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413A -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413A
KR20160143413A KR1020150080107A KR20150080107A KR20160143413A KR 20160143413 A KR20160143413 A KR 20160143413A KR 1020150080107 A KR1020150080107 A KR 1020150080107A KR 20150080107 A KR20150080107 A KR 20150080107A KR 20160143413 A KR20160143413 A KR 20160143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information
vessel
motion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577B1 (ko
Inventor
김민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57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구비된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주파수 영역 운동 해석 동작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선박의 선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단기 운동 결과를 예측하여, 예측된 상기 단기 운동 결과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지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VESSEL MONITORING}
본 발명은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선박의 운동성을 모니터링 하여 운항 지침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선박은 육상의 구조물과는 달리 부력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면 위에서 운항한다. 강과 호수와는 달리 바다에서는 파도나 해풍 등의 영향으로 수면의 변화가 매우 크므로 바다에서 운항하는 선박은 수면의 상태에 따라 Surge, Sway, 상하동요(Heave), 횡동요(Roll), 종동요(Pitch) 또는 Yaw 운동을 반복한다. 특히 고속 활주선이나 양력 지지형 선박 등에서는 상하동요나 종동요가 크게 발생하고, 여객선이나 화물선 같은 일반적인 배수량 형태의 선박에서는 횡동요가 승선감 및 선원의 작업능력, 화물의 안전에 영향을 준다.
특히, 상부갑판 위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컨테이너선과 같이 무게중심이 높게 형성된 선박의 경우 횡동요에 의해 전복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고, LNG 운반선과 같이 액체화물을 적재하는 선박의 경우 횡동요에 의해 액체화물의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선박의 안정성을 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황천(high sea)운항 중 선박이 과도한 운동, 가속, 슬래밍 또는 갑판 침수 등으로 인해 선체, 인명 또는 화물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종래에는 황천 중의 운항에 대해서 운항자의 경험 및 숙련도에 따라 위험 대처 능력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선박의 운동성 모니터링을 통해 위험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선박의 운동성을 모니터링 하여 운항 지침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에 구비된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주파수 영역 운동 해석 동작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선박의 선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단기 운동 결과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기 단기 운동 결과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지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선박의 운항 지침을 운항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해상 정보는, 해상의 파도 관련 정보 및 상기 해상의 기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운동성과 관련된 선박 운동 정보 및 선박 자체에 관한 선박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해상 정보는, 파고 레이더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 정보는, 상기 선박의 항해기록장치 (voyage data recorder, VDR) 및 상기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의 단기 운동 결과는, 선박의 6자유도 운동, 파고의 변위 및 속도, 슬래밍, 갑판 침수 또는 프로펠러 노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항 지침은, 선박의 항로 변경, 속도 변경 또는 위험성에 대한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는,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상기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주파수 영역 운동 해석 동작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선박의 선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단기 운동 결과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단기 운동 결과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지침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선박의 운항 지침을 운항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해상 정보는, 해상의 파도 관련 정보 및 상기 해상의 기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
또한,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운동성과 관련된 선박 운동 정보 및 선박 자체에 관한 선박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해상 정보는, 파고 레이더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 정보는, 상기 선박의 항해기록장치 (voyage data recorder, VDR) 및 상기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의 단기 운동 결과는, 선박의 6자유도 운동, 파고의 변위 및 속도, 슬래밍, 갑판 침수 또는 프로펠러 노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항 지침은, 선박의 항로 변경, 속도 변경 또는 위험성에 대한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고, 선박의 운동성에 따라 선원 작업성 및 승선감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선박 모니터링 장치는 해상 정보 수집부(100), 선박 정보 수집부(200), 제어부(300), 저장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을 포함할 수 있다.
해상 정보 수집부(100)는 해상 상태에 관한 정보인 해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해상 정보 수집부(100)가 수집하는 해상 정보는 해상의 파고, 파랑 또는 파향 등의 파도 관련 정보, 풍향, 풍속 또는 강우 등의 기상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해상 정보 수집부(100)는 파고 레이더(wave radar)장치 일 수 있다. 또한 해상 정보 수집부(100)는 별도로 구비된 통신 모듈이나 제어부(300)에 포함된 통신부를 통해 원격으로 기상 예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선박 정보 수집부(200)는 선박과 관련된 정보인 선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박 정보는 선박의 운동성과 관련된 선박 운동 정보 및 선박 자체에 관한 선박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선박 운동 정보는 선박의 운동 상태에 관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선박 정보 수집부(200)는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센서는 선박의 움직임 즉, 모션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박에는 기울기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박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화물 또는 선박의 관심 지점에 부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선박 상태 정보는 선박의 운항과 관련된 선박 운항 관련 정보와 선박의 적재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의 운항 관련 정보의 획득을 위해 선박 정보 수집부(200)는 항해기록장치(voyage data recorder, VD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적재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로딩 컴퓨터(loading comput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선박 정보 수집부(200)는 위성 항법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유속계(speed log) 또는 풍속계(anemometer) 등과 같은 다양한 계측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 항법 장치(GPS)는 GPS 수신기로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선박의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GPS는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유속계(speed log)는 선박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유속계는 초음파식, 프로펠러식 또는 열선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속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풍속계(anemometer)는 풍향을 측정하여 선박의 진행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항해기록장치(VDR)는 항공기의 블랙박스와 같이 선박의 항해와 관련된 자료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항해기록장치에는 선박의 위치, 속도, 침로, 선교 근무자의 음성, 통신기 음성, 레이다 자료, 수심, 타 사용 내역, 엔진 사용 내역, 풍향, 풍속, AIS 관련 자료 등이 기록될 수 있다. 해상인명안전협약(Safety Of Life At Sea, SOLAS) 규정에 의거하여 2002년 1월 1일 이전에 건조 된 선박은 간이선박항해기록장치를 설치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다.
로딩 컴퓨터(loading computer)는 선박에 적재된 화물에 따른 선박의 흘수 또는 프로펠러의 회전수(rpm) 등에 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선박 상태 정보는 선박의 선박의 조종 성능을 나타내는 자선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선 정보는 선박의 조종성능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최소한의 정보로, 자선 정보는 배 길이, 폭, 속도-저항 곡선, 프로펠러 지름, 추력감소계수, 반류비, 전진비-추력계수 곡선, 타 형상 정보 또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유체력 미계수는 흘수, 방형계수, 배수량, 선미형상 계수 등의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자선 정보는 선박의 형태에 관한 선형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선박 모니터링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장부(400)는 해상 정보 수집부(100) 및 선박 정보 수집부(200)가 수집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또한 육상 관제로부터 원격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부(300)는 모션 분석부(310), 운항환경지수 계산부(320), 동작 안정성 판단부(330) 및 운동 계측 통계 학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모션 분석부(310), 운항환경지수 계산부(320), 동작 안정성 판단부(330) 및 운동 계측 통계 학습부(34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300)는 이 밖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300)의 모션 분석부(310), 운항환경지수 계산부(320), 동작 안정성 판단부(330) 및 운동 계측 통계 학습부(340)가 수행하는 기능을 하나의 제어부(300)가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시한다.
모션 분석부(310)는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선박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선박의 단기적인 응답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션 분석부(310)는 현재의 선박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선박의 6자유도 운동, 상대 파고의 변위 및 속도, 슬래밍, 갑판 침수 또는 프로펠러 노출 등의 단기적인 선박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모션 분석부(310)는 해상 정보 수집부(100) 및 선박 정보 수집부(200)의 수집 정보를 주파수 영역에서 해석하고 선박의 6자유도 운동을 기초로 선박의 단기 응답을 예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모션 분석부(310)는 전술한 선박의 선형 정보를 반영하여 선박의 단기 응답을 예측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모션 분석부(310)의 예측 결과에 따라 위험을 알리거나, 항로를 변경하거나 또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모션 분석부(310)의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할 수 있다.
운항환경지수 계산부(320)는 선원의 작업성 또는 승선감과 관련된 운항환경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인간의 경우 뱃멀미 지수(motion sickness incidence, MSI)와 운동유발 작업방해횟수(motion induced interrupt, MII)로 운항환경지수를 나타낼 수 있다.
MSI는 통상적으로 2시간에 대한 뱃멀미의 발현확률을 백분율로 표시한다. 인간이 받는 가속도중 상하방향 가속도가 뱃멀미에 가장 민감할 수 있다. 운항환경지수 계산부(320)는 승객이 일정한 상하방향 가속도에 2시간 동안 노출된 경우의 MSI 및 승선시점에서부터 계산시점까지의 누적 MSI도 계산할 수 있다.
MII는 일정 시간 동안 운동에 의하여 인간이 하던 작업을 멈추고 균형을 잡기 위하여 조치를 위해야 하는 경우의 발생 횟수를 나타낸다. 선박이 횡동요로 인해 많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 중력에 의해 옆방향 힘이 발생하고 이 값이 클수록 균형을 잡기 위해서 작업을 멈추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선박 위의 인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은 슬라이딩(sliding)과 지지하는 발로 버티는 것으로 부족하여 다른 한쪽 발이 바닥에서 떨어지는 경우인 티핑(tipping)이 있을 수 있다. 이 중 슬라이딩은 신발, 바닥의 재질 및 상태에 따라서 발생 기준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마른 바닥에 작업화를 신으면 티핑이 발생하는 힘보다 훨씬 큰 힘이 작용하여야 슬라이딩이 발생하므로 티핑만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운항환경지수 계산부(320)는 선박에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MSI 및 MII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운항환경지수 계산부(310)의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적 안정성 판단부(330)는 선박의 동적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파도 중 운행중인 선박은 파도의 움직임에 따라 수선면적이 변화한다. 수선면적이 변화하면 선박의 복원성도 변화하며 이때 선박 복원성의 안정한 정도를 동적 안정성 이라고 한다. 선박이 외부로부터 교란(예를 들어 바람이나 파도)을 받게 되면 선박은 Roll 또는 Pitch 등 주기성 운동이 발생하는데 수선면적의 변화에 따른 복원성변화로 인해 선박이 원위치(정수중 상태)로 돌아오지 못하거나 공진이 발생하는 경우 동적으로 불안정한 선박이다. 동적 안정성은 경우에 따라 동적 복원성 또는 동복원성이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동적 안정성 판단부(330)는 선박의 해상 정보 수집부(100) 및 선박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선박의 동적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동적 안정성 판단부(330)는 선박의 파라메트릭 횡동요(parametric roll), surf-riding, 브로칭(broaching) 또는 high wave group등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선박의 동적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동적 안정성 판단부(330)의 결과를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300)는 동적 안정성 판단 결과에 따라 운항 지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운동 계측 통계 학습부(340)는 선박의 흘수와 종경사(trim)을 조절하기 위한 밸러스트(ballast)를 계획하기 위해 선박의 해상 정보 수집부(100) 및 선박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해상 상황별 운동성능에 관한 정보를 자가학습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화 하고 이를 통한 최적의 밸러스팅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운동 계측 통계 학습부(340)는 선박의 해상 정보 수집부(100) 및 선박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수집된 선박의 흘수, 트림, 해상 상태, 운동 및 가속도 간의 상관관계를 자가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계측 통계 학습부(340)는 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의 흘수 및 트림 별 속도 성능을 기초로 위험도가 낮으면서 가장 적은 마력으로 운항할 수 있는 흘수 및 트림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운동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흘수를 깊게 확보하면서도 최적의 마력을 내는 흘수 및 트림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운동 계측 통계 학습부(340)가 계산한 흘수 및 트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선박 모니터링 장치는 먼저 선박에 구비된 다양한 계층 장비를 이용하여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수집한다(601).
여기서 해상 정보는 해상의 파고, 파랑 또는 파향 등의 파도 관련 정보, 풍향, 풍속 또는 강우 등의 기상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해상정보는 파고 레이더(wave radar)장치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 정보는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으로 수신될 수도 있다.
선박 정보는 선박의 운동성과 관련된 선박 운동 정보 및 선박 자체에 관한 선박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선박 운동 정보는 선박의 운동 상태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선박 운동 정보는 선박에 구비된 모션 센서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선박 상태 정보는 선박의 운항과 관련된 선박 운항 관련 정보와 선박의 적재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의 운항 관련 정보는 항해기록장치(voyage data recorder, VDR)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적재 상태 정보는 로딩 컴퓨터(loading computer)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603 단계에서 선박 모니터링 장치는 수집된 정보를 주파수 영역의 운동 해석 방법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선형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선박 모니터링 장치는 수집된 정보 및 선박의 선형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의 운동해석을 수행한다.
605 단계에서 선박 모니터링 장치는 현재의 선박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선박의 6자유도 운동, 상대 파고의 변위 및 속도, 슬래밍, 갑판 침수 또는 프로펠러 노출 등의 단기적인 선박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607 단계에서 선박 모니터링 장치는 예측한 내용을 기초로 운항 지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운항 지침은 선박의 항로 변경, 속도 변경 또는 위험성에 대한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609 단계에서 선박 모니터링 장치는 결정된 운항 지침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제어부(300)에 구비된 통신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선상의 데이터들을 육상 관제로 전송하고 육상 관제로부터 원격으로 항로 또는 속력 등의 운항지침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선박 모니터링 장치가 전송한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가공될 수 있으며, 가공된 데이터는 항법을 개선하거나 선원을 교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모든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의 대상이 되거나 생략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에서 단계들은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날 필요는 없으며, 뒤바뀔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해상 정보 수집부
200: 선박 정보 수집부
300: 제어부
400: 저장부
500: 디스플레이부

Claims (16)

  1. 선박에 구비된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주파수 영역 운동 해석 동작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선박의 선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단기 운동 결과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기 단기 운동 결과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지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운항 지침을 운항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정보는,
    해상의 파도 관련 정보 및 상기 해상의 기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운동성과 관련된 선박 운동 정보 및 선박 자체에 관한 선박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정보는,
    파고 레이더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정보는,
    상기 선박의 항해기록장치 (voyage data recorder, VDR) 및 상기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단기 운동 결과는,
    선박의 6자유도 운동, 파고의 변위 및 속도, 슬래밍, 갑판 침수 또는 프로펠러 노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 지침은,
    선박의 항로 변경, 속도 변경 또는 위험성에 대한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선박의 모니터링 방법.
  9.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상기 해상 정보 및 선박 정보를 주파수 영역 운동 해석 동작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선박의 선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단기 운동 결과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단기 운동 결과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운항 지침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운항 지침을 운항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정보는,
    해상의 파도 관련 정보 및 상기 해상의 기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운동성과 관련된 선박 운동 정보 및 선박 자체에 관한 선박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정보는,
    파고 레이더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정보는,
    상기 선박의 항해기록장치 (voyage data recorder, VDR) 및 상기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단기 운동 결과는,
    선박의 6자유도 운동, 파고의 변위 및 속도, 슬래밍, 갑판 침수 또는 프로펠러 노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 지침은,
    선박의 항로 변경, 속도 변경 또는 위험성에 대한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
KR1020150080107A 2015-06-05 2015-06-05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73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07A KR101736577B1 (ko) 2015-06-05 2015-06-05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07A KR101736577B1 (ko) 2015-06-05 2015-06-05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13A true KR20160143413A (ko) 2016-12-14
KR101736577B1 KR101736577B1 (ko) 2017-05-16

Family

ID=5757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107A KR101736577B1 (ko) 2015-06-05 2015-06-05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57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45A (ko) * 2017-09-20 2019-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저장탱크 모니터링 장치
KR20190123563A (ko) * 2018-04-24 2019-11-01 (주)토탈소프트뱅크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
KR102145385B1 (ko) * 2019-12-26 2020-08-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791997A (zh) * 2020-07-15 2020-10-20 广东海洋大学 一种面向船舶的智能海上船舶遇险预警系统
KR20210019244A (ko) * 2019-08-12 2021-02-22 (주)신동디지텍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KR20220109189A (ko) * 2021-01-28 2022-08-04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침몰안전성 요소 추정 및 침몰안전성 판별 방법
WO2023136408A1 (ko) * 2022-01-11 2023-07-20 한국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에 따른 선수방위 제어성능의 분석평가모듈을 이용한 충돌회피를 위한 선수방위 범위 산출방법
KR102633624B1 (ko) * 2023-09-06 2024-02-05 한화시스템(주) 함정 안전항해 권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1500A (ja) * 2010-09-02 2012-03-15 Universal Shipbuilding Corp 荒天時警報発令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45A (ko) * 2017-09-20 2019-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저장탱크 모니터링 장치
KR20190123563A (ko) * 2018-04-24 2019-11-01 (주)토탈소프트뱅크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
KR20210019244A (ko) * 2019-08-12 2021-02-22 (주)신동디지텍 선박 안전운항지원시스템
KR102145385B1 (ko) * 2019-12-26 2020-08-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791997A (zh) * 2020-07-15 2020-10-20 广东海洋大学 一种面向船舶的智能海上船舶遇险预警系统
CN111791997B (zh) * 2020-07-15 2024-05-03 广东海洋大学 一种面向船舶的智能海上船舶遇险预警系统
KR20220109189A (ko) * 2021-01-28 2022-08-04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침몰안전성 요소 추정 및 침몰안전성 판별 방법
WO2023136408A1 (ko) * 2022-01-11 2023-07-20 한국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에 따른 선수방위 제어성능의 분석평가모듈을 이용한 충돌회피를 위한 선수방위 범위 산출방법
KR102633624B1 (ko) * 2023-09-06 2024-02-05 한화시스템(주) 함정 안전항해 권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577B1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577B1 (ko)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erera et al. Weather routing and safe ship handling in the future of shipping
US864350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sloshing alerts and advisories
KR101529378B1 (ko) 실시간 해양 구조물에 대한 유체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 운동 및 운용 위치를 예측 모니터링 및 제어함을 통한 연료절감, 안전운용 및 유지보수정보 제공 방법
Begovic et al. Experimental assessment of intact and damaged ship motions in head, beam and quartering seas
KR101529377B1 (ko) 실시간 해양 구조물에 대한 기체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 운동 및 위치를 예측 모니터링 및 예측 제어함을 통한 연료절감, 안전운용 및 유지보수정보 제공 방법
KR101693981B1 (ko) 선박의 충돌 회피 방법 및 장치
CN105292397A (zh) 一种内河船舶稳性实时监测及预警方法、系统和装置
KR20180096179A (ko) 실시간 복원성 지수를 이용한 대피 레벨 결정 기반 선박 사고시 안전한 대피를 지원하기 위한 선박 항로 및 선박 조종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2801B1 (ko) 선박용 전복경보 시스템
KR101726500B1 (ko)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RU2467914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мореходности суд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568614B1 (ko) 선박의 최적화 항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530828A (ja) 船舶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15051B1 (ko) 선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내항성 지수 산정 방법 및 내항성 지수 산정 시스템
KR20180076936A (ko) 초저가 해상상태 추정기를 이용한 선박의 최적항로 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1861065B1 (ko) 파도 예측을 통한 선박 안전 항해 지원 시스템
KR20160116138A (ko) 선박 항해기록의 백업장치 및 방법
JP2006330884A (ja) 潮流予測システム
Reichert et al. X-Band radar derived sea surface elevation maps as input to ship motion forecasting
KR102565923B1 (ko) 기계 학습으로 학습된 통계 모델에 의한 탱크의 슬로싱 응답 추정
CN113428318B (zh) 船舶动力设备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luwe Development of a minimum stability criterion to prevent large amplitude roll motions in following seas
JP2021160427A (ja) 走錨リスク評価プログラム、走錨リスク評価システム、及び走錨リスク回避システム
Kahl et al. Semi-empirical assessment of long-term high-frequency hull girder response of containerships—an upd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