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952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952A
KR20210025952A KR1020190106037A KR20190106037A KR20210025952A KR 20210025952 A KR20210025952 A KR 20210025952A KR 1020190106037 A KR1020190106037 A KR 1020190106037A KR 20190106037 A KR20190106037 A KR 20190106037A KR 20210025952 A KR20210025952 A KR 20210025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level
light source
input image
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587B1 (ko
Inventor
강석판
남상철
이명영
정규용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587B1/ko
Priority to PCT/KR2020/011520 priority patent/WO2021040445A1/en
Priority to US17/005,902 priority patent/US11176877B2/en
Priority to EP20859283.2A priority patent/EP4022598A4/en
Publication of KR2021002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2Control of the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7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resolution change between memory contents and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 표시를 위한 패널과, 패널에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와, 복수의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와, 광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한다. 이에 의해,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최근 영상 해상도 증가, 영상 선명도 증가에 따른 요구에 대응하여, 영상 신호 처리시에, 선명도 향상을 위한 신호 처리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선명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 프레임 사이에 블랙 프레임을 삽입하여, 선명도를 개선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블랙 프레임 삽입으로 인하여, 영상의 전체 휘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즉, 블랙 프레임 삽입으로 인하여, 영상의 선명도는 개선되나, 영상의 휘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 표시를 위한 패널과, 패널에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와, 복수의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와, 광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2 듀티가 감소하며, 제2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아질수록, 제5 듀티가 증가하며, 제5 레벨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2 듀티 보다 작은 제7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2 레벨 보다 큰 제7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4 듀티 보다 작은 제8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4 레벨 보다 큰 제8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5 듀티 보다 작은 제9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5 레벨 보다 큰 제9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6 듀티 보다 작은 제10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6 레벨 보다 큰 제10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배경 영역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유기발광패널과, 유기발광패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와, 광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2 듀티가 감소하며, 제2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아질수록, 제5 듀티가 증가하며, 제5 레벨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2 듀티 보다 작은 제7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2 레벨 보다 큰 제7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4 듀티 보다 작은 제8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4 레벨 보다 큰 제8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5 듀티 보다 작은 제9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5 레벨 보다 큰 제9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6 듀티 보다 작은 제10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6 레벨 보다 큰 제10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배경 영역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 표시를 위한 패널과, 패널에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와, 복수의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와, 광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한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턴 온 듀티 감소에 따라, 선명도가 향상되며, 전류의 레벨 증가로 인하여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2 듀티가 감소하며, 제2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큰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아질수록, 제5 듀티가 증가하며, 제5 레벨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을 오브젝트 영역과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2 듀티 보다 작은 제7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2 레벨 보다 큰 제7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4 듀티 보다 작은 제8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4 레벨 보다 큰 제8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5 듀티 보다 작은 제9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5 레벨 보다 큰 제9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의 배경 영역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6 듀티 보다 작은 제10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6 레벨 보다 큰 제10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배경 영역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유기발광패널과, 유기발광패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와, 광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턴 온 듀티 감소에 따라, 선명도가 향상되며, 전류의 레벨 증가로 인하여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2 듀티가 감소하며, 제2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큰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아질수록, 제5 듀티가 증가하며, 제5 레벨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2 듀티 보다 작은 제7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2 레벨 보다 큰 제7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4 듀티 보다 작은 제8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4 레벨 보다 큰 제8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5 듀티 보다 작은 제9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5 레벨 보다 큰 제9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의 배경 영역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6 듀티 보다 작은 제10 듀티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6 레벨 보다 큰 제10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배경 영역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백라이트의 배열의 다양한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백라이트 유닛의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블랙 프레임 삽입에 의한 영상 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광원 구동을 위한 다양한 펄스 폭 가변 신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도 17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움직임이 있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영상의 선명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영상 프레임 사이에 블랙 프레임을 삽입하여, 영상의 선명도를 개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전체적인 영상의 휘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움직임이 있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시, 선명도 향상 및 휘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액정표시패널(210)을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256)와, 광원 구동부(256)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1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910)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252)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한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910)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턴 온 듀티 감소에 따라, 선명도가 향상되며, 전류의 레벨 증가로 인하여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자발광 패널인 유기발광패널(210b)을 구비하는 경우, 유기발광패널(210b)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256)와, 광원 구동부(256)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1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910)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910)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턴 온 듀티 감소에 따라, 선명도가 향상되며, 전류의 레벨 증가로 인하여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모니터,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신호 처리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신호 처리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5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신호 처리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 수신부(105)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170)는,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신호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부(3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스케일러(3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처리부(34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3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3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OSD 처리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처리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처리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처리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포맷터(Formatter)(3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신호 처리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영상 처리부(3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70)로 전송된다. 신호 처리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신호 처리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신호 처리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정 패널(LCD 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액정 패널(210), 구동 회로부(230), 백라이트 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패널(21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되고, 교차하는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와 접속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되는 제1 기판과, 공통 전극이 구비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230)는, 도 2의 제2 제어부(175)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통해 액정 패널(210)을 구동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드라이버(234),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제2 제어부(175)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R,G,B 데이터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입력받아,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34)와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제어하고, R,G,B 데이터 신호를 재배치하여, 데이터 드라이브(236)에 제공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34)와 데이터 드라이버(236),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제어에 따라,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액정 패널(210)에 공급한다.
백라이트 유닛(250)은, 액정 패널(210)에 빛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250)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252)와, 백라이트(252)의 스캐닝 구동을 제어하는 스캔 구동부(254)와, 백라이트(252)를 온(On)/오프(Off)하는 광원 구동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패널(210)의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광 투과율이 조절된 상태에서, 백라이트 유닛(25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이용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액정 패널(210)에 공통전극 전압(Vcom)을 공급하며, 데이터 드라이버(236)에 감마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50)에 백라이트(25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백라이트의 배열의 다양한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액정 패널(210)의 후면,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52-1,252-2,252-3,252-4)을 예시한다. 복수의 광원(252-1,252-2,252-3,252-4)은,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6b는, 액정 패널(210)의 후면, 상측과 하측과 중앙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52-1,252-2,252-3,252-4,252-5,252-6)을 예시한다. 복수의 광원(252-1,252-2,252-3,252-4,252-5,252-6)은,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6c는, 액정 패널(210)의 후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52-a,252-b,252-c)과,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52-g,252-h,252-i)과, 상측과 하측 사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52-d,252-e,252-f)을 예시한다. 각 광원은,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백라이트 유닛의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250)은, 서로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광원들(LS1~LS6)(1140), 복수의 광원들(LS1~LS6)(1140)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256), 및 광원 구동부(256)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12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250)은, 복수의 광원들(LS1~LS6)(1140)에 공통 전원(VLED)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들(LS1~LS6)은, 복수의 LED를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방식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해상도가, HD(High Definition), Full HD, UHD(Ultra High Definition), 4K , 8K 등으로 높아질수록, 복수의 LED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고해상도의 패널(210) 사용시, 컨트라스트(contrast) 또는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로컬 디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광원(252) 중 광원 스트링(252-1~252-6) 별로, 레벨 가변된 전류(If)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로컬 디밍 데이터에 비례하여, 레벨 가변된 전류(If)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광원 스트링(252-1~252-6) 별로, 로컬 디밍 데이터에 따른, 서로 다른 휘도의 광이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벨이 증가된 전류(If)로 인해, 밝은 부분의 휘도는 더욱 밝아지게 되며, 어두운 부분의 휘도는 더욱 어둡게 된다. 결국, 영상 표시시의 컨트라스트(contrast) 또는 선명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복수의 광원에 공통 전압(VLED)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1110)와, 고조파 등의 제거를 위한 인덕터(L), 그리고, 직류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C)를 구비할 수 있다.
커패시터(C) 양단의 전압은, node A와 접지단 사이에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하며, 이는, 복수의 광원들(LS1~LS6)(1140),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 및 저항 소자들(R1~R6)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즉, node A의 전압은, 복수의 광원들(LS1~LS6)에 공급되는 공통 전압으로서, 도면과 같이, VLED 전압이라 명할 수 있다.
VLED 전압은, 제1 광원 스트링(LS1)의 구동 전압(Vf1)과, 제1 스위칭 소자(Sa) 양단의 전압, 및 제1 저항 소자(Ra)에서 소비되는 전압의 합과 같다.
또는, VLED 전압은, 제2 광원 스트링(LS2)의 구동 전압(Vf2)과, 제2 스위칭 소자(Sa2) 양단의 전압, 및 제2 저항 소자(Rb)에서 소비되는 전압의 합과 같다. 또는, VLED 전압은, 제6 광원 스트링(LS6)의 구동 전압(Vf6)과, 제6 스위칭 소자(Sa6) 양단의 전압, 및 제n 저항 소자(Rn)에서 소비되는 전압의 합과 같다.
한편, 패널(210)의 해상도가 증가될수록, 백라이트 구동 전압(Vf1~Vf6)이 커지며, 백라이트에 흐르는 구동 전류(If1~If6)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 및 저항 소자들(R1~R6)에서 소비되는 전력도 커지게 되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 및 저항 소자들(R1~R6)의 소자 스트레스도 증가하게 된다.
백라이트 구동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 및 저항 소자들(R1~R6)에 흐르는, 구동 전류(If1~If6)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백라이트 구동 전압(Vf1~Vf6)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를 위해, 구동 제어부(1120)는, FET 등으로 구현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의, 각 드레인 단자(G)의 전압(VD)을 검출하는 제1 전압 검출부(1132)를 구비한다. 구동 제어부(1120)는, 각 게이트 단자(G)의 전압(VG)을 검출하는 제2 전압 검출부(1134)와, 각 소스 단자(S)의 전압(VS)을 검출하는 제3 전압 검출부(1136)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 제어부(112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의, 각 드레인 단자(G)에서 검출되는, 각 드레인 단자 전압(VD)을 비교하고, 그 중 최저 드레인 단자 전압에 기초하여, 복수의 광원(1140)에 흐르는 목표 구동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목표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G)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 신호(SG)는, 비교기에 입력되어, 검출되는 소스 단자의 전압(VD) 보다 큰 경우, 비교기에서 출력되어, 게이트 단자(G)로 입력되게 된다. 결국, 스위칭 제어 신호(SG)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가 구동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을 위해, 구동 제어부(112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의 각 드레인 단자 전압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의 각 게이트 단자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광원 구동부(256)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3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의 턴 온 듀티 또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130)는, 복수의 광원들(LS1~LS6)의 턴 온 듀티 또는 복수의 광원들(LS1~LS6)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3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의 각 드레인 단자 전압(VD)의 크기에 기초하여, 스위칭 제어 신호(SG)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a1~Sa6)의 각 드레인 단자 전압(VD)의 크기에 기초하여, 스위칭 제어 신호(SG)의 레벨 또는 스위칭 제어 신호(SG)의 듀티를 가변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로컬 디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광원(252) 중 광원 스트링(252-1~252-6) 별로, 순차적으로 레벨 가변된 전류(If)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로컬 디밍 데이터의 레벨이 클수록, 광원 스트링(252-1~252-6) 별로, 흐르는 전류(If)의 레벨이 커지도록 설정하며, 로컬 디밍 데이터의 레벨이 작을수록, 광원 스트링(252-1~252-6) 별로, 흐르는 전류(If)의 레벨이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공통 전압의 레벨이, 프레임 별로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블랙 프레임 삽입에 의한 영상 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는 자동차가 움직이는 입력 영상(810)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8a의 자동차가 움직이는 입력 영상(810)의 영상 표시시, 자동차의 움직임에 따라 선명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8b와 같이, 영상 프레임 사이에 블랙 프레임을 삽입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제1 영상 프레임(810a)에 후속하는 제2 영상 프레임(810b)을 블랙 프레임으로 설정하고, 제3 영상 프레임(810c)에 후속하는 제4 영상 프레임(810d)을 블랙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8d는, 120Hz의 수직 동기 주파수에 대응하여, 도 8b의 복수의 영상 프레임(810a~810d)과, 광원의 턴 온 듀티를 예시한다.
제1 영상 프레임(810a)과, 제3 영상 프레임(810c)의 표시를 위해, 광원의 턴 온 듀티는 Wa1일 수 있으며, 블랙 프레임인 제2 영상 프레임(810b)와 제4 영상 프레임(810d)의 표시를 위해, 광원의 턴 온 듀티는 Wa1 보다 훨씬 작은 Wa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도 8c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블랙 프레임의 추가로 인하여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영상 프레임 사이에 블랙 프레임을 추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움직임이 있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시, 선명도 향상 및 휘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a는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입력 영상(910)을 예시한다.
도 9b는,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입력 영상 표시를 위한, 복수의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을 예시한다.
도 9b는, 제1 영상 프레임(910a)와 제2 영상 프레임(910b) 사이의 오브젝트(Ara1)의 움직임이 Ma 인 것으로서, 기준치 이상인 것을 예시한다.
제1 영상 프레임 내지 제4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 내의 오브젝트(Ara1)는,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영상 프레임 내지 제4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은, 각각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수직 동기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제1 영상 내지 제4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은, 각각 120Hz의 수직 동기 주파수에 맞춰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 제1 영상(910a)이 표시되며,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 제2 영상(910b)이 표시되며,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 제3 영상(910c)이 표시되며,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 제4 영상(910d)이 표시된다.
이때, 패널(210)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영상은, 도 9b와 달리, 제1 영상 프레임 내지 제4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 내의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이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선명도 향상을 위해, 패널(210)에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 중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교번하여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c는,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는, 턴 온되나,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 각각 후속하는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에 오프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9c는,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인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9b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는,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이 제대로 표시되며,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에는,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이 블랙 영역으로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도 9c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의 광원의 턴 오프로 인하여, 전체 영상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즉, 도 8c 보다는 휘도가 높지만, 전체적으로 영상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의 광원의 턴 오프를 고려하여,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와, 해당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턴 온 듀티 감소에 따라, 선명도가 향상되며, 전류의 레벨 증가로 인하여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되는 경우, 도 9d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Pb1)과 제3 프레임 구간(Pb3)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Ma)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도 9d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Pb1)과 제3 프레임 구간(Pb3)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d는, 제1 프레임 구간(Pb1)과 제3 프레임 구간(Pb3) 동안,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1 듀티(Wb1)와 제2 듀티(Wb2)의 차이는 ΔWb1이며, 제2 레벨(hb2)과, 제1 레벨(hb1)의 차이는 Δhb1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2 듀티(Wb2)가 작아지며, 제2 레벨(hb2)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제1 프레임 구간(Pb1)과 제3 프레임 구간(Pb3)에 각각 후속하는 제2 프레임 구간(Pb2)과 제4 프레임 구간(Pb34) 동안, 도 9d와 같이,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로 이거나 하한치 이하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로이거나 하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e는,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에, 계속 턴 온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9c와 달리,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Pb4)에도 턴 온된다.
한편, 도 9e는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9d에서, 영상의 선명도 향상 휘도 향상을 위해,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와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가변되므로,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와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조절되며,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f는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b3) 보다 작은 제4 듀티(Wb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b3) 보다 큰 제4 레벨(hb4)인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b3) 보다 작은 제4 듀티(Wb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b3) 보다 큰 제4 레벨(hb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Ara2)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 듀티(Wb3)와 제4 듀티(Wb4)의 차이는 ΔWb2이며, 제3 레벨(hb3)과, 제4 레벨(hb4)의 차이는 Δhb2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4 듀티(Wb4)가 작아지며, 제4 레벨(hb4)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a는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입력 영상(1010)을 예시한다.
도 10b는,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입력 영상 표시를 위한, 복수의 영상 프레임(1010a,1010b,1010c,1010d)을 예시한다.
도 10b는, 제1 영상 프레임(1010a)와 제2 영상 프레임(1010b) 사이의 오브젝트(Arb1)의 움직임이 Mb 인 것으로서, 기준치 미만인 것을 예시한다.
제1 영상 프레임 내지 제4 영상 프레임(1010a,1010b,1010c,1010d) 내의 오브젝트(Arb1)는,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영상 프레임 내지 제4 영상 프레임(1010a,1010b,1010c,1010d)은, 각각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수직 동기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제1 영상 내지 제4 영상 프레임(1010a,1010b,1010c,1010d)은, 각각 120Hz의 수직 동기 주파수에 맞춰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c1), 제1 영상(1010a)이 표시되며,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c2), 제2 영상(1010b)이 표시되며,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c3), 제3 영상(1010c)이 표시되며,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c4), 제4 영상(1010d)이 표시된다.
이때, 패널(210)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영상은, 도 10b와 달리, 제1 영상 프레임 내지 제4 영상 프레임(1010a,1010b,1010c,1010d) 내의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이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선명도 향상을 위해, 패널(210)에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 중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b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b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교번하여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c는,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b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c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c3)에는, 턴 온되나,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c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c3)에 각각 후속하는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c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c4)에 오프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10c는,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c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c3)에,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b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c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c1)인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0b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c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c3)에는,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b1)이 제대로 표시되며,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c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c4)에는,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b1)이 블랙 영역으로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도 10c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c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c4)의 광원의 턴 오프로 인하여, 전체 영상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즉, 도 8c 보다는 휘도가 높지만, 전체적으로 영상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c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c4)의 광원의 턴 오프를 고려하여,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c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c3)에,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b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와, 해당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증가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턴 온 듀티 증가에 따라, 선명도가 향상되며, 전류의 레벨 감소로 인하여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c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c1)로 설정되는 경우, 도 10d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Pc1)과 제3 프레임 구간(Pc3)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큰 제5 듀티(Wc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5 레벨(hc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c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c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의 움직임(Ma)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도 10d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Pc1)과 제3 프레임 구간(Pc3)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큰 제5 듀티(Wc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5 레벨(hc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d는, 제1 프레임 구간(Pc1)과 제3 프레임 구간(Pc3) 동안, 오브젝트 영역(Arb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c1) 보다 큰 제5 듀티(Wc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c1) 보다 작은 제5 레벨(hc2)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1 듀티(Wc1)와 제5 듀티(Wc2)의 차이는 ΔWc1이며, 제5 레벨(hc2)과, 제1 레벨(hc1)의 차이는 Δhc1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아질수록, 제5 듀티(Wc2)가 커지며, 제5 레벨(hc2)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제1 프레임 구간(Pc1)과 제3 프레임 구간(Pc3)에 각각 후속하는 제2 프레임 구간(Pc2)과 제4 프레임 구간(Pc34) 동안, 도 10d와 같이,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로 이거나 하한치 이하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로이거나 하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e는, 배경 영역(Arb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c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c4)에, 계속 턴 온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10c와 달리,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c2)과 제4 프레임 구간(Pc4)에도 턴 온된다.
한편, 도 10e는 배경 영역(Arb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c1) 보다 작은 제5 듀티(Wc3)이며, 배경 영역(Arb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c1) 보다 작은 제5 레벨(hc3)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0d에서, 영상의 선명도 향상 휘도 향상을 위해,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와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가변되므로, 배경 영역(Arb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와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배경 영역(Arb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조절되며,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에 대응하는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배경 영역(Arb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f는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c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c4), 배경 영역(Arb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c3) 보다 큰 제6 듀티(Wc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c3) 보다 작은 제6 레벨(hc4)인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b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c1) 보다 작은 제3 듀티(Wc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c1) 보다 작은 제3 레벨(hc3)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b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b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c3) 보다 큰 제6 듀티(Wc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c3) 보다 작은 제6 레벨(hc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Arb2)을 오브젝트 영역(Arb1)과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 듀티(Wc3)와 제6 듀티(Wc4)의 차이는 ΔWc2이며, 제3 레벨(hc3)과, 제6 레벨(hc4)의 차이는 Δhc2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아질수록, 제6 듀티(Wc4)가 커지며, 제6 레벨(hc4)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도 9a 내지 도 9f와 유사하게, 입력 영상(1110m) 내의 오브젝트(Arc1)의 움직임이 Ma로서, 제1 기준치 이상인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130)는, 영상 내의 오브젝트(Arc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도 11a 내지 도 11f는, 도 9a 내지 도 9f와 달리, 수직 동기 주파수가 120Hz가 아닌 240Hz인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11a 내지 도 11f와, 도 9a 내지 도 9f를 비교하면, 입력 영상(1110m) 내의 오브젝트(Arc1)의 움직임이 Ma로서, 제1 기준치 이상이면서,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오브젝트(Arc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를 더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11d는 제1 프레임 구간(Pd1)과 제3 프레임 구간(Pd3) 동안, 오브젝트 영역(Arc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d1) 보다 작은 제7 듀티(Wd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d1) 보다 큰 제7 레벨(hd2)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1 듀티(Wd1)와 제7 듀티(Wd2)의 차이는 ΔWd1이며, 제7 레벨(hd2)과, 제1 레벨(hd1)의 차이는 Δhd1이다.
한편, 도 9d와 도 11d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c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c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c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2 듀티(Wb2) 보다 작은 제7 듀티(Wd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2 레벨(hb2) 보다 큰 제7 레벨(hd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7 듀티(Wd2)가 작아지며, 제7 레벨(hd2)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제1 프레임 구간(Pd1)과 제3 프레임 구간(Pd3)에 각각 후속하는 제2 프레임 구간(Pd2)과 제4 프레임 구간(Pd34) 동안, 도 11d와 같이,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c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로 이거나 하한치 이하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로이거나 하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e는, 배경 영역(Arc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d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d4)에, 계속 턴 온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f는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d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d4), 배경 영역(Arc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d3) 보다 작은 제8 듀티(Wd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d3) 보다 큰 제8 레벨(hd4)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3 듀티(Wd3)와 제8 듀티(Wd4)의 차이는 ΔWd2이며, 제3 레벨(hd3)과, 제8 레벨(hd4)의 차이는 Δhd2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8 듀티(Wd4)가 작아지며, 제8 레벨(hd4)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e와 도 11e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c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c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c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4 듀티(Wb4) 보다 작은 제8 듀티(Wd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4 레벨(hb4) 보다 큰 제8 레벨(hd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도 10a 내지 도 10f와 유사하게, 입력 영상(1210) 내의 오브젝트(Ard1)의 움직임이 Mc로서, 제1 기준치 미만인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130)는, 영상 내의 오브젝트(Ard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를 증가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도 12a 내지 도 12f는, 도 10a 내지 도 10f와 달리, 수직 동기 주파수가 120Hz가 아닌 240Hz인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12a 내지 도 12f와, 도 10a 내지 도 10f를 비교하면, 입력 영상(1210) 내의 오브젝트(Ard1)의 움직임이 Ma로서,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오브젝트(Ard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를 더 증가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12d는 제1 프레임 구간(Pe1)과 제3 프레임 구간(Pe3) 동안, 오브젝트 영역(Ard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e1) 보다 작은 제9 듀티(We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e1) 보다 큰 제9 레벨(he2)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1 듀티(We1)와 제9 듀티(We2)의 차이는 ΔWe1이며, 제9 레벨(he2)과, 제1 레벨(he1)의 차이는 Δhe1이다.
한편, 도 10d와 도 12d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d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d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5 듀티(Wc2) 보다 작은 제9 듀티(We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5 레벨(hc2) 보다 큰 제9 레벨(he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9 듀티(We2)가 커지며, 제9 레벨(he2)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제1 프레임 구간(Pe1)과 제3 프레임 구간(Pe3)에 각각 후속하는 제2 프레임 구간(Pe2)과 제4 프레임 구간(Pe34) 동안, 도 12d와 같이,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d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로 이거나 하한치 이하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로이거나 하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e는, 배경 영역(Ard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e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e4)에, 계속 턴 온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2f는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e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e4), 배경 영역(Ard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e3) 보다 큰 제10 듀티(We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e3) 보다 작은 제10 레벨(he4)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3 듀티(We3)와 제10 듀티(We4)의 차이는 ΔWe2이며, 제3 레벨(he3)과, 제10 레벨(he4)의 차이는 Δhe2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아질수록, 제10 듀티(We4)가 커지며, 제10 레벨(he4)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e와 도 12e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d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6 듀티(Wc4) 보다 작은 제10 듀티(We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6 레벨(hc4) 보다 큰 제10 레벨(he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광원 구동을 위한 다양한 펄스 폭 가변 신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3a는 오버 드라이빙 없이 광원에 인가되는 펄스폭 가변 신호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3a의 (a)는 광원에 흐르는 펄스의 일예를 예시한다.
일단, 도면과 같이, Wf1의 펄스폭과 hf1의 전류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내의 움직임이 있는 오브젝트가 포함되며, 움직임 오브젝트의 이동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도 13a의 (a)의 펄스는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3a의 (b)와 같이, Wf2의 펄스폭과 hf2의 전류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3a의 (a)와 비교하여, ΔWf1 만큼 펄스폭이 감소하며, Δhf1만큼 전류 레벨이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a의 (c)와 같이, Wf3의 펄스폭과 hf3의 전류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3a의 (a)와 비교하여, ΔWf2 만큼 펄스폭이 감소하며, Δhf2만큼 전류 레벨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움직임 오브젝트의 이동이 커질수록, 도 13a의 (b) 보다는 도 13a의 (c)와 같이,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지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 레벨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30)는, 움직임 오브젝트의 이동이 일정한 경우, 순차적으로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지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1 프레임 구간에는, 도 13a의 (b)와 같은 펄스로 구동하고, 제3 프레임 구간에는, 도 13a의 (c)와 같은 펄스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3b는 오버 드라이빙 기법이 적용된 광원에 인가되는 펄스폭 가변 신호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와 도 13b를 비교하면, 오버 드라이빙 기법에 따라,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에 대응하는 피크치가 더 인가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3b의 (a)는 광원에 흐르는 펄스의 일예를 예시한다.
일단, 도면과 같이, Wf1의 펄스폭과 hf1의 전류 레벨로 설정되며, 오버 드라이빙 펄스의 폭은 Wo1, 레벨은 OD1일 수 있다.
한편, 영상 내의 움직임이 있는 오브젝트가 포함되며, 움직임 오브젝트의 이동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도 13b의 (a)의 펄스는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3b의 (b)와 같이, Wf2의 펄스폭과 hf2의 전류 레벨로 설정되며, 오버 드라이빙 펄스의 폭은 Wo2, 레벨은 OD2일 수 있다.
도 13b의 (a)와 비교하여, ΔWf1 만큼 펄스폭이 감소하며, Δhf1만큼 전류 레벨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 13b의 (a)와 비교하여, 오버 드라이빙 펄스의 폭은 더 커지며, 레벨도 더 커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b의 (c)와 같이, Wf3의 펄스폭과 hf3의 전류 레벨로 설정되며, 오버 드라이빙 펄스의 폭은 Wo3, 레벨은 OD3일 수 있다.
도 13b의 (a)와 비교하여, ΔWf2 만큼 펄스폭이 감소하며, Δhf2만큼 전류 레벨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 13b의 (a)와 비교하여, 오버 드라이빙 펄스의 폭은 더 커지며, 레벨도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움직임 오브젝트의 이동이 커질수록, 도 13b의 (b) 보다는 도 13b의 (c)와 같이,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지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 레벨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30)는, 움직임 오브젝트의 이동이 일정한 경우, 순차적으로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지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1 프레임 구간에는, 도 13b의 (b)와 같은 펄스로 구동하고, 제3 프레임 구간에는, 도 13b의 (c)와 같은 펄스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내의 모션을 검출하는 모션 검출부(1410),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오브젝트 검출부(1420)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도 2의 신호 처리부(170)는, 모션 검출부(1410)와, 오브젝트 검출부(142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모션 검출부(1410)와, 오브젝트 검출부(1420)는, 별개가 아닌 하나로 통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모션 검출부(1410)와, 오브젝트 검출부(1420)에서 움직임이 있는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20Hz에서, 240HZz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모션 검출부(1410)와, 오브젝트 검출부(1420)에서 각각 검출된 모션과, 오브젝트 정보는, 프로세서(1130)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서(1130)는, 도 7의 구동 제어부(1120) 내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130)는, 구동 제어부(256)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2 듀티(Wb2)가 작아지며, 제2 레벨(hb2)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b3) 보다 작은 제4 듀티(Wb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b3) 보다 큰 제4 레벨(hb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2 듀티(Wb2) 보다 작은 제7 듀티(Wd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2 레벨(hb2) 보다 큰 제7 레벨(hd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30)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4 듀티(Wb4) 보다 작은 제8 듀티(Wd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4 레벨(hb4) 보다 큰 제8 레벨(hd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a는 입력 영상(1510) 내의 오브젝트(OBJ)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b는 디스플레이(180)를 3*3의 9개의 영역(a~i)으로 구분되어, 백라이트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25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개의 영역(a~i)으로 구분되어, 백라이트를 통해 광이 액정표시패널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은, 움직임 있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의 선명도 및 휘도 증가를 위해, 로컬 디밍을 수행하면서,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을 일부 프레임에서 오프하며, 다른 일부 프레임에서,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와, 광원에 흐르는 전류 레벨을 가변한다.
도 15c는 240Hz의 수직 동기 주파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영상 프레임(1510a~1510d)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며, 움직임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백라이트는 일부 프레임(1510b,1510d)에만 켜지며, 그 펄스폭과 전류 레벨이 가변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움직임 있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의 선명도 및 휘도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백라이트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1510a~1510d) 동안 켜지며, 움직임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백라이트에 대응하여, 그 펄스폭과 전류 레벨이 가변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의 선명도 및 휘도 향상을 위해, 도 9a 내지 도 15c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턴 온 듀티와 휘도 레벨 가변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610)을 제공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610)은, 턴 온 듀티와 휘도 레벨 가변을, 다양한 비율로 설정할 수 있는 비율 항목(1612),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오토 항목(1614), 고정으로 설정할 수 있는 고정 항목(1616)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비율 항목(1612) 중 다양한 비율 설정에 따라, 턴 온 듀티와 휘도 레벨 가변의 비율이 설정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b)는, 유기발광패널(210b), 제1 인터페이스부(230b), 제2 인터페이스부(231b), 타이밍 컨트롤러(232b), 게이트 구동부(234b), 데이터 구동부(236b), 메모리(240b), 프로세서(270b), 전원 공급부(290b), 전류 검출부(51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b)는, 영상 신호(Vdb)와, 제1 직류 전원(V1b) 및 제2 직류 전원(V2b)을 수신하고, 영상 신호(Vdb)에 기초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b) 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0b)는, 신호 처리부(170b)로부터 영상 신호(Vdb)와, 제1 직류 전원(V1b)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전원(V1b)은, 디스플레이(180b) 내의 전원 공급부(290b), 및 타이밍 컨트롤러(232b)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인터페이스부(231b)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190b)로부터 제2 직류 전원(V2b)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직류 전원(V2b)은, 디스플레이(180b) 내의 데이터 구동부(236b)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b)는, 영상 신호(Vdb)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b)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b)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30b)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Vdb)를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va1b)를 출력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32b)는, 변환된 영상 신호(va1b)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b)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b)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b)(232b)는, 신호 처리부(170b)로부터의 비디오 신호(Vdb)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b)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b)(232b)는, 비디오 신호(Vdb)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b) 등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b)의 동작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Sgab), 데이터 구동부(236b)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Sdab)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 구동 신호(Sdab)는, 패널(210b)이 RGBW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RGBW 서브픽셀 구동용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b)는, 게이트 구동부(234b)에 제어 신호(Csb)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b)와 데이터 구동부(236b)는, 타이밍 컨트롤러(232b)로부터의 게이트 구동 신호(Sgab), 데이터 구동 신호(Sdab)에 따라, 각각 게이트 라인(GLb) 및 데이터 라인(DLb)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유기발광패널(210b)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210b)은 소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b)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b) 및 데이터 라인(DLb)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36b)는, 제2 인터페이스부(231b)로부터의 제2 직류 전원(V2b)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b)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b)는, 각종 전원을, 게이트 구동부(234b)와 데이터 구동부(236b), 타이밍 컨트롤러(232b)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전류 검출부(510b)는, 유기발광패널(210b)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되는 전류는, 누적 전류 연산을 위해, 프로세서(270b) 등에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b)는, 디스플레이(180b) 내의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34b)와 데이터 구동부(236b), 타이밍 컨트롤러(232b)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b)는, 전류 검출부(510b)로부터, 유기발광패널(210b)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b)는, 도 9a 내지 도 16에서 기술한 프로세서(1130)의 동작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턴 온 듀티 감소에 따라, 선명도가 향상되며, 전류의 레벨 증가로 인하여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2 듀티(Wb2)가 작아지며, 제2 레벨(hb2)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b3) 보다 작은 제4 듀티(Wb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b3) 보다 큰 제4 레벨(hb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Ara2)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큰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큰 제5 듀티(Wc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5 레벨(hc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아질수록, 제5 듀티(Wc2)가 증가하며, 제5 레벨(hc2)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b3) 보다 큰 제6 듀티(Wc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b3) 보다 작은 제6 레벨(hc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2 듀티(Wb2) 보다 작은 제7 듀티(Wd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2 레벨(hb2) 보다 큰 제7 레벨(hd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b3) 보다 작은 제4 듀티(Wb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b3) 보다 큰 제4 레벨(hb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Ara2)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4 듀티(Wb4) 보다 작은 제8 듀티(Wd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4 레벨(hb4) 보다 큰 제8 레벨(hd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큰 제5 듀티(Wc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5 레벨(hc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5 듀티(Wc2) 보다 작은 제9 듀티(We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5 레벨(hc2) 보다 큰 제9 레벨(he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b3) 보다 큰 제6 듀티(Wc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b3) 보다 작은 제6 레벨(hc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은 영상의 배경 영역(Ara2)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f1) 보다 큰 제2 주파수(f2)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6 듀티(Wc4) 보다 작은 제10 듀티(We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6 레벨(hc4) 보다 큰 제10 레벨(he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수직 동기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Ara1)에서 멀어질수록, 배경 영역(Ara2)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Ara2)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도 17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8a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픽셀(Pixe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210)은, 복수의 스캔 라인(Scan 1 ~ Scan n)과, 이에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R1,G1,B1,W1 ~ Rm,Gm,Bm,Wm)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픽셀(subpixel)이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RGBW의 서브픽셀(SR1,SG1,SB1,SW1)을 구비하는 픽셀(Pixel)을 도시한다.
도 18b는, 도 18a의 유기발광패널의 픽셀(Pixel)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sub pixel)의 회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서브픽셀(sub pixell) 회로(CRTm)는, 능동형으로서, 스캔 스위칭 소자(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스위칭 소자(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캔 스위칭 소자(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d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적색,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캔 스위칭 소자(SW1)와 구동 스위칭 소자(SW2)로서, p타입의 MOSFET인 경우를 예시하나, n타입의 MOSFET이거나, 그 외, JFET, IGBT, 또는 SIC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픽셀(Pixel)은, 단위 표시 기간 동안, 구체적으로 단위 프레임 동안, 스캔 신호가 인가된 이후, 유기발광층(OLED)에서 계속 발광하는 홀드 타입의 소자이다.
도 19a 내지 도 19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9a는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입력 영상(910)을 예시한다.
도 19b는,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입력 영상 표시를 위한, 복수의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을 예시한다.
도 19b는, 제1 영상 프레임(910a)와 제2 영상 프레임(910b) 사이의 오브젝트(Ara1)의 움직임이 Ma 인 것으로서, 기준치 이상인 것을 예시한다.
제1 영상 프레임 내지 제4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 내의 오브젝트(Ara1)는,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영상 프레임 내지 제4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은, 각각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수직 동기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제1 영상 내지 제4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은, 각각 120Hz의 수직 동기 주파수에 맞춰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 제1 영상(910a)이 표시되며,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 제2 영상(910b)이 표시되며,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 제3 영상(910c)이 표시되며,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 제4 영상(910d)이 표시된다.
이때, 패널(210)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영상은, 도 19b와 달리, 제1 영상 프레임 내지 제4 영상 프레임(910a,910b,910c,910d) 내의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이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선명도 향상을 위해, 패널(210)에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 중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교번하여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c는,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는, 턴 온되나,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 각각 후속하는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에 오프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19c는,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인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9b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는,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이 제대로 표시되며,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에는,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이 블랙 영역으로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도 19c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의 광원의 턴 오프로 인하여, 전체 영상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즉, 도 8c 보다는 휘도가 높지만, 전체적으로 영상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의 광원의 턴 오프를 고려하여,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과 제3 프레임 구간 동안(Pb3)에, 움직이는 오브젝트인 차량(Ara1)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와, 해당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턴 온 듀티 감소에 따라, 선명도가 향상되며, 전류의 레벨 증가로 인하여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되는 경우, 도 19d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Pb1)과 제3 프레임 구간(Pb3)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의 움직임(Ma)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도 19d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Pb1)과 제3 프레임 구간(Pb3) 동안,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 대해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9d는, 제1 프레임 구간(Pb1)과 제3 프레임 구간(Pb3) 동안,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2 듀티(Wb2)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큰 제2 레벨(hb2)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1 듀티(Wb1)와 제2 듀티(Wb2)의 차이는 ΔWb1이며, 제2 레벨(hb2)과, 제1 레벨(hb1)의 차이는 Δhb1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2 듀티(Wb2)가 작아지며, 제2 레벨(hb2)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b)는, 제1 프레임 구간(Pb1)과 제3 프레임 구간(Pb3)에 각각 후속하는 제2 프레임 구간(Pb2)과 제4 프레임 구간(Pb34) 동안, 도 19d와 같이,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로 이거나 하한치 이하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로이거나 하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e는,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에, 계속 턴 온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19c와 달리, 제2 프레임 구간 동안(Pb2)과 제4 프레임 구간(Pb4)에도 턴 온된다.
한편, 도 19e는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9d에서, 영상의 선명도 향상 휘도 향상을 위해,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와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가변되므로,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와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조절되며,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 영역(Ara1)에 대응하는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위치의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f는 제1 프레임 구간 동안(Pb1) 내지 제4 프레임 구간 동안(Pb4),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b3) 보다 작은 제4 듀티(Wb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b3) 보다 큰 제4 레벨(hb4)인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Wb1) 보다 작은 제3 듀티(Wb3)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hb1) 보다 작은 제3 레벨(hb3)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a2)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3 듀티(Wb3) 보다 작은 제4 듀티(Wb4)이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3 레벨(hb3) 보다 큰 제4 레벨(hb4)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Ara2)을 오브젝트와 유사하게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 듀티(Wb3)와 제4 듀티(Wb4)의 차이는 ΔWb2이며, 제3 레벨(hb3)과, 제4 레벨(hb4)의 차이는 Δhb2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70b)는, 입력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제4 듀티(Wb4)가 작아지며, 제4 레벨(hb4)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명도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영상 표시를 위한 패널;
    상기 패널에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상기 복수의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
    상기 광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감소시키고,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질수록, 상기 제2 듀티가 감소하며, 상기 제2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작아질수록, 상기 제5 듀티가 증가하며, 상기 제5 레벨이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상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2 듀티 보다 작은 제7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2 레벨 보다 큰 제7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3 듀티 보다 작은 제4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3 레벨 보다 큰 제4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상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4 듀티 보다 작은 제8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4 레벨 보다 큰 제8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큰 제5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5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상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5 듀티 보다 작은 제9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5 레벨 보다 큰 제9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인 경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3 듀티 보다 큰 제6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6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3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의 움직임이 제1 기준치 미만이며, 수직 동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 보다 큰 제2 주파수인 경우,
    상기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배경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6 듀티 보다 작은 제10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6 레벨 보다 큰 제10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배경 영역의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유기발광패널;
    상기 유기발광패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
    상기 광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내의 움직임에 있는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고,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제1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입력 영상 내의 상기 오브젝트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턴 온 듀티가 상기 제1 듀티 보다 작은 제2 듀티이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보다 큰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90106037A 2019-08-28 2019-08-28 영상표시장치 KR102643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37A KR102643587B1 (ko) 2019-08-28 2019-08-28 영상표시장치
PCT/KR2020/011520 WO2021040445A1 (en) 2019-08-28 2020-08-28 Image display apparatus
US17/005,902 US11176877B2 (en) 2019-08-28 2020-08-28 Image display apparatus
EP20859283.2A EP4022598A4 (en) 2019-08-28 2020-08-28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37A KR102643587B1 (ko) 2019-08-28 2019-08-28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52A true KR20210025952A (ko) 2021-03-10
KR102643587B1 KR102643587B1 (ko) 2024-03-04

Family

ID=7468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037A KR102643587B1 (ko) 2019-08-28 2019-08-28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76877B2 (ko)
EP (1) EP4022598A4 (ko)
KR (1) KR102643587B1 (ko)
WO (1) WO20210404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120A1 (ko) * 2021-04-28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905A (ko) * 2019-12-24 2021-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21236069A1 (en) * 2020-05-19 2021-11-25 Google Llc Display pwm duty cycle compensation for delayed rendering
US11322080B1 (en) * 2020-11-30 2022-05-03 Himax Technologies Limited Image display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725A (ko) * 2004-01-14 2005-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램프를 구비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램프전류 조절방법 및 장치
KR20080055415A (ko) * 2006-12-15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20130076769A1 (en) * 2011-09-26 2013-03-28 Ji Eun Par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5544B (zh) * 2008-10-24 2015-03-01 Semiconductor Energy Lab 顯示裝置
JP5084949B2 (ja) * 2009-10-02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
JP2014102295A (ja) * 2012-11-16 2014-06-05 Sony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80047263A (ko) 2016-10-31 2018-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551136B1 (ko) 2018-01-02 202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71086B2 (en) * 2018-02-02 2021-04-06 Apple Inc. Pulsed backlight systems and methods
KR102649063B1 (ko) * 2018-10-24 202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725A (ko) * 2004-01-14 2005-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램프를 구비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램프전류 조절방법 및 장치
KR20080055415A (ko) * 2006-12-15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20130076769A1 (en) * 2011-09-26 2013-03-28 Ji Eun Par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120A1 (ko) * 2021-04-28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65621A1 (en) 2021-03-04
EP4022598A4 (en) 2023-08-30
EP4022598A1 (en) 2022-07-06
US11176877B2 (en) 2021-11-16
KR102643587B1 (ko) 2024-03-04
WO2021040445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587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37044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661825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1151935B2 (en) Image display device
US1153228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483086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366403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14837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200079981A (ko) 영상표시장치
KR10257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N111757078B (zh) 信号处理设备和包括信号处理设备的图像显示装置
US1159417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90042374A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8624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4554122B (zh) 图像显示设备
KR20200081174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20230169024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335255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913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20230224425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having same
US20220139310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