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835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835A
KR20210026835A KR1020190108169A KR20190108169A KR20210026835A KR 20210026835 A KR20210026835 A KR 20210026835A KR 1020190108169 A KR1020190108169 A KR 1020190108169A KR 20190108169 A KR20190108169 A KR 20190108169A KR 20210026835 A KR20210026835 A KR 20210026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
time
compressor
refrigerator
defrost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구
안부환
이상일
허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835A/ko
Publication of KR2021002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3Removal by evaporation using heat from electric elements or using an electric field for enhancing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은,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를 토대로 제상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 결과를 토대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에 제상 운전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FROST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 또는 냉장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특정 온도로 냉각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저장 공간(또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및 저장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냉장고 도어가 포함된다. 저장 공간에는 음식과 같은 저장물이 저장되며 사용자는 저장물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저장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냉장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장고에는 증발기가 구비된다. 증발기는 냉각관을 유동하는 냉매의 순환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주변의 온도를 낮춘다.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저압, 저온의 냉매는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증발기의 냉각관을 통해 흐르는 냉매가 증발할 때, 상온의 실외에서 고내로 유입된 수증기 또는 고내에 저장된 식품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한 수증기는 온도차에 의하여 낮은 온도의 증발기 표면에 성에로서 응결된다. 증발기의 표면에 응결되는 성에는 열 교환 효율을 저하시켜, 냉장고의 냉각 효율을 떨어뜨리고 소비전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증발기 표면에 응결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수단(즉, 제상 히터) 및 제상 운전이 냉장고에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58016호(1998.08.03.)에는 종래의 냉장고의 제상 주기 결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압축기가 단속 운전 모드로 구동될 때만을 고려하여 제상 주기를 설정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100%의 운전율을 가지는 연속 운전 모드로 압축기가 구동되는 경우, 단속 운전 모드로 압축기가 구동될 때보다 제상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냉장고에서의 압축기 운전 로직에 따른 제상 작업 투입 시기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냉장고에서의 제상 작업 투입 시기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압축기가 단속 운전 모드로 구동될 때의 제상 작업 투입 시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압축기가 연속 운전 모드로 구동될 때의 제상 작업 투입 시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압축기가 단속 운전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압축기 입력 중 턴온 시간(즉, 압축기 구동 신호가 하이 레벨(high-level)일 때를 의미)이 연속적이지 않고 단속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기가 연속 운전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압축기 입력 중 턴온 시간(즉, 압축기 구동 신호가 하이 레벨(high-level)일 때를 의미)이 대부분의 구간에서 연속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가 연속 운전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압축기가 단속 운전 모드로 구동될 때보다 제상 작업 투입 시점이 빨라지고, 이로 인해, 제상 횟수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연속 운전 모드를 고려한 제상 주기 설정 방법의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운전 로직에 따른 제상 횟수 증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상 주기 가변으로 인해 제상 작업 투입 시기가 지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은 연속 운전 적용 범위 만족 여부에 따라 제상 주기를 이원화하고, 압축기의 운전 로직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이원화하며, 제상 주기에 따라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이원화함으로써 연속 운전 로직에 따른 제상 횟수 증가 문제 및 제상 주기 가변으로 인해 제상 작업 투입 시기가 지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은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를 토대로 제상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 결과를 토대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에 제상 운전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저장실을 회동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냉장고 도어,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냉매와 공기의 열 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열을 발산하는 제상 히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및 고압의 기체로 변화시키는 압축기, 본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 및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 제상 히터의 제상 주기 및 압축기의 운전 로직과 상관없이 제상 히터의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제상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은 연속 운전 로직에 따른 제상 횟수 증가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잦은 제상 작업으로 인한 소비 전력 증가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은 제상 주기 가변으로 인해 제상 작업 투입 시기가 지연되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제상 작업 투입 시기 지연에 따른 증발기의 성에 과착상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압축기가 단속 운전 모드로 구동될 때의 제상 작업 투입 시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압축기가 연속 운전 모드로 구동될 때의 제상 작업 투입 시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의 제상 운전과 관련된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는 도 5의 S200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부연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5의 S300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을 부연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5의 S400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부연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의 제상 운전과 관련된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본체(50) 내부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격벽(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저장실, 즉, 냉동실(52) 및 냉장실(54)이 형성된다. 냉동실(52) 및 냉장실(54) 전면에는 냉동실(52) 및 냉장실(54)을 각각 회동 개폐할 수 있도록 냉장고 도어, 즉, 냉동실 도어(62) 및 냉장실 도어(64)가 본체(50)와 힌지 결합된다.
한편, 본체(50)의 내부에는, 냉매와 공기의 열 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200)와, 증발기(200)의 표면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열을 발산하는 제상 히터(250)와, 증발기(200)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및 고압의 기체로 변화시키는 압축기(150)와, 냉장고(1)의 전반적인 동작 및 각종 부품들(즉, 전술 및 후술하는 각종 부품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도 4의 300)가 장착된다. 또한, 본체(50)의 내부에는,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를 냉동실(52) 또는 냉장실(54)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저장실 팬(170)과, 압축기(150)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하여 응축시키는 응축기(160)와, 증발기(200)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증발기(20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표면 온도를 제어부(도 4의 300)에 전달하는 제상 온도 센서(270) 등이 더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저장실 팬(170)이 회전하게 되면 냉동실(52) 또는 냉장실(54)의 내부의 공기는 증발기(200)로 유입되고, 증발기(20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며, 냉각된 공기는 저장실 팬(170)에 의해 냉동실(52) 또는 냉장실(54) 내부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제어부(도 4의 3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고, 제상 운전을 제어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체(50)의 외부에는,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즉, 본체(50)의 외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도 4의 300)로 전달하는 온습도 센서(100)가 장착된다.
참고로, 도 3에는 냉장실(54)과 냉동실(52)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냉동실이 냉장실 상부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냉장고(1)의 제상 운전과 관련된 제어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온습도 센서(100)로부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속 운전 적용 범위는 압축기(150)가 연속 운전 모드로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속 운전 적용 범위의 경우, 외기 온도가 18℃~34℃ 사이이면서 외기 습도가 80% 미만인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외기 습도가 80% 이상인 고습도 상태에서는, 성에 발생 방지를 위해 설계된 저장실 팬(170)의 특수 구동 로직이 실행되고, 해당 로직에 의해 연속 운전 모드로 구동되는 압축기(150)에 부하 변동이 발생하여 냉력 떨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바, 외기 습도가 80% 이상일 때는 연속 운전 모드가 투입되지 않는다.
또한 외기 온도가 18℃ 이하인 저온 상태에서 압축기가 연속 운전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냉장실에 대한 압축기 운전이 필요 없는바, 냉동실만 과냉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외기 온도가 18℃ 이하일 때는 연속 운전 모드가 투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외기 온도가 34℃ 이상인 고온 상태는 최대 출력 운전 구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의 연속 운전(즉, 자동 냉력 가감 운전) 자체가 제한되는바, 외기 온도가 34℃ 이상일 때는 연속 운전 모드가 투입되지 않는다.
물론, 전술한 구간(즉, 외기 온도가 18℃~34℃ 사이이면서 외기 습도가 80% 미만인 구간)은 연속 운전 적용 범위의 일 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제어부(300)는 판단 결과를 토대로 제상 히터(250)의 제상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제상 주기는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되고,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상 주기는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보다 짧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는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 및 압축기(150)의 운전율 간 곱셈 연산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가 75시간(75hr; 이하에서는, hr이 시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이고, 압축기(150)의 운전율이 67%인 경우,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는 50시간(50hr)으로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제상 주기의 시간은 실제로 압축기(150)가 구동되는 시간을 의미하는바,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가 75시간인 경우, 실제로 압축기(150)가 75시간 동안 구동되고,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가 50시간인 경우, 실제로 압축기(150)는 50시간 동안 구동되지만, 이 때 실제로 경과되는 시간은 75시간이다.
한편, 제상 주기가 설정되면, 제어부(300)는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300)는 설정된 제상 주기 및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을 토대로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을 계산하고,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되고,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연속 운전 모드인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분)이고,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되고,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단속 운전 모드인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5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5분)일 수 있다. 또한 제상 주기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되고,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단속 운전 모드인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분)일 수 있다.
참고로,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제상 주기의 초기와 다르게 변경된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변경된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을 토대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경우,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은 12분/초(즉, 냉장고 도어(60) 개방 시간 1초당 차감 시간 12분)이고, 제상 주기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경우,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은 8분/초(즉, 냉장고 도어(60) 개방 시간 1초당 차감 시간 8분)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계산 결과를 토대로 제상 히터(250)의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계산된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을 토대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을 계산하고, 냉장고 도어(6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며, 감지 결과를 토대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에서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차감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토대로 최종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이 감지된 경우,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토대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차감되고,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이 미감지된 경우,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차감되지 않는다.
참고로, 제상 주기에 해당하는 적산 시간은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토대로 차감되고, 제상 주기에 해당하는 적산 시간은 변동 적산 시간과 일반 적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 도어(60)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기(150)의 운전에 의해 제상 주기에 해당하는 적산 시간이 차감되는 경우, 일반 적산 시간이 모두 차감된 후 변동 적산 시간이 차감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은 변동 적산 시간의 차감시에만 적용되고, 일반 적산 시간이 모두 차감되기 전에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에 의해 변동 적산 시간이 모두 차감되는 경우, 일반 적산 시간이 모두 경과된 후 제상 운전이 개시될 수 있다.
참고로, 냉장고의 소비 전력 규격을 충족시키기 위해 일정 시간 이상의 압축기 동작에 따른 출력이 필요하고, 이러한 이유로 일반 적산 시간이 존재한다. 만약, 일반 적산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상 횟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냉장고의 소비 전력도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판단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에 제어부(300)는 제상 히터(250)의 제상 운전을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지는바,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도 3의 냉장고(1)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의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는 도 5의 S200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부연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5의 S300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을 부연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5의 S400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부연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즉, 외기 온/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온습도 센서(100)로부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연속 운전 적용 범위는 외기 온도가 18℃~34℃ 사이이면서 외기 습도가 80% 미만인 구간을 의미하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연속 운전 적용 범위가 만족된다.
연속 운전 적용 범위의 만족 여부가 판단되면(S100), 판단 결과를 토대로 제상 주기를 설정한다(S20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판단 결과를 토대로 제상 히터(250)의 제상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을 참조하여, S2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속 운전 적용 범위가 만족되는 경우(S100), 제상 주기는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다(S210).
다만,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예를 들어, 75시간)로 설정된 상태에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불만족하게 되는 경우(S220),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 및 압축기의 운전율 간 곱셈 연산을 통해 최종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60시간(즉, 75시간에서 15시간이 경과됨)인 상태에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불만족하게 되는 경우,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60시간) 및 압축기의 운전율(50/75 = 약 67%) 간 곱셈 연산을 통해 최종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40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예를 들어, 75시간)로 설정된 상태에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계속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게 되는 경우, 제상 주기는 변경되지 않는다.
반면에, 연속 운전 적용 범위가 불만족되는 경우(S100), 제상 주기는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다(S215).
다만, 제상 주기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예를 들어, 50시간)로 설정된 상태에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게 되는 경우(S225),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 및 압축기의 운전율의 역수 간 곱셈 연산을 통해 최종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S235).
예를 들어,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40시간(즉, 50시간에서 10시간이 경과됨)인 상태에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게 되는 경우,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40시간) 및 압축기의 운전율의 역수(75/50 = 1.5) 간 곱셈 연산을 통해 최종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60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제상 주기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예를 들어, 50시간)로 설정된 상태에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계속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불만족하게 되는 경우, 제상 주기는 변경되지 않는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 주기는 연속 운전 적용 범위(외기 온도(RT)가 18℃~34℃ 사이이면서 외기 습도(HT)가 80% 미만인 구간; 즉, HT의 Zone 2 이상 & RT의 Zone 3, 4, 5)를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상 주기의 진행 중에도 지속적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한다(S30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8을 참조하여, S3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상 주기가 설정되면(S200), 설정된 제상 주기 및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을 토대로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을 계산한다(S32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설정된 제상 주기 및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을 토대로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제상 주기의 초기와 다르게 변경된 경우, 제어부(300)는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을 변경된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을 토대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9를 참조하면,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예를 들어, 75시간(즉, 75hr))로 설정된 상태에서의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 계산 케이스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1번 케이스(Case 1)의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제상 주기 내내 연속 운전 모드(CD)로 유지되는 케이스이다. 이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분)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75시간(75hr) 후이다.
2번 케이스(Case 2)의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초기에는 연속 운전 모드(CD)였다가 25시간 경과 후 단속 운전 모드(DD)로 변경된 케이스이다. 이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분/분에서 1.5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5분)으로 변경 적용되는바, 제상 주기가 완료될 때까지 실제 압축기의 운전 시간은 잔여 시간 50시간에서 33.3시간(즉, 50시간 X 압축기(150)의 운전율(67%))으로 변경된다. 물론, 압축기(150)가 33.3시간 운전하는 동안 실제 경과되는 시간은 50시간인바,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1번 케이스와 동일하게 75시간(75hr) 후이다.
3번 케이스(Case 3)의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초기에는 단속 운전 모드(DD)였다가 30시간 경과 후 연속 운전 모드(CD)로 변경된 케이스이다. 이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5분/분에서 1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분)으로 변경 적용된다.
참고로,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즉, 75시간)로 설정된 상태에서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단속 운전 모드(DD)인 경우, 30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실제 압축기(150)의 운전 시간은 20시간(30시간 X 67%)이지만, 운전 로직 변경 후에는 압축기(150)의 잔여 운전 시간이 30시간에서 45시간(즉, 30시간 X 압축기(150)의 운전율(67%)의 역수)으로 변경된다. 결과적으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1번 케이스와 동일하게 75시간(75hr) 후이다.
4번 케이스(Case 4)의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초기에는 연속 운전 모드(CD)였다가 35시간 경과 후 연속 운전 적용 범위 불만족 상태 및 단속 운전 모드(DD)로 변경된 케이스이다. 이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분/분에서 1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분)으로 유지된다.
참고로,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즉, 75시간)로 설정되고,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연속 운전 모드(CD)인 상태에서 연속 운전 적용 범위 불만족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 40시간은 26.6시간(40시간 X 압축기(150)의 운전율(67%))으로 변경된다. 다만,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도 단속 운전 모드(DD)로 함께 변경된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그대로 1분/분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압축기(150)가 26.6시간 운전하는 동안 실제 경과되는 시간은 40시간인바,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1번 케이스와 동일하게 75시간(75hr) 후이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제상 주기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즉, 50시간(50hr))로 설정된 상태에서의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 계산 케이스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1번 케이스(Case 1)의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제상 주기 내내 단속 운전 모드(DD)로 유지되는 케이스이다. 이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분)으로 유지된다. 물론, 압축기(150)가 50시간 운전하는 동안 실제 경과되는 시간은 75시간인바,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75시간(75hr) 후이다.
2번 케이스(Case 2)의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초기에는 단속 운전 모드(DD)였다가 37.5시간 경과(즉, 압축기(150)의 실제 운전 시간은 25시간) 후 연속 운전 적용 범위 만족 상태 및 연속 운전 모드(CD)로 변경된 케이스이다. 이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분/분에서 1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분)으로 유지된다.
참고로, 제상 주기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즉, 50시간)로 설정되고,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단속 운전 모드(DD)인 상태에서 연속 운전 적용 범위 만족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 25시간은 37.5시간(25시간 X 압축기(150)의 운전율(67%)의 역수)으로 변경된다. 다만,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도 연속 운전 모드로 함께 변경된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그대로 1분/분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1번 케이스와 동일하게 75시간(75hr) 후이다.
3번 케이스(Case 3)의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초기에는 단속 운전 모드(DD)였다가 37.5시간 경과(즉, 압축기(150)의 실제 운전 시간은 25시간) 후 연속 운전 적용 범위 만족 상태로 변경된 케이스이다. 이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분/분에서 1.5분/분(즉, 압축기 운전 시간 1분당 차감 시간 1.5분)으로 변경된다.
참고로, 제상 주기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즉, 50시간)로 설정되고,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단속 운전 모드(DD)인 상태에서 연속 운전 적용 범위 만족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 25시간은 37.5시간(25시간 X 압축기(150)의 운전율(67%)의 역수)으로 변경된다. 다만,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단속 운전 모드(DD)로 유지된 경우,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은 1분/분에서 1.5분/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1번 케이스와 동일하게 75시간(75hr) 후이다.
다시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운전 적산 시간을 계산한 후(S320),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한다(S32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경우,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은 12분/초(즉, 냉장고 도어(60)의 개방 시간 1초당 차감 시간 12분)으로 계산되고, 제상 주기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경우,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은 8분/초(즉, 냉장고 도어(60)의 개방 시간 1초당 차감 시간 8분)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이 계산되면(S300), 계산 결과를 토대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한다(S40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계산 결과를 토대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S4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이 계산되면(S300), 계산된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을 토대로 설정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을 계산한다(S420).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을 토대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계산되면(S420), 냉장고 도어(6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한다(S44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냉장고 도어(6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바, 냉장고 도어(60)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냉장고 도어(60)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면(S440), 감지 결과를 토대로 계산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에서 계산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차감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460).
구체적으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300)는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에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차감 적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이 미감지된 경우, 제어부(300)는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에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차감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의 차감 적용 여부가 결정되면(S460), 결정 결과를 토대로 최종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한다(S480).
구체적으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300)는 계산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토대로 계산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을 차감하고,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이 미감지된 경우, 제어부(300)는 계산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을 차감하지 않는다.
참고로, 제상 주기에 해당하는 적산 시간은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토대로 차감되고, 제상 주기에 해당하는 적산 시간은 변동 적산 시간과 일반 적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이 없는 상태에서 압축기(150)의 운전에 의해 제상 주기에 해당하는 적산 시간이 차감되는 경우, 일반 적산 시간이 모두 차감된 후 변동 적산 시간이 차감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은 변동 적산 시간의 차감시에만 적용되고, 일반 적산 시간이 모두 차감되기 전에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에 의해 변동 적산 시간이 모두 차감되는 경우, 일반 적산 시간이 모두 경과된 후 제상 운전이 개시될 수 있다.
즉, 아래의 <표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즉, 잔여 변동 적산 시간)이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토대로 차감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와 같이, 제어부(300)는 압축기(150)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60)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토대로 최종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이 판단되면(S400), 제상 운전 개시 시점에 제상 운전을 개시한다(S50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판단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에 제상 히터(25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상 운전을 개시할 수 있다.
참고로, 제상 주기가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경우의 제상 운전 개시 시점과 제상 주기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경우의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동일(예를 들어, 제상 주기 설정 시점으로부터 75시간 이후 시점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가 제상 주기의 초기와 다르게 변경되더라도,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이 제상 주기의 초기와 다르게 변경되더라도,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 제상 히터(250)의 제상 주기 및 압축기(150)의 운전 로직과 상관없이 제상 히터(250)의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제상 히터(2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바, 항상 일정한 시점에 제상 운전이 개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상 횟수 증가 문제 및 제상 작업 투입 시기 지연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연속 운전 로직에 따른 제상 횟수 증가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잦은 제상 작업으로 인한 소비 전력 증가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제상 주기 가변으로 인해 제상 작업 투입 시기가 지연되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제상 작업 투입 시기 지연에 따른 증발기의 성에 과착상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60: 냉장고 도어 100: 온습도 센서
150: 압축기 250: 제상 히터
300: 제어부

Claims (20)

  1.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제상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 결과를 토대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에 제상 운전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상기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상 주기는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되고,
    상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상기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상 주기는 상기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보다 짧은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주기가 상기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경우의 상기 제상 운전 개시 시점과 상기 제상 주기가 상기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경우의 상기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동일한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주기가 상기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상기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불만족하게 되는 경우, 상기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 및 상기 압축기의 운전율 간 곱셈 연산을 통해 최종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결정되고,
    상기 제상 주기가 상기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상기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게 되는 경우, 상기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 및 상기 압축기의 운전율의 역수 간 곱셈 연산을 통해 최종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결정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상기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가 상기 제상 주기의 초기와 다르게 변경되더라도, 상기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 운전용 제상 주기는 상기 연속 운전용 제상 주기 및 상기 압축기의 운전율 간 곱셈 연산을 통해 결정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주기에 해당하는 적산 시간은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 및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토대로 차감되고,
    상기 제상 주기에 해당하는 적산 시간은 변동 적산 시간과 일반 적산 시간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의 운전에 의해 상기 제상 주기에 해당하는 적산 시간이 차감되는 경우, 상기 일반 적산 시간이 모두 차감된 후 상기 변동 적산 시간이 차감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은 상기 변동 적산 시간의 차감시에만 적용되고,
    상기 일반 적산 시간이 모두 차감되기 전에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에 의해 상기 변동 적산 시간이 모두 차감되는 경우, 상기 일반 적산 시간이 모두 경과된 후 상기 제상 운전이 개시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 및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 및 상기 압축기의 운전 로직을 토대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 및 상기 압축기의 운전 로직을 토대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축기의 운전 로직이 상기 제상 주기의 초기와 다르게 변경된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은 상기 변경된 압축기의 운전 로직을 토대로 변경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은 상기 압축기의 운전 로직이 상기 제상 주기의 초기와 다르게 변경되더라도 동일하게 유지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결과를 토대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토대로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계산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에서 상기 계산된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차감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 결과를 토대로 최종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계산된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토대로 상기 계산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차감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미감지된 경우, 상기 계산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이 차감되지 않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15.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회동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냉매와 공기의 열 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열을 발산하는 제상 히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및 고압의 기체로 변화시키는 압축기;
    상기 본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 및
    상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 상기 제상 히터의 제상 주기 및 상기 압축기의 운전 로직과 상관없이 상기 제상 히터의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상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가 연속 운전 적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상 히터의 제상 주기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 및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상 히터의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상 운전 개시 시점에 상기 제상 히터의 제상 운전을 개시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 및 상기 압축기의 운전 로직을 토대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를 토대로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계산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압축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토대로 상기 설정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계산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에서 상기 계산된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차감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를 토대로 최종 제상 운전 개시 시점을 판단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차감 시간을 토대로 상기 계산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을 차감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미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제상 주기의 잔여 시간을 차감하지 않는
    냉장고.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저장실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저장실 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하여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표면 온도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상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90108169A 2019-09-02 2019-09-02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KR20210026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69A KR20210026835A (ko) 2019-09-02 2019-09-02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69A KR20210026835A (ko) 2019-09-02 2019-09-02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35A true KR20210026835A (ko) 2021-03-10

Family

ID=7514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69A KR20210026835A (ko) 2019-09-02 2019-09-02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8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682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7765815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6744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801539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US10495368B2 (en) Refrigerator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JP4365378B2 (ja) 除霜運転制御装置および除霜運転制御方法
JP4289427B2 (ja) 冷凍装置
CN108885050B (zh) 冰箱
EP3124898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igerator and freezer units to reduce consumed energy
JP2006250378A (ja) 冷却貯蔵庫
KR2012001261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200318882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66851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071520A (ja) 冷却貯蔵庫及びその圧縮機の制御方法
KR101658233B1 (ko)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방법
JP2008138915A (ja) 冷凍装置
KR100569891B1 (ko) 냉장고의 송풍팬 운전 제어방법
JP2019143819A (ja) 冷蔵庫
US11549740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10026835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EP1730457A1 (en) A cool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0885450B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00088158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압축기 제어 방법
JP2002195668A (ja) 冷蔵庫
KR2021002683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