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312A -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 Google Patents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312A
KR20210022312A KR1020190101652A KR20190101652A KR20210022312A KR 20210022312 A KR20210022312 A KR 20210022312A KR 1020190101652 A KR1020190101652 A KR 1020190101652A KR 20190101652 A KR20190101652 A KR 20190101652A KR 20210022312 A KR20210022312 A KR 20210022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
hat
raincoat
jacke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훈
이종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테크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테크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테크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0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312A/ko
Publication of KR2021002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명조끼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내부에 부력체가 수용되고, 표면에 우비작동버튼(251)이 구비되는 조끼본체(100)와; 상기 조끼본체(100)의 배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우비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우비수용부(130)와;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을 통해 우비접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서 수용되고,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을 통해 우비펼침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우비수용부(130) 외부로 펼쳐져셔 사용자의 상체와 머리를 덮는 우비부(2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우비부(200)는, 상기 우비수용부(130)의 내부에 접혀져서 수용되는 판쵸형상의 우의(210)와; 상기 우비수용부(130)의 내부에 접혀져서 수용되는 방수모자(220)와;상기 우의(210)가 상기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서 수용되거나 펼쳐져서 사용자의 몸을 덮을 수 있게 상기 우의(210)를 지지하는 우의지지부(230)와; 상기 방수모자(220)가 상기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서 수용되거나 펼쳐져서 사용자의 머리를 덮을 수 있게 상기 방수모자(220)를 지지하는 모자지지부(240)와;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우의지지부(230)와 상기 모자지지부(240)가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우의지지부(230)와 상기 모자지지부(240)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우비구동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life jacket equipped foldable raincoat}
본 발명은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비가 올 때 우비가 자동으로 펼쳐져서 사용자의 몸에 입혀질 수 있는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Life jacket)는 선박에 승선한 선원이나 승객이 해상에 떨어졌을 때 충분히 떠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조끼형의 기구를 말하는 구호장비다.
통상적으로, 구명조끼는 물에 뜨는 부력체가 내장되어 있는 조끼 형태로 사고 발생이나 미끄럼에 의해 선원이나 승객이 해상으로 추락 할 경우, 구호할 수 있는 장비로 사용된다.
그런데, 선박에서 일을 하는 선원이나 승객이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로 갑자기 비가 오면 별도의 우산이나 우비를 착용하기 어려워 비를 맞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즉, 우산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 우산을 사용하기 어렵고 우산을 소지하고 있더라도 선원의 경우 신체활동이 불편해 우산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구명조끼의 부피가 있어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로 우비를 착용하기 어려워 비를 맞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8017호, "자동팽창식 구명조끼의 오작동 방지용 방수커버"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명조끼에 우비가 일체로 구비되어 비가 올 때 간편하게 우비를 착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비가 자동으로 펼쳐져서 사용자가 구명조끼를 입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우비를 착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비가 자동으로 펼쳐진 후 자동으로 접혀져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명조끼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내부에 부력체가 수용되고, 표면에 우비작동버튼(251)이 구비되는 조끼본체(100)와; 상기 조끼본체(100)의 배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우비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우비수용부(130)와;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을 통해 우비접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서 수용되고,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을 통해 우비펼침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우비수용부(130) 외부로 펼쳐져셔 사용자의 상체와 머리를 덮는 우비부(2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우비부(200)는, 상기 우비수용부(130)의 내부에 접혀져서 수용되는 판쵸형상의 우의(210)와; 상기 우비수용부(130)의 내부에 접혀져서 수용되는 방수모자(220)와;상기 우의(210)가 상기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서 수용되거나 펼쳐져서 사용자의 몸을 덮을 수 있게 상기 우의(210)를 지지하는 우의지지부(230)와; 상기 방수모자(220)가 상기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서 수용되거나 펼쳐져서 사용자의 머리를 덮을 수 있게 상기 방수모자(220)를 지지하는 모자지지부(240)와;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우의지지부(230)와 상기 모자지지부(240)가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우의지지부(230)와 상기 모자지지부(240)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우비구동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는 조끼본체의 배면에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우비부가 수용된다. 우비부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우비펼침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면서 우의와 방수모자를 지지하는 링크들을 펼쳐 우의와 방수모자가 자동으로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우비접힘신호를 인가하면, 구동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링크들이 접혀져 우의와 방수모자가 자동으로 접혀지게 된다.
우의는 판쵸 형태로 형성되어 조끼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몸을 감싸주어 비에 젖지 않게 보호해주며, 활동성을 확보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는 물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는 동작되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감전 등의 사고를 당하지 않게 하고, 물에 빠진 상태에서 우비가 펼쳐지는 오작동을 하지 않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는 내부의 배터리만 교체하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를 입은 상태에서 우비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후면을 도시한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우비부가 접혀진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우비부가 접혀진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우비부가 펼쳐진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의 우비부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명조끼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사용자가 구명조끼(1)를 입은 상태에서 우비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구명조끼(1)의 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1)는 조끼본체(100)의 등 쪽에 우비수용부(130)가 구비되고, 우비수용부(130) 내부에 우비부(200)가 수용된다. 우비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를 덮는 우의(210)와, 사용자의 머리를 덮는 방수모자(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1)는 조끼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된 우비작동버튼(251)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우비수용부(130)에 수용되어 있던 우비부(200)가 펼쳐지며 자동으로 우의(210)와 방수모자(220)가 사용자에게 착용된다. 이에 의해 비가 올 때 별도로 우산이나 우비를 휴대하지 않고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우비를 입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우비부(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구명조끼(1)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우비부(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우비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조끼본체(100)는 사용자의 상체에 입혀질 수 있게 구비된다. 조끼본체(100)는 내부에 부력체(110)가 수용되어 위급상황에서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사용자의 몸이 물에 뜰 수 있게 부력을 형성한다.
조끼본체(100)에는 사용자의 몸에 조끼본체(100)를 고정시키는 버클(120)이 구비된다.
조끼본체(100)의 배면에는 우비수용부(130)가 구비된다. 우비수용부(130)는 조끼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부력체(110)에 간섭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우비수용부(130)는 축지지벽(131)에 의해 둘러싸인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우비부(200)가 수용되는 우비수용공간(132)이 형성된다.
우비수용부(130)의 외측에는 우비수용공간(132)을 덮는 덮개(133)가 구비된다. 덮개(133)는 평상시에는 우비수용공간(132)을 덮어 은폐하고, 우비부(200)가 펼쳐질 때는 우비부(200)가 펼쳐지는 압력에 의해 축지지벽(131)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부로 낙하되고 우비수용공간(132)을 개방하게 된다.
덮개(133)는 조끼본체(100)와 연결밴드(135)에 의해 연결되어 분실을 방지한다. 덮개(133)의 상부에는 축지지벽(131)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재(137)가 구비된다. 착탈부재(137)는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암수벨크로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비부(200)는 우비수용부(130)에 수용되며 사용자가 조끼본체(100)의 전방에 구비된 우비작동버튼(251)을 누르면, 우비수용부(130)로부터 펼쳐지며 사용자의 머리와 상체를 덮는다.
우비부(200)는 사용자의 상체를 덮는 판쵸형태의 우의(210)와, 사용자의 머리를 덮는 방수모자(220)와, 우의(210)가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 수용되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우의지지부(230)와, 방수모자(220)가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 수용되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모자지지부(240)와, 우의지지부(230)와 모자지지부(240)가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우비구동부(250)를 포함한다.
우의(210)는 사용자의 상체를 덮어 빗물이 사용자의 옷과 몸에 침투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우의(210)는 착용의 편의를 위해 별도로 팔이 달려 있지 않은 판쵸 형태로 구비된다.
우의(210)는 우의겉감(211)과 우의안감(213)의 이중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우의겉감(211)과 우의안감(213) 사이의 내부공간에 우의지지부(230)가 수용된다. 우의(210)의 양측단은 우의지지부(230)의 우의지지수평축(231)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의지지부(230)는 우의(210)의 등쪽 내부에만 수용되어 펼쳐진다. 이에 의해 우의(210)가 펼쳐지면 사용자의 등쪽만 가려지고 상체 앞쪽은 가려지지 않는다.
상체 앞쪽을 가리기 위해 우의(210)의 양쪽이 우의지지수평축(231)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우의(2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의(210)의 양측단을 몸 앞쪽으로 당겨 몸 앞쪽을 감싸게 된다.
이 때, 우의(210)의 상부에는 우의(210)의 양측단을 사용자가 몸 앞쪽으로 쉽게 당길 수 있도록 착용끈(217)이 일정 길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끈(217)을 목을 감싸도록 당겨 우의(210)가 상체 전체를 감싸도록 착용한다. 그리고, 양쪽의 착용끈(217)을 묶어 우의(210)가 상체를 감싸는 형태가 고정되게 한다.
방수모자(220)는 펼쳐진 후 사용자의 머리를 덮는다. 방수모자(220)는 모자겉감(221)과 모자안감(223)의 이중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모자겉감(221)과 모자안감(223) 사이의 내부공간에 모자지지부(240)가 수용된다. 방수모자(220)의 전방에는 앞쪽으로 일정 면적 연장되어 사용자의 얼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양(227)이 구비된다.
우의지지부(230)는 우의(210)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우의(210)를 지지한다. 우의지지부(230)는 우비수용공간(132)을 형성하는 축지지벽(131)에 양단이 고정결합된 우의지지수평축(231)과, 우의지지수평축(231)에 결합되는 한 쌍의 우의고정링크(233)와, 우의고정링크(233)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우의절첩링크(235)와, 우의고정링크(233)에 우의절첩링크(235)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링크회동축(237)을 포함한다.
우의지지수평축(231)은 우비수용공간(132)의 어깨위치에 수평하게 결합된다. 우의지지수평축(231)은 어깨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우의고정링크(233)는 우의지지수평축(231)의 양측에 결합된다.
한 쌍의 우의고정링크(233)와 우의절첩링크(235)는 우의(2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우의고정링크(233)의 상단과 우의절첩링크(235)의 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우의안감(213)에 봉제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우의절첩링크(235)는 제1링크회동축(237)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의고정링크(233)에 접혀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의고정링크(233)에 펼쳐진다.
우의절첩링크(235)의 하단에는 우비구동부(250)의 우의절첩와이어(255)가 고정결합된다. 우의절첩와이어(255)는 우의안감(213)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우의절첩와이어(255)의 하단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우의절첩링크(235)는 우의절첩와이어(255)의 길이변화에 연동하여 제1링크회동축(237)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절첩된다.
여기서, 제1링크회동축(237)에는 우의절첩링크(235)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탄성부재(237a)가 구비된다.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237a)는 토션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1탄성부재(237a)는 우의절첩와이어(255)의 길이가 짧아지면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우의절첩와이어(255)의 길이가 길어지면 초기상태로 신장되며 우의절첩링크(235)가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에 의해 우의절첩와이어(255)가 풀려지면 제1탄성부재(237a)의 탄성력에 의해 우의절첩와이어(255)가 순간적으로 펼쳐지고, 동시에 우의(210)도 조끼본체(100)의 후방에서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우의고정링크(233)와 우의절첩링크(235)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우의고정링크(233)와 우의절첩링크(235)는 우비수용공간(132)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되고, 우의절첩링크(235)가 펼쳐졌을 때 사용자의 허리부근까지 닿을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사용자의 상체를 충분히 가릴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우의절첩링크(235)의 하부에는 제1링크회동축(237)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회동방향을 제한하는 스토퍼(236)가 구비된다. 스토퍼(236)는 우의절첩와이어(255)와 결합되며, 우의절첩와이어(255)의 길이가 변화될 때 우의절첩링크(235)가 반대방향으로 접혀지지 않도록 접힘 방향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236)는 일정 크기를 갖는 블럭 형태로 구비되어 우의겉감(211)에 접촉 지지되어 우의절첩링크(235)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게 지지한다.
모자지지부(240)는 방수모자(220)가 우비수용부(130) 내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펼쳐져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지지한다. 모자지지부(240)는 우비수용공간(132)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모자지지축(241)과, 모자지지축(241)에 결합되며 방수모자(2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모자고정링크(243)와, 모자고정링크(243)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자절첩링크(245)와, 모자절첩링크(245)가 모자고정링크(243)에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제2링크회동축(247)을 포함한다.
모자고정링크(243)와 모자절첩링크(245)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일정 곡률을 갖는 막대형태로 구비된다. 모자고정링크(243)와 모자절첩링크(245)는 펼쳐졌을 때, 일반적인 성인 머리의 상단에 닿을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자절첩링크(245)의 하단은 우비구동부(250)의 모자절첩와이어(256)에 결합된다. 모자절첩링크(245)는 모자절첩와이어(256)의 길이변화에 따라 제2링크회동축(247)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제2링크회동축(247)에는 앞서 설명한 우의지지부(230)의 제1링크회동축(237)과 동일하게 제2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우비구동부(250)는 우의지지부(230)와 모자지지부(240)가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한다. 우비구동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우비펼침신호를 인가받는 우비작동버튼(251)과, 우비작동버튼(251)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252)와, 구동모터(252)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3)와, 구동모터(252)에 결합되는 구동축(254)과, 우의절첩링크(235)와 연결되는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링크(245)와 연결되는 모자절첩와이어(256)와, 구동축(254)에 결합되어 한 쌍의 우의절첩와이어(255)가 권취되는 한 쌍의 제1와이어드럼(257)과, 구동축(254)에 결합되어 모자절첩와이어(256)가 권취되는 제2와이어드럼(258)과, 구동축(254)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변환하여 모자지지축(241)으로 전달하는 회전방향변환수단(259)을 포함한다.
우비작동버튼(251)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조끼(1)의 전면에 구비된다. 우비작동버튼(251)은 우비펼침버튼과 우비접힘버튼으로 나눠질 수 있다. 사용자는 비가 오면 우비펼침버튼을 눌러 우비가 펼쳐지게 하고, 비가 그치면 우비접힘버튼을 눌러 우비가 접혀지게 한다.
배터리(253)는 부력체(110) 내부 또는 우비수용부(130)에 수용된다. 배터리(253)는 구동모터(2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우비작동버튼(251)이 조작되면 구동모터(252)로 전원을 공급한다.
구동모터(252)는 우비작동버튼(251)의 조작에 따라 정역회전된다. 우비펼침버튼이 조작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와이어(256)가 풀려지게 하고, 우비접힘버튼이 조작되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와이어(256)가 감겨지게 한다.
구동모터(252)에는 구동축(254)이 양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구동축(254)에는 한 쌍의 제1와이어드럼(257)과 제2와이어드럼(258)이 각각 구비된다. 한 쌍의 제1와이어드럼(257)에는 우의절첩와이어(255)가 결합되고, 제2와이어드럼(258)에는 모자절첩와이어(256)가 결합된다.
우의절첩와이어(255)는 일단은 우의절첩링크(235)의 하부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제1와이어드럼(257)에 고정결합된다. 제1와이어드럼(257)이 구동축(254)과 함께 정역회전되면 우의절첩와이어(255)는 제1와이어드럼(257)에 권취되어 길이가 짧아지거나 풀려지며 길이가 길어진다.
우의절첩와이어(255)의 길이가 짧아지면 우의절첩링크(235)가 당겨지며 제1링크회동축(237)을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고, 우의절첩와이어(255)의 길이가 길어지면 우의절첩링크(235)가 제1탄성부재(237a)에 의해 펼쳐진다.
모자절첩와이어(256)도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동일한 방식으로 모자절첩링크(245)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동작시킨다.
여기서, 우비수용부(130)에 우의지지부(230)와 모자지지부(240) 모두 하부를 향해 수용된다. 우의지지부(230)의 우의고정링크(233)와 우의절첩링크(235)는 접혀진 상태에서 아래를 향해 펼쳐지게 되므로 우의지지수평축(231)은 위치가 고정된다.
반면, 모자지지부(240)는 우비수용부(130)에 아래를 향해 접혀져 있다가 우비펼침신호가 오면 상방향을 향해 펼쳐져 머리를 감싸게 된다. 즉, 구동모터(252)의 구동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모자지지축(241)이 회동되어야 한다. 일례로, 구동모터(252)의 구동축(25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와이어(256)가 풀려질 때, 모자지지축(24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회전방향변환수단(259)이 구동축(254)과 모자지지축(241)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축(254)의 회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전환하여 모자지지축(241)으로 전달한다. 회전방향변환수단(259)은 회전방향을 변환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기어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조끼본체(100)의 표면에는 물감지센서(260)가 구비될 수 있다. 물감지센서(260)는 조끼본체(100)가 물에 젖어있는지를 판단하여 배터리(253)가 구동모터(252)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물감지센서(260)가 물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물에 빠진 것으로 판단하고 우의(210)와 방수모자(220)가 펼쳐지지 않도록 구동모터(252)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물에 빠진 상태에서 배터리(253)와 구동모터(252)의 구동에 의해 사용자가 감전되거나, 우의(210)와 방수모자(220)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거나 활동에 제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조끼본체(100)에는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미도시)는 선박에 있는 선원 또는 승선원들의 우비 펼침여부를 선장 또는 이에 준하는 권한을 가진 이가 일괄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한다.
즉, 비가 오는 경우 선장이 조타실 등에서 우비펼침신호를 인가하면, 통신부(미도시)가 선박에 타고 있는 모든 승객들이 착용하고 있는 구명조끼(1)로 우비펼침신호를 전송하여 구동모터(252)가 동작되게 한다. 이에 의해 동시에 모든 승객들의 구명조끼(1)의 우비가 펼쳐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에서 선원 또는 승선인은 조끼본체(100)를 착용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비부(200)는 조끼본체(100) 배면에 구비된 우비수용부(130)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우비부(2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로 우비수용부(130)에 수용된다. 이 때,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와이어(256)는 제1와이어드럼(257)과 제2와이어드럼(258)에 권취되어 길이가 짧아져 있으므로 우의지지부(230)의 우의절첩링크(235)와 모자지지부(240)의 모자절첩링크(245)는 각각 제1링크회동축(237)과 제2링크회동축(247)을 중심으로 접혀있게 된다.
우의(210)와 방수모자(220)는 접혀있는 우의지지부(230)와 모자지지부(240) 사이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접혀져 우비수용부(130) 내부에 수용된다.
제1탄성부재(237a)와 제2탄성부재(247a)는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와이어(256)에 의해 당겨지는 힘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덮개(133)는 착탈부재(137)에 결합되어 우비수용공간(132)을 덮어 접혀져 있는 우의(210)와 방수모자(220)를 은폐한다.
선원 또는 승선인은 이렇게 우비부(200)가 접혀진 상태로 수용된 구명조끼(1)를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고 갑자기 비가 오면 조끼본체(100)의 우비작동버튼(251)을 조작하여 우비펼침신호를 인가한다.
우비펼침신호가 인가되면, 배터리(253)가 구동모터(252)로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모터(252)가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와이어(256)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와이어(256)의 길이가 길어지면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237a)와 제2탄성부재(247a)의 탄성력에 의해 우의절첩링크(235)와 모자절첩링크(245)가 펼쳐진다. 이에 의해 우의절첩링크(235)와 모자절첩링크(245)에 의해 접혀져 있던 우의(210)와 방수모자(220)가 자동으로 펼쳐지며 몸과 머리를 감싸게 된다.
구동모터(252)가 구동되면 구동축(254)에 결합된 회전방향변환수단(259)이 동작되고, 모자지지축(241)이 회동되어 모자고정링크(243)가 머리를 향해 회동된다. 이에 의해 모자고정링크(243)와 모자절첩링크(245)에 결합된 방수모자(220)가 사용자의 머리를 덮게 된다.
사용자는 머리를 덮은 방수모자(220)를 본인 머리에 맞게 제대로 펼쳐서 쓰고 차양(227)를 펼친다. 그리고, 등쪽으로 펼쳐진 우의(210)의 양쪽에 위치된 착용끈(217)을 목쪽으로 당겨 우의(210)가 상체 앞쪽을 가리도록 한다. 그리고, 착용끈(217)을 묶어 우의(210)가 상체에 착용된 상태를 고정한다.
한편, 우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비가 그치면 사용자는 우비작동버튼을 작동하여 우비접힘신호를 인가한다. 배터리(253)가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모터(252)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와이어(256)가 제1와이어드럼(257)과 제2와이어드럼(258)에 권취된다. 우의절첩와이어(255)와 모자절첩와이어(256)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우의절첩링크(235)와 모자절첩링크(245)는 당겨져 접혀지고, 모자지지축(241)은 회동되어 우비수용부(130)에 우비부(200)가 자동으로 수용된다.
이 때, 우의(210)와 방수모자(220)는 깔끔하게 접혀지지 않고 뭉쳐진 상태로 우비수용부(130)에 수용된다. 사용자는 구명조끼(1)를 벗은 후 우비수용부(130)에 수용된 우의(210)와 방수모자(220)를 깔끔하게 접어 우비수용부(130)에 다시 수용하고, 덮개(133)를 덮어 정리한다.
이에 의해 우비부(200)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는 조끼본체의 배면에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우비부가 수용된다. 우비부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우비펼침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면서 우의와 방수모자를 지지하는 링크들을 펼쳐 우의와 방수모자가 자동으로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우비접힘신호를 인가하면, 구동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링크들이 접혀져 우의와 방수모자가 자동으로 접혀지게 된다.
우의는 판쵸 형태로 형성되어 조끼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몸을 감싸주어 비에 젖지 않게 보호해주며, 활동성을 확보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는 물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는 동작되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감전 등의 사고를 당하지 않게 하고, 물에 빠진 상태에서 우비가 펼쳐지는 오작동을 하지 않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는 내부의 배터리만 교체하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선박에서 사용되는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1 : 구명조끼 100 : 조끼본체
110 : 부력체 120 : 버클
130 : 우비수용부 131 : 축지지벽
132 : 우비수용공간 133 : 덮개
135 : 연결밴드 137 : 착탈부재
200 : 우비부 210 : 우의
211 : 우의겉감 213 : 우의안감
217 : 착용끈 220 : 방수모자
221 : 모자겉감 223 : 모자안감
227 : 차양 230 : 우의지지부
231 : 우의지지수평축 233 : 우의고정링크
235 : 우의절첩링크 236 : 제1스토퍼
237 : 제1링크회동축 237a : 제1탄성부재
240 : 모자지지부 241 : 모자지지축
243 : 모자고정링크 245 : 모자절첩링크
247 : 제2링크회동축 250 : 우비구동부
251 : 우비작동버튼 252 : 구동모터
253 : 배터리 254 : 구동축
255 : 우의절첩와이어 256 : 모자절첩와이어
257 : 제1와이어드럼 258 : 제2와이어드럼
259 : 회전방향변환수단 260 : 물감지센서

Claims (3)

  1.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내부에 부력체가 수용되고, 표면에 우비작동버튼(251)이 구비되는 조끼본체(100)와;
    상기 조끼본체(100)의 배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우비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우비수용부(130)와;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을 통해 우비접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서 수용되고,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을 통해 우비펼침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우비수용부(130) 외부로 펼쳐져셔 사용자의 상체와 머리를 덮는 우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우비부(200)는,
    상기 우비수용부(130)의 내부에 접혀져서 수용되는 판쵸형상의 우의(210)와;
    상기 우비수용부(130)의 내부에 접혀져서 수용되는 방수모자(220)와;
    상기 우의(210)가 상기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서 수용되거나 펼쳐져서 사용자의 몸을 덮을 수 있게 상기 우의(210)를 지지하는 우의지지부(230)와;
    상기 방수모자(220)가 상기 우비수용부(130)에 접혀져서 수용되거나 펼쳐져서 사용자의 머리를 덮을 수 있게 상기 방수모자(220)를 지지하는 모자지지부(240)와;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우의지지부(230)와 상기 모자지지부(240)가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우의지지부(230)와 상기 모자지지부(240)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우비구동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의(210)는 우의겉감(211)과 우의안감(213)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우의지지부(230)는,
    상기 우비수용부(130)의 어깨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되는 우의지지수평축(231)과;
    상단은 상기 우의지지수평축(231)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우의(210)의 우의겉감(211)과 우의안감(213) 사이로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우의고정링크(233)와;
    상기 우의(210)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우의고정링크(233)의 하단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우의절첩링크(235)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모자(220)는 모자겉감(221)과 모자안감(223)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자지지부(240)는,
    상기 우의지지수평축(23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자지지축(241)과;
    상단은 상기 모자지지축(241)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방수모자(220)의 모자안감(223)과 모자겉감(221) 사이로 삽입 고정되는 모자지지축(241)과;
    상기 모자지지축(241)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자절첩링크(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비구동부(250)는,
    상기 조끼본체(100)의 등쪽 부력체(11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의 조작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252)와;
    상기 구동모터(25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우비작동버튼(251)의 조작시에 상기 구동모터(252)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3)와;
    상기 한 쌍의 우의절첩링크(235)와 연결되는 한 쌍의 우의절첩와이어(255)와;
    상기 모자절첩링크(245)와 연결되는 모자절첩와이어(256)와;
    상기 구동모터(252)의 구동축(254)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254)의 정역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우의절첩와이어(255)와 상기 모자절첩와이어(256)가 풀리거나 감기는 한 쌍의 제1와이어드럼(257) 및 제2와이어드럼(2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KR1020190101652A 2019-08-20 2019-08-20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KR20210022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652A KR20210022312A (ko) 2019-08-20 2019-08-20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652A KR20210022312A (ko) 2019-08-20 2019-08-20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312A true KR20210022312A (ko) 2021-03-03

Family

ID=7515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652A KR20210022312A (ko) 2019-08-20 2019-08-20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23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017U (ko) 2010-02-08 2011-08-17 김재홍 자동팽창식 구명조끼의 오작동 방지용 방수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017U (ko) 2010-02-08 2011-08-17 김재홍 자동팽창식 구명조끼의 오작동 방지용 방수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193A (en) Aquatic thermal head covering
AU736280B2 (en) Inflatable transportable water craft for survival or recreational applications
KR101901190B1 (ko) 시트 커버 겸용 레저용 코트
US6488188B2 (en) Combination backpack and protective body heat retaining pod
US20060270290A1 (en) Lightweight personal rescue tube flotation device
US7631728B2 (en) Safety harness
US5702279A (en) Inflatable swimmer's safety belt, life preserver/life vest
JP3075650U (ja) 高さの低い浮きカラー
CA2316579C (en) Combination life jacket and protective body heat retaining pod
US9067658B2 (en) Inflatable swim vest
US8727825B2 (en) Life jacket
US5338239A (en) Automatic inflatable PFD
US20210153458A1 (en) Life Jacket for Pet
US20190061889A1 (en) Inconspicuous Flotation Apparatus
US10286986B2 (en) Bouyant inflatable device
US6976894B1 (en) Combination wet suit and flotation device
US20130203310A1 (en) Convertible emergency device
CN208198783U (zh) 一种水上新型多功能救生衣
KR20210022312A (ko) 우비가 구비된 구명조끼
US9017126B2 (en) Convertible emergency device
JP3531670B2 (ja) 首着膨脹式救命胴衣
JP4129380B2 (ja) 救命具
CA2837229C (en) Marker and recovery device
JP2012236543A (ja) 腰部装着形救命具
KR101258659B1 (ko) 인명구조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