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276A -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276A
KR20210022276A KR1020190101514A KR20190101514A KR20210022276A KR 20210022276 A KR20210022276 A KR 20210022276A KR 1020190101514 A KR1020190101514 A KR 1020190101514A KR 20190101514 A KR20190101514 A KR 20190101514A KR 20210022276 A KR20210022276 A KR 20210022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profiler
mooring
charg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건
전형석
배태일
임종승
전찬웅
김운갑
이호영
박태현
최한얼
강소희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시스템리서치 filed Critical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to KR102019010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276A/ko
Publication of KR2021002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ate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e.g. from tidal flows, waves or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4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energy generated by movement of th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은 해저에 장착되며 해저계류 몸체, 상기 해저계류 몸체에 장착된 제1 배터리, 상기 해저계류 몸체에 장착되며 수면으로 부상되는 부력을 갖는 프로파일러 및 상기 프로파일러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터리를 포함하는 해저계류 장치; 및 수면에 배치되며 무인 항해하는 무인 드론, 상기 무인 드론에 장착된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3 배터리 및 상기 제3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제1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무인 드론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CHARGING SYSTEM OF SUBMARINE MOORING DEVICE}
본 발명은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환경을 감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감시 장비는 해양이라는 설치영역의 특성상 유인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감시 장비의 설치와 관측자료의 수집 및 관측기기의 제어 측면에도 많은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해양 감시 장비는 통상 표류 부이, 해저계류장치, 무인 드론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해저에 고정된 상태에서 해양 감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수면으로 부상되는 프로파일을 통하여 수면에서 해양 감시 데이터를 위성 등에 전송하는 방식이 미국특허 제9,501,450호를 통해 개발된 바 있다.
미국특허 제9,501,450호에 의하면 해양 감시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은 해양 감시 센서, 윈치, 컨트롤러, 프로파일, 배터리,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심해에 설치되는 시스템은 상시 전원을 공급받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하고 배터리의 전원이 소모되면 잠수부에 의하여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잠수부가 위험에 노출되고 배터리 교체를 위해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미국특허 제9,501,450호에 의한 시스템은 해양에 다수 개가 넓은 면적에 걸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배터리 교체에 더욱 큰 비용이 지출되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 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미국특허 제9,501,450호, SYSTEM AND METHOD FOR BIO-OPTICAL ENVIRONMENTAL RECONNAISSANCE, (등록일 : 2016. 11. 22.)
본 발명은 심해에 설치된 해저 계류 장비의 배터리를 무인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어 잠수부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배터리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로서,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은 해저에 장착되며 해저계류 몸체, 상기 해저계류 몸체에 장착된 제1 배터리, 상기 해저계류 몸체에 장착되며 수면으로 부상되는 부력을 갖는 프로파일러 및 상기 프로파일러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터리를 포함하는 해저계류 장치; 및 수면에 배치되며 무인 항해하는 무인 드론, 상기 무인 드론에 장착된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3 배터리 및 상기 제3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제1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무인 드론 유닛을 포함한다.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의 상기 무인 드론은 2개가 상호 이격 되며 상기 제3 배터리가 수납되는 한 쌍의 부력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들 사이에는 상기 충전 유닛이 배치된다.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은 상기 부력체들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프로파일러를 상기 부력체들 사이로 가이드하는 콜렉터 유닛 및 상기 콜렉터 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콜렉터를 더 포함한다.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의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은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 발전 유닛,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 및 조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조력 발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의 상기 해저계류 몸체는 해양 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유닛 및 상기 프로파일러에 연결된 와이어를 회수하는 윈치 유닛 및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의 상기 프로파일러는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또는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무인 드론은 상기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 및 위성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무인 드론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의 상기 충전 유닛은 무선으로 상기 제3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제2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은 심해에 설치된 해저 계류 장비의 배터리를 무인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어 잠수부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배터리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드론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드론 유닛의 제3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해저계류 장치의 프로파일러의 제2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300)은 해저계류장치(100) 및 무인 드론 유닛(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해저계류장치(100)에 포함된 배터리는 무인 드론 유닛(200)을 매개로 충전된다.
구체적으로 해저계류장치(100)는 해저계류 몸체(110), 제1 배터리(120), 프로파일러(130) 및 제2 배터리(140)를 포함한다.
해저계류 몸체(110)는, 예를 들어, 평탄한 바닥면(102) 및 곡면 형상을 갖는 상판(104)을 포함하며, 해저계류 몸체(110)의 내부에는 방수처리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해저계류 몸체(110)의 평탄한 바닥면(102)은 해저에 계류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곡면 형상을 갖는 상판(104)은 트롤 어선에서 내린 그물에 의하여 해저계류 몸체(110)가 손상 또는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해저계류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는 제1 배터리(120)가 수납되며, 해저계류 몸체(110)의 내부에는 제1 배터리(120) 이외에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 유닛(130), 다수 관측 센서(145)들 및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해저계류 몸체(110)의 내부에는 다양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해저계류 몸체(110)에는 관측 센서(145)에서 발생 된 데이터를 무선 방식으로 프로파일러(130)에 형성된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137)로 제공하는 통신 유닛(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137) 및 통신 유닛(160)은 무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광통신 방식 또는 인덕티브 모뎀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및 인덕티브 모뎀 통신의 경우 충전도 가능하다.
윈치 유닛(130)에 감긴 와이어(135)의 단부에는 프로파일러(130)가 결합되는데 프로파일러(130)는 부력을 갖고, 부력에 의하여 프로파일러(130)는 수면으로 부상될 수 있다. 부력에 의하여 승강 된 프로파일러(130)는 윈치 유닛(130)에 의하여 해저계류 몸체(110)로 복귀될 수 있다.
제2 배터리(140)는 프로파일러(130)에 결합 될 수 있다. 제2 배터리(140)는 해저계류 몸체(110)에 형성된 제1 배터리(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배터리(140)는 제1 배터리(120)를 충전하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2 배터리(140) 및 제1 배터리(120)는 상호 접속 단자에 의하여 요철 결합 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배터리(120)는 제2 배터리(140)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배터리(120)는 무선 방식에 의하여 제2 배터리(140)와 비접촉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계류 몸체(100)에 형성된 윈치 유닛(130)에 감긴 와이어(135)에는 프로파일러(130)가 결합 되는데, 프로파일러(130)에는 제2 배터리(140) 및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137)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프로파일러(130)가 수면에 도달하였을 때 프로파일러(1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프로파일러(130)에는 GPS 유닛(미도시)가 결합 될 수 있다. GPS 유닛은 위성을 통해 현재 프로파일러(130)의 위치를 파악하고, 프로파일러(130)의 위치 데이터는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137)을 통해 송출된다.
한편, 야간에 프로파일러(130)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프로파일러(130)에는 점멸되는 조명(미도시)이 결합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드론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드론 유닛(300)은 수면상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무선 드론 유닛(300)은 해양을 항해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무선 드론 유닛(300)은 무인 드론(310), 무인 항해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320), 제3 배터리(330) 및 충전 유닛(340)을 포함한다.
무인 드론(310)은 장거리 무인 항해가 가능하도록 동력 발생 장치(301), 추진 장치(302), 조타 장치(미도시), 제어기(304), 부력체(305), 무인 드론 통신 유닛(306) 및 드론용 GPS 유닛(308)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무인 드론(310)은 무인 항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부력체(305)는 무인 드론(310)이 수면에 뜬 상태에서 무인 항해를 하기 위한 부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부력체(305)는 장방형 형상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부력체(305)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부력체(305)들에 의하여 무인 드론(310)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부력체(305)들은 연결 부재(30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부력체(305)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307)에는 동력 발생 장치(301)가 장착될 수 있고, 동력 발생 장치(301)에는 추진 장치(302) 및 조타 장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제어기(304)는 무인 드론 유닛(3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제어기(304)는 부력체(3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무인 드론 통신 유닛(306)은 무인 드론(310)의 부력체(305)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137) 또는 인공 위성과 통신할 수 있다.
특히 무인 드론 통신 유닛(306)은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137)과 통신하면서 관측 센서(145)에서 발생 된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상기 데이터를 인공위성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드론용 GPS 유닛(308)은 부력체(305)의 외측에 배치되며 인공 위성 등으로부터 무인 드론 유닛(300)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한편, 무인 드론 유닛(300)은 유도 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부재(350)는, 예를 들어, 수면에 플로팅된 프로파일러(130)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부력체(305)들 사이의 지정된 공간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도 부재(350)는 프로파일러(130)를 한 쌍의 부력체(305)의 중앙 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해상에서 파도, 바람, 조류 등에 의하여 프로파일러(130)는 심하게 유동 될 경우, 무인 드론 유닛(300)의 유도 부재(350)만으로는 프로파일러(130)를 수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파도, 바람 또는 조류 등에 의하여 프로파일러(130)가 심하게 유동 되더라도 무인 드론 유닛(300)이 쉽게 프로파일러(130)를 수거할 수 있도록 무인 드론 유닛(300)은 콜렉터(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콜렉터(360)는, 예를 들어, 부력체(305)의 선단에 배치되어 프로파일러(130)를 부력체(305)의 사이로 가이드 하기 위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콜렉터 유닛(362) 및 콜렉터 유닛(36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유닛(364)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콜렉터(360)는 프로파일러(130)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여 프로파일러(13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영성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콜렉터(360)는 각도 조절 유닛(364)이 콜렉터 유닛(36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인 드론 유닛(300)이 무리하지 않게 이동되면서 보다 쉽게 프로파일러(130)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콜렉터(360)의 콜렉터 유닛(362)은 프로파일러(130)를 수거하지 않을 때에는 무인 항해에 방해가 될 수 있는바 프로파일러(130)를 수거하지 않을 때 콜렉터 유닛(262)은 수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320)은 에너지를 생성하여 제3 배터리(330)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320)은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 발전 유닛,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 및 조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조력 발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배터리(330)는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320)에서 생성된 전기를 제공 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320)에서 생산된 전기는 제3 배터리(330)에 먼저 저장되고, 제3 배터리(330)에 저장된 전기는 충전 유닛(340)에 의하여 제2 배터리(140)에 저장되고, 마지막으로 제2 배터리(140)에 저장된 전기는 제1 배터리(120)에 최종적으로 저장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드론 유닛의 제3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해저계류 장치의 프로파일러의 제2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320)에서 생성된 전기는 제3 배터리(330)에 충전되고, 제3 배터리(330)에 충전된 전기는 충전 유닛(340)을 통해 제2 배터리(140)에 충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해양의 파도, 바람 등에 의하여 프로파일러(130)는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충전 유닛(340) 및 제2 배터리(140)는 접촉 방식 또는 단자 방식으로는 충전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충전 유닛(340)은 제1 무선 충전 유닛(342) 및 제2 무선 충전 유닛(344)을 통해 제3 배터리(330)에 저장된 전원을 제2 배터리(140)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무인 드론 유닛(300)의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320)에 의하여 발전 된 전기는 제3 배터리(330)에 저장된다.
이후, 관측 센서(145)에서 발생 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또는 제1 배터리(120)를 충전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해저계류 몸체(110)에 장착된 컨트롤러(150)는 윈치 유닛(13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윈치 유닛(130)을 작동시켜 프로파일러(130)를 수면으로 부상시킨다.
프로파일러(130)가 수면으로 부상되면, 프로파일러(130)의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137)은 현재 프로파일러(130)의 위치 데이터를 송출한다.
이후 무인 드론 유닛(300)의 무인 드론 통신 유닛(306)이 프로파일러(130)의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137)로부터 발생 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면, 무인 드론 유닛(300)의 제어기(304)는 드론용 GPS 유닛(308)에서 발생 된 드론 위치 데이터 및 프로파일러(130)의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적 경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제어기(304)에 의하여 최적 경로 데이터가 생성되면, 제어기(304)는 조타 장치 및 추진 장치(302)를 제어하여 프로파일러(130)를 향해 항해한다.
이후 무인 드론 유닛(300)이 프로파일러(130)에 접근하면, 제어기(304)는 콜렉터(360)의 콜렉터 유닛(362)를 전개하여 프로파일러(130)를 수거한다.
수거된 프로파일러(130)는 유도 부재(350)를 통해 충전 유닛(34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후, 제어기(304)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충전 유닛(340)을 통해 프로파일러(130)의 제2 배터리(140)에 충전이 진행된다.
제2 배티러(140)가 충전되면, 해저계류 장치(100)의 컨트롤러(150)를 윈치 유닛(130)을 작동시켜 와이어를 감아 프로파일러(130)를 회수한다.
프로파일러(130)가 회수되면서 제2 배터리(140)는 해저계류 몸체(110)에 결합되고 이 과정에서 제2 배터리(140)는 제1 배터리(120)와 도킹한 후 제2 배터리(140)의 전기에 의하여 제1 배터리(120)는 충전된다.
이때, 제2 배터리(140)의 전기를 제1 배터리(120)에 충전하기 위해 충전 유닛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충전 유닛은 접촉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을 수행함으로써 제1 배터리(120)를 충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심해에 설치된 해저 계류 장비의 배터리를 무인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어 잠수부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배터리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해저 계류 장치 200...무인 드론 유닛
300...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Claims (7)

  1. 해저에 장착되며 해저계류 몸체, 상기 해저계류 몸체에 장착된 제1 배터리, 상기 해저계류 몸체에 장착되며 수면으로 부상되는 부력을 갖는 프로파일러 및 상기 프로파일러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터리를 포함하는 해저계류 장치; 및
    수면에 배치되며 무인 항해하는 무인 드론, 상기 무인 드론에 장착된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3 배터리 및 상기 제3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제1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무인 드론 유닛을 포함하는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드론은 2개가 상호 이격 되며 상기 제3 배터리가 수납되는 한 쌍의 부력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들 사이에는 상기 충전 유닛이 배치된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들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프로파일러를 상기 부력체들 사이로 가이드하는 콜렉터 유닛 및 상기 콜렉터 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콜렉터를 더 포함하는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은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 발전 유닛,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 및 조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조력 발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계류 몸체는 해양 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유닛 및 상기 프로파일러에 연결된 와이어를 회수하는 윈치 유닛 및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러는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또는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무인 드론은 상기 프로파일러 통신 유닛 및 위성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무인 드론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은 무선으로 상기 제3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제2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KR1020190101514A 2019-08-20 2019-08-20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KR20210022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514A KR20210022276A (ko) 2019-08-20 2019-08-20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514A KR20210022276A (ko) 2019-08-20 2019-08-20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76A true KR20210022276A (ko) 2021-03-03

Family

ID=7515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514A KR20210022276A (ko) 2019-08-20 2019-08-20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2276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 제9,501,450호, SYSTEM AND METHOD FOR BIO-OPTICAL ENVIRONMENTAL RECONNAISSANCE, (등록일 : 2016. 11. 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2895B2 (en) Underwater docking system and dock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7082109B (zh) 从波浪运动采集移动推力和电力的船舶
JP6581874B2 (ja) 自律型無人潜水機の充電システム
CN103963947B (zh) 水下航行器与基站的光引导自动对接方法及装置
KR101313546B1 (ko) 부표형 카메라로봇
US20150002092A1 (en) Underwater power supply system
CN107187565B (zh) 一种水下在线充电的系统及方法
EP2802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floor exploration
KR101313306B1 (ko) 부표형 모니터링 로봇
CN105775073A (zh) 一种模块化水下遥控机器人
KR101760192B1 (ko) 수중 이동형 에이전트 도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킹방법
KR20130025490A (ko) 부표형 자가발전로봇
JP2012245944A (ja) 海底探査装置
JP2019089422A (ja) 水中ドローンを用いた海底探査システム
CN111377041A (zh) 一种基于海洋环境能源的auv长期驻留系统
CN112389593A (zh) 风能太阳能混合驱动无人海空立体监测船
CN113687041A (zh) 可下潜式水域监测三体无人船
CN216385777U (zh) 一种升降式海洋信息采集漂浮装置
CN205707188U (zh) 一种半潜式无人艇
CN107380381A (zh) 一种可漂浮的潜水系统
US11598308B2 (en) Extension spring and fairlead based power take-out for wave power systems
JP5216150B1 (ja) 水中観測装置
CN112498144A (zh) 太阳能驱动锚系式自主航行器多功能对接站及对接方法
JP5813025B2 (ja) 水中観測機器の回収設備および水中観測機器の回収方法
KR20210022276A (ko) 해저계류장치의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