 바(304, support bar)를 포함한다. 지지 바(304)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것으로 나타내지만,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는 원형, 타원형, 및 삼각형 등과 같은 다른 다각형과 같은 다른 단면을 포함한다.4 and 5 show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and front views of an arm tool 300 including a clamping mechanism 302 and a fluid flow conduit 310 and an orifice 312, respectively. The arm tool 300 also includes a support bar 304, which may be constructed of aluminum, including, for example, a composite comprising aluminum and carbon fibers. While support bar 304 is shown as having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nclude other cross sections such as circles, ellipses, and other polygons such as triangles and the lik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핑 메커니즘(302)은 다수의 그리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아암 툴(300)은 다수의 오리피스(312)를 포함하며, 여기서, 클램핑 메커니즘(302)의 다수의 그리핑 디바이스 및 다수의 오리피스(312)는 아암 툴(30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번갈아 위치된다. 작동 중, 유체는 유체 소스(314)로부터 유체 유동 도관(310)을 통해 아암 툴(30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유동한다. 유체 유동 도관(310)으로부터, 유체는 오리피스(312)를 통해 그리고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될 것처럼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유동한다.5, the clamping mechanism 302 includes a plurality of gripping devices and the arm tool 300 includes a plurality of orifices 312, wherein the plurality of gripping devices of the clamping mechanism 302 And a plurality of orifices 312 are alternately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arm tool 300. During operation, fluid flows from the fluid source 314 through the fluid flow conduit 310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arm tool 300. From the fluid flow conduit 310, fluid flows through the orifice 312 and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6a 및 6b는, 각각, 유체 유동 도관(310) 및 오리피스(312)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정면 단면도이며, 여기서, 오리피스(312)는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도 6a는 유체 유동 도관(310) 및 오리피스(312)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며, 여기서, 오리피스(312)의 횡방향 회전 방향은 화살표 알파(α)에 의해 나타내며 도 6b는 유체 유동 도관(310) 및 오리피스(312)의 개략적인 정면 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오리피스(312)의 길이방향 회전 방향은 화살표 베타(β)로 나타낸다. 도 6a 및 6b가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단일 오리피스(312)의 회전을 나타내지만,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는 다수의 오리피스(312)(예컨대, 도 5에 나타낸 것 같은)를 포함하는 아암 툴(300)을 포함하며, 여기서, 다수의 오리피스(312) 각각은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회전할 수 있다.6A and 6B are schematic side and front cross-sectional views of the fluid flow conduit 310 and the orifice 312, respectively, where the orifice 312 can rotate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In particular, FIG. 6A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uid flow conduit 310 and the orifice 312, wherein the direction of transverse rotation of the orifice 312 is indicated by an arrow alpha (α) and FIG. 6B is a fluid flow conduit ( 310) and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ifice 312, wherein the direction of longitudinal rotation of the orifice 312 is indicated by an arrow beta (β). 6A and 6B show the rotation of a single orifice 312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nclude an arm tool 312 including multiple orifices 312 (e.g., as shown in FIG. 5). 300),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312 can independently operate and rotate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게다가,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는 다수의 오리피스(312)를 포함하는 아암 툴(300)을 포함하며 여기서 다수의 오리피스(312) 각각은 아암 툴의 길이를 따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는 다수의 오리피스(312)를 포함하는 아암 툴(예컨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을 포함하며, 다수의 오리피스(312) 각각은 가장 가까운 오리피스들 사이의 길이방향 거리가 변경되거나 조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다수의 오리피스(312) 각각은 제1 배열로부터 이동될 수 있으며, 다수의 오리피스(312) 각각은 아암 툴(30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서로로부터 대략적으로 등거리에 있으며, 제2 배열에 대해, 여기서, 다수의 오리피스(312) 각각은 아암 툴(30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다수의 오리피스(312)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것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지 않는다. In addition, implementations disclosed herein include an arm tool 300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fices 312,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312 can move longitudinally along the length of the arm tool. In particula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nclude an arm tool (e.g., as shown in FIG. 5)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fices 312,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312 being the longitudinal distance between the closest orifices. Can be moved longitudinally so that it can be changed or adjusted. For example, in certain exemplary implementations,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312 may be moved from the first arrange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312 being approximately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arm tool 300. Equidistant, and for the second arrangement, w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312 is not equidistant from at least one oth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312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arm tool 300.

작동 중, 적어도 포장 프레임(200) 상에 기판(즉, 유리 시트(62))을 배치한 후 그리고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90)를 배치하기 전에, 유체(예컨대, 공기 또는 다른 가스)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312)를 통해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유동한다.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유체는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90)를 배치하기 전에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연속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90)를 배치하는 단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312)를 통한 유체 유동은 신축성 인터리프(90)가 기판(즉, 유리 시트(62))과 접촉하기 전에 정지된다. During operation, at least after placing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on the packaging frame 200 and before plac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on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the fluid (Eg, air or other gas) flows through at least one orifice 312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n certain exemplary implementations, the fluid may flow continuously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prior to plac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on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In certain exemplary implementations, during the step of plac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on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the fluid flow through the at least one orifice 312 may cause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to (I.e., it stops before contacting with the glass sheet 62).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즉, 유리 시트(62))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포장 프레임(200) 상에 위치되며,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90)를 위치시키는 단계 동안, 아암 툴(300)은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상단 에지를 움켜쥔다.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90)를 위치시키는 단계 동안, 유체는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하부 부분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312)를 통해 유동한다. In certain exemplary implementations, as shown in FIG. 3,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is positioned on the packaging frame 200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nd During the step of plac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on, the arm tool 300 grips the top edg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n certain exemplary implementations, during the step of plac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on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the fluid is releas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 Flows through at least one orifice 312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jor surface of the).

예를 들어, 도 7a 및 7b는, 각각,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유동하는 유체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특히, 도 7a 및 7b는 기판(즉, 유리 시트(62))이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포장 프레임(200) 상에 위치되는 구현 예에 대한 것이며,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의 신축성 인터리프(90)를 위치시키는 단계 동안, 아암 툴(300)은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상단 에지를 움켜쥔다. 신축성 인터리프(90)가 화살표 A로 지칭된 방향으로 아암 툴(300)을 통해 포장 프레임(200)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유체는 점선 화살표 F로 지칭된 바와 같이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선택된 오리피스(312)로부터 유동한다. 즉, 유체는 점선 화살표 F로 지칭된 바와 같이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하부 부분을 향해 선택된 오리피스(312)를 통해 유동한다. For example, FIGS. 7A and 7B sho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fluid flowing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respectively. In particular, FIGS. 7A and 7B are for an implementation example in which a substrate (ie, glass sheet 62) is positioned on the packaging frame 200 in a substantially vertical orientation, and stretchability on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During the step of positioning the interleaf 90, the arm tool 300 grabs the top edg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As the elastic interleaf 90 moves through the arm tool 300 toward the packaging frame 200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A, the fluid is at least of the major surface of the elastic interleaf, as indicated by the dashed arrow F. It flows from a selected orifice 312 over a portion. That is, the fluid flows through the selected orifice 312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as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 F.

도 7a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는 아암 툴(30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위치된 오리피스(312)의 전부는 아닌 일부를 통해 유동한다. 특히, 유체는 아암 툴(300)의 양 단부에 위치한 오리피스(312)를 통해 유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는 다수의 오리피스(312) 각각이 이를 통해 다양한 양의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유체가 아암 툴(30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312)를 통해 유동하며 아암 툴(30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리피스(312)를 통해 유동하지 않는 구현 예를 포함한다. 특정 오리피스를 통해 유동하도록 유체를 선택함으로써, 공정 효율은 상이한 조건(예컨대, 신축성 인터리프의 상이한 유형 및 크기, 등)에 대해 최대화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7A, fluid flows through a portion of the orifice 312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arm tool 300. In particular, the fluid does not flow through the orifices 312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rm tool 300. Accordingl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nclude that each of a plurality of orifices 312 can operate independently to flow varying amounts of fluid through them, which means that the fluid can flow along the lengthwise length of the arm tool 300. Examples include implementations that flow through at least one orifice 312 located and do not flow through at least one other orifice 312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arm tool 300. By selecting the fluid to flow through a particular orifice, process efficiency can be maximized for different conditions (eg, different types and sizes of stretchable interleaf, etc.).

도 7a에서 또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신축성 인터리프(90)는 폭 W 및 길이 L을 가질 수 있으며, 기판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90)를 위치시키는 단계 동안, 유체는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중심 부분의 미리 정해진 폭 위로 유동한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폭은 신축성 인터리프(90)의 폭 W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구현 예는 신축성 인터리프(90)의 폭 W의, 약 50% 내지 약 90%, 예컨대, 약 60% 내지 약 80%의 범위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유체는 아암 툴(300)의 중심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오리피스(312)를 통해 유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심 길이방향 길이는 신축성 인터리프(90)의 폭 W의 약 50% 내지 약 90%, 예컨대, 약 60% 내지 약 80%의 범위에 있다.As can also be seen in FIG. 7A,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may have a width W and a length L, and during the step of plac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on the substrate, the fluid may be applied to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Flows over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central part of the major surface of the. This predetermined width may be approximate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For exampl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nclude a range of about 50% to about 90%, such as about 60% to about 80%, of the width W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Alternatively, the fluid may flow through the orifice 312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er of the arm tool 300, where the central longitudinal length is approximately 50 of the width W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 To about 90%, such as about 60% to about 80%.

도 7a 및 7b에서 추가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는 폭 방향 및 길이방향 모두에서 주 표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하부 부분을 향해 오리피스(312)를 통해 유동한다. 특히, 도 7a는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폭 방향 W을 따라 일반적으로 평행한 다수의 유체 유동 F를 나타내지만 도 7b는 신축성 인터리프(90)의 길이방향 L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유체 유동 F를 나타낸다. As can be further seen in FIGS. 7A and 7B, the fluid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elastic interleaf 90 in a direction generally parallel to the major surface in both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Flows through the orifice 312 towards the lower part of the major surface of the. In particular, FIG. 7A shows a plurality of fluid flows F that are generally parallel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major surface of the elastic interleaf 90, but FIG. 7B is gener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elastic interleaf 90. Denotes the fluid flow F.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오리피스(312)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는 가스이다.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오리피스(312)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는 공기를 포함한다. 특정 대표적인 구현 예에서, 다수의 오리피스(312) 각각은 약 2 psig 내지 약 20 psig(13.8 KPa 내지 138 KPa), 예컨대 약 5 psig 내지 약 15 psig(약 34.5 KPa 내지 약 103 KPa)의 압력에서 유체를 유동시킨다. In certain representative implementations, the fluid flowing through orifice 312 is a gas. In certain representative implementations,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orifice 312 includes air. In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312 has a fluid at a pressure of about 2 psig to about 20 psig (13.8 KPa to 138 KPa), such as about 5 psig to about 15 psig (about 34.5 KPa to about 103 KPa). Flow.

도 8은 클램핑 메커니즘(302) 및 유체 유동 도관(310) 및 오리피스(312)를 포함하는 아암 툴(300)을 이용하여 포장 프레임(200) 상에 위치된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위치된 신축성 인터리프(9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특히, 도 8은 포장 프레임(200) 상에 위치한 다수의 기판(즉, 유리 시트(62))을 나타내며, 여기서 신축성 인터리프(90)는 기판(즉, 유리 시트(62))과 신축성 인터리프(90)가 번갈아 배열되어 포장 프레임(200) 상에 위치되도록 각각의 인접한 기판(즉, 유리 시트(62)) 사이에 위치된다. 작동중, 오리피스(312)는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유체가 유동하게 한다. FIG. 8 shows a substrate (i.e., glass sheet 62) positioned on a packaging frame 200 using an arm tool 300 including a clamping mechanism 302 and a fluid flow conduit 310 and an orifice 312.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retchable interleaf 90 positioned thereon. In particular, FIG. 8 shows a plurality of substrates (i.e., glass sheet 62) located on the packaging frame 200, where the elastic interleaf 90 is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and the elastic interleaf. Positioned between each adjacent substrate (ie, glass sheet 62) such that 90 is alternately arranged and positioned on the packaging frame 200. During operation, the orifice 312 allows fluid to flow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축성 인터리프(90)는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아암 툴(300)을 통해 포장 프레임(200)을 향해 이동된다. 그러나, 도 3에서 예시된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움직임과는 대조적으로, 오리피스(312)를 통한 유체 유동은,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8에 예시된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상대적으로 직선형 프로파일에 의해,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상이한 구역의 상대 속도의 실질적으로 더 큰 균일성을 야기한다. 이러한 더 큰 균일성은 신축성 인터리프(90)가 접히거나 또는 의도치 않은 방식으로 기판(즉, 유리 시트(62)) 상에 위치될 가능성을 크게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더 큰 균일성은 또한 기판(즉, 유리 시트(62))로의 신축성 인터리프(90)의 세틀링 시간을 실질적으로 감소시켜, 처리 시간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s moved toward the packaging frame 200 through the arm tool 300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A. However, in contrast to the movement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llustrated in FIG. 3, the fluid flow through the orifice 312 is, as shown, for exampl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illustrated in FIG. By means of the relatively straight profile, it results in a substantially greater uniformity of the relative velocities of the different regions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This greater uniformity can greatly minimize the likelihood that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will be folded or positioned on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in an unintended manner. This greater uniformity can also substantially reduce the settling tim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90 to the substrate (ie, glass sheet 62), thereby improving processing time efficiency.

상기 구현 예가 퓨전 하향 인발 공정을 참고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구현 예는 또한 예컨대 플롯(float) 공정, 슬롯(slot) 인발 공정, 상향-인발 공정, 튜브 인발 공정, 및 프레스-롤링(press-rolling) 공정과 같은 다른 유리 형성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usion downward draw process, these embodiments also include, for example, a float process, a slot draw process, an upward-draw process, a tube draw process, and a press-roll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applied to other glass forming processes such as processes.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구현 예로 만들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제공된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s examples of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ly, this disclosure is intended to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provi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20)

기판 포장 방법으로서,
포장 프레임 상에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아암 툴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를 위치시키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통해 유체가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유동함;를 포함하는, 기판 포장 방법.
As a substrate packaging method,
Positioning the substrate on the packaging frame; And
Positioning a stretchable interleaf on a substrate using an arm tool comprising at least one orifice, wherein a fluid flows over at least a portion of a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through the at least one orifice; , Substrate packag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포장 프레임 상에 위치되며, 상기 기판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를 위치시키는 단계 동안, 상기 아암 툴은 신축성 인터리프의 상단 에지를 움켜쥐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strate is positioned on the packaging frame in a substantially vertical orientation, and during the step of position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on the substrate, the arm tool grips the top edg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를 위치시키는 단계 동안, 유체는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하부 부분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통해 유동하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uring the step of plac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on the substrate, a fluid flows through at least one orific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를 위치시키는 단계 동안, 유체는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모두에서 주 표면에 대해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성 인터리프의 주 표면의 중앙 부분의 미리 정해진 폭 위에서 유동하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During the step of plac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on the substrate, the fluid flows over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jor surface of the stretchable interleaf in a direction generally parallel to the major surface in both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Pack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신축성 인터리프를 위치시키는 단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통한 유체 유동은 신축성 인터리프가 기판과 접촉하기 전에 정지되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uring the step of placing the stretchable interleaf on the substrate, fluid flow through at least one orifice is stopped before the stretchable interleaf contacts the substr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암 툴은 다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m tool includes a plurality of orific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 각각은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회전할 수 있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is capable of operating and rotating independently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 각각은 아암 툴의 길이를 따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is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arm too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 각각은 이를 통해 다양한 양의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can operate independently to flow varying amounts of fluid therethrough.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 각각은 2 psig 내지 20 psig(13.8 KPa 내지 138 KPa)의 압력에서 유체를 유동시키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flows a fluid at a pressure of 2 psig to 20 psig (13.8 KPa to 138 KP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공기를 포함하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packaging a substrate, wherein the fluid comprises ai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를 포함하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packaging method, wherein the substrate comprises gla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인터리프는 종이 및 발포체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기판 포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etchable interleaf include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paper and foam.
포장 프레임; 및
오리피스를 통해 유체가 유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아암 툴;을 포함하는, 기판 포장 장치.
Packaging frame; And
Containing, an arm tool including at least one orifice configured to allow fluid to flow through the orific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포장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연장되는 포장 시트 후면을 포함하는, 기판 포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ackaging frame includes a packaging sheet rear surface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orientation.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아암 툴은 다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기판 포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rm tool includes a plurality of orifices.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 각각은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판 포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can operate independently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 각각은 아암 툴의 길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기판 포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is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 length of an arm tool.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 각각은 이를 통해 다양한 양의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판 포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can operate independently to flow various amounts of fluid therethrough.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포장 프레임은 포장 시트 바닥을 포함하는, 기판 포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packaging frame includes a packaging sheet bottom.
KR1020217005070A 2018-07-30 2019-07-11 Substrate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through fluid flow KR2021002825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1888P 2018-07-30 2018-07-30
US62/711,888 2018-07-30
PCT/US2019/041308 WO2020028001A1 (en) 2018-07-30 2019-07-11 Substrate pack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fluid f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257A true KR20210028257A (en) 2021-03-11

Family

ID=6923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070A KR20210028257A (en) 2018-07-30 2019-07-11 Substrate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through fluid flow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55809B2 (en)
KR (1) KR20210028257A (en)
CN (1) CN112585061B (en)
TW (1) TWI819044B (en)
WO (1) WO2020028001A1 (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000B1 (en) * 1970-12-18 1975-03-31
US5078820A (en) * 1988-03-25 1992-01-07 Soma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e sticking a thin film to a base plate
MY164254A (en) * 2004-11-29 2017-11-30 Kim Sau Wong Matching glass plates, its application and method for making such
JP4388493B2 (en) * 2005-03-16 2009-12-24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How to apply film for glass substrates
US20080156423A1 (en) * 2006-12-29 2008-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for mounting laminates on substrates and methods thereof
JP5071627B2 (en) 2007-03-07 2012-11-1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Protective sheet loading device
KR101351827B1 (en) * 2007-03-07 2014-01-16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Glass substrate packaging system, protecting-sheet loading device, protecting-sheet feeding device, and glass substrate packaging method
KR101095507B1 (en) * 2009-02-23 2011-12-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Glass packing system
US9428359B2 (en) * 2011-11-30 2016-08-3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veying flexible glass substrates
CN103213771B (en) 2013-05-06 2015-04-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Plate glass packaging box and unpacking method of same
JP2016169053A (en) * 2013-07-23 2016-09-23 旭硝子株式会社 Lamination method of slip sheet to glass plate and removal method of slip sheet from glass plate laminate
JP6111934B2 (en) 2013-08-28 2017-04-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Sheet placement device
CN104044953B (en) * 2014-06-24 2017-03-15 北京信息科技大学 A kind of glass piling automatic paper lay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85061B (en) 2023-03-24
JP7355809B2 (en) 2023-10-03
TW202014354A (en) 2020-04-16
TWI819044B (en) 2023-10-21
WO2020028001A1 (en) 2020-02-06
CN112585061A (en) 2021-03-30
JP2021533040A (en)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3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glass ribbon cooling
US1022108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olten material
WO20172230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lass delivery orientation
KR20210028257A (en) Substrate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through fluid flow
TWI761524B (en) Methods for reconditioning glass manufacturing systems
JP7105794B2 (en) high temperature glass melting vessel
WO20190186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e glass ribbon heat transfer
WO2020028000A1 (en) Substrate pack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air evacuation
US20230278906A1 (en) Glass forming body and method of making a glass article using the same
TW202335982A (en) Conveyance apparatus and method with adjustable fluid flow
KR20210119534A (en) Conduit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KR202201613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efects in glass melting systems
WO2019245773A1 (en) Glass sheets with reduced particle adhesion
CN1180052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urface quality of glass sheet
TW202413298A (en) Glass sco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23239754A1 (en) Glass scoring apparatus and method
CN118176169A (en)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with adjustable fluid flow
KR20230174256A (en) Glass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leak mitigation features
KR20240036647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edge portions from glass ribbon
WO20240913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WO20170915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glass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