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045A -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045A
KR20210026045A KR1020190106268A KR20190106268A KR20210026045A KR 20210026045 A KR20210026045 A KR 20210026045A KR 1020190106268 A KR1020190106268 A KR 1020190106268A KR 20190106268 A KR20190106268 A KR 20190106268A KR 20210026045 A KR20210026045 A KR 20210026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ss
facility
receiving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균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대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0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045A/ko
Priority to PCT/KR2019/016091 priority patent/WO2021040142A1/ko
Publication of KR2021002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3/38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20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energy storag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V-ESS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ESS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용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설비의 작동을 위한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A Management System of PV-ESS Applicable to Recycling Equipment}
본 발명은 PV-ESS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ESS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용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설비의 작동을 위한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쓰레기, 산업폐기물 등의 지속적인 증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고 있으며, 폐기물 등의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도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쓰레기, 산업폐기물 등을 분리수거하고, 이중 일부를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재활용하는 시스템이 정착되고 있으나 이러한 재활용 장치에서도 많은 양의 전기가 소모되고 재활용 처리 과정에서 추가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오염을 줄이고 자원을 절감하기 위한 재활용설비의 운영으로 오히려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와 환경 오염이 발생하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0969693호(2010.07.05. 등록)"재생가능 폐자원을 재생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ESS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용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설비의 작동을 위한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PV-ESS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설비의 사양 및 전력사용 계획에 따라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PV-ESS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전력계통과 연계하여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PV-ESS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전력계통에 피크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PV-ESS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V-ESS 관리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ESS장치; 폐기물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재활용설비; 상기 ESS장치에 저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V-ESS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는 설비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전력공급부는 상기 재활용설비의 전력 용량 등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설비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재활용설비의 전력 사용 계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설비운영정보수신모듈과, 상기 ESS장치에 저장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ESS정보수신모듈과, 재활용설비의 사양, 전력 사용 계획, ESS장치에 저장된 전력에 따라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력공급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V-ESS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일반 전력계통과 연결되는 계통연결부와, 일반 전력계통의 전력사용을 고려하여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공급을 최적화하는 설비운영최적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운영최적화부는 일반 전력계통에 대한 전력의 사용 및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의 양을 예측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전력예측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재활용설비의 전력 사용 계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설비운영계획정보수신모듈과, ESS장치에 잔류하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ESS잔량정보수신모듈과, 일반 전력계통 또는 ESS장치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전력스위칭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V-ESS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과거 일정기간 동안의 데이터에 따라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한 생산전력 및 일반 전력계통의 사용 전력량을 예측하는 전력예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예측부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태양광데이터수신모듈과, 일사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일사량데이터수신모듈과, 태양광 데이터 및 일사량 데이터에 따라 과거 발전량 추세를 분석하여 미래 일정시점의 생산전력을 예측하는 생산전력예측모듈과, 과거 일정기간 일반 전력계통의 전력 사용에 따라 미래 일정시점에 사용될 전력량을 예측하는 부하전력예측모듈과, 예측되는 생산전력 및 사용전력에 따라 전력의 필요량을 예측하는 전력필요량예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V-ESS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일반 전력계통의 피크 전력을 관리하는 피크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크관리부는 현재 일반 전력계통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전력사용정보수신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생산되는 발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발전량정보수신모듈과, 상기 ESS장치에 잔류하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ESS잔량수신모듈과, 일반 전력계통에 공급되어야 할 전력이 피크전력을 넘지 않도록 ESS장치의 충방전을 조절하는 충방전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ESS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용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설비의 작동을 위한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설비의 사양 및 전력사용 계획에 따라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전력계통과 연계하여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전력계통에 피크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설비전력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3의 설비운영최적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3의 전력예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3의 피크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PV-ESS 관리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1); 태양광 발전장치(1)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ESS장치(2); 폐기물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재활용설비(3); 상기 ESS장치(2)에 저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재활용설비(3)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관리서버(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PV-ESS 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S장치(2)만으로 재활용설비(3)에 대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전 등에서 공급되는 일반 전력계통과 연결되어 ESS장치(2)와 일반 전력계통을 통해 재활용설비(3)에 대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1)는 태양광(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 최소 단위의 태양광모듈들이 모여 스트링과 어레이를 이루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태양광 패널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어레이들이 군집되어 태양광 발전장치(1)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태양광 발전장치(1)는 지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옥상, 수상 내지 건물 외벽 등에 설치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BIPV)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태양광 발전장치(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1)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은 상기 ESS장치(2)에 저장된다.
상기 ESS장치(2)는 태양광 발전장치(1)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며, 저장된 전력을 재활용설비(3)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일반 전력계통으로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ESS장치(2)는 다수의 배터리모듈을 포함하여 반복적인 충방전이 이루어지며, 전력의 충방전을 위해 접속반, 분전반 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다수의 배터리모듈은 배터리랙과 같은 설비에 수용되어 접속반, 분전반 등과 함께 밀폐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용설비(3)는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로, 재활용이 가능한 물질을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재활용설비(3)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열원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등의 고체 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다양한 재활용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4)는 상기 재활용설비(3)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재활용설비(3)에 대한 사양, 운영정보 등에 따라 재활용설비(3)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반 전력계통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전력 계통의 부하, ESS장치(2)에 저장되는 전력, 태양광 발전장치(1)에 의한 발전량 등을 고려하여 재활용설비(3)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고, 일반 전력계통에 대한 피크 전력의 관리도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전력공급부(41), 계통연결부(42), 설비운영최적화부(43), 전력예측부(44), 피크관리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전력공급부(41)는 재활용설비(3)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일반 전력계통의 전력을 고려하지 않는 독립형 방식에 있어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비전력공급부(41)는 재활용설비(3)의 설비정보, 설비운영계획에 따라 ESS장치(2)에 저장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재활용설비(3)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설비전력공급부(41)는 설비정보수신모듈(411), 설비운영정보수신모듈(412), ESS정보수신모듈(413), 전력공급조절모듈(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정보수신모듈(411)은 재활용설비(3)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재활용설비(3)의 전력 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정보수신모듈(411)은 작동 단계, 작동 단계에 따라 사용되는 전력의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설비운영정보수신모듈(412)에 의해 수신되는 재활용설비(3)의 운영계획에 따라 요구되는 전력량이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비운영정보수신모듈(412)은 재활용설비(3)의 작동 운영 계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작동시간, 작동단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ESS정보수신모듈(413)은 ESS장치(2)에 남아있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ESS장치(2)에 남아있는 전력의 양에 따라 재활용설비(3)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력공급조절모듈(414)은 재활용설비(3)의 설비정보, 운영계획, ESS장치(2)의 잔여 전력에 따라 재활용설비(3)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재활용설비(3)에서 사용될 전력을 예측하여 재활용설비(3)로 공급될 전력을 산출하여 공급하도록 하고, ESS장치(2)에 남아있는 전력의 양을 고려하여 재활용설비(3)의 운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계통연결부(42)는 본 시스템을 일반 전력계통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한전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일반 건물, 시설물 등의 전력계통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설비운영최적화부(43)는 상기 계통연결부(42)에 의해 일반 전력계통과 연결된 경우 재활용설비(3)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최적화하는 구성으로, 일반 전력계통에 의한 전력의 사용량, 재활용설비(3)의 운영계획에 따른 전력사용량 등을 예측하여 ESS장치(2)와 일반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설비운영최적화부(43)는 전력예측정보수신모듈(431), 설비운영계획정보수신모듈(432), ESS잔량정보수신모듈(433), 전력스위칭공급모듈(4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예측정보수신모듈(431)은 일반 전력계통의 전력 사용량에 관해 예측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력예측부(44)에 의해 예측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설비운영계획정보수신모듈(432)은 재활용설비(3)의 작동 계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재활용설비(3)의 사양과, 운전정보 등을 수신하여 앞으로 사용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ESS잔량정보수신모듈(433)은 ESS장치(2)에 남아있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ESS장치(2)에 최소한의 전력만이 남아있는 상태에서만 일반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력스위칭공급모듈(434)은 재활용설비(3)에 대해 ESS장치(2) 또는 일반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ESS장치(2)에 일정 정도의 전력이 남을 때까지는 지속적으로 ESS장치(2)에 저장된 전력을 재활용설비(3)로 공급하도록 하며, ESS장치(2)에 남아있는 전력이 최소가 되는 경우에만 일반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력스위칭공급모듈(434)은 상기 전력예측정보수신모듈(431), 설비운영계획정보수신모듈(432)에 의해 수신되는 미래 일반 계통의 전력사용량정보와 설비운영계획에 따른 재활용설비(3)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고려하여 ESS장치(2) 또는 일반 전력계통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미리 결정하여 스위칭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력예측부(44)는 미래 특정시점의 필요한 전력의 양을 미리 예측하는 구성으로, 과거 일정기간 동안의 태양광 데이터와 일사량, 생산전력에 의해 미래 일정시점에서 태양광 발전장치(1)에서 생산될 전력량을 예측하고, 과거 일정기간 동안의 전력사용량 정보에 따라 미래 전력사용량을 예측하여 필요한 전력량을 산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력예측부(44)는 태양광데이터수신모듈(441), 일사량데이터수신모듈(442), 생산전력데이터수신모듈(443), 부하전력데이터수신모듈(444), 전력필요량예측모듈(4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데이터수신모듈(441)은 과거 일정기간 동안 태양광 발전장치(1)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작동시간, 작동환경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일사량데이터수신모듈(442)은 태양광 발전장치(1)의 작동시간 중 발생한 일사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일사량뿐만 아니라 강수량, 미세먼지 양 등의 정보도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산전력데이터수신모듈(443)은 과거 일정기간 동안의 태양광 발전장치(1)에서 생산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태양광 데이터 및 일사량 데이터와 이에 따른 생산 전력 데이터를 고려하여 미래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하전력데이터수신모듈(444)은 과거 일정기간 동안 일반 전력계통에서 사용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에 따른 추세를 분석하여 미래 요구되는 전력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력필요량예측모듈(445)은 미래 일정시점의 필요한 전력의 양을 예측하는 구성으로, 예측된 정보는 재활용설비(3)의 운영을 최적화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력필요량예측모듈(445)은 태양광 발전장치(1)에 의한 생산전력과 일반 전력계통의 사용 전력을 예측하여 전력 필요량을 산출하도록 하며, 각 조건에 따른 통계적 방법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크관리부(45)는 일반 전력계통에 주어지는 피크전력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일정 피크전력 이상의 부하가 일반 전력계통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일반 전력계통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피크관리부(45)는 전력사용정보수신모듈(451), 발전량정보수신모듈(452), ESS잔량수신모듈(453), 충방전조절모듈(4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사용정보수신모듈(451)은 현재 일반 전력계통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전력의 사용량에 따라 ESS장치(2)의 충방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전량정보수신모듈(452)은 태양광 발전장치(1)의 발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현재 태양광 발전장치(1)에서 생산되고 있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ESS잔량수신모듈(453)은 ESS장치(2)에 남아있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남아있는 전력량에 따라 ESS장치(2)의 충방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방전조절모듈(454)은 ESS장치(2)의 충방전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전력사용정보수신모듈(451), 발전량정보수신모듈(452), ESS잔량수신모듈(453)에 의해 수신되는 일반 전력계통의 전력사용량, 태양광 발전장치(1)의 발전량, ESS장치(2)의 남아있는 전력에 따라 ESS장치(2)의 충방전을 조절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충방전조절모듈(454)은 일반 전력계통의 전력사용이 일정 수준이 될 때까지는 태양광 발전장치(1)를 통해 ESS장치(2)를 충전하도록 하며, 일반 전력계통의 전력사용이 일정 수준을 넘는 경우에는 ESS장치(2)를 방전시켜 일반 전력계통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ESS장치(2)의 풀충전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태양광 발전장치(1)를 통해 생산되는 전력을 일반 전력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태양광 발전장치
2: ESS장치
3: 재활용설비
4: 관리서버
41: 설비전력공급부
411: 설비정보수신모듈 412: 설비운영정보수신모듈
413: ESS정보수신모듈 414: 전력공급조절모듈
42: 계통연결부
43: 설비운영최적화부
431: 전력예측정보수신모듈 432: 설비운영계획정보수신모듈
433: ESS잔량정보수신모듈 434: 전력스위칭공급모듈
44: 전력예측부
441: 태양광데이터수신모듈 442: 일사량데이터수신모듈
443: 생산전력데이터수신모듈 444: 부하전력데이터수신모듈
445: 전력필요량예측모듈
45: 피크관리부
451: 전력사용정보수신모듈 452: 발전량정보수신모듈
453: ESS잔량수신모듈 454: 충방전조절모듈

Claims (5)

  1.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ESS장치;
    폐기물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재활용설비;
    상기 ESS장치에 저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ESS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는 설비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전력공급부는,
    상기 재활용설비의 전력 용량 등 사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설비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재활용설비의 전력 사용 계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설비운영정보수신모듈과, 상기 ESS장치에 저장된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ESS정보수신모듈과, 재활용설비의 사양, 전력 사용 계획, ESS장치에 저장된 전력에 따라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력공급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ESS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일반 전력계통과 연결되는 계통연결부와, 일반 전력계통의 전력사용을 고려하여 재활용설비에 대한 전력공급을 최적화하는 설비운영최적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운영최적화부는,
    일반 전력계통에 대한 전력의 사용 및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의 양을 예측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전력예측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재활용설비의 전력 사용 계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설비운영계획정보수신모듈과, ESS장치에 잔류하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ESS잔량정보수신모듈과, 일반 전력계통 또는 ESS장치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전력스위칭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ESS 관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과거 일정기간 동안의 데이터에 따라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한 생산전력 및 일반 전력계통의 사용 전력량을 예측하는 전력예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예측부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태양광데이터수신모듈과, 일사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일사량데이터수신모듈과, 태양광 데이터 및 일사량 데이터에 따라 과거 발전량 추세를 분석하여 미래 일정시점의 생산전력을 예측하는 생산전력예측모듈과, 과거 일정기간 일반 전력계통의 전력 사용에 따라 미래 일정시점에 사용될 전력량을 예측하는 부하전력예측모듈과, 예측되는 생산전력 및 사용전력에 따라 전력의 필요량을 예측하는 전력필요량예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ESS 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일반 전력계통의 피크 전력을 관리하는 피크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크관리부는,
    현재 일반 전력계통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전력사용정보수신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생산되는 발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발전량정보수신모듈과, 상기 ESS장치에 잔류하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ESS잔량수신모듈과, 일반 전력계통에 공급되어야 할 전력이 피크전력을 넘지 않도록 ESS장치의 충방전을 조절하는 충방전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ESS 관리시스템.
KR1020190106268A 2019-08-29 2019-08-29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 KR20210026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68A KR20210026045A (ko) 2019-08-29 2019-08-29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
PCT/KR2019/016091 WO2021040142A1 (ko) 2019-08-29 2019-11-22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68A KR20210026045A (ko) 2019-08-29 2019-08-29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045A true KR20210026045A (ko) 2021-03-10

Family

ID=7468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268A KR20210026045A (ko) 2019-08-29 2019-08-29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6045A (ko)
WO (1) WO20210401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7902B2 (ja) * 2009-03-27 2014-07-16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
JP5546206B2 (ja) * 2009-11-05 2014-07-09 日立造船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
CN108475930B (zh) * 2016-01-14 2022-06-2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供电装置以及控制装置
KR20180122071A (ko) * 2017-05-02 2018-11-12 유한회사 엔텍코리아 컨테이너 계통연계형 ess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1945501B1 (ko) * 2018-05-23 2019-02-08 주식회사 광명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142A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Optimal switching renewable energy system for demand side management
KR102261258B1 (ko) 양방향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전력 변환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217800A1 (en) Solar power systems optimized for use in communications networks
CN107492910B (zh) 一种含柴储的离网微电网自适应控制与主电源切换方法
CN105846419A (zh) 基于直流微电网的光伏、柴油互补供电系统
Scognamiglio et al. Photovoltaics in net zero energy buildings and clusters: Enabling the smart city operation
WO2022261698A1 (en) Solar energy storage system for blockchain processing
CN105680771A (zh) 一种风光互补发电系统及控制方法
CN112510756A (zh) 一种基于功率水平的微电网光储充协调运行方法及系统
JP2016039721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KR101849664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연계형 전력공급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6111656A (zh) 微电网调度的方法和装置
CN105811468A (zh) 一种数据采集运算的分布式光伏发电智能控运系统
KR20210026045A (ko) 재활용설비에 적용 가능한 pv-ess 관리시스템
Alnejaili et al. Sliding mode control of a multi-source renewable power system
Mandourarakis et al. Unified system-and circuit-level optimization of res-based power-supply systems for the nodes of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8183504B (zh) 一种新能源电动车充电站
CN206099519U (zh) 一种应用于移动变电站的风光互补电源系统
KR20150029809A (ko) 계통 연계형 태양광발전 장치
KR102623434B1 (ko) 피크 전력 검출에 대응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ulthan et al. Centralized power management and control of a Low Voltage DC Nanogrid
Gaayathri et al. Modelling And Simulation Of Pv-Bes Based Microgrid System Operating In Standalone Mode
CN117458597B (zh) 一种基于交流组件的发电系统
Mahalakshmi et al. Hybrid Power Management Using Interleaved Landsman Converter Implemented Through Machine Learning
KR20120116253A (ko) 친환경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