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307A -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307A
KR20210019307A KR1020190098345A KR20190098345A KR20210019307A KR 20210019307 A KR20210019307 A KR 20210019307A KR 1020190098345 A KR1020190098345 A KR 1020190098345A KR 20190098345 A KR20190098345 A KR 20190098345A KR 20210019307 A KR20210019307 A KR 2021001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status report
wireless communication
erro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재
김성준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307A/ko
Priority to US16/991,658 priority patent/US11757574B2/en
Priority to CN202010805968.7A priority patent/CN112398599A/zh
Publication of KR2021001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8List acknowledgements,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consisting of a list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04L1/1678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where the control information is for timing, e.g.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1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1 상태 보고를 송신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2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 중 상기 제2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OPER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SIGNAL RETRANSMISSION USING STATUS REPORT AND OPER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ARQ(Automatic Repeat reQuest)는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기 위한 전송 프로토콜로써, 에러 패킷을 검출하면 상태 보고(Status Report)를 통해 에러 패킷에 대한 정보를 송신기에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송신기는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에러 패킷을 확인하고, 에러 패킷을 수신기에 재전송한다.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는 ARQ에 에러 패킷을 활용하기 위한 채널 코딩을 추가하여 상위 계층의 시간지연 문제를 개선한 전송방식으로서 HSPA 및 LTE 등의 다양한 이동 통신 표준에 사용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태 보고 전송 후 상태 보고 제한 시간에 에러 패킷을 검출하는 경우, 상태 보고 금지 기간에도 불구하고 검출된 에러 패킷에 대한 상태 보고를 재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1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1 상태 보고를 송신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2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 중 상기 제2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패킷 유닛 및 제2 패킷 유닛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패킷 유닛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1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패킷 유닛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2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태 보고에 포함된 제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2 상태 보고에 포함된 제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에러 패킷 및 상기 제2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1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1 상태 보고의 전송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상태 보고 제한 시간 내에 상기 제1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 보고는 상기 제1 상태 보고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 보고는 상기 제2 상태 보고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제2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태 보고 금지 기간 중이라도 에러 패킷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된 에러 패킷에 대한 상태 보고를 즉시 전송함으로써 ARQ에 대한 레이턴시가 감소하고, 효율적인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재전송 패킷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태 보고의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5G(5th generation wireless)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Advanced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또는 다른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은 5G 시스템 및/또는 LTE 시스템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되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10) 및 사용자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Base Station; BS)(10)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지칭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 및/또는 타 기지국과 통신함으로써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0)은 Node B, eNB(evolved-Node 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AP(Access P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10) 또는 셀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 RRH, RU, 스몰 셀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20)는 무선 통신 기기로서,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기지국(10)과 통신하여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기기(20)는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20) 및 기지국(10) 사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가용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통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 등과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으로 정보가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20) 및 기지국(101)은 상향링크(uplink; UL)(4) 및 하향링크 (downlink; DL)(2)를 통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LTE 시스템, LTE-Advanced 시스템과 같은 무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4) 및 하향링크(2)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 제어 정보가 송신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은 신호 프로세서(100), 송수신기(210) 및 안테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기(210)는 필터, 믹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 및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10)는 안테나(220) 및 하향링크(2)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기(210)는 신호 프로세서(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예컨대 믹서를 통해서 기저대역(baseband)으로부터 RF(Radio Frequency) 대역으로 시프트할 수 있고, 시프트된 신호를, 예컨대 전력 증폭기를 통해서 증폭하여 안테나(2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210)는 상향링크(4) 및 안테나(220)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신호 프로세서(100)에 처리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기(210)는 안테나(220)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예컨대 저잡음 증폭기를 통해서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를, 예컨대 믹서를 통해서 RF 대역으로부터 기저 대역으로 시프트할 수 있고, 시프트된 신호를 신호 프로세서(100)에 제공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00)는 RLC(Radio Link Control) 블록(110), MAC(Medium Access Control) 블록(120), PHY(physical) 블록(130), ARQ 매니저(140) 및 HARQ 매니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LC 블록(110), MAC 블록(120) 및 PHY 블록(130) 각각은 무선 통신 시스템(1)의 RLC 계층, MAC 계층 및 PHY 계층(또는 물리 계층)에 대응하는 동작들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RLC 블록(110)은 ARQ(Automatic Repeat and request)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LC 블록(110)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하고, MAC 블록(120)이 수행하는 HARQ 과정에서 순서가 뒤바뀐 RLC PDU들의 순서를 재정렬할 수 있다.
MAC 블록(120)은 로직-채널 멀티플렉싱,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재전송, 상향링크(4)와 하향링크(2)의 스케줄링 및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HY 블록(130)은 하향링크(2)를 위하여, MAC 블록(120)으로부터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을 수신할 수 있고, CRC(Cyclic Redundancy Correction) 삽입, 인코딩,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스크램블링(scrambling), 변조(modulation) 및 안테나 맵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도 1에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RLC 블록(110), MAC 블록(120) 및 PHY 블록(130) 중 적어도 두 개는 하나의 블록 단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신호 프로세서(100)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블록을 더 포함하고, PDCP 블록은 IP 헤더 압축/복원, 비화/역비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RQ 매니저(140)는 RLC 블록(110) 을 제어함으로써 ARQ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0)이 패킷의 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 ARQ 매니저(140)는 RLC 블록(110)을 제어함으로써 수신 패킷 중 에러 패킷을 검출하고, 검출된 에러 패킷에 대한 정보를 상태 보고(Status Report)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ARQ 매니저(140)는 RLC 블록(110), MAC 블록(120) 및 PHY 블록(130)을 제어함으로써 생성된 상태 보고를 사용자 기기(20)에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20)는 상태 보고를 기초로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0)이 패킷의 송신기로 동작하는 경우, ARQ 매니저(140)는 수신한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RLC 블록(110)을 제어함으로써 에러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
HARQ 매니저(150)는 MAC 블록(120) 및 PHY 블록(130)을 제어함으로써 HARQ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ARQ 매니저(150)는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된 패킷들에 대해 ACK(Acknowledged)/NACK(Not Acknowledged) 신호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00)가 상태 보고에 따라서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면, 중복 재전송을 막기 위해 일정기간 상태 보고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 보고 금지 기간(Status Report Prohibit Time) 동안에 신호 프로세서(100)가 에러 패킷을 검출하더라도 상태 보고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신호 프로세서(100)는 패킷의 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 에러 패킷을 검출하면 상태 보고 금지 기간 동안이라도 상태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프로세서(100)는 상태 보고에 상태 보고가 전송되는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시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프로세서(100)가 패킷의 송신기로 동작하는 경우, 상태 보고를 수신하면,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에 수신한 상태 보고와 최근 수신한 상태 보고를 병합하고, 병합된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에러 패킷을 재전송함으로써 에러 패킷에 대한 중복 전송을 막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20)는 신호 프로세서(230), 송수신기(410) 및 안테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410)는 하향링크(2) 및 안테나(420)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안테나(420) 및 상향링크(4)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10)과 유사하게, 사용자 기기(20)의 신호 프로세서(300)는 RLC 블록(310), MAC 블록(320),PHY 블록(330), ARQ 매니저(340) 및 HARQ 매니저(350)을 포함할 수 있고, RLC 블록(310), MAC 블록(320) 및 PHY 블록(330)은 무선 통신 시스템(1)의 RLC 계층, MAC 계층 및 PHY 계층에 대응하는 동작들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ARQ 매니저(340)는 RLC 블록(310) 을 제어함으로써 ARQ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기기(20)이 패킷의 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 ARQ 매니저(340)는 RLC 블록(310)을 제어함으로써 수신 패킷 중 에러 패킷을 검출하고, 검출된 에러 패킷에 대한 정보를 상태 보고(Status Report)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ARQ 매니저(340)는 RLC 블록(310), MAC 블록(320) 및 PHY 블록(330)을 제어함으로써 생성된 상태 보고를 기지국(10)에 출력할 수 있고, 기지국(10)은 상태 보고를 기초로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20)가 패킷의 송신기로 동작하는 경우, ARQ 매니저(340)는 수신한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RLC 블록(310)을 제어함으로써 에러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
ARQ 매니저(340)의 동작은 기지국(10)에 포함된 ARQ 매니저(140)의 동작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무선 통신 장치가 패킷의 수신기로 역할 하는 경우, ARQ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기기(20))는 송신기로부터 제1 패킷 유닛을 수신할 수 있다(S110). 본 명세서에서, 패킷 유닛은 복수의 패킷들을 포함하는 패킷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패킷 유닛에 포함된 패킷 중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0). 본 명세서에서 에러 패킷은 수신되지 못한 패킷, 에러 정정(예를 들면, ECC(Error Correcting Code))를 이용하여 정정되지 못하는 패킷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패킷 유닛에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제1 패킷 유닛에 포함된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S130).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보고에 제1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 및 에러 패킷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패킷 유닛에 에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패킷 유닛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상태 보고 제한 시간 내에 제2 패킷 유닛을 수신하면(S140), 제2 패킷 유닛에 포함된 패킷 중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50). 일 예시에서, 상태 보고 제한 시간은 제1 상태 보고를 전송한 이후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이 도과될 때까지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패킷 유닛에 포함된 패킷 중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상태 보고 제한 시간 이내라도, 제2 패킷 유닛에 포함된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S160).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상태 보고에 제2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 및 에러 패킷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에러 패킷을 검출하는 경우, 상태 보고 제한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상태 보고를 전송함으로써 에러 패킷을 빠른 시간 내에 재수신할 수 있고, 신호 송수신 레이턴시가 감소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무선 통신 장치가 패킷의 송신기로 역할 하는 경우, 상태 보고를 기초로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기기(20))는 제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S210).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제1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에러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S220).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S230).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제2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에러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S240).
일 예시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기초로 제2 상태 보고가 제1 상태 보고를 기점으로 하는 상태 보고 제한 시간 내에 발생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상태 보고가 상태 보고 제한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보고 및 제2 상태 보고 중 중복되는 요청을 제외한 뒤 새로운 상태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기초로 제2 상태 보고에 따른 에러 패킷 재전송이 이미 수행됐는지 판단할 수 있고, 이미 수행되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보고 및 제2 상태 보고 중 중복되는 요청을 제외한 뒤 새로운 상태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태 보고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에러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태 보고 제한 시간에 무관하게 상태 보고를 송신하더라도,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해야 할 에러 패킷을 스케쥴링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에러 패킷의 중복 전송이 방지되고, 신호 송수신의 레이턴시가 감소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송신기(11)와 수신기(12)가 ARQ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시점(t1)에서, 송신기(11)는 제1 패킷 유닛(PDU1)을 수신기(21)에 전송할 수 있다(T110). 제1 패킷 유닛(PDU1)은 제1 패킷(P0) 내지 제8 패킷(P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점(t2)에서, 수신기(21)는 제1 패킷 유닛(PDU1)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1 패킷 유닛(PDU1) 중 제4 패킷(P3)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T120). 수신기(21)는 제4 패킷(P3)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송신기(11)에 전송할 수 있고, 제1 상태 보고(SR1)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송신하는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제2 시점(t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점(t3)에서, 송신기(11)는 제2 패킷 유닛(PDU2)을 수신기(21)에 전송할 수 있다(T130). 제2 패킷 유닛(PDU2)은 제9 패킷(P8) 내지 제16 패킷(P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시점(t4)에서, 송신기(11)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수신하고, 제1 상태 보고(SR1)에 대응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제4 패킷(P3)을 제3 패킷 유닛(PDU3)에 포함시켜서 수신기(21)에 재전송할 수 있다(T140).
제5 시점(t5)에서, 수신기(21)는 제2 패킷 유닛(PDU2)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2 패킷 유닛(PDU2) 중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T150). 제4 시점(t4)은 제1 상태 보고(SR1)를 출력한 제2 시점(t2)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으로 결정되는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될 수 있다. 제5 시점(t5)이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수신기(21)는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송신기(11)에 전송할 수 있고, 제2 상태 보고(SR2)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송신하는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제5 시점(t5)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시점(t6)에서, 송신기(11)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수신하고, 제2 상태 보고(SR2)에 대응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제3 패킷 유닛(PDU3)에 포함시켜서 수신기(21)에 재전송할 수 있다(T160).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5은 무선 통신 장치가 패킷의 송신기로 역할 하는 경우, 상태 보고를 기초로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기기(20))는 제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S310).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제1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에러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S320).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S330).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에러 패킷은 이미 재전송 하였으므로, 제2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제2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에러 패킷 만을 재전송할 수 있다(S240).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송신기(11)와 수신기(12)가 ARQ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시점(t1)에서, 송신기(11)는 제1 패킷 유닛(PDU1)을 수신기(21)에 전송할 수 있다(T210). 제1 패킷 유닛(PDU1)은 제1 패킷(P0) 내지 제8 패킷(P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점(t2)에서, 수신기(21)는 제1 패킷 유닛(PDU1)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1 패킷 유닛(PDU1) 중 제4 패킷(P3)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T220). 수신기(21)는 제4 패킷(P3)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송신기(11)에 전송할 수 있고, 제1 상태 보고(SR1)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송신하는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제2 시점(t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점(t3)에서, 송신기(11)는 제2 패킷 유닛(PDU2)을 수신기(21)에 전송할 수 있다(T230). 제2 패킷 유닛(PDU2)은 제9 패킷(P8) 내지 제16 패킷(P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시점(t4)에서, 송신기(11)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수신하고, 제1 상태 보고(SR1)에 대응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제4 패킷(P3)을 제3 패킷 유닛(PDU3)에 포함시켜서 수신기(21)에 재전송할 수 있다(T240).
제5 시점(t5)에서, 수신기(21)는 제2 패킷 유닛(PDU2)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2 패킷 유닛(PDU2) 중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T250). 제4 시점(t4)은 제1 상태 보고(SR1)를 출력한 제2 시점(t2)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으로 결정되는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될 수 있다. 제5 시점(t5)이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수신기(21)는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송신기(11)에 전송할 수 있고, 제2 상태 보고(SR2)는 제5 시점(t5)에서 발생한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 뿐만 아니라, 제2 시점(t2)에서 발생한 제4 패킷(P3)에 대한 정보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제6 시점(t6)에서, 송신기(11)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수신하고, 제2 상태 보고(SR2)에 대응하여 시간 정보를 기초로 재전송에 필요한 패킷을 판단할 수 있다. 제4 패킷(P3)의 경우, 이미 재전송이 완료되었으므로, 송신기(11)는 재전송이 필요한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제3 패킷 유닛(PDU3)에 포함시켜서 수신기(21)에 재전송할 수 있다(T260).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재전송 패킷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7a를 참조하면, 송신기(도 4, 11)는 수신기(도 4, 21)로부터 제2 시점(t2)에 대응된 제4 패킷(P3)을 포함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4 패킷(P3)을 제1 패킷 유닛(PDU1)에 포함시켜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제5 시점(t5)에 대응된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제2 패킷 유닛(PDU2)에 포함시켜 재전송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제1 넘버(n1)에 대응된 제4 패킷(P3)을 포함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4 패킷(P3)을 제1 패킷 유닛(PDU1)에 포함시켜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제2 넘버(n2) 에 대응된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SR1)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제2 패킷 유닛(PDU2)에 포함시켜 재전송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제2 시점(t2)에 대응된 제4 패킷(P3)을 포함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4 패킷(P3)을 제1 패킷 유닛(PDU1)에 포함시켜 재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는 제2 시점(t2)에 대응된 제4 패킷(P3), 제5 시점(t5)에 대응된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기는 제2 시점(t2) 및 제5 시점(t5)에 기초하여 제4 패킷(P3)은 이미 재전송을 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고,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제2 패킷 유닛(PDU2)에 포함시켜 재전송 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송신기는 통신망의 영향으로 수신기로부터 제2 시점(t2)에 대응된 제4 패킷(P3)을 포함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수신하지 못하고, 제2 시점(t2)에 대응된 제4 패킷(P3), 제5 시점(t5)에 대응된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기는 제2 시점(t2) 및 제5 시점(t5)에 기초하여 제4 패킷(P3)은 재전송하지 않았음을 판단할 수 있고, 제4 패킷(P3),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제2 패킷 유닛(PDU2)에 포함시켜 재전송 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제2 시점(t2)에 대응된 제4 패킷(P3)을 포함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4 패킷(P3)을 제1 패킷 유닛(PDU1)에 포함시켜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제5 시점(t5)에 대응된 제4 패킷(P3),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수신할 수 있다. 비록, 제4 패킷(P3)은 제1 패킷 유닛(PU1)에 포함시켜 재전송하였으나, 제2 상태 보고(SR2)에 포함된 제4 패킷(P3)에 대응되는 시간은 제4 시점(t5)으로써 제1 상태 보고(SR1)에 대응되는 시간과 상이하므로, 송신기는 제2 상태 보고(SR2)에 대응하여 제4 패킷(P3),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제2 패킷 유닛(PDU2)에 포함시켜 재전송할 수 있다. 도 7f를 참조하면,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제2 시점(t2)에 대응된 제4 패킷(P3)을 포함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4 패킷(P3)을 제1 패킷 유닛(PDU1)에 포함시켜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제7 시점(t7)에 대응된 제10 패킷(P9) 및 제12 패킷(P11)을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7 시점(t7)은 상태 보고 제한 시간 이후의 시간이므로, 송신기는 제2 상태 보고(SR2)에 대응하여 제4 패킷(P3) 및 제12 패킷(P11)을 제2 패킷 유닛(PDU2)에 포함시켜 재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태 보고의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태 보고(SR)는 해당 계층에서 전송을 위해 만들어진 데이터(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rotocol data unit), PDU)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신기는 성공적으로 수신한 데이터의 시리얼 넘버를 상태 보고(SR)의 ACK_SN 필드(F1)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수신기는 데이터의 시리얼 넘버를 상태 보고(SR)의 NACK_SN 필드(F2)에 삽입하여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태 보고(SR)는 제어 PDU 종류 정보(control PDU type; CPT) 필드(F_CPT)를 포함할 수 있고, CPT 필드는 제어 PDU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보고(SR)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Info_t)를 CPT 필드(F_CPT)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CPT 필드(F_CPT)는 시간 정보(Info_t) 대신 상태 보고(SR)의 순차적인 번호를 나타내는 넘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무선 통신 장치가 패킷의 수신기로 역할 하는 경우, 상태 보고 재전송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기기(20))는 송신기로부터 제1 패킷 유닛을 수신할 수 있다(S410).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패킷 유닛에 포함된 패킷 중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20).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패킷 유닛에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제1 패킷 유닛에 포함된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S430).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보고에 제1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 및 에러 패킷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패킷 유닛에 에러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패킷 유닛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미리 결정된 재전송 시간이 도과하고(S440), 제1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에러 패킷이 재수신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50). 무선 통신 장치는 에러 패킷이 재수신 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재전송할 수 있다(S460).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재전송되는 제1 상태 보고에 제1 상태 보고의 재전송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 및 에러 패킷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미리 결정된 재전송 시간이 도과하고(S440), 제1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에러 패킷이 재수신 되었는지 판단하여(S450), 무선 통신 장치는 에러 패킷이 재수신된 경우, 상태 보고 재전송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미리 결정된 재전송 시간을 간격으로 하여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패킷 유닛을 반복적으로 재전송함으로써 에러 패킷의 수신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0은 무선 통신 장치가 패킷의 송신기로 역할 하는 경우, 상태 보고 재전송 동작에 대응하여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기기(20))는 제1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제1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S510).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제1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S520).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제1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S530).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기초로 제2 상태 보고가 제1 상태 보고에 따른 상태 보고 제한 시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40). 일 예시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제1 상태 보고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제2 상태 보고의 전송 시점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상태 보고가 제1 상태 보고에 따른 상태 보고 제한 시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S520 단계에 의해 제1 패킷이 수신기에 전송된 이후에 제2 상태 보고가 전송됐을 가능성이 높고, 이는 S520 단계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기가 수신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므로,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제1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S550).
제2 상태 보고가 제1 상태 보고에 따른 상태 보고 제한 시간에 포함된 경우, S520 단계에 의해 제1 패킷이 수신기에 전송된 이전에 제2 상태 보고가 전송됐을 가능성이 높고, 이는 S520 단계에 의해 제1 패킷이 수신기에 전송됐을 확률이 높으므로,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제1 패킷을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1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송신기(11)와 수신기(12)가 상태 보고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9 및 도 10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시점(t1)에서, 송신기(11)는 제1 패킷 유닛(PDU1)을 수신기(21)에 전송할 수 있다(T310). 제1 패킷 유닛(PDU1)은 제1 패킷(P0) 내지 제8 패킷(P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점(t2)에서, 수신기(21)는 제1 패킷 유닛(PDU1)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1 패킷 유닛(PDU1) 중 제4 패킷(P3)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T320). 수신기(21)는 제4 패킷(P3)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송신기(11)에 전송할 수 있고, 제1 상태 보고(SR1)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송신하는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제2 시점(t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점(t3)에서, 송신기(11)는 제1 상태 보고(SR1)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한 제4 패킷(P3)을 포함한 제2 패킷 유닛(PDU2)을 수신기(21)에 전송할 수 있다(T330). 제2 패킷 유닛(PDU2)은 재전송이 요청된 제3 패킷 및 제9 패킷(P8) 내지 제15 패킷(P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시점(t4)에서, 수신기(21)는 제2 시점(t2)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이후 제4 패킷(P3)에 대한 재요청을 담보하기 위해 제4 패킷(P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송신기(11)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21)는 제2 상태 보고(SR2)에 제2 상태 보고(SR2)를 송신하는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제4 시점(t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시점(T5)에서, 송신기(11)는 제2 상태 보고(SR2)에 대응하여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을 기초로 제2 상태 보고(SR2)가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50). 제2 상태 보고(SR2)가 전송된 제4 시점(t4)은 제2 시점(t2)을 기점으로 하는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되므로, 송신기(11)는 제2 상태 보고(SR2)에도 불구하고 제4 패킷(P3)을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상태 보고(SR2)가 제1 상태 보고(SR1)에 대응되는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되는 경우, 제2 패킷 유닛(PDU2)에 의해 수신기(21)가 제3 패킷(P3)을 재전송 받았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호에 대한 중복 재전송을 막기 위해, 송신기(11)는 제2 상태 보고(SR2)에도 불구하고 제4 패킷(P3)을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송신기(11)와 수신기(12)가 상태 보고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1 시점(t1)에서, 송신기(11)는 제1 패킷 유닛(PDU1)을 수신기(21)에 전송할 수 있다(T410). 제1 패킷 유닛(PDU1)은 제1 패킷(P0) 내지 제8 패킷(P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점(t2)에서, 수신기(21)는 제1 패킷 유닛(PDU1)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1 패킷 유닛(PDU1) 중 제4 패킷(P3)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T420). 수신기(21)는 제4 패킷(P3)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송신기(11)에 전송할 수 있고, 제1 상태 보고(SR1)는 제1 상태 보고(SR1)를 송신하는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제2 시점(t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점(t3)에서, 송신기(11)는 제1 상태 보고(SR1)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한 제4 패킷(P3)을 포함한 제2 패킷 유닛(PDU2)을 수신기(21)에 전송할 수 있다(T430). 제2 패킷 유닛(PDU2)은 재전송이 요청된 제3 패킷 및 제9 패킷(P8) 내지 제15 패킷(P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시점(t4)에서, 수신기(21)는 제2 시점(t2)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이후 제4 패킷(P3)에 대한 재요청을 담보하기 위해 제4 패킷(P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상태 보고(SR2)를 송신기(11)에 전송할 수 있다(S440). 수신기(21)는 제2 상태 보고(SR2)에 제2 상태 보고(SR2)를 송신하는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제4 시점(t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시점(T5)에서, 송신기(11)는 제2 상태 보고(SR2)에 대응하여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을 기초로 제2 상태 보고(SR2)가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50). 제2 상태 보고(SR2)가 전송된 제4 시점(t4)은 제2 시점(t2)을 기점으로 하는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송신기(11)는 제2 상태 보고(SR2)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한 제4 패킷(P3)을 포함한 제3 패킷 유닛(PDU3)을 수신기(21)에 전송할 수 있다(T450). 제2 패킷 유닛(PDU2)은 재전송이 요청된 제3 패킷 및 제16 패킷(P15) 내지 제22 패킷(P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상태 보고(SR2)가 제1 상태 보고(SR1)에 대응되는 상태 보고 제한 시간(T_sp)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2 패킷 유닛(PDU2)에 의해 수신기(21)가 제3 패킷(P3)을 재전송 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호 전송의 신뢰성을 막기 위해, 송신기(11)는 제2 상태 보고(SR2)에 대응하여 제4 패킷(P3)을 재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3은 재전송 시간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기기(20))는 무선 통신 장치의 주변 통신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S610). 일 예시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와의 데이터 쓰루풋을 측정함으로써 통신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통신 환경에 기초하여 재전송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S620). 일 예시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데이터 쓰루풋이 높은 경우 재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결정된 재전송 시간에 기초하여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상태 보고를 재전송할 수 있다(S630). 일 예시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이전에 전송한 상태 보고의 전송부터 상기 재전송 시간이 소요되는 동안, 에러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재전송 시간동안 상기 에러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상태 보고를 재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1010), ASIP(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1030), 메모리(1050), 메인 프로세서(1070) 및 메인 메모리(1090)를 포함할 수 있다. ASIC(1010), ASIP(1030) 및 메인 프로세서(370) 중 2개 이상은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SIC(1010), ASIP(1030), 메모리(1050), 메인 프로세서(1070) 및 메인 메모리(1090) 중 적어도 2개 이상은 하나의 칩에 내장될 수 있다.
ASIP(1030)은 특정한 용도를 위하여 커스텀화된 집적 회로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전용의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를 지원할 수 있고,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050)는 ASIP(103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ASIP(103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05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ASIP(103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070)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070)는 ASIC(1010) 및 ASIP(103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무선 통신 장치(10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메인 메모리(1090)는 메인 프로세서(107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메인 프로세서(107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메모리(109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메인 프로세서(107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도 14의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도 1의 신호 처리기(100, 300)는 메모리(105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ASIP(1030)가 메모리(105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도 1의 신호 처리기(100, 300)의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도 1의 신호 처리기(100, 300)는, 논리 합성 등을 통해서 설계된 하드웨어 블록으로 구현되어 ASIC(10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도 1의 신호 처리기(100, 300)는, 메인 메모리(109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1070)가 메인 메모리(109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도 1의 신호 처리기(100, 300)의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1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1 상태 보고를 송신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2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 중 상기 제2 에러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보고는 상기 제1 상태 보고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 보고는 상기 제2 상태 보고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제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1 상태 보고 및 상기 제2 상태 보고를 기초로 상기 제1 에러 패킷 및 상기 제2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보고는 상기 제1 에러 패킷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에러 패킷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전송할 에러 패킷을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송신기가, 상기 판단하는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에러 패킷 및 상기 제2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1 상태 보고를 전송하고 상태 보고 제한 시간 내에 상기 제1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3 상태 보고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상태 보고는 상기 제3 상태 보고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제3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보고는 상기 제1 상태 보고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상태 보고는 상기 제3 상태 보고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제3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1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에러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3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3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상태 보고가 상태 보고 제한 시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3 상태 보고가 상기 상태 보고 제한 시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3 상태 보고가 상기 상태 보고 제한 시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상태 보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통신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가, 판단된 상기 통신 환경에 기초하여 재전송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3 상태 보고의 전송부터 상기 재전송 시간이 소요되는 동안, 상기 제1 에러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1 에러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에러 패킷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4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1 패킷 유닛 및 제2 패킷 유닛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패킷 유닛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1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1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패킷 유닛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패킷 중 에러가 있는 제2 에러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2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제1 상태 보고에 포함된 제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2 상태 보고에 포함된 제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에러 패킷 및 상기 제2 에러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1 상태 보고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상태 보고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98345A 2019-08-12 2019-08-12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10019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45A KR20210019307A (ko) 2019-08-12 2019-08-12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6/991,658 US11757574B2 (en) 2019-08-12 2020-08-12 Communications signal retransmissions using status reports
CN202010805968.7A CN112398599A (zh) 2019-08-12 2020-08-12 通信系统、操作通信系统的方法以及操作通信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45A KR20210019307A (ko) 2019-08-12 2019-08-12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307A true KR20210019307A (ko) 2021-02-22

Family

ID=7460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345A KR20210019307A (ko) 2019-08-12 2019-08-12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57574B2 (ko)
KR (1) KR20210019307A (ko)
CN (1) CN1123985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307A (ko) * 2019-08-12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13556213B (zh) * 2020-04-23 2022-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超时重传时间rto确定方法及相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556B2 (en) * 2001-03-21 2012-05-29 Lg Electronics Inc. Packet transmi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263160A1 (en) * 2001-06-01 2002-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transmitter for an efficient packet data transfer in a transmission protocol with repeat requests
EP1878155B1 (en) * 2005-05-04 2013-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window upd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084135B1 (ko) * 2005-05-04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의 상태 pdu송수신방법
KR101319870B1 (ko) * 2006-01-05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943590B1 (ko) * 2006-04-14 2010-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087112B1 (ko) * 2006-04-19 201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재전송 요구 방식에 적용되는 자원 할당 방법
EP1965535A3 (en) * 2007-03-02 2013-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packet re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94359B1 (ko) 2008-01-31 201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에서 백오프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방법
US8270348B2 (en) * 2008-01-31 2012-09-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nding status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receiv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KR101368499B1 (ko) 2008-03-24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526440B2 (en) * 2008-04-28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Partial radio link control status report
KR101514069B1 (ko) 2008-06-19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rq 수행 방법
CN101771518B (zh) * 2008-12-29 2013-06-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发送状态报告的方法、装置及系统
CN101924620B (zh) * 2009-06-17 2012-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报文重传方法和装置
EP2486687B1 (en) * 2009-10-05 2013-08-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89004B2 (en) * 2010-11-0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PDCP sublayer
US9380490B2 (en) * 2010-11-0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KR101970684B1 (ko) * 2012-02-28 2019-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US9391754B2 (en) * 2012-06-14 2016-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mapping retransmissions responsive to bundled nack messages and related devices
EP2888832B1 (en) * 2012-08-24 2019-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receiving mimo transmissions and related device
US9961581B2 (en) * 2014-10-31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Status prohibition timer disabling for partial status report
WO2016076594A1 (ko) * 2014-11-10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싱 메모리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6095964A1 (en) * 2014-12-16 2016-06-23 Huawei Technologies Co.,Ltd Methods and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409558B2 (ja) * 2014-12-19 2018-10-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中継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6656431B (zh) * 2015-09-21 202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报文传输方法及用户设备
US10784987B2 (en) * 2015-09-24 2020-09-22 Idac Holdings, Inc. Methods for enhanced multiplexing in wireless systems
MX2018006354A (es) * 2015-12-01 2018-09-05 Ericsson Telefon Ab L M Mecanismo de retroalimentacion de reconocimiento predictivo.
KR20170084579A (ko) 2016-01-12 2017-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지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재전송 방법 및 장치
JP6692536B2 (ja) * 2016-02-05 2020-05-13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フィードバック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396942B2 (en) * 2016-03-29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585368B1 (ko) 2016-04-25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US20180145703A1 (en) * 2016-11-23 2018-05-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sing a cyclic redundancy check in conjunction with a low-density parity-check encoding scheme
US10505568B2 (en) * 2016-12-02 2019-12-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uter coding
US10805836B2 (en) * 2017-05-05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duplication at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entity
EP3729700A1 (en) * 2018-01-19 2020-10-2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KR20210019307A (ko) * 2019-08-12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태 보고를 이용하여 신호 재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98599A (zh) 2021-02-23
US20210075550A1 (en) 2021-03-11
US11757574B2 (en)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2291A1 (en) Enhanced LTE UL HARQ Feedback Indication for Power Saving and Range Improvement
US107088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ubframes associated with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US11411637B2 (en) System for non-terrestrial communications
US108734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division duplex transmission time interval operation
TWI530144B (zh) 處理通訊運作的方法及其通訊裝置
US10944515B2 (en) Low latency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feedback for wireless networks
CN115190552A (zh) 指示转发的数据的状态
US20190173623A1 (en) Reallocation of control channel resources for retransmission of data in wireless networks based on communications mode
US10567135B2 (en) Network node and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2022008685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463963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数据确认的设备及其方法
US11757574B2 (en) Communications signal retransmissions using status reports
KR20110048516A (ko) 전력 제어 기술
KR201900006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5242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own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028965A1 (zh)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US9768936B2 (en) Message transmission in an unlicensed spectrum
US11006437B2 (en) Carrier aggregation-based de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909522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2022036037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harq process for plurality of sim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N112584433B (zh) 一种数据发送、接收方法、设备及介质
WO2021056567A1 (zh) Harq-ack码本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FI20195875A1 (en) Common link adaptation for a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data channel for wireless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