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307A - 스트랩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랩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307A
KR20210025307A KR1020190105169A KR20190105169A KR20210025307A KR 20210025307 A KR20210025307 A KR 20210025307A KR 1020190105169 A KR1020190105169 A KR 1020190105169A KR 20190105169 A KR20190105169 A KR 20190105169A KR 20210025307 A KR20210025307 A KR 20210025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aterial
material layer
strap
wearable devic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강정현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307A/ko
Publication of KR2021002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0Connections between or with tubula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연결되어 인체에 착용하게 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가 배치된 제1스트랩;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사의 결속 돌기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개구가 형성된 제2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는 상기 제1스트랩의 일면에 돌출형으로 배치되고, 서로 적층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다른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랩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HAVING STRAP WITH CONDUCTIVE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와치,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안경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게임, 통화, 메시지 전송,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또는 헬스 정보 확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충전을 하기 위해서 충전 단자, 센서, 또는 배터리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는 하우징의 외부에 충전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패드, 핀, 또는 클립과 같은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장치는 충전을 위해 충전기, 충전 케이블, 또는 보조 배터리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고 제조사 입장에서 별도도 충전기 제작을 위한 단가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는 충전이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단자를 하우징에 포함하는 경우, 하우징 내의 공간이 부족하거나, 하우징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스트랩에 배치된 도전 구조와, 별도의 전기적 연결 콘넥터를 이용하여 충전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스트랩에 배치된 도전 구조에 생체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전극을 포함한 도전 구조가 배치된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본체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연결되어 인체에 착용하게 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가 배치된 제1스트랩;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사의 결속 돌기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개구가 형성된 제2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는 상기 제1스트랩의 일면에 돌출형으로 배치되고, 서로 적층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다른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스트랩에 배치된 도전 구조와 전기적 연결 커넥터를 통하여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편의성 및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기적 연결 커넥터의 부품 공용화가 가능한 구조이며 전기적 연결 콘넥터의 역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1,2스트랩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된 결속 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된 결속 돌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된 결속 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된 결속 돌기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의 돌출 구조가 삽입되는 제2스트랩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가 제2스트랩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의 돌출 구조가 삽입되는 제2스트랩의 삽입 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가 제2스트랩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도전성 부재가 본체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도전성 부재가 본체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되는 제1도전성 부재가 제2도전성 부재에 의해 결속 돌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2결속 돌기가 제2스트랩에 삽입된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2결속 돌기가 2극 접속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결속 돌기가 2극 접속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다른 제1,2결속 돌기가 4극 접속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결속 돌기가 4극 접속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결속 돌기, 연결 콘넥터 및 전원 공급부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감지 전극으로 사용가능한 결속 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1,2스트랩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타입의 전자 장치(10)는 인체에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타입의 전자 장치(10)는 인체에서 손목에 착용가능한 손목 착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타입의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0)는 본체 하우징(11)과, 제1,2스트랩(12,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11)은 디스플레이, 인쇄회로기판, 안테나, 또는 배터리와 같은 복수 개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 하우징(11)은 본체, 하우징, 본체부 또는 하우징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어구로서, 나열된 어구 중, 어느 하나로 지칭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0)는 제1,2스트랩(12,13)의 결속에 의해서, 본체 하우징(11)을 손목에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속 구조를 위해서, 제1스트랩(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14 및/또는 15)를 포함하고, 제2스트랩(1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개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결속 돌기(14 및/또는 15)는 제1결속 돌기(14) 또는 제1,2결속 돌기(14,15)가 제1스트랩(12)에 배치될 수 있다. 결속 개구(160)는 제2스트랩(13)에 제2스트랩(13)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스트랩(12)에 제1,2결속 돌기(14,15)가 형성되는 구조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은 제1외면(12a)과 제1내면(12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의 제1내면(12b)은 제1,2결속 돌기(14,15)가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은 본체 하우징(11)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일단부(121)와, 제1,2결속 돌기(14,15)가 배치되는 타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스트랩(13)은 제2외면(13a)과 제2내면(13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스트랩(13)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결속 개구(16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속 개구(160)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결속 개구(160)에 제1,2결속 돌기(14,15)가 결합되어서, 웨어러블 장치(10)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 및/또는 제2스트랩(13)은 플렉시블한 재질, 예컨대 실리콘 또는 러버 재질이거나, 가죽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0)는 제1스트랩(1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 구조는 제1,2결속 돌기(14,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2돌기(14,15)는 결속 개구(160)와 결합되어서 손목에 착용하게 하는 결속 기능과,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여서, 충전이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접속 단자 기능을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0)는 제1,2결속 돌기(14,15)를 본체 하우징(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부재에 의해 제1,2결속 돌기(14,15)는 본체 하우징(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부재는 제1,2결속 돌기(14,15)를 제1스트랩(12)의 일단부(121)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도전성 부재와, 일단부(121)와 본체 하우징(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도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된 결속 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된 결속 돌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된 결속 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된 결속 돌기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제1결속 돌기(14)(예: 도 1a, 도 1b에 도시된 제1결속 돌기 또는 제2결속 돌기(14 및/또는 15))는 제1스트랩(12)의 일단부(121) 제1내면(12b)에 적어도 1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스트랩(12)에 1개의 제1결속 돌기(14)가 배치된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하나의 도전체로서, 제1스트랩(12)의 제1내면(12b)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적층 타입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141-14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결속 돌기(14)는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들(141-14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141-144)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141-14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들(예: 제1 내지 제3 도전성 물질층들(141-143)),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예: 제4 도전성 물질층(14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결속 개구(160)에 삽입되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걸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결속 돌기(14)가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을 포함하는 적층 타입 구조라면, 제4도전성 물질층(144)은 결속 개구(예: 도 1b에 도시된 결속 개구(160))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뾰족한 형상, 예컨대 원뿔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4도전성 물질층(144)과 제1내면(12b) 사이에 적층된 제3도전성 물질층(143)은 제4도전성 물질층(144)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도전성 물질층(143)과 제1내면(12b) 사이에 적층된 제2도전성 물질층(142)은 제3도전성 물질층(143)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성 물질층(142)과 제1내면(12b) 사이에 적층된 제1도전성 물질 물질층(141)은 제1결속 돌기(14)의 베이스로서, 제1스트랩(12)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도전성 물질층(141)의 직경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제3도전성 물질층(143)의 직경 크기를 제4도전성 물질층(144)의 하부 직경보다 크게 하여 결속 개구(예: 도 1b에 도시된 결속 개구(160))와의 결합 후의 걸림을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제1 내지 제3도전성 물질층(141-143)이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들(141-144)은 서로 절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서, 서로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는 접속 단자로 동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은 상이한 형상, 또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은 동일한 도전체나 상이한 재질의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내부는 비어있는 공간이 존재하는 형상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은 서로 다른 전기적 정보 또는 전하를 전달할 수 있는 도전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결속 돌기(14)의 기능은 충전 기능이나, 신호 전송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중공형(hollow-type)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결속 돌기(14)는 내부에 개방 공간(148)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결속 돌기(14)의 구조에 따라 제4도전성 물질층(144)은 중공형이 아닐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충전 단자, 2핀 접속 구조, 3핀 접속 구조, 또는 4핀 접속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에서, 제1도전성 물질층(141)은 Vbu 정보 단자와 접속하고, 제2도전성 물질층(142)은 ID 정보 단자와 접속하고, 제3도전성 물질층(143)은 GND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에서, 제4도전성 물질층(144)은 D+ 정보 단자와 접속하고, 제2도전성 물질층(142)은 D- 정보 단자와 접속을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이 적층된 제1결속 돌기(14)에서, 제2도전성 물질층(142)은 제3도전성 물질층(143)과 단차가 형성되고, 제3도전성 물질층(143)은 제4도전성 물질층(144)과 단차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도전성 물질층(141,142)은 제1절연 물질층(145)에 의해 절열될 수 있고, 제2,3도전성 물질층(142,143)은 제2절연 물질층(146)에 의해 절열될 수 있으며, 제3,4도전성 물질층(143,144)은 제3절연 물질층(147)에 의해 절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의 돌출 구조가 삽입되는 제2스트랩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가 제2스트랩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20)는 제1스트랩(12)에 배치된 제1,2결속 돌기(예: 도 1a에 도시된 제1,2결속 돌기(14,15))를 다른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기 위한 연결 장치, 예컨대 젠더(gender)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콘넥터(20)는 콘넥터 본체 하우징(210), 콘넥터(2120), 또는 돌출 구조(2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넥터 본체 하우징(210)은 박스 형상으로서, 전면(210a)에 콘넥터(2120)가 배치되고, 상면(210b)에 돌출 구조(214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돌출 구조(2140)는 상면(210b)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서, 제2스트랩(13)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어서, 연결 콘넥터(20)를 제2스트랩(13)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구조(2140)는 상면(210b)에 제1,2결속 돌기(14,15)가 삽입되기 위한 두 개의 접속 구멍(216)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넥터 본체 하우징(210)은 후면(210c)에 접속부를 배치하여, 추가적인 전자 장치가 전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별도의 충전 장치가 결합되어 스트랩으로의 충전 또는 모바일 전자 장치로의 충전을 동시에 가능(양방향)하게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210a)에는 콘넥터(21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콘넥터(2120)는 A 타입, B 타입, C 타입 또는 마이크로 B 타입 USB 콘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넥터(2120)는 USB 타입, C 타입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마이크로 USB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콘넥터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스트랩(13)은 단부에 삽입 개구(16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개구(162)는 복수 개의 결속 개구(160)와 근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개구(162)는 제2스트랩(13) 내면(13b) 위에서 봤을 경우,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삽입 개구(162)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각형의 형상이나 원이나 타원형 형상도 가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개구(162)는 돌출 구조(예: 도 3에 도시된 돌출 구조(2140))와 결합되어서, 연결 콘넥터(20)를 제2스트랩(13)에 고정시키며, 제1,2결속 돌기(예: 도 1a에 도시된 제1,2결속 돌기(14,15))의 접합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한 실시에에 따르면, 삽입 개구(162)에 돌출 구조(2140)가 결합되면, 결합 구조에 의해 연결 콘넥터(20)는 재2스트랩(13)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스트랩에 의해 안정적인 지지 상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 상태의 연결 콘넥터(20)의 접속 구멍(216)에 제1,2결속 돌기(예: 도 1a에 도시된 제1,2결속 돌기(14,15))가 삽입될 수 있고, 콘넥터(2120)가 다른 전자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의 돌출 구조가 삽입되는 제2스트랩의 삽입 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콘넥터가 제2스트랩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제1,2결속 돌기(14,15))의 역삽 방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삽 방지 구조는 제1,2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제1,2결속 돌기(14,15))와 연결 콘넥터(20) 간의 접속 시에 반대로의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 구조물로서, 연결 콘넥터(20)와 제2스트랩(13)의 결합 구조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삽 방지 구조는 콘넥터 본체 하우징(210) 상면(210b)에 형성된 비대칭 형상의 돌출 구조(2240)와, 비대칭 형상의 삽입 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대칭 형상의 돌출 구조(2240)는 일측 부분(225)과 타측 부분(226)이 서로 대칭형상이 아닐 수 있다. 예컨대, 돌출 구조(2240)를 위에서 보면, 일측 부분(225)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타측 부부(226)은 반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돌출 구조(2240)는 일측 부분(225)과 타측 부분(226)의 형상이 상이함으로써, 제2스트랩의 삽입 개구(17)로의 제1,2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제1,2결속 돌기(14,15)의 삽입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돌출 구조(2240)의 비대칭 형상은 직사각형과 반 원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비대칭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구조(2240)가 역삽 방지 개구(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2결속 돌기(예: 도 1a에 도시된 제1,2결속 돌기(14,15))는 접속 구멍(216)에 삽입되어서 짐으로서, 제1,2결속 돌기(예: 도 1a에 도시된 제1,2결속 돌기(14,15))는 연결 콘넥터(20)와 접속될 수 있다.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도전성 부재가 본체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도전성 부재가 본체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한 실시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은 결속 돌기(14)를 본체 하우징(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은 본체 하우징(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제1도전성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부재(123)는 제1스트랩(12)에 결합되는 제1부분(123a), 또는 본체 하우징(11)에 결합되는 제2부분(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도전성 부재(123)는 충전 연결 콘넥터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부분(123a)은 제2도전성 부재(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고, 제2부분(123b)은 본체 하우징(11)에 배치된 제1회로 기판(PCB1)에 접속될 수 있는 접속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제2부분(123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으로 지지되는 충전 접속 단자(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접속 단자(1230)는 2개 이상 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PCB1)은 브라켓(B)에 의해 제2부분(123b)과 대면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은 본체 하우징(11)에서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과 본체 하우징(11)의 결합 구조는 방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되는 제1도전성 부재가 제2도전성 부재에 의해 결속 돌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은 제1결속 돌기(14)와 제1도전성 부재(1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도전성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부재(124)의 일단 부분은 제1결속 돌기(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 부분은 제1도전성 부재(123)의 제1부분(12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부재(124)는 개방 공간(148)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층(예: 제1 내지 제4 도전성 물질층(141-1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부재(124)는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부재(123)가 충전 접속을 위한 도전성 부재일 경우, 제2도전성 부재(124)는 2개의 도전성 와이어나 케이블, 또는 2 라인 도전성 패턴을 가지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부재(124)는 제1스트랩(12)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도전성 부재(124)의 일체형 제작 방식은 사출 성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랩에 배치되는 제1도전성 부재가 제2도전성 부재에 의해 결속 돌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은 제1,2결속 돌기(14,15)와 제1도전성 부재(1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도전성 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부재(126)의 일단 부분은 제1,2결속 돌기(14,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 부분은 제1도전성 부재(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도전성 부재(123)가 정보를 전달하는 5개의 단자(123a)를 포함한다면, 제2도전성 부재(124)는 5 라인의 와이어나, 케이블이나, 5개의 라인 도전성 패턴을 가지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결속 돌기(14,15)는 4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14 또는 15)의 각각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들(141-144))은 내부 공간(예 ;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내부 공간(148))을 통해 상기 제2도전성 부재(1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2결속 돌기가 제2스트랩에 삽입된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2결속 돌기가 2극 접속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도 14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제1결속 돌기(14)나 제2결속 돌기(15)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결속 돌기(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에 배치된 제1,2결속 돌기(14,15)를 연결 콘넥터(20)에 삽입하기 위해서, 제2스트랩(13)에 형성된 삽입 개구(예 : 도 7에 도시된 삽입 개구(17))에 돌출 구조(2240)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 개구(17)에 돌출 구조(2240)가 삽입되면, 연결 콘넥터(20)는 제2스트랩(13)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에 배치된 제1,2결속 돌기(14,15)가 연결 콘넥터(20)에 삽입되면, 각각의 제1,2 결속 돌기(14,15)는 각각의 제1,2단자(21,22)와 접속되고,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콘넥터(20)는 제2 회로 기판(PCB2)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2단자(2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단자(21)는 각각의 자유단이 탄성을 가지는 제1,2접속 단자(212,2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2접속 단자(212,214)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단자(21)의 제1접속 단자(212)는 제1결속 돌기(14)의 제2도전성 물질층(142)과 접속되는 단자이고, 제2접속 단자(214)는 제1결속 돌기(14)의 제4도전성 물질층(144)과 접속되는 단자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속 돌기(15)는 제5 내지 제8도전성 물질층(151-15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속 돌기(15)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제1결속 돌기(14)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단자(22)는 각각의 자유단이 탄성을 가지는 제3,4접속 단자(222,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단자(22)의 제3접속 단자(222)는 제2결속 돌기(15)의 제6도전성 물질층(152)과 접속되는 단자이고, 제4접속 단자(224)는 제2결속 돌기(15)의 제8도전성 물질층(154)과 접속되는 단자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콘넥터(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PCB2, PCB3), 내부 지지 구조물(230), 또는 콘넥터(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로 기판(PCB2)은 제3회로 기판(PCB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회로 기판(PCB2)은 전기적 연결 장치들(225), 예컨대 케이블이나 와이어, 또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서 제3회로 기판(PCB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회로 기판(PCB3)은 내부 지지 구조물(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지지 구조물(230)은 사출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넥터(2120)는 제3회로 기판(PCB3)과 복수 개의 전기적 연결 장치(225) 및 제2회로 기판(PCB2)에 의해 제1,2 결속 돌기(14,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넥터(2120)는 모바일 전자 장치나 충전 배터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 예컨대 C 타입의 콘넥터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제1,2결속 돌기(14,15)가 연결 콘넥터(20)에 삽입될 시, 정상적인 삽입 동작과 역삽이 발생할 수 있다. 역삽이 발생할 경우, 내부적인 구조로 역삽에 따른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적인 구조, 예를 들어 역삽 방지 구조로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역삽을 방지하는 내부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연결 콘넥터(20)의 제1단자(21)의 제1접속 단자(212)를 Vbus, 제2접속 단자(214)를 그라운드, 제2단자(22)의 제3접속 단자(222)를 D-, 제4접속 단자(224)를 D+로 형성할 수 있고, 제1결속 돌기(14)의 제2도전성 물질층(142)을 Vbus, 제4도전성 물질층(144)을 그라운드, 제2결속 돌기(15)의 제8도전성 물질층(154)은 D-, 제6도전성 물질층(152)을 D+로 구성할 수 있다.
제1,2결속 돌기(14,15)가 연결 콘넥터(20)에 정상 삽입이 되었을 경우, 제1단자의 제1접속 단자(Vbus핀)(212)과 제1결속 돌기(14)의 제2도전성 물질층(Vbus)(142)이 Short되어 충전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의 제3,4도전성 물질층(143,144)에 제1단자(21)가 연결되고, 제2결속 돌기(15)의 제6,제8도전성 물질층(152,154)이 제2단자(22)와 연결되며, 제2결속 돌기(15)의 제7도전성 물질층(153)이 비도전성 물질층으로 형성되었을 때, 역삽일 경우, 제2결속 돌기(15)의 제7도전성 물질층(153)이 비도전성 물질층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제1단자(21)의 제1접속 단자(212)와 연결이 되어도 쇼트가 되지 않아 훼손을 방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의적인 반복적 역삽을 시도 하더라도, 연결 콘넥터(20)의 제1접속 단자(212)(예: Vbus 핀)가 제1결속 돌기(14)의 제2전도성 물질층(Vbus 핀)(142) 외에 다른 전도성 물질층과 Short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역삽 사고 예방을 구현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역삽이 되었을 경우, 제2결속 돌기(15)의 제8도전성 물질층(D+)(154)이 연결 콘넥터(20)의 제1단자(21)의 제2접속 단자(GND)(214)와 Short되고, 제2단자(22)의 제2접속 단자(224)(D)가 제1결속 돌기(14)의 제4도전성 물질층(144)(그라운드)과 연결이 되면서, 각 D+ 단자에 연결된 GND를 통해 임피던스 변화값 또는 각 D+ 신호 라인의 주체인 웨어러블 장치 또는, 충전, DATA를 제공하는 PC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의 AP, MCU, 또는 PMIC와 같은 부품에서 감지되는 ADC 값을 통해, 역삽을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역삽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결속 돌기가 2극 접속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결속 돌기(14)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결속 돌기(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12)에 한 개의 결속 돌기(14)가 배치되고, 연결 콘넥터의 제4회로 기판(PCB4)에 두 개의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 돌기(14)가 연결 콘넥터(예: 도 3의 연결 콘텍터(20))에 삽입되면, 제2도전성 물질층(142)은 제1접속 단자(212)와 접속되고, 제4도전성 물질층(144)은 제2접속 단자(214)와 접속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2접속 단자(212,214)는 도전성 연결 부재(225), 예컨대 케이블이나 와이어나 플렉시블 회로 기판에 의해 제5회로 기판(PCB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회로 기판(PCB5)은 지지 구조물(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다른 제1,2결속 돌기가 4극 접속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제1결속 돌기(14)나 제2결속 돌기(15)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제1결속 돌기(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는 제1 내지 제 4도전성 물질층들(141-14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속 돌기(15)는 제5 내지 제8도전성 물질층들(151-15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속 돌기(14)와 접속하는 제1단자(21)는 제1 내지 제4접속 단자들(211-2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접속 단자(211)는 제1도전성 물질층(1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접속 단자(212)는 제2도전성 물질층(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접속 단자(213)는 제3도전성 물질층(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접속 단자(214)는 제4도전성 물질층(1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속 돌기(15)와 접속하는 제2단자(22)는 제5 내지 제8접속 단자들(221-2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접속 단자(221)는 제5도전성 물질층(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6접속 단자(222)는 제6도전성 물질층(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7접속 단자(223)는 제7도전성 물질층(1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8접속 단자(224)는 제8도전성 물질층(1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접속 단자(211-214)는 자유단이 탄성을 가지게 형성되어서, 각각의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과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접속 단자(211-214)에 제공된 탄성은 제1 내지 제4도전성 물질층(141-144)과 밀착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 내지 제8접속 단자(221-224)는 자유단이 탄성을 가지게 형성되어서, 제5 내지 제8도전성 물질층(151-154)과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5 내지 제8접속 단자(221-224)에 제공된 탄성은 제5 내지 제8도전성 물질층(151-154)과 밀착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2결속 돌기가 4극 접속 연결 콘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제2결속 돌기(15)는 도 16에 도시된 제2결속 돌기(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에 제2 결속 돌기(15)가 배치되고, 연결 콘넥터(20)의 제4회로 기판(PCB4)에 제2 단자(22)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속 돌기(15)와 접속하는 제2단자(22)는 제5 내지 제8접속 단자들(221-2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접속 단자(221)는 제1도전성 물질층(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접속 단자(222)는 제2도전성 물질층(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접속 단자(223)는 제3도전성 물질층(1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접속 단자(224)는 제4도전성 물질층(1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단자(22)는 도전성 연결 부재(225), 예컨대 케이블이나 와이어나 플렉시블 회로 기판에 의해 제5회로 기판(PCB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회로 기판(PCB5)은 지지 구조물(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콘넥터(20)는 일측으로 제2연결 단자(22)가 배치되고, 타측으로 콘넥터(212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넥터(2120)는 피메일 접속부(2121), 또는 지지 케이스(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콘넥터(2120)가 전자 장치에 배치된 콘넥터 마운트(2123)에 접속될 경우, 피메일 접속부(2121)는 콘넥터 마운트(2123)에 배치된 메일 콘넥터(미도시)에 접속되고, 지지 케이스(2122)는 콘넥터 마운트(2123)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 케이스(2122)의 삽입 구조는 전자 장치에 배치된 메일 콘넥터와 피메일 접속부(2121) 간의 접속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케이스(2122)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
도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결속 돌기, 연결 콘넥터 및 전원 공급부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 돌기는 연결 콘넥터(예: 젠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콘넥터는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예: 도 1a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의 제1스트랩에 배치된 결속 돌기(예: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결속 돌기(14))의 충전 콘택은 2핀 접속이 가능한 구조이거나, 4핀 접속이 가능한 구조 또는 5핀 접속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핀 접속이 가능한 결속 돌기는 전원 단자(P)의 도전성 물질층과 접지 단자(G)의 도전성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콘넥터(예: 도 3에 도시된 연결 콘넥터(20))는 충전을 위한 4개의 접속 단자 지지 구조를 구비하거나, 데이터 통신 겸용 충전을 위한 5개의 접속 단자 지지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예: 도 1a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는 TA나, 마이크로 USB에 의해 연결된 전자 장치이거나, 또는 C-타입 콘넥터에 의해 연결된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거나, 반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감지 전극으로 사용가능한 결속 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제1,2스트랩(12,13)(예: 도 1a에 도시된 제1,2스트랩(12,13))이 결속 돌기(34)(예: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결속 돌기(14))에 의해 결속된 상태에서, 결속 돌기(34)는 일단부에 있는 도전성 물질층(예: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제1도전성 물질층(141))의 제1면(340)이나, 타단부에 있는 도전성 물질층(예: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제4도전성 물질층(144))의 제2면(342)이 피부에 접촉가능하기 때문에, 생체 감지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예 : 도 1a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예 : 도 1a에 도시된 본체 하우징(11)) 및 상기 본체 하우징(예 : 도 1에 도시된 본체 하우징(11))에 연결되어 인체에 착용하게 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도 1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가 배치된 제1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1스트랩(12))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사의 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개구(예 : 도 1b에 도시된 결속 개구(160))가 형성된 제2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2스트랩(13))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도 1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는 상기 제1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1스트랩(12))의 일면에 돌출형으로 배치되고, 서로 적층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예 : 도 1a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를 다른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는 상기 제1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1스트랩(12))의 일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14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4))은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들의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4))과 상기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4))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3))은 걸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들은 상기 제1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1스트랩(12))에 배치된 제1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 상기 제1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의 직경 크기와 상이하고, 상기 제1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과 결합되는 제2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2)), 상기 제2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2))의 직경 크기와 상이하고, 상기 제2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2))과 결합되는 제3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3)) 및 상기 제3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3))과 결합되는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144))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143))들은 서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2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144))들은 서로 절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1스트랩(12))은 상기 결속 돌기(예 : 도 1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를 상기 본체 하우징(예 : 도 1a에 도시된 본체 하우징(11))에 포함된 회로 기판(예 : 도 10에 도시된 회로 기판(PCB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부재(예 : 도 9에 도시된 도전성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1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1스트랩(12))과 상기 회로 기판(예 : 도 10에 도시된 회로 기판(PCB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도전성 부재(예 : 도 9에 도시된 제1도전성 부재(123)) 및 상기 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를 상기 제1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도전성 부재(예 : 도 12a에 도시된 제2도전성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는 내부가 비어있는 내부 공간(예 : 도 2c에 도시된 내부 공간(148))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은 상기 내부 공간(예 : 도 2c에 도시된 내부 공간(148))을 통해 상기 제2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들 중 적어도 일부는 충전 단자 또는 신호 단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예 : 도 1a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에 있어서, 본체부(예 : 도 1a에 도시된 본체부(11)) 및 상기 본체부(예 : 도 1a에 도시된 본체부(11))에 연결되어 인체에 착용하게 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가 배치된 제1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1스트랩(12))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결속 개구(예 : 도 1b에 도시된 결속 개구(160))와, 상기 결속 개구(예 : 도 1b에 도시된 결속 개구(160))와 근접한 부분에 형성된 삽입 개구(예 : 도 4에 도시된 삽입 개구(162))를 포함하는 제2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2스트랩(13))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는 상기 제1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1스트랩(12))의 일면에 돌출형으로 배치되고, 서로 적층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예 : 도 1a에 도시된 본체부(11)) 외부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개구(예 : 도 4에 도시된 삽입 개구(162))는 상기 제2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2스트랩(13))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개구(예 : 도 7에 도시된 삽입 개구(17))는 역삽 방지 개구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스트랩(예 : 도 1a에 도시된 제2스트랩(13))의 일면 위에서 봤을 경우, 상기 삽입 개구(예 : 도 7에 도시된 삽입 개구(17))는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도 1a에 도시된 결속 돌기(14, 15))는 걸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을 포함하고, 상기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은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들의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예 : 도 1a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14,15))들은 단차를 포함하고, 서로 절연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예 : 도 19에 도시된 결속 돌기(34)) 중, 하나의 결속 돌기(예 : 도 19에 도시된 결속 돌기(34))의 일부(예 : 도 19에 도시된 도전성 물질층(3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연결되어 인체에 착용하게 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가 배치된 제1스트랩;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사의 결속 돌기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개구가 형성된 제2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는
    상기 제1스트랩의 일면에 돌출형으로 배치되고, 서로 적층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다른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는 상기 제1스트랩의 일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웨어러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은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과 상기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은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웨어러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은
    상기 제1스트랩에 배치된 제1원통형 도전성 물질층;
    상기 제1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의 직경 크기와 상이하고, 상기 제1원통형 도전성 물질층과 결합되는 제2원통형 도전성 물질층;
    상기 제2원통형 도전성 물질층의 직경 크기와 상이하고, 상기 제2원통형 도전성 물질층과 결합되는 제3원통형 도전성 물질층; 및
    상기 제3원통형 도전성 물질층과 결합되는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들은 서로 단차가 형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은 서로 절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랩은
    상기 결속 돌기를 상기 본체 하우징에 포함된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1스트랩과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도전성 부재; 및
    상기 결속 돌기를 상기 제1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는 내부가 비어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도전성 물질층은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2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 중 적어도 일부는 충전 단자 또는 신호 단자 중 어느 하나인 웨어러블 장치.
  13.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인체에 착용하게 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가 배치된 제1스트랩;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결속 개구와, 상기 결속 개구와 근접한 부분에 형성된 삽입 개구를 포함하는 제2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는
    상기 제1스트랩의 일면에 돌출형으로 배치되고, 서로 적층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개구는 상기 제2스트랩의 단부에 형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개구는 역삽 방지 개구인 웨어러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랩의 일면 위에서 봤을 경우, 상기 삽입 개구는 비대칭 형상인 웨어러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는 걸림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원뿔대형 도전성 물질층은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전성 물질층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형 도전성 물질층들은 단차를 포함하고, 서로 절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웨어러블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돌기 중, 하나의 결속 돌기의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장치.
KR1020190105169A 2019-08-27 2019-08-27 스트랩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KR20210025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69A KR20210025307A (ko) 2019-08-27 2019-08-27 스트랩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69A KR20210025307A (ko) 2019-08-27 2019-08-27 스트랩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07A true KR20210025307A (ko) 2021-03-09

Family

ID=7517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169A KR20210025307A (ko) 2019-08-27 2019-08-27 스트랩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3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6214B2 (en) Dual orientation electronic connector
US20140273546A1 (en) Magneti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TWM501006U (zh) 電子產品及其導線組
WO2014172378A1 (en) Wearable electronic accessories
US8123566B2 (en) Electronic device, adapter and receptacle
US20200313451A1 (en) Multi-purpose electrical charging structure
TWI525951B (zh) 通用串列匯流排應用裝置以及通用串列匯流排應用裝置之組裝方法
US10199784B2 (en) Electronic connector
US20130323951A1 (en) Adaptor for connecting connectors with different interfaces
KR20210025307A (ko) 스트랩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US20090113103A1 (en) Cascade type charge assembly
EP3047546A1 (en) Improvements to electrical connectors and their manufacture
KR101822648B1 (ko) 열쇠고리 형 케이블 디바이스
KR20190001272U (ko) 모바일 단말 충전용 usb 케이블 장치
TWI513122B (zh) 電連接器
CN203014102U (zh) 新型手机移动电源插头
CN109494532B (zh) 自适应转换接口及其构成的多媒体设备
KR20170091264A (ko) 휴대용 정보기기의 충전 장치
TWM643702U (zh) 具有複數接地路徑所形成屏蔽機制的連接器
CN113966117A (zh) 电子设备、充电连接线以及电子设备组件
KR20160134449A (ko) 휴대용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20180151971A1 (en)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or and Receptacle
CN111464907A (zh) 耳机组件及音频充电线
CN113852165A (zh) 电子设备、充电连接线以及无线充电设备组件
TWM504377U (zh) 電連接器的改良接地結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