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429A - 심지의 탄성 안내 장치를 구비한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 - Google Patents

심지의 탄성 안내 장치를 구비한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429A
KR20210019429A KR1020207034859A KR20207034859A KR20210019429A KR 20210019429 A KR20210019429 A KR 20210019429A KR 1020207034859 A KR1020207034859 A KR 1020207034859A KR 20207034859 A KR20207034859 A KR 20207034859A KR 20210019429 A KR20210019429 A KR 20210019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hair
reservoir
hairstyling
stra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키 쉘르
베르트랑 쿠에
팔마 프랑크 다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10019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vapor generation, e.g. steam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개시되며, 모발 타래와 접촉하게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를 갖는 스트레이트닝면(5), 액체 저장조(10), 가열 요소(21), 액체로 적셔지도록 저장조(10)와 연통하는 심지(13) - 상기 심지(13)는 가열 요소와 접촉하게 의도되는 원위 단부(16)와 저장조(10)의 액체를 공급받는 근위 단부(20) 사이에서 연장됨 -, 및 심지를 수동적 위치로부터 상기 심지가 증기 생성을 위해 가열 요소(21)와 접촉하는 능동적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심지(13)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심지(13)의 주연부와 원위 단부(16) 위치에서 접촉하는 탄성 안내 장치(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심지의 탄성 안내 장치를 구비한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
본 발명은 스트레이트너(straightener) 유형의, 헤어 스트레이트닝을 구현하기 위한 헤어스타일링 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 저장조와 액체로 적셔지는 심지와 상기 심지가 접촉하게 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증기 생성 시스템을 구비한 그러한 헤어스타일링 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출원 FR3053577에서 스트레이트닝 클램프 또는 스트레이트너 유형의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기기의 저장조 내에 포함된 액체를 증기 생성을 위해 가열 요소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심지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더욱 명확하게는, 심지는 저장조에 포함된 액체와 접촉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액체로 적셔지고 따라서 액체가 저장조에서 가열 요소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공지된 해법은 모발의 손질, 헤어스타일의 유지와 양태, 및 특히 그 유형의 기기로 실현할 수 있는 스트레이트닝 작업을 개선하고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증기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그러한 기기는 심지에 의해 가열 요소와 분리된 스트레이트닝 기기의 내부에 장착된 저장조를 포함한다. 심지 및 저장조는 사용자가 기기의 아암을 닫을 때, 즉 모발 타래를 스트레이트닝 할 때 자동적으로 증기 생성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가열 요소에 대하여 이동식으로 장착된다. 더욱 명확하게는, 사용자가 스트레이트닝 클램프를 닫으면, 그 결과 저장조 및 심지를 가열 요소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심지는 가열 요소와 접촉하게 되고, 이는 심지의 단부에 포함된 액체를 증발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며, 그 결과 그 후 모발로 분무되는 증기가 스트레이트닝 판들 내부에 위치한 오리피스들을 통하여 생성되게 된다.
그러한 기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에게 만족스럽지만, 특히 내구성이나 신뢰도 면에서 적지 않은 단점들을 갖는다. 실제로, 심지가 이동함에 따라, 즉 사용자가 기기의 아암을 닫을 때마다, 심지는 가열 요소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한 접촉 시에, 심지의 단부는 사용자가 가하는 힘뿐만 아니라 열에 의하여 압축되게 되는데, 즉 부분적으로 변형되게 된다. 더욱 명확하게는, 심지의 전체적인 길이는 감소하게 되는 반면 그 지름은 부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그로 인하여, 사용할수록 심지와 가열 요소 간의 접촉이 불량해지고 그 결과 증기 생성이 불량해진다. 그러므로 스트레이트닝 장치의 효율성이 감소하는데, 심지가 심히 압축되고, 심히 훼손되어 가열 요소에 더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증기 생성이 심지어 불가능하게 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신뢰성이 결여되고 내구성이 제한된다.
공지된 기기들의 또 다른 단점은 기기들을 관리하는 데 있다. 실제로, 가열된 액체(통상적으로 물)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심지 내에 물때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심지를 산성용액(예를 들어 식초)에 담금으로써 물때를 제거하기 위하여 심지를 장착해제하여야 한다. 그러나 심지의 유연성을 고려하면, 심지의 장착해제와 재장착 작업은 특히 성가시고 까다로울 것인데, 이는 심지를 장기간 사용한 것일수록,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심지가 이전에 압축되었던 경우 심지가 변형되어 있을 것이므로 더욱 그러하다. 그 결과 사용자는 물때 제거 후 심지를 재장착하는 순간 매우 큰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고, 나아가 심지가 지나치게 변형된 경우 재장착이 불가능하기까지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들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스트레이트닝용 기기를 사용함에 따른 심지의 압축을 방지함으로써, 특별히 신뢰할 만하고 내구성 강한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상 특히 단순하고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를 신속히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그 목적들은 모발 타래와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를 갖는 스트레이트닝면, 액체 저장조, 가열 요소, 액체로 적셔지도록 저장조와 연통하는 심지 - 상기 심지는 가열 요소와 접촉하게 되는 원위 단부와 저장조의 액체를 공급받는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됨 -, 및 상기 심지를 수동적 위치로부터, 증기 생성을 위해 상기 심지가 가열 요소와 접촉하는 능동적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심지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수단은 원위 단부 위치에서 상기 심지의 주연부와 접촉하는 탄성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명확하게는, 탄성 안내 장치는 축 방향 변형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고, 상기 축 방향 변형은 거의 심지의 축에 해당하는데, 이는 심지가 연장되는 방향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은 심지가 그것의 수동적 위치와 능동적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향이 따르는 축에 해당한다. 그와 같이, 탄성 안내 장치는 심지의 수직 방향을 따라 심지의 주연 표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자면, 증기 생성을 위해 가열 요소와 규칙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심지의 원위 단부는 심지 이동 방향과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현저히 유지되고 안내되는데, 이로써 심지의 압축 현상을 제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거할 수 있다. 반면에, 축 방향을 따른 안내 장치의 탄성을 고려할 때, 심지는 축 방향 이동과 축 방향 압축이 자유롭게 유지되며, 이로써 심지의 가열 요소와의 접촉이 특히 최적화될 수 있다. 나아가, 기기의 능동적 위치, 즉 증기를 생성하는 위치는 심지의 길이에 제약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수단은, 심지가 능동적 위치에서 맞대어 접촉하게 되는 기화판을 유리하게 포함하는 상기 가열 요소를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이 목적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에 따르면, 기기는 유리하게는 가열 요소의 온도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안내 장치는 저장조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통기성을 갖는데, 이는 심지를 통하여 저장조의 액체가 비워짐에 따른 감압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탄성 안내 장치는 나선형 용수철을 포함하고 상기 심지는 상기 용수철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단순하고, 견고하고 경제적인 어셈블리를 제안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용수철 지름은 2 mm 내지 8 mm이고 바람직하게는 4 mm 내지 6 mm이다. 용수철 이완 시의 길이는 15 mm 내지 45 mm이고 바람직하게는 25 mm 내지 35 mm이다.
그 외에,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나선형 용수철이 그 내부에 배치되는 심지대를 포함한다. 그러한 구성으로, 이후 설명될 바와 같이, 특히 용수철의 나선들 사이의 통기를 가능하게 하면서 특별히 정확하고 견고하며 신뢰성 있는 심지의 안내 장치를 수득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심지대는 저장조를 향한 통기 채널을 포함하는데, 이는 액체가 비워짐에 따른 저장조의 감압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안내 장치는 심지의 상기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심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그 외에, 상기 탄성 안내 장치는 상기 근위 단부와 접촉하게 되기에 적합한 제동장치를 포함하는데, 이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한편의 축 방향으로 심지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한다.
특별한 실시예로서, 그 자체로 하나의 발명을 구성할 수 있는 실시예에 따르면,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는 모발 타래와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를 갖는 스트레이트닝면, 액체 저장조, 가열 요소, 액체로 적셔지도록 저장조와 연통하는 심지, 및 심지를 수동적 위치로부터, 상기 심지가 증기 생성을 위해 가열 요소와 접촉하게 되는 능동적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심지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심지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복수의 가닥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닥들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자면, 심지는 복수의 실 또는 별개의 필라멘트들로 구성되고, 복수의 실 또는 필라멘트를 결합, 병치하고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어 케이블과 같은 방식으로 심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심지는 연속적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고 물질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각 가닥의 물리적 성질들은 그 가닥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심지의 물리적 성질들과는 상이하다. 유리하게는, 심지는 복수의 가닥을 포함하는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병치된 여러 다른 가닥으로 구성된다.
동일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가닥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가닥이다. 실시예는 특별히 열저항력이 강한 물질로 구성된 심지를 제안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심지에, 그리고 결과적으로 헤어스타일링 기기에 강한 내구성과 높은 신뢰성을 부여하게 될 것이다.
특정한 구성으로, 특히 심지 내에 배치하는 가닥의 개수에 따라 저장조로부터 가열 요소를 향하여 전송되는 액체의 유량을 변동할 수 있게 된다. 유리하게는, 가닥의 개수가 다수일수록 심지 내에 자유 공간이 매우 적어질 것이므로 유량은 적어질 것이다. 역으로, 가닥의 개수가 소수일수록 유량은 많아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심지는 14개의 가닥을 포함한다.
특히 유리하게는, 각각의 가닥들은 길이가 30 mm 내지 90 mm,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70 mm이고 각각의 상기 가닥은 길이가 2분의 1로 되도록 절첩된다. 유리하게는, 각 가닥의 길이는 약 60 mm이며, 따라서 그 가닥들을 절첩하면 길이가 30 mm인 심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닥들의 절첩 지점은 심지의 근위 단부를 형성하고 가닥들의 자유 단부는 원위 단부를 형성한다.
대안으로서,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본원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심지는 연속적이고 균질하며 모세관 현상에 의한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다공성인 물질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심지는 저장조와 연동되고, 안내 수단은 저장조 및 심지를 수동적 위치에서 능동적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는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제1 아암은 상기 스트레이트닝면을 포함하고 제2 아암은 지지면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아암은 상기 스트레이트닝면과 지지면이 서로 이격되고 모발 타래가 상기 스트레이트닝면과 지지면 사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이격 구성과, 상기 스트레이트닝면과 지지면이 서로 근접하여 있고 모발 타래가 클램핑되기에 적합한 근접 구성 사이에서 서로 관절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심지 및 탄성 안내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는 사용자의 작용하에 스트레이트닝면과 지지면 사이에 클램핑되는 모발 타래 상에 압력을 가하여 모발 타래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를 형성한다. 사용자가 심지의 종방향으로 기기를 병진이동시키면, 모발 타래 상의 압력과 이동이 결합된 효과로, "스트레이트너" 로 지칭되는 그러한 종류의 기기에서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모발 타래를 스트레이트닝하는데 기여한다.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바람직한, 그러나 비한정적인 실시예의 이후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목적하는 특성들을 명시한다. 상세한 설명은 도면에 기초한다.
도 1은 클램프 형태이고, 통상 "스트레이트너"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개요도이며, 기기는 근접 구성 상태이다.
도 2는 도 1의 기기의 중앙 종단면(P)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며, 기기는 이격 구성 상태이다.
도 3은 도 1의 기기의 중앙 종단면(P)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며, 기기는 근접 구성에 있다.
도 4는 도 1의 기기의 스트레이트닝면 및 지지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기기의 서브 어셈블리의 세부 사시도로서, 상기 서브 어셈블리는 본원 발명에 부합되는 심지대, 탄성 안내 장치 및 심지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5의 서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여러 어셈블리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세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특히 힌지 용수철(3) 및 피봇 연결부(7)를 포함하는 힌지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관절연결된, "조오(jaw)"라고도 지칭되는 제1 아암(2) 및 제2 아암(4)을 포함한다.
제1 아암(2)은 모발 타래와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를 갖는 스트레이트닝면(5)을 포함한다. 평면부라 함은 웨이브지거나 굴곡되지 않으며 표면적이 수 cm2, 예를 들어 적어도 2 cm2인 부분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평면부가 반드시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레이트닝면은 일반적으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모발 타래와 접촉하게 되는 스트레이트닝판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스트레이트닝면(5)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증기 확산 장치(15)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변형예들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인데, 예를 들어 스트레이트닝면은 톱니(teeth) 또는 피코(picot)들이 돌출되어 나오는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변형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스트레이트닝면은 평면부들(기판)과 톱니들 또는 브러쉬들을 교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톱니 또는 브러쉬들이 비평면 스트레이트닝면을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경우, 그리고 본원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는 불연속적일 것이나, 그것의 표면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하도록 여전히 2 cm2를 초과할 것이다. 평면부와 톱니들로 교대로 구성된 그러한 스트레이트닝면은 실제로 탁월한 스트레이트닝 성능을 나타내며, 모발 타래를 반드시 가압할 필요도 없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아암(4)은 그 자체도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리고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스트레이트닝판, 즉 평평한 면을 포함하는 지지면(6)을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지지면은 평평하지 않은 면, 또는 부분적으로 평평한 면,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톱니 또는 피코들을 포함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그 외에 스트레이트닝면 및/또는 지지면(5, 6)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다수의 가열 수단을 포함한다. 가열 수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원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가열 수단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이트닝면 및 지지면(5, 6)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동(22, 23) 내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정온도 계수 서미스터(PT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아암(2, 4)은 상기 스트레이트닝면(5)과 지지면(6)이 서로 이격되는, 도 2에 보이는 이격 구성과, 상기 스트레이트닝면(5)과 지지면(6)이 서로 근접한, 도 1 및 도 3에 보이는 근접 구성 사이에서 서로 관절연결되어 장착된다. 모발 타래가 상기 스트레이트닝면(5)과 지지면(6) 사이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이격 구성, 또는 개방된 위치는, 특히 힌지 용수철(3)이 존재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휴식 위치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역으로 기기의 휴식 위치에서 기기가 근접 구성, 또는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것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근접 구성에서 상기 스트레이트닝면(5) 및 지지면(6)은 모발 타래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제1 및 제2 아암(2, 4)은, 사용자가 상기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사용하는 동안, 특히 그 기기를 이격 구성에서 근접 구성으로 전환되게 하도록 기기를 조작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이트닝면(5) 및 지지면(6) 각각은 서로 대향하여 제1 및 제2 아암(2, 4)의 단부 근방에 위치하는데,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가 근접 구성일 때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제1 아암(2)은 전원 코드 도착부(200), 예를 들어 전기 코드를 포함한다. 전기 코드는 특히 기기의 하나 또는 다수의 가열 수단에 급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전원 코드 도착부(200)는 유리하게도 원위 및 근위의 표현에 대한 기준점을 구성하며, 따라서 "근위 단부" 표현은 상기 도착부(200) 측에 위치한 단부를 기준으로 하는 반면, 역으로 "원위 단부" 표현은 상기 도착부(200)의 반대편에 위치한 단부를 기준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액체 저장조(1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조(10)는 물로 충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조(10)는 세장형이고 X축을 따라 2개의 아암 중 하나, 예를 들어 제1 아암(2)의 연장 방향과 유사한 연장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저장조(10)는 본원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다른 모든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조(10)는 제1 아암(2) 내에 구비되는 하우징(8)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제1 아암(2)은 하우징(8) 내로 개방되고 저장조(10)의 통과를 위하여 마련된 통로 개방부, 및 폐쇄용 플랩(flap) 등의 폐쇄 요소(81)를 포함하고, 폐쇄 요소는, 폐쇄 요소(81)가 통로 개방부를 적어도 일부분 개방시키고 하우징(8) 내에 저장조(10)를 장착해제 또는 장착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요소(81)가 통로 개방부를 적어도 일부분 폐쇄하고 하우징(8) 내 저장조(10)의 장착해제 또는 장착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제1 아암(2) 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폐쇄 요소(81)는 도 2에서 폐쇄 위치로 도시되고 도 1 및 도 3에서 개방 위치로 도시되며, 예를 들어 플랩을 포함한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그 외에, 유리하게는 스트레이트닝면 하부에, 즉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하고,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아암(2)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열 요소(21)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가열 요소(21)는 한편으로는 기화판(17)을,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정온도 계수 서미스터(PTC) 등의 가열 수단을 포함하고, 이는 상기 기화판(17)을 열전도에 의해 가열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화판(17)은 X축과 수직으로 배향되는 원반을 포함한다. 가열 요소(21)는 경우에 따라 스트레이트닝면(5)도 가열할 수 있게 한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또한 저장조(10)와 연통하고 연동되는 심지(13)를 포함하며, 이로써 액체로 심지(13)를 적실 수 있다. 더욱 명확하게는, 그리고 여러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심지(13)는 가열 요소(21)와, 특히 기화판(17)과 접촉하게 되는 원위 단부(16)와, 저장조(10)로부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조와의 접촉 및/또는 저장조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액체를 공급받는 근위 단부(20) 사이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심지(13)는 원통형 심지이다. 다른 경로로 공지된 바와 같이, 심지의 원위 단부(16)가 가열 요소와 접촉하면, 심지가 함유한 액체(본원의 경우에는 물)가 증발하게 되고, 따라서 증기가 생성된 후 증기 확산 장치(15), 예를 들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된 설계에 따른 일련의 천공들을 향하여 전진한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심지(13)를 수동적 위치에서 능동적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동적 위치는 심지가 가열 요소(21)와 접촉하고 있지 않고 그 결과 물의 증발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자면, 수동적 위치에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증기를 생성하지 않는다. 능동적 위치는 심지가 가열 요소(21), 특히 기화판(17)과 접촉하고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심지에 함유된 물은 증발될 수 있고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된 메커니즘에 따라 증기를 생성할 수 있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또한 도 5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조(10) 상에 고정식(연동식)으로 그러나 탈부착 가능(분해가능)하게 장착되고 심지(13)를 수용(또는 지지 또는 유지)하게 되는, 심지(13) 안내 수단 및 특히 심지대(14)라고도 지칭하는 관형 부품(14)도 포함한다. 더욱 특별하게는, 심지대(14)는 X축을 따라 심지대(1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특히 심지(13)를 수용하게 되어 있는 내부 구멍(141)을 포함한다.
심지(13) 안내 수단은 심지를 수동적 위치(증기 생성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증기 생성을 위해 상기 심지(13)가 기화판(17)과 접촉하는 능동적 위치(증기 생성을 허용하는 위치)로, 또 그와 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저장조(10) 및 심지대(14)는 제1 아암(2)의 내부에 슬라이딩 연결에 의해 장착되는데, 이는 상기 요소들 및 심지(13)가 종축(X)을 따라 병진 이동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셈블리(저장조(10), 심지대(14) 및 심지(13))를, 심지(13)의 원위 단부(16)가 기화판(17)과 맞닿게 되어 증기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능동적 위치로부터 심지(13)의 원위 단부(16)가 상기 기화판(17)에서 이격되는 수동적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심지(13)가 수동적 위치에 있을 때, 원위 단부(16)는 가열 요소(21)로부터, 특히 기화판(17)으로부터 3 mm 내지 10 mm의 거리로 이격되고, 이는 증기 생성의 완전한 중단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동적 위치와 능동적 위치를 분리하는 행정은 5 mm 내지 15 mm이고, 유리하게는 거의 10 mm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사용자에 의해 이격 구성에서 근접 구성으로 전환될 때, 즉 개방 위치에서 폐쇄 및 모발 타래의 클램핑 위치로 전환될 때, 캠(9)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캠(9)은 저장조(10)를 X축을 따라 병진이동하도록 추진시키고,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심지(13)를 능동적 위치가 되게 한다.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가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근접 구성이 되게 하면, 즉 사용자가 모발 타래를 클램핑하면, 심지(13)는 자동적으로 능동적 위치로 이동하고 증기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기기는 증기를 생성하며 기기가 근접 구성 또는 폐쇄 구성에 있는 한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기기를 이격 구성으로 복귀시키는 즉시, 즉 사용자가, 예를 들어 그의 모발 타래의 스트레이트닝 주기가 종료되었으므로, 모발 타래 상의 가압을 중단하고 기기를 개방하면, 기기를 개방하게 되는 힌지 용수철(3)의 효과로, 전술한 운동의 역운동으로 인하여, 수동적 위치로 복귀할 것이고 증기 생성이 중단될 것이다.
심지(13) 안내 수단은 그 외에 바람직하게는 나선형인 용수철과 같은 탄성 안내 장치(18)를 포함하며, 그러한 장치는 심지(13)의 원위 단부(16) 위치에서 심지(13)의 주연부, 즉 심지(13)의 외면과 접촉한다. 더욱 명확하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13)는 용수철(18)의 내부에, 심지의 단면적이 용수철(18)의 단면적에 의해 제약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아암(2, 4) 중 적어도 하나의 아암-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경우 제1 아암(2)-은 심지(13) 및 탄성 안내 장치(18)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수철(18)은 심지(13)의 원위 단부(16)와 근위 단부(20) 사이에서 연장되고, 즉 심지(1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따라서 심지(13)의 완벽한 안내 및 유지를 실현한다. 다시 말하자면, 탄성 안내 장치-본원의 경우 용수철(18)-는 심지(13)의 주연부와 심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수철 이완 시의 길이는 거의 30 mm이고, 그 길이는 심지(13)의 바람직한 길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심지의 일부만, 특히 적어도 그 심지의 원위 단부(16)만 용수철 내로 삽입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심지(13)의 단면은 원형이며 심지(13)의 지름에 거의 해당하는 용수철(18)의 내경은 거의 5 mm이다. 따라서, 심지(13)를 감싸는 용수철(18) 덕분으로 심지는 단면적이 고정된 부피 내에 제약되고, 따라서 방사상 방향으로, 즉 X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압축 및/또는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에, 심지(13)가 내부에서 유지되는 부피는 축 방향으로, 즉 X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다시 말하자면, 그 구성으로 심지(13)를 지름이 일정한 부피 내에 포함(즉 제약)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지름은 거의 5 mm이고, 이는 심지(13)의 위치(수동적 위치 또는 능동적 위치) 및 상태(습성 또는 건성)와 상관없다. 실제로, 심지어 액체로 심지가 적셔진 상태에 있을 때에도, 이는 자연적으로 심지의 지름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데도, 그리고 기화판(17)과 수 회 접촉(이는 심지를 압축하는 경향이 있음)한 후에도, 심지(13)의 지름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된다. 나아가, 심지(13)의 사이즈 특성들은 시간이 지나도, 심지어 수많은 사용 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로써 기기가 기화판에 의한 증기 생성 단계에 있거나 이하 설명될 잠금 시스템의 단계에 있거나 상관없이 기기의 양호한 작동에 대한 장해가 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심지(13)는 용수철(18) 내부에 타이트하게 장착되고 그 결과 용수철 내부(18)에서 부동화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서브 어셈블리에 따라 기기를 분해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기기의 유지 및 특히 심지(13)의 세척이 이후 설명될 바와 같이 용이해진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용수철(18)은 심지(13)의 근위 단부(20)와 접촉하게 되도록 적용된 제동장치(181)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동장치(181)는 용수철(18) 반경을 형성하도록 절첩된 용수철(18)의 나선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동장치(181)는 상기 심지(13)의 축 방향 병진 운동을 따른 자유도를 제한하도록, 용수철(18) 내부에 위치된 심지(13)의 이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심지(13)가 기화판(17)을 누를 때 심지(13)는 소위 제동장치(181)에 의해 저장조 내로 침투하는 것이 저지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수철(18) 및 심지(13)는 2개 모두 심지대(14) 내부에, 그리고 특히 X축을 따라 내부 구멍(141) 내에, 예를 들어 슬라이딩 연결 원리 또는 슬라이딩 피벗 원리에 의해 장착되도록 되어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심지대(14)의 길이, 또는 더욱 명확하게는 용수철(18)이 들어있는 내부 구멍(141)의 길이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능동적 위치에 있을 때 용수철이 수 밀리미터로,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5 mm로 억제(즉, 압축)되도록 고안된다. 그 결과, 그리고 전술했던 바와 같이, 심지(13) 또한 마찬가지로 억제된다. 다시 말하자면, 심지(13) 및 용수철(18)은 2개 모두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능동적 위치에 있을 때 수 밀리미터로 압축되고, 이로써 심지(13)의 원위 단부(16)와 기화판(17) 사이의 접촉이 최적화될 수 있고 그 결과 증기 생성을 개선한다. 역으로, 기기가 수동적 위치로 전환되면, 심지 및 용수철은 (휴식 위치로) 이완된다. 다시 말하자면, 용수철(18) 및 심지(13)는 심지대(14)의 내부 구멍(141)의 내부에서 X축 병진이동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심지(13)의 그러한 압축으로, 능동적 위치로 전환 시에, 심지대(14) 내에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할 수 있게 하는 펌핑 효과가 헤어스타일링 기기에 현저히 부여되며, 그 결과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공기가 펌핑 효과에 의해 신속히 제거됨으로써, 저장조(10)와 기화판(17) 사이의 액체 전송이 신속히 실시되고, 이로써 증기를 더욱 신속히 생산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대기시간 및 공지된 종래 기술에 따른 기기들에서 필요한 프라이밍(priming) 현상을 최소화한다. 게다가, 심지대(14) 내에서의 심지(13) 및 용수철(18)의 반복 병진운동으로써 물때의 형성을 제한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물때가 심지(13) 및 용수철(18)이 운동함에 따라 제거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어셈블리, 즉 용수철(18) 내부에 배치된 심지(13) 및 그 자체가 심지대(14) 내에 배치된 용수철(18)은, 축 방향 이동시(사용자가 증기 수득을 위하여 저장조(10)를 가압할 때), 저장조(10)의 공기 주입을 허용하면서도, 심지(13)와 저장조(10)의 우수한 안내 및 유지를 보장할 수 있다. 실제로, 심지(13)를 이용하여 저장조(10)에 포함된 액체를 가열 요소까지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저장조(10)에서 감압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다시 말하자면, 저장조에서 액체가 비워짐에 따라 저장조 내부에서 압력이 급감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저장조(10)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원 발명에 의해 제안된 조립체는, 그리고 특히 심지(13)와 심지대(14) 사이의 용수철(18)의 존재는 용수철(18)의 나선을 따라 공기가 순환할 수 있게 하여, 그 결과 심지(13)와 심지대(14) 사이에서 저장조의 내부까지 순환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심지(13)를 이용한 액체의 양호한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심지대(14)의 내부 구멍(141)은 저장조를 향한 통기용 채널(142)을 포함하고, 채널은 유리하게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X축을 따라 상기 내부 구멍(141)의 하나 또는 다수의 주연 그루브로 형성된다. 심지(13)를 포함하는 용수철(18)의 덕분으로 상기 그루브들은 심지(13)에 의해 폐쇄될 수 없고, 이는 심지어 심지(13)가 액체로 적셔졌을 때에도 그와 같이 저장조에 양호한 공기 주입을 보장하며 그 결과 저장조에 포함된 액체가 심지(13)를 통하여 양호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저장조(10), 심지대(14), 심지(13) 및 용수철(18)로 형성된 어셈블리는 저장조(10)에서 탈부착 가능하며, 이로써 저장조에 액체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조(10) 상의 개방부(11)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심지대(14)와 저장조를 조립하기 위하여 아무 조립수단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대의 바닥부(19)에 위치한 바요넷 시스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폐쇄 요소를 개방하고, 그 후 저장조(10)를 제거하고 이어서 심지대(14), 용수철(18) 및 심지(13)로 구성된 서브 어셈블리를 분리함으로써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용이하게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제2 단계로, 사용자는 심지대(14)와 그것이 포함하는 요소들{심지(13) 및 용수철(18))을, 예를 들어 그것들의 세척을 위하여 분리할 수 있다.
그 외에, 심지(13)의 취급과 유지 작업들, 특히 예를 들어 심지를 식초에 침지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된 방법을 따른 물때 제거 작업은, 심지(13)가 방사상으로 견고한 몸체-본원의 경우 용수철(18)-로 감싸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의하여 매우 용이해진다. 더욱 명확하게는, 심지(13)가 용수철(18)에 의해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심지(13)를 훼손할 염려없이 손가락으로 용수철(18) 및 심지(13)의 서브 어셈블리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서브 어셈블리의 견고성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서브 어셈블리의 분해 작업 및 특히 심지대(14)의 내부 구멍(141) 내로의 재장착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수철(18)은 심지(13)가 X축을 따라, 그러나 방사상으로는 변형되지 않고, 압축될 수 있게 하며, 이로써 잠금/풀림 시스템의 기능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실제로, 용수철(18) 및 심지(13)의 축 방향 이동을 고려하면, 용수철 및 심지가 일단 기화판(17)과 접촉할 때, 축방향으로 이동 및/또는 압축될 수 있게 될 것이고, 이는 심지어 저장조(10)가 X축을 따라 다소 이동하는 경우에도 해당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저장조(10)의 경로에 비해 길이가 매우 길 것인 심지와 연관된 저지 효과는 있을 수 없다. 그 결과, 헤어 스타일링 기기(1)의 조작은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여겨질 것이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본원 발명 자체의 본질을 취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다른 변형예들이, 특히 탄성 안내 장치의 구현 및 배치 면에서, 혹은 심지 자체의 구성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5)

  1.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이며, 모발 타래와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를 갖는 스트레이트닝면(5), 액체 저장조(10), 가열 요소(21), 액체로 적셔지도록 저장조(10)와 연통하는 심지(13) - 상기 심지(13)는 가열 요소(21)와 접촉하게 되는 원위 단부(16)와 저장조(10)의 액체를 공급받는 근위 단부(20) 사이에서 연장됨 -, 및 심지를 수동적 위치로부터, 상기 심지가 증기 생성을 위해 가열 요소(21)와 접촉하는 능동적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심지(13)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심지(13)의 주연부와 원위 단부(16) 위치에서 접촉하는 탄성 안내 장치(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안내 장치(18)는 통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안내 장치(18)는 나선형 용수철을 포함하고, 상기 심지(13)는 상기 용수철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4. 제3항에 있어서, 용수철의 지름은 2 mm 내지 8 mm이고 바람직하게는 4 mm 내지 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용수철의 이완 시의 길이는 15 mm 내지 45 mm이고 바람직하게는 25 mm 내지 3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내부에 상기 나선형 용수철이 배치되는 심지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7. 제6항에 있어서, 심지대(14)는 저장조(10)를 향하는 통기용 채널(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안내 장치(18)는 심지(13)의 상기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16,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안내 장치(18)는 상기 근위 단부(20)와 접촉하게 되도록 적용된 제동장치(1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13)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복수의 가닥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닥들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닥은 유리 섬유 가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닥은 길이가 30 mm 내지 90 mm,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70 mm이며, 각각의 상기 가닥은 길이의 2분의 1 길이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닥들의 절첩 지점은 근위 단부(20)를 형성하는 반면, 가닥들의 자유 단부는 원위 단부(1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지(13)는 저장조(10)와 연동되고, 안내 수단은 저장조(10) 및 심지(13)를 수동적 위치에서 능동적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기는 제1 아암(2) 및 제2 아암(4)을 포함하고, 제1 아암(2)은 상기 스트레이트닝면(5)을 포함하고 제2 아암(4)은 지지면(6)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아암(2, 4)은, 상기 스트레이트닝면(5)과 지지면(6)이 서로 이격되고 모발 타래가 상기 스트레이트닝면과 지지면(5, 6) 사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이격 구성과, 상기 스트레이트닝면과 지지면(5, 6)이 서로 근접하고 모발 타래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한 근접 구성 사이에서 서로 관절연결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아암(2, 4) 중 적어도 하나는 심지(13) 및 탄성 안내 장치(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KR1020207034859A 2018-06-12 2019-06-07 심지의 탄성 안내 장치를 구비한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 KR20210019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5136A FR3082106B1 (fr) 2018-06-12 2018-06-12 Appareil de coiffure pour le lissage des cheveux equipe d'un dispositif de guidage elastique d'une meche
FR1855136 2018-06-12
PCT/EP2019/065022 WO2019238581A1 (fr) 2018-06-12 2019-06-07 Appareil de coiffure pour le lissage des cheveux equipe d'un dispositif de guidage elastique d'une mech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429A true KR20210019429A (ko) 2021-02-22

Family

ID=6368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859A KR20210019429A (ko) 2018-06-12 2019-06-07 심지의 탄성 안내 장치를 구비한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806693B1 (ko)
KR (1) KR20210019429A (ko)
CN (1) CN110584294A (ko)
ES (1) ES2910351T3 (ko)
FR (1) FR3082106B1 (ko)
WO (1) WO20192385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8984A (ja) * 2004-01-19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ーアイロン
FR3053577B1 (fr) * 2016-07-06 2018-07-13 Seb S.A. Appareil de coiffure a vapeur
FR3055195B1 (fr) * 2016-09-01 2018-08-10 Seb S.A. Appareil de coiffure equipe d'un dispositif de declenchement d'une unite de comp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82106A1 (fr) 2019-12-13
ES2910351T3 (es) 2022-05-12
EP3806693A1 (fr) 2021-04-21
WO2019238581A1 (fr) 2019-12-19
CN110584294A (zh) 2019-12-20
FR3082106B1 (fr) 2020-05-08
EP3806693B1 (fr)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776B1 (ko) 심지의 탄성 가이딩 장치를 구비한 헤어스타일링 기기
JP6695279B2 (ja) トリートメント表面を介してスチームを使用し、くしを備える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CN104883925B (zh) 用于处理头发的装置
WO2003061425A1 (en) Hair iron
JP5491401B2 (ja) 毛髪の蒸気処理のための携帯用装置
DE3823333C2 (ko)
JP6025320B2 (ja) 蒸気整髪機器
US10617189B2 (en) Hair iron
EP3031348A1 (en) Hair care device
CN109953464B (zh) 限制蒸汽的处理头发的装置
CA1317623C (en) Curling iron having flattened heating tube and depressions in selected surfaces
KR20210019429A (ko) 심지의 탄성 안내 장치를 구비한 헤어 스트레이트닝용 헤어스타일링 기기
JP7038696B2 (ja) 可動式流体リザーバを有するヘアスタイリングアプライアンス
ES2880373T3 (es) Aparato de peluquería a vapor
WO2014132297A1 (ja) くし付きヘアアイロン
JP2022512452A (ja) 蒸気整髪装置用の掛止装置を備えたタンク
CN210144045U (zh) 用于处理头发的装置
JP5752717B2 (ja) 毛髪スタイリング装置
KR20040070098A (ko) 헤어드레싱 장치 및 가열 롤러 세트
RU27765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лос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чностью
CA2721562A1 (en) Wet/dry curling i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