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627A - Kalimba scor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 Google Patents

Kalimba scor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627A
KR20210026627A KR1020190107668A KR20190107668A KR20210026627A KR 20210026627 A KR20210026627 A KR 20210026627A KR 1020190107668 A KR1020190107668 A KR 1020190107668A KR 20190107668 A KR20190107668 A KR 20190107668A KR 20210026627 A KR20210026627 A KR 20210026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limba
display unit
scale
mark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아
Original Assignee
김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아 filed Critical 김규아
Priority to KR102019010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627A/en
Publication of KR2021002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6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Abstract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kalimba sheet music,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alimba sheet music comprises: a staff line score with notes displayed on the staff; and a position indication score including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of the staff line score. The mark includes: a position display uni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alimba key by dividing it into a central part, a left part, and a right part; a scale display unit indicating the scale indicated by the note; and an octave display unit indicating the octave indicated by the note.

Description

칼림바 악보, 그 제작방법, 및 그 제작장치{KALIMBA SCOR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Kalimba sheet music, its production method, and its production equipment {KALIMBA SCOR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본 개시는 칼림바 악보, 그 제작방법, 및 그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오선 악보에 익숙한 사람이 더욱 쉽게 칼림바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칼림바 악보, 그 제작방법, 및 그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Kalimba score, a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a production apparatus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a Kalimba score capable of enabling a person familiar with the staff score to play Kalimba more easily, a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duction thereof It relates to the device.

칼림바는 아프리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체명악기로서, 서양에서는 손가락 하프, 조롱박 피아노, 엄지 피아노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짐바브웨와 케냐에서는 '칼림바', 르완다에서는 '이켐베(Ikembe)', 콩고에서는 '리켐베(Likembe)'로 불리며, 그 밖에 '산자(Sanza)', '산사(Sansa)' 등으로도 불린다.Kalimba is a body musical instrument widely distributed in Africa, and in the West, it is also referred to as finger harp, gourd piano, thumb piano, etc. It is called'Kalimba' in Zimbabwe and Kenya,'Ikembe' in Rwanda,'Likembe' in Congo, and is also called'Sanza' and'Sansa'. .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칼림바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kalimb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칼림바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칼림바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side of the kalimba,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kalimba.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림바는 바디(10), 바디(10)의 전면 위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너트(11), 너트(11)와 나란한 방향으로 너트(11)와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새들(12), 새들(12) 위에 위치하는 너트 실린더(13), 너트(11)과 새들(12) 사이에 위치하고, 바디(10)에 고정되어 있는 진동바(14), 진동바(14)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키(15), 바디(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 사운드홀(17), 바디(1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후면 사운드홀(18)을 포함한다.1 and 2, the kalimbar includes a body 10, a nut 11 position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nut 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nut 11. The saddle 12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the nut cylinder 13 positioned above the saddle 12, the vibration bar 14 positioned between the nut 11 and the saddle 12 and fixed to the body 10, vibr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15 fixed to the bar 14, a front sound hole 17 formed on the front of the body 10, and a rear sound hole 18 formed on the rear of the body 10 do.

바디(10)는 소리의 울림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바디(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디(10)의 내부는 비어있다. 바디(10)는 마호가니, 코아, 메이플, 월넛, 로즈우드 등의 특색 있는 음향목을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음향목의 종류에 따라 칼림바의 음색과 디자인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The body 10 serves to create a resonant sound. The body 1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the interior of the body 10 is empty. The body 10 may be made of a characteristic acoustic wood such as mahogany, core, maple, walnut, and rosewood. At this time, a difference in tone and design of the kalimba may occur depending on the type of sound tree.

너트(11) 및 새들(12)은 키(15)의 울림을 음손실 없이 바디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너트(11) 및 새들(12)은 바디(10)의 전면의 상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너트(11) 및 새들(1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nut 11 and the saddle 12 serve to transmit the sound of the key 15 to the body without loss of sound. The nut 11 and the saddle 12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The nut 11 and the saddle 12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너트 실린더(13)는 새들(12) 위에 새들(1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한다. 즉, 너트 실린더(1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키(15)는 너트 실린더(13) 위에 위치하게 되며, 너트 실린더(13)와는 이격되어 있다. 키(15)를 누르면, 너트 실린더(13)와 접촉하게 되면서 소리가 난다.The nut cylinder 13 is positioned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addle 12 on the saddle 12. That is, the nut cylinder 13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key 15 is positioned above the nut cylinder 13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nut cylinder 13. When the key (15) is pressed, it makes a sound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nut cylinder (13).

진동바(14)는 바디(10)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진동바(14)는 너트(11)와 새들(12) 사이에 위치하며, 너트(11) 및 새들(1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vibration bar 14 may be fixed to the body 10 using screws or the like. The vibration bar 14 is positioned between the nut 11 and the saddle 12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nut 11 and the saddle 12.

키(15)는 건반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음정을 내는 약 17개의 금속막대로 구성되어 있다. 17개의 키(15)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키(15)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키(15)의 길이가 짧을수록 칼림바가 내는 소리의 음정이 높아지고, 키(15)의 길이가 길수록 칼림바가 내는 소리의 음정은 낮아진다.The key 15 serves as a keyboard, and is generally composed of about 17 metal rods that produce different pitches. The lengths of the 17 keys 15 may be different, and the number of keys 15 may be changed. The shorter the key 15 is, the higher the pitch of the sound produced by the kalimba is, and the longer the key 15, the lower the pitch of the kalimba will be.

전면 사운드홀(17)과 후면 사운드홀(18)은 바디(10) 안에서의 울림을 바깥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전면 사운드홀(17)은 바디(10)의 전면의 하측부에 위치하는 구멍이다. 후면 사운드홀(18)은 바디(10)의 후면의 하측부에 위치하는 구멍이다. 바디(10)의 후면에는 두 개의 후면 사운드홀(18)이 위치할 수 있다. 전면 사운드홀(17)은 후면 사운드홀(18)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 사운드홀(18)을 열거나 닫음으로써,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front sound hole 17 and the rear sound hole 18 serve to output the sound inside the body 10 to the outside. The front sound hole 17 is a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The rear sound hole 18 is a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 Two rear sound holes 18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 The front sound hole 17 may have a larger size than the rear sound hole 18. By opening or closing the rear sound hole 18, the volume can be adjusted.

이하에서 칼림바의 연주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laying method of the kalimba is as follows.

양손의 엄지를 주로 사용하여 키(15)를 위 또는 아래로 튕겨 칼림바를 연주할 수 있다. 두 엄지를 동시에 연주하거나 번갈아 가며 연주할 수 있어 화음 연주뿐만 아니라 리듬과 선율 연주를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건반을 철사로 감거나 울림통에 달팽이의 껍질 또는 병뚜껑을 붙여서 윙윙거리는 소리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Using the thumb of both hands, you can play the kalimba by flicking the key 15 up or down. You can play both thumbs at the same time or alternately, so you can play not only chords, but also rhythm and melody at the same time. You can also wire the keyboard or attach a snail shell or bottle cap to the soundbox to create a buzzing soun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칼림바를 연주하기 위한 악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sheet music for playing Kalimb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칼림바 악보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칼림바 악보는 칼림바의 17개의 키의 형상을 도시하고, 그 위에 점선으로 마디를 나누어, 각 마디에서 연주해야 할 음에 대응하는 키에 동그라미 형태의 점을 표시하여 나타낸다. 그러나, 칼림바의 키가 약 17개에 이르고, 이들 키 사이의 간격이 좁으므로, 점이 표시된 부분이 어느 키를 나타내는 것인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Kalimba sc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s the shape of the 17 keys of the Kalimba, and the bars are divided by dotted lines on them, and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notes to be played in each bar are circled. It is indicated by marking the point of. However, since the Kalimba has about 17 keys and the spacing between these keys is narrow,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cognize at a glance which key is indicated by a dot.

도 3의 위쪽 악보는 멜로디 연주용 악보이고, 아래쪽 악보는 화음 연주용 악보이다. 도 3의 아래쪽 악보와 같이 화음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악보가 더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upper sheet music of FIG. 3 is a sheet music for playing a melody, and the bottom sheet music is a sheet music for playing a chord. In order to play a chord like the lower score of FIG. 3,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ore becomes more complicated.

실시예들은 칼림바를 연주할 때 키의 위치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칼림바 악보, 그 제작방법, 및 그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오선 악보에 익숙한 음악 전공자 등이 칼림바를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칼림바 악보, 그 제작방법, 및 그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relate to a kalimba sheet music capable of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 key at a glance when playing a kalimba,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Kalimba sheet music, a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a production apparatus for the Kalimba sheet music, which enables a music major, etc., who are familiar with the music score to play Kalimba easily.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는 오선지 위에 음표가 표시되어 있는 오선 악보, 및 상기 오선 악보의 상기 음표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는 위치 표시 악보를 포함하고, 상기 마크는 상기 칼림바 키의 위치를 중앙부,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계 표시부, 및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옥타브를 나타내는 옥타브 표시부를 포함한다.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taff score sheet in which notes are displayed on the staff score sheet, and a position indicating score including a mark indicating a position of a key of a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sheet, and the mark Includes a position display uni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alimba key by dividing it into a center, a left and a right, a scale display indicating a scale indicated by the note, and an octave display indicating an octave indicated by the note.

상기 위치 표시부는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칼림바 키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제1 모양, 상기 칼림바 키의 좌측부에 대응하는 제2 모양, 및 상기 칼림바 키의 우측부에 대응하는 제3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양은 마름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모양 및 상기 제3 모양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모양의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모양의 꼭지각은 상기 제2 모양의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모양의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모양의 꼭지각은 상기 제3 모양의 밑변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cation display unit may b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color. The location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shape corresponding to a central portion of the kalimba key, a second shape corresponding to a left portion of the kalimba key, and a third shape corresponding to a right portion of the kalimba key. And, the first shape is made of a rhombus, the second shape and the third shape are made of a triangle, the base of the second shape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apex angle of the second shape is the second 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ottom side of the shape, the bottom side of the third shape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apex angle of the third shape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side of the third shape.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칼림바 키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제1 색, 상기 칼림바 키의 좌측부에 대응하는 제2 색, 및 상기 칼림바 키의 우측부에 대응하는 제3 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olor corresponding to a central portion of the kalimba key, a second color corresponding to a left portion of the kalimba key, and a third color corresponding to a right portion of the kalimba key. can do.

상기 음계 표시부는 숫자음계, 영문음계, 및 한글음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The scale display unit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a numeric scale, an English scale, and a Korean scale.

상기 옥타브 표시부는 표식의 유무 및 상기 표식의 개수로 구분될 수 있다.The octave display unit may be classifi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rk and the number of the mark.

상기 마크는 상기 음표의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mark may be located on the lower or upper side of the note.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 제작 방법은 음표를 포함하는 오선 악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오선 악보의 상기 음표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크를 상기 오선 악보의 음표에 인접하도록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크는 상기 칼림바 키의 위치를 중앙부,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계 표시부, 및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옥타브를 나타내는 옥타브 표시부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inputting a staff score including a note, generating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key of a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and the mark And recording so as to be adjacent to the note of the stave score, wherein the mark indicates a posi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alimba key by dividing the position into a center part, a left part, and a right part, a scale display part indicating the scale indicated by the note, and the note And an octave display unit indicating the indicated octave.

상기 위치 표시부는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음계 표시부는 숫자음계, 영문음계, 및 한글음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옥타브 표시부는 표식의 유무 및 상기 표식의 개수로 구분될 수 있다.The location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color, the scal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a numeric scale, an English scale, and a Korean scale, and the octave display unit can be divid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rk and the number of the marks. have.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 제작 장치는 음표를 포함하는 오선 악보를 입력 받는 오선 악보 수신부, 상기 오선 악보의 상기 음표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생성하는 마크 생성부, 및 상기 마크를 상기 오선 악보의 음표에 인접하도록 기록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크는 상기 칼림바 키의 위치를 중앙부,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계 표시부, 및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옥타브를 나타내는 옥타브 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kalimba score includes a staff member receiving a staff score that receives a staff score including a note, a mark generation part that generates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key of a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and And an output unit for recording the mark so as to be adjacent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wherein the mark is a position display unit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kalimba key by dividing the position into a center, a left unit and a right unit, a scale display unit indicating a scale indicated by the note, And an octave display unit indicating an octave indicated by the note.

실시예들에 따르면 칼림바 악보가 칼림바 키의 위치, 음계, 및 옥타브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는 위치 표시 악보를 오선 악보와 함께 나타냄으로써, 오선 악보에 익숙한 사람이 칼림바를 쉽게 연주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Kalimba score includes a position indicating score including a position of the Kalimba key, a scale, and a mark indicating an octave together with the score, so that a person familiar with the score may easily play the Kalimba.

도 1은 칼림바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칼림바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칼림바 악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위치 표시 악보의 각 마크를 칼림바의 키에 대응시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위치 표시 악보의 어느 한 마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위치 표시 악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제작 장치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a kalimba.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kalimba.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view showing each mark of a score indicating a position of a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correspondence with a key of the Kalimba.
6 is a view showing a mark of a score indicating a position of a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score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score in Kalimba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flow chart show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as follows.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위치 표시 악보의 각 마크를 칼림바의 키에 대응시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위치 표시 악보의 어느 한 마크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view showing each mark of a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rresponding to a key of Kalimba,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y one mark of the score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core of Kalimb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는 서로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오선 악보(FS) 및 위치 표시 악보(LS)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taff score FS and a position indicating sheet LS that are arranged side by side adjacent to each other.

오선 악보(FS)는 오선지(200) 위에 음표(210)가 표시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오선지(200) 위에는 음표(210) 뿐만 아니라 쉼표, 박자, 되돌이표 등 다양한 기호들이 표시될 수 있다.The staff score FS is made in a form in which the notes 210 are displayed on the staff 200. On the staff 200, not only the note 210, but also various symbols such as rests, beats, and retracements may be displayed.

위치 표시 악보(LS)는 오선 악보(FS)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위치 표시 악보(LS)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표시 악보(LS)는 오선 악보(FS)의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position indication sheet music LS may be located below the staff score F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score LS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position indication score LS may be located above the staff score FS.

위치 표시 악보(LS)는 오선 악보(FS)의 음표(210)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100)를 포함한다. 마크(100)는 각 음표(210)에 대응하여 위치하므로, 하나의 악보 내에서 마크(100)의 개수는 음표(210)의 개수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마크(100)는 음표(210)에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마크(100)는 음표(2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마크(10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크(100)는 음표(210)의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position indication score LS includes a mark 100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210 of the staff score FS. Since the mark 100 is located corresponding to each note 210, the number of marks 100 in one sheet music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number of notes 210. The mark 10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note 210. The mark 100 may be located under the note 210.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osition of the mark 100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mark 100 may be located above the note 210.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마크(100)는 칼림바의 하나의 키(150)에 대응할 수 있다.5 and 6, one mark 100 may correspond to one key 150 of a kalimba.

마크(100)는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를 중앙부(151), 좌측부(152), 및 우측부(153)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102), 음표(210)가 나타내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계 표시부(104), 및 음표(210)가 나타내는 옥타브를 나타내는 옥타브 표시부(106)를 포함한다.The mark 100 is a position display unit 102 that divides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into a central part 151, a left part 152, and a right part 153, and indicates the scale indicated by the note 210. And a scale display unit 104 and an octave display unit 106 indicating an octave indicated by the note 210.

칼림바의 키(150)는 칼림바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중앙부(151), 중앙부(151)의 좌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좌측부(152), 및 중앙부(151)의 우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우측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칼림바의 키(150)는 그 위치에 따라 중앙부(151), 좌측부(152), 및 우측부(153))로 구분될 수 있다. 마크(100)의 위치 표시부(102)는 음표(210)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이나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위치 표시부(102)는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가 중앙부(151)에 해당하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제1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가 좌측부(152)에 해당하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제2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가 우측부(153)에 해당하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제3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모양, 제2 모양, 및 제3 모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가 중앙부(151)에 해당하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제1 색으로 채워질 수 있고,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가 좌측부(152)에 해당하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제2 색으로 채워질 수 있고,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가 우측부(153)에 해당하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제3 색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제1 색, 제2 색, 및 제3 색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key 150 of the kalimba is a central portion 151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kalimba, a left portion 152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side of the central portion 151, and a right side of the central portion 151. It may include a right portion 153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key 150 of the Kalimba may be divided into a central portion 151, a left portion 152, and a right portion 153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reof. The position indicator 102 of the mark 100 may display different shapes or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210. That is,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b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color. When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s to the central part 151, the position indicator 102 may be formed in a first shape,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s to the left part 152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second shape,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s to the right side 153,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third shape. In this case, the first shape, the second shape, and the third shap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s to the central part 151, the position indicator 102 may be filled with a first color, and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s to the left part 152 In this case,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be filled with a second color,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s to the right side 153,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be filled with a third color. In this case, the first color, the second color, and the third col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면,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가 중앙부(151)에 해당하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마름모로 이루어지고, 검정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가 좌측부(152)에 해당하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파랑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가 우측부(153)에 해당하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빨강색을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s to the central part 151, the position display part 102 may be made of a rhombus and may be black.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s to the left part 152, the position display part 102 has a bas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is made of a triangl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and the blue color is displayed. Can be indicated.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s to the right side 153,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has a bas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is made of a triangl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and is colored red. Can represent.

본 실시예에서 위치 표시부(102)가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에 따라 모양 및 색상이 모두 상이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표시부(102)는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에 따라 모양이 상이하고, 색상은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표시부(102)는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에 따라 색상이 상이하고, 모양은 동일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has different shapes and color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different shape and the same color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In addition,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different color and the same shap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본 실시예에서 위치 표시부(102)의 모양은 마름모, 삼각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표시부(102)의 모양은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위치 표시부(102)의 모양은 삼각형, 사각형, 화살표, 오각형, 원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has been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a rhombus and a tri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hape of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The shape of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le, a square, an arrow, a pentagon, and a circle.

본 실시예에서 위치 표시부(102)의 색상은 검정색, 파랑색, 및 빨강색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표시부(102)의 색상은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표시부(102)의 색상은 노란색, 연두색, 분홍색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or of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has been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black, blue, and 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Colors of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be divided into yellow, yellow green, and pink colors.

마크(100)의 음계 표시부(104)는 음표(210)에 대응하는 음계를 나타낸다. 음계 표시부(104)는 위치 표시부(10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음계 표시부(104)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음계 표시부(104)는 위치 표시부(102)의 우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scale display unit 104 of the mark 100 represents a scale corresponding to the note 210.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be located inside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osition of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be variously changed.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be located on the right or lower sid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음계는 도, 레, 미, 파, 솔, 라, 및 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칼림바의 키(150)의 중앙부(151)는 도 음계의 소리를 낼 수 있다. 중앙부(151)의 바로 좌측에 위치하는 키(150)는 레 음계의 소리를 낼 수 있다. 중앙부(151)의 바로 우측에 위치하는 키(150)는 미 음계의 소리를 낼 수 있다. 이처럼 좌우 번갈아 가며 하나의 음계씩 높아질 수 있다.The scale can be composed of Do, Le, Mi, Pa, Sol, La, and Poetry. The central part 151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may produce a sound of a degree scale. The key 150 positioned directly to the left of the central part 151 may produce a sound of a level scale. The key 150 positioned directly to the right of the central part 151 may produce a sound of an American scale. In this way, one scale can be increased by alternating left and right.

마크(100)의 음계 표시부(104)는 칼림바의 키(150)의 음계에 대응하여 소정의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음계에 대응하여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1을 나타낼 수 있고, 레 음계에 대응하여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2를 나타낼 수 있으며, 미 음계에 대응하여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3을 나타낼 수 있고, 파 음계에 대응하여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4를 나타낼 수 있다. 솔 음계에 대응하여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5를 나타낼 수 있고, 라 음계에 대응하여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6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시 음계에 대응하여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7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음계 표시부(104)는 1,2,3,4,5,6, 및 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내지 시 음계에 대응하는 음계 표시부(104)를 1 내지 7의 숫자로 나타내는 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음계 표시부(104)를 구성하는 숫자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The scale display unit 104 of the mark 100 may be represented by a predetermined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For example,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represent the number 1 corresponding to the degree scale,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represent the number 2 corresponding to the level scale, and the scale display unit 104 corresponds to the US scale. May represent the number 3, and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represent the number 4 corresponding to the wave scale. Corresponding to the sol scale, the scale display unit 104 can represent the number 5, the scale display unit 104 can represent the number 6 corresponding to the Ra scale, and the scale display unit 104 represents the number 7 corresponding to the poetry scale. Can be indicated. That is,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1,2,3,4,5,6, and 7. However, it is only one example that the scale display unit 104 corresponding to the scale display unit 104 corresponding to the scale display unit 104 is represented by a number of 1 to 7, and the numbers constituting the scale display unit 104 can be variously changed.

본 실시예에서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음계로 표시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음계 표시부(104)는 영문 음계, 한글 음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음계 표시부(104)는 C, D, E, F, G, A, 및 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미국식 음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계 부시부(104)는 도, 레, 미, 파, 솔, 라, 및 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탈리아식 음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음계 표시부(104)는 다, 라, 마, 바, 사, 가, 및 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한국식 음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ale display unit 104 has been described as being displayed as a numeric sca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be represented by an English scale, a Korean scale, or the like. That is,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be formed of an American scale including at least one of C, D, E, F, G, A, and B. In addition, the scale bush part 104 may be made of an Italian scale including at least one of Do, Re, Mi, Pa, Sol, La, and Poetry. In addition, the scale display unit 104 may be made of a Korean-style scale including at least one of Da, Ra, Ma, Bar, Sa, Ga, and Na.

마크(100)의 옥타브 표시부(106)는 음표(210)가 나타내는 옥타브에 대응하여 소정의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옥타브 표시부(106)는 위치 표시부(10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옥타브 표시부(106)는 위치 표시부(102)의 우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octave display unit 106 of the mark 100 may be represented by a predetermined symbol corresponding to the octave indicated by the note 210. The octave display unit 106 may be positioned above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octave display unit 106 may be located on the right or lower sid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옥타브 표시부(106)는 표식의 유무 및 표식의 개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식이 없는 경우가 1옥타브를 나타낼 수 있고, 표식이 1개 있는 경우가 1옥타브보다 높은 2옥타브를 나타낼 수 있으며, 표식이 2개 있는 경우가 2옥타브보다 높은 3옥타브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옥타브 표시부(106)는 표식의 개수만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식이 하나인 경우가 1옥타브를 나타낼 수 있고, 표식이 2개 있는 경우가 1옥타브보다 높은 2옥타브를 나타낼 수 있으며, 표식이 3개 있는 경우가 2옥타브보다 높은 3옥타브를 나타낼 수 있다.The octave display unit 106 may be classifi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rk and the number of marks. For example, a case without a mark can represent 1 octave, a case with 1 mark can represent 2 octaves higher than 1 octave, and a case with 2 marks can represent 3 octaves higher than 2 octaves. hav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octave display unit 106 may be divided only by the number of marks. For example, a case with one marker may represent 1 octave, a case with 2 markers may represent 2 octaves higher than 1 octave, and a case with 3 markers may represent 3 octaves higher than 2 octaves. I can.

옥타브 표시부(106)를 구성하는 표식은 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옥타브 표시부(106)는 점이 없는 경우, 점이 1개 있는 경우, 점이 2개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옥타브 표시부(106)를 구성하는 표식은 별,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arks constituting the octave display unit 106 may be made of dots. That is, the octave display unit 106 may be divided into a case where there is no point, a case where there is one point, and a case where there are two point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mark constituting the octave display unit 106 may be formed of a star, a polygon, or the like.

피아노의 경우 건반은 좌측부터 시작하여 우측으로 갈수록 한 음계씩 증가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도 음계부터 시 음계까지 건반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칼림바의 경우 도 음계부터 시 음계까지 키(150)가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지 않다. 칼림바의 키(150)는 중심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을 번갈아 가며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음계에 해당하는 키(150)가 좌측에 위치하는지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지 인식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1옥타브에서는 레 음계에 해당하는 키(150)가 좌측에 위치하고, 미 음계에 해당하는 키(150)가 우측에 위치하지만, 2옥타브에서는 반대로 레 음계에 해당하는 키(150)가 우측에 위치하고, 미 음계에 해당하는 키(150)가 좌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어느 음계에 해당하는 키(150)가 좌측에 위치하는지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지 인식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In the case of a piano, the keys are arranged in a form that starts from the left and increases by one scale toward the right. That is, the keyboards are arranged in order from the degree scale to the poetry scale. In the case of Kalimba, the keys 150 are not arranged in order from the left to the right from the degree scale to the poetry scale. The keys 150 of Kalimba are alternately arranged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which musical scale the key 150 is located on the left or on the right. In addition, in 1 octave, the key 150 corresponding to the lev scal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key 150 corresponding to the U scale scale is located on the right, but in 2 octaves, the key 150 corresponding to the lev scale is located on the right. And a key 150 corresponding to the US scale is located on the left. Therefore, it is more difficult to recognize which scale the key 150 is located on the left or on the right.

본 실시예에서는 음표(210)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를 마크(100)를 통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림바의 연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음표(210)에 대응하는 키(150)가 중앙부(151), 좌측부(152), 및 우측부(153)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 위치 표시부(102)를 통해 모양 및/또는 색상을 통해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음계 표시부(104)를 통해 음계를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옥타브 표시부(106)를 통해 옥타브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210 can be recognized at a glance through the mark 100, thereby facilitating the playing of the kalimba. That is, where the key 150 corresponding to the note 210 is located among the central part 151, the left part 152, and the right part 153 is easily recognized through the shape and/or color through the position display part 102 can do. In addition, the scale can be easily recognized through the scale display unit 104 and the octave can be easily recognized through the octave display unit 106.

상기에서 칼림바의 키가 17개인 경우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칼림바의 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칼림바 악보의 마크를 구분하는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above, when the height of the Kalimba is 17, the 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keys of the Kalimba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distinguishing marks of the Kalimba sheet music may also be variously changed.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예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n example of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림바 악보는 오선 악보(FS) 및 위치 표시 악보(LS)를 포함한다. 오선 악보(FS)는 오선지(200) 위에 음표(210)가 표시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처음 4마디의 오선 악보(FS)에 표시되어 있는 음표(210)의 음계를 살펴보면 1옥타브의 <도도솔솔 라라솔 파파미미 레레도>를 나타내고 있다. 위치 표시 악보(LS)는 오선 악보(FS)의 음표(210)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100)를 포함한다. 처음 4마디의 위치 표시 악보(LS)를 살펴보면, 음계 표시부(104)는 <1155 665 4433 221>을 나타내고 있다. 음계 표시부(104)가 1을 나타내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마름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위치 표시부(102)는 검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계 표시부(104)가 2, 4, 5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파랑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계 표시부(104)가 3, 5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위치 표시부(102)는 빨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옥타브 표시부(106)에는 표식이 없다.As shown in FIG. 7, the Kalimba sheet music includes a staff score FS and a position indication sheet LS. The staff score FS is made in a form in which the notes 210 are displayed on the staff 200. Looking at the scale of the note 210 displayed on the first 4 bars of the staff score (FS), it represents the 1 octave <Dodosolsol Larasol Papamimi Reedo>. The position indication score LS includes a mark 100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210 of the staff score FS. Looking at the first 4 bars of the position indication score LS, the scale display unit 104 denotes <1155 665 4433 221>. When the scale display unit 104 represents 1,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be formed of a rhombus. At this time,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be black. When the scale display unit 104 indicates 2, 4, and 5,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bottom sid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of a triangl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side. At this time, it may be made in blue. When the scale display unit 104 indicates 3 and 5,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bottom sid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of a triangl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side. In this case,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be colored red. At this time, there is no mark on the octave display unit 106.

다음 4마디의 오선 악보(FS)에 표시되어 있는 음표(210)의 음계를 살펴보면 1옥타브의 <솔솔파파 미미레 솔솔파파 미미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치 표시 악보(LS)를 살펴보면, 음계 표시부(104)는 <5544 332 5544 332>를 나타내고 있다. 음계 표시부(104)가 2, 4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파랑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계 표시부(104)가 3, 5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위치 표시부(102)는 빨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옥타브 표시부(106)에는 표식이 없다.Looking at the scale of the note 210 displayed on the next four bars of the staff score (FS), it represents the 1 octave <Solsol Papa Mimire SolsolPapa Mimire>. Looking at the position indicating score LS corresponding thereto, the scale display unit 104 denotes <5544 332 5544 332>. When the scale display unit 104 indicates 2 and 4,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bas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may be formed of a triangl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At this time, it may be made in blue. When the scale display unit 104 indicates 3 and 5,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bottom sid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of a triangl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side. In this case,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be colored red. At this time, there is no mark on the octave display unit 106.

마지막 4마디의 오선 악보(FS)에 표시되어 있는 음표(210)의 음계를 살펴보면 1옥타브의 <도도솔솔 라라솔 파파미미 레레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치 표시 악보(LS)를 살펴보면, 음계 표시부(104)는 <1155 665 4433 221>을 나타내고 있다. 음계 표시부(104)가 1을 나타내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마름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위치 표시부(102)는 검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계 표시부(104)가 2, 4, 5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파랑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계 표시부(104)가 3, 5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 표시부(102)는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위치 표시부(102)는 빨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옥타브 표시부(106)에는 표식이 없다.Looking at the scale of the note 210 displayed on the last 4 bars of the staff score (FS), it represents the 1 octave <Dodosolsol Larasol Papamimi Reedo>. Looking at the position indicating score LS corresponding to this, the scale display unit 104 denotes <1155 665 4433 221>. When the scale display unit 104 represents 1,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be formed of a rhombus. At this time,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be black. When the scale display unit 104 indicates 2, 4, and 5,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bottom sid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of a triangl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side. At this time, it may be made in blue. When the scale display unit 104 indicates 3 and 5,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have a bottom sid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of a triangl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side. In this case,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may be colored red. At this time, there is no mark on the octave display unit 106.

상기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가 멜로디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는 멜로디뿐만 아니라 화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가 화음을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plays a melody has been described. 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isplay not only a melody but also a chord.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plays chord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위치 표시 악보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core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score in Kalimb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표시 악보(LS)의 마크(100)는 두 개 이상의 위치 표시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마크(100)를 살펴보면, 위치 표시부(102)의 좌측은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파랑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표시부(102)의 우측은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빨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측의 위치 표시부(102)와 우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크기가 우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좌측의 위치 표시부(102) 내에 위치하는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2를 나타내고 있다. 우측의 위치 표시부(102) 내에 위치하는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5를 나타내고 있다. 좌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상측에 위치하는 옥타브 표시부(106)는 2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표식을 나타내고 있다. 우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상측에 위치하는 옥타브 표시부(106)에는 표식이 없다. 이러한 첫 번째 마크(100)는 3옥타브의 레 음계와 1옥타브의 솔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내는 것이다.As shown in FIG. 8, the mark 100 of the position display score LS may include two or more position display units 102. Looking at the first mark 100, the left sid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apex angle is formed of a triangl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bottom side, and may be formed in a blue color. The right sid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has a bottom sid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is formed of a triangl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side, and may be colored red. The size of the left position display unit 102 and the right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siz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on the left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on the right. The scale display unit 104 located in the left position display unit 102 denotes the number 2. The scale display unit 104 located in the right position display unit 102 represents the number 5. The octave display unit 106 positioned above the left position display unit 102 represents a mark composed of two dots. There is no mark on the octave display unit 106 positioned above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on the right. The first mark 100 represents a chord including a 3 octave les scale and a 1 octave sol scale.

두 번째 마크(100)를 살펴보면, 위치 표시부(102)의 좌측은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파랑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표시부(102)의 우측은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빨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측의 위치 표시부(102)와 우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크기가 우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좌측의 위치 표시부(102) 내에 위치하는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7을 나타내고 있다. 우측의 위치 표시부(102) 내에 위치하는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2를 나타내고 있다. 좌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상측에 위치하는 옥타브 표시부(106)는 1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표식을 나타내고 있다. 우측의 위치 표시부(102)의 상측에 위치하는 옥타브 표시부(106)는 1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표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두 번째 마크(100)는 2옥타브의 시 음계와 2옥타브의 레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내는 것이다.Looking at the second mark 100, the left sid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apex angle is formed of a triangl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and may be blue. The right sid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has a bottom sid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is formed of a triangl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side, and may be colored red. The size of the left position display unit 102 and the right position display unit 102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siz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on the left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on the right. The scale display unit 104 located in the left position display unit 102 denotes the number 7. The scale display unit 104 located in the right position display unit 102 represents the number 2. The octave display unit 106 positioned above the left position display unit 102 represents a mark made of one dot. The octave display unit 106 positioned above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on the right represents a mark made of one dot. This second mark 100 represents a chord including a poetry scale of 2 octaves and a les scale of 2 octaves.

마찬가지로, 세 번째 마크(100)는 2옥타브의 솔 음계와 1옥타브의 시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네 번째 마크(100)는 2옥타브의 미 음계와 1옥타브의 솔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섯 번째 마크(100)는 2옥타브의 도 음계, 파 음계, 및 라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여섯 번째 마크(100)는 1옥타브의 레 음계, 파 음계, 및 라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곱 번째 마크(100)는 1옥타브의 레 음계 및 파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여덟 번째 마크(100)는 1옥타브의 도 음계 및 미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아홉 번째 마크(100)는 1옥타브의 도 음계, 미 음계, 및 솔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열 번째 마크(100)는 1옥타브의 미 음계, 솔 음계, 및 시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열한 번째 마크(100)는 2옥타브의 레 음계, 솔 음계, 및 시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열두 번째 마크(100)는 1옥타브의 레 음계 및 2옥타브의 파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열세 번째 마크(100)는 1옥타브의 파 음계 및 2옥타브의 라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열네 번째 마크(100)는 1옥타브의 라 음계 및 3옥타브의 도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열다섯 번째 마크(100)는 1옥타브의 라 음계, 3옥타브의 도 음계, 및 3옥타브의 미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낼 수 있다.Similarly, the third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2 octave sol scale and a 1 octave poetry scale. The four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2 octave fine scale and a 1 octave sol scale. The fif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2-octave degree scale, a wave scale, and a ra scale. The six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one octave of a Les scale, a wave scale, and a Ra scale. The seven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1 octave les scale and a wave scale. The eigh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1 octave degree scale and a micro scale. The nin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1 octave degree scale, a micro scale, and a sol scale. The ten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1 octave micro scale, a sol scale, and a poetry scale. The eleven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2 octave les scale, a sol scale, and a poetry scale. The twelf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1 octave res scale and a 2 octave wave scale. The thirteen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1 octave wave scale and a 2 octave Ra scale. The fourteen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1 octave Ra scale and a 3 octave degree scale. The fifteenth mark 100 may represent a chord including a 1 octave Ra scale, a 3 octave degree scale, and a 3 octave micro scale.

화음의 경우 멜로디에 비해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를 찾는 것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음을 연주하는 경우에도 위치 표시 악보(LS)의 마크(100)를 통해 음표(210)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150)의 위치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어 칼림바의 연주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hords, it may be more difficult to find the position of the key 150 of Kalimba compared to the melody. In this embodiment, even when playing a chord, the position of the Kalimba key 150 corresponding to the note 210 can be recognized at a glance through the mark 100 of the position indicating score LS. Can be made easier.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가 화음을 표시하는 경우의 예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Kalimba sheet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plays chord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림바 악보는 오선 악보(FS) 및 위치 표시 악보(LS)를 포함한다. 오선 악보(FS)는 오선지(200) 위에 음표(210)가 표시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마디의 오선 악보(FS)에서 세 번째 및 네 번째 음표(210)는 화음을 나타내고 있다. 세 번째 및 네 번째 음표(210)는 1옥타브의 도 음계, 미 음계, 및 솔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치 표시 악보(LS)의 마크(100)는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위치 표시부(102)를 포함한다. 위치 표시부(102)는 빨강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위치 표시부(102) 내에 위치하는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1, 3, 및 5를 포함한다. 옥타브 표시부(106)에는 표식이 없다.As shown in FIG. 9, the Kalimba sheet music includes a staff score FS and a position indication sheet LS. The staff score FS is made in a form in which the notes 210 are displayed on the staff 200. In the staff score FS of the first bar, the third and fourth notes 210 represent chords. The third and fourth notes 210 represent chords including a 1 octave degree scale, a micro scale, and a sol scale. The mark 100 of the position indication score LS corresponding thereto includes a position display unit 102 made of a triangle whose base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is colored red. In addition, the scale display unit 104 located in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includes numbers 1, 3, and 5. There is no mark on the octave display unit 106.

다음으로, 두번째 마디의 오선 악보(FS)에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음표(210)는 1옥타브의 레 음계, 파 음계, 및 라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치 표시 악보(LS)의 마크(100)는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위치 표시부(102)를 포함한다. 위치 표시부(102)는 파랑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위치 표시부(102) 내에 위치하는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2, 4, 및 6을 포함한다. 옥타브 표시부(106)에는 표식이 없다.Next, in the staff score (FS) of the second bar, the first and second notes 210 represent chords including a 1 octave scale, a wave scale, and a ra scale. The mark 100 of the position indication score LS corresponding thereto includes a position display unit 102 made of a triangle whose base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is made of blue color. In addition, the scale display unit 104 located in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includes numbers 2, 4, and 6. There is no mark on the octave display unit 106.

다음으로, 세 번째 마디의 오선 악보(FS)에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음표(210)는 1옥타브의 레 음계 및 파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치 표시 악보(LS)의 마크(100)는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위치 표시부(102)를 포함한다. 위치 표시부(102)는 파랑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위치 표시부(102) 내에 위치하는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2 및 4를 포함한다. 옥타브 표시부(106)에는 표식이 없다.Next, in the staff score (FS) of the third bar, the first and second notes 210 represent chords including a 1 octave scale and a wave scale. The mark 100 of the position indication score LS corresponding thereto includes a position display unit 102 made of a triangle whose base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is made of blue color. In addition, the scale display unit 104 located in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includes numbers 2 and 4. There is no mark on the octave display unit 106.

다음으로, 세 번째 마디의 오선 악보(FS)에서 세 번째 및 네 번째 음표(210)는 1옥타브의 도 음계 및 미 음계를 포함하는 화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치 표시 악보(LS)의 마크(100)는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위치 표시부(102)를 포함한다. 위치 표시부(102)는 빨강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위치 표시부(102) 내에 위치하는 음계 표시부(104)는 숫자 1 및 3을 포함한다. 옥타브 표시부(106)에는 표식이 없다.Next, in the staff score FS of the third bar, the third and fourth notes 210 represent chords including a 1 octave degree scale and a sub scale. The mark 100 of the position indication score LS corresponding thereto includes a position display unit 102 made of a triangle whose base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ex angle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The location display unit 102 is colored red. In addition, the scale display unit 104 located in the position display unit 102 includes numbers 1 and 3. There is no mark on the octave display unit 106.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제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칼림바 악보의 제작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함께 참조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producing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10. Reference is also made to FIG. 4 to explain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oducing a Kalimba score.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0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음표를 포함하는 오선 악보를 입력한다 (S110). 예를 들면, <도레레도레/레도도레레미미/도레레도도레/레도도레미도도> 음계로 이루어진 오선 악보를 입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first, a staff score including notes is input (S110). For example, you can input a staff score consisting of a scale of <Dore Dore/Redo Dore Mimi/Dore Dore/Redo Dore Mi Do>.

이어, 오선 악보의 음표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생성한다(S120). 마크는 칼림바 키의 위치를 중앙부,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 음표가 나타내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계 표시부, 및 음표가 나타내는 옥타브를 나타내는 옥타브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Subsequently,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is generated (S120). The mark may include a position display uni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alimba key by dividing the position into a center part, a left part, and a right part, a scale display unit indicating a scale indicated by a note, and an octave display unit indicating an octave indicated by the note.

예를 들면, 1옥타브의 도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검정색으로 채워져 있으며, 숫자 1이 기재되어 있고, 점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1옥타브의 레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는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파랑색으로 채워져 있으며, 숫자 2가 기재되어 있고, 점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1옥타브의 미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는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빨강색으로 채워져 있으며, 숫자 3이 기재되어 있고, 점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1 octave is formed in a rhombus shape, the inside of it is filled in black, the number 1 is written, and the dot may not be displayed. . In addition, the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1 octave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ex angle is made of a triangl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and the inside is filled in blue. The number 2 is listed, and the dot may not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1 octave scale is made of a triangle whose bas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ex angle is made of a triangl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and the inside is filled with red. The number 3 is listed, and the dot may not be displayed.

이어, 생성된 마크를 오선 악보의 음표에 인접하도록 기록한다(S130). 이때, 마크는 음표의 하단 또는 상단에 기록할 수 있다.Then, the generated mark is record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S130). At this time, the mark may be recorded at the bottom or top of the note.

예를 들면, 1옥타브의 도 음계를 나타내는 음표 아래에 앞서 생성한 1옥타브의 도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1옥타브의 레 음계를 나타내는 음표 아래에 앞서 생성한 1옥타브의 레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1옥타브의 미 음계를 나타내는 음표 아래에 앞서 생성한 1옥타브의 미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기록할 수 있다.For example,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key of a kalimba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generated one-octave scale may be recorded under a note indicating a one-octave scale. In addition,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generated 1 octave les scale may be recorded under the note representing the 1 octave les scale. In addition,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generated 1-octave US scale may be recorded under the note representing the 1-octave US scale.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제작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칼림바 악보의 제작 장치가 제작하는 칼림바 악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함께 참조한다.Next, an apparatus for producing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Referring to FIG. 4 together to describe an example of the Kalimba score produced by the Kalimba score production apparatus.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칼림바 악보의 제작 장치를 나타낸 순서도이다.11 is a flow chart show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Kalimba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림바 악보의 제작 장치는 오선 악보 수신부(310), 마크 생성부(320), 및 출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apparatus for producing Kalimba score may include a staff score receiving unit 310, a mark generating unit 320, and an output unit 330.

오선 악보 수신부(310)는 음표를 포함하는 오선 악보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면, <도레레도레/레도도레레미미/도레레도도레/레도도레미도도> 음계로 이루어진 오선 악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staff score receiving unit 310 receives a staff score including musical notes. For example, a staff score composed of a scale of <Dore Dore/Redo Dore Mimi/Dore Dore/Redo Dore Mi Do> can be input.

마크 생성부(320)는 오선 악보 수신부(310)로부터 오선 악보에 기재되어 있는 음표의 음계에 대한 정보를 받아 음표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생성한다. 마크는 칼림바 키의 위치를 중앙부,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 음표가 나타내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계 표시부, 및 음표가 나타내는 옥타브를 나타내는 옥타브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rk generation unit 32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cale of the notes described in the staff score from the staff score receiving unit 310 and generates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key of a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score. The mark may include a position display uni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alimba key by dividing the position into a center part, a left part, and a right part, a scale display unit indicating a scale indicated by a note, and an octave display unit indicating an octave indicated by the note.

예를 들면, 1옥타브의 도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검정색으로 채워져 있으며, 숫자 1이 기재되어 있고, 점은 표시되지 않은 마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1옥타브의 레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밑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파랑색으로 채워져 있으며, 숫자 2가 기재되어 있고, 점은 표시되지 않은 마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1옥타브의 미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꼭지각은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빨강색으로 채워져 있으며, 숫자 3이 기재되어 있고, 점은 표시되지 않은 마크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formed in a rhombus shape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1 octave, the inside is filled in black, the number 1 is written, and the dot creates a mark that is not marked. can do. In addition, the base extends vertically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1 octave, and the vertex angle is made of a triangl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and the inside is filled in blue, and the number 2 is described, and dots can create unmarked marks. In addition, the bas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1 octave scale, and the vertex angle is made of a triangl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and the inside is filled in red, and the number 3 is described, and dots can create unmarked marks.

출력부(330)는 마크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마크를 오선 악보의 음표에 인접하도록 기록한다. 이때, 마크는 음표의 하단 또는 상단에 기록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330 records the mark generated by the mark generation unit 32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notes of the staff score. At this time, the mark may be recorded at the bottom or top of the note.

예를 들면, 1옥타브의 도 음계를 나타내는 음표 아래에 앞서 생성한 1옥타브의 도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1옥타브의 레 음계를 나타내는 음표 아래에 앞서 생성한 1옥타브의 레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1옥타브의 미 음계를 나타내는 음표 아래에 앞서 생성한 1옥타브의 미 음계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기록할 수 있다.For example,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key of a kalimba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generated one-octave scale may be recorded under a note indicating a one-octave scale. In addition,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generated 1 octave les scale may be recorded under the note representing the 1 octave les scale. In addition,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generated 1-octave US scale may be recorded under the note representing the 1-octave US sca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of

10: 바디
11: 너트
12: 너트 실린더
15, 150: 키
100: 마크
102: 위치 표시부
104: 음계 표시부
106: 옥타브 표시부
151: 키의 중앙부
152: 키의 좌측부
153: 키의 우측부
200: 오선지
210: 오선 악보 수신부
220: 마크 생성부
230: 출력부
FS: 오선 악보
LS: 위치 표시 악보
10: body
11: nut
12: nut cylinder
15, 150: key
100: mark
102: position display unit
104: scale display unit
106: octave display
151: central part of the key
152: left side of the key
153: right side of the key
200: Oh Seonji
210: staff score receiving unit
220: mark generation unit
230: output
FS: Staff score
LS: Position indicator sheet music

Claims (10)

오선지 위에 음표가 표시되어 있는 오선 악보, 및
상기 오선 악보의 상기 음표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는 위치 표시 악보를 포함하고,
상기 마크는
상기 칼림바 키의 위치를 중앙부,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계 표시부, 및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옥타브를 나타내는 옥타브 표시부를 포함하는 칼림바 악보.
Staff score with notes marked on the staff, and
And a position indicating score including a mark indicating a position of a key of a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The above mark is
A position display unit that divides the position of the kalimba key into a central part, a left part, and a right part,
A scale display unit indicating a scale indicated by the note, and
Kalimba sheet music including an octave display unit indicating an octave represented by the note.
제1항에서,
상기 위치 표시부는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되는 칼림바 악보.
In claim 1,
Kalimba sheet music, wherein the location indicator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color.
제2항에서,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칼림바 키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제1 모양,
상기 칼림바 키의 좌측부에 대응하는 제2 모양, 및
상기 칼림바 키의 우측부에 대응하는 제3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양은 마름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모양 및 상기 제3 모양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모양의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모양의 꼭지각은 상기 제2 모양의 밑변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모양의 밑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모양의 꼭지각은 상기 제3 모양의 밑변의 우측에 위치하는 칼림바 악보.
In paragraph 2,
The location display unit
A first shape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kalimba key,
A seco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kalimba key, and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the third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ght portion of the kalimba key,
The first shape is made of a rhombus,
The second shape and the third shape are made of a triangle,
The base of the second shape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apex angle of the second shap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of the second shape,
The base of the third shape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ex angle of the third shape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of the third shape.
제2항에서,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칼림바 키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제1 색,
상기 칼림바 키의 좌측부에 대응하는 제2 색, 및
상기 칼림바 키의 우측부에 대응하는 제3 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칼림바 악보.
In paragraph 2,
The location display unit
A first color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kalimba key,
A second color corresponding to the left portion of the kalimba key, and
Kalimba sheet music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hird colors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Kalimba key.
제1항에서,
상기 음계 표시부는 숫자음계, 영문음계, 및 한글음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되는 칼림바 악보.
In claim 1,
The scal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a numeric scale, an English scale, and a Korean scale.
제1항에서,
상기 옥타브 표시부는 표식의 유무 및 상기 표식의 개수로 구분되는 칼림바 악보.
In claim 1,
The octave display unit is a kalimba sheet music divid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rk and the number of the marks.
제1항에서,
상기 마크는 상기 음표의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하는 칼림바 악보.
In claim 1,
The mark is a kalimba sheet music located on the lower or upper side of the note.
음표를 포함하는 오선 악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오선 악보의 상기 음표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크를 상기 오선 악보의 음표에 인접하도록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크는
상기 칼림바 키의 위치를 중앙부,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계 표시부, 및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옥타브를 나타내는 옥타브 표시부를 포함하는 칼림바 악보 제작 방법.
Inputting a staff score including musical notes,
Generating a mark indicating a position of a key of a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and
And recording the mark so as to be adjacent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The above mark is
A position display unit that divides the position of the kalimba key into a central part, a left part, and a right part,
A scale display unit indicating a scale indicated by the note, and
Kalimba sheet music production method comprising an octave display unit indicating the octave indicated by the note.
제8항에서,
상기 위치 표시부는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음계 표시부는 숫자음계, 영문음계, 및 한글음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옥타브 표시부는 표식의 유무 및 상기 표식의 개수로 구분되는 칼림바 악보 제작 방법.
In clause 8,
The location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color,
The scal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a numeric scale, an English scale, and a Korean scale,
The octave display unit is a kalimba sheet music production method that is divid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rk and the number of the marks.
음표를 포함하는 오선 악보를 입력 받는 오선 악보 수신부,
상기 오선 악보의 상기 음표에 대응하는 칼림바의 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생성하는 마크 생성부, 및
상기 마크를 상기 오선 악보의 음표에 인접하도록 기록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크는
상기 칼림바 키의 위치를 중앙부,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계 표시부, 및
상기 음표가 나타내는 옥타브를 나타내는 옥타브 표시부를 포함하는 칼림바 악보 제작 장치.
Staff scor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taff score including notes,
A mark generator for generating a mark indicating a position of a key of a kalimba corresponding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and
And an output unit for recording the mark so as to be adjacent to the note of the staff score,
The above mark is
A position display unit that divides the position of the kalimba key into a central part, a left part, and a right part,
A scale display unit indicating a scale indicated by the note, and
Kalimba sheet music production apparatus comprising an octave display unit indicating an octave represented by the note.
KR1020190107668A 2019-08-30 2019-08-30 Kalimba scor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202100266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668A KR20210026627A (en) 2019-08-30 2019-08-30 Kalimba scor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668A KR20210026627A (en) 2019-08-30 2019-08-30 Kalimba scor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627A true KR20210026627A (en) 2021-03-10

Family

ID=7514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668A KR20210026627A (en) 2019-08-30 2019-08-30 Kalimba scor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62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219Y1 (en) 2023-02-10 2023-08-31 박은정 Kalimba of resonant ty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219Y1 (en) 2023-02-10 2023-08-31 박은정 Kalimba of resonant 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uld Behind bars: the definitive guide to music notation
US9183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omposing, 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JP2017509011A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omposing 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Bagchee Nad
WO2002101687A1 (en) Music teaching device and method
US20090173212A1 (en) Kit and method for learning to play an instrument
WO2015113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composing,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US20170236443A1 (en) Music notation system
US9947301B2 (en) Piano musical notation
WO2000011635A1 (en) Music notation implement and music
US7220907B2 (en) Data recording and retrieval, sheet music, music keyboard tablature and method of teaching music
KR20210026627A (en) Kalimba scor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20190237049A1 (en) Musical notation system
US6288316B1 (en) Musical notation system
CN210804855U (en) Fast music piano for beginner
CN106981233B (en) Intelligent piano large screen display teaching system
JP3994200B2 (en) Chromatic scale matrix keyboard
KR102395137B1 (en) Kalimba musical note and auto generation system thereof
TWI511123B (en) Musical instrument keyboard
KR200492166Y1 (en) Chord marking guide
Biamonte Musical representation in the video games Guitar Hero and Rock Band
US7005569B2 (en) Method for imparting music score reading and keyboard performance skills
CN207381085U (en) A kind of key device for marking for showing roll call automatically according to music score of Chinese operas mode
KR101295646B1 (en) A novel scor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same
JP2005128461A (en) Musical score graphed on basis of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