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790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90A
KR20210019790A KR1020190098858A KR20190098858A KR20210019790A KR 20210019790 A KR20210019790 A KR 20210019790A KR 1020190098858 A KR1020190098858 A KR 1020190098858A KR 20190098858 A KR20190098858 A KR 20190098858A KR 20210019790 A KR20210019790 A KR 2021001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tainer
blender
curren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제
이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790A/ko
Priority to EP20852020.5A priority patent/EP4014814A4/en
Priority to US17/612,947 priority patent/US20220322885A1/en
Priority to PCT/KR2020/010373 priority patent/WO2021029605A1/ko
Publication of KR2021001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 A47J43/0777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in which the activating element on the cover transmits a signal to a safety device in the base element via the mixing bowl removably seated on this base element, e.g. pin on the cover moves a pushrod in the bowl handle to operate safety switch in the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용기에 뚜껑닫힘이 감지되면 본체가 동작하는 블렌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는 용기에 뚜껑닫힘이 감지되면 본체의 제1전도체세트에서 용기의 제2전도체세트로 전류가 전달되고, 제2전도체세트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를 감지하면 본체가 용기의 뚜껑닫힘을 인지하여 본체가 동작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렌더{A BLENDER}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에 뚜껑닫힘이 감지되면 본체가 동작하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모터로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분쇄하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용기 내부로 식품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본체를 조작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뚜껑은 용기의 개구부를 닫아 용기 내부의 식품을 보호한다. 블렌더 동작시 안전을 위해 용기에 뚜껑이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블레이드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즉, 블레이드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에 뚜껑닫힘이 감지된 경우에만 블레이드가 회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용기와 본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누름부재(push rod)를 설치하여 용기에 뚜껑이 닫힐 때 뚜껑이 누름부재를 누르게 된다. 본체의 누름감지부에서 그 누름을 인지하여 뚜껑닫힘을 감지하도록 한다.
하지만, 누름부재와 누름감지부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누름감지부에 투습 또는 음식물에 의한 오염발생의 여지가 있다.
또한, 용기의 누름부재와 본체의 누름감지부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용기를 특정방향으로만 장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누름부재를 용기에서 본체까지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용기를 따라 설치해야 하므로 투명재질 용기의 디자인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와 본체 간에 무선통신이나 전자기적 결합을 이용하여 본체에서 용기의 뚜껑닫힘을 인지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일례로, 유럽등록특허 EP2548485에 용기에 뚜껑이 닫히면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본체에서 용기의 뚜껑닫힘을 인식하는 블렌더 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무선통신모듈이 필요하고 용기에 무선통신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 미국공개특허 US20180020875에는 본체에 한 쌍의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이 배치되고 이들 코일에 대응되도록 용기에 한 쌍의 수신코일과 송신코일이 배치되며, 용기에 뚜껑이 닫히면 본체의 송신코일을 통해 용기의 수신코일로 전력이 전달되고 다시 용기의 송신코일을 통해 본체의 수신코일로 전력이 전달되어 본체가 용기의 뚜껑닫힘을 인식하는 인터록킹 블렌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본체와 용기마다 두 개의 코일, 즉 송신코일 및 수신코일이 각각 설치되어야 하고 본체의 수신코일에 수신되는 전력을 분석하는 장치가 부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체와 용기에 각각 2개의 코일이 배치되므로 각각의 코일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에 유기되는 자기장 간의 간섭에 의해 유도전류의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본체의 수신코일에 수신되는 전력을 정확히 분석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또한, 본체의 송신코일에서 용기의 수신코일로 전력을 전달하고, 뚜껑닫힘에 의해 용기의 송신코일에서 본체의 수신코일로 전력을 전달하여 본체의 수신코일에 유의미한 전력이 수신되기 위해서는 본체의 송신코일에서 높은 전력을 용기의 수신코일로 전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뚜껑감지회로와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도성부재가 투명재질의 용기를 따라 설치되므로 투명한 용기의 디자인을 헤치는 문제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6910800 미국 등록특허 US7871196 유럽 등록특허 EP2548485 미국 공개특허 US20180020875
본 발명은 본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에 뚜껑이 닫힌 것을 감지하면 본체가 동작하도록 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 및 용기에 각각 배치된 전도체 세트를 간의 전류전달을 통해 용기에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임의의 방향으로 본체에 장착해도 용기의 뚜껑닫힘을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용기가 안착될 때 충격 완화 및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재질 용기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용기의 뚜껑닫힘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 및 용기에 설치된 전도체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에 설치된 제1전도체세트와 용기에 설치된 제2전도체세트 간의 전류 전달이 이루어지고 제1전도체세트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본체가 용기에 뚜껑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뚜껑닫힘에 따라 제1전도체세트와 제2전도체세트 간의 전류 전달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용기에 뚜껑이 닫히면 용기에 배치된 감지모듈이 뚜껑닫힘을 감지하고 감지모듈에 뚜껑닫힘이 감지되면 제1,2전도체세트 간의 전류전달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제1전도체세트는 제2전도체세트로 전류를 전달하는 제1전도체와 제2전도체세트로부터 전류를 전달받는 제2전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2전도체세트는 제1전도체로부터 전류를 전달받는 제3전도체와 제2전도체로 전류를 전달하는 제4전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내지 제4 전도체는 금속도체 또는 전도성고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에 뚜껑이 닫히면 금속도체 또는 전도성고무 간에 전류전달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제1전도체는 본체의 상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전도체는 제1전도체 링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제1전도체와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링 형상으로 동일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2전도체 사이에는 절연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3전도체는 용기의 하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전도체는 제3전도체 링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제3전도체와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링 형상으로 동일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4전도체 사이에는 절연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는 제1전도체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와 제2전도체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에 뚜껑이 닫히면 전원부에서 제1전도체로 공급된 전류가 제3전도체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제1전도체와 제3전도체는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고 제2전도체와 제4전도체는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1,2전도체 및 제3,4전도체는 각각 본체 및 용기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는 상기 용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리드스위치에서 용기의 안착을 감지한 상태에서 뚜껑의 닫힘이 감지되면 전원부에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는, 일측면 내부에 트리거링부재를 포함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용기에 부착된 감지모듈은 트리거링부재가 일정거리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2전도체세트 간의 전류전달을 이루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지모듈은 트리거링부재가 일정거리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전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면 상기 전원부에서 전류가 제1,2전도체세트 간에 전류전달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용기의 상부에 설치된 감지모듈과 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제2전도체세트 간에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배치된 투명재료의 전도성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용기의 투명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도성부재를 투명전극필름(ITO)로 사용하여 투명재료의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까지 배치된다.
본 발명은 투명전극필름의 일단은 탈착가능한 제1커넉터를 통해 감지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탈착가능한 제2커넥터를 통해 제2전도체세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제1전도체세트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가 감지되면 본체가 동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본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에 뚜껑이 닫힌 것을 확인한 이후에 본체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블렌더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본체와 용기에 각각 배치된 전도체 세트를 배치하여 전도체 세트 간의 전류전달을 통해 용기의 뚜껑을 감지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뚜껑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본체에 용기를 임의의 방향으로 장착하여도 용기의 뚜껑닫힘을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본체와 용기에 전도체 고무를 적용하므로 본체에 용기가 안착시킬 때 충격을 완화하고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투명용기에 투명전극필름(ITO)를 부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므로 투명재질 용기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전류전달을 위해 적용되는 전도체 세트를 용기와 본체에 착탈이 가능하므로 쉽고 간편하게 장착,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본체에서 안착부 상부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 용기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용기의 감지모듈의 상세 배치도이다.
도 9는 상기 용기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전도체세트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 전도성부재의 연결 배치도이다.
도 13은 상기 블렌더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4는 상기 등가회로도에서 뚜껑열림에 따른 동작도이다.
도 15는 상기 등가회로도에서 뚜껑닫힘에 따른 동작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용기의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의 내부에는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어셈블리(50) 및 제어피시비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30)는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30)의 상면에는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용기(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의 외관은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모터어셈블리(50)와 제어피시비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40)는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조작에 의해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본체(30)의 상면에는 블렌더(1)의 동작상태를 표시는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3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의 상면에는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조작부(40,310b)가 구비될 수 있다. 블렌더(1)의 조작을 위해 조작부(40,310b)는 노브(40)와 터치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의 상면에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안착부(301)의 일부가 용기(10)의 하면에 삽입될 수 있어 용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안착부(301)에 용기(10)가 안착되면 모터어셈블리(50)와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블레이드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안착부(301)는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본체(30)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안착부(301) 하방의 본체(30) 내부에는 모터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0)는 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된 블레이드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내부의 모터를 구동하여 블레이드모듈(14)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0)는 노브(40)의 조작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블레이드모듈(14)의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안착부(301)의 상면의 일측에는 제1전도체세트(1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전도체세트(10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도체세트(10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착부(301)의 상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전도체세트(100)는 안착부(301)에 착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점검, 수리 및 교체가 편리하다.
제1전도체세트(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0)의 상단은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팬(55)이 구비될 수 있다.
쿨링팬(55)는 판상의 팬플레이트(551)의 상면에 다수의 팬블레이드(552)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조로, 모터어셈블리(50)의 구동시 블레이드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방사상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본체(30) 내부의 냉각공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강제할 수 있다.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벽면에는 다수의 제어피시비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피시비모듈(60)은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어피시비모듈(60)에는 본체(30) 및 용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컨트롤러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컨트롤러들은 마이콤(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온칩 형태로 피시비기판에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30) 및 용기(10)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용기(10)는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10)는 유리 또는 유리와 같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재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모터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가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모터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용기(10)의 내부에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21)는 용기(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용기(10)의 하면 일측에는 제2전도체세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전도체세트(20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도체세트(20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용기(10)의 하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전도체세트(200)는 용기(10)에 착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점검, 수리 및 교체가 편리하다.
용기(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5)가 돌출될 수 있으며 주둥이(15)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는 용기(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용기(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손잡이(13)가 결합되는 용기(10)의 내측에 뚜껑(20)의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151)이 설치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피시비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힘에 따라 내부의 스위치가 동작함으로써 뚜껑(20)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1,2전도체세트(100,200) 간의 전류전달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감지모듈(151)은 뚜껑(20)의 닫힘이 감지되면 제1,2전도체세트(100,200) 간의 전류전달이 이루어지고 감지되지 않으면 제1,2전도체세트(100,200) 간의 전류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감지모듈(151)과 제2전도체세트(200)는 전도성부재(161)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일단이 감지모듈(1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용기(1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연장되어 타단이 제2전도체세트(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과 제2전도성세트(200)에는 전도성부재(161)와의 효과적인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제1,2커넥터(152,143, 도 9를 참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커넥터(152,143)를 이용함으로써 감지모듈(151)과 제2전도체세트(200)은 전도성부재(161)와 착탈이 용이할 수 있고, 이로써 감지모듈(151), 제2전도체세트(200) 및 전도성부재(161)가 블렌더(1)에 착탈이 더 용이하며 교체도 더 용이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용기(10)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외부면에 접촉되는 경우 소정의 코팅물질로 코팅되어 외부면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투명소재로 형성되어 투명소재의 용기(10)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는 뚜껑(20)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20)은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뚜껑(20)을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뚜껑(20)으로 닫거나(이를 뚜껑닫힘이라 한다) 열어서(이를 뚜껑열림이라 한다)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이 차폐 및 개방될 수 있다.
뚜껑(20)은 뚜껑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껑(20)의 일측 내면에는 감지모듈(151)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는 트리거링부재(210)가 배치될 수 있다. 트리거링부재(210)가 감지모듈(151)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내부의 스위치가 온(on)될 수 있다. 반대로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스위치는 오프(off)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브(40)와 터치조작부(310b)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지만 특정조건에서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는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힌 상태, 즉 뚜껑닫힘 상태에서만 동작될 수 있다. 뚜껑열림 상태에서 블렌더(1)가 동작하면 날카로운 블레이드(141)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식품이 외부로 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본체에서 안착부 상부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30)의 상면에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돌출되고 본체(30)의 전면에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4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외측에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안착부(301)는 2단 형상으로 제1안착부데코(314), 제2안착부데코(316) 및 로어데코(315)에 의해 전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부데코(314)와 제2안착부데코(316)는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 소재 또는 동일 질감으로 보이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데코(315)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안착부데코(314)의 장착시 제1안착부 데코(314)와 아우터 케이스(31)의 사이 공간을 채워 틈새가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안착부데코(314)의 측면 둘레에는 제1외장재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외장재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안착부데코(314)를 보호할 수 있다.
제1안착부데코(314)와 제2안착부데코(31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링(ring)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부데코(316)는 제1안착부데코(314)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안착부데코(314)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안착부데코(314)의 상면(325) 중 중앙부에 배치된 제2안착부데코(316)의 외곽으로 제1전도체세트(1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전도체세트(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 제1전도체(101) 및 제2전도체(102)를 포함한 예시가 도시된다.
제1,2전도체(101,102)는 금속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도체는 예컨대 구리, 철, 백금, 알루미늄 등과 같이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1,2전도체(101,102)는 전도성고무(conductivity rubb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전도성고무는 신축성과 전기전도성을 동시에 지닌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도체(101)는 본체(1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전도체(102)는 제1전도체(101)의 링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제1전도체(101)와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동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부데코(316)는 상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링 형상이며, 일부는 측방으로 돌출될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안착부데코(316)의 상면 중앙부에는 삽입공간(317)이 형성되며 상면 둘레에는 제1안착홈(321)과 제2안착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안착부데코(316)의 상면에는 제3안착홈(323)과 제4안착홈(324)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안착홈(321)에는 피시비모듈(310)이 안착될 수 있다. 제2안착홈(322)에는 광수신모듈(311)이 안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안착홈(323)에는 본체(30)에 안착된 용기(10)의 종류를 감지하는 홀센서(312)가 안착될 수 있고 제4안착홈(234)에는 용기(10)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리드스위치(313)가 안착될 수 있다.
홀센서(312)는 용기(10)가 본체(30)에 안착시 용기(10)의 하부에 용기(10)의 종류별로 부착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여 용기(10)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용기(10)의 종류별로 자석에 자력이 서로 다르므로 홀센서(312)에서 검출되는 자력의 크기를 이용하여 용기(10)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다.
리드스위치(313)는 용기(10)가 본체(30)에 안착될 때 용기(10)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여 용기(10)의 안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석이 리드스위치(313)에 접근하면 리스스위치(313)가 온으로 전환됨으로써 자석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고, 자석의 접근 감지를 통해 용기(10)의 안착을 감지할 수 있다.
피시비모듈(310), 광수신모듈(311), 홀센서(312) 및 리드스위치(313)는 각각 제1,2,3,4안착홈(321,322,323,324)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피시비모듈(310)과 수신모듈(311), 그리고 선택적으로 홀센서(312) 및 리드스위치(313)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부 상부커버(318)가 제2안착부데코(316)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안착부 상부커버(319)는 피시비모듈(310), 광수신모듈(311), 홀센서(312) 및 리드스위치(313)를 고정 및 보호하고, 광수신모듈(311)이 상부커버(319)를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신호투과기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318)가 제2안착부데코(316)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커버(318) 및 제2안착부데코(316)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제2외장재가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 용기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용기의 감지모듈의 상세 배치도이고, 도 9는 상기 용기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0은 상기 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전도체세트의 상세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의 하면에는 블레이드모듈(14)이 장착되고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용기(10)는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외측 용기(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용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용기(12)와 외측 용기(11)는 서로 결합되어 용기(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용기(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내측 용기(12)는 외측 용기(11)와 이격되어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 용기(12)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하부는 블레이드모듈(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용기(10)의 내부 식품이 블레이드모듈(1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외측 용기(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외측 용기(11)의 외경은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본체(30)와 용기(10)가 일체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외측 용기(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수용부는 외측 용기(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술한 제2안착부데코(316)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본체 수용부와 제2안착부데코(316)의 결합에 의해 용기(10)는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외측 용기(11)의 상단 일측에는 중간 손잡이(1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손잡이(132)가 돌출 형성될 때 외측 용기(11)의 상단부 일측에 감지모듈(15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손잡이(132)의 바깥쪽에는 바깥 손잡이(131)가 결합되고 안쪽에는 안쪽 손잡이(133)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손잡이(13)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상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12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뚜껑(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내측 용기(12)와 점진적으로 밀착되면서 기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상단 경사면은 용기(10)의 상단에서 이너 가이드(121)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내측면에는 이너 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21)는 경사면(122)에서 내측 용기(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내측 하부에는 블레이드모듈(14)이 배치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가 베이스(141a)의 상부에 삽입되며 상부에서 너트(141b)로 고정될 수 있다.
외측 용기(11)의 하부면에는 제2전도체세트(2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전도체세트(200)는 제2전도체세트(2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제3전도체(201) 및 제4전도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전도체(201)는 용기(10)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 전도체(202)는 제3전도체(201)의 링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제3전도체(201)와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동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4전도체(201,202)는 상술한 제1,2전도체(101,102)와 같은 금속도체 또는 전도성고무(conductivity rubb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2전도체(101,102)는 전도성고무를 포함하고 제3,4전도체(201,202)는 금속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3전도체(201) 및 제4전도체(202)의 상면 일측에는 전도성부재(16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커넥터(143a,143b)가 돌출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13)가 결합되는 용기(10)의 상단부 내측에는 감지모듈(151)이 설치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피시비(PCB)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오프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특정 조건에서만 온(on)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용기(10)에 뚜껑(20)의 닫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면 뚜껑(20)의 내부에 설치된 트리거링부재(210)에 의해 감지모듈(151)의 내부의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감지모듈(151)은 내부의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뚜껑(20)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하부에 설치된 홈(153)에 안착되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감지모듈(151)에는 전도성부재(161)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커넥터(152)가 설치될 수 있다.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2) 사이에는 전도성부재(161)이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용기(1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용기(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 외측 용기(11) 및 내측 용기(12)의 투명성을 보장 및 유지하기 위해 투명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부재(161)는 투명전극필름(ITO)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의 일단은 제1커넥터(152)를 통해 감지모듈(1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타단은 제2커넥터(143)를 통해 제1,2전도체(2201,220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세히는, 전도성부재(161)는 일단이 감지모듈(151)에 구비된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2전도체(2201,2202)와 연결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의 일단은 제1커넥터(152)를 통해 감지모듈(1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타단은 제2커넥터(143)를 통해 제2전도체세트(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외측 용기(11)의 내면 또는 내측 용기(12)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의 상단부는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2)의 형태에 따라 일부 구간이 휘어져서 설치될 수도 있다.
뚜껑(20)의 일 측면의 내부에는 감지모듈(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트리거링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뚜껑(20)이 용기(10)에 닫히면 트리거링부재(210)는 감지모듈(151)에서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뚜껑(20)의 닫힘에 의해 트리거링부재(210)가 감지모듈(151)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감지모듈(151)의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닫힘에 따라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면 뚜껑(20)의 내부에 설치된 트리거링부재(210)가 감지모듈(151)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감지모듈(151)의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되고, 뚜껑(20)이 열리면 뚜껑(20)의 트리거링부재(210)가 감지모듈(151)로부터 상기 일정거리를 벗어나게 되어 감지모듈(151)의 스위치는 오프(off)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전도성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의 본체(30)의 상부 일측에 제1전도체세트(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전도체세트(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제1전도체(101) 및 제2전도체(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도체(101)는 본체(3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전도체(102)는 제1전도체(101)의 링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제1전도체(101)와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동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도체(101) 및 제2전도체(102)는 본체(30)의 안착부(301)의 상면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2전도체(101,102)는 금속도체 또는 전도성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는 내부에 제어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340)은 제1전도체(101)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는 전원부(341) 및 제2전도체(10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340)은 상술한 제어피시비모듈(60)에 피시비기판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40)은 컨트롤러(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341) 및 검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검출부(342)에서 검출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용기(10)의 뚜껑닫힘을 인지할 수 있다.
용기(10)의 하면 일측에는 제2전도체세트(2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전도체세트(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제3전도체(201) 및 제4전도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전도체(201)는 용기(10)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 전도체(202)는 제3전도체(201)의 링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제3전도체(201)와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동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전도체(201) 및 제4전도체(202)는 용기(1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일례로 용기(10)이 외측 용기(11)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3,4전도체(201,202)는 금속도체 또는 전도성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가 본체(30)에 안착시 용기(10)의 하면에 배치된 제3전도체(201) 및 제4전도체(202)가 본체(30)의 상면에 배치된 제1전도체(101) 및 제2전도체(102)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상세히는, 본체(30)에 용기(10)가 안착되는 경우 본체(10)의 제1전도체(101)는 용기(10)의 제3전도체(201)와 접촉되고 본체(30)의 제2전도체(102)는 용기(10)의 제4전도체(202)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구현되는 형태에 따라 제1전도체(101)와 제3전도체(201)는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도 있고 제2전도체(102)와 제4전도체(202)는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도 있다.
제1,3전도체(101,201)와 제2,4전도체(102,202) 간에는 특정한 조건에서 서로 전류가 도통될 수 있다.
용기(10)의 상단부에는 감지모듈(151)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10)의 상단부에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피시비(PCB)기판에 후술하는 스위치(151a)가 탑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위치(151a)에 직렬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뚜껑(20)의 측면 일측에는 트리거링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트리거링부재(210)는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힐 때 감지모듈(151)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의 위치에 일정거리로 접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의 스위치(151a)는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힐시 뚜껑(20)의 트리거링부재(210)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온(on)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로써 감지모듈(151)은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링부재(210)는 자성체일 수 있고 스위치(151a)는 리드 타입의 스위치(reed switch)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드스위치는 초기에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자성체가 리드스위치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리드스위치는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리스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제1,3전도체(101,201)와 제2,4전도체(102,202) 간에는 전류가 도통될 수 있다. 이러한 전류는 검출부(34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본체(30)는 내부에 제어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340)은 제1전도체(1101)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341)와 제2전도체(1102)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제1전도체세트(1100), 제어모듈(340), 제2전도체세트(2200) 및 감지모듈(151)은 직렬연결되어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341)에서 전류가 제1전도체세트(1100)의 제1전도체(1101)로 공급되고, 전류는 제1전도체(1101)에서 제3전도체(2201), 리드스위치(151a), 제4전도체(2202), 제2전도체(1102)를 통해 검출부(342)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모듈(340)은 상술한 모터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검출부(342)에서 전류가 검출되면 모터어셈블리(50)의 모터(5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상술한 제어피시비모듈(60)에 탑재될 수도 있다.
감지모듈(151)과 제3,4전도체(201,202)는 투명재질의 전도성부재(161)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재질의 전도성부재(161)는 감지모듈(151)의 스위치(151a)와 제3,4전도체(201,2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부재(205)는 투명전극필름(ITO)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전극필름(ITO)은 투명한 재료로 전류을 도통시킬 수 있는 소재일 수 있다.
투명전극필름(ITO)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용기(11)의 내면 또는 내측 용기(11)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투명전극필름(ITO)은 외측 용기(11)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고, 이 경우 투명 코팅재료를 이용하여 투명전극필름(ITO)을 코팅하여 외부로부터 투명전극필름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투명전극필름(ITO)은 용기(10)의 상부의 감지모듈(151)에서 용기(10)의 하부의 제3,4전도체(201,202)까지 용기(1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전극필름(ITO)의 적용으로 투명재질 용기(10)의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용기(10)가 본체(30)에 안착되면 전원부(341), 제1전도체(101), 제3전도체(201), 스위치(151a), 제4전도체(202) 및 검출부(34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직렬연결될 수 있다.
이에, 스위치(151a)의 온/오프에 따라 제1전도체(101)와 제3전도체(201) 간에, 그리고 제2전도체(102)와 제4전도체(202) 간에 전류가 전달 및 차단될 수 있다.송수신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블렌더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의 등가회로도이고, 도 14는 상기 등가회로도에서 뚜껑열림에 따른 동작도이고, 도 15는 상기 등가회로도에서 뚜껑닫힘에 따른 동작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30)에서 제1전도체(101) 및 제2전도체(102)는 제어모듈(3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모듈(340)은 전원부(341) 및 검출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341)는 제1전도체(101)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고 검출부(342)는 제2전도체(102)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용기(10)에서 제3전도체(201) 및 제4전도체(202)는 감지모듈(151)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스위치(151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151a)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힐 때 뚜껑(20)의 일측면 내부에 설치된 트리거링부재(210)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모듈(151)은 트리거링부재(210)의 감지여부에 따라 제1,2전도체세트(100,200) 간의 전류전달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감지모듈(151)은 트리거링부재(210)를 감지하면 제1,2전도체세트(100,200) 간의 전류전달이 이루어지고 트리거링부재(210)를 감지하지 않으면 제1,2전도체세트(100,200) 간의 전류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3,4전도체(201,202)는 투명재질의 전도성부재(161)을 통해 감지모듈(15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등가회로도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와 같이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감지모듈(151)이 트리거링부재(210)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스위치(1141)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위치(151a)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제어모듈(340), 제1전도체(101), 제3전도체(201), 스위치(151a) 및 제4전도체(202)는 폐회로(closed circuit)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제1전도체(101)와 제3전도체(201) 간에, 그리고 제2전도체(201)와 제4전도체(202) 간에는 전류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15와 같이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게 되면 트리거링부재(210)가 감지모듈(151)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게 되고 스위치(151a)는 트리거링부재(210)에 의해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스위치(151a)가 온(on)상태로 전환되면 직렬연결된 제어모듈(340), 제1전도체(101), 제3전도체(201), 스위치(151a) 및 제4전도체(202)는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회로가 형성되면 제1전도체(101)와 제3전도체(201) 간에, 그리고 제2전도체(201)와 제4전도체(202) 간에는 전류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어모듈(340)의 전원부(341)에서 제1전도체(101)로 전류를 공급하고, 전류는 제1전도체(101)에서 제3전도체(201)로 전달되며, 계속해서 전류는 스위치(151a), 제4전도체(202), 제2전도체(102) 및 검출부(342)를 통해 흐르게 된다. 검출부(342)는 제2전도체(10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에서 용기(10)가 본체(30)에 안착된 후(S101),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면(S103), 뚜껑(20)의 일측면 내부에 설치된 트리거링부재(210)에 의해 감지모듈(151)의 스위치(151a)가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105).
스위치(151a)가 온(on)상태로 전환되면 전원부(341), 제1전도체(101), 제3전도체(201), 스위치(151a), 제4전도체(202) 및 검출부(342)는 폐회로를 형성하여 전원부(341)에서 제1전도체(101)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S107).
제1전도체(101)로 공급된 전류는 제1전도체(101)에 접촉된 제3전도체(201)로 전달될 수 있고(S109), 계속해서 전류는 스위치(151a) 및 제4전도체(202)를 통해 제2전도체(102)로 전달될 수 있다(S111).
검출부(342)는 제2전도체(102)에서 전달되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S113).
이와 같이 검출부(342)에서 전류가 검출되면 본체(30)의 제어모듈(340)은 용기(10)에 뚜껑(20)이 닫혔음을 감지할 수 있다(S115).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블렌더 10 : 용기
11 : 외측 용기 12 : 내측 용기
13 : 손잡이 14 : 블레이드모듈
20 : 뚜껑 30 : 본체
31 : 아우터 케이스 32 : 이너 케이스
40 : 노브 50 : 모터어셈블리
55 : 쿨링팬 60 : 제어피시비모듈
143 : 제2 커넥터 151 : 감지모듈
151a : 스위치 152 : 제1커넥터
161 : 전도성부재 210 : 트리거링부재
301 : 안착부 310b : 터치조작부
312 : 홀센서 313 : 리드스위치
314 : 피씨비모듈 315 : 안착부 상부커버
1100 : 제1 전도체 세트 1101 : 제1 전도체
1102 : 제2 전도체 1103 : 제1 절연부재
2200 : 제2 전도체 세트 2201 : 제3 전도체
2202 : 제4 전도체 2203 : 제2 절연부재

Claims (20)

  1. 제1전도체세트와 상기 제1전도체세트로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1전도체세트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안착가능하고 상기 본체에 안착시 상기 제1전도체세트에 접촉되는 제2전도체세트와 상기 제1,2전도체세트 간의 전류의 전달여부를 결정하는 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블렌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세트는 상기 제2전도체세트로 전류를 전달하는 제1전도체 및 상기 제2전도체세트로부터 전류를 전달받는 제2전도체를 포함하는 블렌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도체세트는 상기 제1전도체로부터 전류를 전달받는 제3전도체 및 상기 제2전도체로 전류를 전달하는 제4전도체를 포함하는 블렌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전도체로 상기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2전도체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전도체는 금속도체를 포함하는 블렌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전도체는 전도성고무를 포함하는 블렌더.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전도체는 전도성고무를 포함하고 상기 제3,4전도체는 금속도체를 포함하는 블렌더.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전도체는 상기 제1전도체의 링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제1전도체와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링 형상으로 동일 면에 형성되는 블렌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도체는 상기 용기의 하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전도체는 상기 제3전도체의 링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제3전도체와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링 형상으로 동일 면에 형성되는 블렌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와 제3전도체는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고 상기 제2전도체와 제4전도체는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는 블렌더.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전도체 및 제3,4전도체는 각각 본체 및 용기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블렌더.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에서 상기 뚜껑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제1전도체를 통해 상기 제3전도체로 전달되고 상기 제4전도체를 통해 상기 제2전도체로 전달되는 블렌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안착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부에서 전류를 공급하는 블렌더.
  14. 제4항에 있어서,
    일측면 내부에 트리거링부재를 포함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트리거링부재가 일정거리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2전도체세트 간의 전류전달을 이루어지도록 동작하는 블렌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트리거링부재가 상기 일정거리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전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면 상기 전원부에서 전류가 상기 제1전도체세트 및 제2전도체세트 간에 전류전달이 이루어지는 블렌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전도체에서 상기 제3전도체로 전류를 전달하고 상기 제4전도체에서 상기 제2전도체로 전류를 전달하는 블렌더.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와 상기 제1,2전도체는 투명재질의 전도성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성부재는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면으로 배치되는 블렌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부재는 투명전극필름(ITO)을 포함하는 블렌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필름(ITO)은 일단이 탈착가능한 제1커넉터를 통해 상기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탈착가능한 제2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 전도체 세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렌더.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안착되고 상기 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전도체세트, 제어모듈, 제2전도체세트 및 감지모듈은 직렬연결되어 폐회로가 형성되는 블렌더.
KR1020190098858A 2019-08-13 2019-08-13 블렌더 KR20210019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58A KR20210019790A (ko) 2019-08-13 2019-08-13 블렌더
EP20852020.5A EP4014814A4 (en) 2019-08-13 2020-08-06 MIXER
US17/612,947 US20220322885A1 (en) 2019-08-13 2020-08-06 Blender
PCT/KR2020/010373 WO2021029605A1 (ko) 2019-08-13 2020-08-06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58A KR20210019790A (ko) 2019-08-13 2019-08-13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90A true KR20210019790A (ko) 2021-02-23

Family

ID=7456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858A KR20210019790A (ko) 2019-08-13 2019-08-13 블렌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22885A1 (ko)
EP (1) EP4014814A4 (ko)
KR (1) KR20210019790A (ko)
WO (1) WO2021029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0965S1 (en) * 2021-01-18 2023-07-04 Lg Electronics Inc. Blen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800B2 (en) 2002-08-27 2005-06-28 Eupa International Corporation Blender having a top cover provided with a switch actuating block
US7871196B2 (en) 2007-08-16 2011-01-18 Kuan-Chih Lin Juicer safety device
EP2548485A1 (en) 2010-03-16 2013-01-23 Electrodomésticos Taurus, SL Cooking vessel with rotary blades
US20180020875A1 (en) 2015-02-17 2018-01-2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Interlocking blen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1382A1 (de) * 1980-08-20 1982-03-25 Braun Ag, 6000 Frankfurt Geraet mit einer sicherheitsverriegelung
FR2820020B1 (fr) * 2001-01-30 2003-10-31 Moulinex Sa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ppareils electromenagers
US6629492B1 (en) * 2002-12-06 2003-10-07 Wen-Jing Li Juicer having a safe power connection function
JP7196067B2 (ja) * 2016-11-08 2022-12-26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飲料又は食品調製システム
CN209610774U (zh) * 2018-01-10 2019-11-12 南京盖乐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杯式榨汁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800B2 (en) 2002-08-27 2005-06-28 Eupa International Corporation Blender having a top cover provided with a switch actuating block
US7871196B2 (en) 2007-08-16 2011-01-18 Kuan-Chih Lin Juicer safety device
EP2548485A1 (en) 2010-03-16 2013-01-23 Electrodomésticos Taurus, SL Cooking vessel with rotary blades
US20180020875A1 (en) 2015-02-17 2018-01-2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Interlocking blen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4814A4 (en) 2023-10-11
EP4014814A1 (en) 2022-06-22
US20220322885A1 (en) 2022-10-13
WO2021029605A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1213A1 (en) A blender
KR20210019794A (ko) 블렌더
KR20210019790A (ko) 블렌더
EP4101355A1 (en) Blender
US20220202255A1 (en) Blender
US20230137076A1 (en) Blender
JP7093100B2 (ja) 調理器
KR20210019792A (ko) 블렌더
US20220225837A1 (en) Blender
EP4014817A1 (en) Blender
US20230225563A1 (en) Blender
EP4176782A1 (en) Blender
EP4101356A1 (en) Blender
EP4101357A1 (en) Blender
CN210227901U (zh) 杯体部件和料理机
CN209346639U (zh) 料理机
CN216450990U (zh) 配电柜
KR20210019958A (ko) 블렌더
KR101478044B1 (ko) 전원연결장치
KR20220079265A (ko)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CN113675031A (zh) 一种带保护装置的船型开关
KR101754882B1 (ko)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KR20210019796A (ko) 블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