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715A -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15A
KR20210019715A KR1020190098678A KR20190098678A KR20210019715A KR 20210019715 A KR20210019715 A KR 20210019715A KR 1020190098678 A KR1020190098678 A KR 1020190098678A KR 20190098678 A KR20190098678 A KR 20190098678A KR 20210019715 A KR20210019715 A KR 20210019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f
reference voltage
switch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혁
윤주한
안병권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715A/ko
Priority to US16/848,904 priority patent/US11490488B2/en
Priority to CN202010631066.6A priority patent/CN112398313A/zh
Publication of KR2021001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4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electrical parameters of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25Arrangements for modifying reference values, feedback values or error values in the control loop of a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스위칭 구동 회로 및 스위칭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대상 회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된 센싱 저항; 상기 센싱 저항에 인가되는 센싱 전압(VCS)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상 회로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대상 회로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O)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보상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의 변화량에 상응하도록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여,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이 변화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구동 전류(ID)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SWITCHING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이 변화하더라도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 전류(ID)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구동 회로는 스위칭 컨버터 방식을 통해 구동될 수 있고, 스위칭 컨버터의 종류는 입력 전압 대비 출력 전압의 비율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평균 인덕터 전류 모드 방식을 구현하기 위하여 모스펫(MOSFET)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스펫(MOSFET)을 포함하는 종래의 구동 회로는 교류 전원을 전파 정류하고, 전파 정류된 전압 크기를 센싱하고, 센싱된 전압 크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등의 대상 회로에 선택적으로 전파 전압을 인가하였다.
이 경우 센싱된 전압 크기는, 디스플레이 등의 대상 회로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 또는 대상 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전압에 따라 함께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에 의하여 원하는 만큼의 전파 전압이 대상 회로에 인가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 스위칭 구동 회로는 대상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 전류를 원하는 만큼의 밝기로 구동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과 달리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이 변화하더라도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 전류(ID)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 회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된 센싱 저항; 상기 센싱 저항에 인가되는 센싱 전압(VCS)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상 회로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대상 회로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O)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보상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할 수 있다.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이 동시에 감소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출력 전압(VO)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전압(VO)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출력 전압(VO)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전압(VO)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의 레벨(LEVEL)을 변환하는 제1 변환 블록; 및 상기 출력 전압(VO)의 레벨(LEVEL)을 변환하는 제2 변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 분배 전압(VZCD)을 인가하는 전압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분배부는, 전압 분배를 위한 복수의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의 레벨(LEVEL)을 변환하는 제1 변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 전압(VO)은, 상기 분배 전압(VZCD)일 수 있다.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감소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분배 전압(VZCD)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분배 전압(VZCD)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분배 전압(VZCD)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분배 전압(VZCD)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확인할 수 있는 입력 단자; 상기 분배 전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압 분배 단자;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을 확인할 수 있는 스위칭 단자; 상기 센싱 전압(VCS)을 확인할 수 있는 센싱 단자;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 전압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확인할 수 있는 입력 단자; 상기 출력 전압(VO)을 확인할 수 있는 출력 단자; 상기 분배 전압을 확인할 수 있는 전압 분배 단자;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을 확인할 수 있는 스위칭 단자; 상기 센싱 전압(VCS)을 확인할 수 있는 센싱 단자;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 전압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위칭부의 일단에 연결된 센싱 저항에 인가되는 센싱 전압(VCS)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부의 타단에 연결된 대상 회로의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 변화량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전압 조절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이 증가하는 경우, 그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전압 조절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이 감소하는 경우, 그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전압 조절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출력 전압(VO)이 증가하는 경우, 그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한다.
또한, 상기 기준 전압 조절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출력 전압(VO)이 감소하는 경우, 그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 전압(VO) 측정 단계는 상기 스위칭부와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저항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압 분배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감소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전압 조절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분배 전압(VZCD)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분배 전압(VZCD)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분배 전압(VZCD)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분배 전압(VZCD)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은,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의 변화량에 상응하도록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여,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이 변화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구동 전류(ID)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칭 구동 회로 내부의 보상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보상 회로가 없는 종래 스위칭 구동 회로의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의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상 회로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 또는 출력 전압 변동에 따라 조절되는 기준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6 에 도시된 스위칭 구동 회로 내부의 보상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 회로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 및 분배 전압 변동에 따라 조절되는 기준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전압 분배부 내에서 생성되는 각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lower), 위(above, 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 upper)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부분” 등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표현은 해당 구성요소가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하나, 꼭 표현된 기능에 한정된다고 할 수는 없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기 신호들은 일 예시로서, 본 발명의 회로에 반전기 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경우 이하 설명될 모든 전기 신호들의 부호가 반대로 바뀔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신호의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는 스위칭부(200), 센싱 저항(300), 제어부(400) 및 전압 분배부(500)를 포함한다.
스위칭부(200)는 대상 회로(1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구성이다.
이때, 대상 회로(100)는 전류가 공급되면 발광하는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상 회로(100)는 전류가 공급되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를 의미할 수 있다.
대상 회로(100)가 전류가 공급되면 발광하는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10), 발광 소자(110)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120), 발광 소자(110)와 커패시터(120)에 입력되는 전류를 정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140), 발광 소자(110) 및 발광 소자(110)와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120)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00)는 인덕터(130) 및 제어부(400) 사이에 배치되며, 제어부(400)로부터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를 수신하여 인덕터(130)에 흐르는 인덕터 전류(IL)를 제어한다.
스위칭부(200)가 턴-온되는 경우 입력 전압(VIN)에 의해 인덕터 전류(IL1) 또는 구동 전류(ID)가 흐르고,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인덕터(130)에 충전된 전류(IL2)를 방전 시켜서 상기 발광소자에 구동전류(ID)를 공급한다.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가 양의 값(하이 레벨 또는 1)에 해당하는 경우 스위칭부(200)를 턴-온하고, 음의 값(로우 레벨 또는 0)에 해당하는 경우 스위칭부(200)를 턴-오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400)는 대상 회로(100)에 공급되는 인덕터 전류(IL) 또는 구동 전류(ID)를 조절한다. 특히, 대상 회로(100)가 발광 소자(110)를 포함하는 경우 그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칭부(200)가 턴-온되면 인덕터 전류(IL1)는 스위칭부(200)를 통하여 흐를 수 있고, 상기 인덕터(130)는 인덕터 전류(IL1)를 충전한다. 한편, 스위칭부(200)가 턴-오프되면 인덕터(130)에 충전된 전류를 방전 전류(IL2)로하여 상기 발광 소자(110)에 전류를 공급한다. 즉, 인덕터(130)는 스위칭부(200)가 턴-오프되는 동안 인덕터 방전 전류(IL2)가 전류원으로 동작한다.
센싱 저항(300)은 스위칭부(200)에 연결된 구성이며, 스위칭부(200) 및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싱 저항(300)의 양단에 걸리는 센싱 전압(VCS)은 센싱 단자(443)을 통해 제어부(400)에 인가된다.
인덕터 전류(IL)가 제로에 도달하면 제어부(400)는 스위칭부(200)를 턴-온시키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덕터 전류(IL)가 제로 아래로 떨어지면 상기 스위칭부(200) 모스펫의 드레인 단이 음의 값(로우 레벨 또는 0)을 가지게 되고, 이때 기준 분배 전압(VREF_ZCD)보다 상기 분배 전압(VZCD)이 더 낮은 음의 값(로우 레벨 또는 0)에 도달하여 상기 스위칭부(200)를 턴-온 시키게 된다.
센싱 전압(VCS)은 센싱 저항(300)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말하며, 센싱 단자(443)를 통해 제어부(400)에 인가된다. 입력 전압(VIN)은 대상 회로(100)에 입력되는 전압을 말하며, 입력 단자(446)를 통해 제어부(400)에 인가된다. 출력 전압(VO)은 대상 회로(1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며, 출력 단자(447)를 통해 제어부(400)에 인가된다. 뿐만 아니라, 센싱 전압(VCS), 입력 전압(VIN), 출력 전압(VO)은 상기 단자들을 통하여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센싱 저항(300)에 인가되는 센싱 전압(VCS)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스위칭부(200)를 제어한다.
이때, 기준 전압(VREF)은 미리 설정된 값을 가지며, 제어부(400)는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조절함으로써, 센싱 전압(VCS)이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의 변화량에 따라 바뀌는 경우에도 인덕터 전류(IL) 또는 구동 전류(ID)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준 전압(VREF)은 기준 전압 단자(442)를 통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조절하며, 비교기(420, 430) 및 기억 소자(41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일단이 상기 기억소자(4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위칭부(200)에 연결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는 기억 소자(410)의 출력을 스위칭부(200)의 턴-온 또는 턴-오프에 필요한 전압으로 증폭하고, 낮은 임피던스에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기억 소자(410)의 출력 값의 변화를 기초로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를 신속하게 스위칭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억 소자(410)는 SR 래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입력 단자(446), 출력 단자(447), 기준 전압 단자(442), 접지 단자(444), 전압 분배 단자(441) 및 스위칭 단자(445)를 포함한다. 입력 단자(446)를 통하여 대상 회로(100)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VIN)이 확인된다. 출력 단자(447)를 통하여 대상 회로(1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O)이 확인된다. 접지 단자(444)를 통하여 제어부(400)가 접지된다. 전압 분배 단자(441)를 통하여 분배 전압(VZCD)이 확인된다. 스위칭 단자(445)를 통하여 제어부(400)에서 스위칭부(200)로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를 보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는 전압 분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분배부(500)는 스위칭부(200) 및 제어부(400)에 연결되며, 스위칭부(200)로부터 제어부(400)로 인가되는 분배 전압(VZCD)을 조절한다. 또한, 전압 분배부(500)는 대상 회로(100)에도 연결될 수 있다.
전압 분배부(500)는 대상 회로(1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O)을 원하는 전압 크기만큼 분배한다. 전압 분배부(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 분배 저항(520), 제2 분배 저항(530) 및 커패시터(5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분배 저항(520), 제2 분배 저항(530) 및 커패시터(510)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배 저항(520) 및 제2 분배 저항(530) 각각은 1개의 저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개수로 제한 해석되지 않는다.
커패시터(510)는 인덕터(130) 및 스위칭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패시터(510)는 인덕터 전류(IL)의 직류 성분을 차단하고 교류 성분을 통과시킨다. 이때, 커패시터(510)와 제1 분배 저항(520) 사이에서 커패시터 전압(VC)이 측정된다.
제1 및 제2 분배 저항(520, 530)들은 커패시터(510)를 통과한 교류 성분의 전압을 분배한다. 이때, 분배되는 전압은 제어부(400)의 전압 분배 단자(441)를 통하여 제어부(400)로 인가된다.
전압 분배부(500)를 통하여 분배되는 전압은 제1 및 제2 분배 저항(520, 530)들의 저항값의 비율을 통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분배 저항(520, 530)들의 저항 값의 비율이 9:1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400)에 인가되는 분배 전압(VZCD)은 커패시터(510)를 통과한 교류 성분 전압의 1/10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입력 전원으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전압(VIN)보다 상당히 낮은 전압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분배 저항(520, 530)들은 제어부(400)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 내부의 보상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보상 회로(450)는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을 받아 들여 상기 입력 전압(VIN)의 레벨(LEVEL)을 변환하는 제1 변환 블록(460) 및 상기 출력 전압(VO)의 레벨(LEVEL)을 변환하는 제2 변환 블록(470)을 포함하는 보상회로이다. 이때, 보상 회로(450)는 제1 변환 블록(460) 및 제2 변환 블록(470)을 통해 감지된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수정된 기준 전압(VREF')으로 변경한다.
보상 회로(450)는 제어부(40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으나, 그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상 회로(450)는 제어부(400)의 단자들을 공유할 수 있으며, 보상 회로(450)는 제어부(400)의 내부에 포함되는 제2 비교기(43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전압(VIN) 및 출력 전압(VO)은 수십 볼트(V) 이상으로 IC 내부에서 사용할 수 없는 크기이다. 따라서, 입력 전압(VIN) 및 출력 전압(VO)을 IC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조절하는 제1 변환 블록(460) 및 제2 변환 블록(470)이 별도로 필요하다. 제1 변환 블록(460)은 입력 전압(VIN)의 크기를 IC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환 블록(470)은 출력 전압(VO)의 크기를 IC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변환 블록(460) 및 제2 변환 블록(470)을 통하여 입력 전압(VIN) 및 출력 전압(VO)을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여 변화량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변화량을 바탕으로 수정된 기준전압(VREF')을 상기 보상 회로(450)가 출력하고, 상기 수정된 기준전압(VREF')은 수정 기준 전압 노드(448)를 통해 상기 제2 비교기(430)의 반전 단자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상 회로(450)는 조절된 크기의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을 통하여 그 변화량을 감지함으로써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의 변화량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보상 회로가 없는 종래 스위칭 구동 회로의 타이밍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의 타이밍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점선은 입력 전압(VIN)이 높아지는 경우를 나타내며, 실선은 일정한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대상 회로(100)에 전류를 공급하는 기준이 되는 센싱 전압(VCS)은, 대상 회로(100)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VIN) 또는 대상 회로(1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O)이 변화함에 따라 함께 변화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를 통하여 센싱 전압(VCS)과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한 경우 스위칭부(200)를 턴-오프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입력 전압(VIN)이 높아지면 인덕터 전류(IL)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승 전류(IL1)의 기울기가 증가한다. 상승 전류(IL1)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센싱 전압(VCS)의 기울기도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기준 전압 초과 구간이 발생하여 상기 구동 전류(ID)를 높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하면 상기 스위칭부(200)가 턴-오프 되는데, 여기에 소요되는 지연 시간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상승 전류(IL1)란, 스위칭부(200)가 턴-온 된 경우 인덕터 전류(IL)가 상승되는 구간의 전류를 말한다. 하강 전류(IL2)란, 스위칭부(200)가 턴-오프 된 경우 인턱터 전류(IL)가 하강하는 구간의 전류를 말한다.
반대로, 입력 전압(VIN)이 낮아지면 인덕터 전류(IL)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승 전류(IL1)의 기울기가 감소한다. 상승 전류(IL1)의 기울기가 감소함에 따라 센싱 전압(VCS) 역시 순간적으로 기준 전압(VREF)보다 낮아질 수 있다. 센싱 전압(VCS)이 기준 전압(VREF)보다 낮아지면 구동 전류(ID) 또한 낮아지게 된다.
입력 전압(VIN)의 변화에 따른 센싱 전압(VCS)의 변화는 출력 전압(VO)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즉,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의 변화가 센싱 전압(VCS)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하여 구동 전류(ID)가 변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대상 회로(100)가 발광 소자(110)를 포함하는 경우, 발광 소자(110)를 원하는 밝기로 구동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3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4와 같은 스위칭 구동 방식을 제안한다. 센싱 전압(VCS)의 변화량(VCS'-VCS)만큼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변화시킨다면, 구동 전류(ID)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전압(VCS)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센싱 전압(VCS)의 변화량(VCS'-VCS)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동 전류(ID)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의 변화가 센싱 전압(VCS)에 영향을 미치며, 스위칭부(200)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센싱 전압(VCS)의 변화량(VCS'-VCS)을 매순간 정확하게 측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의 증가로 인한 센싱 전압(VCS)의 증가량만큼 기준 전압(VREF)을 낮추면, 구동 전류(ID)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의 감소로 인한 센싱 전압(VCS)의 감소량만큼 기준 전압(VREF)을 높이면, 구동 전류(ID)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상 회로(45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발광 소자(110)에 흐르는 구동 전류(ID)를 제어하여, 발광 소자(110)를 원하는 밝기로 구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상 회로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 또는 출력 전압 변동에 따라 조절되는 기준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입력 전압(VIN) 및 출력 전압(VO)이 동시에 변화하고 있는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출력 전압(VO)은 입력 전압(VIN)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한다.
또한, 도 5(b)는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게 유지되나 다른 요인에 의하여 출력 전압(VO)이 변화하고 있는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다른 요인에는, 반도체 제조 공정 산포로 인한 소자들의 저항 값들이 변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따르면, 기존 기준 전압(VREF)을 입력 전압(VIN) 변화와 반대 방향으로 수정된 기준 전압(VREF')을 출력한다. 출력 전압(VO)은 입력 전압(VIN)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 기준 전압(VREF)은 출력 전압(VO)이 아니라 입력 전압(VIN)을 기준으로 상기 수정된 기준 전압(VREF')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 전압(VIN) 및 출력 전압(VO)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입력 전압(VIN)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한다. 반대로, 입력 전압(VIN) 및 출력 전압(VO)이 동시에 감소하는 경우, 입력 전압(VIN)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한다.
도 5(b)에 따르면,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게 유지되되 출력 전압(VO)이 증가하는 경우, 출력 전압(VO)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한다. 반대로,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게 유지되되 출력 전압(VO)이 감소하는 경우, 출력 전압(VO)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는 스위칭부(200), 센싱 저항(300), 제어부(400) 및 전압 분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의 제어부(400)는 입력 단자(446), 기준 전압 단자(442), 접지 단자(444), 전압 분배 단자(441) 및 스위칭 단자(4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출력 단자(447)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400)는 출력 전압(VO)이 아니라 분배 전압(VZCD)을 상기 보상 회로의 입력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압 분배부(500)에 의하여 분배된 분배 전압(VZCD)은 제어부(400)에 인가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전압값을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 내부의 보상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제어부(400)에 포함되는 보상 회로는 입력 전압(VIN)을 확인하는 입력 단자(446)를 포함하는 보상 회로(450)이다. 이때, 보상 회로(450)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출력 단자(447) 및 제2 변환 블록(470)을 포함하지 않으며, 전압 분배 단자(441)로부터 곧바로 분배 전압(VZCD)을 인가 받는다.
입력 전압(VIN)은 수십 볼트(V) 이상으로 IC 내부에서 사용할 수 없는 크기이다. 따라서, 입력 전압(VIN)을 IC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조절하는 제1 변환 블록(460)이 별도로 필요하다. 제1 변환 블록(460)은 입력 전압(VIN)의 크기를 IC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변환 블록(460)을 통하여 입력 전압(VIN)을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면, 조절된 크기로 제어부(400) 내부의 보상 회로(450)에 인가된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400)는 입력 전압(VIN)의 변화량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8와 같은 스위칭 구동 방식을 제안한다. 도 8에 따르면, 출력 전압(VO)이 바뀌면 커패시터 전압(VC) 및 분배 전압(VZCD)의 파형도 함께 변화된다.
센싱 전압(VCS)의 변화량만큼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변화시킨다면, 구동 전류(ID)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실시예와 달리, 전압 분배부(500)의 분배 전압(VZCD)을 기초로 기준 전압(VREF)을 변경할 수도 있다.
센싱 전압(VCS)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센싱 전압(VCS)의 변화량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동 전류(ID)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센싱 전압(VCS)의 변화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입력 전압(VIN)과 분배 전압(VZCD)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배 전압(VZCD)은 전압 분배부(500)를 통하여 전압의 크기가 적당히 감소된다. 또한, 출력 전압(VO)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출력 전압(VO) 대신 분배 전압(VZCD)을 측정하는 경우, 제2 변환 블록(470)을 포함하지 않는 보상 회로(450)을 설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전압(VIN) 및 분배 전압(VZCD)의 증가로 인한 센싱 전압(VCS)의 증가량만큼 기준 전압(VREF)을 낮추면, 구동 전류(ID)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입력 전압(VIN) 및 분배 전압(VZCD)의 감소로 인한 센싱 전압(VCS)의 감소량만큼 기준 전압(VREF)을 높이면, 구동 전류(ID)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상 회로(45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발광 소자(110)에 흐르는 구동 전류(ID)를 제어하여, 발광 소자(110)를 원하는 밝기로 구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 회로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VIN) 및 분배 전압(VZCD) 변동에 따라 조절되는 기준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8에 있어서, 커패시터 전압(VC) 및 분배 전압(VZCD)은 스위칭부(200)의 스위칭에 의하여 신호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이하 “분배 전압(VZCD)”이라고 함은 도 8의 분배 전압(VZCD)의 평균점 또는 꼭지점을 연결한 싸인(sin) 파형을 의미한다.
도 8(a)는 입력 전압(VIN) 및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변화하고 있는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분배 전압(VZCD)은 입력 전압(VIN)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한다.
또한, 도 8(b)는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게 유지되나 다른 요인에 의하여 분배 전압(VZCD)이 변화하고 있는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다른 요인이란 반도체 제조 공정 산포로 인한 소자들의 저항 값들이 변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따르면, 기존 기준 전압(VREF)을 입력 전압(VIN)과 반대 방향으로 수정된 기준 전압(VREF')를 출력한다. 분배 전압(VZCD)은 입력 전압(VIN)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 기준 전압(VREF)은 분배 전압(VZCD)이 아니라 입력 전압(VIN)을 기준으로 상기 수정된 기준 전압(VREF')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 전압(VIN) 및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보상 회로(450)는 입력 전압(VIN)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한다. 반대로, 입력 전압(VIN) 및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감소하는 경우, 보상 회로(450)는 입력 전압(VIN)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한다.
도 8(b)에 따르면,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게 유지되되 분배 전압(VZCD)이 감소하는 경우, 보상 회로(450)는 분배 전압(VZCD)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한다. 반대로,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게 유지되되 분배 전압(VZCD)이 증가하는 경우, 보상 회로(450)는 분배 전압(VZCD)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회로에 있어서, 스위칭부(200)가 모스펫(MOSFET)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칭부(200)는 모스펫(MOSFET)으로 구현되는 경우,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는 게이트 단자를 통하여 모스펫(MOSFET)의 게이트에 전송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덕터 전류(IL)를 제어한다. 즉,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가 양의 값(하이 레벨 또는 1)에 해당하는 경우 스위칭부(200)를 턴-온하고, 음의 값(로우 레벨 또는 0)에 해당하는 경우 스위칭부(200)를 턴-오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400)는 대상 회로(1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대상 회로(100)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절한다.
모스펫(MOSFET)의 게이트 단자에는 제어부(400)가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에는 대상 회로(100)가 연결되며, 소스 단자에는 센싱 저항(300)이 연결된다.
제어부(400)는 센싱 저항(300)에 인가되는 센싱 전압(VCS)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한 경우, 모스펫(MOSFET)의 게이트 단자로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를 보내 스위칭부(200)를 턴-오프한다.
드레인 단자에는 대상 회로(100)뿐만 아니라, 전압 분배부(500)가 연결된다. 이때, 전압 분배부(500)는 커패시터(510), 제1 분배 저항(520) 및 제2 분배 저항(530)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분배 저항(520, 530) 사이에 전압 분배 단자(44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커패시터(510)와 제1 분배 저항(520) 사이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커패시터 전압(VC)라고 한다.
전압 분배부(500)의 커패시터(510)는 인덕터 전류(IL)가 제1 및 제2 분배 저항(520, 530)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이는 인덕터 전류(IL)가 전부 스위칭부(200)를 통하여 센싱 저항(300)으로 흘러야, 스위칭부(200)에 의하여 상기 발광 소자(110)에 흐르는 구동전류(ID)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압 분배부(500)의 커패시터(510)는 직류 전류를 차단하며, 상기 모스펫(MOSFET)의 턴-온 또는 턴-오프에 관계없이, 전압 분배부(500)로 전류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만일, 전압 분배부(500)의 커패시터(510)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덕터 전류(IL) 중 일부가 모스펫(MOSFET)의 드레인 지점에서 전압 분배부(500)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분배 전압(VZCD)이 기준 분배 전압(VREF_ZCD)보다 낮아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상기 모스펫(MOSFET)을 턴-온 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전류가 전압 분배부로 흐르게 되면, 정확한 센싱 전압(Vcs) 측정이 어려워 정전류 제어가 어렵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전압 분배부(500)의 도입부에 커패시터(510)가 포함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전압 분배부 내에서 생성되는 각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커패시터(510)를 포함하더라도, 드레인 전압(VDRAIN)이 낮아질 때 분배 전압(VZCD)이 같이 낮아진다. 도 9에서 점선으로 사각형 박스로 구별해두었다. 따라서, 분배 전압(VZCD)을 기초로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바꾸더라도 출력 전압(VO)을 기초로 기준 전압(VREF)의 설정값을 바꾸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따르면, 모스펫(MOSFET)이 턴-온된 경우 인덕터(130)에 인덕터 전류(IL)가 흐른다. 인덕터 전류(IL)가 증가하기 시작(IL1)하는 경우, 인덕터 전류(IL1)가 센싱 저항(RCS)에 흐르고, 센싱 전압(VCS)이 기준 전압(VREF)과 같아지면 모스펫(MOSFET)의 게이트 단자의 전압이 낮아져 모스펫(MOSFET)이 턴-오프 된다.
또한, 도 9에 따르면, 모스펫(MOSFET)이 턴-오프 되면, 인덕터 전류(IL)가 감소하기 시작(IL2)하고 인덕터 전류(IL)가 0(A)보다 작아지면 드레인 단자의 전압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드레인 전압(VDRAIN)이 감소하면 커패시터 전압(VC)과 분배 전압(VZCD)도 함께 감소된다. 분배 전압(VZCD)이 기준 분배 전압(VREF_ZCD)보다 작아지면, 다시 게이트 단자의 전압이 높아져서 상기 모스펫을 턴-온 시킨다.
또한, 도 9에 따르면, 커패시터 전압(VC)은 양의 꼭지점(Positive Peak) 및 음의 꼭지점(Negative Peak)을 포함한다. 양의 꼭지점(Positive Peak)에서는 드레인 단자의 전압이 0(V)에서 입력 전압(VIN)만큼 상승하는 것이 도 9에서 확인된다. 또한, 음의 꼭지점(Negative Peak)에서는 드레인 단자의 전압이 입력 전압(VIN)의 크기에서 다시 0(V)로 감소하는 것이 도 9에서 확인된다.
또한, 도 9에 따르면, 분배 전압(VZCD)은 커패시터 전압(VC)이 제1 분배 저항(520)과 제2 분배 저항(530)에 의해서 분배된 전압을 의미한다. 다만, 전압 분배 단자(441)및 접지 단자(444) 사이에 기생 다이오드(parasitic diode, 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생 다이오드(parasitic diode, 60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분배 전압(VZCD)이 -0.7(V)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구동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구동 방법은 스위칭부(200)의 일단에 연결된 센싱 저항(300)에 인가되는 센싱 전압(VCS)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스위칭부(200)를 제어하는 단계, 스위칭부(200)의 타단에 연결된 대상 회로(100)의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을 측정하는 단계 및 입력 전압(VIN) 또는 출력 전압(VO)의 변화량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을 조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센싱 전압(VCS)과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한 경우 스위칭부(200)를 턴-오프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센싱 전압(VCS)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는 단계, 센싱 전압(VCS)과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하면, 제어부(400)는 상기 스위칭부(200)을 턴 오프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전압을 조절시키는 단계는 입력 전압(VIN) 및 출력 전압(VO)이 증가하는 경우 그 증가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한다.
또한, 상기 조절시키는 단계는 입력 전압(VIN) 및 출력 전압(VO)이 감소하는 경우, 그 감소량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대상 회로 110: 발광 소자
120: 커패시터 130: 인덕터
140: 다이오드 200: 스위칭부
300: 센싱 저항 400: 제어부
410: 기억 소자 420: 제1 비교기
430: 제2 비교기 441: 전압 분배 단자
442: 기준 전압 단자 443: 센싱 단자
444: 접지 단자 445: 스위칭 단자
446: 입력 단자 447: 출력 단자
448: 수정 기준 전압 노드 450: 보상 회로
460: 제1 변환 블록 470: 제2 변환 블록
500: 전압 분배부 510: 커패시터
520: 제1 분배 저항 530: 제2 분배 저항
600: 기생 다이오드

Claims (24)

  1. 대상 회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된 센싱 저항;
    상기 센싱 저항에 인가되는 센싱 전압(VCS)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상 회로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대상 회로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O)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스위칭 구동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이 동시에 감소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출력 전압(VO)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전압(VO)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출력 전압(VO)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전압(VO)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의 레벨(LEVEL)을 변환하는 제1 변환 블록; 및
    상기 출력 전압(VO)의 레벨(LEVEL)을 변환하는 제2 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 분배 전압(VZCD)을 인가하는 전압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부는,
    전압 분배를 위한 복수의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의 레벨(LEVEL)을 변환하는 제1 변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 전압(VO)은,
    상기 분배 전압(VZCD)인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감소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분배 전압(VZCD)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분배 전압(VZCD)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분배 전압(VZCD)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분배 전압(VZCD)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확인할 수 있는 입력 단자;
    상기 분배 전압(VZCD)을 확인할 수 있는 전압 분배 단자;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을 확인할 수 있는 스위칭 단자;
    상기 센싱 전압(VCS)을 확인할 수 있는 센싱 단자;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 전압 단자;를 포함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확인할 수 있는 입력 단자;
    상기 출력 전압(VO)을 확인할 수 있는 출력 단자;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을 확인할 수 있는 스위칭 단자;
    상기 센싱 전압(VCS)을 확인할 수 있는 센싱 단자;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 전압 단자;를 포함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회로.
  16. 스위칭부의 일단에 연결된 센싱 저항에 인가되는 센싱 전압(VCS)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부의 타단에 연결된 대상 회로의 입력 전압(VIN)과 출력 전압(VO)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 변화량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전압(VCS)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이 동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Switching Control Signal)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이 증가하는 경우, 그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출력 전압(VO)이 감소하는 경우, 그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출력 전압(VO)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전압(VO)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조절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출력 전압(VO)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전압(VO)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VO) 측정 단계는 상기 스위칭부와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저항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압 분배부를 통해 분배 전압(VZCD)을 측정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 및 상기 분배 전압(VZCD)이 동시에 감소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압(VIN)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분배 전압(VZCD)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분배 전압(VZCD)의 감소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낮게 조절하고,
    상기 입력 전압(VIN)은 일정하고 상기 분배 전압(VZCD)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분배 전압(VZCD)의 증가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높게 조절하는 것인, 스위칭 구동 방법.

KR1020190098678A 2019-08-13 2019-08-13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19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78A KR20210019715A (ko) 2019-08-13 2019-08-13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US16/848,904 US11490488B2 (en) 2019-08-13 2020-04-15 Switching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of switching driving circuit
CN202010631066.6A CN112398313A (zh) 2019-08-13 2020-07-03 开关驱动电路及开关的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78A KR20210019715A (ko) 2019-08-13 2019-08-13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15A true KR20210019715A (ko) 2021-02-23

Family

ID=7456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678A KR20210019715A (ko) 2019-08-13 2019-08-13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90488B2 (ko)
KR (1) KR20210019715A (ko)
CN (1) CN1123983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035A (ko) * 2021-04-28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회로를 포함하는 전압 생성 회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8150B2 (en) * 2008-12-12 2013-08-13 O2Micro, Inc. Controller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dimming of light sources
TWI441434B (zh) * 2010-08-31 2014-06-11 Anpec Electronics Corp 穩定轉換脈波調變模式之電流式升壓轉換器
JP6391429B2 (ja) * 2014-11-04 2018-09-19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制御方法、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90488B2 (en) 2022-11-01
US20210051785A1 (en) 2021-02-18
CN112398313A (zh)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4814B2 (en) Power converter controller with analog controlled variable current circuit
US9480114B2 (en) AC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voltage edge detector
US8581508B2 (en) LED driving apparatus
US8664877B2 (en) Light driving apparatus
US7626342B2 (en) High efficiency power controller for solid state lighting
US9913337B2 (en) Control circuit of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US9313839B2 (en)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having multiple driving stages and line/load regulation control
US10638566B2 (en) LED driver and LED lamp using the same
KR102072256B1 (ko) 전류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9490692B2 (en) Circuit and method of correcting a power factor for AC direct lighting apparatus
US10708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ping input current in light emitting diode (LED) system
KR20210019715A (ko) 스위칭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US9293984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power supply circuit
US20140077717A1 (en) Power supply device, luminaire, and power supplying method
US20160049865A1 (en) Fast start-up circuit of a flyback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KR20190076096A (ko) Dc-dc 컨버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32370A (ko) 교류 직결형 조명 장치의 구동 회로 및 방법
CN105307308B (zh) 用于浮动降压型发光二极管(led)驱动器的传播延迟补偿
KR102143665B1 (ko) 게이트 오프 지연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11224103B2 (en) LED lighting apparatus
KR102207626B1 (ko) 전류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487927B1 (ko) Led채널의 단락 감지오류를 방지하는 led 드라이버
US9930735B1 (en) Low-flicker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KR20130027854A (ko) 백라이트 유닛
CN109600880B (zh) 一种无频闪led驱动方法及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