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376A -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 Google Patents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376A
KR20210024376A KR1020190103726A KR20190103726A KR20210024376A KR 20210024376 A KR20210024376 A KR 20210024376A KR 1020190103726 A KR1020190103726 A KR 1020190103726A KR 20190103726 A KR20190103726 A KR 20190103726A KR 20210024376 A KR20210024376 A KR 20210024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sole
present
outsole
hid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니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니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니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9010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4376A/ko
Publication of KR2021002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는 가공피혁으로 된 갑피인 어퍼와; 상기 어퍼의 하단부를 접어 봉제되는 인솔 및 상기 인솔의 하면에 접착되는 아웃솔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는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은 것으로 밑창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주요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짐에 따라 디자인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새 노출로 인한 손상의 우려를 낮추고 아울러 습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WEIGHT SHOES}
본 발명은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은 것으로 밑창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주요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짐에 따라 디자인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새 노출로 인한 손상의 우려를 낮추고 아울러 습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신체에서 가장 큰 하중을 받고 있는 발에 대한 방한방서, 오염침윤(浸潤) 동물들로부터의 보호와 함께 보행시의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고 장식신분표시 등의 목적으로 착용되는 것이며, 통상 발등 부분을 덮는 어퍼라 칭하기도 하는 갑피(upper) 부분과, 갑피가 고정되며 지면에 대어지는 솔(sole)이라 칭하는 창으로 구성되며, 정통적인 구두는 안창, 중창, 본창, 굽 등의 중첩된 구성을 가지고, 갑피는 뒤내피, 베라, 선심, 내피 등의 여러 다른 종류의 재질과 조각들이 조합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구두는 형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크게 톱라인에 따라 단화와 장화(부츠)로 구분되고, 갑피(Upper)의 개폐 유무에 따라 막힌 구두와 열린구두로 구분되고, 굽희 형태와 갑피의 소재 그리고 사용목적 등에 따라 구분된다.
또한, 제작방법에 따라 굳이어 웰트 식(Goodyear Welt Porcess), 실루웰트 식(Silhouwelt Process), 스티치다운 식(Stitch - down Process), 맥케이 식(Mckay Process), 시멘트 식(Cement Process), 캘리포니아 식(California Process), 직접 가황압착 식(Direct Vulcanizing Process), 사출성형 식(Injection Moulding Process)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굳이어 웰트식은 중창에 부착된 리브(Rib)에 골을 씌운 갑피의 가장자리와 대다리(Welt)를 체인 스티칭 재봉기로 봉합하고 겉창을 덮은 후 대다리와 겉창 가장자리를 로크스티칭 하는 제조법이고, 상기 실루웰트 식은 중창에 부축된 리브에 골을 씌운 갑피의 가장자리와 대다리를 체인스티칭 재봉 기로 봉합하고 대다리와 겉창 주변에 접착제를 발라서 압착기로 창을 붙이는 제 조법이며, 상기 스티치다운 식은 골을 씌운 갑피에 겉창을 임시로 붙이고 나중에 골을 빼어 중창부분에서 갑피 와 겉창을 함께 로크 스티칭하는 제조법을 뜻한다.
그리고 상기 맥케이 식은 골을 씌운 갑피에 겉창을 임시로 붙이고 나중에 골을 빼어 중창부분에서 갑피골을 겉창을 함께 로크 스티칭하는 제조법이고, 상기 시멘트 식은 갑피 가장자리를 중창에 씌운 후 갑피 가장자리(겉창 접착부분)와 겉창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발라서 압착기로 창을 붙이는 제조법이며, 상기 캘리포니아 식은 갑피 가장장리와 중창 가장자리, 플랫폼 가죽을 봉합하고 구두골을 삽입하여 플랫폼 가죽을 감고 골을 씌운 다음, 이 플랫폼 가죽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기로 창을 붙이는 제조법이다.
끝으로 상기 직접 가황압착 식은 갑피 가장자리를 중창에 씌운 후 가황 압착기에 정착하고 미가황 고무를 삽입하여 가열, 가압 성형하면서 밑창 부분을 가황 압착하는 제조법이고, 상기 사출성형 식은 갑피 가장자리를 중창에 씌운 후 사출 성형기에 장착하여, 미가황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금형 속에 사출하여 밑창 부분을 성형하는 제조법이다.
한편, 로퍼는 별도의 버클이나 끈으로 이루어진 여밈 구조를 갖지 않아 탈착이 편리하고 비교적 굽이 낮은 구두의 한 종류로, 격식을 덜 차려도 되는 비즈니스 용도에서부터 레저용도로까지 남녀노소 널리 착용하고 있으며, 세부 디자인에 따라 크게 발등을 가로지르는 가죽 띠인 절개된 새들을 형성된 페니(penny)로퍼와, 발등에 태슬 장식이 있는 태슬(tassel)로퍼, 그리고 발등에 말 재갈 모양의 금속 장식이 있는 것이 홀스 빗(horse bit)로퍼로 분류되고 있다.
도 1은 공지의 구두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두(100)의 창(130)을 제외한 위의 가죽 부분 전체를 칭하는 것으로 발등 부분을 덮는 갑피인 어퍼(110)와, 상기 갑피(110)가 고정되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지면 사이에 위치되는 창인 아웃솔과 미드솔과 인솔 등을 적층하여 된 솔(13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구두는 갑피인 어퍼(110)와, 창인 솔(130)을 서로 바느질에 의해 일체로 접합됨에 따라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어서 결과적으로 봉제선의 노출로 인한 디자인의 자유도가 떨어지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봉제선이 쉽게 오염되고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손상된 봉제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습기 등이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을 초래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96240(2003.08.19.)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1848(2014.05.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은 것으로 밑창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주요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짐에 따라 디자인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새 노출로 인한 손상의 우려를 낮추고 아울러 습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은, 가공피혁으로 된 갑피인 어퍼와; 상기 어퍼의 하단부를 접어 봉제되는 인솔 및 상기 인솔의 하면에 접착되는 아웃솔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신체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인솔과,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솔이 적층되어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어퍼의 하단은 일부분이 접혀 상기 인솔의 하면 테두리에 봉제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솔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부측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쿠션창이 더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솔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인솔과,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솔 그리고 이들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미들솔이 적층 접합되며, 상기 미들솔은 발 앞꿈치 부분에 횡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는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은 것으로 밑창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주요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짐에 따라 디자인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새 노출로 인한 손상의 우려를 낮추고 아울러 습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의 제조과정을 발췌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를 앞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를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의 바닥면을 바라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의 제조과정을 발췌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를 앞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를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의 바닥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는 크게 가공피혁으로 된 갑피인 어퍼와, 상기 어퍼의 하단부를 접어 봉제되는 인솔 그리고 상기 인솔의 하면에 접착되는 아웃솔로 구성된다.
상기 솔은 구두의 창을 구성하는 요소로, 상기 인솔은 신체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것으로 쿠션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웃솔은 지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쉽게 닳거나 마모되지 않는 재질로 성형되며, 이들 인솔과 아웃솔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되거나 또는 열융착이나 봉제에 의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성형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어퍼의 하단은 일부분이 접혀 상기 인솔의 하면 테두리에 봉제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솔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부측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쿠션창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의 쿠션창은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재나, 실리콘,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공되거나 또는 직물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인솔과,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솔 그리고 이들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미들솔이 적층 접합되며, 상기 미들솔은 발 앞꿈치 부분에 횡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는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어서 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솔을 구성하는 아웃솔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주요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구두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두 개발이 가능하고 미려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박음질 부분인 재봉선의 이음새 노출로 인한 손상이나 오염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고, 이 재봉선 부분을 통한 습기나 이물질이 구두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Claims (4)

  1. 가공피혁으로 된 갑피인 어퍼와;
    상기 어퍼의 하단부를 접어 봉제되는 인솔 및
    상기 인솔의 하면에 접착되는 아웃솔;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2. 제 1항에 있어서,
    신체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인솔과,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솔이 적층되어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어퍼의 하단은 일부분이 접혀 상기 인솔의 하면 테두리에 봉제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부측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쿠션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인솔과,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솔 그리고 이들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미들솔이 적층 접합되며, 상기 미들솔은 발 앞꿈치 부분에 횡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KR1020190103726A 2019-08-23 2019-08-23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KR20210024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26A KR20210024376A (ko) 2019-08-23 2019-08-23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26A KR20210024376A (ko) 2019-08-23 2019-08-23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376A true KR20210024376A (ko) 2021-03-05

Family

ID=7516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726A KR20210024376A (ko) 2019-08-23 2019-08-23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437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40B1 (ko) 2001-01-22 2003-09-03 쳉-시안 치 폼 형태의 안창을 갖는 신발 제조방법
KR20140051848A (ko) 2011-04-08 2014-05-02 다쉬아메리카, 아이엔씨. 디/비/에이 펄 이즈미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이음매 없는 신발 갑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40B1 (ko) 2001-01-22 2003-09-03 쳉-시안 치 폼 형태의 안창을 갖는 신발 제조방법
KR20140051848A (ko) 2011-04-08 2014-05-02 다쉬아메리카, 아이엔씨. 디/비/에이 펄 이즈미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이음매 없는 신발 갑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420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US4944099A (en) Expandable outsole
US8834770B2 (en) Sole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789295B2 (en)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KR940010325B1 (ko) 경직성 후방부를 갖는 신발
US8984775B2 (en) Energy return member for footwear
CA2460932C (en) Toe protection sandal
US9565898B2 (en) Footwear including a support cage
US9204681B2 (en) Hybrid boots
CN109512082A (zh) 具有自适应性后跟元件的鞋
US20150000165A1 (en) Versatile footwear covers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20050138846A1 (en) Shoe heel protector
CN105831885A (zh) 鞋类物品、制成鞋类物品的方法、用于鞋类物品的内里和包括内里的鞋类物品
US6029301A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footwear
US20120186106A1 (en) Footwear with expansion joint
US6757990B2 (en) Footwear with integrated stitchdown/athletic bottom construction
KR20210024376A (ko)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KR20210024378A (ko)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KR101207982B1 (ko) 구두 및 그 제조방법
CN105962534A (zh) 一种皮鞋及其制作工艺
US3388486A (en) Foot covering
CN113384030A (zh) 具有覆盖的中底的鞋及其制造方法
KR101279450B1 (ko) 구두 및 그 제조방법
US2484743A (en) Method for making slip-lasted footwear
US2168948A (en) Sh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