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288A -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288A
KR20210019288A KR1020190098280A KR20190098280A KR20210019288A KR 20210019288 A KR20210019288 A KR 20210019288A KR 1020190098280 A KR1020190098280 A KR 1020190098280A KR 20190098280 A KR20190098280 A KR 20190098280A KR 20210019288 A KR20210019288 A KR 20210019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viewer
user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288A/en
Publication of KR2021001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288A/en
Priority to KR1020210131889A priority patent/KR102432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chnology, which can provide a targeted service to a real viewer by accurately and quickly identifying/recognizing a real viewer watching a public device (e.g., TV), and implement a new type of targeting service.

Description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Targeting servic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타겟팅된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타겟팅 서비스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rgeting service technology that provides content such as targeted advertisements to user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targeted services to actual viewers by specifying/recognizing the actual viewers watching TV. About.

개인이 적어도 하나씩은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의 경우,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않고 개인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개인화 기기이다.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that an individual possesses at least one, it is a personalization device that is used exclusively by the individual without sharing with other people.

반면, 댁내 또는 사무실 등에 구비된 티브이(TV)와 같이 여러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용 기기의 경우, 여러 사람들이 임의로 조작 및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시청자)가 계속해서 바뀌는 환경적 특징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mmon device used in common by several people, such as a TV provided in a house or office, since several people arbitrarily manipulate and use it, the actual user (viewer) has 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that continuously changes.

한편, 미디어, 커머스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자에 대한 수집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에게 타겟팅된 맞춤형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타겟팅 서비스 기술들이 등장하였다.Meanwhile, in various service fields such as media and commerce, targeting service technologies have emerged that provide content such as customized advertisements targeted to specific users by analyzing user preferences based on collected information about users.

이러한 타겟팅 서비스 기술에서는 사용자를 특정하고 실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한 후에야 실제 사용자에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실제 사용자를 정확히 인식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In such a targeting service technology, a service targeted to a real user can be provided only after specifying a user and recognizing who the real user is, and it will be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real user.

따라서, 타겟팅 서비스를 개인화 기기(예: 이동단말)에 적용하는 경우는, 실제 사용자가 개인 한 명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기기에서의 조작을 기반으로 수집되는 수집정보(예: 검색/구매 이력, Behaivor 등)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등, 실제 사용자를 특정할 필요 없이도 실제 사용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용이하다.Therefor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targeting service to a personalized device (e.g., a mobile terminal), since the actual user is fixed as an individual, collected information (e.g., search/purchase history, Behaivor It is easy to provide targeted services to real users without the need to specify real users, such as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tailored to the user's disposition by analyzing them.

반면, 타겟팅 서비스를 공용 기기(예: 티브이)에 적용하는 경우는, 실제 사용자(시청자)가 여러 명으로 가변적이기 때문에, 여러 명의 사용자 중 실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하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pplying the targeting service to a common device (for example, a TV), since the number of actual users (viewers) is variable, a function of recognizing who the actual user is among several users is essential.

하지만,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현재의 시청 환경에서는, 실제 사용자(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해내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However, in the current viewing environment using a common device (for example, a TV), a function for accurately and quickly recognizing an actual user (viewer) is not provid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ewing environment using a common device (for example, a TV), it is intended to realize a targeting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a targeted service to the actual viewer by specifying/recognizing the actual viewer watching the TV.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recognize the actual viewers watching TV in a viewing environment using a common device (eg, TV), We want to realize targeting services that can provide targeted servi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인식부;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분석부; 및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한다.A target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view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 of a mobile terminal paired with a remote control of a TV as a viewer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A propensity analysis unit for analyzing a viewing propensity to watch the TV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상기 리모컨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may be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highest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among mobile terminals tha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리모컨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컨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oes not operate the remote contro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the specific content of the type that i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playback is not played, pairing with the remote control is performed. It can be forcibly terminated.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단말이 존재 및 상기 제1 이동단말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리모컨에 통지하는 페어링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re is a second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is within a threshold difference from the paired first mobile terminal,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present and the first mobile terminal In this paired state, the temporary viewing tendency analyzed using only operation information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previously analyzed viewing tendency for each user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are compared, and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pairing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maintain pair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or initiate pairing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notifies the remote control.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제2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페어링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initiating pairing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remote control pairing while the signal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exists for the first mobile terminal. Can be excluded from the subject.

구체적으로, 상기 성향분석부는,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recognizing a specific user as a viewer, the propensity analysis unit maps and collects oper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remote control of the TV is operated from a recognition point and a viewer identifier assigned to the specific user, and collects the viewer identifier of the specific user.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mapping with, the viewing tendency of the specific user may be analyzed.

구체적으로, 시청자 식별자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에서 생성되는 비식별 ID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iewer identifier may be a non-identifying ID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of the specific user.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티브이에 노출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recognizing the specific user as a viewer, the service providing unit may provide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specific user and expose it to the TV.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 및 상기 티브이 중 적어도 하나에 노출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mobile terminal of a specific user is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of the TV, the service provider provides at least on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V of the specific user by providing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specific user. Can be exposed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인식단계;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분석단계; 및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operating a target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ewer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a user of a mobile terminal paired with a remote control of a TV as a viewer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A propensity analysis step of analyzing a viewing propensity to watch the TV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And a service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상기 리모컨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may be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highest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among mobile terminals tha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리모컨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컨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oes not operate the remote contro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the specific content of the type that i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playback is not played, pairing with the remote control is performed. It can be forcibly terminated.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단말이 존재 및 상기 제1 이동단말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리모컨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re is a second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is within a threshold difference from the paired first mobile terminal,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present and the first mobile terminal In this paired state, the temporary viewing tendency analyzed using only operation information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previously analyzed viewing tendency for each user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are compared, and the It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maintain pair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or to start pairing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notifying the remote control.

구체적으로, 상기 성향분석단계는,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propensity analysis step,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as a viewer, oper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remote control of the TV is operated from the recognition point and a viewer identifier assigned to the specific user are mapped and collected, and the viewer of the specific user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mapping with the identifier, the viewing tendency of the specific user may be analyzed.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티브이에 노출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service providing step, when the specific user is recognized as a viewer, the content targeted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specific user may be provided and exposed to the TV.

이에,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new method of targeting that can provide a targeted service to the actual viewer by specifying/recognizing the actual viewer watching a common device (eg, TV). Service can be realiz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실제 사용자(시청자) 개개인 별로 최적화된 타겟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타겟팅 서비스의 적용 범위 및 개인 만족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improving the application range and personal satisfaction of the targeting service, such as providing an optimized targeting service for each real user (viewer) in a viewing environment using a common device (eg, TV). .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iewing environment using a common device (eg, a TV)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rget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arget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First, a viewing environment using a common device (eg, a TV)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가 적용되는 시청 환경은, 댁내 또는 사무실 등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여러 사람들이 임의로 조작 및 사용할 수 있는 공용 기기(20, 예: 티브이)를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viewing environment to which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common device (20, for example, TV) that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such as a house or an office and can be arbitrarily operated and used by several people. It is based on having.

도 1에서는, 시청 환경의 일 예로서, 티브이(20)와, 해당 장소(예: 가정, 사무실 등) 내에서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무선중계장치(30)가 구비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시청 환경을 도시하였다.In FIG. 1, as an example of a viewing environment, watch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provided with a TV 20 and a wireless relay device 30 supporting Internet access within a corresponding place (eg, home, office, etc.) The environment is shown.

이와 같은 IPTV 시청 환경에서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출력하여 티브이(20)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셋탑박스(미도시)가 구비되며, 이러한 셋탑박스(미도시)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해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예: Broadcast)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 및 출력하여 티브이(20)에서 재생(노출)시킬 수 있다. In such an IPTV viewing environment, a set-top box (not shown) that outputs content provided from a service server (not shown) providing an IPTV service and plays it on the TV 20 is provided, and such a set-top box (not shown) May receive and output various contents provided (eg, broadcast) from a service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wireless relay device 30 and reproduce (expose) on the TV 20.

무선중계장치(30, 예: 공유기)는, 셋탑박스(미도시)를 통해 티브이(20)에 대한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이동단말(1a,2a,3a, 예: 스마트폰 등)에 대해서도 무선 통신 기반의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relay device 30 (e.g., a router) refers to a device for providing an Internet access environment to the TV 20 through a set-top box (not shown), as well as mobile terminals 1a, 2a, and mobile terminals located within coverage. 3a, e.g., a smartphone, etc.) can also provide an Internet access environment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IPTV 시청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여러 사람들 예컨대 가족구성원들(1,2,3)이 공용 기기로서의 티브이(20)를 임의로 조작하여 사용자(시청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 및 재생하여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다. In the IPTV viewing environ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everal people, such as family members (1, 2, 3), arbitrarily manipulate the TV 20 as a common device, and the user (viewer) desires. Contents can be searched and played to view media according to content playback.

한편, 미디어, 커머스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자에 대한 수집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에게 타겟팅된 맞춤형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타겟팅 서비스 기술들이 등장하였다.Meanwhile, in various service fields such as media and commerce, targeting service technologies have emerged that provide content such as customized advertisements targeted to specific users by analyzing user preferences based on collected information about users.

이러한 타겟팅 서비스 기술에서는 사용자를 특정하고 실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한 후에야 실제 사용자에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실제 사용자를 정확히 인식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In such a targeting service technology, a service targeted to a real user can be provided only after specifying a user and recognizing who the real user is, and it will be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real user.

헌데, 타겟팅 서비스를 공용 기기(예: 티브이)가 구비된 시청 환경에 적용하는 경우는,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 사용자(시청자)가 여러 가족구성원들(1,2,3) 중 한 명으로 가변적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시청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하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targeting service to a viewing environment equipped with a common device (eg TV), as shown in FIG. 1, the actual user (viewer) is one of several family members (1, 2, 3). Because it is variable, a function of recognizing who the actual user (viewer) is is essential.

하지만, 현재의 시청 환경에서는, 실제 사용자(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해내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에 실제 사용자(시청자)에 대한 시청 성향을 알아내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However, in the current viewing environment, a function for accurately and quickly recognizing an actual user (viewer) is not provided,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find out the viewing propensity of the actual user (viewer).

따라서, 타겟팅 서비스를 현재의 시청 환경에 적용하게 되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가족구성원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수집되는 수집정보(예: 검색/구매 이력, Behaivor 등) 기반의 시청 성향에 타겟팅하여 서비스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므로, 가족구성원 개개인 별로 타겟팅 서비스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Therefore, when the targeting service is applied to the current viewing environment, the viewing tendency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eg, search/purchase history, Behaivor, etc.) that is collectively collected about family members who use common devices (eg TV) Since it will be limited to the level of targeting and service,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targeting service for each individual family member.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ewing environment using a common device (for example, a TV), it is intended to realize a targeting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a targeted service to the actual viewer by specifying/recognizing the actual viewer watching the TV.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타겟팅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안하며,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More specifically, a technology that enables a targeting service to be rea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and a targeting service device that implements such technology is propos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2 shows a configuration of a target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시청자인식부(110), 성향분석부(120), 서비스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argeting servi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ewer recognition unit 110, a propensity analysis unit 120,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13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페어링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iring control unit 140.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 또는 무선중계장치(30)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TV 20, a set-top box (not shown), or the wireless relay device 30.

물론,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셋탑박스(미도시)/무선중계장치(30)와 분리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통신부(150)를 통해 티브이(20) 조작을 위한 기기(10, 예: 리모컨)/무선중계장치(30), 더 나아가 이동단말(예: 1a)과 연동하여 후술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할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TV 20 / set-top box (not shown) / wireless relay device 30, in this case, the TV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It is also possible to realize a targeting servic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by interlocking with the device 10 for operation (eg, a remote control)/wireless relay device 30, and further, a mobile terminal (eg, 1a).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셋탑박스(미도시)/무선중계장치(30)와 분리 구현되는 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that is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TV 20 / set-top box (not shown) / wireless relay device 30.

통신부(1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기기 예컨대 티브이(20) 조작을 위한 기기(10, 예: 리모컨)/무선중계장치(30), 더 나아가 이동단말(예: 1a)과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TV 20, a device 10 (eg, a remote control) / wireless relay device 30, and a mobile terminal (eg, 1a) 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in charge of practical communication functions.

이러한 통신부(15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includes, for example,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a tuner,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hipset, and a memo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performs this function. All known circuits may be included.

이러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All or at least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rdware module or a software module,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hardware module and a software module are combined.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타겟팅 서비스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타겟팅 서비스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software module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n instruction executed by a processor that controls an operation i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and this instruction may have a form mounted in a memory i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There will be.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타겟팅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구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s a result,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technology for enabling the targeting ser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hereinafter,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for implementing it Each of my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시청자인식부(110)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20)의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viewer recognition unit 110 is responsible for a function of recognizing a user of a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of the TV 20 as a viewer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여기서, 리모컨(10) 및 이동단말 간 페어링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일 예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일 수 있다.Here, short-range communication supporting pairing between the remote control 10 and the mobile terminal may be one of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as an example, may b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즉, 시청자인식부(110)는, NFC 통신을 기반을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예: 1a)의 사용자(예: 1)를,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할 수 있다.That is, the viewer recognition unit 110 may recognize a user (eg, 1) of a mobile terminal (eg, 1a)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based on NFC communication as an actual viewer at the present time. have.

그리고,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은, 리모컨(10)과 상근거리 통신의 신호 즉 NFC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일 것이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has a strength of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10 among mobile terminals tha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f full-range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10, that is, NFC communication signals. It will be the strongest mobile terminal.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기기로서의 티브이(20)를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사람들 예컨대 가족구성원들(1,2,3) 각각은, 자신의 이동단말(1a,2a,3a)를 각기 보유하며 일상적으로 항상 소지하고 있다고 전제할 수 있다.In a more specific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several people who can use the TV 20 as a common device, for example, family members 1, 2, 3, respectively, have their own mobile terminals 1a, It can be assumed that they have 2a and 3a) respectively, and that they always have them on a daily basis.

이에, 사용자(1)이 이동단말(1a)를 소지한 상태로 리모컨(10)을 조작하여 티브이(20)를 사용한다면, 리모컨(10)에서는 리모컨(10)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1a)로부터 송신되는 NFC 통신 신호를 가장 센 세기로 수신하게 될 것이다.Accordingly, if the user 1 uses the TV 20 by manipulating the remote control 10 while holding the mobile terminal 1a, the remote control 10 uses the mobile terminal located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 10 (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1a) will be received with the strongest intensity.

이처럼, 리모컨(10)은 자신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 중 가장 센 세기의 NFC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단말(이하, 이동단말(1a)로 언급)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된다.In this way, the remote control 10 initiates and automatically pairing with a mobi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terminal 1a) that transmits an NFC communication signal of the strongest intensity among the NFC communication signals received therein. pairing).

그리고,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된 이동단말(1a)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리모컨(10) 조작에 따른 조작 정보가 NFC 통신을 통해 수신되면, 조작 정보 및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And, the mobile terminal 1a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10 applied by the user is received through NFC communica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assigned viewer identifier It can be delivered to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시청자 식별자는, 이동단말(1a)에서 생성되는 비식별 ID, 그리고 리모컨(10) 및 이동단말(1a) 간 최초 페어링 시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의해 이동단말(1a)에 할당되는 Unique Key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iewer identifier is a non-identifying ID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remote control 10 and the mobile terminal 1a are initially paired to the mobile terminal 1a by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ssigned Unique Key values.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페어링 정보로 명명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a viewer identifier will be referred to as pairing information.

이에, 시청자인식부(110)는, 전술과 같이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페어링 정보 내 시청자 식별자를 기준으로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이동단말(1a)의 사용자(1)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사용자(1)를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viewer recognition unit 110 receives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from the mobile terminal 1a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based on the viewer identifier in the pairing information ( By identifying the user 1 of 1a), the user 1 can be recognized as an actual viewer at the present time.

성향분석부(120)는,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propensity analysis unit 120 is in charge of analyzing a viewing propensity to watch the TV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구체적으로, 성향분석부(120)는, 특정 사용자 예컨대 사용자(1)을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티브이(20)의 리모컨(10)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특정 사용자 즉 사용자(1)에게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한다.Specifically, when recognizing a specific user, for example, the user 1 as an actual viewer at the present time, the propensity analysis unit 120 includes operation information and a specific user, that is, oper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remote control 10 of the TV 20 is operated from the recognition time point. The viewer identifier previously assigned to the user 1 is mapped and collected.

즉, 성향분석부(120)는, 전술과 같이 이동단말(1a)로부터 수신한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 내 시청자 식별자를 기준으로 사용자(1)을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이동단말(1a)로부터 수신되는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를 근거로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함으로써, 사용자(1)에 대하여 시청 성향 분석 시 이용할 수집정보를 확보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ropensity analysis unit 120 recognizes the user 1 as an actual viewer based on the viewer identifier in the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a a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time point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viewer identifier are mapped and collected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a, thereby secur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be used when analyzing the viewing propensity for the user 1.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성향분석부(120)는, 시청자로 인식되는 각 사용자(1,2,3) 별로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함으로써, 사용자(1,2,3) 별로 시청 성향 분석 시 이용할 수집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opensity analysis unit 120 maps and collects operation information and viewer identifiers for each user (1, 2, 3) recognized as a viewer, thereby analyzing the viewing propensity for each user (1, 2, 3). You can secure collected information to be used in the city.

그리고, 성향분석부(120)는,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And, the propensity analysis unit 120,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mapping with the user's viewer identifier.

즉, 성향분석부(120)는, 사용자(1)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고,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2,3) 각각의 시청 성향 역시 분석할 수 있다.That is, the propensity analysis unit 120, By apply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mapping with the viewer identifier of the user (1) to the analysis algorithm,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can be analyzed, and the viewing tendency of each of the users (2, 3) can also be analyzed in the same way. have.

이때, 성향분석부(120)는, 시청자가 인식되는 시점 마다 시청자로 인식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고, 또는 시청자가 인식되는 시점에 시청자로 인식된 사용자의 기 분석해 둔 시청 성향을 조회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pensity analysis unit 120 may analyze the viewing propensity of the user recognized as a viewer at each point in time when the viewer is recognized, or query the previously analyzed viewing propensity of the user recognized as a viewer at the time when the viewer is recognized. You may.

여기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데 이용하는 분석 알고리즘은, 기존의 다양한 알고리즘 중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시청 성향 분석 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겠다.Here, the analysis algorithm used to analyze the viewing propensity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by adopting among various existing algorithms,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iewing propensity analysis process will be omitted.

한편, 티브이(20)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티브이(20)를 시청하거나 또는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지만 실제 시청자와 동석하고 있는 동석자가 존재하는 등, 다양한 변칙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viewing environment using the TV 20, various anomalous situations, such as two or more users watching the TV 20 together, or a attendee who does not watch the TV 20 but is present with the actual viewer. This can happen.

이와 같은 다양한 변칙 상황에서도 시청자인식부(110)에서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 되어야만 할 것이다.In order for the viewer recognition unit 110 to accurately recognize the actual viewer even in such various anomalous situations,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who is most likely to be a real viewer must be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되도록 하기 위한 페어링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airing control function for pairing a mobile terminal of a user with the highest possibility of being an actual viewer with the remote control 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페어링 제어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pairing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과 같이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이 페어링 된 경우를 가정하면, 리모컨(10)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1a)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리모컨(10)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리모컨(10)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suming that the remote control 10 and the mobile terminal 1a are paired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1a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is a type in which viewing i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playback. When the remote control 10 is not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a specific content of is not played, pairing with the remote control 10 may be forcibly terminat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이 페어링 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리모컨(10)이 조작되면 리모컨(10)은 NFC 통신을 통해 페어링 상태의 이동단말(1a)로 조작 정보를 송신하고, 이동단말(1a)은 수신한 조작 정보 및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mote control 10 and the mobile terminal 1a are paired, when the remote control 10 is operated by the user, the remote control 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a in the paired state through NFC communication. ), and the mobile terminal 1a transmits the received operation information and a pre-allocated viewer identifier to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한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 구체적으로 후술의 페어링제어부(140)는,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와 직접 또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한 간접 연동을 통해, 티브이(20)에서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으로 정의된 특정 컨텐츠(예: 유료 컨텐츠(예: VoD),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specifically the pairing control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directly with the TV 20 or a set-top box (not shown) or through indirect linkage through the wireless relay device 30, the TV 20 ),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specific content (eg, paid content (eg, VoD), real-time broadcast program, movie, etc.) defined as a type in which viewing is maintained until playback ends.

이에, 페어링제어부(140)는, 티브이(20)에서 전술의 특정 컨텐츠(예: 유료 컨텐츠(예: VoD),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단말(1a)로부터 최초 또는 마지막으로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단말(1a)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상태이지만 실제 시청자가 부재 중이거나 또는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고 있다고 간주하고,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airing control unit 140 is in a stat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specific content (eg, paid content (eg, VoD), real-time broadcasting program, movie, etc.) is not played on the TV 20, and the first from the mobile terminal 1a. Or, if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is no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a so that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is finally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1a Although it is paired with (10), it is considered that the actual viewer is absent or not watching the TV 20, and the pairing of the remote control 10 and the mobile terminal 1a may be forcibly terminated.

예를 들면, 페어링제어부(140)는, 리모컨(10) 또는 이동단말(1a)로 페어링 강제 종료를 명령할 수 있고, 이동단말(1a)에 대해서는 페어링 강제 종료 후 기 정의된 제외시간 동안 페어링 대상에서 제외시키도록 리모컨(10)에 명령하여 페어링이 강제 종료된 이동단말(1a)이 NFC 통신 신호 세기로 인해 리모컨(10)과 자동으로 재 페어링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airing control unit 140 may command a forced termination of pairing with the remote control 10 or the mobile terminal 1a, and for the mobile terminal 1a, the pairing target for a predefined time period after the forced termination of pairing The mobile terminal 1a forcibly terminated pairing by commanding the remote control 10 to be excluded from may not be automatically re-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due to the strength of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이렇게 되면, 리모컨(10)은,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강제 종료 후, NFC 통신 신호가 새롭게 수신되거나 NFC 통신 신호가 기 수신되었으나 이동단말(1a) 보다는 신호 세기가 작았던 이동단말(이하, 이동단말(2a))이 있다면 해당 이동단말(2a)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페어링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mote control 10, after the forced termination of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a, a new NFC communication signal or an NFC communication signal has been previously received, but the mobi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reinafter) having a smaller signal strength than the mobile terminal 1a. , If there is a mobile terminal 2a),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may be initiated and paired.

한편,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페어링된 상태의 제1 이동단말 즉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예: 이동단말(2a))이 존재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실제 시청자가 이동단말(2a)의 사용자(2)일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irst mobile terminal in a paired state in which the difference in intensity of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10 is within a threshold differe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for example, mobile terminal 2a).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actual viewer is the user 2 of the mobile terminal 2a.

이에, 페어링제어부(140)는,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페어링된 상태의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이동단말(2a)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단말(2a)이 존재 및 이동단말(1a)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이동단말(1a) 및 이동단말(2a) 각각의 사용자(1,2) 별로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할 수 있다.Thus, the pairing control unit 140, when there is a mobile terminal (2a) within a threshold difference from the mobile terminal (1a) in a paired state in which the difference in intensity of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10) exists, the mobile terminal ( 2a) is present and the mobile terminal 1a is paired, the temporary viewing tendency analyzed using only the operation information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users of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mobile terminal 2a ( 1,2) Viewing propensity analyzed by each can be compared.

이때, 페어링제어부(140)는, 이동단말(2a)이 존재 및 이동단말(1a)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이동단말(1a)로부터 수신되는 페어링 정보 내 조작 정보를 추출 및 성향분석부(120)에 전달하여, 성향분석부(120)에서 이때 전달된 조작 정보 만으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임시 시청 성향을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ing control unit 140 extracts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pai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a is present and the mobile terminal 1a is paired and a propensity analysis unit By transmitting to 120, the propensity analysis unit 120 may analyze the temporary viewing propensity through an analysis algorithm using only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at this time.

페어링제어부(140)는, 전술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리모컨(10)에 통지할 수 있다.The pairing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to maintain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a or start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mparison result, and notify the remote control 10. .

예를 들면, 페어링제어부(140)는, 전술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임시 시청 성향과의 일치율이 현재 실제 시청자로 인식된 사용자(1)의 시청 성향에서 더 높은 경우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유지하는 결정을 하고, 임시 시청 성향과의 일치율이 사용자(2)의 시청 성향에서 더 높은 경우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iring control unit 140 may pair with the mobile terminal 1a when the match rate with the temporary viewing tendency is higher tha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currently recognized as an actual viewer according to the above comparison result. If a decision to maintain is made and the match rate with the temporary viewing tendency is higher tha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2, it may be determined to start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이에, 리모컨(10)은,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유지 결정이 통지되면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 개시 결정이 통지되면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하고 이동단말(2a)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페어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 10 maintains a pairing state with the mobile terminal 1a when a decision to maintain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a is notified, and when a decision to start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is notified, the mobile terminal ( Pairing with 1a) may be forcibly terminated, and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may be initiated and paired.

이때, 리모컨(10)은, 전술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하고 이동단말(2a)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하는 경우, 페어링 강제 종료한 이동단말(1a)에 대해서는 이동단말(2a)로부터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페어링 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페어링이 강제 종료된 이동단말(1a)이 NFC 통신 신호 세기로 인해 자동으로 재 페어링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 remote control 10 forcibly terminates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a and initiates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according to the above comparison result, the mobile terminal 1a forcibly terminated pairing Regarding, by excluding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a from the pairing target while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is present, the mobile terminal 1a forcibly terminated pairing may not be automatically re-paired due to the strength of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have.

물론, 리모컨(10)은,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상태에서 이동단말(1a)로부터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 세기가 작아져 임계세기 이하로 떨어지면,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종료할 수도 있다.Of course, when the intensity of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a decreases and falls below the threshold intensity in the pairing state with the mobile terminal 1a, the remote control 10 is connected with the mobile terminal 1a according to a general procedure. Pairing can also be terminated.

이렇게 되면, 본 발명에서는, 시청자가 이동단말을 두고 자리를 비우는 등 더 이상 시청을 하지 않거나, 또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티브이(20)를 시청하거나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지만 실제 시청자와 동석하고 있는 동석자가 존재하는 등, 다양한 변칙 상황에서도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게 인식해낼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er does not watch any more, such as leaving the mobile terminal, or two or more users do not watch the TV 20 or watch the TV 20 together, but attend with the actual viewer. Even in various anomalous situations, such as the presence of an attendant who is doing, it will be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actual viewer.

서비스제공부(130)는,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service providing unit 130 is in charge of providing a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제공부(130)는, 특정 사용자 예컨대 사용자(1)을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 예컨대 광고, 추천 VoD 등의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여 티브이(20)에 노출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ervice provider 130 recognizes a specific user, such as the user 1 as an actual viewer at the present time, target content such as advertisements, recommended VoDs, etc.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Can be exposed on the TV 20 by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of.

즉, 서비스제공부(130)는,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외부 컨텐츠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와 직접 또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한 간접 연동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티브이(20)에 노출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ervice provider 130 selects the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content server (not shown), and selects the selected targeting content on the TV 20 or the set-top box (not shown). Si) and by providing through direct or indirect linkage through the wireless relay device 30, it can be exposed to the TV (20).

또는, 서비스제공부(130)는, 특정 사용자 예컨대 사용자(1)의 이동단말(1a)이 티브이(20)의 리모컨(10)과 페어링되는 경우,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1)의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 중 적어도 하나에 노출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rvice provider 130, when a specific user,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a of the user 1 is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of the TV 20, is targeted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Content may be provided and exposed to at least one of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TV 20 of the user 1.

즉, 서비스제공부(130)는, 이동단말(1a)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되어 사용자(1)을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이동단말(1a)로 제공하여 이동단말(1a)에 노출시킬 수 있고, 또는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에 함께 노출시킬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1a is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and recognizes the user 1 as an actual viewer at the present time, the service providing unit 130 selects targeting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Contents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a and exposed to the mobile terminal 1a, or may be exposed to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TV 20 together.

이때, 서비스제공부(130)는,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 각각에 제공하여 노출시키는 타겟팅 컨텐츠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이동단말(1a)에는 사용자(1)의 시청 성향 만을 근거로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제공하고 티브이(20)에는 NFC 통신 신호 세기 차이가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이동단말(2a)의 사용자(2)의 시청 성향도 활용하여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등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 각각에 제공하여 노출시키는 타겟팅 컨텐츠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providing unit 130 may provide the same targeting content provided to and exposed to each of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TV 20, but the mobile terminal 1a is based only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The targeting content selected by the TV 20 is provided, and the selected targeting content is provided to the TV 20 by utilizing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2 of the mobile terminal 2a whose NFC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difference is within the critical differe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mobile terminal 2a. Targeting content provided to and exposed to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TV 20 may be differ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quickly identify/recognize actual viewers watching a common device (eg, TV) to provide targeted services to actual viewers. , A new method of targeting service can be realized.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실제 사용자(시청자) 개개인 별로 최적화된 타겟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타겟팅 서비스의 적용 범위 및 개인 만족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improving the application range and personal satisfaction of the targeting service, such as providing an optimized targeting service for each real user (viewer) in a viewing environment using a common device (e.g. TV). have.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target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a flow of providing a targe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및 도 2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ence numerals mentioned in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전체적인 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겠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3, a method of operating a target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an overall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10)은 자신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 중 가장 센 세기의 NFC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단말(이하, 이동단말(1a)로 언급)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된다(S1).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10 initiates and automatically pairing with a mobi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terminal 1a) that transmits the strongest NFC communication signal among the NFC communication signals received therein. It is paired (S1).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된 이동단말(1a)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리모컨(10) 조작에 따른 조작 정보가 NFC 통신을 통해 수신되면(S2), 조작 정보 및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S3). The mobile terminal 1a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when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10 applied by the user is received through NFC communication (S2), operation information and a pre-assigned viewer identifier Can be delivered to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3).

여기서, 시청자 식별자는, 이동단말(1a)에서 생성되는 비식별 ID, 그리고 리모컨(10) 및 이동단말(1a) 간 최초 페어링 시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의해 이동단말(1a)에 할당되는 Unique Key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iewer identifier is a non-identifying ID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remote control 10 and the mobile terminal 1a are initially paired to the mobile terminal 1a by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ssigned Unique Key values.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페어링 정보로 명명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a viewer identifier will be referred to as pairing information.

이에,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페어링 정보 내 시청자 식별자를 기준으로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이동단말(1a)의 사용자(1)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사용자(1)를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할 수 있다(S4).Accordingly, whe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from the mobile terminal 1a as described above, it is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based on the viewer identifier in the pairing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user 1 of the mobile terminal 1a, the user 1 can be recognized as an actual viewer at the present time (S4).

그리고,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사용자(1)을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티브이(20)의 리모컨(10)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특정 사용자 즉 사용자1에게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한다.In addition, whe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recognizes the user 1 as the actual viewer at the present time, the oper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remote control 10 of the TV 20 is operated from the recognition time and a specific user, that is, user 1 The assigned viewer identifier is mapped and collected.

이에,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사용자(1)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고(S4),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선택하고(S5),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와 직접 또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한 간접 연동을 통해 제공함으로써(S6) 티브이(20)에 노출시킬 수 있다(S7).Accordingly,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by applying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mapping with the viewer identifier of the user 1 to the analysis algorithm (S4), and Select the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1) (S5), and provide the selected targeting content directly with the TV 20 or set-top box (not shown) or through indirect linkage through the wireless relay device 30 By doing this (S6), it can be exposed to the TV 20 (S7).

한편, 티브이(20)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티브이(20)를 시청하거나 또는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지만 실제 시청자와 동석하고 있는 동석자가 존재하는 등, 다양한 변칙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viewing environment using the TV 20, various anomalous situations, such as two or more users watching the TV 20 together, or a attendee who does not watch the TV 20 but is present with the actual viewer. This can happen.

이와 같은 다양한 변칙 상황에서도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 되어야만 할 것이다.In order to accurately recognize the actual viewer even in such various anomalous situations,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who is the most likely actual viewer must be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되도록 하기 위한 페어링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airing control function for pairing a mobile terminal of a user with the highest possibility of being an actual viewer with the remote control 1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이 페어링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리모컨(10)이 조작되면 리모컨(10)은 NFC 통신을 통해 페어링 상태의 이동단말(1a)로 조작 정보를 송신하고(S8), 이동단말(1a)은 수신한 조작 정보 및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S9).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mote control 10 and the mobile terminal 1a are pai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mote control 10 is operated by the user, the remote control 10 is in a pairing state through NFC communica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a (S8), and the mobile terminal 1a transmits the received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pre-allocated viewer identifier to the targeting service apparatus 100 (S9).

한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와 직접 또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한 간접 연동을 통해, 티브이(20)에서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으로 정의된 특정 컨텐츠(예: 유료 컨텐츠(예: VoD),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through direct linkage with the TV 20 or a set-top box (not shown) or through indirect linkage through the wireless relay device 30, the viewing i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playback on the TV 2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specific content defined by the type (eg, paid content (eg, VoD), real-time broadcast program, movie, etc.) is played.

이에,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에서 전술의 특정 컨텐츠(예: 유료 컨텐츠(예: VoD),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단말(1a)로부터 최초 또는 마지막으로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지 않는 리모컨 조작 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0).Accordingly,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specific content (eg, paid content (eg, VoD), real-time broadcast program, movie, etc.) is not played on the TV 20, from the mobile terminal 1a. Determines whether a remote control operation in which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is no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a) so that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is first or last received Do (S10).

이에,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리모컨 조작 미 발생으로 판단 시(S10 Yes), 이동단말(1a)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상태이지만 실제 시청자가 부재 중이거나 또는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고 있다고 간주하고, 리모컨(10) 또는 이동단말(1a)로 페어링 강제 종료를 명령하여(S11a)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S11b).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has not occurred (S10 Yes),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is in a state that the mobile terminal 1a is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but the actual viewer is absent or the TV 20 is watched. The pairing of the remote control 10 and the mobile terminal 1a may be forcibly terminated by instructing the remote control 10 or the mobile terminal 1a to end pairing (S11a), assuming that it is not being done (S11b).

한편, 리모컨(10)은,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페어링된 상태의 제1 이동단말 즉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예: 이동단말(2a))이 존재하는 경우(S13 Yes), 제2 이동단말 즉 이동단말(2a)에 대한 정보를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14).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 10 is a first mobile terminal in a paired state in which the difference in intensity of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10 is within a threshold differe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e.g., mobile terminal If (2a)) exists (S13 Yes), information on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at is, the mobile terminal 2a, may be provided to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S14).

이에,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페어링된 상태의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이동단말(2a)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단말(2a)이 존재 및 이동단말(1a)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이동단말(1a) 및 이동단말(2a) 각각의 사용자(1,2) 별로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5).Accordingly,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is, when there is a mobile terminal 1a in a paired state and a mobile terminal 2a within a threshold difference in which the difference in intensity of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10 exists, the mobile terminal Temporary viewing propensity analyzed using only the operation information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2a) is present and the mobile terminal 1a is paired, and each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mobile terminal 2a (1, 2) The analyzed viewing tendency is compar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maintain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a or start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S15).

예를 들면,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전술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임시 시청 성향과의 일치율이 현재 실제 시청자로 인식된 사용자(1)의 시청 성향에서 더 높은 경우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유지하는 결정을 하고, 임시 시청 성향과의 일치율이 사용자(2)의 시청 성향에서 더 높은 경우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described above, when the match rate with the temporary viewing tendency is higher tha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currently recognized as an actual viewer, with the mobile terminal 1a. When a decision to maintain pairing is made, and if the match rate with the temporary viewing tendency is higher than that of the user 2, it may be determined to start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그리고,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결정 내용을 리모컨(10)에 통지하고(S16), 리모컨(10)은,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유지 결정이 통지되면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 개시 결정이 통지되면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하고 이동단말(2a)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페어링될 수 있다(S17).And,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notifies the decision content to the remote control 10 (S16), and the remote control 10, when notified of the decision to maintain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a,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a If the state is maintained and the decision to start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is notified,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a is forcibly terminated, and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a can be initiated and paired (S17). .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타겟팅 서비스장치 관점에서 설명하겠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a method of operating a target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a targeting servic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10)은 자신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 중 가장 센 세기의 NFC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단말(이하, 이동단말(1a)로 언급)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된다(S10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10 initiates a pairing with a mobi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terminal 1a) that transmits the strongest NFC communication signal among NFC communication signals received therein. And it is automatically paired (S100).

이때,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되도록 하기 위해, NFC 통신 신호 세기 기반의 페이링, 일반적인 페이링 종료 외에도, 페어링을 강제 종료하고 다른 이동단말과 페어링을 개시하는 등의 페어링 제어 기능이 실현된다(S100, 도 3의 설명 참조).At this time, in order to pair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with the highest possibility of being a real viewer with the remote control 10, in addition to the NFC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based pairing and normal pairing termination, pairing is forcibly terminated and pairing with other mobile terminals is performed. A pairing control function such as initiating is realized (S100, see description of Fig.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를 근거로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함으로써, 사용자(1)에 대하여 시청 성향 분석 시 이용할 수집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S110).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when receiving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from the mobile terminal 1a, received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By mapping and collec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viewer identifier based on the identifier),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be used when analyzing the viewing propensity for the user 1 (S1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페어링 정보 내 시청자 식별자를 기준으로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이동단말(1a)의 사용자(1)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사용자(1)를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할 수 있다(S120).In addition,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when receiving pairing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 viewer identifier) from the mobile terminal 1a, is based on the viewer identifier in the pairing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user 1 of the mobile terminal 1a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10, the user 1 can be recognized as an actual viewer at the present time (S120).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사용자(1)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있다(S130).Accordingly,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maps the viewer identifier of the user 1 and applies the collecte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analysis algorithm to view the viewing of the user 1 The propensity can be analyzed (S13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외부 컨텐츠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S140), 사용자(1)에 대해 타겟팅된 컨텐츠 예컨대 광고, 추천 VoD 등의 맞춤형 컨텐츠를 사용자(1)의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 중 적어도 하나에 노출시킬 수 있다(S150).And,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100 selects the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user 1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content server (not shown), and By providing the selected targeting content (S140), the content targeted to the user 1, for example, customized content such as advertisements and recommended VoDs, is exposed to at least one of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TV 20 of the user 1 Can be (S1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new type of targeting service that can accurately and quickly identify/recognize a real viewer watching a common device (for example, a TV) and provide a targeted service to the real viewer. I can.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실제 사용자(시청자) 개개인 별로 최적화된 타겟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타겟팅 서비스의 적용 범위 및 개인 만족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improving the application range and personal satisfaction of the targeting service, such as providing an optimized targeting service for each real user (viewer) in a viewing environment using a common device (e.g. TV). hav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range in which various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ology that accurately and quickly identifies/recognizes an actual viewer watching a common device (for example, a TV) and provides a targeted service to the actual viewer is realized. In this regard, it is an invention that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exceed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echnology, not only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is sufficient, as well as a degree that can be practically clearly implemented.

100 : 타겟팅 서비스장치
110 : 시청자인식부 120 : 성향분석부
130 : 서비스제공부 140 : 페어링제어부
100: targeting service device
110: viewer recognition unit 120: propensity analysis unit
130: service provider 140: pairing control unit

Claims (16)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인식부;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분석부; 및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A view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 of a mobile terminal paired with a remote control of a TV as a viewer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a propensity analysis unit to analyze a viewing propensity to watch the TV; And
A targeting service apparatus comprising a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상기 리모컨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A target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mong mobile terminals tha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highest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리모컨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컨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A target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does not occu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a state in which specific content of a type for which viewing is maintained until playback is terminated, and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does not occu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airing with the remote control is forcibly termin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단말이 존재 및 상기 제1 이동단말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리모컨에 통지하는 페어링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re is a second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is within a threshold difference from the paired first mobile terminal,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present and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paired. A temporary viewing tendency analyzed using only operation information operated by a remote contr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have been previously analyzed,
Targe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ing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maintain pair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or initiate pairing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notifies the remote control.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제2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페어링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remote control,
In the case of initiating pairing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excluded from the pairing target while the signal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exists. Targeting servic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분석부는,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pensity analysis unit,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as a viewer, oper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remote control of the TV is operated from the recognition point and a viewer identifier assigned to the specific user are mapped and collected,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alyzing the viewing propensity of the specific user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mapping with the viewer identifier of the specific user.
제 6 항에 있어서,
시청자 식별자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에서 생성되는 비식별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viewer identifier is,
Target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identifying ID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specific us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티브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ervice providing unit,
When recognizing the specific user as a viewer, targeting service apparatus comprising providing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specific user and exposing it to the TV.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 및 상기 티브이 중 적어도 하나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providing unit,
Target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mobile terminal of a specific user is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of the TV, targeting content is provided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specific user and exposed to at least on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V of the specific user Service device.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인식단계;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분석단계; 및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A viewer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a user of a mobile terminal paired with a remote control of a TV as a viewer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A propensity analysis step of analyzing a viewing propensity to watch the TV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And
And a service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argeted content based on the user's viewing tendency for each user recognized as a view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상기 리모컨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A method of operating a targeting service apparatus, where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among mobile terminals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리모컨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컨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bile terminal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of a target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does not occu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a state in which specific content for which viewing i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playback is not played, pairing with the remote control is forcibly terminated. Wa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단말이 존재 및 상기 제1 이동단말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리모컨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re is a second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is within a threshold difference from the paired first mobile terminal,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present and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paired. A temporary viewing tendency analyzed using only operation information operated by a remote contr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have been previously analyzed,
Determining whether to maintain pair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or initiating pairing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notifying the remote control of the targeting service device. How it work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분석단계는,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pensity analysis step,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as a viewer, oper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remote control of the TV is operated from the recognition point and a viewer identifier assigned to the specific user are mapped and collected,
An operating method of a target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alyzing the viewing propensity of the specific user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mapping with the viewer identifier of the specific us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티브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rvice providing step,
When the specific user is recognized as a viewer, targeting content is provided based on the viewing tendency of the specific user and exposed to the TV.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0 to 15.
KR1020190098280A 2019-08-12 2019-08-12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1928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280A KR20210019288A (en) 2019-08-12 2019-08-12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31889A KR102432721B1 (en) 2019-08-12 2021-10-05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280A KR20210019288A (en) 2019-08-12 2019-08-12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89A Division KR102432721B1 (en) 2019-08-12 2021-10-05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88A true KR20210019288A (en) 2021-02-22

Family

ID=746874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280A KR20210019288A (en) 2019-08-12 2019-08-12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31889A KR102432721B1 (en) 2019-08-12 2021-10-05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89A KR102432721B1 (en) 2019-08-12 2021-10-05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19288A (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0742A1 (en) * 2006-08-11 2008-02-14 Sbc Knowledge Ventures L.P.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advertisement data into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network
US8566164B2 (en) * 2007-12-31 2013-10-22 Intent IQ, LLC Targeted online advertisements based on viewing or interacting with television advertisements
WO2013184488A1 (en) * 2012-06-05 2013-12-12 Almondnet, Inc.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a profile linked to an online device associated with a content-selecting device
KR20160045288A (en) * 2014-10-17 2016-04-27 옥윤선 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control system for representing the same
KR101762930B1 (en) * 2014-11-28 2017-07-31 이케이웍스 주식회사 Smart TV System Using User Identification
KR101708130B1 (en) * 2015-11-04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Method for recommanding product to real viewer of tv using settop box
KR101975566B1 (en) * 2018-11-21 2019-05-07 주식회사 오성전자 User scan typ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45A (en) 2021-10-14
KR102432721B1 (en)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9544A1 (en) Merging Permissions and Content Access
US9351053B2 (en)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a profile linked to an online device associated with a content-selecting device
US97923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arch-enabled remote control device
RU2491618C2 (en) Methods of consuming content and metadata
KR101672060B1 (en) Targeted television advertisements selected on the basis of an online user profile and presented with television programs or channels related to that profile
EP2525319B1 (en) Using a media content receiver to provide promotional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US20140165094A1 (en) Roaming targeted advertising for a video services system
US201200729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mless viewing
JP2017511617A (en) Personal area network proxy service for video-on-demand systems
KR100738685B1 (en)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using bi-directional broadcasting service
JP5990363B2 (en) Viewer personalized broadcasting and data channe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20080000968A (e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system and audience rating survey method thereof
KR102432721B1 (en) 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21499B2 (en)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subsequence profiling
KR20170123991A (en) Sound wav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roadcasting program including non-audible sound wav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n demand using the sound wave processing system
KR20190022158A (en) Managing advertisement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644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dvertisements
KR20170123994A (en) Sound wav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roadcasting program including non-audible sound wav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n demand using the sound wave processing system
KR20150084276A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to
KR20210077371A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s regarding advertising brands for ott or iptv users
KR20170123586A (en) Sound wav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roadcasting program including non-audible sound wav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n demand using the sound wave processing system
KR20170123995A (en) Sound wav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roadcasting program including non-audible sound wav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n demand using the sound wave processing system
KR20170123997A (en) Sound wav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roadcasting program including non-audible sound wav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n demand using the sound wave processing system
KR20120043408A (en) System for providing sub-data of broadcas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ub-data of broadcasting,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080055153A (en) Digital broadcasting adverti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