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971A -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971A
KR20210025971A KR1020190106085A KR20190106085A KR20210025971A KR 20210025971 A KR20210025971 A KR 20210025971A KR 1020190106085 A KR1020190106085 A KR 1020190106085A KR 20190106085 A KR20190106085 A KR 20190106085A KR 20210025971 A KR20210025971 A KR 20210025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terminal
delivery
order information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060B9 (ko
KR102279060B1 (ko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김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현 filed Critical 김지현
Priority to KR102019010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0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060B1/ko
Publication of KR10227906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06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은,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상기 판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배송자 단말과 관련된 제1 배송지로 상기 제1 상품을 배송하는 것에 관련된 제1 배송 요청을 공급자 단말 및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2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상품을 상기 제1 배송지로부터 상기 구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배송지로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배송 요청을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Online Sales}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온라인 판매 서버와 관련된다.
온라인 샵(shop)을 운영하는 판매자(이하, “온라인 판매자”라 함)는 판매할 상품을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미리 구매하여 자체적으로 보관하고, 보관중인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자는 구매자에 의해 상품이 구매되면, 보관중인 상품을 일일이 찾아서 포장하고, 포장된 상품을 배송 업체에 의뢰하여 구매자에게 배송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162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16015호
그런데, 온라인 판매자는 판매중인 상품의 보관, 관리 또는 배송에서, 불편 또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자는 구매한 상품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를 보유하여 상품을 정리해두거나, 문서 작업을 통해서 상품 재고를 관리하거나, 판매된 상품을 포장하여 배송 업체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번거로움 또는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온라인 판매 서비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는, 판매자 단말, 공급자 단말, 배송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품들 중 제1 상품에 대한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상기 판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하고,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배송자 단말과 관련된 제1 배송지로 상기 제1 상품을 배송하는 것에 관련된 제1 배송 요청을 상기 공급자 단말 및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2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상품을 상기 제1 배송지로부터 상기 구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배송지로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배송 요청을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은,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상기 판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배송자 단말과 관련된 제1 배송지로 상기 제1 상품을 배송하는 것에 관련된 제1 배송 요청을 공급자 단말 및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2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상품을 상기 제1 배송지로부터 상기 구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배송지로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배송 요청을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에서 상품 보관이나, 상품 배송 과정의 번거로움을 개선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구매 과정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판매 과정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시스템(10)은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 공급자 단말(110), 판매자 단말(120), 배송자 단말(130) 및 구매자 단말(140) 간의 통신을 통해, 공급자, 판매자, 구매자 및 배송자에게 온라인 판매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판매 지원 서비스는 예를 들면, 판매자가 공급자에 의한 공급품(상품)을 구매자에게 온라인 판매하는 것을 보조(또는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공급자 단말(110), 판매자 단말(120), 배송자 단말(130) 및 구매자 단말(140)이 각기 하나의 단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급자 단말(110), 판매자 단말(120), 배송자 단말(130) 및 구매자 단말(1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예: 배송자 단말(130))은 각기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110)은 공급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공급자는 공급자 단말(11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와 같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자는 예를 들면, 상품을 생산하는 생산자 및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하여 시중에 유통하는 유통자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110)은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웹 사이트(web site)에 접속하고,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공급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110)은 제1 웹 사이트를 통하여 등록된 상품의 판매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110)은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판매자에게 판매되는 경우,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제1 배송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된 제1 배송 요청을 공급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송 요청은 예를 들면,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판매자에 의해 구매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판매자의 판매 지역을 관할하는 배송자 단말(130)과 관련된 제1 배송지로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배송 요청은 다른 예를 들면, 상품명, 주문 수량 및 제1 배송지 주소(배송자 단말(130)과 관련된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20)은 구매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판매자 단말(12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와 같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는 예를 들면, 공급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고, 구매된 상품을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의해 생성 및 제공된 제2 웹 사이트를 통해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120)의 사용자일 수 있다. 상기 판매자는 다른 예를 들면, 상품을 소규모로 온라인 판매하는 개인 사업자일 수 있다.
판매자 단말(120)은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복수의 상품들(예: 공급자에 의해 판매중인 상품들) 중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이하, "제1 주문 정보"로 언급될 수 있음)를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송신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20)은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격 정보를 판매자에게 안내(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판매자에 의해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가 요청되면, 판매자 단말(120)은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와 통신하여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구매 대금을 결제하고 결제 완료를 판매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후,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 및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상기 생성 및 게시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판매자 단말(120)은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에 대한 게시를 판매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20)은 제1 웹 사이트 또는 제2 웹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웹 사이트를 통해 상품 판매 현황을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 현황은 구매된 상품 중 판매되지 않은 상품과 판매된 상품을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된 정보(예: 상품명 및 재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40)은 구매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구매자 단말(14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와 같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는 제2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에 의해 판매중인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140)의 사용자일 수 있다. 구매자 단말(140)은 제2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구매된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이하, 제2 주문 정보로 언급됨)를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송신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40)은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제2 주문 정보에 기반한 가격 정보를 수신하고, 가격 정보를 구매자에게 안내(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구매자에 의해 결제가 요청되면, 구매자 단말(140)은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와 통신하여 제2 주문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 완료를 구매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40)은 제2 웹 사이트를 통해 제2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 배송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130)은 배송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배송자 단말(13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와 같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배송자는 판매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을 보관하고, 보관중인 상품들 중에서 구매자에 의해 판매된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자 단말(130)의 사용자일 수 있다.
배송자 단말(130)은 판매자가 공급자로부터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제1 주문 정보와 관련된 제1 배송 요청을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130)은 제1 배송 요청을 수신하면, 제1 배송 요청에 따른 상품명 및 제1 배송 수량을 배송자에게 안내(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배송자가 제1 배송 요청에 따라 제1 배송지에 수령된 상품을 확인하고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상품 수령 확인을 입력함에 따라, 배송자 단말(130)은 상품 수령 확인을 확인한 후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송지는 배송자 단말(130)과 관련된 장소로서, 예컨대, 배송자에 의해 설정된 상품 수령 주소(예: 창고 주소)일 수 있다.
이후, 구매자가 제2 웹 사이트 내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통해 판매자에 의해 판매중인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배송자 단말(130)은 구매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과 관련된 제2 배송 요청을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130)은 제2 배송 요청을 수신하면, 제1 배송 요청에 포함된 상품명 및 제2 배송 수량을 배송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배송자는 제2 배송 요청에 따라 제1 배송지로부터 구매자와 관련된 제2 배송지로 제1 상품을 배송하고,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상품 배송 완료를 입력할 수 있다. 배송자 단말(130)은 입력된 상품 배송 완료를 확인하고, 상품 배송 완료를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송지는 구매자 단말(140)과 관련된 장소로서, 예컨대,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상품 수령 주소(예: 구매자의 집 주소)일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공급자 단말(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품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등록될 모든 상품에 대한 상품명 및 재고량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등록(예: 저장)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공급자 단말(110)에, 공급자 단말(110)에 의해 등록된 상품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현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에 공급자 단말(110)에 의해 판매중인(또는, 공급 가능한) 복수의 상품들을 확인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로부터 복수의 상품들 중 제1 상품에 대한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명 및 주문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확인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제1 주문에 대한 가격 정보(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 구매 대금)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격 정보를 판매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판매자 단말(120)로부터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면,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명, 주문 수량 및 제1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제1 배송 요청을 생성하고, 제1 배송 요청을 공급자 단말(110) 및 배송자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송 요청은 예를 들면, 상품명에 대응하는 제1 상품을 주문 수량에 대응하는 수량만큼 제1 배송지로 송신하거나, 제1 배송지에서 수령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온라인 판매 서비스 시스템(10)이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예: 배송자 단말(130))을 포함하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복수의 지역들을 각기 관할하는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 중에서 판매자 단말(120)에 의해 설정된 판매 지역(예: 국가)을 관할하는 배송자에 대응하는 배송자 단말(130)을 선택하는 것을 선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은 복수의 국가들을 각기 관할하는 복수의 지사 단말들이고, 판매자 단말(120)은 제1 국가를 판매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판매 서비스 시스템(10)은 복수의 지사 단말들 중에서 제1 국가를 관할하는 지사 단말(배송자 단말(130))(또는, 제1 국가에 존재하는 제1 배송지에 관련된 배송자 단말(13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판매자는 구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할 때마다 국제 배송료를 지불하였지만, 온라인 판매 지원 서비스 이용자(판매자)는 공급자로부터 상품을 수령할 때 국제 배송료를 1번 지불한 후, 구매자에게 상품 배송 시에는 국내 배송료만을 지불하므로, 총 상품 배송료를 절감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2 웹 사이트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140)에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40)이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통해 제1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구매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구매자 단말(140)로부터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면,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주문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수신된 제2 주문 정보에 포함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상품명, 수량 정보 및 구매자 단말(140)에 관련된 제2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제2 배송 요청을 생성한 후 배송자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2 배송 요청에 따른 배송이 완료됨에 따라, 구매자 단말(140)로부터 배송 완료 확인을 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배송 완료 확인을 수신하면,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계좌로 상품명 및 수량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대금을 지급(또는, 송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판매 대금을 판매자에게 포인트 또는 전자 화폐로 지급한 후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정된 계좌에 송금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온라인 판매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을 보관하고 판매된 포장 및 배송 대행 가능한 배송자를 제공할 수 있어, 온라인 판매자는 상품의 보관, 관리, 포장 및 배송을 위한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시스템(1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하의 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온라인 판매 서비스 시스템(10)이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 중 판매자 단말(120)에 의해 설정된 판매 지역에 관련된 배송자 단말(130)을 선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예: 도 1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통신 회로(151), 메모리(153) 및 프로세서(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통신 회로(151)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와 다른 장치(예: 공급자 단말(110), 판매자 단말(120), 배송자 단말(130) 및 구매자 단말(140)) 간의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FTTH(Fiber to the home), xDSL(x-Digital Subscriber Line), WiFi, Wibro, 3G 또는 4G과 같은 통신 방식의 통신 채널일 수 있다.
메모리(153)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55))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3)는 온라인 판매 지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3)는 온라인 판매 지원 서비스에 가입한 공급자, 판매자, 배송자 및 구매자와 관련된 정보(예: 제1 배송지 주소 및 제2 배송지 주소)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메모리(15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통신 회로(151)를 통해 공급자 단말(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품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등록될 상품에 관련된 상품명 및 재고량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등록(예: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상품 정보를 공급자 정보와 관련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공급자 단말(110)에 공급자 단말(110)에 의해 등록된 상품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현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웹 사이트는 예를 들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의해 운용 및 관리되는 공급자 단말(110), 판매자 단말(120) 및 배송자 단말(130)에 의해 접속되는 웹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실행 가능한 웹 사이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에 공급자 단말(110)의 사용자(공급자)에 의해 등록된 상품을 포함하는 모든 공급자에 의해 등록된 상품 목록을 확인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1 웹 사이트에 접속한 판매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20)이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상품들 중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상품에 대한 제1 주문 정보를 송신하면, 프로세서(155)는 제1 주문 정보를 통신 회로(15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수신된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제1 상품의 상품명 및 주문 수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제1 주문에 대한 가격 정보(또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 구매 대금)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5)는 제1 상품의 단가(예: 공급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음)에 주문 수량을 곱하여 상기 가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프로세서(155)는 배송자 단말(130)와 관련된 제1 배송지를 확인한 후 제1 상품을 공급자의 주소로부터 제1 배송지로 배송하는데 필요한 배송료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상품의 단가 및 주문 수량의 곱에 상기 배송료를 합산함에 따라 제1 주문에 대한 가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생성된 가격 정보를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20)이 가격 정보를 확인한 판매자에 의하여 입력된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대금 결제 요청을 송신하면, 프로세서(155)는 통신 회로(151)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로부터 대금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대금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구매 대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판매자 단말(120)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웹 사이트는 예를 들면,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개인 홈페이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5)는 온라인에서 획득(예: 검색 및 다운로드)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제1 상품의 이미지, 상품 판매 가격, 상품 설명 및 상품 구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5)는 판매자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예: 인스타그램)에 업로드된 게시글을 복사하고, 복사된 게시글을 지정된 포맷(예: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포맷)으로 편집함에 따라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55)는 제1 상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기획전(예: 웹페이지 형식) 정보를 판매자 단말(120)에 송신하고, 판매자 단말(120)로부터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기획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기획전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된 기획전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기 전, 판매자 단말(120)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제2 웹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2 웹 사이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웹 사이트에 제2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게시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는 예를 들면, 제2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상기 제2 웹 사이트는 예를 들면, PC 환경 또는 모바일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웹 사이트는 범용 인터넷 브라우저(예: chrome) 또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를 위한 지정된 앱을 통해서 접속 가능한 웹 사이트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앱은 모든 판매자들에 의한 공용 앱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판매자에게 특화(예: customizing) 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5)는 동영상 공유 사이트(예: 유튜브) 또는 범용 메신저와 링크(link)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5)는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업로드되어 있는 지정된 동영상의 재생 시에 동영상 주변 또는 상부에 표시될 수 있는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5)는 메신저의 판매자 식별 정보(예: 아이디, 대화명, 상태 메시지, 프로필 사진)의 주변에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와 링크된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아이콘의 선택 시에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상품 별로 각기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신저는 판매자를 포함하는 판매자들을 별도의 그룹으로 제공하거나, 판매자들을 검색하거나, 원하는 판매자를 즐겨 찾기 등록하거나, 인기 판매자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생성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편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5)는 제2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의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의 제목, 내용 또는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와 링크된 아이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예: 추가, 삭제, 수정)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프로세서(155)는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의 생성 과정에서 판매자의 입력(예: 소비자가)을 확인하고, 판매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제1 상품의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상품명, 제1 배송 수량 및 제1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제1 배송 요청을 생성하고, 제1 배송 요청을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공급자 단말(110) 및 선택된 배송자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송 요청은 예를 들면, 상품명에 대응하는 제1 상품을 주문 수량에 대응하는 수량만큼 제1 배송지로 송신하거나, 제1 배송지에서 수령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55)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가격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또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판매 지역(예: 국가)을 확인하고,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 중에서 설정된 판매 지역을 관할하는 배송자에 대응하는 배송자 단말(130)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판매 지역을 관할하는 배송자는 예를 들면, 판매 지역과 동일한 국가에 존재하는 제1 배송지(상품 보관 창고)에 기반한 배송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이에, 종래의 판매자는 구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할 때마다 국제 배송료를 지불하였지만, 온라인 판매 지원 서비스 이용자(판매자)는 공급자로부터 상품을 수령할 때 국제 배송료를 1번 지불한 후, 구매자에 대한 상품 배송 시에는 국내 배송료만을 지불하므로, 총 상품 배송료를 절감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제1 배송 현황에 따른 배송이 완료됨에 따라 배송자 단말(130)로부터 배송 완료 확인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배송 완료 확인을 수신하면, 판매자로부터 수령한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판매 대금을 공급자 단말(110)과 관련된 계좌(예: 공급자에 의해 설정된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5)는 판매 대금을 공급자의 계정에 대한 포인트로 지급한 후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지급된 포인트를 공급자의 계좌에 송금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현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5)는 제1 상품을 제1 배송지에 배송 하기 전에는 제1 상품의 배송 현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제1 인터페이스를 판매자 단말(120)에 제공하고, 제1 상품을 제1 배송지에 배송 완료한 후에는 제1 인터페이스 및 상품 판매 현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를 판매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 현황은 구매된 상품 중 판매되지 않은 상품과 판매된 상품을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된 정보(예: 상품명 및 재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제2 웹 사이트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140)에 판매자에 의해 판매중인 상품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가 제2 웹 사이트에 포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통해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함에 따라, 프로세서(155)는 구매자 단말(140)로부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과 관련된 제2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문 정보는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명, 주문 수량 및 구매자 단말(140)과 관련된 제2 배송지 주소(예: 구매자에 의해 설정된 배송지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수신된 제2 주문 정보에 포함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제2 주문에 대한 가격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격 정보를 구매자 단말(14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5)는 제1 상품의 소비자가(예: 판매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음)와 제2 주문 정보에 따른 주문 수량을 곱한 결과에 제1 상품을 제1 배송지에서 제2 배송지로 배송하는데 필요한 배송료를 합산함에 따라 상기 가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40)이 가격 정보를 확인한 구매자에 의하여 입력된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대금 결제 요청을 송신하면, 프로세서(155)는 통신 회로(151)를 통해 구매자 단말(140)로부터 대금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대금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주문에 따른 구매 대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매 대금 결제가 완료되면, 프로세서(155)는 제2 주문 정보에 포함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상품명, 제2 배송 수량 및 제2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제2 배송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배송 요청을 배송자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송 요청은 배송자에게 제2 주문에 따른 제1 상품을 제1 배송지에서 제2 배송지로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배송 수량은 제1 배송 수량과 동일하거나, 제1 배송 수량 이하일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제2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 배송 현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2 웹 사이트를 통해 구매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배송 요청에 따른 배송 완료를 확인한 구매자에 의해 배송 완료 확인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55)는 구매자 단말(140)로부터 배송 완료 확인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55)는 제2 배송 요청에 따른 배송 완료 후 지정된 기간 경과 후 자동으로 배송 완료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배송 완료를 수신 또는 확인하면,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계좌로 상품명 및 수량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대금을 지급(또는, 송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5)는 판매 대금을 판매자의 계정에 대한 포인트로 지급한 후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지급된 포인트를 판매자의 계좌에 송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5)는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구매자 단말(140)에 판매자를 포함하는 모든 판매자들 중 인기 판매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55)는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에 상기 공급자를 포함하는 모든 공급자들 중 인기 공급자 정보 또는 인기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5)는 판매자 단말(120)로부터 기등록되지 않은 상품명 및 주문 수량을 포함하는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55)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의 관리자에게 제1 주문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관리자(예: 구매 대행 담당자)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의 단가 및 배송비를 확인하고,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구매 대행 비용(상술된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가격 정보"에 대응함)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는 설정된 가격 정보를 판매자 단말(120)에 제공하고, 가격 정보에 따른 결제 완료 후에 상술된 온라인 판매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온라인 판매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을 보관하고 판매된 포장 및 배송 가능한 배송자를 제공할 수 있어, 온라인 판매자가 상품을 일단 구매한 후에 상품의 보관, 관리, 포장 및 배송을 위한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공급자와 구매자 간을 일대일로 연결하던 종래의 온라인 판매 방식과 달리 공급자 및 판매자와 복수의 구매자들 간을 일대다(一對多)로 연결하는 새로운 온라인 판매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시스템(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마존(amazon)이 공급자이면서 배송자이고 온라인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유튜브(youtube)일 수 있다. 이 경우, 아마존은 제1 웹 사이트(아마존의 웹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등록하고, 판매자(influencer)는 아마존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상품들(예: 대량의 상품)을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판매자에 의해 복수의 상품들의 구입(결제)이 완료되면, 구입된 상품들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에 대응됨)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유튜브에 등록된 동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예: 판매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동영상)에 상기 생성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링크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이 유튜버(youtuber)에 의해 재생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상부 또는 주변에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와 링크된 아이콘(예: 구입된 상품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유튜버(구매자)에 의해 아이콘이 선택(예: 클릭)되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아이콘과 링크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는 상품을 구입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므로, 유튜버(구매자)는 아이콘을 클릭하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서 용이하게 판매자에 의해 판매중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러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구매된 상품과 관련된 제2 주문 정보를 구매자 단말(140)로부터 수신하고, 배송자(아마존)는 제1 배송지에 있는 상품 중 구매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을 구매자에게(제2 배송지로) 배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1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로부터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판매자 단말(120)로부터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 단가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제1 주문 정보와 관련한 가격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에 의해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판매자 단말(120)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상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기획전(예: 페이지 형식) 정보를 판매자 단말(120)에 송신하고, 판매자 단말(120)로부터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기획전에 따른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배송자 단말(130)과 관련된 제1 배송지로 제1 상품을 배송하는 것에 관련된 제1 배송 요청을 공급자 단말(110) 및 배송자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 중에서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판매 지역을 관할하는 배송자에 대응하는 배송자 단말(130)을 선택하고, 선택된 배송자 단말(130) 및 제1 상품에 관련된 공급자 단말(110)에 제1 배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송 요청은 예를 들면,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명에 대응하는 제1 상품을 주문 수량에 대응하는 수량만큼 제1 배송지로 송신하거나, 제1 배송지에서 수령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일 수 있다. 상기 제1 배송 요청은 제1 상품의 상품명, 주문 수량 및 배송자 단말(130)과 관련된 제1 배송지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4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통해 구매자 단말(140)로부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2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제2 주문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 후 제1 상품을 제1 배송지로부터 구매자 단말(140)과 관련된 제2 배송지로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배송 요청을 배송자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2 주문 정보에 포함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상품명, 제2 배송 수량 및 제2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제2 배송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배송 요청을 배송자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송 요청은 배송자에게 제2 주문에 따른 제1 상품을 제1 배송지에서 제2 배송지로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배송 수량은 제1 배송 수량과 동일하거나, 제1 배송 수량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온라인 판매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을 보관하고 판매된 포장 및 배송 가능한 배송자를 제공할 수 있어, 온라인 판매자는 상품의 보관, 관리, 포장 및 배송을 위한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구매 과정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다.
동작 41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웹 사이트에 접속한 판매자 단말(120)에 공급자 단말(110)에 의해 판매중인 상품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20)은 제공된 상품 목록을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판매자 단말(120)은 상품 목록에 포함된 상품들 중에서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상품 및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판매자 단말(120)은 제1 상품에 대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을 포함하는 제1 주문 정보를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44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제1 상품의 상품명 및 주문 수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가격 정보(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 구매 대금)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상품의 단가에 주문 수량을 곱하여 상기 가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상품의 단가와 주문 수량의 곱에 제1 상품을 공급자의 주소로부터 제1 배송지로 배송하는데 필요한 배송료를 합산함에 따라 상기 가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 중에서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판매 지역을 관할하는 배송자의 제1 배송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5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생성된 가격 정보를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 460에서, 판매자 단말(120)은 가격 정보를 확인한 판매자에 의하여 입력된 결제 요청을 확인하고, 동작 470에서, 결제 요청을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48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구매 대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판매자 단말(120)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복수의 배송자 단말들 중에서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판매 지역을 관할하는 배송자에 대응하는 배송자 단말(130)을 선택할 수 있다.
동작 48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제1 상품의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상품명, 제1 배송 수량 및 제1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제1 배송 요청을 생성하고,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공급자 단말(110) 및 선택된 배송자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판매 과정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다.
동작 51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2 웹 사이트에 접속한 구매자 단말(140)에 판매자에 의해 판매중인 상품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40)은 제공된 상품 목록을 구매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구매자 단말(140)은 구매자가 상품 목록 중 제1 상품을 선택하면,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상품에 대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을 포함하는 제2 주문 정보를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구매자 단말(140)로부터 제2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제2 주문 정보에 포함된 상품명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제2 주문에 대한 가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상품의 소비자가(예: 판매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음)에 제2 주문 정보에 따른 주문 수량을 곱한 결과에 제1 상품을 제1 배송지에서 제2 배송지로 배송하는데 필요한 배송료를 합산함에 따라 상기 가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55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결정된 가격 정보를 제2 웹 사이트를 통해 구매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구매자 단말(140)은 가격 정보를 확인한 구매자에 의하여 입력된 결제 요청을 확인하고, 동작 570에서, 대금 결제 요청을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58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대금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주문 정보에 따른 구매 대금 결제를 수행하고, 상품명, 제2 배송 수량 및 제2 배송지 주소를 포함하는 제2 배송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송 수량은 제1 배송 수량과 동일하거나, 제1 배송 수량 이하일 수 있다.
동작 590에서,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는 생성된 제2 배송 요청을 배송자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메모리(153))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15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55)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9)

  1.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 공급자 단말, 배송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품들 중 제1 상품에 대한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상기 판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하고,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배송자 단말과 관련된 제1 배송지로 상기 제1 상품을 배송하는 것에 관련된 제1 배송 요청을 상기 공급자 단말 및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2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상품을 상기 제1 배송지로부터 상기 구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배송지로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배송 요청을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하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제1 제품의 단가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문 정보와 관련한 가격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에 의해 상기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송 요청은,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2 배송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송 요청은, 상기 제2 주문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2 배송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송 수량은,
    상기 제1 배송 수량 이하인,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기획전들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 기획전들 중 상기 판매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품 기획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품 기획전에 따른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상기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판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웹사이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와 관련된 제2 웹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판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웹 사이트에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게시하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판매자 단말에 관련된 메신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와 링크된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웹 사이트 및 상기 제2 웹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공급자 단말, 상기 판매자 단말 및 상기 배송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8.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에 의한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상기 판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배송자 단말과 관련된 제1 배송지로 상기 제1 상품을 배송하는 것에 관련된 제1 배송 요청을 공급자 단말 및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2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상품을 상기 제1 배송지로부터 상기 구매자 단말과 관련된 제2 배송지로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2 배송 요청을 상기 배송자 단말에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따른 제1 제품 가격 및 주문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문 정보와 관련한 가격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에 의해 상기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관련된 상기 상품 판매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 방법.
KR1020190106085A 2019-08-28 2019-08-28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27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85A KR102279060B1 (ko) 2019-08-28 2019-08-28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85A KR102279060B1 (ko) 2019-08-28 2019-08-28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71A true KR20210025971A (ko) 2021-03-10
KR102279060B1 KR102279060B1 (ko) 2021-07-19
KR102279060B9 KR102279060B9 (ko) 2023-01-13

Family

ID=7514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085A KR102279060B1 (ko) 2019-08-28 2019-08-28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0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129A (ko) * 2008-08-21 2010-03-04 (주)이씨로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20076687A (ko) * 2010-12-01 2012-07-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1629B1 (ko) 2012-09-27 2013-08-01 유철구 생산자와 판매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제공하는 상품을 통합관리하는 쇼핑몰 관리 통합 솔루션
KR101316015B1 (ko) 2011-09-02 2013-10-10 주식회사 스마트로 소셜 커머스 기반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70034B1 (ko) * 2015-02-10 2015-11-18 주식회사 리브커뮤니케이션 도매업과 소매업이 웹으로 연동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시스템
KR20170092037A (ko) * 2016-02-02 2017-08-10 신현종 B2b 기반의 종합 물류 개방형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129A (ko) * 2008-08-21 2010-03-04 (주)이씨로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20076687A (ko) * 2010-12-01 2012-07-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6015B1 (ko) 2011-09-02 2013-10-10 주식회사 스마트로 소셜 커머스 기반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91629B1 (ko) 2012-09-27 2013-08-01 유철구 생산자와 판매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제공하는 상품을 통합관리하는 쇼핑몰 관리 통합 솔루션
KR101570034B1 (ko) * 2015-02-10 2015-11-18 주식회사 리브커뮤니케이션 도매업과 소매업이 웹으로 연동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시스템
KR20170092037A (ko) * 2016-02-02 2017-08-10 신현종 B2b 기반의 종합 물류 개방형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060B9 (ko) 2023-01-13
KR102279060B1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0751B2 (en) Cross domain customer interface updates
KR20160037175A (ko) 소매상들을 이용하여 서브스크립션들을 신디케이팅하기 위한 시스템
US11769123B2 (en) Payment method and apparatus, related device, and system
US201103073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Point of Sale Transactions
JP2017162377A (ja) 広告動画管理装置、広告動画管理システム、広告動画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動画管理方法
JP2014529148A (ja) ホスト型サービスイメージのための電子市場
KR102149103B1 (ko) 통합 주문 및 통합 배송이 가능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US201400323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KR20210004176A (ko) 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방법
KR102279060B1 (ko)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220351273A1 (en) Integrated smart shopping cart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and operating plurality of online shopping mall carts
KR101641729B1 (ko) 공동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35571A (ko) 위젯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225230B1 (ko) 모바일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광고의 결제를 위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2030B1 (ko)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휴대 단말기
KR20190012132A (ko) 모바일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551918B1 (ko) 구매 대행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13082A (ko) 인터넷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JP5775313B2 (ja) ポイント交換装置,ポイント交換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ポイント交換方法
KR20180130694A (ko) 핸즈프리 쇼핑을 위한 상품픽업 및 배송지원 시스템
KR20050060209A (ko) 할인 플랫폼 중개서버를 이용한 제휴 마켓팅 방법
KR20020017199A (ko) 다국적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0783A (ko)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 운영 통합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605251A (zh) 在采购工具上的市场列表
JP2017058725A (ja) 発注管理装置及び発注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