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425A -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425A
KR20210023425A KR1020190103597A KR20190103597A KR20210023425A KR 20210023425 A KR20210023425 A KR 20210023425A KR 1020190103597 A KR1020190103597 A KR 1020190103597A KR 20190103597 A KR20190103597 A KR 20190103597A KR 20210023425 A KR20210023425 A KR 20210023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lunger
connector
inle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선
Original Assignee
양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선 filed Critical 양기선
Priority to KR102019010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425A/ko
Publication of KR20210023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를 대신할 수 있는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선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검사하기 위한 커넥터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에 대하여 전후진 하도록 설치되고,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후진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를 전진하도록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 실린더; 및 상기 작동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공압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Connector testing apparatus having air pressure switch}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를 대신할 수 있는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장치들은 제어신호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기동하기 위한 스위치 등의 작동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작동체로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이 솔레노이드 작동체 또는 솔레노이드 스위치이다.
실생활에서,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형성되면 근처의 철제 물체를 끌어당긴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관의 개폐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할 수 있는 밸브를 만들 수 있고, 압축공기의 압력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문을 열고 닫는 버스의 개폐문이나 정수기에서 쓰이는 자동 냉온수 잠금장치 등이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버튼을 눌렀다 놓을 때 흐르는 전류를 이용해 철제 종을 쳐서 소리를 내는 현관문의 알림 벨도 솔레노이드의 특성을 적절히 이용한 예다.
솔레노이드 밸브, 스위치, 또는 작동체는 전자기 코일 내에서 플런저의 움직임에 의해 밸브를 개폐, 접점에 탈착, 또는 가동부재를 전후진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솔레노이드 작동체들은 기본적으로 코일과 플런저는 포함하는 구성이고,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적인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부피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차에는 회로에 따라 수많은 전선들과 전기 기구들이 설치되는데 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또한 많은 수가 소요된다. 대부분의 커넥터들은 양품이나 간혹 불량품이 생길 수가 있기 때문에 커넥터를 검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만약 커넥터 불량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안전운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는 커넥터를 검사위치에 삽입하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검사부를 이송하여 커넥터를 검사한 다음 스프링의 힘으로 원위치시키는 것을 반복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 중에는 솔레노이드 작동체를 이용하여 검사부를 왕복하게 하는 것이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작동체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하나 비용이 너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710696 B1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압을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작동체와 동일한 스위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선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검사하기 위한 커넥터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에 대하여 전후진 하도록 설치되고,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후진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를 전진하도록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 실린더; 및 상기 작동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공압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압 스위치부는, 공압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하는 몸체와, 상기 제1실린더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는 제1플런저;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런저를 반대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 상기 제1실린더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공압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하는 몸체와, 상기 제2실린더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는 제2플런저; 및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플런저를 반대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플런저와 제2플런저는 각각 상기 제1탄성수단과 제2탄성수단에 의해 반대쪽으로 밀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는 내측에 상기 제1플런저의 몸체가 위치하여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는 상기 제2플런저의 실링부재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제2플런저가 상기 제2탄성수단쪽으로 밀려 이동하면, 상기 제2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가 상기 제2플런저의 몸체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공압이 상기 제2실린더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어 상기 작동 실린더가 상기 검사부를 전진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의 일단은 마개에 의해 일부 밀폐되고, 그 반대편에는 각각 상기 제1플런저와 제2플런저의 일부가 버튼 형태로 돌출되되, 상기 커넥터가 검사를 위하여 안착되면 상기 제2플런저가 제2실린더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상기 제1플런저의 입부는 작업자가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플런저는, 상기 제1실린더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직경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 중에 하나의 실링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탄성수단에 삽입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반대쪽 실링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실린더 외부로 돌출된 버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플런저가 제2탄성수단쪽으로 밀린 상태에서 상기 제1플런저도 상기 제1탄성수단쪽으로 밀려 이동되면, 상기 제1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 사이에 상기 제1플런저의 실링부재가 위치하게 되어 공압이 차단되고, 상기 제2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플런저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180도 각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 검사장치에서 전기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된 솔레노이드 작동체 또는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저렴한 공압을 이용한 스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의 정면도로서, 각각 다른 작동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압 스위치부의 원위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압 스위치부의 원위치에서 제2스위치가 눌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압 스위치부의 원위치에서 제1스위치가 눌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압 스위치부의 원위치로 돌아간 상태의 제2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압 스위칭부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작동부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압 스위치부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작동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압 스위칭부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2작동부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압 스위치부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2작동부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200)에 솔레노이드 작동체 대신에 공압 스위치를 적용한 에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장치(200)는 베이스 몸체(210)에 공압 스위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몸체(210) 대하여 전후진 이동하는 검사부(220)가 설치되어 전후진하면서 커넥터(201)를 검사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210)에는 커넥터(201)에 의해 눌리는 상부 버튼(225)이 후술하는 공압 스위치부의 제2실린더부(20)의 버튼부재(25)에 해당하고, 측면에 설치된 측면 버튼(215)은 공압 스위치부의 제1실린더부(10)의 버튼 부재(15)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상기 커넥터(201)가 내려와 상부 버튼(225)을 누르게 되면 도 5와 같은 상태로 되어 제2실린더부(20)의 토출구(21b)로 공압이 공급된다. 이때 검사부(220)에는 제2실린더부의 토출구(21a)와 연통된 작동 실린더(23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작동에 의해 검사부(220)가 전진하여 커넥터(201)와 맞물리게 된다.
그 상태에서 커넥터(201)의 검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작업자가 측면 버튼(215)을 누르게 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어, 검사부(220)의 작동 실린더(230)에 공급되던 공압이 차단된다. 그러면 검사부(220)는 스프링(202)의 힘에 의해 원위치로 후진하게 되고, 커넥터(201)도 제2실린더의 스프링(28)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다.
작업자가 측면 버튼(215)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측면 버튼(215)도 스프링(18)의 힘에 의해 외부로 다시 돌출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상기 공압 스위치부는, 제1실린더부(10)와 제2실린더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린더부(10)와 제2실린더부(20)는 그 구성요소가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공압이 유입 및 토출되는 유입구(11a) 및 토출구(11b)의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제1실린더부(10)는 제1실린더(11), 제1플런저(12-17), 제1탄성수단(18)인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제1실린더(11)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이 유입되는 유입구(11a)와 토출되는 토출구(11b)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실린더(11)의 유입구(11a)에는 공압을 제공하는 공기 펌프 등이 연결되어 일정 압력 이상의 공압을 제공하게 된다. 도 4에서는 상기 유입구(11a)로 제공된 공압은 제1플런저(12-17)와 제1실린더(11)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토출구(11b)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연통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1실린더(11) 일단은 마개(11d)에 의해 일부 밀폐되고, 그 반대편에는 각각 상기 제1플런저(12-17)의 일부가 버튼 형태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린더(11) 내부는 실링부재(13,14) 양단으로는 공압이 통과될 수 없도록 항상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실링부재(13,14) 외측 부분은 대기압과 연통된다.
상기 제1플런저(12-17)는,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실린더(11)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하는 몸체(12)와, 상기 제1실린더(1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12)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13,14)를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11)의 유입구(11a)와 토출구(11b)를 연통 또는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제1플런저(12-17)는, 상기 제1실린더(11)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직경을 갖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13,14)와,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13,14) 중에 하나의 실링부재(1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탄성수단(18)에 삽입되는 안착부재(17)와, 상기 안착부재(17)의 반대쪽 실링부재(14)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실린더(11)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재(1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12)는 플런저의 전체적인 기계적인 강성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휘어지지 않고, 축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13,14)는 상기 몸체(12)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런저(12-17)가 직선으로 왕복할 때 상기 제1실린더(11)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항시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런저(12-17)가 이동하더라도 몸체(12) 측은 실링부재(13,14)에 의해 외부와 밀폐되고, 그 외의 부분들은 대기압 상태이다.
상기 안착부재(17)는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12)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고 일부가 상기 스프링(18)에 삽입된 부재이다. 따라서 스프링(18)은 상기 안착부재(17)가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플런저(12-17)가 스프링(18) 방향으로 제공하는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18)은 압축된다. 물론 그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플런저(12-17)를 반대 방향으로 밀어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버튼부재(15)는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12)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안착부재(17)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부는 상단 마개(11c)에 걸리고, 일부는 그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밀폐는 실링부재(13,14)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버튼부재(15)는 밀폐와는 상관이 없다. 다만 상기 버튼부재(15)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받아 상기 제1실린더(11) 내측으로 밀려들어옴으로써 물리적인 입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재(15)의 끝단에는 누르기 쉽도록 면적을 확대한 면적 확대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면적 확대부(16)는 작업자가 손가락 등으로 누를 경우 쉽게 누를 수 있도록 조력한다.
결국, 상기 제1플런저(12-17)는 몸체(12) 양단의 실링부재(13,14)에 의해 몸체(12) 부분은 외부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외측 부분들은 대기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탄성수단(18)은,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1실린더(1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런저(12-17)를 반대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수단(18)은 하단 마개(11d)에 일단이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부재(17)에 밀착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런저(12-17)를 상기 버튼 부재(15)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항시 제공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플런저(12-17)가 외력에 의해 밀리면 상기 탄성수단(18)도 압축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1실린더부(10)가 구성되고, 도 4와 같이 평상시 원위치인 버튼 부재(15)가 제1실린더(11) 상단 마개(11c)에 밀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유입구(11a)와 토출구(11b) 모두가 몸체(12)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공압은 유입구(11a)를 통하여 상기 토출구(11b)로 전달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가 상기 제1실린더부(10)의 원위치 상태이다.
한편, 상기 제2실린더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부(1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제2실린더부(20)는 제2실린더(21), 제2플런저(22-27), 그리고 제2탄성수단(28)을 포함한다. 제2실린더부(20)가 상기 제1실린더부(10)와 다른 점은 공압의 유입구(21a)와 토출구(21b)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된 점이다.
상기 제2실린더(21)는, 상기 제1실린더(11)의 토출구(11b)와 연결되어 공압이 유입되는 유입구(21a)와 토출되는 토출구(21b)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실린더(11)의 토출구(11b)와는 상기 제2실린더(21)의 유입구(21a)는 연결관(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연결관(9) 대신 호스 등과 같은 유연한 구성요소를 적용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니플을 연결한 다음 서로 에어 호스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실린더부(20)가 원위치 상태, 즉 제2탄성수단(28)에 의해 밀린 상단 마개(21c)에 버튼 부재(25)가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입구(21a)는 제2플런저(22-27)의 몸체(22)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구(21b)는 도 4를 기준으로 하단의 실링부재(23)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결국 상기 유입구(21a)와 토출구(21b)는 실링부재(23)에 의해 막혀 서로 연통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가 원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2실린더(21)의 유입구(21a)와 유출구(21b)가 형성된다.
상기 제2플런저(22-27)는 상기 제2실린더(21)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하는 몸체(22)와, 상기 제2실린더(2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22)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23,24)를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실린더(21)의 유입구(21a)와 토출구(21b)를 연통 또는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제2플런저(22-27)는, 도 4 내지 도 7를 참고하면, 상기 제1플런저(12-17)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실린더(21)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직경을 갖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23-24)와,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23-24) 중에 하나의 실링부재(2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탄성수단(28)에 삽입되는 안착부재(27)와, 상기 안착부재(27)의 반대쪽 실링부재(24)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실린더(21)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재(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탄성수단(28)은 상기 제2실린더(2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플런저(22-27)를 반대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다.
이때, 상기 제2탄성수단(28)의 일단은 상기 하단 마개(21d)에 밀착되고, 타단은 안착부재(27)에 밀착된다. 물론 그 작동은 제1실린더부(10)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플런저(12-17)와 제2플런저(22-27)는 각각 상기 제1탄성수단(18)과 제2탄성수단(28)에 의해 반대쪽으로 밀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실린더(11)의 유입구(11a)와 토출구(11b)는 내측에 상기 제1플런저(12-17)의 몸체(12)가 위치하여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2실린더(21)의 유입구(21a)와 토출구(21b)는 상기 제2플런저(22-27)의 실링부재(23)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제2플런저가 상기 제2탄성수단(28)쪽으로 밀려 이동하면, 상기 제2실린더(21)의 유입구(21a)와 토출구(21b)가 상기 제2플런저의 몸체(22)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공압이 상기 제2실린더(21)의 토출구(21b)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제2플런저가 제2탄성수단(28)쪽으로 밀린 상태에서 상기 제1플런저도 상기 제1탄성수단(18)쪽으로 밀려 이동되면, 상기 제1실린더(11)의 유입구(11a)와 토출구(11b) 사이에 상기 제1플런저의 실링부재(13)가 위치하게 되어 공압이 차단되고, 상기 제2탄성수단(1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플런저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 4을 참고하면, 상기 제1실린더(11)와 제2실린더(21)는 모두 각각 탄성수단(18,28)에 의해 밀려 있는 원위치 상태이고, 상기 제1실린더(11)의 유입구(11a)와 토출구(11b)는 연통되어 공압이 제공되고 있는 상태이고, 그 공압은 연결관(9)을 통하여 상기 제2실린더(21)의 유입구(21a)에 전달되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제2실린더(21)의 유입구(21a)와 토출구(21b)는 실링부재(23)에 의해 막혀 차단된 상태이다. 결국 제1실린더(11)에 공급되는 공압은 상기 제2실린더(21)의 토출구(21b)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실린더부(20)의 버튼 부재(25)가 눌려 상기 제2플런저가 상기 제2탄성수단(2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밀린 경우를 보여준다. 물론 외력은 계속 가해지고 있어야 한다. 제1실린더부(10)의 상태는 도 4와 같이 유입구(11a)와 토출구(11b)가 서로 연통된 상태이고, 상기 제2실린더(21)의 유입구(21a)와 토출구(21b)도 서로 연통된 상태이다. 따라서 공압은 제1실린더(11)와 제2실린더(21)를 모두 연통하여 상기 제2실린더(21)의 토출구(21b)로 공압이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2플런저의 버튼 부재(25)가 눌리는 것은 입력으로 볼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실린더(21)의 토출구(21b)로 공압이 토출되는 것을 출력으로 볼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 작동체나 솔레노이드 스위치처럼 버튼 입력에 따라 출력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는 공압이기 때문에 출력 실린더를 구동할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플런저의 버튼 부재(15)가 눌린 상태이다. 즉 작업자 또는 외부의 외력에 의해 버튼 부재(15)가 눌리게 되어, 제1실린더(11)의 유입구(11a)와 토출구(11b) 사이에 실링부재(13)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공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2실린더(21)의 토출구(21b)로 출력되던 공압도 차단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플런저의 버튼 부재(15)가 눌림에 따라 모든 것이 원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력이 제거되면 당연히 상기 제1, 2플런저의 각 버튼 부재(15,25)가 스프링(18,2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결국 도 4과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압 스위치부의 제2실시예로서, 사출물로 구현하고 고정볼트용 홀(110b,120b)을 통하여 필요한 곳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다. 물론 제1실린더부(110)와 제2실린더부(120)의 구성은 모두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제1실린더(111)와 제2실린더(121)의 유입구(111a,121a)와 토출구(111b,121b)는 서로 마주보도록 180도 각도에 각각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각 유입구(111a,121a)와 토출구(111b,121b)는 에어니플(131-134)이 설치되어 서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자동차용 커넥터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일례를 설명하였지만, 컨베이어 장치에서 물건을 종류별로 식별한 다음 서로 다른 곳으로 이송시키는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기계장치에서 솔레노이드 작동체 또는 스위치 대신에 본 발명에 의한 공압 스위치부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등이 열리면서 터치하게 되는 스위치 센서와 같은 터치 센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110 : 제1실린더부
11, 111 : 제1실린더 11a, 21a, 111a, 121a : 유입구
11b, 21b, 111b, 121b : 토출구 12, 22, 112, 122 : 몸체
13, 14, 113, 114 : 실링부재 15, 25, 115, 125 : 버튼부재
16 : 면적 확대부 17, 27, 117, 127 : 안착부재
18, 28, 118, 128, : 스프링 200 : 검사장치
201 : 커넥터 202 : 스프링
210 : 베이스 몸체 220 : 검사부
230 : 작동 실린더

Claims (4)

  1. 자동차의 전선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검사하기 위한 커넥터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에 대하여 전후진 하도록 설치되고,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후진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를 전진하도록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 실린더; 및
    상기 작동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공압 스위치부;
    를 포함하되,
    상기 공압 스위치부는,
    공압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하는 몸체와, 상기 제1실린더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는 제1플런저;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런저를 반대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
    상기 제1실린더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공압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하는 몸체와, 상기 제2실린더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는 제2플런저; 및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플런저를 반대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플런저와 제2플런저는 각각 상기 제1탄성수단과 제2탄성수단에 의해 반대쪽으로 밀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는 내측에 상기 제1플런저의 몸체가 위치하여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는 상기 제2플런저의 실링부재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제2플런저가 상기 제2탄성수단쪽으로 밀려 이동하면, 상기 제2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가 상기 제2플런저의 몸체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공압이 상기 제2실린더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어 상기 작동 실린더가 상기 검사부를 전진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의 일단은 마개에 의해 일부 밀폐되고, 그 반대편에는 각각 상기 제1플런저와 제2플런저의 일부가 버튼 형태로 돌출되되, 상기 커넥터가 검사를 위하여 안착되면 상기 제2플런저가 제2실린더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상기 제1플런저의 입부는 작업자가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된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런저는,
    상기 제1실린더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직경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실링부재;
    상기 한 쌍의 실링부재 중에 하나의 실링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탄성수단에 삽입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반대쪽 실링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실린더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재;
    를 포함하는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런저가 제2탄성수단쪽으로 밀린 상태에서 상기 제1플런저도 상기 제1탄성수단쪽으로 밀려 이동되면, 상기 제1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 사이에 상기 제1플런저의 실링부재가 위치하게 되어 공압이 차단되고, 상기 제2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플런저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의 유입구와 토출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180도 각도에 각각 형성된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KR1020190103597A 2019-08-23 2019-08-23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KR20210023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97A KR20210023425A (ko) 2019-08-23 2019-08-23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97A KR20210023425A (ko) 2019-08-23 2019-08-23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425A true KR20210023425A (ko) 2021-03-04

Family

ID=7517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597A KR20210023425A (ko) 2019-08-23 2019-08-23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34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3510A (zh) * 2022-10-18 2022-11-15 山东昊特自动化仪表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用检测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96B1 (ko) 2014-12-24 2017-02-27 양기선 커넥터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96B1 (ko) 2014-12-24 2017-02-27 양기선 커넥터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3510A (zh) * 2022-10-18 2022-11-15 山东昊特自动化仪表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用检测平台
CN115343510B (zh) * 2022-10-18 2023-01-24 山东昊特自动化仪表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用检测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472B1 (ko) 밀봉형 전환밸브조립체
US7753078B2 (en) Hybrid hydraulic joystick with an integral pressure sensor and an outlet port
US5711346A (en) Fluid control element
US7753077B2 (en) Hybrid hydraulic joystick for electrically operating valves
EP2074345A1 (en) Rocker valve mechanism and rocker valve
US6026860A (en) Solenoid valve apparatus for two end-users
CA2551987C (en) Pneumatically actuated valve
WO2016031284A1 (ja) 電磁弁
KR20040040382A (ko) 전자밸브
KR20210023425A (ko) 공압 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검사장치
US10024448B2 (en) Flat spring for solenoid valve and solenoid valve using the same
US3831953A (en) Solenoid operated valve assembly
US11498171B2 (en) Automatic tool exchange coupler and automatic tool exchange apparatus
RU185432U1 (ru) Переключающий клапан
US3676625A (en) Dual plunger actuated sealed combination safety and interlock switch mechanism
KR20190038481A (ko) 파일럿 유닛, 액츄에이터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
US3814133A (en) Solenoid operated compressed air valve
KR20190101715A (ko) 공압 스위치 장치
KR20090014262A (ko) 감지식 수전
CN107166063B (zh) 阀布置系统
JPH0216072Y2 (ko)
US3633624A (en) Solenoid-operated valve assembly
US3906177A (en) Electromotive and fluid pressure force switch with maze valves
CN103363154A (zh) 换色器
CN110418913B (zh) 电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