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119A - Mobile gamepad - Google Patents

Mobile game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119A
KR20210026119A KR1020190106443A KR20190106443A KR20210026119A KR 20210026119 A KR20210026119 A KR 20210026119A KR 1020190106443 A KR1020190106443 A KR 1020190106443A KR 20190106443 A KR20190106443 A KR 20190106443A KR 20210026119 A KR20210026119 A KR 20210026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pace
handle
pocket
mobile phon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7989B1 (en
Inventor
이선웅
Original Assignee
이선웅
케이씨지엘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웅, 케이씨지엘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선웅
Priority to KR102019010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989B1/en
Publication of KR2021002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1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48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by hand
    • A63F2250/485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by hand using a handle
    • A63F2250/486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by hand using a handle with an ergonomic gri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game pad comprises: a main body unit having a storage groove corresponding to a mobile phone to be mounted in the mobile phone while surrounding a back surface and a circumference of the mobile phone, wherein the storage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nd a handle uni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a main body. The handle unit comprises: a pocket having an inner space; a filling material filling the inner space and movable inside the inner space; and a partition wall positioned inside the pocket and dividing the inner space into at least two spaces. The pocket of which the inner space is filled with the filling material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to a lower side to have a handle area which can be gripped by a hand of a user.

Description

IoT연동 수납형 케이스 겸용 모바일 게임패드 {MOBILE GAMEPAD}Mobile game pad for combined storage case with IOT linkage {MOBILE GAMEPAD}

본 발명은 모바일 게임패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폰 등 IoT와 연동되는 기기를 수납하여 사용하는 모바일 게임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game pad.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obile game pad that stores and uses devices that are linked to IoT such as mobile phones.

지금까지의 게임패드는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등의 게임시스템으로 게임을 즐기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Until now, gamepads have been used to enjoy games with game systems such as PlayStation and Nintendo.

그러나 오늘날은 휴대폰 게임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휴대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즐기는 것이 더 일반화되고 있다. However, today, various mobile phone games are released, and enjoying games using mobile phones is becoming more common.

이때 대부분 손으로 휴대폰을 잡고 있어야 하는데 휴대폰을 잡고 있는 손에 의해 화면의 일부분이 가려져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At this time, most of the hands should be holding the mobile phone, but a part of the screen is covered by the hand holding the mobile phone, causing inconvenience.

또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e phone slips off the hand and break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고리를 구비한 케이스가 개발되기도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ase having a ring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hold a mobile phone by inserting a finger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손가락을 고리에 끼워 휴대폰을 잡고 있어야 하는 것 역시 장시간 휴대폰을 쥐고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불편함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eed to hold the mobile phone by inserting a finger into the ring does not completely eliminate the user's discomfort in a situation where the mobile phone must be held for a long time.

따라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즐길 때 편안하게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게임패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development of a mobile game pad that can be comfortably used when enjoying games using a mobile phone is required.

한국 특허 제1423474호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Korean Patent No. 1423474 "Mobile phone case with foldable ring"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게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game pa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등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게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game pad that can be used by accommodating a mobile phone or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랜 시간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모바일 게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game pad that can be comfortably hel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2개의 손잡이부를 양손으로 쥐어 안정적으로 휴대폰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한 모바일 게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game pad having a handle capable of stably holding a mobile phone by holding two handle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both han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용자의 손 모양과 크기에도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게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game pad that can provide a comfortable grip even to various user's hand shapes and siz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격벽에 의해 과도한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모바일 게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game pad having a handle that is prevented from excessive deformation or damage by a partition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에 따라 고체화되는 충진재를 통해 상황에 따라 다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게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game pad capable of providing a different grip feeling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rough a filler that is solidified according to pressure.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All of 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는, 휴대폰의 배면과 테두리를 감싸면서 휴대폰에 장착되도록 상부면에 휴대폰에 대응하는 수납홈을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mobile pho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so as to b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while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and the rim of the mobile phone; And a handl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 공간을 갖는 주머니; 상기 내부 공간을 채우며, 상기 내부 공간 내에서 유동 가능한 충진재; 및 상기 주머니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공간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나누는 격벽을 포함한다.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pocket having an inner space; A filler filling the inner space and capable of flowing within the inner space; And a partition wall positioned inside the pocket and dividing the inner space into two or more spaces.

또한 상기 충진재로 상기 내부 공간이 채워진 주머니는 상기 본체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 영역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ocket filled with the inner space with the filler material protrudes downward from the main body and has a handle area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또한 상기 손잡이 영역은 본체 하부면과 4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area may form an angle of 45 degrees or les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또한 상기 주머니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쥘 수 있도록 상기 하부면의 일측과 타측에서 아래로 돌출되는 2개의 손잡이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손잡이 영역 내부에 상기 격벽이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cket may have two grip areas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with both hands, and the partition wall may be located inside each grip area.

상기 격벽은 상기 손잡이 영역에 해당하는 공간을 적어도 5개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상기 5개 공간 중 4개의 공간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사용자의 4개 손가락 각각에 대응하는 공간일 수 있고 나머지 1개의 공간은 손바닥에 대응하는 공간일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may divide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area into at least five spaces. In this case, four of the five spaces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user's four fingers excluding the thumb, and the remaining one may correspond to a palm.

또한 상기 격벽은 엄지손가락 아래 손바닥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를 더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may further have a plate corresponding to the palm under the thumb.

상기 충진재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 고체화되고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유동성을 회복하는 물질이며, 녹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is a material that solidifies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recovers fluidity when pressure is removed, and may include starch.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는 오랜 시간 편안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휴대폰을 잡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holding a mobile phone comfortably and stably for a long time.

또한 다양한 사용자의 손 모양과 크기에도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grip for various user's hand shapes and sizes.

또한 딱딱하지 않은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에 의한 과도한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not only can it provide a non-hard grip feeling, but excessive deformation or damage caused by pressure can be prevented.

또한 딱딱하지 않은 그립감을 제공하면서도 쥐는 힘에 따라 그리고 힘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고체화되어 다양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providing a non-rigid grip, it is solidified according to the gripping force and the position where the force is applied, thereby providing a variety of grip feel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의 사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의 측면도이다.
제4도는 격벽의 예시적인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5도는 격벽의 다른 예시적인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position of a partition wall.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emplary position of the partition wall.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ortion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ortions may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st appropriately expressed.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one embodiment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100)는 본체(10) 및 손잡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game pa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handle 20.

본체(10)는 휴대폰의 배면과 테두리를 감싸면서 휴대폰에 장착되도록 상부면에 휴대폰에 대응하는 수납홈(1)을 갖는다.The main body 10 has a storage groove 1 corresponding to the mobile phone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while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and the rim of the mobile phone.

손잡이부(20)는 본체(1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된 휴대폰을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한다.The handle part 2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forms a handle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and the mobile phone coupled to the main body.

이러한 손잡이부(20)는 충진재(22)가 채워진 주머니(21)로 이루어진다.This handle part 20 is made of a pocket 21 filled with a filler 22.

주머니(21)는 자체적으로 폐쇄된 내부 공간을 갖거나 본체(10)의 하부면과 함께 폐쇄된 내부 공간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ocket 21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ner space closed by itself or to have a closed inner space together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주머니는 고정된 형태를 갖는 것이 아니라 내부 공간의 압력과 외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모양이 변형되는 천, 비닐 등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cket may not have a fixed shape, but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cloth or vinyl that changes shape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inner space and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주머니는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돌출된 손잡이 영역(H)을 가지며, 충진재로 내부 공간이 채워졌을 때 손잡이 영역이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가 될 수 있다.The pocket has a handle area (H) in which some areas protrude from other areas, and when the inner space is filled with a filler, the handle area may become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주머니에는 내부 공간 내로 충진재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충진재를 주머니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가능한 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pocket may be formed with an openable hole (not shown) for injecting the filler into the inner space or removing the injected filler from the pocket.

충진재(22)는 액체, 기체, 졸, 겔 등의 유체 또는 작은 고체 알갱이 등 주머니(21)의 내부 공간 내에서 유동 가능한 물질이 될 수 있다. The filler 22 may be a fluid such as a liquid, gas, sol, or gel, or a material capable of flow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bag 21 such as small solid particles.

주머니(21)는 내부 공간에 충진재가 채워짐으로써 형태를 갖추게 될 수 있으며, 충진재(22)가 채워진 주머니(21)로 이루어진 손잡이부(20)의 손잡이 영역을 사용자가 손으로 쥠으로써 모바일 게임패드의 본체(10)에 삽입된 핸드폰 화면을 가리지 않고도 핸드폰을 들고 있을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 이때 핸드폰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모바일 게임패드를 사용자가 양손으로 쥘 수 있도록 주머니는 본체(10) 하부면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아래로 돌출되는 2개의 손잡이 영역(H)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cket 21 may have a shape by filling the inner space with a filler, and the user holds the grip area of the grip part 20 made of the pocket 21 filled with the filler 22 by hand. It is possible to hold the mobile phone without covering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inserted in the main body 10 (see Fig. 2).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cket has two handle areas (H)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mobile game pad with both hands for stable support of the mobile phone.

또한 손잡이 영역(H)의 돌출 방향은 손잡이 영역을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 모바일 게임패드에 끼워진 핸드폰 화면을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본체(20)의 하부면과 4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In additio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handle area H is preferably at an angle of 45 degrees or les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area by hand and view the mobile phone screen inserted in the mobile game pad comfortably ( See Fig. 3).

또한 손잡이부(20)는 유동성 있는 충진재가 채워진 유연한 소재로 되어 있어 손으로 쥐는 힘에 의해 손잡이 영역 내부의 충진재가 이동하면서 다양한 사용자의 손 모양과 크기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용자에게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part 2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illed with a fluid filler, so that the filler inside the handle area is moved by the force of the hand grip, providing a comfortable grip to all users despite the shape and size of the hands of various users. have.

다만 사용자가 손잡이 영역을 너무 세게 쥐었을 때 손잡이 영역 내부의 충진재가 다른 영역으로 과도하게 밀려나가 손잡이 영역이 손잡이 기능을 상실하거나 손잡이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주머니 내부 압력을 과도하게 높여 주머니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 내부 공간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나누는 격벽(2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area too tightly, the filling material inside the handle area is excessively pushed to other areas, causing the handle area to lose its function, or excessive pressure inside the pocket other than the handle area, causing damage to the pocket.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it is preferable to have a partition wall 23 that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pocket into two or more spaces as shown in FIG. 4.

비록 도 4에는 주머니 내부 공간을 2개로 나누는 격벽(23)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이 손잡이 영역과 다른 영역을 나누도록 손잡이 영역과 다른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Although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partition wall 23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pocket into two, as shown in FIG. 5, the partition wall may be located between the handle area and another area so as to divide the handle area and the other area.

또한 격벽은 주머니 내부 공간에서 충진재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재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격벽에 개구(P)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rtition wall is only for restricting the free movement of the filler in the inner space of the pocket, an opening P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도 6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100')가 도시되어 있다.6 shows a mobile game pad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100')는 휴대폰 게임 등을 주로 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game pad 1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6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rovide various grip feelings to users who mainly play mobile phone game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에는 충진재(22)로서 압력이 가해졌을 때 고체화되고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유동성을 회복하는 물질이 사용된다. 이러한 충진재는 예를 들어 녹말물, 녹말반죽과 같이 녹말을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으며, 녹말의 농도는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고체화되고 악력이 제거되었을 때 유동성을 회복할 수 있는 농도로 제조된다.To this end, in the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terial that solidifies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recovers fluidity when pressure is removed is used as the filler 22. Such a filler may be, for example, a material containing starch, such as starch or starch dough,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tarch is solidified by the user's grip force and is manufactured at a concentration capable of restoring fluidity when the grip force is remov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는 사용자가 쉽게 충진재를 고체화시킬 수 있도록 손과 접촉하는 영역의 내부공간 부피를 작게 만들도록 격벽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손과 접촉하는 영역의 내부공간 부피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악력으로 충진재를 고체화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tion wall may be configure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han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olidify the filler. That is,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i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h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sufficient pressure to solidify the filler material with the user's grip.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는 격벽(23)에 의해 손잡이 영역에 해당하는 공간이 적어도 5개 공간으로 나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in the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corresponding to a handle area is divided into at least five spaces by a partition wall 23.

손잡이 영역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사용자의 4개의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감싸 쥐게 된다. 따라서 격벽(23)에 의해 나뉘는 5개 공간 중 4개의 공간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사용자의 네 손가락에 각각 대응하는 공간이며, 나머지 1개의 공간은 손바닥에 대응하는 공간이다.The handle area is wrapped around the user's four fingers and palms excluding the thumb. Accordingly, four of the five spaces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23 correspond to the user's four fingers excluding the thumb, and the other space corresponds to the palm of the hand.

이와 같이 손잡이 영역을 네 손가락에 각각 대응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으로 나누는 격벽에 의해 사용자는 게임시 손에 힘을 주는 다양한 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By dividing the handle area into a spa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fingers and the remaining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feel a variety of grip feelings according to various styles that give power to the hand during a g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의 격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 아래 손바닥에 대응하는 플레이트(2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레이트에 의해 엄지손가락 아래 손바닥에 대응하는 영역 내 충진재의 고체화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of the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te 24 corresponding to the palm under the thumb as shown in FIG. 7, and correspond to the palm under the thumb by such a plate. The solidification of the filler in the region can be made more easily.

또한 비록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의 주머니 내에 압력에 따라 고체화되는 충진재가 주입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서로 다른 종류(유동성, 질감, 밀도 등이 서로 다른)의 충진재를 주입하여 공간마다 서로 다른 그립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that a filler that solidifies according to pressure is injected into a pocket of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types (fluidity, texture, density, etc. Different) fillers may be injected to provide a different grip for each space.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한정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o far, a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1: 수납홈
10: 본체
20: 손잡이부
21: 주머니
22: 충진재
23: 격벽
24: 플레이트
100, 100':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패드
H: 손잡이 영역
P: 개구
1: storage groove
10: main body
20: handle
21: pocket
22: filler
23: bulkhead
24: plate
100, 100': mobile gam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 handle area
P: opening

Claims (6)

휴대폰의 배면과 테두리를 감싸면서 휴대폰에 장착되도록 상부면에 휴대폰에 대응하는 수납홈을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 공간을 갖는 주머니;
상기 내부 공간을 채우며, 상기 내부 공간 내에서 유동 가능한 충진재; 및
상기 주머니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공간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나누는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로 상기 내부 공간이 채워진 주머니는 상기 본체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패드.
A body portion having a storag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mobile phone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while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and the rim of the mobile phone; And
A handl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t is made, including, the handle portion
A pocket with an interior space;
A filler filling the inner space and capable of flowing within the inner space; And
A partition wall located inside the pocket and dividing the inner space into two or more spaces;
And a pocket filled with the inner space with the filler material,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main body, and having a handle area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쥘 수 있도록 상기 하부면의 일측과 타측에서 아래로 돌출되는 2개의 손잡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영역의 돌출 방향은 상기 하부면과 4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패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cket has two handle regions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with both hands, and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handle region forms an angle of 45 degrees or less with the lower surface. Mobile gamepa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 내에 각각의 손잡이 영역과 나머지 영역을 나누는 상기 격벽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패드.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game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wall dividing each handle area and the rest area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손잡이 영역에 해당하는 공간을 적어도 5개 공간으로 나누며, 상기 5개 공간 중 4개의 공간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사용자의 4개 손가락 각각에 대응하는 공간이며, 나머지 1개의 공간은 손바닥에 대응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패드.
The method of claim 2,
The partition wall divides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area into at least five spaces, four of the five spaces are spa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s four fingers excluding the thumb, and the remaining one space is on the palm of the hand. Mobile game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sp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엄지손가락 아래 손바닥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패드.
The method of claim 4,
The partition wall further comprises a plate corresponding to the palm under the thumb.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 고체화되고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유동성을 회복하는 물질이며, 녹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패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filler is a material that solidifies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recovers fluidity when the pressure is removed, and contains starch.
KR1020190106443A 2019-08-29 2019-08-29 Mobile gamepad KR102427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43A KR102427989B1 (en) 2019-08-29 2019-08-29 Mobile game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43A KR102427989B1 (en) 2019-08-29 2019-08-29 Mobile game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119A true KR20210026119A (en) 2021-03-10
KR102427989B1 KR102427989B1 (en) 2022-08-01

Family

ID=7514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443A KR102427989B1 (en) 2019-08-29 2019-08-29 Mobile game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98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071A (en) * 2001-06-07 2002-12-18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Game pad connectable to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6923443B1 (en) * 1998-04-14 2005-08-02 Hughes, Iv Richard James-Patrick Controller grip for a video game machine
KR101423474B1 (en) 2012-11-06 2014-07-29 임경화 mobile phone case having folding type ring
KR20170096340A (en) * 2016-02-16 2017-08-24 성제혁 Air cell installed anti-shock cell phone case
WO2017212663A1 (en) * 2016-06-10 2017-12-14 任天堂株式会社 Game control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3443B1 (en) * 1998-04-14 2005-08-02 Hughes, Iv Richard James-Patrick Controller grip for a video game machine
KR20020094071A (en) * 2001-06-07 2002-12-18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Game pad connectable to personal portable terminal
KR101423474B1 (en) 2012-11-06 2014-07-29 임경화 mobile phone case having folding type ring
KR20170096340A (en) * 2016-02-16 2017-08-24 성제혁 Air cell installed anti-shock cell phone case
WO2017212663A1 (en) * 2016-06-10 2017-12-14 任天堂株式会社 Game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989B1 (en) 202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739A (en) Ergonomic handle for game controller
US6016138A (en) Gel mouse
US20050075172A1 (en) Cover for a video game controller
JP2017228031A (en) Game machine controller
JP2012055340A (en) Controller for game machine
EP3638384A2 (en) Input apparatus for a games console
WO2005107906A1 (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game controller
US6690359B1 (en) Computer mouse device
JP2004352224A (en) Covering sheath for bicycle component
KR20210026119A (en) Mobile gamepad
US20240033615A1 (en) Iot-linked case-cum-mobile game pad
JP3210715U (en) Cosmetic container
JP2023055800A (en) toy
CN215195374U (en) But angle regulation's connection accessory and be equipped with game paddle of this connection accessory
US20220280878A1 (en) Grip for Video Game Controller
CN206587393U (en) A kind of game pad sheath
CN209900690U (en) Mobile phone gamepad
TWM241753U (en) Mouse structure
KR200193317Y1 (en) Mouse combining with game machine
CN209060522U (en) A kind of flexibly detachable Nintendo's Switch game pad is shaken hands
CN208726719U (en) Protective shell
JPH087906Y2 (en) Portable electronic game console
JPH07261905A (en) Personal computer
JP3108539U (en) mouse
CN205549523U (en) Components of a whole that can function independently concatenation formula game pad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