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124A -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124A
KR20210022124A KR1020217002616A KR20217002616A KR20210022124A KR 20210022124 A KR20210022124 A KR 20210022124A KR 1020217002616 A KR1020217002616 A KR 1020217002616A KR 20217002616 A KR20217002616 A KR 20217002616A KR 20210022124 A KR20210022124 A KR 2021002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downlink
source
target
downlink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409B1 (ko
Inventor
아이쥐안 류
예 저우
다쥔 장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36/087Reselecting an access point between radio units of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며,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 내에서 CU-CP/CU-UP가 분리된 시나리오에서,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CU-CP가 CU-UP로 송신하는 통지 내에 터널 전환 지시 정보뿐만 아니라 유지 지시 정보도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유지 지시 정보를 통해,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8년 6월 26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는 201810672666.X이며, 발명의 명칭은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인용되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복수의 기지국으로 구성되며,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기지국들 사이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5G 시스템에서는, 중심 노드(central unit, CU)가 도입되어 중앙 집중식 제어 및 스케줄링이 수행되며,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기능과 일부 레이어 2 또는/및 레이어 1의 기능이 중심 노드(CU)에 배치되고, 기지국의 기타 기능은 분산 노드(distribute unit, DU)에 배치된다. 이를 바탕으로,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NG)는 CU에서 종료되고, 기지국들 사이의 인터페이스(Xn)도 CU에서 종료된다. 또한, 5G 시스템에서는 보다 우월한 관리 및 통신 성능을 실현하기 위해, 제어 계층(Control Plane, CP)/사용자 계층(User Plane, UP)의 분리가 추가적으로 도입되는바, 즉, CU가 추가적으로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과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으로 분리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지국 내에서 CU-CP/CU-UP가 분리된 시나리오에서,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과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을 포함하는 중심 노드(CU)와 분산 노드(DU)가 분리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CU-CP가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DU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CU-CP가 통지를 CU-UP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통해, CU-CP가 CU-UP로 송신하는 통지 내에 터널 전환 지시 정보뿐만 아니라 유지 지시 정보도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전환 지시 정보를 통해,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의 연결에 성공한 후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 지시 정보를 통해,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이로써, 유지 지시 정보의 내용을 설정함에 있어서,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라는 지시 정보에만 제한되지 않고, 또한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 전환 원인 정보이도록 할 수도 있어, CU-UP가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지시 정보에 대한 설정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제2 측면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이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CU-UP가 상기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고, 상기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통해, CU-CP가 CU-UP로 송신하는 통지 내에 터널 전환 지시 정보뿐만 아니라 유지 지시 정보도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전환 지시 정보를 통해,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의 연결에 성공한 후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 지시 정보를 통해,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로써, CU-UP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언제 목표 DU로 송신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CU-UP가 소스 DU에 의해 송신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소스 DU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됨 - ;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U-UP가 상기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고, 상기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을 때, 소스 DU가 계속하여 사용자 평면에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정보를 CU-UP로 송신함으로써, CU-UP가 해당 무선 링크의 품질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므로,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CU-UP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인다.
선택적으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에 의해 송신된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성공적으로 연결된 후, 목표 DU가 연결 성공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하게 되므로, CU-UP가 해당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바로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인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제3 측면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과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을 포함하는 중심 노드(CU)와 분산 노드(DU)가 분리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내의, CU-CP와 같은 핸드오버 장치로서,
상기 CU-CP가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DU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CU-CP가 통지를 CU-UP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장치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제4 측면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CU-UP와 같은 핸드오버 장치로서,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이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상기 CU-UP가 상기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유닛; 및
상기 CU-UP가 상기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유지 유닛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장치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이 더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CU-UP가 소스 DU에 의해 송신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소스 DU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됨 - ,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에 의해 송신된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제5 측면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CU-CP와 같은 통신 장치로서,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여, 획득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DU를 결정하는 동작; 및 통지를 CU-UP로 송신하는 동작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제6 측면으로서, CU-UP와 같은 통신 장치로서,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여, 획득된 프로그램에 따라,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고, 상기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CU-UP가 소스 DU에 의해 송신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소스 DU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됨 - ,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에 의해 송신된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제7 측면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상기 컴퓨터가 상기 임의의 하나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해당 방법을 통해, CU-CP가 CU-UP로 송신하는 통지 내에 터널 전환 지시 정보뿐만 아니라 유지 지시 정보도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전환 지시 정보를 통해,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의 연결에 성공한 후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 지시 정보를 통해,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도 1은 CU/DU 분리 시나리오에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CU-CP/CU-UP 분리 시나리오에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일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인터랙션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인터랙션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핸드오버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인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들도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우선,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출원에서의 일부 용어를 해석 설명한다.
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내의 CU/DU 분리 아키텍처
CU는 중심 노드(Central Unit)로서, 중심 유닛이라고도 할 수 있다. DU는 분산 노드(Distribute Unit)로서, 분산 유닛이라고도 할 수 있다. CU/DU 분리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이 CU 내에 배치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물리 계층,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가 DU 내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어 평면 시그널링의 경우, CU 내에서 RRC 메시지가 PDCP 계층을 통해 대응되는 PDCP 데이터 플로우로 매핑된 후, 상기 PDCP 데이터 플로우는 컨테이너(Container)의 형태로 CU/DU의 인터페이스 AP(Application Protocol, 응용 프로토콜) 메시지 내에 포함되고, 제어 평면을 통해 전달된다. DU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한 후 상응한 레이어 2 엔티티로 배포하여, 계속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처리하고 RF를 통해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어 평면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 프로토콜 스택을 채택하기에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경우, CU와 DU 사이에서 각각의 데이터 베어러(Data Resource Bearer, DRB)에 대해 하나의 전용 사용자 평면 터널(Tunnel)이 설정되며, CU가 DRB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PDCP 처리 후 해당 터널을 통해 DU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이한 DU는 상이한 터널과 대응되고 하나의 DU는 하나의 터널과 대응된다.
2. CU 내의 CU-CP/CU-UP 분리 아키텍처
CU-CP에서의 CP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서, 제어 계층이라고도 할 수 있다. CU-UP에서의 UP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으로서, 사용자 계층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 내에는 하나의 CU-CP, 복수의 CU-UP 및 복수의 DU가 포함될 수 있되, 하나의 CU-CP는 F1 제어 인터페이스(F1-C)를 통해 DU에 연결되고, 하나의 CU-UP는 F1 사용자 인터페이스(F1-U)를 통해 DU에 연결되고, 하나의 CU-UP는 인터페이스(E1)을 통해 CU-CP에 연결되고, 하나의 DU는 하나의 CU-CP에만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CU-UP는 하나의 CU-CP에만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DU는 하나의 CU-CP 제어 하에 있는 복수의 CU-UP에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CU-UP는 하나의 CU-CP 제어 하에 있는 복수의 DU에 연결될 수 있다.
출원인은 연구 중에, CU/DU 분리 및 CU-CP/CU-UP 분리 시나리오에서 UE가 하나의 기지국 하의 DU1로부터 DU2로 핸드오버되는 경우, 해당 CU-UP가 CU-CP의 명령에 따라 다운링크 Tunnel을 핸드오버하게 되며, 따라서 UE가 DU2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DU1에는 UE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가 없고, DU2는 UE와 성공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역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어, 비교적 긴 시간의 데이터 송신 중단이 초래되어, 결과적으로 사용자 체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CU-CP/CU-UP 분리 시나리오에서,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CU-CP와 CU-UP를 포함할 수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되,
CU-CP는,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DU를 결정하고, 이어서 통지를 CU-UP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CU-UP는, 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하고, 이어서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고,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CU-CP가 CU-UP로 송신한 통지는, 업데이트 베어러(Bearer modification procedure) 메시지의 형태로 송신될 수 있다. CU-CP가 CU-UP로 송신한 통지에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되,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통해, CU-UP가 해당 통지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을 전환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실제 DU 핸드오버 과정 중 다음과 같은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즉, CU-CP가 통지를 CU-UP로 송신하는 과정에서, 소스 다운링크 터널의 무선 링크 품질(RADIO link quality)이 아직 데이터 전송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CU-UP가 통지를 수신한 후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른 해당 동작의 실행을 준비할 때, 소스 다운링크 터널의 무선 링크 품질이 마찬가지로 여전히 데이터 전송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으면, 이때 CU-UP는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만약 CU-UP가 통지를 수신한 후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준비할 때, 소스 다운링크 터널의 무선 링크 품질이 더이상 데이터 전송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없으면, CU-UP는 더이상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계속할 수 없다.
따라서, CU-UP가 통지를 수신한 후,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CU-UP가 계속하여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성공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는 소스 다운링크 터널의 무선 링크 품질과도 관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CP가 CU-UP로 송신한 통지 내에 포함된 유지 지시 정보는,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즉, CU-CP는 두 가지 방식을 통해,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음을 CU-UP에게 지시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CU-CP가 간접적인 방식을 통해, CU-UP에게 수행할 동작을 알릴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유지 지시 정보 내에서,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을 전환하는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CU-UP에게 알림으로써, CU-UP가 이유를 확인한 후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 방식은, CU-CP가 직접 유지 지시 정보 내에서, CU-UP에 의해 수행될 동작을 명확하게 지정하여, CU-UP가 유지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소스 다운링크 터널의 잠시 유지를 직접 실행할 수 있고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처리 속도를 높인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의 연결을 완료한 후, 이때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여 사용자 기기의 정상 통신을 보장해야 한다. 여기서,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어떻게 결정하느냐가 특히 중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두 가지 구현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첫 번째 구현 방식은,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에 따라,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경우, CU-UP가 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한 후 여전히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소스 DU가 계속하여 사용자 평면에서, 해당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검출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할 것이며, 소스 DU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된다.
CU-UP가,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만약 해당 기설정된 조건은,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임계값보다 작은 것이면, 즉 CU-UP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의 무선 링크의 품질이 매우 낮아 더 이상 데이터 송신을 계속할 수 없게 되었음을 발견하는 경우, CU-UP는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동시에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할 수 있음을 결정한다.
물론,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내용에서 언급된 기설정된 조건은,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임계값보다 작은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조건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두 번째 구현 방식은, 목표 DU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 성공 메시지에 따라,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경우, CU-UP가 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한 후 여전히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소스 DU가 계속하여 사용자 평면에서, 해당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검출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할 것이며, 소스 DU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된다.
그러나, 이 구현 방식에서는, 소스 다운링크 터널의 무선 링크의 품질에 따라,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비록 CU-UP가 소스 DU에 의해 사용자 평면에서 송신된 검출 정보를 수신하게 되더라도, 해당 검출 정보에 대해 응답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성공적으로 연결된 후, 목표 DU가 연결 성공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하여, CU-UP 자신이 이미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을 완료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동시에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데이터 송신을 중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DU를 결정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CP가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DU를 결정함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과정을 채택할 수 있다.
단계 1: 사용자 기기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CU-CP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는 소스 DU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소스 DU의 식별자, 소스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 번호 등이 포함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는 주변 셀의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더 포함되며, 즉 사용자 기기가 주변 셀의 무선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한 후, 측정 결과를 집계하여 CU-CP로 송신함으로써, CU-CP가 목표 DU를 결정하도록 한다.
단계 2: CU-CP가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조건에 부합되는 목표 셀을 선정하고, 사용자 컨텍스트 설정 요청(UE context setup 요청)을 미정 DU로 송신한다.
여기서, 조건에 부합되는 목표 셀은, 목표 셀의 무선 링크의 품질이 비교적 양호하여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지국 내에 복수의 셀이 포함되되, 하나의 셀이 하나의 DU와 대응되므로, 목표 셀이 선정된 후, 바로 목표 셀과 대응되는 DU가 선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목표 셀과 대응되는 DU를 미정 DU라고 한다.
단계 3: 미정 DU가 UE context setup 요청에 따라, 사용자 기기를 위해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피드백 메시지를 CU-CP로 송신한다.
여기서, 만약 미정 DU가 더이상 사용자 기기를 위해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면, 미정 DU가 목표 DU가 아님을 설명하므로, CU-CP가 미정 DU를 재선정해야 하는바, 즉 단계 2를 계속하여 반복하고, 만약 미정 DU가 사용자 기기를 위해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 미정 DU가 바로 목표 DU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미정 DU가, 사용자 기기를 위해 자원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정하는 방식은 사용자 기기의 컨텍스트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만약 성공적으로 설정되면, 사용자 기기를 위해 자원이 제공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단계 4: CU-CP가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미정 DU가 바로 목표 DU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함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UP가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을 전환하고,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 후, 사용자 기기와 목표 DU의 연결 과정을 수행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과정을 채택할 수 있다.
단계 1: CU-CP가 사용자 컨텍스트 업데이트 요청(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소스 DU로 송신한다.
여기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RRC container)가 포함된다.
단계 2: 소스 DU가 무선 자원 제어 재설정(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3: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에 대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한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채널(Radom Access Channel, RACH)을 통해 랜덤 액세스가 완료될 수 있다.
단계 4: 사용자 기기 액세스 과정을 완료하고, 무선 자원 제어 재설정 완료(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목표 DU로 송신하여, 목표 DU와의 연결을 완료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UP가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을 전환하고,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 후에, 사용자 기기와 목표 DU에 의해 수행되는 연결 과정은 구체적으로 기존 기술에서의 연결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CU-CP 측에 적용되는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오버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301: 중심 노드 제어 평면(CU-CP)이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분산 노드(DU)를 결정한다.
여기서, CU-CP가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DU를 결정함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CU-CP로 제공된, 주변 셀의 무선 링크의 품질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부분에 대해 부연 설명하지 않는다.
S302: 중심 노드 제어 평면(CU-CP)이 통지를 중심 노드 사용자 평면(CU-UP)으로 송신하되,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중심 노드 사용자 평면(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중심 노드 사용자 평면(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기기와 목표 DU의 연결 과정에 대해,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부분에 대해 부연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을 통해, CU-CP가 CU-UP로 송신하는 통지 내에 터널 전환 지시 정보뿐만 아니라 유지 지시 정보도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전환 지시 정보를 통해,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의 연결에 성공한 후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 지시 정보를 통해,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유지 지시 정보는,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유지 지시 정보의 내용을 설정함에 있어서,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라는 지시 정보에만 제한되지 않고, 또한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 전환 원인 정보이도록 할 수도 있어, CU-UP가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지시 정보에 대한 설정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CU-UP 측에 적용되는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오버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401: 중심 노드 사용자 평면(CU-UP)이 중심 노드 제어 평면(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되,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S402: 중심 노드 사용자 평면(CU-UP)이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분산 노드(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고,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방법을 통해, CU-CP가 CU-UP로 송신하는 통지 내에 터널 전환 지시 정보뿐만 아니라 유지 지시 정보도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전환 지시 정보를 통해,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의 연결에 성공한 후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 지시 정보를 통해,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단계 S402 이후에,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CU-UP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언제 목표 DU로 송신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CU-UP가 소스 DU에 의해 송신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소스 DU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됨 - ;
CU-UP가,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CU-UP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402 이후, 소스 DU가 계속하여 사용자 평면에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정보를 CU-UP로 송신함으로써, CU-UP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의 무선 링크의 품질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므로,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CU-UP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인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조건은,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임계값보다 작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임계값은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되어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CU-UP가 목표 DU에 의해 송신된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CU-UP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성공적으로 연결된 후, 목표 DU가 연결 성공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할 수 있게 되므로, CU-UP가 해당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바로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인다.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핸드오버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랙션 흐름도를 참조하여,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에 따라,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S501: UE가 주변 셀의 무선 링크 품질(RADIO link quality)에 대한 측정 결과를 CU-CP로 제공한다.
S502: CU-CP가 측정 결과에 따라 적합한 목표 DU를 선정하고, UE context setup 요청을 목표 DU로 송신하여, 목표 DU가 UE의 컨텍스트를 설정하도록 한다.
S503: CU-CP가 bearer modification procedure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한다.
S504: CU-UP가 UE의 다운링크 터널을 업데이트하는 동시에 계속하여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스 DU로 송신할 수 있다.
S505: 소스 DU가 RADIO link quality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한다.
S506: CU-CP가 RRC container를 포함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소스 DU로 송신한다.
S507: 소스 DU가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S508: UE가 목표 DU에 대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한다.
S509: UE가 액세스 과정을 완료하고,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목표 DU로 송신한다.
S510: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 품질이 비교적 낮은 경우, CU-C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실시예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랙션 흐름도를 참조하여, 소스 DU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 성공 메시지에 따라,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S601: UE가 주변 셀의 무선 링크 품질(RADIO link quality)에 대한 측정 결과를 CU-CP로 제공한다.
S602: CU-CP가 측정 결과에 따라 적합한 목표 DU를 선정하고, UE context setup 요청을 목표 DU로 송신하여, 목표 DU가 UE의 컨텍스트를 설정하도록 한다.
S603: CU-CP가 bearer modification procedure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한다.
S604: CU-UP가 UE의 다운링크 터널을 업데이트하는 동시에 계속하여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스 DU로 송신할 수 있다.
S605: 소스 DU가 RADIO link quality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한다.
S606: CU-CP가 RRC container를 포함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소스 DU로 송신한다.
S607: 소스 DU가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S608: UE가 목표 DU에 대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한다.
S609: 목표 DU가, UE가 성공적으로 접속되었음을 결정한 후, 연결 성공 메시지를 CU-UP로 송신한다.
S610: CU-C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S611: UE가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목표 DU로 송신한다.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CU-CP와 같은 핸드오버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장치는,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이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분산 노드(DU)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701); 및
CU-CP가 통지를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702) -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유지 지시 정보는,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CU-CP와 같은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801); 및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여, 획득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DU를 결정하는 동작; 및 통지를 CU-UP로 송신하는 동작 -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802)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유지 지시 정보는,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장치는, 프로세서(802)의 제어 하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있어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02)로 나타낸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801)로 나타낸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가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예를 들어 주변 기기, 전압 조정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들 모두 해당 분야에 잘 알려진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해 더 이상 추가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3)는 복수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전송 매체 상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요한 기기를 외부적으로 내부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기기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802)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적인 처리를 담당하고, 메모리(801)는 프로세서(802)에 의한 동작 실행 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802)는 중앙 프로세서(CPU),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복합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일 수 있다.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CU-UP와 같은 핸드오버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장치는,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이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901) -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CU-UP가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유닛(902); 및
CU-UP가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유지 유닛(903)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U-UP가,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90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904)은 구체적으로, CU-UP가 소스 DU에 의해 송신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소스 DU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됨 - , CU-UP가,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CU-UP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904)은 구체적으로, CU-UP가 목표 DU에 의해 송신된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CU-UP가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001); 및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여, 획득된 프로그램에 따라,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하는 동작 -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및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고,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002)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CU-UP가 소스 DU에 의해 송신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소스 DU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됨 - ,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에 의해 송신된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C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장치는, 프로세서(1002)의 제어 하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있어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02)로 나타낸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001)로 나타낸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가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예를 들어 주변 기기, 전압 조정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들 모두 해당 분야에 잘 알려진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해 더 이상 추가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3)는 복수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전송 매체 상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요한 기기를 외부적으로 내부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기기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002)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적인 처리를 담당하고, 메모리(1001)는 프로세서(1002)에 의한 동작 실행 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002)는 중앙 프로세서(CPU),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복합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임의의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프로세서는 획득된 프로그램 명령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임의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상기 컴퓨터가 전술한 임의의 하나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 매체 또는 데이터 저장 기기일 수 있으며, 자기 메모리(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자기 광디스크(MO) 등), 광학 메모리(예를 들어 광디스크(CD), 디지털 범용 디스크(DVD), 블루레이 디스크(BD), 고화질 범용 디스크(HVD) 등) 및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어 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 소거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비휘발성 메모리(NAND FLASH), 솔리드 스테이트 하드 디스크(SSD))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기기는 또한 단말, 이동국(Mobile Station, 약자로 "MS"),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은 모바일 폰(또는 "셀룰러" 폰으로 지칭됨) 또는 모바일 특성을 갖는 컴퓨터 등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단말은 휴대형, 포켓형,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탑재형 모바일 장치일 수도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기지국(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으며,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 사이의 라우터로서, 수신된 에어 프레임과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을 서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되,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속성 관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에서의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도 있고,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에서의 기지국 (NodeB) 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에서의 진화형 기지국(NodeB 또는 기지국(eNB) 또는 기지국(e-NodeB, evolutional Node B))일 수도 있으며, 본 측면의 실시예에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전술한 방법의 처리 프로세스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호출되면 전술한 방법의 단계가 실행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완전 하드웨어적인 실시예, 완전 소프트웨어적인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측면이 결합된 실시예의 형태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자기 디스크 저장장치와 광학 메모리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상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채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절차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절차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삽입식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을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가 특정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통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에 로딩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기기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가 실행되어 컴퓨터적으로 구현되는 처리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은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비록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일단 기본적인 창의성 컨셉을 알게 되면, 이 실시예들에 대해 다른 변경과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출원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과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해당 방법을 통해, CU-CP가 CU-UP로 송신하는 통지 내에 터널 전환 지시 정보뿐만 아니라 유지 지시 정보도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전환 지시 정보를 통해,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의 연결에 성공한 후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 지시 정보를 통해, 계속하여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CU-UP에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 기기가 목표 DU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DU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전송의 중단 시간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자명한 점이라면,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출원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기술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7)

  1.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과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을 포함하는 중심 노드(CU)와 분산 노드(DU)가 분리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CU-CP가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DU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CU-CP가 통지를 CU-UP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3.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이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분산 노드(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CU-UP가 상기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고, 상기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CU-UP가 소스 DU에 의해 송신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소스 DU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됨 - ;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에 의해 송신된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8.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여, 획득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분산 노드(DU)를 결정하는 동작; 및 통지를 CU-UP로 송신하는 동작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여, 획득된 프로그램에 따라,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분산 노드(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고, 상기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CU-UP가 소스 DU에 의해 송신된,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소스 DU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은 서로 대응됨 - ,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DU와 대응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CU-UP가 상기 목표 DU에 의해 송신된 연결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CU-UP가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고,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을 통한 상기 목표 DU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상기 소스 다운링크 채널을 잠시 유지시키라는 지시 정보 -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잠시 유지하고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다운링크 터널의 전환 원인이 셀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원인 정보 - 셀 핸드오버로 인한 다운링크 터널 전환 수행 시에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5.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이 사용자 기기를 위해 목표 분산 노드(DU)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CU-CP가 통지를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장치.
  16. 중심 노드 사용자 계층(CU-UP)이 중심 노드 제어 계층(CU-CP)에 의해 송신된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통지는 터널 전환 지시 정보와 유지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전환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목표 분산 노드(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 지시 정보는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고 상기 CU-UP에 지시하도록 구성됨 - ;
    상기 CU-UP가 상기 통지 내의 터널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상기 목표 DU와 대응되는 다운링크 터널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유닛; 및
    상기 CU-UP가 상기 통지 내의 유지 지시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상기 소스 다운링크 터널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유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장치.
  17.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컴퓨터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02616A 2018-06-26 2019-04-24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2466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672666.XA CN110650502B (zh) 2018-06-26 2018-06-26 一种切换方法及装置
CN201810672666.X 2018-06-26
PCT/CN2019/084147 WO2020001148A1 (zh) 2018-06-26 2019-04-24 一种切换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124A true KR20210022124A (ko) 2021-03-02
KR102466409B1 KR102466409B1 (ko) 2022-11-10

Family

ID=6898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616A KR102466409B1 (ko) 2018-06-26 2019-04-24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77773B2 (ko)
EP (1) EP3817451A4 (ko)
JP (1) JP7213898B2 (ko)
KR (1) KR102466409B1 (ko)
CN (1) CN110650502B (ko)
WO (1) WO2020001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2600A1 (en) * 2019-02-12 2022-04-28 Lg Electronics Inc. Early data transmission in cu-du split
WO2021109493A1 (en) 2020-05-26 2021-06-10 Zte Corporation Tunnel reuse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CN114390622A (zh) * 2020-10-22 2022-04-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6938626B (zh) * 2023-09-12 2023-12-19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客户端漫游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2730A (zh) * 2016-07-12 2016-11-2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WO2017114284A1 (zh) * 2015-12-31 2017-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的切换方法和控制器、终端、基站以及系统
KR20170098042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시 데이터 전송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359848A1 (en) * 2016-06-10 2017-12-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ell Switching
WO2018029854A1 (ja) * 2016-08-12 2018-02-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装置、無線制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無線端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7199B (zh) * 2016-05-06 2019-05-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切换及其控制方法、装置
CN107371155B (zh) * 2016-05-13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安全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7027153B (zh) * 2017-03-16 2020-12-0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的切换方法、上下文迁移方法及相关设备
CN109803453B (zh) * 2017-11-17 2023-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通信设备及其通信系统
CN110072297B (zh) * 2018-01-23 2021-01-05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交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35904A (ko) * 2018-09-27 2020-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4284A1 (zh) * 2015-12-31 2017-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的切换方法和控制器、终端、基站以及系统
KR20170098042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시 데이터 전송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359848A1 (en) * 2016-06-10 2017-12-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ell Switching
CN106162730A (zh) * 2016-07-12 2016-11-2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WO2018029854A1 (ja) * 2016-08-12 2018-02-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装置、無線制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無線端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T, "Discussion on further enhancement for disaggregated gNB scenario", 3GPP TSG RAN Meeting #80, RP-180921, 2018.06.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0502A (zh) 2020-01-03
WO2020001148A1 (zh) 2020-01-02
US20210144594A1 (en) 2021-05-13
EP3817451A1 (en) 2021-05-05
CN110650502B (zh) 2021-04-09
EP3817451A4 (en) 2021-09-01
US11277773B2 (en) 2022-03-15
JP2021529468A (ja) 2021-10-28
KR102466409B1 (ko) 2022-11-10
JP7213898B2 (ja)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2616B2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0624003B2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secondary base stations,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US20180160411A1 (e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implementing carrier aggregation
KR102466409B1 (ko)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10917821B2 (en) Inter-cell handover method and controller
US2017031121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ual Connectivity Handover Initiated by Source Base Station Becoming the Future Secondary Base Station
JP2018515025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デバイス
CN111093232B (zh) 一种切换方法、切换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602404B2 (en) Data offloading method and base station
US11974172B2 (en) Service node upda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side device
CN114390602B (zh) 连接建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237812A1 (zh) 条件重配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EP3016437A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nder double-connection
EP3054715A1 (en) Service handover method,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WO2023273397A1 (zh) 组切换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CN106717057B (zh) 语音承载的建立方法及接入网设备
WO2021088770A1 (zh) 一种测量配置方法及设备
JP6564061B2 (ja) 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WO2016154790A1 (zh) 切换控制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CN117202402A (zh) 交互方法和相关设备
CN117560728A (zh) 保持辅节点不变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