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244A -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244A
KR20210019244A KR1020190098163A KR20190098163A KR20210019244A KR 20210019244 A KR20210019244 A KR 20210019244A KR 1020190098163 A KR1020190098163 A KR 1020190098163A KR 20190098163 A KR20190098163 A KR 20190098163A KR 20210019244 A KR20210019244 A KR 20210019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upport system
screen
route
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389B1 (ko
Inventor
장철순
장원석
문성미
Original Assignee
(주)신동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동디지텍 filed Critical (주)신동디지텍
Priority to KR102019009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3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3Specially adapted for sail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 위치정보, 기상정보, 해도 정보를 수집하며 선박의 출발지점과 목적지점 사이의 항로를 화면에 출력시키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운항 중 상기 항로에 커서를 위치시키면 툴팁화면으로 상기 커서 위치에서 예상되는 해상 환경과 선박 상태의 시뮬레이션 화면을 출력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선박 항로 자동 설정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항로에서의 선박 운항 환경을 운항자에게 시뮬레이션시켜 미래 항로에서의 선박 상태를 미리 인지시킴으로써, 선박 안전 운항에 대한 대비가 가능한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Ship Safety Operation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선박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의 운항자가 설정된 항로를 따라 운항할 때, 설정된 항로의 상태정보를 표시하여 운항자가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선, 해운업계의 주된 관심은 선박의 경제성 및 친환경 그리고 안전성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각종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이에 따른 시스템 제품화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선박의 경제성과 안정성 관점에서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항로 계획 수립과 해양 환경오염 억제를 위한 기술, 그리고 안전 운항을 위한 각종 기술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국제해사기구(IMO)에 의해 추진되는 e-navigation은 안전한 운항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과 사용자 요구사항에 부합한 맞춤형 정보 관리서비스를 위한 운항 통합관리 부분에 대한 연구 개발을 한층 가속화 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양 운항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설계 및 건조 과정상에 새로운 공법과 다양한 운용 시스템이 적용됨에 따라, 사고 위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안전 운항 및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선박에 관한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대양을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운항을 확보하기 위해 선박 항해시스템 및 선박 자동식별 장치등의 장비가 개발되고 있으나, 해상 교통량 증가에 따른 선박 사고는 오히려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선박의 안정성 관점에서는 선박의 항로 설정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방식에서는 선박의 항해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있어서, 개별 선박의 파랑 중의 선박정보, 기상정보 및 해상정보 등의 자연환경정보, 육상구역, 위험지역, 국경선 등 해도정보 등 다양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는 것은 항해자의 경험 및 직관에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였다.
이에 따라 선박 항로 자동 설정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선박 항로 자동설정 기술에 있어서는 선박에 장착된 항해 관련 장비로 자동화시스템, 위성통신시스템, 기상관측시스템, 항해시스템 등이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그 항해 계획 수립에 있어서, 다양한 경우의 수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하다 보니 경로 계산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계산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출발지점 앞에 금지구역이 있거나, 출발지점과 목적지점 사이에 금지구역이 있는 경우에는 출발지점으로부터 항로 생성 가능지역을 판단하기 때문에 금지구역을 통과하는 항로를 제시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선등록특허 10-1346184 '선박 네비게이션시스템 및 상기 선박 네비게이션시스템의 경로제어방법'에서는 선박 각각에 대해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이 설정되면, 해당 선박의 환경정보를 모두 수집하여 분석하고, 선박의 이동 중에 고려할 수 있는 복수의 도달 가능 지점을 상기 환경정보를 반영한일정기준에 따라 필터링 하여 최적항로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른 관점에서 선박 항로 자동 설정기술들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항로에서의 선박 운항 환경을 운항자에게 미리 인지시켜 선박 안전 운항에 대한 대비가 가능한 장치에 대한 기술 공백이 있으며, 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선등록특허 10-1346184 '선박 네비게이션시스템 및 상기 선박 네비게이션시스템의 경로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 항로 자동 설정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항로에서의 선박 운항 환경을 운항자에게 시뮬레이션시켜 미래 항로에서의 선박 상태를 미리 인지시킴으로써, 선박 안전 운항에 대한 대비가 가능한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위치정보, 기상정보, 해도 정보를 수집하며 선박의 출발지점과 목적지점 사이의 항로를 화면에 출력시키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운항 중 상기 항로에 커서를 위치시키면 툴팁화면으로 상기 커서 위치에서 예상되는 해상 환경과 선박 상태의 시뮬레이션 화면을 출력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뮬레이션 화면은 선박 위치를 중심으로 거리와 방위가 표시되는 폴라 차트(Polar chart)에 선박의 운항 속도 및 방향 벡터선과;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MSC.1/Circ.1228에 규정된 운항선박의 4가지 위험상태 Parametric Rolling, Synchronous Rolling, High-wave Attack, Surf-riding and broaching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라 차트(Polar chart)에는 상기 운항선박의 4가지 위험상태 Parametric Rolling, Synchronous Rolling, High-wave Attack, Surf-riding and broaching를 각각 별도 색상으로 표시하고, 각 위험상태를 상기 폴라 차트(Polar chart)의 선박 위치를 중심으로 위치 및 범위 표시하여 선박 운항자가 당해 커서 위치에서 선박에 대한 4가지 위험상태 발생 위치 및 선박과 배치 각도, 거리를 한눈에 인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화면은 선박 그래픽 화면에 상기 커서 지점의 기상, 파고, 파도 및/또는 정적 안정성 지수, 동적 안정성 지수를 연산하여 상기 커서 지점에서의 선박 거동 시뮬레이션 동영상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화면은 상기 커서 위치에서 선박의 수직가속도와 만남주파수를 수집하여 뱃멀미의 발현확률을 백분율로 평가한 뱃멀미 지수MSI(Motion Sickness Incidence)를 연산하여 그래픽 출력시키고, 상기 커서 위치에서 선박 환경 노출시간에 따른 승객이 배멀미 가능성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선박 항로 자동 설정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항로에서의 선박 운항 환경을 운항자에게 시뮬레이션시켜 미래 항로에서의 선박 상태를 미리 인지시킴으로써, 선박 안전 운항에 대한 대비가 가능한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의 네비게이션 화면에 항로가 표시된 기본 출력 화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 안전운항 지원시스템의 폴라 차트 출력 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선박 그래픽 시뮬레이션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MSI 정보 출력화면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의 네비게이션 화면에 항로가 표시된 기본 출력 화면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 안전운항 지원시스템의 폴라 차트 출력 화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선박 그래픽 시뮬레이션 화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MSI 정보 출력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 안전 운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선박 안전 운항 시스템은 선박 위치정보, 기상정보, 해도 정보를 수집하며 선박의 출발지점과 목적지점 사이의 항로를 화면에 출력시키는 선박 운항 장치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안전 운항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도를 출력시키며, 이와 같은 해도에 자동 또는 미리 정해진 경로 표시 등의 방법으로 항로가 지원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박 안전 운항 시스템에 폴라 차트(10), 선박 그래픽 시뮬레이션(20), MSI 정보(30)를 지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박 안전 운항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항로를 추가 지원하는 기술로서, 선박 운항 중 상기 항로에 커서(M)를 위치시키면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팁화면으로 상기 커서(M) 위치에서 예상되는 해상 환경과 선박 상태의 시뮬레이션 화면을 출력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툴팁화면의 출력방법은 마우스 커서(M)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윈도우 화면 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메뉴 화면의 클릭 등으로 새로 출력되는 화면 등 공지의 기술로 표현할 수 있는 출력 화면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뮬레이션 화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위치를 중심으로 거리와 방위가 표시되는 폴라 차트(10)(Polar chart)에 선박의 운항 속도 및 방향 벡터선과;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MSC.1/Circ.1228에 규정된 운항선박의 4가지 위험상태 Parametric Rolling(114), Synchronous Rolling(113), High-wave Attack(112), Surf-riding and broaching(111)를 표시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폴라 차트(10)는 선박 위치를 중심으로 거리와 방위가 표시하는 차트로서 해상 위치 표시에서 일반적인 차트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운항 속도 및 방향을 벡터선(115)으로 표시하는 방법 역시 공지기술에 속한다.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MSC.1/Circ.1228에서는 운항선박의 4가지 위험상태 Parametric Rolling(114), Synchronous Rolling(113), High-wave Attack(112), Surf-riding and broaching(111)를 규정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박의 4가지 위험상태를 개별 선박의 파랑 중의 선박정보, 기상정보 및 해상정보 등의 자연환경정보, 육상구역, 위험지역, 국경선 등 해도정보 등 다양한 요소들을 수집하여 연산하고, 선박에 장착된 항해 관련 장비, 자동화시스템, 위성통신시스템, 기상관측시스템, 항해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해상 환경 정보를 수집 취합하여 연산하여 출력시킨다.
MSC.1/Circ.1228에서 정의한 Parametric Rolling(114)는 선박의 고유횡동요주기(Natural rolling period)와 파의 만남주기(Encounter period)가 일치할 경우, 선박이 좌우로 심하게 요동치는 현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또한, Synchronous Rolling(113)은 선박의 선수 또는 선미 쪽에서 파도를 받는 상태에서 선박의 고유횡동요주기와 파의 만남주기가 일치하지 않음에도 선박이 좌우로 심하게 요동치는 현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High-wave Attack(112)는 높은 파도가 예상되는 지역이며, Surf-riding and broaching(111)은 선박이 파도를 선미로부터 받으며 항주할 때에, 선체 중앙이 파도의 마루나 파도의 오르막 파면에 위치함으로써 급격한 선수 동요가 발생하여 선체가 파도와 평행하게 놓이는 현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취합 연산된 운항선박의 4가지 위험상태 Parametric Rolling(114), Synchronous Rolling(113), High-wave Attack(112), Surf-riding and broaching(111)를 도 2와 같이 상기 폴라 차트(10)상에 표시함으로서, 선박 위치를 중심으로 선박의 안전 고려 정보가 한눈에 인식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라 차트(10)(Polar chart)에는 상기 운항선박의 4가지 위험상태 Parametric Rolling(114), Synchronous Rolling(113), High-wave Attack(112), Surf-riding and broaching(111)를 각각 별도 색상으로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당해 커서 위치에서 각 위험상태는 상기 폴라 차트(10)(Polar chart)의 선박 위치를 중심으로 위치 및 범위 표시되므로, 선박 운항자가 당해 커서 위치에서 선박에 대한 4가지 위험상태 발생 위치 및 선박과 배치 각도, 거리를 한눈에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항로상에 커서(M)를 위치시키면 출력되게 하여 전 항로에서 선박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항로가 수동 또는 자동 설정된다 하더라도 설정된 항로에서의 선박 상태를 선장이 인지하여 경로상의 위험 고려 요소를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 선박의 안전 운항에 절대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항로에 따라 위험요소를 고려하여 최적 항로가 설정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여러 위험 요소를 고려한 최적환경에 불과할 뿐이므로 최저 수준의 위험 요소가 잔존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장은 선박의 항로에 대하여 최고의 집중을 해야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장의 항로 운항에 있어서 미래 항로에 대한 안전 환경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선박 그래픽 시뮬레이션(20) 화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그래픽 화면에 상기 커서 지점의 기상, 파고, 파도 및/또는 정적 안정성 지수, 동적 안정성 지수(210)를 연산하여 수치정보와 함께 상기 커서 지점에서의 선박 거동 시뮬레이션 동영상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200) 그래픽 화면을 중심으로 선박(200) 주변의 파도 그래픽(220). 기상 그래픽(미도시)을 출력시키는데, 이는 당해 커서(M) 항로 위치에서 선박에 대한 위험 요소가 시뮬레이션으로 제공되게 하여 차트로 인지되는 정보와는 다른 인지력 있는 정보를 선박 운항자에게 제공하므로, 선박 안전에 더욱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화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서(M) 위치에서 선박의 수직가속도와 만남주파수를 수집하여 뱃멀미의 발현확률을 백분율로 평가한 뱃멀미 지수MSI(Motion Sickness Incidence)를 연산하여 그래픽 출력시키고, 상기 커서 위치에서 선박 환경 노출시간에 따른 승객이 배멀미 가능성을 인지시키는 MSI 정보(30)를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선박 운항자는 미래 운행 항로상의 선박 거동 뿐 만 아니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상기 MSI 지수에 의해 예측할 수 있으므로, 선원의 안전을 위한 경고 등 예측 운항이 가능해 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폴라 차트(10), 선박 그래픽 시뮬레이션(20), MSI 정보(30)는 기본 해도 출력 윈도우에 선택 메뉴바를 제공하여 선택적 출력이 가능하다.
상기 MSI 지수에 대한 것은 공지의 논문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MSI 지수]
선박이 운항 중에 직면하는 선박의 동요는 인체의 피로, 멀 미, 인지능력의 저하, 활동성의 저하 등과 같은 좋지 않은 영향을 초래하기도 한다.
선박에서는 여러 가지의 원인으로 인해서 운동가속도가 피곤정도, 어지럼증, 신체적 온도의 변화, 발한, 하품, 입술의 마름정도, 두통, 복통, 메스꺼움 그리고 구토 등의 발생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 멀미여부는 피로와 유사하게 일단 증상이 나타나면 심리적 또는 물리적 측면에서 작업수행 능력이 떨어지고, 정신적 활동이 지연되기도 한다.
그리고 멀미증상이 일단 나타나면 회복하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박 뱃멀미의 발생빈도 지표가 되는 MSI지수에 대해 알아보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진동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주파수이다.
ISO의 인체진동 관련 규격에서는 인체에 대한 영향을 주는 거동을 저주파수 운동(0.63Hz 이하)과 진동(1~80Hz)으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0.1∼0.5Hz의 저주파수 영역에서 멀미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ISO 2631-1, 1997).
또한 멀미 증상은 비행기, 자동차, 선박 등으로 장시간 탑승하는 환경에서 많이 발생한다.
뱃멀미의 발생원인은 사람의 모든 감각기관에 의한 운동예측과 실제 받는 운동이 불일치하고, 많은 환경요인에서 수행하는 작업 등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인간이 받는 가속도 중에서 수직가속도가 뱃멀미에 가장 민감하다고 알려져 있다(ISO 2631-1, 1997).
MSI는 노출시간과 운동가속도에 대한 뱃멀미의 발현확률을 백분율로 표시하고 있다. 운동 가속도에 대한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멀미의 발생 가능성은 증가하고 이에 대한 적응은 오랜시일이 지나야 얻어지며, 저주파수 운동의 감각은 각각의 개개인의 차이가 매우 크지만, 통계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멀미를 심하게 하고 나이가 많을수록 멀미의 빈도는 감소한다.
반면, 0.5rad/s 미만의 저주파수 운동에서는 주의력과 인식기능이 떨어지고 멀미가 발생함으로써 집중력 감소, 움직임 곤란, 판단력 저하, 무기력함 등 작업수행에 심각한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ISO 9996, 1996).
뱃멀미의 기준은 승객의 쾌적함의 평가를 위하여 만들어졌으며,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ISO 2631-3(1985)에서는 0.1~0.63Hz 범위에 해당하는 운동이 인체에 유발하는 진동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인체 진동분야와 달리 시험과 데이터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심각한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범위(Severe Discomfort Boundaries)에 대한 가이드라인만이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불쾌감 영역은 주파수와 가속도와의 관계로 정의한 것으로 뱃멀미를 일으키는 한계 가속도를 노출 시간별로 주파수 함수와 가속도 RMS (Root Mean Square)값으로 범위를 제공하고 있다. (JFMSE, 28(1), pp. 14~21, 2016. www.ksfme.or.kr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통권79호, 2016. 실습선의 거주위치 변경에 따른 수직가속도 저감에 관한 연구 한승재* 하영록** 이승철* 정태영* 김인철 참조)
선체운동과 관련된 멀미도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해상상태에 따른 수직가속도 분석을 위하여 선박 내에 여러 위치에서 가속도를 계측하였다.
O'Hanlon et al.(1973)과 O'Hanlon and McCauley(1974)는 승객이 일정한 주파수와 수직가속도 운동에 대해서 2시간 동안 노출되었다고 했을 경우, 뱃멀미의 발현확률을 백분율로 평 가한 뱃멀미 지수인 MSI(Motion Sickness Incidence)의 계산식을 에러 함수를 통해 제한하고, 진폭 또는 주파수에서 노출 시간의 함수로 통해서 500가지의 경우에 대해 실험을 평가 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도 제안하였다.
그리고 뱃멀미와 가 속도 운동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Lawther and Griffin, 1986)가 대표적이다. 최근의 연구사례에서는 대학 실습선을 대상으로 MSI를 평가하여 쾌적한 승선감 향상을 위해서 초 기설계 단계에서부터 수직가속도를 개선하는 선형보정과 수직가속도가 낮은 위치를 고려한 선형결정이 중요하다고 제시되었다(Han, 201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20 No.4 pp.412-41 참조]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 운항시스템에 제공되는 선박 항로상에서 선박의 미래 환경을 미리 시뮬레이션하여 제공함으로써, 선박 운항자가 미리 대응 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폴라 차트
20 : 선박 그래픽 시뮬레이션
30 : MSI 정보
111 : Surf-riding and broaching
112: High-wave Attack
113 : Synchronous Rolling
114 : Parametric Rolling
200 : 선박
220 : 주변의 파도 그래픽

Claims (5)

  1. 선박 위치정보, 기상정보, 해도 정보를 수집하며 선박의 출발지점과 목적지점 사이의 항로를 화면에 출력시키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운항 중 상기 항로에 커서를 위치시키면
    툴팁화면으로 상기 커서 위치에서 예상되는 해상 환경과 선박 상태의 시뮬레이션 화면을 출력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화면은
    선박 위치를 중심으로 거리와 방위가 표시되는 폴라 차트(Polar chart)에
    선박의 운항 속도 및 방향 벡터선과;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MSC.1/Circ.1228에 규정된 운항선박의 4가지 위험상태 Parametric Rolling, Synchronous Rolling, High-wave Attack, Surf-riding and broaching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라 차트(Polar chart)에는
    상기 운항선박의 4가지 위험상태 Parametric Rolling, Synchronous Rolling, High-wave Attack, Surf-riding and broaching를 각각 별도 색상으로 표시하고,
    각 위험상태를 상기 폴라 차트(Polar chart)의 선박 위치를 중심으로 위치 및 범위 표시하여 선박 운항자가 당해 커서 위치에서 선박에 대한 4가지 위험상태 발생 위치 및 선박과 배치 각도, 거리를 한눈에 인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화면은
    선박 그래픽 화면에
    상기 커서 지점의 기상, 파고, 파도 및/또는 정적 안정성 지수, 동적 안정성 지수를 연산하여
    상기 커서 지점에서의 선박 거동 시뮬레이션 동영상을 출력시키는 선박 그래픽 시뮬레이션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화면은
    상기 커서 위치에서 선박의 수직가속도와 만남주파수를 수집하여 뱃멀미의 발현확률을 백분율로 평가한 뱃멀미 지수MSI(Motion Sickness Incidence)를 연산하여 그래픽 출력시키고,
    상기 커서 위치에서 선박 환경 노출시간에 따른 승객이 배멀미 가능성을 출력시키는 MSI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KR1020190098163A 2019-08-12 2019-08-12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KR10231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63A KR102319389B1 (ko) 2019-08-12 2019-08-12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63A KR102319389B1 (ko) 2019-08-12 2019-08-12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44A true KR20210019244A (ko) 2021-02-22
KR102319389B1 KR102319389B1 (ko) 2021-10-29

Family

ID=7468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163A KR102319389B1 (ko) 2019-08-12 2019-08-12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962A (ko) 2021-06-30 2023-01-06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안전 운항 지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선박 시뮬레이터 연계 시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538A (ko) * 2003-12-10 2005-06-16 한국해양연구원 항해지원용 해양환경정보 실시간 예보 시스템
KR101346184B1 (ko) 2012-03-15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네비게이션시스템 및 상기 선박 네비게이션시스템의 경로제어방법
KR20160143413A (ko) * 2015-06-05 2016-12-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70117994A (ko) * 2017-10-11 2017-10-24 (주)코마린 해양 내비게이션 장치 및 항로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538A (ko) * 2003-12-10 2005-06-16 한국해양연구원 항해지원용 해양환경정보 실시간 예보 시스템
KR101346184B1 (ko) 2012-03-15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네비게이션시스템 및 상기 선박 네비게이션시스템의 경로제어방법
KR20160143413A (ko) * 2015-06-05 2016-12-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70117994A (ko) * 2017-10-11 2017-10-24 (주)코마린 해양 내비게이션 장치 및 항로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962A (ko) 2021-06-30 2023-01-06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안전 운항 지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선박 시뮬레이터 연계 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389B1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meister et al. Can unmanned ships improve navigational safety?
Man et al. Human factor issues during remote ship monitoring tasks: An ecological lesson for system design in a distributed context
KR101918980B1 (ko) 실시간 복원성 지수를 이용한 대피 레벨 결정 기반 선박 사고시 안전한 대피를 지원하기 위한 선박 항로 및 선박 조종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Ibrion et al. Learning from failures in cruise ship industry: The blackout of Viking Sky in Hustadvika, Norway
Sariöz et al. Effect of criteria on seakeeping performance assessment
Prison et al. Ship sense—striving for harmony in ship manoeuvring
Shigunov et al. Criteria for minimum powering and maneuverability in adverse weather conditions
Chen et al. A systematic simulation methodology for LNG ship operations in port waters: a case study in Meizhou Bay
Houtman et al. Fatigue in the shipping industry
Azevêdo et al. Methodology for Maritime Risk Assessment in Ports due to Meteo‐oceanographic Factors: The Case of the port of Suape, Brazil
KR102319389B1 (ko)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Olsson et al. Work on the bridge–studies of officers on high-speed ferries
Vettor et al. Multi-objective route optimization for onboard decision support system
Gaglione et al. The overall motion induced interruptions as operability criterion for fishing vessels
Santiago Caamaño et al. Improving the safety of fishing vessels through roll motion analysis
Pietrzykowski et al. Navigation decision support for sea-going ships in port approach areas
Çınar A model on risk analysis methods in ship handling during port manoeuvres
Colwell Modeling ship motion effects on human performance for real time simulation
Fukuoka Safer seas: Systematic accident prevention
Viljanen Shore-based Voyage Planning
Lützhöft et al. Show me where you look and I’ll tell you if you’re safe: Eye tracking of maritime watchkeepers
Hilden “Utopia at Sea” from the Captain’s Chair: Are Autonomous Ships the Real Solution to Human Error?
Filonenko et al. Practice and prospects of seafarer simulation training in foreign communication competence
Kuwornu Impact of portable piloting units on the situation awareness of maritime pilots perspectives of Danish and West African pilots
Porathe Workload and navigational control: The control levels of COCOM as framework for ship bridge HMI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