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362A -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ystems - Google Patents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362A
KR20210023362A KR1020190103464A KR20190103464A KR20210023362A KR 20210023362 A KR20210023362 A KR 20210023362A KR 1020190103464 A KR1020190103464 A KR 1020190103464A KR 20190103464 A KR20190103464 A KR 20190103464A KR 20210023362 A KR20210023362 A KR 20210023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odes
welfare mall
web site
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채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셜공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셜공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셜공감
Priority to KR102019010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362A/en
Publication of KR2021002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3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Abstrac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web page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 graph consisting of multiple nodes including at least one of true, optional, and numeric nodes corresponding to true, optional, and numeric variables used in the reasoning theory of an expert system and multiple connecting lines connecting and any two nodes among multiple nodes. By implemen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through script language or form input or anchor, a source code of each web page composing a welfare mall website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addition, for the already formed welfare mall websit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ource code by using an HTTP command and then analyze and display the HTTP command in the form of the graph.

Description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이론을 바탕으로 한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YSTEMS}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YSTEMS}

본 발명은 복지몰 웹 사이트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시각적인 그래프로 나타내고 이를 이용해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생성함으로써 복지몰 웹 사이트를 제작,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welfare mall web site, and in detail, based on the inference theory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is represented by a visual graph, and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is generated using this.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welfare mall web site by automatically generating it.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이라 함은, 현장 전문가의 지식을 내장한 후 실제 문제에 적용할 수 있게끔 프로그래밍되어 현장 전문가처럼 실무 문제를 풀 수 있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인간 전문가의 전문 지식을 전문가 시스템 내에 표현하는 방법으로 규칙(rule)이라고 불리는 것을 사용한다. 규칙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띤다.Expert system refers to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that embeds the knowledge of field experts and is programmed to apply them to real problems and solves practical problems like a field expert. As a way of expressing in the system, what is called a rule is used. The rules take the form:

IF …(조건문)IF… (Conditional statement)

THEN …(행위문)THEN… (Act statement)

전문가 시스템이 규칙에 의하여 표현된 인간 전문가의 전문지식을 실제 문제를 풀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추론(inference)이라고 하는데, 추론은 위의 규칙의 IF 절에 나타난 조건문이 사실이면 THEN 절에 나타난 행위문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규칙은 한 개가 아니고 여러 개이므로 규칙을 서로 연결하면서 조건문을 검사하고 행위문을 수행하는 것을 반복하여야 한다.The method that the expert system uses the expert knowledge of human experts expressed by the rule to solve the actual problem is called inference. Inference is the action statement shown in the THEN clause if the conditional statement shown in the IF clause of the rule is true. Is to do. However, since there are multiple rules rather than one,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execution of the conditional statement and the action statement while connecting the rules to each other.

한편, 규칙의 조건문이나 행위문에는 변수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동물 분류 규칙 집합을 살펴보자.On the other hand, variables appear in conditional statements or action statements of rules. For example, consider the following set of animal classification rules.

IF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 TRUEIF "feed the baby" = TRUE

THEN 종류1 = 포유류THEN Type 1 = Mammal

IF 종류1 = 포유류IF type 1 = mammal

AND 나이 < 5AND age <5

THEN 종류2 = 새끼포유류THEN type 2 = baby mammals

위 예제에서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 종류1, 종류2, 나이 등을 변수라고 하고, TRUE, 포유류, 5, 새끼포유류 등을 상수라고 한다. 변수의 종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 세 가지가 있다. 위 예제에서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변수는 그In the above example, "feed the baby", type 1, type 2, age, etc. are called variables, and TRUE, mammals, 5, baby mammals, etc. are called constants. There are three types of variables: true, optional, and numeric. In the example above, the "feed the baby" variable is

값으로 TRUE(참)나 FALSE(거짓)를 가질 수 있는 진위형 변수이고, 종류1은 포유류, 조류 등을 그 값으로 가질 수 있는 선택형 변수이며, 나이는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는 수치형 변수이다.It is a true variable that can have TRUE (True) or FALSE (False) as a value, type 1 is an optional variable that can have mammals, birds, etc. as its value, and age is a numeric variable that can have a number as its value. to be.

이제 이러한 규칙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순서에 맞게, 그리고, 규칙에 나타난 변수의 형태에 맞추어 알맞은 질문을 던지면서 추론을 진행하여 결론(해답)을 도출해 주는 소프트웨어를 추론 엔진(Inference Engine)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위 예제의 두 규칙에 대해 추론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추론 엔진과 사용자 간의 대화가 이어질 것이다.Now, the software that understands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rules and proceeds with inference while asking appropriate questions according to the order and in the form of variables shown in the rules to draw conclusions (answers) is called the Inference Engine. . For example, if you reason about the two rules in the example above, the following dialogue between the reasoning engine and the user will follow.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가 사실입니까?Is it true to "feed the baby"?

Yes

" 나이" 는 얼마입니까?" How old are you?

33

결론: " 새끼포유류" 입니다.Conclusion: "Baby mammals".

이러한 규칙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하여 지식 분석도(Rule Diagram)를 사용한다. 지식 분석도란 인간 전문가의 지식을 그래프 형태로 표현해 주는 도표로서, 지식을 표현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지식이 바뀌었을 때 그래프의 해당 부분을 고치기만 하면 되므로 지식의 유지보수(Maintenance)가 쉽다. 또한, 그래프로 표현된 지식은 자동으로 규칙으로 변환되어 추론 엔진에 의하여 곧바로 추론에 이용될 수 있다.To express these rules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a Rule Diagram is used. A knowledge analysis diagram is a diagram that expresses the knowledge of a human expert in a graph form. It is not only easy to express knowledge, but also maintenance of knowledge is easy because you only need to fix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graph when knowledge changes. In addition, the knowledge expressed as a graph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rules and can be immediately used for inference by an inference engine.

위 예제의 규칙을 생성해줄 수 있는 지식 분석도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A knowledge analysis diagram that can generate the rule of the example above is shown in FIG. 1.

만약 전문가의 지식이 바뀌면 그 규칙에 대응하는 그래프의 노드(Node)의 값을 바꾸거나(예를 들어 나이가 3살 이내일 때 새끼포유류라 하면 " 나이 < 5" 를 " 나이 < 3" 으로 바꾼다.), 새로운 규칙이 추가되었다면 노드를 추가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노드 간의 연결(Arc)을 바꾸어준다. 이렇게 하여 전문가의 지식을 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If the expert's knowledge changes, either change the value of the node in the graph corresponding to the rule (for example, if you are younger than 3 years old, change "age <5" to "age <3" for baby mammals. .), if a new rule is added, add a node, or change the arc between nodes as needed. In this way, expert knowledge can be easily maintained.

그리고, 이러한 지식 분석도로부터 위 예제와 같은 규칙을 생성해 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가능하고, 실제로 개발된 바(예, UNIK-LIFT)도 있다. 이렇게 생성된 규칙은 추론엔진(예, UNIK-BWD)에 입력되어 추론에 사용된다.In addition, software that can generate rules like the above example from this knowledge analysis diagram is also possible, and there are actually developed ones (eg, UNIK-LIFT). The rules created in this way are input to an inference engine (eg, UNIK-BWD) and used for inference.

한편, 복지몰 웹 사이트는 서로 의미있게 연결된 수 많은 웹 페이지의 집합이다. 이러한 웹 페이지 사이의 연결(hyperlink)은 전문가 시스템의 규칙을 이용한 추론 과정과 흡사하다.Meanwhile, the welfare mall website is a collection of numerous web pages that are meaningfu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hyperlink between web pages is similar to the reasoning process using the rules of the expert system.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냄으로써 복지몰 웹 사이트를 쉽게 관리하고 제작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light of this point, and aims to provide a method and tool for easily managing and producing a welfare mall web site by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in a graph based on the inference theory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 .

본 발명의 목적은 복지몰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복지몰 웹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reating a welfare mall web site based o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constitut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지몰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constituting a welfare mall web site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grasped visually.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로부터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extract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web pages from an already formed welfare mall web site and displaying it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grasped visually. .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복지몰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개별 웹 페이지의 내용과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쉽게 고칠 수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easily correc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individual web pages constitut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and web page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노드와 다수의 노드 중 임의의 두 개의 노드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로 사용자가 구축하기를 원하는 복지몰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작성하도록 해 주는 저작 인터페이스, 그래프를 구성하는 다수의 노드와 다수의 연결선에 관련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노드는,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 변수에 각각 대응하는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를 포함하며, 진위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 예" 또는 " 아니오" 의 값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고, 선택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조건 중 하나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며, 수치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값에 대한 조건문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며,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는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소스 코드 내에서 스크립트 언어, 폼 입력 또는 앵커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노드 중 둘 이상의 노드를 노드 그루핑함에 따라, 노드 그루핑된 노드들은 하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되도록 코드 생성부에 의해 소스 코드가 생성되며,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노드 중 동일한 질문을 표시하는 둘 이상의 노드를 질문 변수 그루핑함에 따라, 질문 변수 그루핑된 노드들에 대하여 동일한 질문은 웹 페이지 상에서 한 번만 표시되도록 코드 생성부에 의해 소스 코드가 생성된다.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uch an object, the user wants to build a graph made of a plurality of nod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lines connecting any two nodes among a plurality of nodes. An authoring interface that allows you to create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of the Welfare Mall website,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a number of nodes and connection lines constituting a graph, and the source of a web page using information expressed in graphs It includes a code generator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 code, and the plurality of nodes includes a true type node, a selection type node, and a numeric type node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true type, the optional type, and the numeric type variable used in the inference theory of the expert system, The authentic node is a node tha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node by a value of "Yes" or "No" for a certain question, and an optional node is a node tha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node by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conditions for a certain question. It is a node, and a numeric node can have a number as a value for a certain question, and is a node that can be connected to other nodes by conditional statements on the value,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is within the sourc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Is implemented using a scripting language, form input, or anchor in the authoring interface, and as node grouping two or more of the nodes in the authoring interface, the source code is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so that the node grouped nodes consist of one web page. As a result of grouping two or more nodes representing the same question among the nodes in the authoring interface as question variables, the source code is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so that the same question is displayed only once on the web page for the question variable grouped nodes.

여기에서, 자동 생성될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에서 노드 간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예약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포함하는 템플릿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코드 생성부는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 파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한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template database that stores a template file including source cod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rest of the web pages excluding reserved words required for connection between nodes among the source codes of the web pages to be automatically generated. At this time, the code generation unit automatically generates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using the information expressed as a graph and the template file stored in the template database.

또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입력으로 받아, 입력된 상기 소스 코드의 스크립트 언어, 폼, 앵커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얻어내고, 얻어진 상기 연결관계를 노드 및 연결선 정보로 변환하는 코드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코드 분석부가 소스 코드 중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관계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code analysis that receives the source code of a web page as input, analyzes the script language, form, and anchor of the input source code to obtain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and converts the obtained connection relationship into node and connection line information. A part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code analysis unit may store the source cod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rest of the web pages in the template database, exclud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among the source codes.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복지몰 웹 사이트를 이루는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면 이를 웹 페이지로 자동생성해 주므로 복지몰 웹 사이트를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고,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의 측면에서는 연결관계가 바뀐 경우에 그래프만을 변경한 후 다시 자동생성할 수 있으므로 복지몰 웹 사이트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개발된 복지몰 웹 사이트에 대해서도 그 연결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한 후 다시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Us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constitut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is expressed in a graph form, it is automatically generated as a web page, so that a welfare mall web site can be developed easily and quickly, and In terms of mall web site management, i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is changed, only the graph can be changed and then automatically generated again, making it easy to maintain the welfare mall web site. Also, for the welfare mall website that has already been develope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can be expressed in a graph and used again for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이 원용한 추론 이론을 반대로 웹에 적용하여 웹 기반 추론 전문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관계가 추론에서의 변수간의 연결관계를 모두 지원하므로 인간 전문가의 지식을 본 발명에 의한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시스템에 그래프의 형태로 입력한 후 복지몰 웹 사이트를 자동생성한 후 웹 서버에 올리면 그대로 웹 기반 추론 사이트가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web-based reasoning expert system by applying the reasoning theory u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eb in reverse. Since the connection re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ll connection relations between variables in inference, the human expert's knowledge is entered in the form of a graph into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the welfare mall web site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the web When uploaded to the server, it becomes a web-based reasoning site as it is.

도 1은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분석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지몰 웹 사이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연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진위형 연결 그래프로부터 생성된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도 5의 웹 페이지 각각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선택형 연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7의 선택형 연결 그래프로부터 생성된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선택형 연결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치형 연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수치형 연결 그래프로부터 생성된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수치형 연결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의 지식분석도를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와 도 16은 도 13의 그래프로부터 형성된 웹 페이지의 예이다.
도 15와 도 17은 각각 도 14와 도 16에 도시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3의 그래프로부터 형성된 다른 웹 페이지의 예이다.
도 19는 동일한 질문이 두 번 반복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예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 일부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기존의 웹 페이지로부터 얻어온 소스 코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도 21의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다음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얻어오기 위한 명령의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템플릿 파일의 예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노드와 연결선 정보가 저장되는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한 웹 페이지로부터 다른 웹 페이지들로 분기(branch)되는 것에 대한 분기 정보가 저장되는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knowledge analysis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ntire system for creating and managing a welfare mall web site us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authenticity type connection used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xample of a web page generated from the authentic connection graph of FIG. 4.
6A to 6D show source codes of each of the web pages of FIG. 5 formed by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a selective connection used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xample of a web page generated from the selectable connection graph of FIG. 7.
9 shows the source code of the selective connection web page formed by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showing a numerical connection used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example of a web page generated from the numeric connection graph of FIG. 10.
12 shows the source code of the numeric connection web page formed by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aph showing the knowledge analysis diagram of FIG. 1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6 are examples of web pages formed from the graph of FIG. 13.
15 and 17 show source codes of the web pages shown in FIGS. 14 and 16, respectively.
18 is an example of another web page formed from the graph of FIG. 13.
19 is an example of a web page that can be generated when the same question is repeated twice.
20 shows some of the source codes of the web page shown in FIG. 19.
21 shows an example of a source code obtained from an existing web page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2 shows an example of a command for obtaining a source code of a next web page by analyzing the source code of FIG. 21.
23 shows an example of a template file used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4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node and connection lin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5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branch information about branching from one web page to another web page is stored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은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지몰 웹 사이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요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reating and managing a welfare mall web site us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은 외부로부터 직접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형성되어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로부터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를 추출하여 입력으로 사용한다. 최초로 복지몰 웹 사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외부로부터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다수의 웹 페이지(220)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웹 페이지(220)는 웹 서버(230)로 전송되어 인터넷(240)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된다. 복지몰 웹 사이트의 변경은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미 만들어져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를 관리하는 방법은 인터넷(240)을 통해 해당 복지몰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를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으로 가져오는 것으로 시작된다. 복지몰 웹 사이트로부터 가져온 정보는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 내부에 저장되며 이를 통해 새로 생성한 복지몰 웹 사이트의 관리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복지몰 웹 사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receives the welfare mall web sit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or extracts the welfare mall web site information from the welfare mall web site already formed and uses it as input. The first method of creating a welfare mall web site is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welfare mall web site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web pages 220. The web page 220 generat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230 and provided to users through the Internet 240. The change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may be made by chang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information stored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210.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manag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that has already been created starts by access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through the Internet 240 and then bring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information to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210. .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welfare mall web site is stored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210, and through this, the welfare mall web site can be mana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anagement of the newly created welfare mall web sit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블록도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저작 인터페이스(320)는 복지몰 웹 사이트를 생성 또는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복지몰 웹 사이트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식분석도와 같은 그래프의 형태로 복지몰 웹 사이트의 구조를 작성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저작 인터페이스(320)는 사용자가 작성한 복지몰 웹 사이트의 노드 정보와 연결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와 연동되어 있으며, 웹 페이지의 화면 구성과 같은 기타 정보를 가지고 있는 템플릿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350)와도 연동되어 있다. 저작 인터페이스(320)와 연결되어 있는 HTML 코드 변환부(330)는 저작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사용자가 그래프 형태로 작성한 복지몰 웹 사이트의 구조를 대응하는 HTML 소스 코드로 변환해준다.The authoring interface 320 is used to create and edit the structure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in the form of a graph such as a knowledge analysis diagram that allows a user who wants to create or manage the welfare mall web site to visually easily grasp the structure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To be able to do it. The authoring interface 320 is linked with the welfare mall web site information database 340 that stores node information and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created by the user, and has other information such as the screen composition of the web page. It is also linked with the template database 350 storing template files. The HTML code conversion unit 330 connected to the authoring interface 320 converts the structure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created by the user in the form of a graph into a corresponding HTML source code through the authoring interface 320.

HTML 코드 변환부(330) 역시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및 템플릿 데이터베이스(350)와 연동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베이스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HTML 소스 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은 기존의 복지몰 웹 사이트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그래프 형태로 보여줄 수 있도록 분석하는 HTML 코드 분석부(310)를 포함한다. HTML 코드 분석부(310)는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및 템플릿 데이터베이스(350)와 연동되어 분석된 정보를 각각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350)로 나누어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복지몰 웹 사이트의 정보는 저작 인터페이스(320)로 입력되어 사용자가 보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이는 다시 HTML 코드 변환부(330)에 의해 새로운 HTML 코드로 변환될 수 있다.The HTML code conversion unit 330 is also interlocked with the welfare mall web site information database 340 and the template database 350, and generates an HTML source code u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se databases. In additio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210 includes an HTML code analysis unit 310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an existing welfare mall web site and analyzes it to be displayed in a graph form to a user. The HTML code analysis unit 310 divides and stores the analyzed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welfare mall website information database 340 and the template database 350 into the welfare mall web site information database 340 and the template database 350, respectively. . The information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stored in this way is input through the authoring interface 320 and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view or change it, which may be converted into a new HTML code by the HTML code conversion unit 330.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문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추론 이론의 변수 개념은 모든 가능한 연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것을 원용하면 모든 가능한 웹 페이지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변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의 세 가지이며, 이러한 세 가지 종류의 변수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간의 연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지몰 웹 사이트에서 많이 나타나는 메뉴 클릭에 의한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은 추론에서 선택형 또는 진위형 변수에 의한 연결로 파악할 수 있다. 또, 폼 입력 후 확인 버튼에 의한 다른 페이지로의 연결은 수치형 변수에 의한 연결로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cept of variables in reasoning theory used in the expert system allows all possible connection relationships to be expressed, so if this is used, all possible connection relationships between web pages can be expressed. There are three variables used to express this connection: authenticity type, optional type, and numeric type, and the connection between web pages can be indicated by using these three types of variables. For example, moving to another page by clicking on a menu that often appears on a welfare mall website can be understood as a connection by a selective or authentic variable in inference. In addition, after entering the form, the connection to another page by the confirmation button can be identified as a connection by a numeric variable.

이제 각각의 변수에 의한 연결을 그래프로 표시하는 방법과 이에 따라 대응하는 웹 페이지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Now,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connection by each variable in a graph and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rresponding web pag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4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진위형 연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진위형 연결의 그래프이며, 도 5는 도 4의 진위형 연결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의 웹 페이지 각각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First, the authentic conn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D. 4 is a graph of the authentic connection, and FIG. 5 shows an example of a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 connection of FIG. 4. 6A to 6D show source cod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web pages of FIG. 5.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위형 연결은 일정한 질문(변수)에 대해서 " Yes" 또는 " No" 의 값을 가질 수 있는 연결이다. 질문에 대한 값에 따라 각각 다른 결론(Conclusion 1, Conclusion 2)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을 갖는 웹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저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uthentic connection is a connection that can have a value of "Yes" or "No" for a certain question (variable).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question, it leads to different conclusions (Conclusion 1, Conclusion 2). In order to create a web page having such a connection, a user can draw a graph as shown in FIG. 4 by using the authoring interface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웹 페이지 생성 기능을 이용하면, 도 4의 그래프에 대응하는 4개의 웹 페이지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각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파일명은 예를 들면, WBI0HTML, WBI1HTML, WBI2HTML, WBI3HTML과 같이 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4의 그래프의 각 노드가 도 5의 각 웹 페이지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의 각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HTML 소스 코드의 예는 도 6a 내지 도 6d에 나타난 바와 같다.Next, when the web page generation function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ur web pages corresponding to the graph of FIG. 4 are automatically generated as shown in FIG. 5. The source code file name of each web page is, for example, WBI0HTML, WBI1HTML, WBI2HTML, and WBI3HTML. As shown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each node of the graph of FIG. 4 corresponds to each web page of FIG. 5. In addition, examples of HTML source codes corresponding to each web page of FIG. 5 are as shown in FIGS. 6A to 6D.

먼저 도 5의 타이틀 페이지(510)에 해당하는 WBI0HTML 파일의 소스코드를 보면(도 6a), 문서의 타이틀(" Decision FT" , " 진위형" )을 표시하며,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페이지인 WBI1HTML로 넘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First, looking at the source code of the WBI0HTML file corresponding to the title page 510 of FIG. 5 (FIG. 6A), the title of the document ("Decision FT", "Authenticity") is displayed, and then click the "OK" button.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move to the page WBI1HTML.

진위형 연결의 두번째 페이지인 질문 페이지(520)의 소스 코드는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다.The source code of the question page 520, which is the second page of the authentic connection, is as shown in FIG. 6B.

질문에 대한 답이 " Yes" 와 " No" 인 경우 각각 해당하는 결론 페이지인 WBI2HTML과 WBI3HTML로 연결되도록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해 기술되어 있으며, 입력 방식은 라디오 버튼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입력 방식은 라디오 버튼 외에도 HTML 언어의 < A> 택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결론 페이지로 하이퍼링크되도록 할 수도 있고, 체크박스와 같은 다른 입력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f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Yes" and "No", it is described using a script language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clusion pages, WBI2HTML and WBI3HTML, and the input method is to use a radio button. In addition to the radio button, the input method can be hyperlinked to the corresponding conclusion page by using the <A> tag in HTML language, and of course, other input methods such as a check box can be used.

질문 페이지에서 " Yes" 를 선택할 경우 세번째 페이지(530)인 WBI2HTML로 연결되고, " No" 를 선택할 경우 네번째 페이지(540)인 WBI3HTML로 연결된다. 각 결론 페이지(530, 540)에서는 두번째 페이지(520)의 질문(변수)에 대한 각각의 값에 따른 결론(Conclusion 1, Conclusion 2)을 보여주고, "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첫번째 페이지(510)로 돌아갈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If "Yes" is selected in the question page, the third page 530 is connected to WBI2HTML, and if "No" is selected, the fourth page 540 is connected to WBI3HTML. In each of the conclusion pages 530 and 540, conclusions (Conclusion 1, Conclusion 2) according to each value of the question (variable) of the second page 520 are shown, and the first page 510 by clicking the "Confirm" button. It is connected so that you can return to it.

연결의 두번째 형태는 선택형이다. 도 7과 도 8에 선택형 연결의 그래프와 이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second form of connection is optional. 7 and 8 illustrate a graph of a selective connection and an example of a web page corresponding thereto.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형 연결은 일정한 질문(변수)에 대해서 " Condition 1" , " Condition 2" 등과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는 연결이다. 질문에 대한 값에 따라 각각 다른 결론(Conclusion 1, Conclusion 2 등)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을 갖는 웹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저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웹 페이지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타이틀 페이지(810) 및 결론 페이지(830, 840, 850)는 도 4 내지 도 6d를 참고로 설명한 진위형 연결의 경우와 유사하다. 질문 페이지에 해당하는 두번째 페이지(820)의 소스 코드가 도 9에 나타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optional connection is a connection that can have values such as "Condition 1" and "Condition 2" for certain questions (variables).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question, it leads to different conclusions (Conclusion 1, Conclusion 2, etc.). In order to create a web page having such a connection, a user can draw a graph as shown in FIG. 7 using the authoring interface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rdingly, the web page as shown in FIG.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e title page 810 and the conclusion pages 830, 840, and 850 are similar to the case of the authentic connec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D. The source code of the second page 820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page is shown in FIG. 9.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디오 버튼을 사용하여 각 조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입력된 조건에 따라 각각 해당하는 결론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해 기술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input one of each condition using a radio button, and it is described using a script language so as to connect to a corresponding conclusion page according to the input condition.

연결의 세번째 형태는 수치형이다. 도 10과 도 11에 각각 수치형 연결의 그래프와 이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third form of connection is numeric. 10 and 11 respectively show graphs of numerical connections and examples of web pages corresponding thereto.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치형 연결은 일정한 질문(변수)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는 연결이다. 질문에 대한 값에 따라 각각 다른 결론(Conclusion 1, Conclusion 2)으로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간이나 날짜와 같은 특수한 형태의 수치형 연결을 별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numerical connection is a connection that can have a number as a value for a certain question (variable).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question, it leads to different conclusions (Conclusion 1, Conclusion 2). In some cases, special types of numeric concatenation, such as time or date, may be used separately.

이와 같은 연결을 갖는 웹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저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웹 페이지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타이틀 페이지(1110) 및 결론 페이지(1130, 1140)는 진위형 연결이나 선택형 연결의 경우와 유사하다. 질문 페이지에 해당하는 두번째 페이지(1120)의 소스 코드가 도 12에 나타나 있다.In order to create a web page having such a connection, a user can draw a graph as shown in FIG. 10 by using the authoring interface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rdingly, the web page as shown in FIG.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e title page 1110 and the conclusion pages 1130 and 1140 are similar to the case of the authentic connection or the optional connection. The source code of the second page 1120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page is shown in FIG. 12.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질문 페이지(1120)는 a라는 변수에 대응하는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제공하며, 입력된 값의 범위에 따라 각각 해당하는 결론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question page 1120 provides an input window to input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a, and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conclusion page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input value.

이제, 이와 같은 세 가지 연결 방법을 사용하여 도 1에서 예로 든 지식 분석도와 유사한 연결 관계를 갖는 복지몰 웹 사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 13 내지 도 20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ow, a method of creating a welfare mall web site hav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similar to the knowledge analysis diagram exemplified in FIG. 1 using these three connection method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20.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저작 인터페이스는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시작 노드,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 및 결론 노드 등으로 구성되는 복지몰 웹 사이트 간의 연결을 표시하는 그래프를 그리고 그래프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난 그래프는, 도 1에 나타난 지식 분석도와 유사한 내용을 갖는 복지몰 웹 사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여섯 개의 웹 페이지 (동물 분류,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나이, 결론) 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서, 그래프의 첫 번째 노드는 시작 노드이고, 두번째 노드에 해당하는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노드는 진위형 노드이며, 세번째 및 네번째 노드인 " 나이" 노드는 수치형 노드에 해당한다. " 나이" 노드의 각 값에 따라 해당하는 결론 노드로 각각 연결된다.The authoring interface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as shown in FIG. 13. Using such a user interface, the user draws a graph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welfare mall web site consisting of a start node, a truth node, an optional node, a numeric node, and a conclusion node, and creates a web page using the graph. I can. The graph shown in FIG. 13 was created to form a welfare mall web site with contents similar to the knowledge analysis diagram shown in FIG. 1, and express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six web pages (animal classification, breastfeeding, age, conclusion). I'm doing it. Here, the first node of the graph is the start node, the “feed the baby” n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node is the authentic node, and the “age” node, which is the third and fourth nodes, corresponds to the numeric node. Each value of the "age" node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clusion node.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페이지에서 " 나이" 웹 페이지로 연결되는 화면은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될 수 있다. 즉,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는 " 예" 나 " 아니오" 중 하나를 라디오 버튼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 나이"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는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15를 보면, " 예" 를 선택했을 때, " 예" 에 해당하는 " 나이" 웹 페이지인 " WBI2html" 로 연결되고, " 아니오" 를 선택했을 때, " 아니오" 에 해당하는 " 나이" 웹 페이지인 " WBI3html" 로 연결되도록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A screen leading from the "feeding the baby" page to the "age" web page may be as shown in FIG. 14. That is, one of "Yes" or "No" that may be an answer to a question can be selected by a radio button method, and according to the selection, a corresponding "age" page may be linked.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for implementing the above connection is as shown in FIG. 15. Referring to FIG. 15, when “Yes” is selected, it is connected to “WBI2html”, which is the “age” web page corresponding to “Yes”, and when “No” is selected, the “age” web corresponding to “No” You can see that it is connected to the page "WBI3html".

" 나이" 웹 페이지의 예와 그 소스 코드가 각각 도 16과 도 17에 나타나 있다. 도 16과 도 17은 도 14의 웹 페이지에서 "예" 를 선택한 경우에 연결되는 화면과 소스 코드이다. 소스 코드를 보면,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입력된 나이 값이 5보다 작으면 결론 페이지인 " WBI4html" 로 하이퍼링크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4의 웹 페이지에서 " 아니오" 를 선택한 경우에는 생성되는 화면은 동일하게 되지만, 나이 값이 1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하는 다른 결론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소스 코드가 형성된다.An example of a "age" web page and its source code are shown in Figs. 16 and 17, respectively. 16 and 17 are screens and source codes connected when “Yes” is selected on the web page of FIG. 14. If you look at the source code, you can see that if the age value entered using JavaScript is less than 5, it is being hyperlinked to the conclusion page "WBI4html". In the case of selecting "No" in the web page of FIG. 14, the generated screen is the same, but the source code is formed to link to another conclusion page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age value is less than 1.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 값을 동시에 입력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페이지로 연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However,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link to another page based on the result of simultaneously inputting various values.

예를 들면, 위와 같은 예제에서,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와 " 나이" 에 관한 두 질문을 동시에 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 생성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동 생성된 화면은 도 18과 같아야 한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above, you may need to automatically generate a web page that asks two questions about "feeding a baby" and "age"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automatically generated screen should be as shown in FIG. 18.

이러한 점을 그래프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 노드 그루핑" 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즉, 그래프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노드를 묶음으로써 그루핑된 노드들이 한 화면에 나타나야 함을 표시하는 것이다. 도 13에 나타난 그래프에서 " 새끼에게To express these points in a graph, we use the concept of "node grouping".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the grouped nodes should appear on one screen by grouping two or more nodes constituting the graph. In the graph shown in Fig. 13, "to the pups

젖을 먹인다" 페이지와,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라는 질문에 대해 " 예" 를 선택했을 경우 연결되는 왼쪽의 " 나이" 페이지를 그룹으로 묶으면, 즉 " 노드 그루핑" 하면, 도 18과 같은 웹 페이지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페이지와 왼쪽의 " 나이" 페이지를 선택한 후, 메뉴의 노드 그루핑 기능을 선택하면 두 페이지가 노드 그루핑된다. 도 13을 보면,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페이지는 제목 앞에 1:1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고, 왼쪽의 " 나이" 페이지는 제목 앞에 1:2라고 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중 앞의 1이 그룹 식별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두 페이지가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음을 표시한다.If you select "Yes" for the question of "feeding the baby" and the question of "feeding the baby", if you group the "age" page on the left, that is, "node grouping", a web page as shown in FIG. 18 In other words, in the authoring interfac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user selects the “feed the baby” page and the “age” page on the left, and then selects the node grouping function of the menu, the two pages become nodes. In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feeding the baby" page is marked 1:1 in front of the title, and the "age" page on the left is marked 1:2 in front of the title. The first 1 represents the group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two pages belong to the same group.

그런데, "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라는 질문에 대해 " 아니오" 를 선택했을 경우에도 " 나이" 를 묻는 질문으로 넘어가야 하므로, 도 13의 그래프에서는 오른쪽의 " 나이" 페이지를 포함한 세 개의 페이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야 한다.By the way, even if you select "No" for the question of "feeding a baby", you still have to proceed to the question of asking "age". In the graph of FIG. 13, three pages including the "age" page on the right are displayed as one. Should be grouped.

그러나, 세 개의 페이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표시할 경우, 자동 생성되는 웹 페이지는 도 19와 같은 것이 된다. 즉, "나이" 에 관한 질문이 두 번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 질문 변수 그루핑" 의 개념을 사용한다. 즉, " 노드 그루핑" 에 의해 웹 페이지를 단순하게 병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동일한 질문이 반복되므로 한번만 질문하도록 표현하기 위하여 동일한 질문을 묶어주는 것이 " 질문 변수 그루핑" 이다. 즉, 사용자가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왼쪽의 " 나이" 페이지와 오른쪽의 " 나이" 페이지를 선택한 후, 메뉴의 질문 변수 그루핑 기능을 선택하면 두 페이지의 질문이 하나로 그루핑된다. 도 13에서 두 " 나이" 페이지의 제목 앞에 모두 1:2라고 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 중 뒤의 2가 질문 식별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두 페이지의 질문이 동일한 질문 그룹에 속해 있음을 표시한다. 이 경우 자동 생성되는 소스 코드의 스크립트 부분은 도 20과 같이 된다.However, when three pages are grouped and displayed as a group, the automatically generated web page is the same as that of FIG. 19. That is, the question of "age" appears twice. In order to avoid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oncept of "question variable grouping". That is, not only simple merging of web pages by "node grouping", but also "question variable grouping" is to group the same ques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question only once because the same question is repeated.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left page "age" and the right page "age" in the authoring interface as shown in FIG. 13 and then selects the question variable grouping function of the menu, the two pages of questions are grouped into one. In FIG. 13, it can be seen that both "age" pages are marked as 1:2 in front of the titles, of which the latter 2 represents a questio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questions on both pages belong to the same question group. In this case, the script part of the automatically generated source code is as shown in FIG. 20.

자동 생성되는 소스 코드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언어로는 JavaScript나 VBScript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웹 서버 측환경도 HTML이 아닌 ASP, PHP, Oracle PL/SQL 등 임의의 HTML 또는 DHTML 생성 환경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입력 방법이나, 스크립트 언어, 서버 측 환경 등을 특정하지는 않는다.JavaScript or VBScript can be used as a scripting language used in the automatically generated source code, and the web server side environment can be any HTML or DHTML generation environment such as ASP, PHP, Oracle PL/SQL, etc., not HTML.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y the input method, script language, server-side environment,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는 반대의 과정으로 기존에 이미 생성되어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의 구성을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HTML 코드 분석부를 사용한다.Meanwhile,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welfare mall web site that has already been created in a process opposite to that described so far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graph and managed through this. For this, the HTML code analysis unit of the welfare mall website management system is used.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은 HTML 파일이 있다고 하자. 이 파일의 URL은 http://misntgsnuackr/~yusong/WBI1html이다. 이 파일을 분석하면, " 예" 라는 부분에서 " WBI2html" 이라는 파일이 하이퍼링크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즉, HTML 또는 DHTML 파일의 < A> 태그나 < FORM> 태그 및 스크립트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서로 연결된 웹 페이지들로부터 하나의 완성된 그래프를 추출해 낼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suppose there is an HTML file as shown in FIG. 21. The URL of this file is http://misntgsnuackr/~yusong/WBI1html. If you analyze this file, you can see that a file called "WBI2html" is hyperlinked in the "Yes" section.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A> tag or <FORM> tag of the HTML or DHTML file, and the script language, one completed graph can be extracted from the web pag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is process is the opposite of the above process. Done.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복지몰 웹 사이트를 이루는 웹 페이지 소스 코드 HTML 또는 DHTML 파일을 얻어내는 것인데, 이것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는 에이전트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는 HTML 코드 분석부 내에 복지몰 웹 사이트를 이루는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얻기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이는 루트 노드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의 URL을 이용하여 그 웹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얻어낸 후 그 소스 코드에 표현된 하이퍼링크를 따라가면서 연결된 웹 페이지의 소소 코드들을 다시 얻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HTTP를 이용하여, 해당 URL로 HTTP 명령를 보냄으로써 해당 URL의 소스코드를 얻어내는 방식이다.The problem here is to obtain an HTML or DHTML file of the web page source code constitut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which is possible by implementing an agent system using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gent system for obtaining the source code of a web page constituting the welfare mall web site is implemented in the HTML code analysis unit. This repeats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using the URL of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root node, and then following the hyperlink expressed in the source code to obtain the source codes of the connected web page again. It is a method of obtaining the source code of the URL by sending an HTTP command to the URL.

즉,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은 HTTP 명령을 misntgsnuackr 웹 서버로 보내면, misntgsnuackr 웹 서버는 WBI2html 소스 코드를 포함한 HTTP Response를 보내옴으로써 응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에이전트는 WBI2html 소스코드를 얻어낼 수 있다. 다음, 다시 " WBI2html" 파일의 소스 코드를 분석하면 그 다음의 하이퍼링크를 찾아 갈 수 있다. 선택형이나 수치형 변수에 의해 연결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 FORM> 태그 및 스크립트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하이퍼링크된 사이트의 URL을 알아낼 수 있고 다시 HTTP에 의해 그 소스 코드를 얻어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미 형성되어 있는 복지몰 웹 사이트로부터 복지몰 웹 사이트 정보를 얻어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That is, when the HTTP command as shown in FIG. 22 is sent to the misntgsnuackr web server, the misntgsnuackr web server responds by sending an HTTP Response including the WBI2html source code. Therefore, the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WBI2html source code. Next, if you analyze the source code of the "WBI2html" file again, you can find the next hyperlink. In the case of connection by optional or numeric variable, the URL of the hyperlinked site can be found by analyzing the <FORM> tag and the script language, and the source code can be obtained again by HTTP. Accordingly, in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the welfare mall web site can be obtained from the welfare mall web site already formed and displayed in the form of a graph.

웹 페이지에서 중요한 요소로는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 이외에도 웹 페이지의 시각적 디자인이나 컨텐츠 등이 있다.Important elements in a web page include the visual design and content of web pages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따라서,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와 별도로 각 웹 페이지의 시각적 디자인이나 컨텐츠 등의 내용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웹 페이지 자동 생성 시스템은 템플릿(Template)의 개념을 이용한다. 즉, 연결 부분은 미리 정해진 예약어에 의해 연결이 필요함만 표시하고 다른 부분은 해당 웹 페이지의 내용을 그대로 갖고 있는 템플릿 파일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연결 필요 부분만 연결을 표현하고 나머지는 그대로 둠으로써 웹 페이지의 내용은 변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의 예제에서 사용한 템플릿 파일은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다.Therefore, it is also important to manage content such as visual design or content of each web page separately from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To this end, the automatic web page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oncept of a template.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part displays only the connection required by a predetermined reserved word, and the other part uses a template file that has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as it is, and the web pag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expresses the connection only for the part that needs to be connected, and the rest By leaving it as it is, it does not change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For example, the template file used in the examples so far is as shown in FIG. 23.

도 23에 나타난 템플릿 파일에서 < !WGBRANCH> 와 < !WGINPUTFORM " 확 인 " 3 ALIGN=CENTER > 가 연결 표현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웹 페이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이 부분만을 연결 표현을 위하여 변경하고 템플릿 파일의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두므로 웹 페이지의 내용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 또한, 템플릿 파일은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으며 웹 페이지마다 다른 템플릿 파일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여러 가지 템플릿 파일을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내용이 완전히 다른 웹 페이지들 간의 연결 및 관리도 각각의 웹 페이지를 템플릿 파일화하여 표현함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기존 복지몰 웹 사이트를 관리하는 경우 HTTP에 의해 얻어온 HTML 또는 DHTML 파일에서 연결부분만 연결용 예약어로 바꾼 후 나머지 부분을 템플릿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웹 페이지들의 내용을 고스란히 유지할 수 있다.In the template file shown in FIG. 23, <!WGBRANCH> and <!WGINPUTFORM "check" 3 ALIGN=CENTER> indicate that a connection expression is required. The web pag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hange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because only this part is changed for connection expression and the rest of the template file is left as it is. In addition, the template fil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one, and different template files can be placed for each web page, and these various template files are stored and managed in a template database. Therefore, connection and management between web pages with completely different contents can also be achieved by expressing each web page as a template fi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naging the existing welfare mall web site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of the web pages can be maintained intact by changing only the connection part in the HTML or DHTML file obtained by HTTP as a reserved word for connection and then saving the remaining part as a template file.

도 23에 나타난 < !WGBRANCH> 와 < !WGINPUTFORM " 확 인 " 3 ALIGN=CENTER> 같은 예약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를 든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예약어의 구체적인 이름이나 형식을 특정하지는 않는다.Reserved words such as <!WGBRANCH> and <!WGINPUTFORM "check" 3 ALIGN=CENTER> shown in FIG. 23 are exampl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y a specific name or format of these reserved word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은 그래프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그래프의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 및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파일에 저장되는 내용과 주기억장치에 저장되는 내용은 대동소이하므로 구분하지 않고 설명한다.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must memorize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aph. Hereinafter, a method of storing graph information and stored data will be described. Since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le and the contents stored in the main memory are very similar, they will be described without distinc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래프는 노드(node)와 각 노드간을 연결하는 연결선(arc)으로 구성된다. 노드와 연결선들은 각각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배열(array)로 저장된다.As described above, the graph is composed of a node and an arc connecting each node. Nodes and connection lines are each stored in an array as shown in FIG. 24.

노드 배열의 원소인 각 노드에 관한 정보는 노드 자체에 관한 정보와 분기(branch)에 관한 정보가 있다. 노드에 관한 정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The information about each node, which is an element of the node array,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ode itself and information about the branch. Information about nodes includes the following.

i) 노드의 종류 : 시작 노드,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 결론 노드 등의 구분i) Type of node: Classification of starting node, authentic node, optional node, numeric node, conclusion node, etc.

ii) 노드의 위치 : 화면 상의 좌표ii) Node location: coordinates on the screen

iii) 노드 그루핑 정보 : 노드 그룹 번호(ID)iii) Node grouping information: Node group number (ID)

v) 질문변수 그루핑 정보 : 질문변수 그룹 번호(ID)v) Question variable grouping information: Question variable group number (ID)

vi) 템플릿 파일 명vi) Template file name

vii) 출력 파일 명vii) Output file name

viii) 노드 종류별 정보viii) Information by node type

- 시작 및 결론 노드 : 타이틀-Start and conclusion nodes: title

- 진위형 및 선택형 노드 : 질문, 질문의 형태(체크박스, 라디오버튼, 하이퍼링크 등)-Authentic and optional nodes: question, question type (check box, radio button, hyperlink, etc.)

- 수치형 노드 : 질문, 변수 이름-Numerical node: question, variable name

viii) 기타 출력 제어 정보 : 줄 바꿈, 글자의 폰트 및 색, 배경색 등viii) Other output control information: line break, font and color of text, background color, etc.

한편, 분기는 한 노드 당 여러 개이기 때문에 분기 정보는 각 노드 당 배열의 형태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Meanwhile, since there are several branches per node, branch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form of an array for each node. For example shown in Figure 13

난 바와 같은 예에서 1번 노드(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는 두 개의 분기를 갖고 있으므로 도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In this example, node 1 (which feeds the baby) has two branches, so it is divided as shown in Figure 25.

기 정보를 저장한다. 각 분기 정보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포함한다.Save the information. Each branch informa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tents.

i) 분기가 속한 노드의 종류 : 시작 노드,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 결론 노드 등의 구분i) Type of node to which the branch belongs: Classification of start node, authentic node, optional node, numeric node, conclusion node, etc.

ii) 분기 종류별 정보ii) Quarterly type information

- 시작 노드의 분기 : 설명(Description)-Branch of the starting node: Description

- 진위형 노드의 분기 : 답변-Branch of authentic node: Answer

- 선택형 노드의 분기 : 답변들(다중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Branch of optional node: Answers (to enable multiple selection)

- 수치형 노드의 분기 : 분기 조건문-Branch of numeric node: branch conditional statement

- 결론 노드의 분기 : 설명(Explanation)-Branch of conclusion node: Explanation

iii) 기타 출력 제어 정보 : 줄 바꿈, 글자의 폰트 및 색, 배경색 등iii) Other output control information: line break, font and color of text, background color, etc.

다음, 연결선에 대한 정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저장된다.Next, the following are stored as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line.

i) 연결선의 종류 : 직선형, 꺽은선형 등의 구분i) Type of connection line: Classification of straight line, angled line, etc.

ii) 연결에 관한 정보ii)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ion

- 앞 노드 : 앞 노드의 주소(주 기억 장치 저장 시) 또는 ID(파일 저장 시)-Front node: Address of the front node (when saving the main memory device) or ID (when saving a file)

- 앞 분기 : 앞 분기의 주소(주 기억 장치 저장 시) 또는 ID(파일 저장 시)-Previous branch: Address of the previous branch (when saving the main memory device) or ID (when saving a file)

- 뒤 노드 : 뒤 노드의 주소(주 기억 장치 저장 시) 또는 ID(파일 저장 시)-Rear node: Address of the rear node (when saving the main memory device) or ID (when saving a file)

iii)기타 출력 제어 정보 : 선 색 등iii) Other output control information: line color, etc.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 방식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storage method i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various forms.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Until now,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is embodiment has been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다수의 노드와 상기 다수의 노드 중 임의의 두 개의 노드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로 사용자가 구축하기를 원하는 복지몰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작성하도록 해 주는 저작 인터페이스,
상기 그래프를 구성하는 다수의 노드와 다수의 연결선에 관련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상기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노드는,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 변수에 각각 대응하는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진위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 예" 또는 " 아니오" 의 값에 의
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고, 상기 선택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조건 중 하나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며, 상기 수치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값에 대한 조건문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며,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는 상기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소스 코드 내에서 스크립트 언어, 폼 입력 또는 앵커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노드 중 둘 이상의 노드를 노드 그루핑함에 따라, 노드 그루핑된 노드들은 하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되도록 상기 코드 생성부에 의해 소스 코드가 생성되며,
상기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노드 중 동일한 질문을 표시하는 둘 이상의 노드를 질문 변수 그루핑함에 따라, 질문 변수 그루핑된 노드들에 대하여 상기 동일한 질문은 웹 페이지 상에서 한 번만 표시되도록 상기 코드 생성부에 의해 소스코드가 생성되는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An authoring interface that allows users to create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eb pages of the welfare mall website that the user wants to build in the form of a grap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od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lines connecting any two nodes among the plurality of nodes. ,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lurality of nod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lines constituting the graph,
Includes a code generator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source code of a web page using the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graph,
The plurality of nodes includes a true/false type node, a selection type node, and a numeric type node corresponding to each of a true/false type, a selection type, and a numeric type variable used in the inference theory of an expert system. Depending on the value of "Yes" or "No"
It is a node that can be connected to other nodes, and the optional node is a node tha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node according to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conditions for a certain question, and the numeric node has a number as a value for a certain question. It is a node tha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node by a conditional statement for the value,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is implemented using a script language, form input, or anchor in the sourc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ion unit,
By node grouping two or more of the nodes in the authoring interface, the source code is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so that the node grouped nodes are configured as one web page,
By grouping two or more nodes representing the same question among the nodes in the authoring interface as question variables, the source code is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so that the same question is displayed only once on the web page for the nodes grouped with question variables. The generated welfare mall website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 생성될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에서 상기 노드 간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예약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포함하는 템플릿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는 상기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와 상기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 파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emplate database storing a template file including source cod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rest of the web pages excluding reserved words requir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nodes among the source codes of the web pages to be automatically generated,
The code generator is a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 source code of a web page using the information expressed in the graph and a template file stored in the template database.
제 1 항에 있어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입력으로 받아, 입력된 상기 소스 코드의 스크립트 언어, 폼, 앵커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얻어내고, 얻어진 상기 연결관계를 노드 및 연결선 정보로 변환하는 코드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a code analysis unit that receives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as input, obtains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web pages by analyzing the script language, form, and anchor of the input source code, and converts the obtained connection relationship into node and connection line information. Welfare Mall website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KR1020190103464A 2019-08-23 2019-08-23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ystems KR202100233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64A KR20210023362A (en) 2019-08-23 2019-08-23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64A KR20210023362A (en) 2019-08-23 2019-08-23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62A true KR20210023362A (en) 2021-03-04

Family

ID=7517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464A KR20210023362A (en) 2019-08-23 2019-08-23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336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2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electronic forms and hierarchical schemas
Peroni et al. The live OWL documentation environment: a tool for the automatic generation of ontology documentation
JP2001243222A (en) Method, system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preparing display rule of structured document as well as method, system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changing structured document and document type definition
JPH08166945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help picture
DE102018008377A1 (en) Interactive integration of tutorials
Jiang et al. Towards reengineering web sites to web-services providers
JP2008097215A (en) Data processor
Vasyliuk et al. Construction Features of the Industrial Environment Control System.
KR100861052B1 (en) A method of web browser application service and recording media
KR1008500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Web Document Style
KR20210023362A (en) Welfare mall web si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ystems
KR100389932B1 (en) Web si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s
KR20030046768A (en) Web si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s
CN115794869A (en)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for visual construction and generation of semantic query
Brambilla et al. Model-driven design of service-enabled web applications
CN101268438A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US200702263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information in a world wide web page format
Addie et al. Netml: a language and website for collaborative work on networks and their algorithms
Votruba Structured knowledge acquisition for asbru
CN114327427A (en) Interactive flight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2620692B1 (en) HTML5 Automatic Conversion Method for E-learning Content Creation
Karagiannis et al. The IMKER case study
KR100497543B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HTML to VoiceXML having a selecting function of transformation purpose by prior knowledge and communication of user and method for employing as the same
Guo et al. A System for Exploratory Analysis in Cloud
Walker Web applications for interactive environmental mod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