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735A - 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735A
KR20210024735A KR1020190104227A KR20190104227A KR20210024735A KR 20210024735 A KR20210024735 A KR 20210024735A KR 1020190104227 A KR1020190104227 A KR 1020190104227A KR 20190104227 A KR20190104227 A KR 20190104227A KR 20210024735 A KR20210024735 A KR 20210024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ard
addition
vehic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3640B1 (en
Inventor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조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규 filed Critical 조민규
Priority to KR1020190104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40B1/en
Publication of KR2021002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7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guard that prevents scratches on a vehicle door due to contact of the vehicle door with another object, and a reference point reset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guard and a reference point reset method using the same, tha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exterior by being displayed on the outside of a vehicle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an be attached or detache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Description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다른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차량의 도어에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도어를 열 때만 차량 외부에 표시됨으로써 차량 외관의 심미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차량 종류에 관계없이 차량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guard that prevents scratches occurring on the door of the vehicle due to contact with another object, and a reference point reset method using the same.In more detail, the vehicle is displayed outside the vehicle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guard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aesthetics of the exterior an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and a reference point re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전자식 도어가드는 사용자가 차량도어를 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스크래치를 미리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도어 스크래치는 차량의 문이 열리면서 도어의 가장자리 부분이 물체와 접촉하면서 차량에 발생하는 스크래치이다.The electronic door guard is intended to prevent door scratches that may occur when a user opens a vehicle door. Door scratches are scratches that occur on the vehicl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the edge of the door comes into contact with an object.

현재 판매 및 사용되고 있는 제품은 스펀지를 차량 도어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흠집이 날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붙이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스펀지형 도어가드는 외관상에 보기 좋지 않고 주행 중일 때 공기 저항(공력)에 영향을 주며, 세차할 때 불편하고 쉽게 떼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어 가장자리 따라 전체를 몰딩하지 않으면 특정 부분은 보호가 되지 않는다. 게다가 스펀지형 도어가드를 탈착하면 접착제 등의 잔여물이 남아서 완전한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product currently sold and used is a method of attaching a sponge to the outer edge of the vehicle door (the part that is likely to be scratched). However, such a sponge-type door guard is not looking good on the outside and affects air resistance (aerodynamic power) when driving, and may be uncomfortable and easily detached when washing the car. In addition, if the whole is not molded along the edge of the door, certain parts are not protected. In addition, when the sponge-type door guard is detach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residues such as adhesives.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차량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판넬을 뚫어서 소비자가 아닌 차량 회사에서 차량 생산 시, 자체적으로 장착하는 도어가드에 관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도어판넬을 뚫어서 설치하는 도어가드의 경우, 잔고장 발생 시 수리 등의 유지보수가 어렵고, 도어판넬 자체를 가공하기 때문에 도어의 강성이 저하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로부터 탑승자의 생명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problems, a technology related to a door guard that is installed inside a vehicle door and is installed by a vehicle company rather than a consumer by piercing the door panel has been disclo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door guard installed through the door panel, maintenance such as repair is difficult in the event of a breakdown, and the stiffness of the door decreases due to the processing of the door panel itself, thus safeguarding the life of the occupant from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cannot be done.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4273호에는 차량용 도어 가드에 관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도 여전히 차량의 도어판넬 내부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한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94273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door guard for a vehicl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still installed inside the door panel of the vehicle, and thus the above problem cannot be solved.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여, 차량 도어의 강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가드가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oor guard capable of preventing scratches without affecting the rigidity of the vehicle door by supplementing the above problem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4273호 (2016.02.17.)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94273 (2016.02.1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를 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스크래치를 예방하기 위한 전자식 도어가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guard for preventing door scratches that may occur while opening a door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열 때만 차량 외부에 표시됨으로써 차량 외관의 심미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전자식 도어가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guard tha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exterior by being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한 전자식 도어가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guard tha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type of vehicle since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is not modifi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폐를 감지하고, 도어의 개폐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시점(동력발생부의 작동시작시점)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재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ively reset and use the electronic door guard's operation point (start point of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operated by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and measur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guard and a reference point reset method using the same.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발명은 차량과 도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모듈 및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의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동하는 암부 및 상기 암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dul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oor and installed on the door, and a control modul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round the hinge of the door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dule. And, the drive module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ttached to the edge of the door, the arm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rotates a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arm portion so that the edge of the door can be easily wrapp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ard portion formed by bending.

또한,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다각형상인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완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화부재에 의하여 완화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rm portion includes a power generating portion for generating power so that the arm portion can rotate, a shaft portion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and a relief member coupled to the shaft portion and provided with a polygonal spring at both ends thereof, The shaft portion, in a process of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and rotating, is relaxed and rotated by the relief member.

또한, 상기 가드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탄성력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부 및 암부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암부에 결합되는 방식에 의하여 교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ard portion includes a cushioning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buffer an impact, and a fitt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an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guard portion and the arm portion, the fitting st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y to replace by a method in which the addition is coupled to the arm.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된 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includ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wire coupled to the sensor unit, measuring the angle at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s the length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is adjusted. It is characterized.

또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암부에 상기 가드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보호범위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ard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ffer member is extendable, and the protection range of the door can be changed by a method in which the user selectively couples the guard portion to the arm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제1항에 의한 전자식 도어가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시작지점을 재설정하는 기준점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ference point setting step of resetting an operation start point of the driving module by the control module using the electronic door guard according to claim 1.

또한, 상기 기준점설정단계는,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에 제1값을 입력하는 최저값 입력단계,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에 제2값을 입력하는 최고값 입력단계,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1값과 상기 제2값의 차이값의 백분율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치에 해당하는 제3값을 계산하는 계산단계 및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3값을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기준점으로 재설정하는 강제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시작지점을 선택적으로 재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point setting step includes a minimum value input step of inputting a first value to the control module while the user closes the door of the vehicle, and inputting a second value to the control module while the user opens the door. A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third value corresponding to a preset value based on a percentage of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value and the second value by the control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Including a forced setting step of resetting to the operation reference point of the driving module, the user can selectively reset the operation start point of the driving module.

또한, 상기 기준점설정단계는,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열어서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시작지점을 선택적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point sett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opens a door of the vehicle to selectively designate an operation start point of the driving module.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스크래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means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oor scratches that may occur while opening a door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열 때만 차량 외부에 표시됨으로써 차량 외관의 심미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not adversely affecting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exterior by being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자체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애프터마켓으로 구매하여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hange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itself, it is possible to purchase it through an aftermarket and install it easily regardless of the type of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판넬을 가공하지 않아 도어 자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panel of the vehicle is not processed, the rigidity of the door itself can be maintained, thereby maintain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또한, 본 발명은 도어판넬의 내부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고장 발생 시 도어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수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talled inside the door panel, there is no need to disassemble the door when a failure occurs, so that repair and maintenance are simple, and there is an effect of cost reduction.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종류마다 도어의 개폐가능 범위가 상이한 점을 고려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시점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재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reset and use the operation point of the electronic door guar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open/closeable range of the door is different for each vehicle typ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차량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모듈과 제어모듈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드부의 길이가 가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작동시점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오작동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오작동을 보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length of the guar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abl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chable part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algorith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ethod of resetting an operation point of a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algorith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correcting a malfunction of a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algorith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method for correcting a malfunction of a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토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soil.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enough to allow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carry out the invention easily, thereby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don't mean it.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erms speci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차량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모듈과 제어모듈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드부의 길이가 가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작동시점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오작동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오작동을 보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구성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nd FIG. 3 is a driv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length of the guard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gorith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ethod of resetting the operation point of, FIG. 11 is an algorith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rrecting a malfunction of a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other diagram for correcting a malfunction of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algorith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ethod.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차량과 도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모듈(100) 및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의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모듈(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00)을 포함한다.1 to 9,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oor and is installed in the drive module 100 installed on the door and the vehicle body around the hinge of the door, so that the door is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200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100.

상기 구동모듈(100)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몸체부(부호 미부여),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동하는 암부(130) 및 상기 암부(1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드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부착되는 제1몸체부(110) 및 상기 제1몸체부(110)와 분리결합이 가능한 제2몸체부(120)를 포함한다.The driving module 100 includes a body part (not given a sign) attached to the edge of the door, an arm part 130 that is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rotates a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an end portion of the arm part 130. It includes a guard portion 140 that is bent and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easily wrap the edge of the door.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110 attach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door and a second body portion 12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먼저, 상기 제1몸체부(110)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용홈(111), 상기 수용홈(1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112), 상기 제1몸체부(1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부(113), 상기 결합돌부(113)를 관통하여 구멍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4), 상기 고정홈(114)에 삽입되는 고정핀(115), 상기 제1몸체부(110)의 타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탈착부(116) 및 상기 수용홈(111)으로부터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연장 마련되는 연결홈(117)을 포함한다.First, the first body portion 110, a receiving groove 111 formed by being concavely depr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 guide portion 112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groove 111 ), a coupling protrusion 113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djacent to the edge of the first body 110, and a fixing formed as a hole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113 From the groove 114, the fixing pin 115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4, the detachable part 116 formed by depress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receiving groove 111 1 It includes a connection groove 117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보다 상세히, 상기 제1몸체부(110)는,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판상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11)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몸체부(110)의 중심부에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11)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11)의 기저부는 평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홈(1110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수용홈(111)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자인의 심미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반구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more detail, the first body portion 110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body that is formed longer in the length direction than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111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111 is formed to be partial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10.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1 is formed flat. That is, the receiving groove 11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ceiving groove 111 has been described in a trapezoidal shape.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transformed into a hemispherical or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design.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수용홈(1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11)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1몸체부(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수용홈(1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11)의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2)는, 중심부가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홈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112)를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된다.Further, the guide part 1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body part 110 at both ends of the receiving groove 111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1. In addition, the guide part 112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111 in one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1 to form a plurality of guide parts 112.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112 is recess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a groove is formed. That is, when the guide part 112 i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first body part 110, it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 shape.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113)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가장자리 4지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113)는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13 is formed to protrude from four edges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13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end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그리고, 상기 고정홈(114)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돌부(113)의 측면을 관통하여 원형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114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by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그리고, 상기 고정핀(115)은, 볼트, 나사 등과 같이 상기 고정홈(11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xing pin 115 may be anything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114, such as a bolt or screw.

그리고, 상기 탈착부(116)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몸체부(110)의 양측이 함몰되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수용홈(111)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1몸체부(110)의 타면의 중심부는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몸체부(110)의 타면 양측이 함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몸체부(110)의 타면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몸체부(110)의 중심부가 돌출되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단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part 116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y depressing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part 110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10. In other words, since the receiving groove 1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protrudes convexly, It can be seen that both sides of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 110 are depressed. In other word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protrud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s formed.

그리고, 상기 연결홈(117)은,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홈(111)으로부터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연장 마련된다. 즉, 상기 연결홈(117)은, 상기 탈착부(116)와 대향되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홈(117)은, 상기 수용홈(1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groove 117 is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from the receiving groove 11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Extension is provided. That is, the connection groove 117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that faces the detachable portion 116. In addition, the connection groove 117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111 to one side.

다음으로,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2몸체부(1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부(121), 상기 결합돌부(121)를 관통하여 구멍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22) 및 상기 결합돌부(121)에 인접하여 상기 제2몸체부(12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123)을 포함한다.Next,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 coupling protrusion 121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a fixing groove formed as a hole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121 ( 122) and a coupling groove 123 form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djacent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1.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1몸체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1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상기 수용홈(111)을 차폐하는 커버의 구성으로 볼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1몸체부(110)와 접하는 상기 제2몸체부(120)의 타면의 중심부가 상기 제2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반원형의 홈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2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몸체부(120)의 일면의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The second body part 1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part 110 and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That is, the second body portion 120 may be viewed as a configuration of a cover that shields the receiving groove 111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In more detail, in the second body part 120,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120 in contact with the first body part 110 is reces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120 To form a semicircular groove. In other words, the second body portion 120 may be viewed as being formed by convexly protruding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120)의 가장자리 4지점에 결합돌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부(120)의 결합돌부(121)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결합돌부(113)와 동일하게 형성된다.In addition, coupling protrusions 121 are formed at four edg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The coupling protrusion 121 of the second body part 120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upling protrusion 113 of the first body part 110.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제2몸체부(120)가 상기 제1몸체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110)의 결합돌부(113)가 상기 제2몸체부(12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사각형상의 결합홈(12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s seated on the first body portion 110, the coupling protrusion 113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 rectangular coupling groove 12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3 so as to b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body portion 120.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121)는, 상기 제2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홈(123)의 외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121)에도 상기 고정홈(114)와 동일한 고정홈(1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핀(115)은,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114,122)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본드, 실리콘, 열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한 융착방법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s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coupling groove 123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122, which is the same as the fixing groove 114, is form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121 as well. That is, the fixing pin 11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114 and 122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re coupled. In addition, a method of bonding and fixing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may be a fusion method using bond, silicon, heat, or ultrasonic waves.

다음으로, 상기 암부(130)는, 상기 암부(13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134),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부(132), 상기 축부(132)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다각형상인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완화부재(133) 및 상기 암부(130)의 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끼움홈(131)을 포함한다.Next, the arm 130 is a power generating unit 134 for generating power so that the arm 130 can rotate, a shaft 132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and the shaft unit A relief member 133 coupled to 132 and provided with a polygonal spring at both ends thereof, and a fitting groove 131 formed by recessing the ends of the arm 130.

보다 상세히, 상기 축부(132)는, 상기 수용홈(1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부(130)는, 상기 축부(132)의 양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 마련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암부(130)가 상기 축부(132)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암부(13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more detail, the shaft portion 13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1. In addition, the arm portion 130 is provided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132. On the other hand, the arm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including the shaft 132. In other words, the arm 130 is formed in a'C' shape. In addition, the arm 1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그리고, 상기 축부(132)는, 상기 축부(132)의 중심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일부분이 끊어져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축부(132)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11’자 형태로 상기 암부(130)가 마련되고, 상기 ‘11자’ 형태로 마련된 암부(130)의 사이에 상기 축부(132)가 상기 암부(130)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마련되며, 상기 암부(131)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축부(132)는, 상기 암부(130)로부터 일부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portion 132 is formed by being partially cut off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132 in one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shaft part 132 is provided with the arm part 130 in a '11' shap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arm part 130 provided in the form of the '11-shape' The shaft portion 132 is provid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from the end of the arm portion 130, and is form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between the arm portions 131 The shaft portion 132 can be viewed as being formed by protruding only a part from the arm portion 130.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상기 암부(131)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축부(13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상기 축부(1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1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112)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모터, 펌프,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등과 같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wer generation unit 134 is coupled to the shaft portion 132 form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between the arm portions 131. In addition,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unit 112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guide unit 112 in a state coupled to the shaft unit 132 It is desirable to be. In addition, the power generation unit 134 may be any one capable of generating power, such as a motor, a pump, a solenoid, or an actuator.

그리고, 상기 완화부재(133)는, 상기 암부(1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된 상기 축부(132)에 결합된다. 상기 완화부재(133)는 일예로 양단부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중심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축부(132)가 상기 동력발생부(1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화부재(133)에 의하여 회전이 완화되어, 상기 동력발생부(134)가 순간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축부(132)에 회전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완화부재(133)는 상기 축부(132)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lief member 133 is coupled to the shaft portion 132 form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arm portion 130. As an example, the alleviating member 133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t both ends and a circular cross section at the center thereof. Accordingly, in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ion is alleviated by the relief member 133 while the shaft portion 132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134,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134 ) Is instantaneously rotated at high spe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shaft portion 132. In other words, the relief member 133 is capable of preventing idle rotation of the shaft portion 132.

보다 상세히, 상기 가드부(140)가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싸기 위해 인출해야하는 각도가 다르고,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상기 제어모듈(200)에 의해 기설정된 동력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발생부(134)가 여전히 동력을 발생시킬 경우, 추가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완화부재(133)에 의하여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부(140)가 인출되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인입방향으로 힘을 받을 경우, 상기 동력발생부(134)에서 발생시키는 잔류 동력에 의하여 상기 가드부(14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more detail, the guard unit 140 has a different angle to be drawn out to surround the edge of the door, and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generates a preset power by the control module 200, so that the guard unit 140 When)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 door and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still generates power, additionally generated power may be relieved by the relief member 133. In addition, when the guard part 140 is pulled out and coupled to the edge of the door and receives a force in the retracting direction from the outside, the guard part 140 is generated by the residual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part 134. ) Can be maintained. That is,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by preventing damage.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134)는, 상기 가드부(140)를 인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모듈(20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작동한 후에는, 상기 가드부(140)를 인입시키는 타방향으로만 작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after the power generation unit 134 is operated in one direction by the control module 200 to withdraw the guard unit 140, it is operated only in the other direction in which the guard unit 140 is pulled in. This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끼움홈(131)은, 상기 암부(130)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후, 수평방향으로 연장 마련된다. 즉, 상기 끼움홈(131)은, 대략 ‘T’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tting groove 131 is provid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after being depress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arm portion 130. That is, the fitting groove 131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T' shape.

다음으로, 상기 가드부(140)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마련되는 완충부재(141) 및 상기 완충부재(141)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상기 끼움홈(131)에 결합되는 끼움돌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141)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41)는, ‘ㅅ’자, ‘ㄱ’자, 갈고리 형상과 같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41)는, 도어의 가장자리와 맞닿는 내측면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밀착하여 결속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guard part 140 is formed by being bent so as to wrap the edge of the door, and from the buffer member 141 and the buffer member 141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serve as a buffer. It is provided to extend and includes a fitting protrusion 142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31. The buffer member 141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one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door. 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141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is a shape capable of wrapping the edge of the door, such as a “ㅅ” character, a “a” character, and a hook shape. 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141 may be formed to have a magnetic material on an inner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doo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to facilitate binding.

그리고, 상기 끼움돌부(142)는, 상기 완충부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완충부재(141)의 일측으로부터 ‘T’자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돌부(142)는, 상기 끼움홈(13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13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끼움홈(131) 및 끼움돌부(142)를 ‘T’자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끼움홈(131) 및 끼움돌부(14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력을 사용한 결합방식 등과 같이 상기 암부(130) 및 가드부(140)의 결합을 유지하고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든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fitting protrusion 142 is formed to protrude in a'T' shape from one side of the buffer member 14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ffer member 141. That is, the fitting protrusion 142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tting groove 131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31.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tting groove 131 and the fitting protrusion 142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a'T' shape, but the shape of the fitting groove 131 and the fitting protrusion 14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gnetic force is us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rm 130 and the guard 140 may be modified in any form as long as the arm part 130 and the guard part 140 are combined and fixed.

또한, 상기 가드부(140)는, 상기 완충부재(141)의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암부에 상기 가드부(14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보호범위가 변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guard part 14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ffer member 141 is extendab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rotection range of the door may be changed by a method in which the user selectively couples the guard part 140 to the arm part.

또한,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에 부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부(210), 상기 커버부(210)의 타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탈착부(220), 상기 커버부(21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230), 상기 커버부(210)의 내부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부(240), 상기 배터리(230)와 상기 센서부(240)로부터 각각 연장 마련되는 케이블(250) 및 상기 구동모듈(100)을 포함하여 상술한 구성들의 작동, 즉,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00 is attached around the hinge of the door, a cover portion 210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 detachable portion 220 formed by reces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10, A battery 230 that is coupled to one inner side of the cover unit 210 and is capable of supplying and charging power, is coupled to the other inner side of the cover unit 210, and detect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including the sensor unit 240 for measuring the opening/closing angle, the cable 250 extending from the battery 230 and the sensor unit 240 and the driving module 100, respectively, that is, It includes a control unit 2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커버부(210) 내부의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측커버(211) 및 하측커버(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하측커버(212)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결홈(213)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상측커버(211) 및 하측커버(212)는,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213)은, 상기 하측커버(212)의 길이방향을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단에 인접하여 원형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21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cover 211 and a lower cover 212 so as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based on the space inside the cover part 210. In addition, the cover part 210 includes a connection groove 213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lower cover 212. In more detail, the upper cover 211 and the lower cover 212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e rounded corners. In addition, the connection groove 213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djacent to one end of the lower cover 2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그리고, 상기 탈착부(220)는, 상기 제1몸체부(110)에 형성된 상기 탈착부(116)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하측커버(212)의 하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측커버(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측커버(212)의 하면은 중심부가 돌출되어 단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part 2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detachable part 116 formed on the first body part 110.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212, both sides are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over 212 to be formed.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212 has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to form an end.

그리고, 상기 배터리(230)는, 상기 하측커버(212) 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홈(213)이 형성된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230)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 등과 같이 전원을 충전 및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230 is coupled to one side in which the connection groove 213 is formed, based on a central portion inside the lower cover 212. In addition, the battery 230 may include anything that can charge and supply power, such as a lithium polymer battery.

그리고, 상기 센서부(240)는, 상기 배터리(23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측커버(212)의 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240)는, 홀센서, 로터리 엔코더, 포텐셔미터, 마그네틱 엔코더, 리니어 엔코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광센서, 각도센서, 레이저센서, 압력센서, 거리감지센서, 휨센서 및 가속도센서 등과 같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240 is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230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er of the lower cover 212. In addition, the sensor unit 240, a hall sensor, a rotary encoder, a potentiometer, a magnetic encoder, a linear encoder,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optical sensor, an angle sensor, a laser sensor, a pressure sensor, a distance sensor, a bending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ything that can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such as a sensor, may be included.

그리고, 상기 케이블(250)은, 상기 배터리(230)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260)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듈(100)과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선(252) 및 상기 센서부(240)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상기 구동모듈(100)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텐션의 변화나 길이가 조절되는 와이어(25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51)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240)는, 상기 와이어의 텐션 또는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통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도어의 개폐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le 250 is provided extending from the battery 230, and from the electric wire 252 and the sensor unit 2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to and from the driving module 100 by the control unit 260 It extends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dule 100, and includes a wire 251 for adjusting a change or length of a tension a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the wire 251 may include a spring. Accordingly, the sensor unit 240 may detect that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 variable tension or length of the wire, or may measure an open/close angle of the door.

또한, 상기 제어모듈(200)은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속도에 따라 상기 센서부(240)와 상기 케이블(250)에 의하여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00 may adjust the operating spee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34 by the sensor unit 240 and the cable 250 according to the speed at which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vehicle door.

한편,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사용자가 상기 가드부(140)의 인출 또는 인입 작동시점, 즉,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을 재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 즉, 초기값을 재설정하는 재설정스위치 및 사용자가 상기 가드부(140)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에 기설정된 값으로 상기 동력발생부(134)를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조정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that enables the user to reset the withdrawal or retracting operation point of the guard unit 140, that is, an operation start point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 In addition, the switch, the operation start point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34, that is, a reset switch for resetting the initial value and a preset in the electronic door guard so that the user can withdraw or retract the guard unit 140 It may include an adjustment switch forcibly operating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by a value.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배터리(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230)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전원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충전부는 USB 2.0, 3.0, A타입, B타입 및 C타입 등과 같이 상기 배터리(2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230)의 급속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charging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230 to charge the power of the battery 230. In addition, the power charging unit may include anything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230, such as USB 2.0, 3.0, A type, B type, and C type. That is, the battery 230 may be rapidly charged.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차량의 휴즈 박스 또는 시거잭 등을 통하여 차량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블루투스, Wi-fi 등을 사용하여 차량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태양광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y wire through a fuse box or a cigar jack of the vehicle, and may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a vehicle using Bluetooth, Wi-fi, or the like to receive power. 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sunlight as a power source.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구동모듈(100)과 상기 제어모듈(200)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블루투스 및 Wi-fi 등과 같은 통신모듈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가 차량과 연결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howing that the driving module 100 and the control module 200 are connected by wire, but is formed to be connected wirelessly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and Wi-fi. It could be. This may be applied equally to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electronic door guard to the vehicl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몸체부(110) 및 제2몸체부(120)가 상기 결합돌부(113, 121), 결합홈(123), 고정홈(114, 122), 및 고정핀(115)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접하는 면에 각각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끼움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re the coupling protrusions 113 and 121, the coupling groove 123, the fixing grooves 114 and 122, and the fixing pin 115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 protrusion and a groove are formed respectively on the contacting surface, and are generally It can also be formed by the fitting method used.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배터리(230)의 충전상태와 잔량표시, 상기 구동모듈(100) 및 제어모듈(200)의 정상작동 상태유무, 오류발생 여부, 작동상태에 따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기설정된 패턴의 소리나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tate of charg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230, whether the driving module 100 and the control module 200 are in a normal operating state,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and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In addition,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of different colors, a speaker unit that outputs a sound or a guide message of a preset pattern, and a vibration generator that generates vibration.

또한, 상기 구동모듈(100)과 상기 제어모듈(200)은 일체화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odule 100 and the control module 200 may be integra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nstalling an electronic door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탈착부(116, 220)에 접착제를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 즉, 차량의 A필러 측에 부착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 둘레를 따라 고무재질로 패킹되어 있는 틈에 상기 케이블(250)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구동모듈(100)을 부착한다.First, an adhesive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parts 116 and 220.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00 is attached around the hinge of the door, that is, on the A-pillar side of the vehicle, and inserts the cable 250 into a gap packed with rubber material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oor. Combine. In addition, the driving module 100 is attached to the inner edge of the do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의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도어 스크래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oor scratches that may occur while opening a door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열 때만 차량 외부에 표시됨으로써 차량 외관의 심미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not adversely affecting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exterior by being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자체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애프터마켓으로 구매하여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hange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itself, it is possible to purchase it through an aftermarket and install it easily regardless of the type of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판넬을 가공하지 않아 도어 자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panel of the vehicle is not processed, the rigidity of the door itself can be maintained, thereby maintain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또한, 본 발명은 도어판넬의 내부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고장 발생 시 도어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수리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talled inside the door panel, there is no need to disassemble the door when a failure occurs, so that repair and maintenance are simple, and there is an effect of cost reduction.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도난의 위험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talled outside the door,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thef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resetting a reference point using an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구동모듈(100)의 작동시작지점을 재설정하는 기준점설정단계(S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method of resetting a reference point using an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point setting step (S1) in which the control module 200 resets an operation start point of the driving module 100. .

보다 상세히, 상기 기준점설정단계(S1)는,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200)에 제1값을 입력하는 최저값 입력단계(S100), 상기 제어모듈(200)에 상기 제1값의 저장여부를 판단하는 제1확인단계(S110),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재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재입력알림단계(S120),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정상알림단계(S130),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200)에 제2값을 입력하는 최고값 입력단계(S140), 상기 제어모듈(200)에 상기 제2값의 저장여부를 판단하는 제2확인단계(S150),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제1값과 상기 제2값의 차이값의 백분율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치에 해당하는 제3값을 계산하는 계산단계(S160),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제3값을 상기 구동모듈(100)의 작동기준점으로 재설정하는 강제설정단계(S170) 및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설정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완료알림단계(S18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reference point setting step (S1) includes a minimum value input step (S100) of inputting a first value to the control module 200 while the user closes the door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 module 200 A first confirmation step (S110) of determining whether to store a first value, a re-input notification step (S120) of outputting a re-input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the speaker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S120), and the light emission Normal notification step (S130) of outputting a normal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unit, the speaker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and inputting a second value to the control module 200 while the user opens the door of the vehicle. A maximum value input step (S140), a second confirmation step (S150) of determining whether to store the second value in the control module 200, the control module 200 Calculation step (S160) of calculating a third value corresponding to a preset value based on the percentage of the difference value, forcing the control module 200 to reset the third value to an operation reference point of the driving module 100 And at least one of a setting step (S170) and a completion notification step (S180) of outputting a setting completion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the speaker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이하에서는 기준점설정방법의 바람직한 작동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operation sequence of the reference point set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기준점설정단계(S1)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저값 입력단계(S100)가 실행된 후, 상기 제1확인단계(S11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확인단계(S110)에서 상기 제1값이 저장이 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입력알림단계(S120)이 실행되고, 상기 제1값이 저장되었을 경우 상기 정상알림단계(S130)이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확인단계(S110)에 의하여 상기 입력알림단계(S120)가 실행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최저값 입력단계(S100)를 반복한다. 또한, 상기 정상알림단계(S130) 실행 후, 상기 최고값 입력단계(S140)이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확인단계(S150)가 실행된다. 상기 제2확인단계(S150)에서 상기 제2값이 저장이 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입력알림단계(S120)가 실행되고, 상기 제2값이 저장되었을 경우 상기 정상알림단계(S13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확인단계(S150)에 의하여 상기 입력알림단계(S120)가 실행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최고값 입력단계(S140)를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확인단계(S150)에 의하여 상기 정상알림단계(S130)가 실행되었을 경우, 상기 계산단계(S16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강제설정단계(S170)가 실행되고, 상기 완료알림단계(S180)가 실행되어, 상기 기준점설정방법(S1)은 종료된다. 또한, 상기 최고값 입력단계(S140)는, 상기 최저값 입력단계(S110) 실행 후, 기설정된 시간 후에 작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First, the reference point setting step (S1) may be started by a user pressing the switch. Then, after the minimum value input step (S100) is executed, the first confirmation step (S110) is executed. And, when the first value is not stored in the first confirmation step (S110), the input notification step (S120) is executed, and when the first value is stored, the normal notification step (S130) is executed. . And, when the input notification step (S120) is executed by the first confirmation step (S110), the user repeats the minimum value input step (S100). In addition, after the normal notification step (S130) is executed, the maximum value input step (S140) is executed. Then,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S150) is executed. When the second value is not stored in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S150, the input notification step S120 is executed, and when the second value is stored, the normal notification step S130 is executed. And, when the input notification step (S120) is executed by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S150), the user repeats the maximum value input step (S140). And, when the normal notification step (S130) is executed by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S150), the calculation step (S160) is executed. Then, the forced setting step (S170) is executed, the completion notification step (S180) is executed, and the reference point setting method (S1) is terminated. In addition, the maximum value input step S140 may be designed to be operated after a preset time after the minimum value input step S110 is executed.

한편,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는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산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는 가동범위에 상관없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240)에 기설정된 값이 측정될 경우,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 또는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생산자에 의하여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이 기설정된 수치로 설정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electronic door guard, when a preset value i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40 a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anufacturer regardless of the range of motion in which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guard It may be set so that the withdrawal or withdrawal of the unit 140 is performed.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is set to a preset value by the manufacturer.

보다 상세히, 통상적인 차량 도어의 경우, 상기 도어가 최대로 개폐될 수 있는 범위는 도어가 닫혀있을 때를 기준으로, 90° 이하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는, 상기 도어가 닫혀있을 때 상기 센서부(240)에 측정되는 값을 0으로 가정하고, 상기 도어가 최대로 열려있을 때 상기 센서부(240)에 측정되는 값을 90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도어의 개폐 정도에 관계없이, 생산자가 상기 센서부(240)에 0 내지 90 사이의 선택된 값을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vehicle door, the range in which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is formed to be 90° or less based on when the door is closed. That is, the electronic door guard assumes that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40 when the door is closed is 0, and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40 when the door is open to the maximum is 90 Assuming that, regardless of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producer can set a selected value between 0 and 90 in the sensor unit 240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그러나,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을 임의의 값으로 기설정할 경우, 차량의 종류별로 상기 도어의 개폐범위가 다르므로, 상기 도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tarting point of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is preset to an arbitrary valu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range of the door is different for each vehicle type,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prevent scratches that may occur on the door. There is this.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여,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는 생산자가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시작지점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토대로,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열어서 상기 센서부(240)에 측정되는 값을 상기 구동모듈(100)의 작동시작지점으로 선택적으로 지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종류마다 도어의 개폐가능 범위가 상이한 점을 고려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시점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재설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스크래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problem,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method in which the manufacturer resets the operation start point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and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40 by the user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May be formed to selectively designate as an operation start point of the driving module 1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scratches by selectively resetting and using the operation point of the electronic door guar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open/closeable range of the door is different for each type of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의 오류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보정하는 오류보정단계(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resetting the reference point using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rror correction step (S2) in which the control module 200 determines and corrects whether an error occurs in the electronic door guard.

이하에서는 오류보정단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rror correction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오류보정단계(S2)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을 경우, 이를 보정하여 상기 가드부(140)를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센서부(240)에 의하여 상기 가드부(140)의 인출 또는 인입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error correction step (S2), when the guard part 140 is not inserted into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the guard part 140 is It relates to a method of pulling into the inside of.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00 may check the withdrawal or retraction of the guard part 140 by the sensor part 240.

보다 상세히, 상기 오류보정단계(S2)는,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를 감지하는 오류확인단계(S200),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개폐 판단단계(S210), 상기 제어모듈(200)이 재부팅되는 재부팅단계(S211), 상기 재부팅단계(S211) 실행 후,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재판단하는 개폐 재판단단계(S220), 상기 제어모듈(200)이 기설정 횟수만큼 재부팅되는 재부팅단계(S221), 상기 재부팅단계(S221) 실행 후,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를 재판단하는 개폐 재판단단계(S230),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3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고장알림단계(S231), 상기 개폐 판단단계(S21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면, 상기 도어가 닫혀 있는지 판단하는 도어개폐 판단단계(S240), 상기 도어개폐 판단단계(S240)에서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경우,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여부를 판단하는 인입 판단단계(S250),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경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정상알림단계(S251),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동력발생부(134)를 작동시키는 구동단계(S252), 상기 구동단계(S252) 실행 후,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여부를 재판단하는 인입 재판단단계(S260),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6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어모듈(200)이 기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동력발생부(134)를 작동시키는 재구동단계(S261), 상기 재구동단계(S261) 실행 후,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여부를 재판단하는 인입 재판단단계(S270), 상기 도어가 열려 있는지 판단하는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있지 않을 경우, 즉, 상기 도어가 닫혀있을 경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상 신호를 출력하거나, 아무 알림도 알리지 않는 정상작동단계(S281) 및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고장알림단계(S282)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in the error correction step (S2), the control module 200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guard part 140 is not inserted into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S200). , The control module 20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S210), a rebooting step (S211) in which the control module 200 is rebooted, and after executing the rebooting step (S211), the door After executing the opening/closing judgment step (S220)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n or closing, the rebooting step (S221) in which the control module 200 is reboo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 rebooting step (S221), the vehicle door is judged to be opened or closed. When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n the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 (S230) and the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 (S230), a failure signal is made using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the speaker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f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n the failure notification step (S231) and the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 (S210) of outputting a When the door is closed in S240), the guard unit 140 enters the inside of the door in the entry determination step (S25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guard unit 140 is inserted, and in the entry determination step (S250). If yes, in the normal notification step (S251) of outputting a normal signal using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the speaker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the guard unit 140 of the door If not, the control module 200 performs the driving step (S252) of operating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and the driving step (S252), and then the guard unit 140 is re-entered or not. When the guard unit 140 is not inserted in the incoming judgment step (S260) to determine the incoming judgment step (S260), the control module 200 performs the power generation unit 134 as many times as a preset number. Re-drive step to operate (S261) , After executing the re-driving step (S261), a pull-in decision step (S270) of determining whether the guard unit 140 is pulled in, a door open determination step (S280) of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 and the door open When the door is not open in the determination step (S280), that is, when the door is closed, a normal signal is output using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the speaker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or no notification is made. When the door is open in the non-notified normal operation step (S281) and the door open determination step (S280), a failure notification is output using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the speaker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t includes at least one step of step S282.

이하에서는 오류보정단계의 바람직한 작동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operation sequence of the error correction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오류보정단계(S2)는, 상기 오류확인단계(S200)에 의해 시작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판단단계(S210)가 실행되고, 상기 개폐 판단단계(S21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재부팅단계(S211)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20)가 실행된다.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2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재부팅단계(S221)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30)가 실행되고,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30)의 결과에 따라 상기 고장알림단계(S231)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재판단단계(S220, S230)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도어개폐 판단단계(S24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폐 판단단계(S24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있거나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지 판단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재부팅단계(S211)가 실행된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 판단단계(S240)에서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경우,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가 실행된다. 또한,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경우, 정상알림단계(S251)가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인입 판단단계(S25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구동단계(S252)가 실행된다. 이후,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60)가 실행되며,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6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경우, 정상알림단계(S251)가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6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재구동단계(S261)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70)가 실행되며,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7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경우, 정상알림단계(S251)가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인입 재판단단계(S270)에서, 상기 가드부(140)가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가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있지 않을 경우, 즉, 상기 도어가 닫혀있을 경우, 상기 정상작동단계(S281)가 실행되며, 상기 도어오픈 판단단계(S280)에서 상기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 상기 고장알림단계(S282)가 실행된다.First, the error correction step (S2) is started by the error check step (S200). 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 S210 is executed and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n the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 S210, the rebooting step S211 is executed. Then, the opening and closing judgment step (S220) is executed. If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n the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 S220, the rebooting step S221 is executed. 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judgment step S230 may be executed, and the failure notification step S231 may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pening/closing judgment step S230. In addition, wh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n the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s S220 and S230, the door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 S240 is executed. In the case wher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 or the door is closed in the door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 S240, the rebooting step S211 is executed. In add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in the door opening/closing determination step (S240), the entry determination step (S250) is executed. In addition, when the guard unit 140 is pulled into the door in the pull-in determination step (S250), a normal notification step (S251) is executed. However, when the guard unit 140 is not retracted into the door in the retracting determination step (S250), the driving step (S252) is executed. Thereafter, the pull-in decision step (S260) is executed, and when the guard unit 140 is pull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in the pull-in decision step (S260), a normal notification step (S251) is executed. However, when the guard unit 140 is not inserted in the lead-in judgment step (S260), the re-drive step (S261) is executed. Then, the pull-in decision step (S270) is executed, and when the guard unit 140 is pulled into the door in the pull-in decision step (S270), a normal notification step (S251) is carried out. However, in the retraction determination step S270, when the guard 140 is not retracted into the door, the door open determination step S280 is executed. And, when the door is not open in the door open determination step (S280), that is, when the door is closed, the normal operation step (S281) is executed, and in the door open determination step (S280), the door If is open, the failure notification step (S282) is executed.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전자식 도어가드의 오류 발생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오류를 보정하여 수리비용을 절감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method of resetting the reference point using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lf-determining whether an error occurs in the electronic door guard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correcting the error, reducing repair cost, and improving durability. .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오류보정단계(S2)가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가드부(140)의 인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역으로 상기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가드부(140)의 인출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Furth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rror correction step (S2) has been described a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guard unit 140 is retract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but conversely,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 As a result, it is obvious that the design can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guard unit 140 is withdrawn.

한편,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식 도어가드의 작동오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를 보정할 수 있는 실시간보정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resetting the reference point using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includes a real-time correction step (S3) capable of checking and correcting the operation error of the electronic door guard in real time. I can.

보다 상세히, 상기 실시간보정단계(S3)는,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으로 실행되는 시작단계(S300), 상기 제어모듈(200)이 상기 센서부(240)에서 측정되는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정상작동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310), 상기 센서부(240)에서 측정된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데이터의 오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오류검출단계(S320), 직전 단계에 저장된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정상작동 데이터를 기초로, 오류가 있는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작동을 보정 후, 보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정단계(S330) 및 상기 동력발생부(134)의 보정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는 오류재검출단계(S3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가드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은, 실시간으로 상기 가드부(140)의 작동오류를 판단하고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60)의 과부하 문제를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In more detail, the real-time correction step (S3) includes a starting step (S300) execute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and the power generating unit measured by the control module 200 by the sensor unit 240. A data storage step (S310) of storing the normal operation data of 134 in real time, an error detec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error occurs in the operation data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40 ( S320), a correction step (S330) of storing the corrected data after correct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in error based on the normal operation data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stored in the previous step;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tep of the error re-detection step (S340)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corrected data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34. Accordingly, the method of resetting the reference point using the electronic door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duce the overload problem of the control unit 260 by determining and correcting the operation error of the guard unit 140 in real time.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it will be readi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s self-explanatory.

100 : 구동모듈
110 : 제1몸체부
111 : 수용홈
112 : 가이드부
113, 121 : 결합돌부
114, 122 : 고정홈
115 : 고정핀
116, 220 : 탈착부
117, 213 : 연결홈
120 : 제2몸체부
123 : 결합홈
130 : 암부
131 : 끼움홈
132 : 축부
133 : 완화부재
134 : 동력발생부
140 : 가드부
141 : 완충부재
142 : 끼움돌부
200 : 제어모듈
210 : 커버부
211 : 상측커버
212 : 하측커버
220 : 탈착부
230 : 배터리
240 : 센서부
250 : 케이블
251 : 와이어
252 : 전선
260 : 제어부
100: drive module
110: first body part
111: receiving groove
112: guide part
113, 121: coupling protrusion
114, 122: fixing groove
115: fixing pin
116, 220: detachable part
117, 213: connection groove
120: second body part
123: coupling groove
130: dark part
131: fitting groove
132: shaft
133: relief member
134: power generation unit
140: guard part
141: buffer member
142: fitting protrusion
200: control module
210: cover
211: upper cover
212: lower cover
220: detachable part
230: battery
240: sensor unit
250: cable
251: wire
252: wire
260: control unit

Claims (6)

차량과 도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모듈; 및
상기 도어의 힌지 주위의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동하는 암부; 및
상기 암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A driving module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oor and installed in the door; And
Including; a control modul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round the hinge of the door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and
The driving module,
A body portion attached to the edge of the door;
An arm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rotating a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And a guard portion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to be bent and formed to easily wrap the edge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및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부;를 포함하여,
상기 축부가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arm part,
A power generating unit generating power so that the arm can rotate; And
Including; a shaft portion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Electronic door gu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portion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축부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다각형상인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완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화부재에 의하여 완화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The method of claim 2,
The arm part,
Including; a relief member coupled to the shaft portion and provided with a polygonal spring at both ends,
The shaft portion,
Electronic door guard,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rocess of rotating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ing unit, the relaxation member rot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탄성력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부 및 암부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암부에 결합되는 방식에 의하여 교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guard part,
A buffer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shock can be buffered; And
Including; a fitting protrusion provide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buffer member,
Electronic door gu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lacement is easy by a method in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arm dur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guard part and the arm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된 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A sensor unit that detect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Including; a wire coupled to the sensor unit,
Electronic door guard, characterized in that meas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door as the length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is adjus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암부에 상기 가드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보호범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가드.
The method of claim 4,
The guard part,
It is provid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ffer member is extendable,
The electronic door gu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on range of the door is changed by a method in which a user selectively couples the guard part to the arm part.
KR1020190104227A 2019-08-26 2019-08-26 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2263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27A KR102263640B1 (en) 2019-08-26 2019-08-26 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27A KR102263640B1 (en) 2019-08-26 2019-08-26 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735A true KR20210024735A (en) 2021-03-08
KR102263640B1 KR102263640B1 (en) 2021-06-09

Family

ID=7518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227A KR102263640B1 (en) 2019-08-26 2019-08-26 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180A (en) * 1993-12-22 1995-07-11 Toyoda Gosei Co Ltd Movable door protector
KR101526851B1 (en) * 2013-12-23 2015-06-11 김의석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door
KR101594273B1 (en) 2015-01-20 2016-02-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Door guard in vehicle
KR101618052B1 (en) * 2015-08-19 2016-05-09 주식회사 서연탑메탈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switching control for work of the vehicle door hing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180A (en) * 1993-12-22 1995-07-11 Toyoda Gosei Co Ltd Movable door protector
KR101526851B1 (en) * 2013-12-23 2015-06-11 김의석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door
KR101594273B1 (en) 2015-01-20 2016-02-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Door guard in vehicle
KR101618052B1 (en) * 2015-08-19 2016-05-09 주식회사 서연탑메탈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switching control for work of the vehicle door hin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640B1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0898B2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vehicular tire pressure device thereof
JP557316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738223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11679744B2 (en) Inflator with dynamic pressure compensation
WO2009147889A1 (en) Portable terminal cover
KR101845602B1 (en) Fuel cell-equippe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546905A1 (en) Color calibrator
KR20210024735A (en) Electronic type door guard and base point re-sett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702163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alibration in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20180135585A1 (en) Vehicle
KR102520962B1 (en) Torque sensor module for steering device
KR101868289B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US8817446B2 (en) Electronic device
US11437680B2 (en) Battery holding device for preventing erroneous charging
KR101752234B1 (en) Webbing take-up device
CN105667661A (en) Electric balance vehicle and resetting method thereof
EP3156189B1 (en) Information setting apparatus, battery pack, and electrically-driven working machine
JP2013209070A (en) Storage box structure for vehicle
US10461380B2 (en) Battery attachment apparatuses
TWM527394U (en) Self-contained electric tpms sensor
WO2014162664A1 (en) Electronic device, attachment, and connection cable
CN212278426U (en) Earphone charging box
JP2008130203A (en) Storage device
KR100737957B1 (en) Automobile key for charge installed at a laser pointer function and it's power control method
US20030205978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xtension and retraction of a shield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