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956A -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using gripper of robot - Google Patents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using gripper of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956A
KR20210024956A KR1020200064445A KR20200064445A KR20210024956A KR 20210024956 A KR20210024956 A KR 20210024956A KR 1020200064445 A KR1020200064445 A KR 1020200064445A KR 20200064445 A KR20200064445 A KR 20200064445A KR 20210024956 A KR20210024956 A KR 2021002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ter
beverage
cup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호
박현우
이국선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주)에일리언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일리언로봇 filed Critical (주)에일리언로봇
Priority to KR102020006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4956A/en
Publication of KR2021002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9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5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a working support, e.g. work-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beverage producing system using a robotic gripper. Th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lter; a dripper station to hold the filter and a cup; a gripper which moves materials for producing beverage to the filter fixed to the dripper station, moves a container containing liquid to the top of the filter, and change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gripper to move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to a user supply unit when the beverage is produced by making the liquid injected into the filter in contact with the materials, and the produced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cup.

Description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음료 제조 시스템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using gripper of robot}Automatic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using a robot gripper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using gripper of robot}

본 발명은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로봇 그리퍼를 이용하여, 디스펜서에서 필터를 뽑고, 드리퍼 스테이션에 필터를 배치하며, 커피를 드리퍼로 이동시킨 후 거치용 지그로부터 주전자를 이동시켜, 필터에 물을 부음으로써, 커피를 추출하며, 커피 추출이 완료되면, 해당 커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using a robot gripper.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obot gripper to remove the filter from the dispenser, arrange the filter on the dripper station, move the coffee to the dripper, and then move the kettle from the mounting jig, and pour water into the filter. It extracts, and when coffee extraction is complete, it relates to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automates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corresponding coffee to the user.

국내 Coffee 시장 규모 및 1인당 Coffee 소비량과 관련하여, 시장 전문조사기관인 AC닐슨에서 발표한 국내 커피 시장은 규모가 2007년 1조 5580억원에서 2012년에 4조 1300억원으로 약 2.5배 증가했다.Regarding the size of the domestic coffee market and the amount of coffee consumption per capita, the size of the domestic coffee market announced by ACNielsen, a market research institute, increased by about 2.5 times from 1.558 trillion won in 2007 to 4.3 trillion won in 2012.

1인당 커피 소비량의 조사결과는 커피소비량이 가장 큰 북유럽의 경우, 원두의 소비량이 8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북유럽-일본-한국 순으로 1인당 커피 소비량에서 원두의 비율이 낮아지는데, 이를 반대로 생각해 보면 커피 소비량이 많아질수록 원두커피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예상된다.The result of the survey of coffee consumption per capita shows that in Northern Europe, where coffee consumption is the largest, the consumption of coffee beans is as high as 80%, and the ratio of coffee beans in the coffee consumption per capita decreases in the order of Northern Europe-Japan-Korea. On the contrary, the more coffee consumption increases, the more coffee beans are expected to be preferred.

또한, Coffee Trend 소비자 분석에 따르면 커피숍을 찾아 커피를 즐기는 소비자는 점차 집 안에서 커피 머신을 통해 커피 등을 즐기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Coffee Trend consumer analysis, consumers who visit coffee shops and enjoy coffee are gradually changing toward enjoying coffee through a coffee machine in their home.

커피머신을 소비자가 구입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원할 때 언제든지 커피 음용이 가능하고, 커피를 직접 내릴 수 있으며, 커피전문점 수준의 커피 음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The biggest reason consumers want to buy a coffee machine is that they can drink coffee whenever they want, they can make coffee themselves, and they can drink coffee at the level of coffee shops.

최근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대안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 등이 떠오르고 있다.Recently, as coffee has spread more and more into the home, it is about high quality coffee with good quality?? Consumer demand is growing, and as an alternative, Dutch coffee or cold brew is emerging.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을 들여서 우려내는 커피이다.Dutch coffee or cold brew is coffee that is brew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us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더치커피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Since Dutch coffee is brewed at room temperature, it is advantageous for distribution because it does not lose its flavor longer than other coffees, and it is also sold as an undiluted solution, so you can simply add water, milk, syrup, etc. to your liking. It is completed and is evaluated as more convenient than capsule coffee.

다만, 그 제조 과정이 사람에 의한 수동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However,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must be performed manually by a person, it takes a long time, and even if it is manufactured, it is difficult to expand because it cannot be mass-produced.

또한, 커피 외에도 소비자들은 녹차, 홍차 등 각종 차 즉, 음료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다.In addition to coffee, consumers are paying great attention to various teas, such as green tea and black tea, that is, beverages.

따라서 종래와 같은 장시간을 소요하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커피, 녹차, 홍차 등의 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device that automatically manufactures beverages such as coffee, green tea, and black tea having a flavor desired by consumers without taking a long time as in the prior art.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1593982 호(1)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593982 (2)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10-1323217호(2)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323217 (3)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1048762호(3)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048762

본 발명은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로봇 그리퍼를 이용하여, 디스펜서에서 필터를 뽑고, 드리퍼 스테이션에 필터를 배치하며, 커피를 드리퍼로 이동시킨 후 거치용 지그로부터 주전자를 이동시켜, 필터에 물을 부음으로써, 커피를 추출하며, 커피 추출이 완료되면, 해당 커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음료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using a robot gripper, where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obot gripper to remove a filter from a dispenser, place a filter on a dripper station, move coffee to a dripper, and then use a kettle from a holding jig. It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by providing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automates the process of providing coffee to a user when the coffee is extracted by moving and pouring water into the filter, and when the coffee extraction is completed.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시스템은, 필터; 상기 필터 및 컵을 고정하는 드리퍼 스테이션;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를 상기 드리퍼 스테이션에 고정된 필터로 이동시키고, 액체를 수용한 용기를 상기 필터의 상단에 이동시키며, 상기 용기의 위치 및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필터로 투입되도록 하는 그리퍼; 및 상기 필터로 투입된 액체와 상기 재료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되고, 상기 제조된 음료가 상기 컵으로 투입된 경우,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음료를 수용한 컵을 사용자 공급부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filter; A dripper station for fixing the filter and cup;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by moving the material for beverage production to the filter fixed to the dripper station, mov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to the top of the filter, and chang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container. Gripper to enab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ripper to move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to the user supply unit when the beverage is manufactured by contact between the liquid injected into the filter and the material, and the manufactured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cup. Can include.

또한, 상기 그리퍼는, 복수의 손가락부; 상기 복수의 손가락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손가락부 간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복수의 손가락 중 적어도 일부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손바닥부; 상기 그리퍼와 상기 시스템을 연결하는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손바닥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몸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er, a plurality of finger portions; A palm par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and chang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and a direction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fingers; A fixing part connecting the gripper and the system; And a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alm part, and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while being fixed to the system through the fixing part.

또한, 상기 복수의 손가락부 간의 이격 거리의 변화를 이용하여 객체를 그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손가락부 각각은 상기 손바닥부에 연결된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외측 방향의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외측 방향의 일정 각도로 회전한 복수의 손가락부의 타단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객체를 그립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ip the object by using a change 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each of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in a state in which one end connected to the palm part is fixed, the other en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utwar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inger portion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utward direction may grip the object through an operation of rotating in the i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재료는 커피(coffee) 재료 및 티(tea)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는, 상기 필터, 상기 컵 및 상기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may include a coffee material and a tea material, and the object may include the filter, the cup, and the container.

또한, 상기 드리퍼 스테이션은, 상기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 고정부; 상기 컵을 고정하는 지그; 상기 지그 상에 상기 컵이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드리퍼 근접센서; 및 상기 컵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조된 음료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을 통해 측정된 음료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음료를 수용한 컵을 사용자 공급부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pper station may include a filter fixing part for fixing the filter; A jig fixing the cup; A dripper proximity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p is fixed on the jig; And a load cell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epared beverage fed into the cup,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beverage only when the weight of the beverage measured through the load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It can be controlled to move one cup to the user's supply.

또한, 상기 용기를 수용하고, 상기 용기 내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용기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 시스템은, 상기 용기를 수용하고, 상기 용기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용기 지그;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지그에 수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용기 근접센서; 및 상기 용기 근접센서를 통해 상기 용기가 수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용기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ainer system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and supplying the liquid into the container, the container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ntainer jig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and determining a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container; A container proximity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jig; And a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contain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through the container proximity sensor.

또한, 상기 용기 지그는, 테이퍼(taper) 형태, 경사 형태, 핀 형태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용기 지그의 모양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용기의 위치 및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jig is implemented using at least a portion of a tapered shape, an inclined shape, and a pin shape, and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contain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container jig.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음료의 제조를 위한 여과 기능을 제공하는 필터부; 및 적층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일정 영역에 구비된 적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필터는 상기 적체부를 통해 겹쳐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복수의 필터를 수용하는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a filter unit that provides a filtering function for the production of the beverage; And a stacking unit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or higher for stacking; wherein the filter is plural, and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stacked by overlapping through the stacking unit, and the stacked plurality of filters are It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to accommodate.

또한, 상기 컵은 복수이고, 상기 사용자 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컵 중 상기 음료를 수용한 적어도 하나의 컵을 삽입하는 테이퍼(taper) 형태의 복수의 수렴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plurality of cups, and the user supply unit may have a plurality of converging structures in the form of a taper for inserting at least one cup accommodating the beverage among the plurality of cups.

본 발명은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로봇 그리퍼를 이용하여, 디스펜서에서 필터를 뽑고, 드리퍼 스테이션에 필터를 배치하며, 커피를 드리퍼로 이동시킨 후 거치용 지그로부터 주전자를 이동시켜, 필터에 물을 부음으로써, 커피를 추출하며, 커피 추출이 완료되면, 해당 커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음료 제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using a robot gripper, where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obot gripper to remove a filter from a dispenser, place a filter on a dripper station, move coffee to a dripper, and then use a kettle from a holding jig. By moving and pouring water into the filter, coffee is extracted, and when the coffee extraction is completed,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automates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corresponding coffee to the user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제조 과정이 사람에 의한 수동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자동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must be performed manually by a person, a long time is required, and even if manufacturing is performed,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expansion is difficult because it cannot be mass-produced can be solved through automation.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 외에도 녹차, 홍차 등 각종 차에 관심이 많은데, 종류에 상관없이 단 기간에 차가운 온도에서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recently, consumers are interested in various teas, such as green tea and black tea, in addition to coffe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automatically manufacture and provide a beverage having a desired flavor even at a cold temperature for a short period of time regardless of the type.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로봇 그리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그리퍼에 적용되는 그리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스테이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드립 스테이션에 컵과 필터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전자용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전자용 시스템과 주전자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일례들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필터가 적체부를 통해 디스펜서에 쌓이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및 분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of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robot gripper applied 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a gripper applied to the robot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ample of a drip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up and a filter are combined in the drip station of FIG. 7.
9 shows an example of a system for a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ystem for a kettle of FIG. 9 and a kettle are combined.
11 shows examples of 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filter of FIG. 11 is accumulated in the dispenser through the stacking portion.
13 shows an example of a flow chart illustrating a beverage manufacturing and dispensing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음료 제조 시스템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1)은, 로봇 그리퍼(10), 드립 스테이션(20), 필터(30), 컵(40), 주전자용 시스템(10), 주전자(60), 사용자 공급부(70), 명령 입력부(80), 제어부(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 gripper 10, a drip station 20, a filter 30, a cup 40, a kettle system 10, a kettle ( 60), a user supply unit 70, a command input unit 80, a control unit 90, and the like.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음료 제조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먼저, 로봇 그리퍼(10)는 로봇 핸드(robot hand)라고도 호칭하고, 복수의 손가락에 의해서 물체를 구속 또는 이동시키는 기계의 손을 의미한다.First, the robot gripper 10 is also referred to as a robot hand, and refers to a hand of a machine that restrains or moves an object by a plurality of fingers.

로봇 암(arm)이 넓은 작업 영역 내에서의 대체적인 위치 결정을 하는 데 반해 로봇 그리퍼(10)는 한정된 영역 내에서의 미세한 조작이나 물체의 파악을 하는데 이용되고 있다.The robot arm (arm) is used to determine a general position within a wide work area, whereas the robot gripper 10 is used to perform fine manipulations or grasp an object within a limited area.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그리퍼(10)는 그리퍼(11), 몸통부(12) 및 고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grip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ripper 11, a body portion 12, and a fixing portion 13.

먼저, 그리퍼(11)는, 크게 손바닥부 및 손가락부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gripper 11 may largely include a palm portion and a finger portion.

여기서, 손가락부는 적어도 하나의 마디를 갖는 구조로 구성 가능하고, 거리 센서(미도시)를 통해, 객체에 대해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finger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having at least one node, and may move at the same speed with respect to the object through a distance sensor (not shown).

이러한 그리퍼(11)는 복수로 시스템(1)에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로봇 핸드(11)를 통해 단순한 파지 작업뿐만 아니라 특정 순서 및 결합 방향 등을 갖는 태스크(task)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A plurality of such grippers 11 may be provided in the system 1,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task having a specific sequence and direction as well as a simple gripping opera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robot hands 11. .

그리퍼(11)는 몸통부(12)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고, 몸통부(12) 다른 말단은 고정부(13)로 구성되며, 고정부(13)는 시스템(1) 내에 로봇 그리퍼(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gripper 11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dy 12, the other end of the body 12 is composed of a fixing part 13, and the fixing part 13 is a robot gripper 10 in the system 1 ) Can be fixed.

여기서 몸통부(12)는 고정부(13)를 통해 시스템(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관절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trunk portion 12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joints so as to move in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being fixed to the system 1 through the fixing portion 13.

다음으로, 드립 스테이션(20)은 필터 고정부(210), 지지부(220), 로드셀(230), 스테이션션 근접 센서(240), 컵 지그(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drip station 20 may include a filter fixing part 210, a support part 220, a load cell 230, a stationion proximity sensor 240, a cup jig 250, and the like.

필터 고정부(210)는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거름망 역할을 제공하는 필터(30)가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The filter fixing part 210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a filter 30 that serves as a strainer can be disposed so that coffee can be extracted.

또한, 지지부(220)는 필터 고정부(210)를 상측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20 refers to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filter fixing part 210 upwardly.

또한, 로드셀(load cell, 230)은 하중계, 하중 센서 또는 힘 센서라고도 호칭하고,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로서, 출력을 전기적으로 꺼낼 수 있는 것을 말한다.In addition, the load cell (230) is also referred to as a load meter, a load sensor, or a force sensor, and is a converter for measuring a force or a load, and refers to an output that can be taken out electrically.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230)은 무게변화를 이용하여 컵의 유무, 커피 추출 정도 등을 판단하기 위해 이용된다.The load cell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the degree of coffee extraction, etc. by using the change in weight.

또한,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240)는 비접촉으로 대상물이 근접해 온 것을 검출하는 센서의 총칭하고, 자기의 영향으로 내부의 전류가 변화하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결합한 것,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결합시킨 것,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 등을 이용하는 것 등이 있다. In addition, proximity sensor (240) is a generic term for a sensor that detects the proximity of an object without contact, and is a combination of a Hall element and a permanent magnet whose internal current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magnetism, and a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There is a combination of a sensor, detection of a change in capacitance,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240)는 컵(4), 주전자(60), 필터(30) 등이 일정한 거리에 들어온 것을 알아낼 목적으로 사용된다.The proximity sensor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at the cup 4, the kettle 60, the filter 30, etc. have entered a certain distance.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he like.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또한, 컵 지그(250)는 컵(4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컵(40)의 위치 결정을 위해 테이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p jig 250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cup 40 and may include a tapered structure for positioning the cup 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30)는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거름망 역할을 제공하는 필터부(32)와 복수의 필터(30)가 디스펜서(미도시)에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단단한 강도를 갖는 적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olid strength so that the filter unit 32 and a plurality of filters 30 are stacked on a dispenser (not shown) to provide a sieve so that coffee can be extracted. It may include a stacking portion 31 to have.

또한, 주전자용 시스템(50)은 주전자(60)를 수용하고, 주전자(60)에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다.In addition, the kettle system 50 is a system for accommodating the kettle 60 and supplying a fluid such as water to the kettle 60.

이러한 주전자용 시스템(50)은 지그부(51), 주전자용 근접센서(52), 물 공급부(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kettle system 50 may include a jig part 51, a proximity sensor 52 for a kettle, a water supply part 53, and the like.

여기서 지그부(51)는, 주전자(60)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주전자(60)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jig portion 51 is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kettle 60, and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kettle 60.

또한, 주전자용 근접센서(52)는, 주전자(60)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근접센서이다.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52 for the kettle is a proximity sensor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kettle 60.

또한, 물 공급부(53)는 주전자(60)에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주전자용 근접센서(52)를 통해 주전자(60)가 존재하고, 지그부(51)를 통해 위치 및 방향이 결정된 이후에 물 등을 주전자(60)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53 is for supplying a fluid such as water to the kettle 60, the kettle 60 is present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52 for the kettle,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through the jig portion 51 After this is determined, water or the like may be supplied to the kettle 6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공급부(70)는 복수의 컵(4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테이퍼, 쐐기, 경사, 핀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supply uni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ups 40, and may have a tapered, wedge, inclined, pin shape, and the like.

즉, 사용자 공급부(70)는 추출된 커피를 수용한 최종의 컵(40)을 복수로 수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커피를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 및 구조이다.That is, the user supply unit 70 is a space and structure that supports the user to visit the corresponding coffee by receiving a plurality of final cups 40 accommodating the extracted coffee.

또한, 명령 입력부(80)는 음료 제조 시스템(1)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In addition, the command input unit 8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1.

명령 입력부(8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and input unit 80 may be composed of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positive pressure/electro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센싱부가 구비될 수 있고, 센싱부는 음료 제조 시스템의 개폐 상태, 음료 제조 시스템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음료 제조 시스템의 방위, 음료 제조 시스템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음료 제조 시스템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음료 제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additional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and the sensing unit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such as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e loc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By detecting the st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may be generat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도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a display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beverage production is displayed. In addition, a captured or/and received image, or a UI or GUI may b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3D displays.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configured as a transparent type or a light-transmitting type so that the outside can be seen through it.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transmitting structure.

또한, 음료 제조 시스템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be presen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a memory may be additionally used.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magnetic disks and optical disks.

제어부(controller, 90)는 통상적으로 음료 제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9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예를 들어 음료 제조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For example, it carries out related controls and processing for beverage production and the like.

제어부(9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90 may also include a multimedia module for playing multimedia.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9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9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multimedia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9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90.

제어부(9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0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9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hard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 unit 90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processor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어부(90)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soft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 unit 9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The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with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n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로봇 그리퍼(10)가 도시된다.2, a robot gripper 10 is shown.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그리퍼(10)는 그리퍼(11), 몸통부(12) 및 고정부(13)를 포함하고, 그리퍼(11)는, 크게 손바닥부 및 손가락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grip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per 11, a trunk portion 12, and a fixing portion 13, and the gripper 11 may largely include a palm portion and a finger portion.

이러한 그리퍼(11)는 복수로 시스템(1)에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로봇 핸드(11)를 통해 단순한 파지 작업뿐만 아니라 특정 순서 및 결합 방향 등을 갖는 태스크(task)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A plurality of such grippers 11 may be provided in the system 1,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task having a specific sequence and direction as well as a simple gripping opera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robot hands 11. .

그리퍼(11)는 몸통부(12)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고, 몸통부(12) 다른 말단은 고정부(13)로 구성되며, 고정부(13)는 시스템(1) 내에 로봇 그리퍼(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gripper 11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dy 12, the other end of the body 12 is composed of a fixing part 13, and the fixing part 13 is a robot gripper 10 in the system 1 ) Can be fixed.

여기서 몸통부(12)는 고정부(13)를 통해 시스템(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관절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trunk portion 12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joints so as to move in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being fixed to the system 1 through the fixing portion 13.

다음으로, 드립 스테이션(20)은 필터 고정부(210), 지지부(220), 로드셀(230), 스테이션션 근접 센서(240), 컵 지그(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drip station 20 may include a filter fixing part 210, a support part 220, a load cell 230, a stationion proximity sensor 240, a cup jig 250, and the like.

필터 고정부(210)는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거름망 역할을 제공하는 필터(30)가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말하고, 지지부(220)는 필터 고정부(210)를 상측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하며, 로드셀(230)은 무게변화를 이용하여 컵의 유무, 커피 추출 정도 등을 판단하기 위해 이용된다.The filter fixing part 210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a filter 30 that serves as a sieve so that coffee can be extracted can be disposed, and the support part 220 is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filter fixing part 210 upwardly. In other words, the load cell 230 is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and the degree of coffee extraction by using the change in wei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240)는 컵(4), 주전자(60), 필터(30) 등이 일정한 거리에 들어온 것을 알아낼 목적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at the cup 4, the kettle 60, the filter 30, etc. have entered a certain distance.

또한, 컵 지그(250)는 컵(4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컵(40)의 위치 결정을 위해 테이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p jig 250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cup 40 and may include a tapered structure for positioning the cup 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30)는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거름망 역할을 제공하는 필터부(32)와 복수의 필터(30)가 디스펜서(미도시)에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단단한 강도를 갖는 적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olid strength so that the filter unit 32 and a plurality of filters 30 are stacked on a dispenser (not shown) to provide a sieve so that coffee can be extracted. It may include a stacking portion 31 to have.

또한, 주전자용 시스템(50)은 주전자(60)를 수용하고, 주전자(60)에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이러한 주전자용 시스템(50)은 지그부(51), 주전자용 근접센서(52), 물 공급부(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ettle system 50 is a system for accommodating the kettle 60 and supplying a fluid such as water to the kettle 60, and the kettle system 50 includes a jig portion 51 and a close proximity to the kettle. It may include a sensor 52, a water supply unit 53,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공급부(70)는 복수의 컵(4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테이퍼, 쐐기, 경사, 핀 형태 등을 가질 수 있고, 추출된 커피를 수용한 최종의 컵(40)을 복수로 수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커피를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 및 구조이다.In addition, the user supply uni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ups 40, and may have a taper, wedge, bevel, pin shape, etc., and a final cup containing the extracted coffee ( It is a space and structure that supports a user to visit the coffee by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40).

또한, 명령 입력부(80)는 음료 제조 시스템(1)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In addition, the command input unit 8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1.

명령 입력부(8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and input unit 80 may be composed of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positive pressure/electro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로봇 그리퍼Robot gripp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로봇 그리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n example of a robot gripper applied 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로봇 그리퍼(10)는 로봇 핸드(robot hand)라고도 호칭하고, 복수의 손가락에 의해서 물체를 구속 또는 이동시키는 기계의 손이며, 로봇 암(arm)이 넓은 작업 영역 내에서의 대체적인 위치 결정을 하는 데 반해 로봇 그리퍼(10)는 한정된 영역 내에서의 미세한 조작이나 물체의 파악을 하는데 이용되고 있다.The robot gripper 10 shown in FIG. 3 is also referred to as a robot hand, and is a mechanical hand that constrains or moves an object by a plurality of fingers, and a robot arm is replaced within a wide working area. Whereas the robot gripper 10 is used for fine manipulation or grasping an object within a limited area, the robot gripper 10 is used to determine the proper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그리퍼(10)는 그리퍼(11), 몸통부(12) 및 고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grip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ripper 11, a body portion 12, and a fixing portion 13.

먼저, 그리퍼(11)는, 크게 손바닥부 및 손가락부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gripper 11 may largely include a palm portion and a finger portion.

여기서, 손가락부는 적어도 하나의 마디를 갖는 구조로 구성 가능하고, 거리 센서(미도시)를 통해, 객체에 대해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finger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having at least one node, and may move at the same speed with respect to the object through a distance sensor (not shown).

이러한 그리퍼(11)는 복수로 시스템(1)에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로봇 핸드(11)를 통해 단순한 파지 작업뿐만 아니라 특정 순서 및 결합 방향 등을 갖는 태스크(task)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A plurality of such grippers 11 may be provided in the system 1,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task having a specific sequence and direction as well as a simple gripping opera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robot hands 11. .

그리퍼(11)는 몸통부(12)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고, 몸통부(12) 다른 말단은 고정부(13)로 구성되며, 고정부(13)는 시스템(1) 내에 로봇 그리퍼(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gripper 11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dy 12, the other end of the body 12 is composed of a fixing part 13, and the fixing part 13 is a robot gripper 10 in the system 1 ) Can be fixed.

여기서 몸통부(12)는 고정부(13)를 통해 시스템(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관절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trunk portion 12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joints so as to move in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being fixed to the system 1 through the fixing portion 1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그리퍼에 적용되는 그리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n example of a gripper applied to the robot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그리퍼(11)의 구조가 도시되고, 그리퍼(11)는 손가락부(130), 손바닥부(120) 및 연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tructure of the gripper 11 is shown, and the gripper 11 may include a finger part 130, a palm part 120, and a connection part 110.

먼저, 연결부(110)는 그리퍼(11)를 몸통부(12)와 결합시키도록 지원한다.First, the connection part 110 supports to couple the gripper 11 with the body part 12.

다음으로, 손바닥부(120)는 복수의 손가락부(130)의 위치 및 방향을 변화시켜 특정 태스크(task)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palm part 120 may change th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130 to perform a specific task.

도 4에서는 2개의 손가락부(130a, 130b)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많은 개수의 손가락부가 포함될 수 있다.In FIG. 4, two finger portions 130a and 130b are illustrated,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r number of finger portions may be includ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의 상단 그림과 하단 그림을 참조하면, 손바닥부(120)의 제어에 따라 2개의 손가락부(130a, 130b) 간의 이격거리가 좁아짐으로써, 특정 물체를 그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upper and lower figures of FIG. 5,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finger parts 130a and 130b is narrow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alm part 120, so that it can be used to grip a specific object.

즉, 본 발명에 따른 그리퍼(11)는 2개의 손가락부(130a, 130b)가 양쪽으로 평행하게 벌어지고 닫히는 형태가 기본이고, 그리퍼(11)는 컵 등의 비교적 큰 원형 작업물을 잡을 수 있도록 설계된 끝 부위, 안쪽에 또 다른 작업물을 잡을 수 있도록 설계된 부위로 나뉠 수 있다.That is, the gripper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in a form in which two finger portions 130a and 130b are opened and closed in parallel on both sides, and the gripper 11 is capable of holding a relatively large circular workpiece such as a cup. It can be divided into a designed end part, and a part designed to hold another work piece inside.

이러한 구조는, 2개의 손가락부(130a, 130b) 를 이용해 컵(40)과 주전자(60)를 동시에 핸들링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is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handle the cup 40 and the kettle 60 at the same time by using the two finger portions 130a and 130b.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손바닥부(120)의 제어에 따라 2개의 손가락부(130a, 130b)의 말단을 접촉한 상태에서 다른 쪽 말단은 벌리는 동작을 통해, 더 큰 물체를 그립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under the control of the palm part 120, the other end may be used to grip a larger object through an open motion while the ends of the two finger parts 130a and 130b are in contact. have.

도 6에서 도시된 각도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한 케이스에 따라 2개의 손가락부(130a, 130b)의 말단이 벌어지는 각도는 제어부(90)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It is not limited to the angle shown in FIG. 6, and the angle at which the ends of the two finger portions 130a and 130b are opened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90 according to a necessary case.

드립 스테이션Drip sta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스테이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an example of a drip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드립 스테이션(20)은 필터 고정부(210), 지지부(220), 로드셀(230), 스테이션션 근접 센서(240), 컵 지그(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rip station 20 may include a filter fixing part 210, a support part 220, a load cell 230, a stationion proximity sensor 240, a cup jig 250, and the like.

필터 고정부(210)는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거름망 역할을 제공하는 필터(30)가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The filter fixing part 210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a filter 30 that serves as a strainer can be disposed so that coffee can be extracted.

또한, 지지부(220)는 필터 고정부(210)를 상측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20 refers to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filter fixing part 210 upwardly.

또한, 로드셀(load cell, 230)은 하중계, 하중 센서 또는 힘 센서라고도 호칭하고,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로서, 출력을 전기적으로 꺼낼 수 있는 것을 말한다.In addition, the load cell (230) is also referred to as a load meter, a load sensor, or a force sensor, and is a converter for measuring a force or a load, and refers to an output that can be taken out electrically.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230)은 무게변화를 이용하여 컵의 유무, 커피 추출 정도 등을 판단하기 위해 이용된다.The load cell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the degree of coffee extraction, etc. by using the change in weight.

또한,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240)는 비접촉으로 대상물이 근접해 온 것을 검출하는 센서의 총칭하고, 자기의 영향으로 내부의 전류가 변화하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결합한 것,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결합시킨 것,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 등을 이용하는 것 등이 있다. In addition, proximity sensor (240) is a generic term for a sensor that detects the proximity of an object without contact, and is a combination of a Hall element and a permanent magnet whose internal current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magnetism, and a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There is a combination of a sensor, detection of a change in capacitance,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240)는 컵(4), 주전자(60), 필터(30) 등이 일정한 거리에 들어온 것을 알아낼 목적으로 사용된다.The proximity sensor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at the cup 4, the kettle 60, the filter 30, etc. have entered a certain distance.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he like.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또한, 컵 지그(250)는 컵(4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컵(40)의 위치 결정을 위해 테이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p jig 250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cup 40 and may include a tapered structure for positioning the cup 40.

도 8은 도 7의 드립 스테이션에 컵과 필터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up and a filter are combined in the drip station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필터 고정부(210)는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거름망 역할을 제공하는 필터(30)가 배치되고, 컵 지그(250)에 컵(40)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8, in the filter fixing part 210, a filter 30 that serves as a sieve so that coffee can be extracted is disposed, and a cup 40 is disposed on the cup jig 250.

즉, 로드셀(230) 및 근접센서(240)을 이용한 컵(40)의 유무 및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일체형 드리퍼 스테이션(20)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t is possible to build an integrated dripper station 20 capable of measu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p 40 and the weight using the load cell 230 and the proximity sensor 240.

해당 커피 드리퍼 스테이션(20)은 추출되는 커피를 받아주는 컵(40)의 유무를 근접센서(240)로 확인 할 수 있고, 추출되는 커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는 로드셀(230)을 포함한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ffee dripper station 20 can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p 40 that receives the coffee to be extracted with the proximity sensor 240, and includes a load cell 230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coffee to be extracted. Can have.

또한, 커피 추출액을 받아주는 컵(40)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해 경사를 가지는 컵 지그(250)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cup jig 250 having an inclination may be used to accurately position the cup 40 to receive the coffee extract.

주전자용 시스템Kettle system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전자용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an example of a system for a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주전자용 시스템(50)은 주전자(60)를 수용하고, 주전자(60)에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다.The kettle system 50 illustrated in FIG. 9 is a system for accommodating the kettle 60 and supplying a fluid such as water to the kettle 60.

도 9를 참조하면, 주전자용 시스템(50)은 지그부(51), 주전자용 근접센서(52), 물 공급부(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ystem 50 for a kettle may include a jig part 51, a proximity sensor 52 for a kettle, a water supply part 53, and the like.

여기서 지그부(51)는, 주전자(60)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주전자(60)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jig portion 51 is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kettle 60, and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kettle 60.

또한, 주전자용 근접센서(52)는, 주전자(60)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근접센서이다.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52 for the kettle is a proximity sensor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kettle 60.

도 10은 도 9의 주전자용 시스템과 주전자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ystem for a kettle of FIG. 9 and a kettle are combined.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전자(60)가 배치된 상태에서, 물 공급부(53)가 주전자(60)에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0, in a state in which the kettle 60 is disposed, the water supply unit 53 may supply a fluid such as water to the kettle 60.

필터filter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일례들 도시한 것이다.11 shows examples of 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30)는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거름망 역할을 제공하는 필터부(32)와 복수의 필터(30)가 디스펜서(미도시)에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단단한 강도를 갖는 적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filt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unit 32 and a plurality of filters 30 that serve as a strainer to extract coffee may be stacked and stored in a dispenser (not shown). It may include a stacking portion 31 having a solid strength so that.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부(32)는 하단이 뭉뚝한 모양을 구비하거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뾰족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1, the filter unit 32 may have a blunt shape at the lower end, or may be implemented in a pointed shape, as shown in (b).

또한, 도 12는 도 11의 필터가 적체부를 통해 디스펜서에 쌓이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 12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filter of FIG. 11 is accumulated in the dispenser through the stacking portion.

도 12를 참조하면, 적체부(31)를 기초로 복수의 필터(30a, 30b, 30c)가 디스펜서(미도시)에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plurality of filters 30a, 30b, and 30c may be stacked and stored in a dispenser (not shown) based on the stacking portion 31.

음료 제조 및 분배 방법Beverage manufacturing and dispensing method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구조를 기초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및 분배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everag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및 분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3 shows an example of a flow chart illustrating a beverage manufacturing and dispensing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그리퍼(10)가 디스펜서(미도시)에서 드리퍼(필터, 30)를 뽑는 단계(S10).Referring to FIG. 13, first, the gripper 10 pulls the dripper (filter) 30 from the dispenser (not shown) (S10).

이후, 그리퍼(10)는 뽑은 필터(30)를 드리퍼 스테이션(20)의 필터 고정부(210)에 배치한다(S20).Thereafter, the gripper 10 places the pulled filter 30 on the filter fixing part 210 of the dripper station 20 (S20).

또한, 로봇 그리퍼(10)는 분쇄된 커피를 필터 고정부(210)에 배치된 필터(30)로 이동시키고(S30), 주전자용 시스템(50)으로부터 물이 담긴 주전자(60)를 이동시켜, 필터(30)로 물을 붓는 단계를 수행한다(S40).In addition, the robot gripper 10 moves the ground coffee to the filter 30 disposed on the filter fixing part 210 (S30), and moves the kettle 60 containing water from the kettle system 50, A step of pouring water into the filter 30 is performed (S40).

이에 따라 컵(40)으로 커피가 추출되고, 커피 추출이 완료되는 경우, 로봇 그리퍼(10)는 해당 컵(40)을 사용자 공급부(70)로 옮기는 과정을 수행한다(S50).Accordingly, when coffee is extracted into the cup 40 and coffee extraction is completed, the robot gripper 10 performs a process of moving the corresponding cup 40 to the user supply unit 70 (S50).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로봇 그리퍼를 이용하여, 디스펜서에서 필터를 뽑고, 드리퍼 스테이션에 필터를 배치하며, 커피를 드리퍼로 이동시킨 후 거치용 지그로부터 주전자를 이동시켜, 필터에 물을 부음으로써, 커피를 추출하며, 커피 추출이 완료되면, 해당 커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음료 제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in which the filter is removed from the dispenser using a robot gripper, the filter is placed in the dripper station, and the coffee is moved to the dripper, and then the kettle is moved from the mounting jig, By pouring water into the filter, coffee is extracted, and when the coffee extraction is completed, a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automates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coffee to the user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제조 과정이 사람에 의한 수동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자동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must be performed manually by a person, a long time is required, and even if manufacturing is performed,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expansion is difficult because it cannot be mass-produced can be solved through automation.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 외에도 녹차, 홍차 등 각종 차에 관심이 많은데, 종류에 상관없이 단 기간에 차가운 온도에서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recently, consumers are interested in various teas, such as green tea and black tea, in addition to coffe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automatically manufacture and provide a beverage having a desired flavor even at a cold temperature for a short period of time regardless of the typ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and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driven by a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through various known means.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manner that combines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Claims (2)

시스템에 있어서,
필터;
상기 필터 및 컵을 고정하는 드리퍼 스테이션;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를 상기 드리퍼 스테이션에 고정된 필터로 이동시키고, 액체를 수용한 용기를 상기 필터의 상단에 이동시키며, 상기 용기의 위치 및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필터로 투입되도록 하는 그리퍼; 및
상기 필터로 투입된 액체와 상기 재료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되고, 상기 제조된 음료가 상기 컵으로 투입된 경우,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음료를 수용한 컵을 사용자 공급부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리퍼는,
복수의 손가락부;
상기 복수의 손가락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손가락부 간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복수의 손가락 중 적어도 일부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손바닥부;
상기 그리퍼와 상기 시스템을 연결하는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손바닥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손가락부 간의 이격 거리의 변화를 이용하여 객체를 그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손가락부 각각은 상기 손바닥부에 연결된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외측 방향의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외측 방향의 일정 각도로 회전한 복수의 손가락부의 타단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객체를 그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드리퍼 스테이션은,
상기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 고정부;
상기 컵을 고정하는 지그;
상기 지그 상에 상기 컵이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드리퍼 근접센서; 및
상기 컵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조된 음료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을 통해 측정된 음료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음료를 수용한 컵을 사용자 공급부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용기를 수용하고, 상기 용기 내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용기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 시스템은,
상기 용기를 수용하고, 상기 용기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용기 지그;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지그에 수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용기 근접센서; 및
상기 용기 근접센서를 통해 상기 용기가 수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용기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지그는,
테이퍼(taper) 형태, 경사 형태, 핀 형태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용기 지그의 모양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용기의 위치 및 방향이 결정되며,

상기 필터는,
상기 음료의 제조를 위한 여과 기능을 제공하는 필터부; 및
적층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일정 영역에 구비된 적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필터는 상기 적체부를 통해 겹쳐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복수의 필터를 수용하는 디스펜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컵은 복수이고,
상기 사용자 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컵 중 상기 음료를 수용한 적어도 하나의 컵을 삽입하는 테이퍼(taper) 형태의 복수의 수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In the system,
filter;
A dripper station for fixing the filter and cup;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by moving the material for beverage production to the filter fixed to the dripper station, mov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to the top of the filter, and chang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container. Gripper to enab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ripper to move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to the user supply unit when the beverage is manufactured by contact between the liquid injected into the filter and the material, and the manufactured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cup. But,

The gripper,
A plurality of finger portions;
A palm par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and chang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and a direction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fingers;
A fixing part connecting the gripper and the system; And
Including;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alm portion, the body portion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in a state fixed to the system through the fixing portion; includes,
It is possible to grip an object by using a change 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Each of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palm part fixed, and the other end may rotate at a certain angle in the outer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nger parts rotated at a certain angle in the outer direction is inside It is possible to grip the object through the motion of rotating in the direction,

The dripper station,
A filter fixing part fixing the filter;
A jig fixing the cup;
A dripper proximity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p is fixed on the jig; And
Including; a load cell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epared beverage put into the cup,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gripper to move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to the user supply unit only when the weight of the beverage measured through the load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 container system for receiving the container and supplying the liquid into the container;
The container system,
A container jig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and determining a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container;
A container proximity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jig; And
Includ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through the container proximity sensor, a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container,

The container jig,
It is implemented using at least some of a tapered shape, an inclined shape, and a pin shape,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contain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container jig,

The filter,
A filter unit that provides a filtering function for manufacturing the beverage; And
For stacking, a stacking portion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to have a str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urther includes,
The filter is plural,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stacked by overlapping through the stacking portion,
A dispenser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stacked filters; further comprising,

The cup is plural,
The user supply unit,
And a plurality of converging structures in the form of a taper for inserting at least on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among the plurality of cup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커피(coffee) 재료 및 티(tea)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는, 상기 필터, 상기 컵 및 상기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gredients include coffee ingredients and tea ingredients,
Wherein the object comprises the filter, the cup and the container.
KR1020200064445A 2020-05-28 2020-05-28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using gripper of robot KR202100249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445A KR20210024956A (en) 2020-05-28 2020-05-28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using gripper of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445A KR20210024956A (en) 2020-05-28 2020-05-28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using gripper of robo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673A Division KR102119025B1 (en) 2019-08-26 2019-08-26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956A true KR20210024956A (en) 2021-03-08

Family

ID=7518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445A KR20210024956A (en) 2020-05-28 2020-05-28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using gripper of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495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766B1 (en) * 2022-12-15 2023-03-30 동원테크 주식회사 Draft beer automatic pouring box and draft beer po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23539B1 (en) 2022-10-07 2023-04-19 (주)플레토로보틱스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KR102609791B1 (en) 2023-04-13 2023-12-05 (주)플레토로보틱스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and system
KR102653866B1 (en) 2024-01-08 2024-04-02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Robot for coffee beverage fo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762B1 (en) 2008-12-30 2011-07-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How to Create a Gripping Access Point for a Robot Hand
KR101323217B1 (en) 2012-05-29 2013-10-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Grasping for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robotic hand
KR101593982B1 (en) 2014-08-06 2016-02-15 주식회사 고스턴 Dutch coffee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762B1 (en) 2008-12-30 2011-07-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How to Create a Gripping Access Point for a Robot Hand
KR101323217B1 (en) 2012-05-29 2013-10-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Grasping for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robotic hand
KR101593982B1 (en) 2014-08-06 2016-02-15 주식회사 고스턴 Dutch coffee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539B1 (en) 2022-10-07 2023-04-19 (주)플레토로보틱스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KR102515766B1 (en) * 2022-12-15 2023-03-30 동원테크 주식회사 Draft beer automatic pouring box and draft beer po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609791B1 (en) 2023-04-13 2023-12-05 (주)플레토로보틱스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and system
KR102653866B1 (en) 2024-01-08 2024-04-02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Robot for coffee beverage fo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4956A (e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using gripper of robot
KR20210024957A (en) Methods for making beverages using robot grippers
CN105188491B (en) Capsule and automated beverage preparation system equipped with code
KR102119025B1 (en) manufacturing system for beverage
TW201534259A (en) Single-serv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ES2556527T3 (en) Distributor with clamping system for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JP2013517028A (en) How to use a code to inform the user from a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AU2013311704A1 (en) Capsule storage
CN209460868U (en) Mechanical arm automatic vending machine integrating coffee and garland
CN110076794A (en) A kind of Full-automatic intelligent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KR102171689B1 (en)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and system
CN206726347U (en) Vending machine
CN201780630U (en) Bulk beverage vending machine with intelligent dispatching function
CN209232044U (en) A kind of wine vending machine for tasting wine
CN209951050U (en) Movable full-automatic coffee machine
CN209421733U (en) A kind of instant heating type self-service tea-drinking machine
CN109215234A (en) A kind of existing Instant Drinks product vending machine
CN207993133U (en) Intelligent sales counter
CN115279242A (en) System with dishwasher and method for operating dishwasher
CN207440909U (en) A kind of coffee Vending Machine
CN207285898U (en) A kind of full-automatic coffee machine and control device with intelligent-induction coffee cup device
CN208314906U (en) A kind of coconut storing mechanism and intelligent coconut vending machine
CN209199241U (en) A kind of liquid mixing preparation equipment
CN109480627A (en) A kind of mobile full-automatic coffee machine
CN209703074U (en) A kind of bleaching ancillary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