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700A - 다기능 신체관리봉 - Google Patents

다기능 신체관리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700A
KR20210026700A KR1020190107863A KR20190107863A KR20210026700A KR 20210026700 A KR20210026700 A KR 20210026700A KR 1020190107863 A KR1020190107863 A KR 1020190107863A KR 20190107863 A KR20190107863 A KR 20190107863A KR 20210026700 A KR20210026700 A KR 20210026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eceiving space
massage
hand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희성
Original Assignee
권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희성 filed Critical 권희성
Priority to KR102019010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700A/ko
Publication of KR2021002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00A/ko
Priority to KR2020210002124U priority patent/KR200494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8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having a rigid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4Chiropodists' instruments, e.g. pedi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rush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신체관리 방법과 용품에 있어서 1또는 2 기능성 용품을 다수 준비해야 하는 불편과 과소비가 많았다. 상기를 해소하기 위하여 등을 포함한 신체관리에 필요한 각종 기능을 모아 일체화하였고, 또한 중심분리대(51)와 손봉(50) 구성체에 고안 외의 보조용품(503)을 탈부착 및 장착하는 연계력으로 기존의 몇가지 기능으로 사용하던 용품보다 기능을 더 많이, 효율적으로 용품을 사용하도록 각종 기능을 통합하였다. 고안의 용도와 활용은 전신의 로션 바르기, 파스부착, 긁기, 두드리기, 각질제거 목욕, 거품목욕, 마사지를 비롯한 각종 기능이며, 구성체들의 방향과 위치전환을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전환할 수 있으며, 신체관리의 편의와 생활쓰레기 배출량 저감을 도모하는 대안으로 고안한 다기능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와 이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다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와 이의 제조방법{Multi-functional a full-body beauty machine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예전부터 등을 비롯한 전신의 각질 제거, 로션 바르기, 면파스 부착 기타 신체관리 방법은 많은 용품이 필요하고 불편한 경우가 많았다. 요즘도 외부 사우나를 이용할 경우에 여성들은 세신 용품을 다수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의 단점들을 해결하는 기술로는, 각종 신체관리 용품의 기능을 다기능 일체형 전신미용기에 통합하고, 사용자가 각 기능의 구성체를 상황과 용도에 맞게 택일하여 사용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분야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등을 포함한 전신의 세신, 화장품 및 영양물질 바르기, 파스부착, 긁기, 두드리기, 밀기, 마사지, 각질제거 등 각종 신체관리 행위를 하나의 용품으로 해결하도록 각종 기능의 구성체들을 통합하고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일체형 전신미용기를 구성하고 제조하는 기술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이다.
1. 다기능 마사지기(DEVICE FOR MULTI MASSAGING)
등록번호/일자 1008096330000 (2008.02.26)
2. 때밀이 기능을 구비한 효자손
등록번호/일자 1018819550000 (2018.07.19)
3. 효자손 및 약품 도포기능을 겸비하는 등 마사지 기구(Massage Apparatus)
등록번호/일자 1016363630000 (2016.06.29)
종래에는 개인중심 생활자를 대상으로 편리한 기능의 세신용품들이 출시되지만, 많은 용품을 구입하는 비용과 혼재하는 물품들을 정리정돈 해야하는 일상의 일거리 증가도 부담스러운것이 사실이다. 특히 혼자서 등에 면파스를 붙여야 할 때, 등에 로션을 바르거나 각질제거할 때 기타 난해한 상황에 접하면 타인에게 부탁할 수도 없고, 포기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관련 업계에서는 상기의 상황 증가와 생활쓰레기 증가 방지에 부합되는 제품 연구와 출시에 적극적이지 않아서, 상기들의 상황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별 용품들의 기능을 하나의 용품으로 통합하는 방법, 통합된 기능의 실행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찾아서 신체관리의 편의, 목욕용품 바구니의 부피 줄이기, 생활쓰레기 생산량과 배출량 저감을 위한 대안을 찾는 것이 고안의 해결하고자하는 과제가 되었다.
기존의 신체관리 용품들의 분산된 기능으로 인한 불편함과 생활용품 생산량 축소 및 생활쓰레기 배출량 저감을 도출하는 대안을 찾는 과제의 해결 수단은 아래와 같이 해결한다.
1. 신체관리 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에 있어서
고안의 상부에 배치되며,
유출구 수용공간(51F)과 배면 수용공간(51B)을 구비한 중심분리대(51);
내부면은 브러시(Brush)면(60), 외부면은 돌기마사지면(61)으로 구비되어서 상호 위치전환이 되는 기능전환판(69);
파스(Pasta)부착 유도선면(54)과 다수의 유출구를 구비한 유출구들과 면(10);
고정고리(20)를 장착한 손봉막대(55);
로 상호 조합되고 끼워맞춤 탈부착되는 손봉부(50);
고안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 수용공간을 확보한 막대 및 손잡이봉의 수용공간 막대봉(40);
소형 마사지 물품을 장착한 막대봉 뚜껑(30);
으로 상호 조합된 막대봉부(49);
로 손봉부(50)와 막대봉부(49)가 탈부착 결합 구성되고, 사용자가 상기의 구성체 외의 보조용품들(503)을 중심분리대(51)와 손봉(50)에 탈부착 및 장착 할 수 있는 고안이며, 상기의 모든 구성체들은 끼워맞춤 결합으로 탈부착하여 상호 조합 및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의 용도와 기능은, 기능전환판(69)과 손봉의 위치전환, 유출구 수용공간(51F, 51B)과 막대봉 수용공간(40)에 물질과 물품 수용, 유출구로 로션을 비롯한 물질 유출과 분사 기능, 외부의 보조용품들(503)과 결합 성립, 상기의 주요 기능을 기반으로 모든 구성체는 조합되어 끼워맞춤 탈부착 통합하고, 신체 상황에 맞는 기능의 파스부착, 물질 바르기, 문지러기, 두드려서 마사지 내지 안마, 긁기, 거품목욕, 각질제거 목욕을 사용자가 택일하여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
3. 다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안의 상부에 배치되며,
물질과 물품의 수용공간으로 유출구 수용공간(51F)을 정면에, 기능전환판(69)를 수용하는 배면 수용공간(51B)을 배면에 함몰된 공간을 구비하여 제조하는 중심분리대(51);
내측에 거품목욕용 솔 형상의 브러시(Brush)면(60)과 외측에 마사지 용도의 돌출 돌기를 앞과 뒤 양면으로 구분하여 구비한 돌기마사지면(61)을 양방향 위치전환 탈부착 결합되도록 제조하는 기능전환판(69);
가로선으로 파스(Pasta)부착 유도선면(54)을 표식하고, 물질의 유출 내지 분사 통로인 유출구들을 뚫어서 구비하는 유출구들과 면(10);
줄과 고리 형태의 고정고리(20)를 손봉막대의 구멍에 장착하고, 중심분리대(51) 하부와 연결된 손봉막대(55);
의 구성체들이 조합되어 상호 끼워맞춤 탈부착 결합하도록 제조하는 손봉부(50);
고안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 수용공간을 확보하여 물품과 물질을 수용하도록 제조한 수용공간 막대봉(40);
소형 마사지 물품을 장착시킨 막대봉 뚜껑(30);
의 구성체들이 조합되어 상호 끼워맞춤 탈부착 결합하도록 제조하는 막대봉부(49);
로 손봉부(50)와 막대봉부(49) 구성체가 탈부착 통합 및 제조되고, 상기의 중앙분리대(51) 및 손봉(50)에는 이태리타올을 비롯한 보조용품들(503)을 장착하여 외부 보조용품과도 연계가 되며, 모든 구성체들은 용도에 맞춰 재료, 크기, 수량, 결합체를 비롯한 구성을 조절하여 금형과 제조를 하며, 고안의 구성 요소인 물질과 물품 수용공간(51F, 51B, 40), 구성체들의 위치 및 기능전환(69, 88), 유출 및 분사되는 유츌구(1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각 기능과 용도가 조합 및 끼워맞춤 탈부착 통합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의 제조방법
으로 고안된 다기능 일체형 전신미용기는 샤워타올, 샴푸, 오일, 로션, 치솔 등 적정량의 보조용품을 일체형 전신미용기(570) 내부에 수용하여 남녀노소, 국적 구분없이 매일 반복되는 마사지, 로션바르기, 거품샤워, 각질제거, 등긁기, 면파스 붙이기 기타 신체관리 상황에서 적시적소에서 사용자가 적합한 기능을 신속히 실행하는 편의와 생활용품의 과다 생산 및 쓰레기 배출되는 량을 줄이는 효과를 도출하여 기존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등 부위를 포함한 전신의 세신 등 자립적 신체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또한 대중목욕탕을 이용할 때 보조용품을 다기능 일체형전신미용기의 수용공간에 적절히 수용하여 이동할 수 있어서 목욕바구니의 부피를 줄여주고, 공동목욕탕에서는 비상구역에 목욕바구니를 보관하는 경우가 많아서, 안전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고안을 사용할 시에는 보관할 필요가 없이 목욕에 필요한 적정량의 보조용품을 고안의 수용공간에 수용하여 사우나 갈 수 있으므로 사고예방의 효과도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 산재된 기능 용품들을 일체형 전신미용기에 통합하므로 파스부착, 바르기, 문지러기, 두드려서 마사지 내지 안마, 긁기, 보조용품 결합, 수용공간 확보가 본 고안으로 모두 해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돌기마사지면(61)과 브러시면(60)은 한국인의 각질제거 목욕문화와 서양인의 거품샤워 문화에 모두 활용가능하며, 많은 개별용품을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생활쓰레기의 생산량과 배출량을 줄이는 등의 발명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에 구성된 유출구수용공간(51F), 유출구들과 면(10)을 비롯한 구성체들을 상세 도시한 정면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을 측면을 중앙종단 절단하여 도시한 중앙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면에 구성된 브러시(Brush)면(60), 돌기마사지면(61), 파스(Pasta)부착유도선면(54)과 막대봉(40), 막대봉뚜껑(30)을 비롯한 구성체들을 상세 도시한 배면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조용품을 장착하고, 보조뚜껑을 수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하, 고안의 명칭은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이며, 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재료는 용도에 따라 합성수지 및 실리콘, 탄성소재 기타 재질로 혼재하여 제조 가능하며, 제작자의 제조 계획에 따라서 투명, 불투명, 반투명, 구성체들의 크기, 디자인의 응용, 돌기의 수량, 결합구의 종류들을 고안의 기본 요소 내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용도에 맞게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래의 상세설명은 등을 포함한 전신 세신과 바르기, 파스부착, 긁기, 두드리기, 밀기, 마사지 기타의 기능이 일체형으로 통합 구비 및 실행되는 일체형전신미용기(570)와 이의 구성 및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다.
일체형 전신미용기(570)는 다수의 기능 구성체가 통합되고, 각종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구성체의 방향과 배치를 전환하는 상부의 손봉부(50)와 하부의 막대봉부(49)로 구분된다.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의 구성체들의 배치와 분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정면과 배면의 중심이 되고, 상기 양쪽에 수용공간을 구비한 중심분리대(51), 상기 정면 수용공간 위에 구비한 유출구들과면(10)과 파스유도선면(54), 중심분리대(51)의 배면 수용공간 위에 브러시면(60)과 돌기마사지면(61)이 구비되고, 중심분리대(51) 하부에 손봉막대(55)와 고정고리(20)가 구비되며, 상기의 구성체들이 통합되어 손봉부(50)가 된다.
2. 상기의 손봉부(50)의 하부에는 막대봉들(40)과 막대봉의 뚜껑(30)이 구성되어서 상호 탈부착 통합되고 고안의 막대봉부(49)가 된다.
3. 상기의 손봉부(50)와 막대봉부(49)의 구성체들은 위치 전환과 회전 및 탈부탁 결합이 되며, 다기능 일체형 전신미용기(570)로 통합된다. 상기의 활용은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들을 택일하여 바르기, 문지러기, 각질제거하기, 두드려서 마사지 내지 안마 기능으로 실행시켜서 활용한다.
아래의 실시예 4부터는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의 개별적 구성체들의 기능, 활용을 비롯한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이고, 금형은 제작자가 사출금형을 비롯하여 제조 가능한 기술을 택일한다.
중심분리대(51)는
1. 고안의 중심축이며 상부에 배치되고, 중심분리대(51) 앞면과 뒷면의 각 상부 테두리에 끼워맞춤 결합구를 구비한다.
2. 고안의 정면과 배면의 중심 위치에서, 양측에 함몰되는 수용공간을 갖추면서 영역을 분리하고, 각 수용공간은 물질과 물품을 보관 내지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3. 물질과 물품 수용은 유출구 수용공간(51F)에는 로션, 오일, 세정제 기타 액상 내지 각종 분말의 물질을 수용하고, 배면수용공간(51B)에는 브러시(Brush)(60)면과 마사지면(61)을 수용하게 된다.
4.중심분리대(51)는 도면의 유출구 수용공간(51F), 유출구들과면(10), 배면수용공간(51B), 브러시(Brush)(60), 돌기마사지면(61), 손봉막대(55)와 연계되어서 각 구성체가 지닌 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토대가 된다.
5.또한 상기의 활용 외에도 양측에 있는 배면수용공간(51B), 유출구수용공간(51F) 상단의 끼워맞춤 결합구는 본 고안에 없는 각종 보조용품들을 장착하여 더 폭넓은 기능들을 결합시켜서 사용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유출구 수용공간(51F)은
1. 고안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단 가장자리 테두리에 끼워맞춤 결합구를 구비한다.
2. 유출구 수용공간(51F)은 고안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심분리대(51)의 정면(500) 내부 위치에 함몰 형태의 수용공간으로서 유출구 수용공간(51F)하부와 중심분리대(51) 앞면은 같은 공간이 된다.
3. 상기는 유출구수용공간(51F)의 뚜껑에 해당하는 유출구들과 면(10)의 하부에 해당하기도 하며 로션, 오일, 세정제 기타 액상 내지 각종 분말의 물질을 수용하고, 물질 수용과 더불어 내용물을 각 유출구로 내보내는 역할을 돕는다. 물질수용이 주 목적이지만 시대적 기술과 필요에 따라 전자제어용품을 비롯한 여러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4. 유출구수용공간(51F) 테두리와 중심분리대(51) 앞면 테두리는 같은 곳이고,
5. 중심분리대(51) 뒷면 테두리와 배면수용공간(51B) 태두리는 같은 곳이 되도록 구성한다.
유출구들과 면(10)은,
1. 고안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 하단 테두리에 끼워맞춤 결합구를 구비한다.
2. 유출구들과면(10)은 유출구 수용공간(51F)의 상부에서 서로 마주하여 탈부착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3. 유출구 제조는 제작자가 용도에 맞게 임의의 크기와 수량으로 구멍을 뚫는다.
4. 상기 유출구들의 역할은 유출구수용공간(51F)에 수용된 로션, 오일, 바디샴푸(body shampoo), 야채즙 기타 액상 내지 각종 분말의 물질들을 외부로 유출 내지 분사시키는 통로 기능이다.
5. 상기의 물질을 유출구들과 면(10)의 통로로 신체에 유출 내지 분사 시킨 후에 문지러기, 두드려서 마사지하는 용도 및 오일, 로션, 과일즙 기타 물질을 바르는 용도로 활용한다.
6. 상기의 유출구들이 밀집되어 있는 면과 유출구를 포함하여 유출구들과 면(10)이된다.
7. 유츌구수용공간(51F) 내부의 칸막이는 수량과 크기가 정해져있지 않고, 용도에 맞도록 기본 1개에서 추가하거나, 삭제해도 되며 결정은 제작자가 정하면 된다.
8. 유출구수용공간(51F)과 배면수용공간(51B)의 칸막이와 테두리에 결합되는 모든 대상의 구성체들은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한다.
9. 칸막이의 역할은 수용물질이 각 수용공간의 벽면이나 한곳에 집중적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체에 골고루 도포되도록 한다.
10. 유출구들과면(10)의 외부 상단, 하단에 가로줄 내지 인지 가능한 각종 표식 중에서 택일하여 부착용 파스부착유도선면(54)을 구비하여 제조한다.
파스부착유도선면(54)의 역할은 면파스를 신체의 사각지대인 등까지 혼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배면수용공간(51B)은,
1. 고안의 상부에 배치되며, 도 3과 도 4에서처럼 상단 가장자리 테두리에 끼워맞춤 결합구를 구비하며, 중심분리대(51)의 배면이 곧 배면수용공간(51B)이며 동일한 곳이다.
2. 배면수용공간(51B)은 고안의 중심분리대(51) 배면(501)에 위치하며, 가장자리에 끼워맞춤 결합구를 구비하고 함몰형상의 수용공간으로 제조한다.
②상기의 배면수용공간(51B) 활용방법은 기능전환판(69)에 있는 브러시(Brush)면(60)과 마사지면(61) 중에서 사용자가 사용하지않는 면을 양방향 회전 내지 위치전환 결합으로 이동되어 수용되는 장소가 된다.
결론적으로 배면수용공간(51B)은 기능전환판(69) 양면의 전환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브러시(Brush)면(60)은,
1. 배면수용공간(51B)과 마주보며, 상호 끼워맞춤 결합구를 구비하여 결합한다.
2. 브러시(Brush)면(60)은 손봉(50)의 배면 내부에 해당되며, 뒷쪽은 돌기마사지면(61)을 형성하여, 브러시(Brush)면(60)과 돌기마사지면(61)이 기능전환판(69)의 안과 밖이 되는 것과 같은 결과이며, 기능전환판(69)은 사용자의 활용에 따라 상호 위치전환 결합이 된다.
3. 브러시(Brush)면은 용도에 따라서 실리콘 돌기기둥 내지 천연 재료 모를 용도에 맞게 심어서 면의 너비에 조성한다.(심는 방법과 간격은 제한이 없음)
4. 브러시(Brush)면의 활용은 비누, 샴푸( body shampoo) 기타 물질을 묻혀서 거품목욕하는데 용이하고, 손과 근접된 신체부위는 막대봉과 분리하여 손봉으로 활용한다.
돌기마사지면(61)은,
1. 배면수용공간(51B)에 수용된 브러시(Brush)면(60)의 뒷쪽 면에 크고작은 둥근돌기들을 배치하여 제조되며, 하단 테두리는 끼워맞춤 결합구를 구비한다.
2. 사용자의 활용에 따라 브러시(Brush)면(60)과 상호 위치전환 결합이 되도록 기능전환판(69)에 형성한다. 즉 사용자가 돌기마사지면(61)의 방향을 뒤집으면 브러시(Brush)면(60)과 위치전환을 하게되어서 돌기마사지면(61)은 배면수용공간(51B)으로 이동하여 수용되게 된다.
3. 돌기마사지면(61)은 손봉(50)의 배면 외부에 해당되며 활용은 다음과 같다.
크고작은 돌기들이 신체와 접촉하여 문지러거나 두드려서 마사지 내지 안마 하고, 보조용품(503)을 장착할 시에 타올면을 고정시키는 용도로 겸용한다.
4. 상기의 활용 외에도 대한민국의 이태리 타올 등 보조용품을 손봉을 포함한 돌기마사지면(61)을 상대로 덮어 씌워서 고정고리(20)로 고정하고, 신체의 각질제거 세신을 비롯한 샤워할때 활용한다.
5. 상기의 보조용품은 덮어 씌울수 있도록 된 용품들을 장착하는 것이고, 실시예 4의 중심분리대(51)와의 보조용품 장착은, 결합구에 결합된 고안의 구성체를 제거하고, 결합구를 지니고 있는 외부 보조용품들을 결합한다는 것이며, 둘의 용품들은 결합방법이 상이하다.
5. 활용은 실시예 8의 브러시면(60)과 돌기마사지면(61)을 기능전환판(69)에 안과 밖에 배치하여, 상호 위치를 회전결합하여 기능을 전환한다.
파스(Pasta)부착 유도선면(54)은,
1. 파스(Pasta)부착 유도선면(54)은 유출구들과면(10) 위에 표식한다.
2. 상기는 유출구들과면(10)의 외부 상단, 하단에 가로줄 표시 내지 인지 가능한 표식을 주어서 면 파스(Pasta)를 부착할 때 사용하도록 구비한다.
3. 상기의 활용방법은 이렇다.
접착력을 지닌 파스(Pasta)의 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양옆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굴려서 파스(Pasta)부착 유도선면(54)에 안착시키고,
안착된 파스(Pasta)의 면을 신체의 등 내지 임의의 위치에 안착시키고, 손봉(50)을 아래로 한번 밀고, 위로 당기면 파스(Pasta)의 약 살포된 면이 피부에 부착된다.
손봉막대(55)는,
중심분리대(51) 하부에 연장되는 막대이며, 막대의 중간부분에 줄과 고리 형태의 고정고리(20)가 구비하며, 하단에는 끼워맞춤 결합구를 갖추고 막대봉부(49) 상부와 탈부착 결합하도록 제조한다.
1. 고정고리(20)는 손봉막대(55)의 중간부분에 구멍을 뚫고, 줄과 고리 형태를 끼워넣어서 하단이 구멍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비한다.
2. 상기의 고정고리(20)은 보조용품 중에서 타올을 장착하여 사용할 때 필요하다.
상기의 활용방법은, 손봉(50)의 외부에 각종 타올(Taol)을 끼워 씌우고, 타올(Taol)하부에 고정고리(20)로 감은 후 고리를 줄에 걸어서 고정시킨다. 또한 고정력 외에도 본 고안을 보관할때 벽에 걸어둘 수 있는 걸이 역할을 겸한다.
3. 기존의 한국식 세신 방법에서 이태리타올로 각질을 문질러서 제거할때 사용하면 타올 전체가 야무지게 단단히 고정되어서 좋다. 기존 제품들의 때밀이봉의 타올고정은 도구의 상부 둘레에 홈을 주어서 고무줄을 끼워 사용하는데, 이것은 고정력이 약해서 타올이 삐져나오거나 타올 하부의 천 정리가 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손봉부(50)는 손봉막대(55)부터 그 상부의 구성체들이 포함되며, 기능전환판(69)이 개별적으로 방향회전과 기능전환이 됨과 손봉부(50) 전체도 막대봉부(49)와 방향회전하여 기능전환이 된다.
막대봉수용공간(40)은
1. 상하단에 끼워맞춤결합구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물품, 물질을 수용하는 막대봉수용공간(40)을 구비하여 제조하며, 수량은 용도에 따라 추가 및 축소하여 정하고, 일체형전신미용기(570)의 손잡이와 길이조절되는 막대역할을 담당한다. 상기의 최상단 상부는 손봉부와 최하단 하부는 막대봉뚜껑(30)과 탈부착한다.
2. 막대봉수용공간(40)의 활용은, 막대봉의 내부 빈 공간에 세신에 필요한 적정량의 샴푸, 린스, 이태리 타올, 치솔 등을 담을 수 있어서 사용하지도 않는 대용량의 물질을 목욕바구니에 들고 다니거나, 사우나에 보관할 필요가 없도록 효율적인 편의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등의 활용을 한다.
막대봉 뚜껑(30)은 막대봉부의 하부에 속하며, 소형 마사지 물품을 용도에 따라 솔, 돌, 퍼프(puff)를 비롯한 소재를 정하여 장착하고 상,하 양방향 탈부착 결합이 되도록 제조하며, 얼굴과 발바닥 등 국소적인 신체의 부위에 활용하는 용도이다.
상기는 소재를 장착하는 틀의 토대를 구비해주므로, 소재는 제작자의 의도와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하는것이다.
각종 보조용품(503)은 이태리타올, 브러시타올 등 각종 타올, 안마볼판 기타 중심분리대(51)와 끼워맞춤 결합이 가능한 결합구를 구비한 고안 외 타 용품들이며, 상기는 본 고안의 중심분리대(51)에 탈부착 결합되어서 더 많은 기능을 추가 한다.
본 고안의 일체형 전신미용기(570)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양측에 상이한 기능을 구비한 기능전환판(69), 파스(Pasta)부착 기능을 장착한 유출구들과면(10), 중심분리대(51), 유출구수용공간(51F), 배면수용공간(51B), 손봉막대(55), 고정고리(20)를 구비한 손봉부(50);
2. 수용공간 막대봉(40), 막대봉 뚜껑(30)을 구비한 막대봉부(49);
로 구성되고, 반투명, 불투명, 투명 택일하여 제조하며, 구성체들은 끼워맞춤 결합구를 구비하고 상호 대칭하여 결합하며, 사용자가 3종 이상의 기능전환과 기능선텍을 하여 파스부착, 바르기, 문지러기, 두드려서 마사지 내지 안마, 긁기, 각질제거 목욕, 거품목욕, 수용공간 활용, 보조용품 결합으로 구성체의 기능을 택일 및 전환하여 활용하고, 각 수용공간에 물질과 물품을 담아서 신체를 관리 내지 이동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다기능을 통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일체형전신미용기(570)이다.
(570);일체형 전신미용기
(상이한 기능을 가진 3개 이상의 구성체가 결합하여 하나가 된 형태)
(10);유출구들과 면(유출구들과 유출구들을 구비한 면을 포함)
(60);브러시(Brush)면
(실리콘 내지 천연재료의 모로 만든 브러시(Brush)와 브러시가 구비된 면)
(61);돌기마사지면(돌기가 구비된 면과 돌기들)
(51);중심분리대
(51F);유출구 수용공간
(51B);배면 수용공간
(53);개문 턱
(54);파스(Pasta)부착 유도선면(유도선과 유도선이 장착된 면)
(55);손봉막대
(20);고정고리(각종 타올 등 보조용품 장착시 고정용)
(88);탈부착 결합과 방향회전
(69);기능전환판(돌기마사지면(61)과 브러시(60)면이 형성된 판)
(50);손봉부(손봉과 같으며, 고안의 상부에 속함)
(49);막대봉부(고안의 하부)
(40);수용공간 막대봉(내부 수용공간을 구비한 막대)
(30);막대봉 뚜껑(양방향 끼워맞춤결합 됨)
(500);정면
(501);배면
(503);각종 보조용품들(고안의 구성체외 이태리타올 등 덮어 씌우는 물품들(손봉(50)에 장착)및 끼워맞춤 결합구를 지닌 물품들(중심분리대(51)에 결합)의 통칭임)

Claims (3)

  1. 신체관리 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에 있어서
    고안의 상부에 배치되며,
    유출구 수용공간(51F)과 배면 수용공간(51B)을 구비한 중심분리대(51);
    내부면은 브러시(Brush)면(60), 외부면은 돌기마사지면(61)으로 구비되어서 상호 위치전환이 되는 기능전환판(69);
    파스(Pasta)부착 유도선면(54)과 다수의 유출구를 구비한 유출구들과 면(10);
    고정고리(20)를 장착한 손봉막대(55);
    로 상호 조합되고 끼워맞춤 탈부착되는 손봉부(50);
    고안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 수용공간을 확보한 막대 및 손잡이봉의 수용공간 막대봉(40);
    소형 마사지 물품을 장착한 막대봉 뚜껑(30);
    으로 상호 조합된 막대봉부(49);
    로 손봉부(50)와 막대봉부(49)가 탈부착 결합 구성되고, 사용자가 상기의 구성체 외의 보조용품들(503)을 중심분리대(51)와 손봉(50)에 탈부착 및 장착 할 수 있는 고안이며, 상기의 모든 구성체들은 끼워맞춤 결합으로 탈부착하여 상호 조합 및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의 용도와 기능은, 기능전환판(69)과 손봉의 위치전환, 유출구 수용공간(51F, 51B)과 막대봉 수용공간(40)에 물질과 물품 수용, 유출구로 로션을 비롯한 물질 유출과 분사 기능, 외부의 보조용품들(503)과 결합 성립, 상기의 주요 기능을 기반으로 모든 구성체는 조합되어 끼워맞춤 탈부착 통합하고, 신체 상황에 맞는 기능의 파스부착, 물질 바르기, 문지러기, 두드려서 마사지 내지 안마, 긁기, 거품목욕, 각질제거 목욕을 사용자가 택일하여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
  3. 다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57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안의 상부에 배치되며,
    물질과 물품의 수용공간으로 유출구 수용공간(51F)을 정면에, 기능전환판(69)를 수용하는 배면 수용공간(51B)을 배면에 함몰된 공간을 구비하여 제조하는 중심분리대(51);
    내측에 거품목욕용 솔 형상의 브러시(Brush)면(60)과 외측에 마사지 용도의 돌출 돌기를 앞과 뒤 양면으로 구분하여 구비한 돌기마사지면(61)을 양방향 위치전환 탈부착 결합되도록 제조하는 기능전환판(69);
    가로선으로 파스(Pasta)부착 유도선면(54)을 표식하고, 물질의 유출 내지 분사 통로인 유출구들을 뚫어서 구비하는 유출구들과 면(10);
    줄과 고리 형태의 고정고리(20)를 손봉막대의 구멍에 장착하고, 중심분리대(51) 하부와 연결된 손봉막대(55);
    의 구성체들이 조합되어 상호 끼워맞춤 탈부착 결합하도록 제조하는 손봉부(50);
    고안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 수용공간을 확보하여 물품과 물질을 수용하도록 제조한 수용공간 막대봉(40);
    소형 마사지 물품을 장착시킨 막대봉 뚜껑(30);
    의 구성체들이 조합되어 상호 끼워맞춤 탈부착 결합하도록 제조하는 막대봉부(49);
    로 손봉부(50)와 막대봉부(49) 구성체가 탈부착 통합 및 제조되고, 상기의 중앙분리대(51) 및 손봉(50)에는 이태리타올을 비롯한 보조용품들(503)을 장착하여 외부 보조용품과도 연계가 되며, 모든 구성체들은 용도에 맞춰 재료, 크기, 수량, 결합체를 비롯한 구성을 조절하여 금형과 제조를 하며, 고안의 구성 요소인 물질과 물품 수용공간(51F, 51B, 40), 구성체들의 위치 및 기능전환(69, 88), 유출 및 분사되는 유츌구(1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각 기능과 용도가 조합 및 끼워맞춤 탈부착 통합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전신미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90107863A 2019-08-31 2019-08-31 다기능 신체관리봉 KR20210026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863A KR20210026700A (ko) 2019-08-31 2019-08-31 다기능 신체관리봉
KR2020210002124U KR200494398Y1 (ko) 2019-08-31 2021-07-05 수용공간과 다기능을 통합한 다기능 신체관리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863A KR20210026700A (ko) 2019-08-31 2019-08-31 다기능 신체관리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124U Division KR200494398Y1 (ko) 2019-08-31 2021-07-05 수용공간과 다기능을 통합한 다기능 신체관리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00A true KR20210026700A (ko) 2021-03-10

Family

ID=751483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863A KR20210026700A (ko) 2019-08-31 2019-08-31 다기능 신체관리봉
KR2020210002124U KR200494398Y1 (ko) 2019-08-31 2021-07-05 수용공간과 다기능을 통합한 다기능 신체관리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124U KR200494398Y1 (ko) 2019-08-31 2021-07-05 수용공간과 다기능을 통합한 다기능 신체관리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267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9913A (zh) * 2021-05-18 2021-08-10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手癣患者用死皮清理装置
KR102522729B1 (ko) * 2023-01-03 2023-04-17 최석재 구조 개선된 직립형 전신 세신기
US11897152B2 (en) 2017-03-14 2024-02-13 Bakscape Holding Corp. Back and body hair cutt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33B1 (ko) 2006-11-22 2008-03-05 주식회사 아롱엘텍 다기능 마사지기
KR101636363B1 (ko) 2015-07-30 2016-07-07 동현정공(주) 효자손 및 약품 도포기능을 겸비하는 등 마사지 기구
KR101881955B1 (ko) 2017-07-06 2018-07-26 이인주 때밀이 기능을 구비한 효자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838U (ko) * 1998-06-15 1998-10-07 곽한상 다목적 접힙식 타올
KR200173655Y1 (ko) * 1999-09-03 2000-03-15 배규석 목욕용 솔
KR20130011607A (ko) * 2011-07-22 2013-01-30 (주) 카이로스제패 탈부착 화장품 케이스
KR101354487B1 (ko) * 2012-03-27 2014-01-27 윤미경 회전식 때밀이 장치
KR101413862B1 (ko) * 2012-10-23 2014-06-30 구경민 등 마찰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키트
KR200474734Y1 (ko) * 2013-11-12 2014-10-13 신민중 파스부착용 효자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33B1 (ko) 2006-11-22 2008-03-05 주식회사 아롱엘텍 다기능 마사지기
KR101636363B1 (ko) 2015-07-30 2016-07-07 동현정공(주) 효자손 및 약품 도포기능을 겸비하는 등 마사지 기구
KR101881955B1 (ko) 2017-07-06 2018-07-26 이인주 때밀이 기능을 구비한 효자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다기능 마사지기(DEVICE FOR MULTI MASSAGING)
2. 때밀이 기능을 구비한 효자손
3. 효자손 및 약품 도포기능을 겸비하는 등 마사지 기구(Massage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7152B2 (en) 2017-03-14 2024-02-13 Bakscape Holding Corp. Back and body hair cutt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CN113229913A (zh) * 2021-05-18 2021-08-10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手癣患者用死皮清理装置
KR102522729B1 (ko) * 2023-01-03 2023-04-17 최석재 구조 개선된 직립형 전신 세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05U (ko) 2021-07-13
KR200494398Y1 (ko)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6700A (ko) 다기능 신체관리봉
KR100758625B1 (ko) 퍼프 일체형 리퀴드 화장품 용기
US20150265019A1 (en) Container
US6588960B1 (en) Liquid dispenser and applicator
US20130058698A1 (en) Applicator for fluid products
KR20140000942U (ko) 진동을 이용한 화장용구
JP2019517865A (ja) 混合クッション及び混合メッシュ網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US8540117B2 (en) Compartmentalized portable container and body wash wipes
US8226317B2 (en) Gel soap dispenser
KR20160059377A (ko) 브러쉬 내장형 화장용구
CN213993390U (zh) 一种野营洗漱杯
CN206621304U (zh) 一种多功能浴篮
CN209808153U (zh) 一种组合式洗浴瓶
US20210298539A1 (en) Disposable Shower With Integral Liquid Container Pods, Bristles, and Dispensing System
CN204636167U (zh) 旅行洗漱套装
CN210285212U (zh) 一种采用可循环使用的高分子材料的环保化妆盒
WO2015077852A1 (pt) Dispositivo portátil com recipiente para sabão e encaixe para esponjas e buchas de uso doméstico
CA2928452A1 (en) Ablution kit
CN201104606Y (zh) 便携式化妆刷
KR200201280Y1 (ko) 스킨,로션,헤어젤 자판기
KR20120080696A (ko) 치약형 염색용기 빗
CN201079119Y (zh) 一种便携式洗漱包
CN2250717Y (zh) 多功能组合折叠式保健按摩搓澡器
KR200372139Y1 (ko) 솔부착 구두약병
CN104116436A (zh) 一种方便开启的浴室置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