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219A - Smart window alarm system, multi-purposes alarm device, window chassis module and window frame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mart window alarm system, multi-purposes alarm device, window chassis module and window frame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219A
KR20210023219A KR1020190103141A KR20190103141A KR20210023219A KR 20210023219 A KR20210023219 A KR 20210023219A KR 1020190103141 A KR1020190103141 A KR 1020190103141A KR 20190103141 A KR20190103141 A KR 20190103141A KR 20210023219 A KR20210023219 A KR 20210023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alarm
frame
chassi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5387B1 (en
Inventor
강신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 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 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 엔씨
Priority to KR102019010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387B1/en
Publication of KR2021002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window alarm system, and to a multi-purpose alarm device, a window chassis module and a structure of a window frame therefor. The smart window ala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etween a first window frame (21) and a second window frame (22) of the window frame (20) or inserted into a device fixing end (25), a window chassis module (10) is attached with respect to the window frame (20), and an MPU (140) controls to supply operation power to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30a) of a photocoupler (130) from a battery (110), a light receiving transistor (130b), and an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150) as an IoT on/off switch (120) is switched on. When infrared light is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30a) of the photocoupler (130), a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attached to the window frame (20)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and separated from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and infrared rays are not reflected from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to the light receiving transistor (130b), alarm control signals are output to the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150) to alarm the signal to the outside in the MPU (140). Thereby,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is effectively installed to be detachable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the window and the window frame in which external intrusion mainly occurs, and provides the effect of effectively monitoring the intruder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monitoring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the home in real time and collecting information using an IoT devic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Description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창문 샤시 모듈과 창틀의 구조{Smart window alarm system, multi-purposes alarm device, window chassis module and window frame for the same} Smart window alarm system, multi-purposes alarm device, window chassis module and window fram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창문 샤시 모듈과 창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침입이 주로 발생하는 창문과 창틀의 구조를 활용하여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외부의 침입자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창문 샤시 모듈과 창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window alarm system, and a multi-purpose alarm device for the same, a structure of a window chassis module and a window frame, and more specifically, a multi-purpose alarm device is attached or detached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a window and a window frame where external intrusion occurs main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window alarm system for effectively installing as much as possible and effectively monitoring outside intruders, and a multi-purpose alarm device for this, a window chassis module and a window frame structure.

일반적으로 무인방범 시스템은 주택, 사무실, 상가 등의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그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을 부여하고, 외부 침입을 감지 및 방지하는 플랫폼이다.In general, an unmanned security system is a platform that sets up a protected area such as a house, office, or a shopping mall, gives access to the protected area, and detects and prevents external intrusion.

이러한 무인방범 시스템은 주로 출입문 및 창문에 센서를 달아서 정상적인 출입문의 열림이 아닌 강제 열림을 감지되면 외부 침입이 발생함으로 판단하여, 알람의 발생시키거나, 보안업체 또는 112 등에 통보를 하도록 한다. This unmanned security system mainly attaches sensors to entrance doors and windows, and determines that an external intrusion has occurred when it detects a forced opening rather than a normal opening of the entrance door, and generates an alarm or notifies a security company or 112.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식은 출입문 및 창문에 별도의 센싱 장치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센싱 장치 외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장비들이 별도의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외관상 좋지 않으며 실내 공간 활용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한계점이있어 왔다. 특히, 창문의 경우에는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조차도 센싱 장치에 대한 거부감이 들어서 무인방범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주요 문제점 중에 하나였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not only forms a separate sensing device on the door and the window, but in some cases, separate equipment for communication other than the sensing device occupies a separate space, which is not good in appearance and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indoor space utilization. There has been a poi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indows, it was one of the main problems of not using an unmanned security system because even people living indoors felt a sense of resistance to the sensing devi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0-0035155호 "가정 관리 방법(Home Managing Method)"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35155 "Home Managing Metho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침입이 주로 발생하는 창문과 창틀의 구조를 활용하여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외부의 침입자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smart window alarm system for effectively installing a multi-purpose alarm device to be detachable and detachable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a window and a window frame where external intrusion mainly occurs, and to effectively monitor external intruder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IoT 디바이스를 이용해 댁내에서 발생하는 제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window alarm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monitoring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a house in real time and collecting information using an IoT devic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는, 창틀(20)의 제 1 창틀 프레임(21)과 제 2 창틀 프레임(22) 사이에 고정하거나 디바이스 고정단(25)에 삽입하여, 창틀(20)에 대해서 창문 샤시 모듈(10)을 밀착시킨 다음,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에 따라, MPU(140)가 배터리(110)로부터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 경보신호발생부(15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에 따라 창틀(20)에 부착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가 창문 샤시 모듈(10)과 이격되어 분리되어 창문 샤시 모듈(10)에서 수광트랜지스터(130b)로 적외선이 반사되지 않으면, MPU(140)에서 경보신호발생부(150)에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외부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etween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the second window frame 22 of the window frame 20 or at the device fixing end 25. After being inserted,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20, and then, according to the switching on of the IoT on/off switch 120, the MPU 140 is transferred from the battery 110 to the photocoupler 130 Controls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30a, the light receiving transistor 130b, and the alarm signal generator 150 of the photocoupler 130, and according to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30a of the photocoupler 130, the window frame When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attached to (20)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and the infrared rays are not reflected from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to the light-receiving transistor 130b,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by the MPU 140.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n alarm control signal to the unit 150 to alarm to the outside.

이때, 스마트폰(6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MPU(140)의 제어를 받는 통신모듈(190)에 대해서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 명령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switching on command for the IoT on/off switch 120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controlled by the MPU 14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martphone 600.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의 구조는, 2개의 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 1 창틀 프레임(21); 1개의 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 2 창틀 프레임(22); 및 2개의 수직 프레임 중 제 2 창틀 프레임(22)과 인접한 제 1 창틀 프레임(21)의 내측 수직 프레임과, 제 2 창틀 프레임(22)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고정단(25); 을 포함하며,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의 클램프(c)를 통해 디바이스 고정단(25)에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를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indow frame frame 21 formed of two vertical frames; A second window frame frame 22 formed of one vertical frame; And a device fixing end 25 formed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inner vertical frame of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the second window frame 22 adjacent to the second window frame 22 among the two vertical frames. It includes,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tructure for fixing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to the device fixing end 25 through the clamp (c) of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외부 침입이 주로 발생하는 창문과 창틀의 구조를 활용하여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외부의 침입자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smart window alarm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structure of a window and a window frame where external intrusions mainly occur, effectively installing a multi-purpose alarm device to be detachable, and effectively monitoring an external intruder. Provides an effec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IoT 디바이스를 이용해 댁내에서 발생하는 제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mart window alarm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ffect of monitoring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a house in real time and collecting information using an IoT devic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1)에서 사용되는 창틀(20)에 고정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1)에서 사용되는 창틀(20)에 고정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fixed to a window frame 20 used in a smart window alarm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fixed to the window frame 20 used in the smart window alarm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smart window alarm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can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the 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1)에서 사용되는 창틀(20)에 고정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1)에서 사용되는 창틀(20)에 고정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fixed to a window frame 20 used in a smart window alarm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fixed to the window frame 20 used in the smart window alarm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는 배터리(110), IoT 온/오프 스위치(120), 포토커플러(130), MPU(140), IoT 모드 설정 스위치(141), 경보신호발생부(150), 발광다이오드(160), 스피커(170), 거리센싱모듈(180) 및 통신모듈(190)을 포함하며, 포토커플러(130)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를 구비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3,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ncludes a battery 110, an IoT on/off switch 120, a photocoupler 130, an MPU 140, an IoT mode setting switch 141, and an alarm signal. A generator 150, a light-emitting diode 160, a speaker 170, a distance sensing module 18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90 are included, and the photocoupler 130 includes an infrared light-emitting diode 130a and a light-receiving transistor 130b. ).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는 창틀(20)에 삽입 고정되며, 창틀(20)은 IoT 모드 설정 스위치(141)가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시 창문 샤시 모듈(10)과 도 1b 및 도 2와 같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window frame 20, and the window fram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as shown in FIGS. 1B and 2 when the IoT mode setting switch 141 is set to the anti-theft mode. Keep the status.

보다 구체적으로, 창틀(20)의 제 1 창틀 프레임(21), 제 2 창틀 프레임(22), 체결단(23), 벽체 부착 프레임(24), 디바이스 고정단(25)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window frame 21, the second window frame 22, the fastening end 23, the wall attachment frame 24, and the device fixing end 25 of the window frame 20 may be included.

제 1 창틀 프레임(21)은 양측의 수직 프레임이 사이를 이루는 중앙 프레임에서 전방으로 4개의 돌출단이 형성됨으로써, 각 돌출단이 창문 샤시 모듈(10)의 방충망 프레임(13)의 음각 영역, 단열유리 프레임(14)의 3개의 음각 영역으로 삽입되어 창문 샤시 모듈(10)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window frame 21 has four protruding ends formed in the front from the central frame between the vertical frames on both sides, so that each protruding end is an intaglio area of the screen frame 13 of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and insul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can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ee intaglio areas of the glass frame 14.

제 2 창틀 프레임(22)은 하나의 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창틀 프레임(21)의 각 수직 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4개의 음각 영역으로 구성되는 단열유리 프레임(14) 중 제 1 창틀 프레임(21)의 돌출단에 고정되는 3개의 음각 영역 외의 나머지 하나의 음각 영역으로 삽입되어 창문 샤시 모듈(10)이 창틀(20)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econd window frame 22 is formed as one vertical frame, so that the first window frame is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vertical frame of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is composed of four intaglio areas. It is inserted into one of the remaining intaglio areas other than the three intaglio areas fixed to the protruding ends of the frame 21 so that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window frame 20.

체결단(23)은 제 1 창틀 프레임(21)의 두 개의 수직 프레임, 제 2 창틀 프레임(22)의 한 개의 수직 프레임의 후단에 위치하여 3개의 수직 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길이가 폭에 비해 긴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창틀 프레임(21) 및 제 2 창틀 프레임(22)이 일체로 벽체 부착 프레임(24)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fastening end 23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two vertical frames of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one vertical frame of the second window frame 22 so that the length connecting the three vertical frames is longer than the width. By being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the second window frame 22 can be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wall attachment frame 24.

한편, 체결단(23)에 의해 3개의 수직 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하는 영역에는 나사, 피스 등의 고정단을 활용하여 체결단(23)의 배면에서 각 수직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ix each vertical fram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23 by using a fixing end such as screws or pieces in the area fastened by the fastening end 23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vertical frames.

벽체 부착 프레임(24)은 종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체결단(23)에 의해 제 1 창틀 프레임(21)의 외측 수직 프레임과, 제 2 창틀 프레임(22) 자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된 영역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wall attachment frame 24 is formed in a'U' shape in a longitudinal section, so that the outer vertical frame of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the second window frame 22 itself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end 23.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astened region may be provided.

한편, 제 1 창틀 프레임(21), 제 2 창틀 프레임(22) 및 체결단(23)의 체결 구조 상에서 제 1 창틀 프레임(21)의 내측 수직 프레임과 제 2 창틀 프레임(22)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고정단(25)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의 클램프(c)를 통해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on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first window frame 21, the second window frame 22, and the fastening end 23, the inner vertical frame of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the second window frame 22 are connected. As the device fixing end 25 formed in the direction is additionally formed, a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through the clamp c of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may be provided.

창문 샤시 모듈(10)은 방충망(11), 단열유리(12), 방충망 프레임(13), 단열유리 프레임(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may include an insect screen 11, an insulating glass 12, an insect screen frame 13, and an insulating glass frame 14.

방충망(11)은 창문 샤시 모듈(10)의 외측을 구성하며 종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충망 프레임(13)에 의해 측부의 4면이 둘러싸여서 형성되며, 방충망 프레임(13)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활용하여 제 1 창틀 프레임(21)의 4개의 돌출단 중 최외곽의 돌출단과 체결된다.The insect screen 11 constitutes the outside of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and is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four sides of the screen frame 13 formed in a "U-shaped" shape, and the screen frame 13 is a "c-shaped" It is fastened to the outermost protruding end of the four protruding ends of the first window frame 21 by utilizing the cross-section of the shape.

단열유리(12)는 창문 샤시 모듈(10)의 내측을 구성하며 종단면이 "ㄷ자" 형상이 4개가 연속으로 이어져 있는 단열유리 프레임(14) 중 제 1 창틀 프레임(21) 및 제 2 창틀 프레임(22)의 돌출단을 수용하는 반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열유리 프레임(14)은 4개의 "ㄷ자" 형상의 단면을 활용하여 제 1 창틀 프레임(21)을 구성하는 4개의 돌출단 중 최외곽 돌출단을 제외한 3개의 돌출단과, 제 2 창틀 프레임(22)을 구성하는 1개의 돌출단과 체결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glass 12 constitutes the inner side of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and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the second window frame frame ( Four can b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pposite surface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end of 22). In other words, the insulating glass frame 14 utilizes four "U"-shaped cross-sections to form the first window frame 21 with three protruding ends excluding the outermost protruding end, and a second window frame frame. It can be fastened with one protruding end constituting (22).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를 창틀(20)의 제 1 창틀 프레임(21)과 제 2 창틀 프레임(22) 사이에 고정하거나, 디바이스 고정단(25)에 삽입하여 창틀(20)에 대해서 창문 샤시 모듈(10)을 밀착시킨 다음, 스마트폰(600) 상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MPU(140)의 제어를 받는 통신모듈(190)을 통해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 명령이 수신되면, MPU(140)는 배터리(110)로부터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 경보신호발생부(150), 발광다이오드(160), 스피커(170), 거리센싱모듈(18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fixed between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the second window frame 22 of the window frame 20, or inserted into the device fixing end 25, and the window chassis module with respect to the window frame 20 After contacting (10), a switching on command for the IoT on/off switch 120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under the control of the MPU 14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n the smartphone 600 Then, the MPU 140 from the battery 110, the infrared light-emitting diode 130a and the light-receiving transistor 130b of the photocoupler 130, the alarm signal generator 150, the light-emitting diode 160, the speaker 170, Controls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distance sensing module 180.

이에 따라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되며, 창틀(20)에 부착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가 창문 샤시 모듈(10)과 이격되어 분리되어 창문 샤시 모듈(10)에서 적외선이 반사되지 않으면, MPU(140)에서 경보신호발생부(150)에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스피커(170)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가 동작 중임을 표시함으로써, 도난 방지 모드 상에서 창문 샤시 모듈(10)이 창틀(20)과 이격에 따른 외부 침입이 발생함을 MPU(140)가 음향적으로 경보할 수 있다.Accordingly, infrared light is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30a of the photocoupler 130, and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attached to the window frame 20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to separate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 the MPU 140 outputs an alarm control signal to the alarm signal generator 150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from the speaker 170 to indicate that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operating. In the anti-theft mode, the MPU 140 may acoustically alert that an external intrusion occurs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from the window frame 20.

그리고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 창문 샤시 모듈(10)에 의해 반사되지 않은 경우, 경보신호발생부(150)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160)가 발광함으로써, 도난 방지 모드 상에서 창문 샤시 모듈(10)이 창틀(20)과 이격에 따른 외부 침입이 발생함을 MPU(140)가 시각적으로 경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30a of the photocoupler 130 is not reflected by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the light emitting diode 160 connected to the alarm signal generator 150 emits light, thereby preventing theft. In the prevention mode, the MPU 140 may visually alert that an external intrusion occurs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from the window frame 20.

한편, IoT 온/오프 스위치(120)가 온(ON) 되어 MPU(140)에 의한 제어에 따라 배터리(110)로부터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 경보신호발생부(150), 발광다이오드(160), 스피커(170), 거리센싱모듈(180)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됨에 따라 창문 샤시 모듈(10)에서 적외선이 반사되면, MPU(140)에서 경보신호발생부(150)에 외부 침입에 따른 음향 및 시각적 출력을 차단하므로, 스피커(170) 및 발광다이오드(160)에서는 음향 및 광원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IoT on/off switch 120 is turned on, and the infrared light-emitting diode 130a and the light-receiving transistor 130b of the photocoupler 130 from the battery 110 according to the control by the MPU 140, and an alarm When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signal generator 150, the light-emitting diode 160, the speaker 170, and the distance sensing module 180, the infrared light is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emitting diode 130a of the photocoupler 130. When infrared rays are reflected from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the MPU 140 blocks sound and visual output due to external intrusion to the alarm signal generator 150, so that the speaker 170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160 Does not output light source signal.

한편, 거리센싱모듈(180)은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가 삽입된 창틀(20)과, 창문 샤시 모듈(10)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거리센싱모듈(180)은 이격된 거리에 대한 거리 정보 생성 방법으로,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의 적외선 출력과 수광트랜지스터(130b)로의 적외선 수신 사이의 라운드 트립 타입(Round Trip Time: RTT) 측정에 의하거나,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가 삽입된 창틀(20)과 창문 샤시 모듈(10)에 근접 센서를 설치하여 측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tance sensing module 180 generates distance information by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window frame 20 into which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erted and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Here, the distance sensing module 180 is a method of generating distance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apart, and a round trip type between infrared output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30a of the photocoupler 130 and infrared reception to the light receiving transistor 130b ( Round Trip Time: RTT) measurement, or by installing a proximity sensor on the window frame 20 and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into which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er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1)은 창틀(20)에 형성되어 창틀(20)과 창문 샤시 모듈(10)의 이격에 따라 도난 방지 모드 상에서 외부 침입이 발생함을 경보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 외에, 댁내 AP(200),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 홈 네트워크(300), 중앙관제서버(400), 빅데이터 서버(500) 및 스마트폰(600)을 포함할 수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a smart window alarm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smart window alarm system 1 is formed on the window frame 20 and is a multi-purpose alarm that alerts that external intrusion occurs in the anti-theft mod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window frame 20 and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In addition to the device 100, an in-house AP 200, a home automation system 200a, a home network 300, a central control server 400, a big data server 500, and a smartphone 600 may be included.

여기서 스마트폰(600)은 홈 네트워크(3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400)로 액세스하여 스마트 창문 감시 앱 데이터를 요청하여 반환받아 자체 메모리에 설치한 뒤, 터치스크린에 형성된 스마트 창문 감시 앱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마트 창문 감시 앱을 실행할 수 있다.Here, the smart phone 600 accesses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through the home network 300, requests and returns the smart window monitoring app data, installs it in its own memory, and then displays the smart window monitoring app icon formed on the touch screen. You can run the smart window monitoring app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또한, 스마트폰(6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댁내 AP(200)와 n 노드 스위치를 통해 복수의 IoT 스마트 디바이스로 구성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에 대한 요청을 통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을 구성하는 IoT 스마트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 뒤, 수신된 IoT 스마트 디바이스 정보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n 노드 스위치(미도시)는 플러그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스위치로 각 포트에 대해서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CCTV 카메라, 실내외 조명, 도어락, VoIP 전화기, 그 밖의 다른 IoT 장치들과 체결됨으로써, 운영자가 설정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스위칭 포트 단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phone 600 provides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through a request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200a composed of a plurality of IoT smart devices through an in-house AP 200 and an n-node switch through the network 300. After receiving the configured IoT smart device information, the received IoT smart device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its own memory as well as output to the touch screen. Here, the n-node switch (not shown) is a digital switch with a plug-and-play function, and is connected with CCTV cameras, indoor and outdoor lighting, door locks, VoIP phones, and other IoT devices corresponding to IoT smart devices for each port.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rol of the switching port terminal for the IoT home device set by the operator.

스마트폰(600)은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IoT 스마트 디바이스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외부 침입이 발생하면 외부 침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 뒤, 홈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댁내 AP(200)를 통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IoT 스마트 디바이스는 CCTV 카메라, 실내외 조명, 도어락, VoIP 전화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The smartphone 60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the IoT smart device that provides external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when an external intrusion occurs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among IoT smart device information output on the touch screen and stores it in its own memory. After that, it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through the in-house AP 200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300. Here, the IoT smart device may include a CCTV camera, indoor/outdoor lighting, door lock, VoIP phon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스마트폰(600)에 의해 자체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600)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을 구성하는 모든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자동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자체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selection signal for the IoT smart device stored in its own memory by the smart phone 600, the smart phone 600 is all IoT smart devices constituting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An automatic selection signal for a device may be generated, stored in its own memory, and provided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스마트폰(600)은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홈 네트워크(300)를 통해 댁내 AP(2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3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에 대한 포토커플러(130)에 의한 외부 침입 상태 감지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selection of the IoT smart device is completed, the smartphone 600 accesses the premises AP 200 through the home network 300, and then, the IoT on/off switch 120 of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Afte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of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through the home network 300 as well as requesting a switching ON state, the MPU 140 of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A command for detecting an external intrusion state by the photocoupler 130 for) may be transmitted.

이에 따라, 다목적 경보 장치(100) 상에서 창틀(20)에 고정된 상태의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되어 창틀(20)과 맞닿은 창문 샤시 모듈(10)에 의해 반사되어 창틀(20)에서 포토커플러(130)와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한 방향에서 인접하여 형성된 포토커플러(130)의 수광트랜지스터(130b)에서 적외선이 수광된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외부 침입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가 경보신호발생부(150)를 통해 음향 및 시각적 경보 출력을 수행하고, 통신모듈(190)을 제어하여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댁내 AP(200)를 통해 스마트폰(600) 및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으로 외부 침입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infrared rays are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30a of the photocoupler 130 in the state of being fixed to the window frame 20 on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by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20. The outside in which the state in which infrared rays are received from the light-receiving transistor 130b of the photocoupler 130 formed adjacent to the photocoupler 130 in the window frame 20 an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reflected When an intrusion state is detected, the MPU 140 of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performs sound and visual alarm output through the alarm signal generator 150,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to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300. An external intrusion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600 and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through the connected in-house AP 200.

이에 따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은 n 노드 스위치에 대해서 스마트폰(600)에 의해 수신된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IoT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된 포트에 대해서 스위칭 온을 수행할 수 있으며, n 노드 스위치에 대한 선택적 또는 전체의 스위칭 온에 따라 스마트폰(600)은 다목적 경보 장치(100)에 의한 외부 침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각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자동 제어 명령에 따른 자동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can perform switching on for the port connected to the IoT smar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smartphone 600 for the n node switch, and for the n node switch. When the smart phone 600 receives an external intrusion message by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according to selective or all switching on, it is preset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for each IoT smart devic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It can perform automatic control according to the automatic control command stored in its own memory.

여기서, 각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은 IoT 스마트 디바이스가 CCCT 카메라인 경우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0)로 향하도록 CCTV 카메라에 대한 팬, 틸트, 요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명령, 창틀(20)로 향하는 CCTV 카메라에 대한 객체 인식에 따른 자동 줌인/줌아웃 명령, 촬영 온에 대한 순차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IoT 스마트 디바이스가 실내외 조명인 경우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0)이 있는 방 전체의 실내외 조명의 조명 온에 대한 명령, IoT 스마트 디바이스가 도어락인 경우, 복수의 도어 중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0)이 있는 방에서 외부로 나가는 모든 도어에 대한 도어락 온 제어 명령, IoT 스마트 디바이스가 VoIP 전화기인 경우 VoIP 전화기를 통한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명령일 수 있다.Here, the automatic control command for each IoT smart device is for at least one of pan, tilt, and yaw for the CCTV camera so as to face the window frame 20 on which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talled when the IoT smart device is a CCCT camera. It may include a command, an automatic zoom-in/zoom-out command according to object recognition for a CCTV camera heading to the window frame 20, and a sequential process for shooting on. When the IoT smart device is indoor or outdoor lighting,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Command for lighting on of the indoor/outdoor lighting of the entire room with the installed window frame 20, when the IoT smart device is a door lock, out of the room with the window frame 20 in which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talled among a plurality of doors It may be a door lock-on control command for all doors, a preset emergency phone call request through a VoIP phone, or an automatic external intrusion status message transmission command when the IoT smart device is a VoIP phone.

스마트폰(600)은 각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개별적인 자동 제어뿐만 아니라, 실내외 조명, CCTV 카메라, 도어락, VoIP 전화기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600 may sequentially perform automatic control commands for indoor and outdoor lighting, CCTV cameras, door locks, and VoIP phones, as well as individual automatic control for each IoT smart device.

한편, 스마트폰(600)은 터치스크린에 외부 침입 메시지와 함께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뉴를 출력한 뒤,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에 따른 각 IoT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메뉴를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600 outputs a control menu for the IoT smart device along with an external intrusion message on the touch screen, and then controls each IoT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IoT smart device output on the touch screen by the user. Menus can be provided on a touch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전 스마트폰(600)에 의한 설정에서 IoT 스마트 디바이스로 CCTV 카메라, 실내외 조명, 도어락, VoIP 전화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스마트폰(600)은 CCTV 카메라에 대해서는 팬, 틸트, 요잉, 줌인, 줌아웃, 야간촬영 모드 설정, 촬영 온/오프 명령 등에 대한 제어메뉴를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폰(600)은 실내외 조명 모두에 대한 자동 온 제어메뉴,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0)을 기준으로 근접한 실내 조명으로부터 차츰 이격된 실내 조명 순으로 실내 조명 식별번호와 함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0)을 기준으로 근접한 실외 조명으로부터 차츰 이격된 실외 조명 순으로 실외 조명 식별번호와 함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CTV camera, indoor/outdoor lighting, door lock, and VoIP phone are selected by the user as an IoT smart device in the pre-setting by the smart phone 600, the smart phone 600 is a fan for the CCTV camera. Control menus for, tilt, yaw, zoom in, zoom out, night shooting mode setting, shooting on/off command, etc. can be provided on a touch scree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600 is an automatic ON control menu for both indoor and outdoor lighting, in the order of indoor lighting gradually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indoor lighting based on the window frame 20 in which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talled. A control menu for on/off can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along with the indoor lighting identification number, and outdoor lighting in the order of outdoor lighting gradually separated from the adjacent outdoor lighting based on the window frame 20 where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talled. A control menu for on/off can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along with an identification numb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폰(600)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에 대해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의 n 노드 스위치로 연결된 도어의 식별번호와 함께 도어락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으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의 n 노드 스위치로 연결된 VoIP 전화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112 또는 119 번호로의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제어메뉴를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600 is for the on/off of the door lock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oor connected by the n node switch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for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A control menu can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and an emergency phone call request or automatic external intrusion status message transmission to the 112 or 119 number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oIP phone connected to the n-node switch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is provided. It can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또한, 스마트폰(600)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를 통한 각 IoT 홈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제어메뉴에 따라 센싱되거나 수행된 침입 관련 정보를 하나의 외부 침입 상태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자체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600 may store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sensed or performed according to a control menu collected from each IoT home device through a user's touch screen in its own memory using one external intrusion state as metadata.

여기서 침입 관련 정보는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CCTV 영상, 실내외 조명을 구성하는 각 실내외 조명의 식별번호에 대한 선택 및 온/오프 제어 리스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을 구성하는 도어에 대한 선택 및 선택된 도어에 형성된 도어락에 대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을 구성하는 VoIP 전화기를 통한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정보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600)에 의해 자동 제어 명령에 따라 수행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목적 경보 시스템(100) 상에서 거리센싱모듈(180)에 측정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가 삽입된 창틀(20)과, 창문 샤시 모듈(10) 사이의 이격된 거리 정보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격된 거리 정보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댁내 AP(200)와 통신모듈(190)을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다목적 경보 시스템(100)으로부터 스마트폰(600)으로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Here, the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includes the CCTV image captured by the CCTV camera, the selection and on/off control list fo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indoor and outdoor lighting constituting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and the selection and selection of the door constituting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It may be an on/off control list for the door lock formed on the door, a preset emergency phone call request through the VoIP phone constituting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or automatic external intrusion status message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by the smartphone 600 Information performed according to the automatic control command may also be included. In additi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window frame 20 in which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erted and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measured in the distance sensing module 180 on the multi-purpose alarm system 100 may be included. , The spaced distance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600 from the multipurpose alarm system 100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house AP 20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through the network 300. .

스마트폰(600)은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침입 관련 정보를 홈 네트워크(3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500)로 액세스하여 침입 관련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500)에 의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를 분석받을 수 있다.The smartphone 600 accesses the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its own memory to the big data server 500 through the home network 300 and transmits the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so that the actual external intrusion status by the big data server 500 Whether or not it can be analyzed.

보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서버(500)는 침입 관련 정보로 이격된 거리 정보가 미리 설정된 거리 임계치 이상이고, CCTV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전에 저장된 침입자 패턴과의 분석을 통해 1차로 외부 침입 상태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빅데이터 서버(500)는 최소한 사람이 침입가능한 거리 임계치 이상으로 이격된 거리 정보가 발생했음을 분석하고, 이격된 거리 정보가 발생시 CCTV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빅데이터 서버(500)는 홈 네트워크(3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1)을 구성하는 수많은 스마트폰을 통해 외부 침입 상태에서 수집한 CCTV 영상에서 배경을 제외한 침입자 패턴 정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침입자 패턴 정보, 각 침입자 패턴 정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CCTV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을 비교하여 CCTV 영상 속에서 1차로 외부 침입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ig data serv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information separated by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distance threshold, and whether it is the first external intrusion sta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ruder pattern stored in adva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CTV image. Can be distinguished. That is, the big data server 500 may analyze that distance information has been generated that exceeds a distance threshold at which a person can intrude, and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is generated, image recognition for a CCTV image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big data server 500 is the intruder pattern excluding the background from the CCTV images collected in the external intrusion state through numerous smartphones constituting the smart window alarm system 1 using a multi-purpose alarm device through the home network 300.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stored in advance, and by comparing the patterns of objects included in CCTV image information, such as various intruder pattern information, each intruder pattern information is inclined, reversed, and slightly inclined. In the vide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 an external intrusion state.

이후, 빅데이터 서버(500)는 침입 관련 정보로 실내외 조명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와, 외부 침입 상태에서 실내외 조명에 대해서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함께 분석하되,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0)이 있는 방의 도어락이 자동으로 온 된 상태에서, 1차로 외부 침입 상태로 분석된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0)이 있는 방에서 다른 방으로의 이동이 있는지를 침입 관련 정보로 실내외 조명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의 시간상의 순서가 외부 침입 상태에서 실내외 조명에 대해서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오프 제어 리스트에 비해 시간의 후순위에 있는 경우 1차 저지선인 도어락을 파괴한 2차 외부 침입 상태인 최종 외부 침입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big data server 500 analyzes the on/off control list through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indoor/outdoor lighting as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and the on/off control list tha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for the indoor/outdoor lighting in the external intrusion state. , In the state where the door lock of the room with the window frame 20 in which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talled is automatically turned on, the room with the window frame 20 in which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is installed is analyzed as an external intrusion condition. Whether there is movement to the room is analyzed through the on/off control list through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as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and the temporal sequence of the on/off control list through the analyzed human body detection sensor is the external intrusion state. In the case of being in a lower priority than the on/off control list, which is automatically controlled for indoor and outdoor lighting, it can be analyzed as the final external intrusion state, which is the secondary external intrusion state that destroyed the door lock, which is the primary blocking line.

한편, 빅데이터 서버(500)는 침입 관련 정보로 실내외 조명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에 대해서는 홈 네트워크(300)를 통해 댁내 AP(200)와 연결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으로의 액세스를 통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a) 상에 저장된 IoT 스마트 디바이스인 실내외 조명 상에 저장된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자체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ig data server 500 uses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connected to the in-house AP 200 through the home network 300 for the on/off control list through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as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access of, the on/off control list stored on indoor and outdoor lighting, which is an IoT smart device stored on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a, may be collected by itself.

스마트폰(600)은 빅데이터 서버(500)를 통해 수신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3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500)로 액세스하여 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의 판단이 되는 침입 관련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뒤, 홈 네트워크(3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400)로 스마트폰(8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침입 관련 정보, 그리고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증거 자료로 추후에 활용할 수 있다.When the smart phone 6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whether it is an actual external intrusion state received through the big data server 500 (the first external intrusion state, the second external intrusion state), After accessing the data server 500 to request and receive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that determines the primary external intrusion status and the secondary external intrusion status, the smart phone ( 800)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s metadata,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and external intrusion status information (primary external intrusion status, secondary external intrusion status) are transmitted and stored, so that they can be used later as evidence. .

또한, 스마트폰(600)은 직접적으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 중 2차 외부 침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300)를 통해 경찰청 서버(미도시)에 자신의 스마트폰(8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침입 관련 정보, 그리고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martphone 600 directly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econdary external intrusion status among information on whether it is an actual external intrusion status, the smart phone 600 is sent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home network 300. By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800 as metadata, intrusion-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whether an external intrusion status (second external intrusion status)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Includes thing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is is only used in a general meaning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 :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10 : 창문 샤시 모듈
11 : 방충망
12 : 단열유리
13 : 방충망 프레임
14 : 단열유리 프레임
20 : 창틀
21 : 제 1 창틀 프레임
22 : 제 2 창틀 프레임
23 : 체결단
24 : 벽체 부착 프레임
25 : 디바이스 고정단
100 :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200 : 댁내 AP
200a :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300 : 홈 네트워크
400 : 중앙관제서버
500 : 빅데이터 서버
600 : 스마트폰
1: smart window alarm system
10: window chassis module
11: insect screen
12: insulating glass
13: screen frame
14: insulating glass frame
20: window frame
21: first window frame frame
22: second window frame frame
23: fastening end
24: wall mounting frame
25: device fixed end
100: multi-purpose alarm device
200: in-house AP
200a: Home automation system
300: home network
400: central control server
500: Big data server
600: smartphone

Claims (3)

창틀(20)의 제 1 창틀 프레임(21)과 제 2 창틀 프레임(22) 사이에 고정하거나 디바이스 고정단(25)에 삽입하여, 창틀(20)에 대해서 창문 샤시 모듈(10)을 밀착시킨 다음,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에 따라, MPU(140)가 배터리(110)로부터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 경보신호발생부(15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에 따라 창틀(20)에 부착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가 창문 샤시 모듈(10)과 이격되어 분리되어 창문 샤시 모듈(10)에서 수광트랜지스터(130b)로 적외선이 반사되지 않으면, MPU(140)에서 경보신호발생부(150)에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외부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After fixing between the first window frame 21 and the second window frame 22 of the window frame 20 or inserting it into the device fixing end 25,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20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n for the IoT on/off switch 120, the MPU 140 from the battery 110 to the infrared light-emitting diode 130a and the light-receiving transistor 130b of the photocoupler 130, an alarm signal generator ( 150,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attached to the window frame 20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from the infrared light-emitting diode 130a of the photocoupler 130 and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When the infrared rays are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window chassis module 10 to the light receiving transistor 130b, the MPU 140 outputs an alarm control signal to the alarm signal generator 150 to alert the outside. Multipurpose alarm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스마트폰(6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MPU(140)의 제어를 받는 통신모듈(190)에 대해서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 명령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ultipurpose ala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ing on command for the IoT on/off switch 120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controlled by the MPU 14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martphone 600 .
2개의 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 1 창틀 프레임(21);
1개의 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 2 창틀 프레임(22); 및
2개의 수직 프레임 중 제 2 창틀 프레임(22)과 인접한 제 1 창틀 프레임(21)의 내측 수직 프레임과, 제 2 창틀 프레임(22)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고정단(25); 을 포함하며,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의 클램프(c)를 통해 디바이스 고정단(25)에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100)를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구조.
A first window frame 21 formed of two vertical frames;
A second window frame frame 22 formed of one vertical frame; And
A device fixing end 25 formed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inner vertical frame of the first window frame 21 adjacent to the second window frame 22 among the two vertical frames and the second window frame 22; Including,
A structure of a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tructure for fixing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to the device fixing end 25 through a clamp (c) of the multi-purpose alarm device 100.
KR1020190103141A 2019-08-22 2019-08-22 Smart window alarm system, multi-purposes alarm device, window chassis module and window frame for the same KR102245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41A KR102245387B1 (en) 2019-08-22 2019-08-22 Smart window alarm system, multi-purposes alarm device, window chassis module and window fram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41A KR102245387B1 (en) 2019-08-22 2019-08-22 Smart window alarm system, multi-purposes alarm device, window chassis module and window frame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19A true KR20210023219A (en) 2021-03-04
KR102245387B1 KR102245387B1 (en) 2021-04-28

Family

ID=7517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141A KR102245387B1 (en) 2019-08-22 2019-08-22 Smart window alarm system, multi-purposes alarm device, window chassis module and window frame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38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461A (en) * 2003-05-15 2004-11-20 김대희 Apparatus for warning on window opening
KR101364011B1 (en) * 2012-10-19 2014-02-27 채일수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position using smart-phone based on multipurposes alarm apparatus
KR20140050773A (en) * 2012-10-19 2014-04-30 채일수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window using smart-phone based on multipurposes alarm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461A (en) * 2003-05-15 2004-11-20 김대희 Apparatus for warning on window opening
KR101364011B1 (en) * 2012-10-19 2014-02-27 채일수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position using smart-phone based on multipurposes alarm apparatus
KR20140050773A (en) * 2012-10-19 2014-04-30 채일수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window using smart-phone based on multipurposes alarm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0-0035155호 "가정 관리 방법(Home Manag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387B1 (en)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173B1 (en) Ho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US20080297602A1 (en) Application method and device operated by infrared sensing and sound
KR20140050773A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window using smart-phone based on multipurposes alarm apparatus
KR20110086254A (en) Transmit information in real time using a webcam, intrusion detection systems
KR101321447B1 (en) Site monitoring method in network,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CN111815898A (en) Infant behavior monitoring and alarming system and method
KR100949832B1 (en) Security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usn gateway integrated with camera module
KR101726315B1 (en) Network based monitoring system and network based monitoring camera having event notifying function
KR100857073B1 (en) Realtime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1190120B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having property of router and function of 3generation
KR20030085921A (en) System for monitering remote control
KR100316268B1 (en) Security system for video transmission
KR102245387B1 (en) Smart window alarm system, multi-purposes alarm device, window chassis module and window frame for the same
KR201200644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security event
KR20150085338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arking garage using a impulse radar
KR20090100841A (en) The automatic sensing movement and control method of vacant business office
KR20150015074A (en) Crime protection system, using manless security teminal mounted with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100819028B1 (en) Security Robot and Method for security using robot
KR101131659B1 (en) The porch light combined with crime detection device
KR101597154B1 (en) An apparatus for security system using dual wireless modules
KR102245389B1 (en) Smart type total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purposes alarm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EP2698773A1 (en) An intruder alarm system and a method of arming an intruder alarm system
KR20150102536A (en) Security System Through Convergence Solutions
KR100609735B1 (en) Remote display security apparatus for using Intenet Network
KR101700523B1 (en)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