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302A - 차량용 라디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라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302A
KR20210025302A KR1020190105152A KR20190105152A KR20210025302A KR 20210025302 A KR20210025302 A KR 20210025302A KR 1020190105152 A KR1020190105152 A KR 1020190105152A KR 20190105152 A KR20190105152 A KR 20190105152A KR 20210025302 A KR20210025302 A KR 2021002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tank
vehicle
tub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187B1 (ko
Inventor
정성우
김혁
구중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1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65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using guiding means or impingement means inside the header box
    • F28F9/0268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using guiding means or impingement means inside the header box in the form of multiple deflectors for channeling the heat exchange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튜브로 유입되는 가열된 냉각수를 전체 튜브에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어, 라디에이터의 열변형 불균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다수의 튜브가 일방향으로 적층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튜브부, 상기 튜브의 일단이 삽입되어 다수의 상기 튜브를 배열 및 고정하는 제1헤더, 상기 제1헤더의 일면을 덮도록 상기 제1헤더에 결합되는 제1탱크, 상기 제1탱크의 내부공간과 이어지도록 상기 제1탱크에 형성되는 입구 파이프, 및 상기 제1탱크의 내부공간 중, 상기 입구 파이프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 파이프를 통해 상기 제1탱크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튜브로 분배하는 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라디에이터{Radia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히는 라디에이터의 전체 영역에 걸쳐 가열된 냉각수를 고르게 분배시키도록 냉각수 분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에는 엔진과, 이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공기조화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단은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엔진의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와, 이 라디에이터의 공기 흐름을 유발시켜 라디에이터 표면의 방열효율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냉각수의 냉각효율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한 팬 슈라우드(Fan shroud)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라디에이터(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라디에이터(10)는 탱크(20), 헤더(30), 튜브(40) 및 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20)는 다수개의 튜브(40)와 연결된 부분이고, 헤더(30)는 다수개의 튜브(40)가 삽입되어 상기 튜브(40)들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탱크(20)에는 입구 파이프(21)가 형성되어 가열된 냉각수가 입구 파이프(21)를 통해 탱크(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탱크(20)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는 탱크(20)의 개방된 일측에 배열된 다수개의 튜브(40)로 분배되고, 튜브(40)로 분배된 냉각수는 튜브(40)를 통과하면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라디에이터(10)에서 가열된 냉각수는 탱크(20)에서 튜브(40) 전체로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이 이상적이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파이프(21)가 라디에이터(10)의 최상단에 위치할 때에는 냉각수는 상측에 위치한 튜브(40)로 먼저 분배되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라디에이터가 설치된 차량은 저온에 방치된 상태에서 동작하면, 냉각수의 온도에 의한 상부과 하부에 위치한 튜브(40)의 온도차이로 인해, 튜브(40)의 열팽창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튜브에 응력이 발생하여 튜브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8329호("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 공고일 2008.07.2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목적은 라디에이터의 튜브로 유입되는 가열된 냉각수를 전체 튜브에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어, 라디에이터의 열변형 불균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는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다수의 튜브가 일방향으로 적층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튜브부, 상기 튜브의 일단이 삽입되어 다수의 상기 튜브를 배열 및 고정하는 제1헤더, 상기 제1헤더의 일면을 덮도록 상기 제1헤더에 결합되는 제1탱크, 상기 제1탱크의 내부공간과 이어지도록 상기 제1탱크에 형성되는 입구 파이프, 및 상기 제1탱크의 내부공간 중, 상기 입구 파이프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 파이프를 통해 상기 제1탱크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튜브로 분배하는 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산부는 상기 제1탱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산부는, 일면이 상기 입구 파이프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판형의 저항부, 및 상기 저항부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입구 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특정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저항부의 일면에 돌출되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항부는 일측이 상기 제1탱크의 내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항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파이프는 상기 제1탱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튜브부의 하부에 위치한 튜브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이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이고,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인접한 상기 가이드부 각각의 상단 튜브측 일단 사이의 간격이 타단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파이프는 상기 제1탱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항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상기 입구파이프에 가깝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튜브측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돌출된 길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튜브측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항부는,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량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이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량조절홀은 서로 인접한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이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분산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에 의하면, 입구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가열된 냉각수가 분산부를 통해 일측으로 적층 배열된 다수의 튜브로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으므로, 라디에이터의 열변형 불균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라디에이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 제1탱크의 일부분을 절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의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라디에이터와 외형은 동일하되, 탱크의 내부에 추가적인 부재가 형성되어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인 가열된 냉각수를 튜브 전체로 고르게 분배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는 다수의 튜브(110)로 이루어지는 튜브부, 제1헤더(210), 제1탱크(310), 입구파이프(400) 및 분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부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튜브(110) 다수개가 일방향으로 적층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서로 인접한 튜브(110) 사이에는 핀(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핀(120) 사이의 공간으로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튜브(110) 내부의 유로를 통과하는 가열된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헤더(210)는 튜브(110)의 일단이 삽입되어 다수의 상기 튜브(110)를 배열 및 고정한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는 튜브(110)의 다른 쪽 일단(이하 타단)에 위치한 제2헤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적층 배열된 다수개의 튜브(110)의 양단에는 각각 제1헤더 및 제2헤더가 삽입되어 다수개의 튜브(110)를 배열 및 고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310)는 제1헤더(210)의 일면을 덮도록 제1헤더(210)에 결합된다. 제1탱크(310)가 제1헤더(210)와 결합되는 방식은 제1탱크(310)의 단부가 제1헤더(210)의 내부에 삽입되면 제1헤더(210)의 외곽에 위치하는 고정부재가 제1탱크(310)가 탈거되지 않도록 제1탱크(310)를 고정하는 끼움결합 방식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제1탱크(310)와 제1헤더(210)의 결합 방법을 끼움결합에 한정하지 않고, 제1탱크(310)와 제1헤더(2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튜브부의 튜브(110), 핀(120) 및 제1헤더(21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3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개방된 일측이 제1헤더에 결합된다. 제1탱크(310)의 내부공간으로는 가열된 냉각수가 유입되어 개방된 일측으로 배출되어 도 2에 도시되었던 튜브(110)로 분배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는 제1탱크(310)에 대응되도록 제2헤더에 결합되는 제2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탱크로는 튜브(1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냉각수)가 배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파이프(400)는 제1탱크(310)에 형성되어 내부공간이 제1탱크(310)의 내부공간과 이어진다. 입구 파이프(400)로는 유체, 구체적으로는 엔진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가 유입되는데, 가열된 냉각수는 입구 파이프(400)를 통해 제1탱크(310)로 유입된 후 다수의 튜브(110)로 분배되어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고, 이후 제2탱크 및 제2탱크에 형성된 출구 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헤더(210)와 제1탱크(310) 사이에는 씰링을 위한 가스켓이 설치되어 제1탱크(310)를 통해 제1헤더(210)로 유입되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주요한 특징인 분산부(5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31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입구 파이프(400)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탱크(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탱크(310)는 합수수지 재질로 사출 형성되기 때문에, 분산부(500)는 제1탱크(310)와 함께 사출될 수 있으며, 분산부(500)의 일부분이 제1탱크(310)의 내면과 이어질 수 있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일부 구성들인 튜브(110), 핀(120) 및 제1헤더(210)를 제외하고, 제1탱크(31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분산부(500)가 노출되도록 한 후, 해당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부(500)는 저항부(510) 및 가이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부(510)는 판 형상이며, 일면이 입구파이프(400)를 향하도록 제1탱크(3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입구파이프(400)를 통해 제1탱크(3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가열된 냉각수를 전체 튜브(110)에 걸쳐 분배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520)는 저항부(51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입구파이프(40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특정 방향, 즉 일측으로 적층 배열된 튜브(110)에 고르게 배출되도록 가이드한다.
도 5는 분산부(500)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판형의 저항부(510)의 일면(입구파이프 방향의 일면)에는 두 개의 가이드부(5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가이드부(52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가이드부(520)의 개수를 두 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520)가 저항부(5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두 개 이상의 가이드부(520)가 형성될 경우, 각각의 가이드부(520)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520)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단이 일측으로(하측에서 상측으로) 적층 배열된 튜브(110)들 중, 하부에 위치한 튜브(110)를 향하도록 연장된다. 여기서 대각선 방향이란, 단일의 튜브(110)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가이드부(520)가 연장된 방향을 연장하면, 단일의 튜브(110)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된다. 이는 본 실시예를 포함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에서 냉각용으로 사용되는 외기와 중력에 의한 냉각수의 분산을 고려했을 때, 대부분의 입구파이프(400)가 제1탱크(310)의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으로, 가이드부(5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가열된 냉각수를 튜브(110) 전체에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일부분의 정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부(500)의 저항부(510)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부(520)는 일단이 하부에 위치한 튜브(110)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입구파이프(400)를 통해 유입되는 가열된 냉각수가 가이드부(5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서 하부에 위치한 튜브(110)를 향하도록 가이드한다. 단, 모든 가열된 냉각수가 가이드부(520)를 따라 하부에 위치한 튜브(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냉각수의 일부는 가장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부(520)의 상측 공간을 통해 상부에 위치한 튜브(110)로 이동하여 보다 고르게 전체 튜브(110)에 냉각수가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는 분산부(500)의 형상이나 배치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구현되는 분산부(5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에서 사용되는 분산부(5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에서 사용되는 분산부(50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분산부(500)에 비해 라운드부(521)를 더 포함한다. 라운드부(521)는 판 형상의 저항부(510)와 저항부(510)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520)의 연결부분이 라운드처리된 부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도 8은 가이드부(520)가 연장된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부(510)와 가이드부(520)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라운드부(5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라운드부(521)는 냉각수의 유입으로 인해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 분산부(500)의 내구성 자체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는 가이드부(520)의 돌출된 측 일단의 폭인 W1보다 저항부(510)와 가이드부(520)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서의 가이드부(520)의 폭인 W2가 더 작은 형태이다. 이는 분산부(50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에도 라운드부(521)가 적용됨으로써, 분산부(500)의 내구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는 가이드부(520)의 돌출된 측 일단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부(520)가 도 10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냉각수가 유입되면서 압력을 받는데, 가이드부(520)의 돌출된 측 일단이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냉각수의 유입에 의한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를 도시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랴용 라디에이터에 비해 분산부(500)가 달리 배치되면서, 일부 구성인 튜브(110), 핀(120) 및 제1헤더(210)를 제외한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부(500)의 저항부(510)는 상단이 하단보다 입구파이프(400)를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제1탱크(3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저항부(510) 및 가이드부(520)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열된 냉각수가 저항부(510)의 타측(입구파이프와 반대측)방향으로도 분배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실시예와 같이 분산부(500)의 저항부(510)의 상단이 하단보다 입구 파이프(400)를 향하도록 기울어질 경우, 가이드부(520)의 위치에 따라 저항부(510)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처럼 저항부(510)의 상단이 하단보다 입구파이프(400)측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 가이드부(520)의 위치에 따라 저항부(510)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지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서 우측 하단은 튜브(110)가 적층되어 있는 방향이며, 좌측 상단은 튜브(110)의 반대 방향이다. 이때, 가이드부(520)가 저항부(510)의 일면에서 돌출된 길이는, 튜브(110)측 일측(도 12를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서 타측(도 12를 기준으로 좌측 상단)으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으며, 가이드부(5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길이는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부(5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부(520a)와 제2가이드부(520b)의 일단 사이의 거리(D1)는 타단 사이의 거리(D2)보다 크다. 제1가이드부(520a) 및 제2가이드부(520b)의 일단은 본 발명의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하부에 위치한 튜브(110) 방향이므로, 도 13와 같은 구조의 가이드부는 두 개의 가이드부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보다 냉각수를 전체 튜브(110)에 걸쳐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으며, D1과 D2의 비율은 라디에이터의 높이, 즉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튜브(11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4는 다른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520)의 튜브측 일단(도 14를 기준으로 우측 하단)의 폭인 W3은 가이드부(520)의 타단(도 14를 기준으로 좌측 상단)의 폭인 W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저항부(510)에 형성된 모든 가이드부(52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앞서 도 13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D1의 길이가 D2보다 길어, 냉각수를 전체 튜브(110)에 걸쳐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가열된 냉각수가 처음으로 부딪히는 부분인 가이드부(520)의 타단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에서 유량조절홀(511)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량조절홀(511)은 저항부(510)에 관통 형성되어 분산부(500)의 정면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일부를 후방으로 통과시켜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홀(511)은 서로 인접한 가이드부(520) 사이와 가이드부(520) 및 저항부(510)의 외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유량조절홀(511)은 서로 인접한 가이드부(520) 사이에만 형성되거나, 서로 인접한 가이드부(520) 사이에 형성된 유량조절홀(511)의 개수가 가이드부(520) 및 저항부(510)의 외곽 사이에 형성된 유량조절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서로 인접한 가이드부(520) 사이에 형성된 유량조절홀(511)로 냉각수가 통과해야만 분산부(500)의 후방에서 보다 고르게 냉각수가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분산부(500)에서 보강리브(530)가 추가된 것이다. 보강리브(530)는 서로 인접한 가이드부(5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부(5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보강리브(530)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가이드부(520)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보강리브(530)의 위치를 본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에서 인접한 가이드부(520)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530)는 가이드부(5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한 냉각수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보강리브(530)의 일측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라디에이터 20 : 탱크
21, 400 : 입구 파이프 30 : 헤더
40, 110 : 튜브 50, 120 : 핀
210 : 제1헤더
310 : 제1탱크
500 : 분산부
510 : 저항부
511 : 유량조절홀
520 : 가이드부
521 : 라운드부
530 : 보강리브

Claims (15)

  1.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다수의 튜브가 일방향으로 적층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튜브부;
    상기 튜브의 일단이 삽입되어 다수의 상기 튜브를 배열 및 고정하는 제1헤더;
    상기 제1헤더의 일면을 덮도록 상기 제1헤더에 결합되는 제1탱크;
    상기 제1탱크의 내부공간과 이어지도록 상기 제1탱크에 형성되는 입구 파이프; 및
    상기 제1탱크의 내부공간 중, 상기 입구 파이프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 파이프를 통해 상기 제1탱크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튜브로 분배하는 분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제1탱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일면이 상기 입구 파이프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판형의 저항부; 및
    상기 저항부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입구 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특정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저항부의 일면에 돌출되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일측이 상기 제1탱크의 내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파이프는 상기 제1탱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튜브부의 하부에 위치한 튜브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이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이고,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인접한 상기 가이드부 각각의 상단 튜브측 일단 사이의 간격이 타단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파이프는 상기 제1탱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항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상기 입구파이프에 가깝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튜브측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돌출된 길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튜브측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량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이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량조절홀은 서로 인접한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이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분산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020190105152A 2019-08-27 2019-08-27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02634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52A KR102634187B1 (ko) 2019-08-27 2019-08-27 차량용 라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52A KR102634187B1 (ko) 2019-08-27 2019-08-27 차량용 라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02A true KR20210025302A (ko) 2021-03-09
KR102634187B1 KR102634187B1 (ko) 2024-02-07

Family

ID=7517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152A KR102634187B1 (ko) 2019-08-27 2019-08-27 차량용 라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1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495A (ja) * 2001-03-14 2002-11-27 Showa Denko Kk 積層型熱交換器、カーエアコン用積層型蒸発器および冷凍システム
KR100848329B1 (ko) 2007-07-20 2008-07-25 임혁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
KR20110025633A (ko) * 2009-09-04 2011-03-10 모다인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유동 분쇄기를 구비한 열교환기와 그 작동방법
JP2011133198A (ja) * 2009-12-25 2011-07-07 Tokyo Radiator Mfg Co Ltd 車両用インタークーラ
WO2018221751A1 (ja) * 2018-07-03 2018-12-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495A (ja) * 2001-03-14 2002-11-27 Showa Denko Kk 積層型熱交換器、カーエアコン用積層型蒸発器および冷凍システム
KR100848329B1 (ko) 2007-07-20 2008-07-25 임혁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
KR20110025633A (ko) * 2009-09-04 2011-03-10 모다인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유동 분쇄기를 구비한 열교환기와 그 작동방법
JP2011133198A (ja) * 2009-12-25 2011-07-07 Tokyo Radiator Mfg Co Ltd 車両用インタークーラ
WO2018221751A1 (ja) * 2018-07-03 2018-12-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187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807B2 (en) Heat exchanger with coolant channel and panel
US20090314475A1 (en) Heat exchanger
US20080164015A1 (en) Contra-tapered tank design for cross-counterflow radiator
JPH0735439A (ja) 積層型熱交換器
US20200386492A1 (en) Gas-liquid heat exchanger
JP2010223508A (ja) 車両用エンジンのインタークーラ
KR100687637B1 (ko) 열교환기
US11603790B2 (en) Heat exchanger
JP6460281B2 (ja) インタークーラ
US9551534B2 (en) Heat exchanger assembly having a seal
KR20210025302A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US8245767B2 (en) Heat transmission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170689B1 (ko) 오일쿨러
GB2280021A (en) Cooling air flow distribution in radiators
KR20080107024A (ko) 열교환기
KR102605321B1 (ko) 열교환기
KR20210016712A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01233091B1 (ko) 열교환기
JP7349821B2 (ja) 熱交換器
KR101453304B1 (ko) 열교환기
KR0136374Y1 (ko) 열교환기
KR102598408B1 (ko) 열교환기
EP4023994A1 (en) Heat exchanger
JP2009074768A (ja) 熱交換器
US20220144077A1 (en) Shutter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