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046A - 토양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토양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046A
KR20210023046A KR1020190102656A KR20190102656A KR20210023046A KR 20210023046 A KR20210023046 A KR 20210023046A KR 1020190102656 A KR1020190102656 A KR 1020190102656A KR 20190102656 A KR20190102656 A KR 20190102656A KR 20210023046 A KR20210023046 A KR 20210023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eparation chamber
soil mixture
mixture separation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745B1 (ko
Inventor
장준기
정태웅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7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6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정화 장치는, 토양 혼합물이 내부에 공급되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및 상기 토양 혼합물 저장 챔버내에 배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에 유입된 토양 혼합물의 입자 중 일부는 중력에 의해 침전되어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하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에 유입된 토양 혼합물 중 미세토는 상기 기포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기포에 의해 부유되어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단 개구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토양 정화 장치{SOIL REMEDI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토양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은 거의 전적으로 화석 연료를 기반으로 하여 발전되어 왔으나, 산업의 발전과 함께 수반된 환경 오염 문제가 최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환경 오염은 크게 대기 오염, 수질 오염 및 토양 오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토양 오염 문제는 식량 생산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되고, 지하수 오염을 통한 수질 오염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대기 오염이나 수질 오염에 비하여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화석 연료 중 석유와 같은 유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어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해양 기름 유출 사고 내지는 운송 및 저장에 있어서의 부주의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상당량의 유류가 토양으로 유출되면서 심각한 토양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이 자연적으로 회복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인위적으로 정화하기 위한 기술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기존의 방법들로, 토양 세척법(Soil washing), 열탈착법(Thermal desorption), 바이오 리미디에이션(bio remedation) 등의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기술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토양 세척법(Soil washing)은 물 또는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토양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토양 세척법은 중유 또는 원유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소모량이 비경제적으로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물이 중유 또는 원유와 접촉할 경우, 타르 볼(Tar Ball)이 생성되어 타르 볼에 의해 스크린이 막히는 현상 내지는 계면활성제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처리 효과가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을 보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열탈착법(Thermal desorption)은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에 열을 가하여 유류 오염물을 휘발시킨 뒤, 휘발된 오염물을 연소실(burner)에서 태우는 공정에 의해 토양을 정화하는 기술이다. 휘발된 오염물을 연소실에서 태울 때, 분진이 발생하는데, 발생된 분진은 백 필터(bag filter)로 걸러서 오염물질을 최소화 시킨 후에 대기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열탈착법은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휘발된 오염물을 소각할 때, 오염물의 탄소수(carbon number)에 비례하여 산소량이 필요하다. 토양을 오염시킨 원인 물질이 탄소수가 비교적 낮은 경유(light oil)인 경우에는 열탈착법에 의해 정화하는 경우 문제될 것이 없으나, 탄소수가 비교적 높은 중유 등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는 경우, 이러한 오염 물질을 소각하는 데 필요한 산소량 또한 매우 커지고, 백 필터도 이에 비례하여 늘어나야 하므로, 후처리 시설이 매우 과다해져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바이오 리미디에이션(bio remedation)은 미생물을 이용하는 정화기술로서, US EPA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TPH 5,000 mg/kg까지만 처리가 가능하며, 중유 또는 원유로 오염된 토양의 경우 TPH가 5,000 mg/kg를 훨씬 초과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미생물에 의한 처리로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TPH란 Total Petroleum Hydrocarbon의 약자로, 총 석유계 탄화수소를 의미하고, TPH 수치가 높을수록 토양의 오염 정도가 심각함을 나타낸다.
또한, 원유에 의해 오염된 토양이 수십년간 방치되는 경우, 원유에 함유된 탄소수가 비교적 낮은 경유(light oil) 성분은 모두 날라가고, 난분해성 중유(heavy oil) 성분만 남게 되어, 생물학적인 분해가 어려울 수 있고, 건조하고 햇빛이 강한 환경에서는 미생물에 필요한 수분공급 및 통기성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서, 바이오 리미디에이션 공정을 적용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기존의 방법에 있어서, 탈착된 유류오염물질이 포함된 물과 토양입자를 분리할 때, 진동 스크린(vibrating screen)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 스크린 방식은 유류오염물질에 의한 스크린 폐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진동 스크린에 장착되는 스크린의 재질 및 개구 면적은 처리되는 대상물의 특성과 처리량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처리 대상 토양의 차이(예를 들면, 입자 크기 및 입도 분포의 변화, 오염토의 점성 변화, 오일 및 수분의 함량 변화)에 의해 분급 불량이나 처리용량부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스크린으로 유입되는 탈착된 유류오염물질이 포함된 물과 토양입자 중 미세입자 및 오염원인 오일에 의해 스크린의 구멍이 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의 개구 면적이 더욱 감소되고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류 등으로 오염된 토양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토양 정화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토양 정화 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토양 혼합물이 내부에 공급되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및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내에 배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에 유입된 토양 혼합물의 입자 중 일부는 중력에 의해 침전되어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하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에 유입된 토양 혼합물 중 미세토는 상기 기포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기포에 의해 부유되어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단 개구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토양 정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는 원통형의 바디부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을 갖는 호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토양 정화 장치는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기 하부 배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 밸브;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밀도 센서; 및 상기 개폐 밸브와 상기 밀도 센서에 접속되어, 상기 밀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도 센서는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의 상측 및 하측의 밀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상기 밀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밀도값의 차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는 상부 오버플로우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기포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기포에 의해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내에서 상부로 부유된 미세토가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단 개구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상부 오버플로우 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밀도 센서는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밀도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력침강과 부상분리를 이용하여 유류오염토양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정화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토양 정화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정화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정화 장치(10)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정화 장치(10)는 중유 또는 원유에 의해 오염된 토양(오염토)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된 오염토에 함유된 중유 또는 원유가 제거함으로써 정화된 토양(정화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양 정화 장치(10)가 중유 또는 원유에 의해 오염된 오염토를 제공받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토양 정화 장치(10)는 중유 또는 원유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유류(Oil)에 의해 오염된 오염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정화 장치(10)는 탈리된 유류오염물질이 포함된 물과 토양입자를 분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토양 정화 장치(10)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기포발생기(200), 개폐 밸브(300), 밀도 센서(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는 대략 원통형의 바디부(101)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을 갖는 호퍼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바디부(101)에는 토양 혼합물과 공정수(유류오염물질과 미세토를 배출하기 위해 주입되는 물)가 유입되는 유입구(미도시) 및 유류오염물질과 미세토를 포함한 공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는 상부 오버플로우 가이드(120)가 마련될 수 있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호퍼부(101)의 하부에는 침전된 토양이 배출되는 하부 배출구(1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오버플로우 가이드(120)는 경사진 바닥부와,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과, 측벽에 마련되어 경사진 바닥부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미세토, 물 및 유류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상단 개구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미세토, 물 및 유류오염물질은 상부 오버플로우 가이드(120)의 경사진 바닥부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경사진 바닥부의 하측에 배치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에 유입된 토양 혼합물의 입자는 중력, 부력 및 응집력을 받게 된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에 유입된 토양 혼합물의 입자 중 무거운 입자는 중력에 의해 침전된다.
기포발생기(200)는 플로테이션(floatation)을 위한 공기가 주입되어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기포발생기(200)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에서 예컨대 바디부(101)와 호퍼부(102)의 경계부나 플로테이션이 원활하게 일이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포발생기(200)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된 기포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내에 유입된 유류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미세토에 부착되어 함께 상부로 부유될 수 있다.
기포발생기(200)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바디부(101) 및 호퍼부(102)의 경계에 배치되거나, 바디부(101)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기포발생기(200)는 예를 들면 에어 스파저(air sparger)일 수 있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에 유입된 토양 혼합물의 입자 중 가벼운 입자(유류오염물질, 미세토, 공정수 등)는 기포발생기(200)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와 함께 상측으로 부유되어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상단 개구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개폐 밸브(300)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하부 배출구(110)에 마련되어, 하부 배출구(11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도 센서(400)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바디부(101)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의 바디부(101)의 상측 및 하측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하측에 배치된 밀도 센서(400)는 호퍼부(102) 보다 상측에 배치되되, 기포발생기(200)보다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 밸브(300)와 밀도 센서(400)는 제어부(500)에 접속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예컨대 PID 제어기일 수 있으며, 밀도 센서(40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개폐 밸브(3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기포발생기(200)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밀도 센서(400)에 의해 측정된 밀도값을 수신하여,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밀도 센서(400)로부터 수신한 밀도값의 차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개폐 밸브(300)를 개방하여 토양 혼합물 저장 챔버(100) 내의 하부에 침전되어 있는 토양입자가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통신모듈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는 대용량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토양 회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하부 배출구(110) 후단에 탈수용 진동 스크린(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정화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탈리된 유류오염물질이 포함된 물과 토양입자의 토양 혼합물이 공정수와 함께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유입구를 통해 공정수와 함께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내에 공급된다.
기포발생기(200)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기포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내에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토양 혼합물 중 입자가 작고 가벼운 유류오염물질을 포함한 미세토 및 공정수와 함께 부유되어 상부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내에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토양 혼합물 중 크고 무거운 토양입자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아 하부에 침전되어 하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에 유입되어 침전되지 않은 토양입자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에 설치된 기포발생기(200)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기포와 접촉될 수 있다. 미세기포와 충분한 접촉시간동안 접촉된 토양입자 중 무거워진 토양입자는 침전하고, 유류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물과 입자가 작고 가벼운 미세토는 공정수와 함께 기포에 의해 부유되어 분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밀도 센서(400)의 측정값의 차에 근거하여, 개폐 밸브(300)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밀도 센서(400)로부터 수신한 밀도값의 차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의 하부에 침전된 토양의 배출속도가 느린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에 체류하는 토양입자와 기포가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져 효율적인 분리가 행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밀도 센서(400)로부터 수신한 밀도값의 차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개폐 밸브(300)를 개방하여 침전 토양이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하부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침전 토양이 배출되는 것에 의해,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에 체류하는 토양입자와 기포가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이 커져서 효율적인 분리가 행해질 수 있다.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밀도 센서(400)가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기포발생기(200)의 상측 및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도 센서(400)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의 기포발생기(200)의 하측에만 마련되어,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의 하부에 침전된 토양입자의 밀도만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0)는 밀도 센서(400)에 의해 측정된 밀도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개폐 밸브(300)를 개방하여 침전 토양이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정화 장치(10)는, 센서(600) 및 물 공급 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부의 유류오염토양의 함수율 및 점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600)는 측정한 데이터를 제어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물 공급 수단(700)은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부의 함수율이 낮거나 점도가 높을 경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부로 물(공정수)을 공급할 수 있다. 물 공급 수단(700)의 물으로 인해,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의 유류오염토양의 함수율이 증가하고, 점도가 낮아져서 플로테이션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 공급 수단(700)의 동작은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센서(600)를 통해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부의 유류오염토양의 함수율이 제2 함수율 레벨 이하로 낮거나 점도가 제2 점도 레벨로 높은 것을 인식하면, 물 공급 수단(700)을 동작시켜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100) 내부에 물을 공급하게 한다. 제2 함수율 레벨은 제1 함수율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제2 점도 레벨은 제1 점도 레벨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력침강과 부상분리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탈리된 유류오염물질이 포함된 물과 토양입자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펌프이송 등에 의해 오염토양 내 오일이 유상화되기 전단계에서 탈리된 유류오염물질이 포함된 물과 토양입자를 분리함으로써, 오일이 토양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토양 회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토양 정화 장치 100: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110: 하부 배출구 120: 상부 오버플로우 가이드
200: 기포발생기 300: 개폐 밸브
400: 밀도 센서 500: 제어부
600: 센서 700: 물 공급 수단

Claims (7)

  1. 토양 혼합물이 내부에 공급되는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및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내에 배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에 유입된 토양 혼합물의 입자 중 일부는 중력에 의해 침전되어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하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에 유입된 토양 혼합물 중 미세토는 상기 기포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기포에 의해 부유되어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단 개구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토양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는 원통형의 바디부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을 갖는 호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토양 정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기 하부 배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 밸브;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밀도 센서; 및
    상기 개폐 밸브와 상기 밀도 센서에 접속되어, 상기 밀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토양 정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 센서는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 내의 상측 및 하측의 밀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토양 정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상기 밀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밀도값의 차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토양 정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는 상부 오버플로우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기포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기포에 의해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내에서 상부로 부유된 미세토가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상단 개구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상부 오버플로우 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토양 정화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 센서는 상기 토양 혼합물 분리 챔버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밀도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토양 정화 장치.
KR1020190102656A 2019-08-21 2019-08-21 토양 정화 장치 KR102329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56A KR102329745B1 (ko) 2019-08-21 2019-08-21 토양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56A KR102329745B1 (ko) 2019-08-21 2019-08-21 토양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046A true KR20210023046A (ko) 2021-03-04
KR102329745B1 KR102329745B1 (ko) 2021-11-22

Family

ID=7517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656A KR102329745B1 (ko) 2019-08-21 2019-08-21 토양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7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99Y1 (ko) * 2003-06-25 2003-09-29 김희원 침전처리조의 수위 및 농도측정에 의한 슬러지이송시스템
JP2012061374A (ja) * 2010-09-14 2012-03-29 Dowa Eco-System Co Ltd 汚染土壌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99Y1 (ko) * 2003-06-25 2003-09-29 김희원 침전처리조의 수위 및 농도측정에 의한 슬러지이송시스템
JP2012061374A (ja) * 2010-09-14 2012-03-29 Dowa Eco-System Co Ltd 汚染土壌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745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0104B2 (en) Soil remediation facility and soil remedi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6902678B2 (en) Bilge water reclamation system and process
US5545330A (en) Water treatment system
JP6068481B2 (ja) 界面エマルジョン、水及び固体を処理する装置
KR100755910B1 (ko) 유류오염토양 복원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20090099170A (ko) 오염토사 정화용 유동식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WO1989007014A1 (en) Process for treating contaminated soil
KR102329745B1 (ko) 토양 정화 장치
KR102001031B1 (ko) 지중열탈착 후처리 시스템
KR102375205B1 (ko) 토양 정화 설비
RU2205154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загрязненных вод
KR20120111499A (ko) 가압부상방식을 이용한 녹조류 제거설비
KR101672400B1 (ko) 오염토 정화장치 및 정화시스템
KR20140146678A (ko) 토양 정화 장치 및 방법
KR102338102B1 (ko) 토양 정화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토양 정화 시스템
KR101929272B1 (ko) 복합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KR102338100B1 (ko)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KR20010090404A (ko) 오폐수처리장치
KR101066336B1 (ko) 유류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추출 저밀도비수용성액체 (lnapl)내 지하수 정화 방법
KR101606870B1 (ko) 토양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6837997B2 (en) Disposal of sediment from pond or lagoon at petroleum refinery
KR102086587B1 (ko) 수은오염 퇴적물 정화시스템
KR100565460B1 (ko) 오염토사 세척 정화방법
KR20030072144A (ko) 퇴적 준설물의 경량화에 의한 난분해성 물질의 처리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20210023035A (ko)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미세토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