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671A -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Google Patents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671A
KR20210026671A KR1020190107754A KR20190107754A KR20210026671A KR 20210026671 A KR20210026671 A KR 20210026671A KR 1020190107754 A KR1020190107754 A KR 1020190107754A KR 20190107754 A KR20190107754 A KR 20190107754A KR 20210026671 A KR20210026671 A KR 20210026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y
diorama
visually impaired
main body
boo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6166B1 (en
Inventor
소혜진
Original Assignee
소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혜진 filed Critical 소혜진
Priority to KR102019010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166B1/en
Publication of KR2021002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6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1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y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impaired, which is operat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a three-dimensional picture is formed on a surface by selecting an impressive scene from the story, and a story board in which an RFID tag with an audio file of the corresponding story is embedded is assembled into a main body, and thus, the visually-impaired can listen to contents by sound while touching three-dimensional illustration of the scene with his or her hand. Therefore, the fun of reading can be dou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impaired comprises: a main body in which a speaker and a control unit are embedded; and a story board which is attached/detached to and from the main body, has an upper surface on which a three-dimensional picture expressing a specific scene in the story is formed, and has an RFID tag with an embedded audio file of a story about the specific scene.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에게 손으로 장면에 대한 입체 삽화를 만지면서 소리로 내용을 들으므로 독서의 재미를 배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a diorama audio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an double the fun of reading by listening to the contents by sound while touching the three-dimensional illustration of the scene with the hand to the visually impaired. It is about the book device.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은 일반적인 도서를 읽을 수 없기 때문에 특수하게 제작된 점자책이나 음성으로 제작된 오디오북을 사용한다.In general, since the visually impaired cannot read general books, specially designed braille books or audio books made with audio are used.

그런데, 점자책의 경우에는 점자를 배우지 못한 아주 어린아이들은 읽지 못하고, 점자를 모르는 일반인도 읽을 수 없으므로 그 대상이 한정되어 비싼 제작비에 비하여 수요자가 적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도서를 제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이윤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상업적인 출판사의 경우에 점자책의 발행에 소극적이다.However, in the case of Braille books, very young children who do not learn Braille cannot read them, and even ordinary people who do not know Braille cannot read them, so there is a limit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types of books because the target is limited and the number of users is small compared to the expensive production cost. . Furthermore, in the case of commercial publishers aiming to generate profits, they are passive in publishing Braille books.

오디오북의 경우 점자를 모르는 아이나 일반인의 경우에도 쉽게 들을 수 있지만, 청각만으로는 흥미와 집중력을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In the case of audiobooks, even children or ordinary people who do not know Braille can easily hear them,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interest and concentration only by hear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1158호, 제10-084944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37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010247호 등에는 점자를 인쇄하는 방법 및 점자책의 제작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s. 10-0631158, 10-0849449,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13760,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010247, etc. Various technologies are open to the public.

종래, 점자를 인쇄하는 방법 및 점자책 등에 대한 기술은 단순히 점자 인쇄물을 제공하는데 그칠 뿐이어서, 시각장애인이나 어린아이들에게 흥미와 집중력을 유지하기 위한 요소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techniques for printing braille and braille books are merely providing braille prints, and thus elements for maintaining interest and concentr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or young children have not been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토리 중에서 인상적인 장면을 선택하여 3차원형상의 그림을 표면에 형성하고 해당되는 이야기의 음성파일이 내장된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를 탑재한 이야기보드를 본체에 조립하여 작동시키므로 시각장애인에게 손으로 장면에 대한 입체 삽화를 만지면서 소리로 내용을 들으므로 독서의 재미를 배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ird's-eye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 story with an RFID tag in which a three-dimensional figure is formed on the surface by selecting an impressive scene from the story and an audio file of the corresponding story is mounted.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an increase the fun of reading by listening to the contents through sound while touching the three-dimensional illustration of the scene with the hand by assembling the board into the main body and operating it.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는 스피커와 제어부가 탑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착되고 상면에는 스토리 중에서 특정 장면을 표현한 3차원형상의 그림이 형성되며 상기 특정 장면에 관한 이야기의 음성파일이 내장된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를 탑재한 복수의 이야기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orama audiobook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on which a speaker and a control unit are mounted, and a three-dimensional picture representing a specific scene in a stor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ory boards equipped with RFID tags with built-in voice files of stories.

상기 본체에는 음성재생, 정지, 일시정지, 반복, 전원 등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버튼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lection buttons for selecting at least one function from voice playback, stop, pause, repeat, power, and the like.

상기 선택버튼에는 점자로 기능을 표시한다.The function is displayed in braille on the selection button.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에는 음성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부, 데이터를 전송하는 안테나가 설치된다.The RFID tag is provided with a memory unit storing a voice file and an antenna for transmitting data.

상기 본체의 제어부에는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리더(Reader), 음성파일재생부 등이 설치된다.An antenna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RFID tag, a reader, and a voice file reproducing unit are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of the main body.

상기 이야기보드에는 스토리에 등장하는 주요 캐릭터를 표현하는 캐릭터모형을 착탈식으로 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tory board to attach detachably to a character model representing the main characters appearing in the story.

상기에서 캐릭터모형을 자석을 이용하여 이야기보드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haracter model to be attached to the storyboard using a magnet.

상기 이야기보드에는 해당되는 캐릭터모형이 부착될 지점에 점자로 캐릭터의 이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name of the character in Braille on the story board at the point wher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model is to be attached.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는 캐릭터모형이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FID tag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character model is accurately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ransmit it.

상기 제어부에서는 캐릭터모형의 부착 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안내 음성을 스피커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corresponding guide voice through a speaker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ate of the character model.

상기 이야기보드에는 캐릭터모형의 부착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이야기보드에 모든 캐릭터모형이 제 위치에 부착이 완료된 때, 비로소 음성파일을 재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 sensor for detecting the attachment of the character model is further installed on the story board, an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o play the voice file only when all character models on the story board are attached in pl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야기보드의 3차원형상의 그림을 손으로 만지면서 음성으로 송출되는 이야기를 듣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야기에 보다 집중하는 것이 가능하고, 새로운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listen to the story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while touching the three-dimensional picture of the story board, so it is possible to focus more on the story. And it is possible to arouse new interests.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캐릭터모형을 3차원형상의 그림에서 해당되는 위치에 부착하거나 분리하는 등의 행동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캐릭터모형이 부착되거나 분리될 때 또는 잘못된 지점에 부착하거나 정확하게 부착하였을 때에 음성 안내가 나오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어린아이에게 색다른 재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 user to take an action such as attaching or detaching a character model to a corresponding position in a three-dimensional figure, and the character model is When it is attached or detached, or when it is attached to the wrong point or when it is correctly attache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voice guidance to come out,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fferent fun to the chil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에 의하면, 이야기보드만 교체하면 새로운 스토리를 재생하여 듣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이야기를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lay and listen to a new story by replacing the story board,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various stor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이 아닌 어린아이의 경우에도 장난감처럼 재미있게 가지고 놀면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으므로, 수요자가 시각장애인으로만 한정되지 않아 대량으로 제작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작원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a child who is no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play with and hear stories as fun as a toy, so that the consumer is not limited to the visually impaired, so it i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t is possible to supply and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에 의하면, 제작원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스토리의 도서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각장애를 가진 어린아이들에게도 정상 시력의 아이들에 근접하는 이야기 그림책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roduction cost, it is possible to produce and provide books of a variety of stories, and even to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normal vis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ory picture book that is close to the children 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에 있어서, 알에프아이디태그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RFID tag and a control unit in the diorama audiobook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processe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elements or numbers, processe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디든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 will be omitted.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ele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orama audiobook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parts not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etitive descriptions are omitted. .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와 복수의 이야기보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 diorama audiobook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comprises a main body 10 and a plurality of story boards 20.

상기 본체(10)에는 스피커(19)와 제어부(30)가 탑재된다.A speaker 19 and a control unit 30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는 베이스판(12)과 덮개판(14)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ain body 10 may be composed of a base plate 12 and a cover plate 14.

상기 베이스판(12)에는 제어부(30)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mount the control unit 30 on the base plate 12.

상기 스피커(19)는 덮개판(14)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peaker 19 may be installed on the cover plate 14.

상기 본체(10)에는 음성재생, 정지, 일시정지, 반복, 전원 등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버튼(18)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lection buttons 18 for selecting any one function from voice playback, stop, pause, repeat, power, and the like.

상기 선택버튼(18)에는 점자로 해당되는 기능을 표시한다.On the selection button 18,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braille is displayed.

상기 선택버튼(18)에는 점자 이외에도 해당 기능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양 등을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Braille, the selection button 18 may also display symbols or patterns indicat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상기 선택버튼(18)에는 발광하는 엘이디(LED)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light-emitting LED (LED) on the selection button 18.

상기 선택버튼(18)은 상기 덮개판(14)에 설치한다.The selection button 18 is installed on the cover plate 14.

상기 덮개판(14)의 상면에는 상기 이야기보드(20)가 조립되는 보드장착부(15)를 상기 이야기보드(20)의 형상과 높이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board mounting portion 15 on which the story board 20 is assembled in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height of the story board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4.

상기에서 보드장착부(15)를 중심으로 덮개판(14)의 한쪽에는 스피커(19)를 설치하고, 반대쪽에는 선택버튼(18)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speaker 19 on one side of the cover plate 14 and a selection button 18 on the other side with the board mounting portion 15 as the center.

상기 베이스판(12)과 덮개판(14)은 필요에 따라 상하로 분리되고, 조립 결합되도록 구성한다.The base plate 12 and the cover plate 14 are separated up and down as necessary, and configured to be assembled and coupled.

상기 이야기보드(20)는 전체적인 스토리를 감안하여 대표적으로 인상적인 장면을 중심으로 3~10개 정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ory board 20 may be composed of about 3 to 10 representatively impressive scenes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tory.

예를 들면, 유아들의 경우에는 스토리가 너무 길면 지루하게 생각하여 흥미를 잃게 되므로, 3개 정도의 장면을 선정하여 스토리를 압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oddlers, if the story is too long, they think it is boring and lose interes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elect about three scenes and compress the story.

상기 이야기보드(20)는 상기 본체(10)의 덮개판(14)에 형성된 보드장착부(15)에 장착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하다.The story board 20 can be simp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by being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15 formed on the cover plate 14 of the main body 10.

상기에서 보드장착부(15)의 한쪽 또는 양쪽 모서리 일부에는 장착된 이야기보드(20)의 분해시 손가락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groove in one or both corners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15 so as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a finger when disassembling the mounted talk board 20.

상기 이야기보드(20)의 상면에는 스토리 중에서 특정 장면(예를 들면, 인상적인 장면)을 선택하여 표현한 3차원형상의 그림이 형성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y board 20, a three-dimensional figure expressed by selecting a specific scene (for example, an impressive scene) from among the stories is formed.

상기 3차원형상의 그림은 배경 및 캐릭터 등을 포함하여 표현된다.The pi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is expressed including a background and a character.

상기 이야기보드(20)에는 스토리에 등장하는 주요 캐릭터를 표현하는 캐릭터모형을 착탈식으로 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tory board 20 to attach and detach a character model representing the main characters appearing in the story.

예를 들면, 상기 이야기보드(20)의 상면에 형성되는 3차원형상의 그림의 배경에서 스토리에 맞는 위치에 주요 캐릭터를 일체로 3차원형상으로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캐릭터모형으로 제작하여 상기 3차원형상의 그림 배경에 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background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y board 20, it is possible to integrally express the main character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t a position suitable for the story, and by producing a separate character model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o be attached to the picture background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상기에서 캐릭터모형을 자석을 이용하여 이야기보드(20)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haracter model to be attached to the story board 20 using a magnet.

상기 이야기보드(20)에는 해당되는 캐릭터모형이 부착될 지점에 점자로 캐릭터의 이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name of the character in Braille on the story board 20 at the point wher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model is to be attached.

상기와 같이 점자를 캐릭터의 이름을 표시하면, 유아의 점자 교육에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By displaying the name of the character in Braill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se braille education for infants.

그리고, 상기 이야기보드(20)에 표현되는 3차원형상의 그림에서 동식물이나 해, 달, 별, 구름, 바위, 산 등의 자연에 대해서도 점자로 해당 위치에 표시하면 대상의 모양을 촉감으로 확인하면서 그 이름을 점자로 배우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아의 점자 교육에 매우 유용하다.In addition, in the pi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expressed on the story board 20, if the nature such as animals and plants, the sun, the moon, stars, clouds, rocks, and mountains is displayed in Braille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e shape of the object is confirmed with tactile sensation. Since it is possible to learn the name in Braille, it is very useful in braill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상기 이야기보드(20)에는 상면에 형성되는 특정 장면의 3차원형상 그림에 관한 이야기의 음성파일이 내장된 알에프아이디태그(28)가 탑재된다.The story board 20 is equipped with an RFID tag 28 in which a voice file of a story about a three-dimensional figure of a specific scen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embedded.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28)에는 음성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부, 데이터를 전송하는 안테나가 설치된다.The RFID tag 28 is provided with a memory unit storing a voice file and an antenna for transmitting data.

상기 본체(10)의 제어부(30)에는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28)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리더(Reader), 음성파일재생부 등이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30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RFID tag 28, a reader, and a voice file reproducing unit.

상기에서 본체(10)의 제어부(30)와 이야기보드(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알에프아이디(RFID) 이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30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tory board 20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n addition to RFID.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28)는 캐릭터모형이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FID tag 28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model is accurately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ransmit it.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캐릭터모형의 부착 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안내 음성을 스피커(19)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3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corresponding guide voice through the speaker 19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ate of the character model.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using the diorama audiobook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듣기를 원하는 이야기보드(20)를 선택하여 상기 본체(10)의 보드장착부(15)에 조립하면, 알에프아이디태드(28)와 제어부(30)는 신호를 송수신하여 이야기보드(20)의 장착여부를 확인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한다.First,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y board 20 that the user wants to hear and assembles it into the board mounting part 15 of the main body 10, the RF ID 28 and the control unit 3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the story board 20. Check whether) is installed or not and maintain the standby state.

상기에서 이야기보드(2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면, "000(제목) 제1편이 준비되었습니다" 등의 음성안내가 스피커(19)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제어부(3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when the story board 20 is normally mounte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control unit 30 so that voice guidance such as “000 (title) first part is ready” is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19.

만약, 이야기보드(20)의 본체(10)에의 장착이 상하가 뒤바뀌거나 하는 경우에는 "보드가 잘못 조립되었습니다" 등의 음성안내가 스피커(19)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제어부(3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f the mounting of the story board 20 to the main body 10 is upside down, the control unit 30 is configured so that voice guidance such as "the board is incorrectly assembled" is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19. It is also possible.

상기와 같이 이야기보드(20)가 정상적으로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버튼(18)을 누름에 따라 해당되는 기능으로 제어부(30)가 작동하여 스토리를 음성으로 송출하거나 정지 또는 반복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resses the selection button 18 while the story board 20 is normal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he control unit 30 operates with a corresponding function to transmit the story by voice, stop or repeat. do.

상기 이야기보드(20)에 캐릭터모형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캐릭터모형을 부착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어부(30)에서 해당되는 음성안내를 스피커(19)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case of implementing in a manner of attaching a character model to the story board 20, the control unit 3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voice guidance through the speaker 19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user attaches the character model. It is also possible.

예를 들면, "000(캐릭터 이름)는 잘못 붙였어요" 또는 "000(캐릭터 이름", "맞아요 여기에요" 등의 음성안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voice guidance such as "000 (character name) was incorrectly pasted" or "000 (character name)" or "that's right here".

그리고, 상기 이야기보드(20)에 형성되는 3차원형상의 그림에 있어서, 자연물 및 동식물의 특정 부분에 센서나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해당 부분을 만지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0)에서 해당되는 자연물 및 동식물의 이름을 스피커(19)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in the three-dimensional figure formed on the story board 20, by installing a sensor or switch in a specific part of natural objects and animals and plants, when the user touches the corresponding natural object in the control unit 30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o transmit the names of animals and plants through the speaker 19.

나아가, 상기 이야기보드(20)의 3차원형상의 그림에 있어서, 배경 그림의 특정부분에 캐릭터모형을 부착하면, "000(캐릭터모형)가 000(배경의 자연물 및 동식물 이름)에 올라갔어요" 또는 "000(캐릭터모형)가 000(배경의 자연물 및 동식물 이름)를 타고 가네요", "000(캐릭터모형)가 000(배경의 자연물 및 동식물 이름)를 안아주었어요" 등의 음성안내를 송출하도록 상기 제어부(3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n the three-dimensional figure of the story board 20, if a character model is attached to a specific part of the background drawing, "000 (character model) has been raised to 000 (the names of natural objects and animals and plants in the background)" or The control unit transmits voice guidance such as "000 (character model) is riding 000 (the names of natural objects and animals and plants in the background)", "000 (character model) is holding 000 (the names of natural objects and animals and plants in the backgrou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30).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야기보드(20)에 캐릭터모형을 부착하고 이동하는 등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방향의 스토리 전개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in the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y board 20 is configured to allow bidirectional stor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uch as attaching and moving a character model. It is also possible.

예를 들면, 특정 캐릭터모형이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음성으로 송출되는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so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that is transmitted by voi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specific character model is attached.

만약, 캐릭터모형이 거울 앞에 부착될 경우에는 거울을 보면서 이루어지는 상황에 대한 스토리가 전개되고, 해당 캐릭터모형이 다른 캐릭터모형이나 자연물 또는 동식물쪽으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해당 캐릭터모형이나 동식물 등과 이루어지는 상황에 대한 스토리가 전개되는 방식으로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28)와 제어부(3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f the character model is attached in front of the mirror, a story about the situation that takes place while looking at the mirror is unfolded, and if the character model approaches another character model, natural objects, or animals and plants, the story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the character model or animals and plants, etc.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RFID tag 28 and the control unit 30 in a manner that is deployed.

그리고, 캐릭터모형의 부착여부에 따라 스토리의 음성 송출이 이루어지거나 정지하도록 구성하면, 유아들은 크게 흥미를 갖게 된다.In addition, if the story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or stopp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model is attached, children are greatly interested.

예를 들면, 상기 이야기보드에는 캐릭터모형의 부착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이야기보드에 모든 캐릭터모형이 제 위치에 부착이 완료된 때에 비로소 음성파일이 재생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 sensor for detecting the attachment of a character model may be installed on the story board, and a sound file may be played back only when all character models are attached to the story board in place.

상기에서 캐릭터 모형의 부착을 감지하는 센서로는 캐릭터모형의 무게에 의해 돌출된 버튼이 눌리고, 버튼의 하단에 전기적인 스위치가 설치되어 캐릭터모형의 눌림을 감지하도록 구현되거나 감압 센서, 포토레지스터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를 적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As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attachment of the character model above, a button that protrudes by the weight of the character model is pressed, and an electrical switch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utton to detect the character model being pressed, or a pressure-sensitive sensor or a photoresist senso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ame various sensor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를 구성하면, 사용자는 캐릭터의 형상을 인지하고 본인이 직접 상황을 이끌어가듯이 음성으로 송출되는 스토리를 들으면서 독서를 행하므로,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매우 높고, 집중도가 크게 향상된다.When the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recognizes the shape of the character and reads while listening to the story transmitted by voice as if he or she directly leads the situation, The effect of inducing interest is very high,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is greatly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and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 12 - 베이스판, 14 - 덮개판, 15 - 보드장착부, 18 - 선택버튼
19 - 스피커, 20 - 이야기보드, 28 - 알에프아이디태그, 30 - 제어부
38 - 안테나
10-main body, 12-base plate, 14-cover plate, 15-board mounting part, 18-selection button
19-speaker, 20-story board, 28-RFID tag, 30-control unit
38-antenna

Claims (7)

스피커와 제어부가 탑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착되고 상면에는 스토리 중에서 특정 장면을 표현한 3차원형상의 그림이 형성되며 상기 특정 장면에 관한 이야기의 음성파일이 내장된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를 탑재한 복수의 이야기보드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
A main body on which a speaker and a control unit are mounted,
A plurality of story boards equipped with RFID tags that ar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nd have a three-dimensional figure expressing a specific scene in the story on the upper surface, and an audio file of the story about the specific scene is embedded.
A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음성재생, 정지, 일시정지, 반복,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버튼을 설치하고,
상기 선택버튼에는 점자로 기능을 표시하는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lection buttons for selecting at least one function of voice playback, stop, pause, repeat, and power,
A diorama audio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display functions in Braille on the selection butt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에는 음성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부, 데이터를 전송하는 안테나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제어부는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리더(Reader), 및 음성파일재생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RFID tag, a memory unit storing a voice file and an antenna for transmitting data are installed,
The control unit of the main body is a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ing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RFID tag, a reader, and a voice file reproducing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야기보드는 상기 특정 장면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3차원 캐릭터모형을 착탈식으로 부착하도록 구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tory board is a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onfigured to detachably attach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model of a character appearing in the specific scene.
청구항 4에 잇어서,
상기 캐릭터모형은 자석을 이용하여 이야기보드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
Following claim 4,
The character model is a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 story board using a magne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야기보드에는 해당되는 캐릭터모형이 부착될 지점에 점자로 캐릭터의 이름을 표시하는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displays the character's name in Braille at the point wher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model will be attached to the story boar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야기보드에는 캐릭터모형의 부착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이야기보드에 모든 캐릭터모형이 제 위치에 부착이 완료된 때에 비로소 음성파일을 재생하도록 구성하는 시각장애인용 디오라마 오디오북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sensor for detecting the attachment of the character model is further installed on the story board,
A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onfigured to play a voice file only when all character models are attached to the story board in place.
KR1020190107754A 2019-08-30 2019-08-30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KR1022861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754A KR102286166B1 (en) 2019-08-30 2019-08-30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754A KR102286166B1 (en) 2019-08-30 2019-08-30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671A true KR20210026671A (en) 2021-03-10
KR102286166B1 KR102286166B1 (en) 2021-08-04

Family

ID=7514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754A KR102286166B1 (en) 2019-08-30 2019-08-30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16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0174B1 (en) * 1999-06-03 2001-02-20 Kader Industrial Company Limited Electronic story board
US20080176201A1 (en) * 2006-09-20 2008-07-24 Technologies Humanware Canada Inc. User interface for an audio book player
KR20160056545A (en) * 2014-11-12 2016-05-20 김정희 Playing device of orally narrated children's story
KR20160107170A (en) * 2014-01-09 2016-09-13 박신 게엠베하 To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0174B1 (en) * 1999-06-03 2001-02-20 Kader Industrial Company Limited Electronic story board
US20080176201A1 (en) * 2006-09-20 2008-07-24 Technologies Humanware Canada Inc. User interface for an audio book player
KR20160107170A (en) * 2014-01-09 2016-09-13 박신 게엠베하 Toy
KR20160056545A (en) * 2014-11-12 2016-05-20 김정희 Playing device of orally narrated children's s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166B1 (en)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6401B1 (en) A responsive book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0585539C (en) Interaction type electric learning white plat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080145823A1 (en) Toy for use with vertical surfaces
CN202516293U (en) Intelligent learning doll and circuit system thereof
MX2013012952A (en) Child-directed learning system integrating cellular communication, education, entertainment, alert and monitoring systems.
EP3228370A1 (en) Puzzle system interworking with external device
CN201229675Y (en) Recognizing card for infant
CN201886642U (en) Electronic graph recognition board
KR20180057951A (en) System of using the voice pen for learning
US9111463B2 (en) Interactive speech synthesizer for enabling people who cannot talk but who are familiar with use of anonym moveable picture communication to autonomously communicate using verbal language
KR100602591B1 (en) A toy using blocks
KR20210026671A (en)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CN201867990U (en) Learning card for musical notation teaching and enlightenment
US8960936B1 (en) Backlit storybook for the visually impaired
CN213303345U (en) Talking book for children
KR100683426B1 (en) A system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CN111514590A (en) Toy
CN206097529U (en) Intelligence children early teach story machine
CN210786226U (en) Toy
KR200252244Y1 (en) Voice word card for infant
KR200184044Y1 (en) Educational aid for children
KR20120095633A (en) Optical indentification voice output system communicated with adhesive magic sheet
KR200283625Y1 (en) child traffic safety practice board
JP5385983B2 (en) A plurality of body parts, each having a processor and a plurality of body parts, wherei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isualizations can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using a plurality of outer surfaces of different body parts; Base station with visualiz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O2020155165A1 (en) A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