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851A -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핸들 - Google Patents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851A
KR20210018851A KR1020207036956A KR20207036956A KR20210018851A KR 20210018851 A KR20210018851 A KR 20210018851A KR 1020207036956 A KR1020207036956 A KR 1020207036956A KR 20207036956 A KR20207036956 A KR 20207036956A KR 20210018851 A KR20210018851 A KR 20210018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ccess
machine
brack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피자토
시몬 존타
Original Assignee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10018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8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in connection with the locking of doors, covers, guards, or like members giving access to moving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F16P3/1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 F16P3/14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light gr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핸들은 제어될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를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 파지 부재를 구비하는 본체(3, 4), 상기 본체(3, 4)를 상기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및 상기 본체(3, 4)와 관련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가 제어될 수 있도록, 폐쇄시 상기 액세스 부(A)의 고정 부(F)와 관련된 제어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 4)는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전원 및/또는 서비스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 및/또는 제어 장치(25, 26)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신호 및/또는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광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광원(2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핸들
본 발명은 산업용 전기 장치 분야에 적용되며, 특히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배리어 또는 보호 패널에 적용가능한 안전 핸들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 부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작동 경계(perimeter)내로의 자발적 또는 우발적 진입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배리어, 경계 및 보호 패널과 같은 액세스 부는 기계 또는 시스템 또는 위험한 부품이 차단된 후에만 경계내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기계 또는 플랜트의 전원 공급 회로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보조 서비스 회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전 장치를 일반적으로 구비하고, 이는 기계 또는 플랜트의 작동 상태와 플랜트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이상(anomalies)을 지속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장치의 안전 등급은 오퍼레이터가 기계 또는 플랜트가 계속 작동중인 상태에서 경계에 들어갈 경우 발생할 위험이 높을수록 높아야 한다.
다른 유형의 액세스 제어 장치는 안전 핸들이다. 즉, 이러한 장치들은 액세스 부 또는 그것의 간단한 잠금 해제부의 개방 시, 플랜트가 정지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액세스 부 또는 단지 그 일부의 개방 또는 폐쇄를 가능하게 한다.
안전 핸들의 예가 US2005/108945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핸들은 전원 공급 회로의 결과적인 개방 및 플랜트의 결과적인 셧다운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액세스 부 개방을 감지하는 자기형 센서 수단을 포함한다.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보안 핸들의 다른 예가 DE102009039591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핸들은 액세스 부의 고정 부와 관련된 작동 장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 수단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핸들은 액세스 부의 이동 가능부의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에 의해 형성된 본체와 브라켓에 차례로 고정되며 핸들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쉘 또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출원인의 EP2264353에서, 핸들은 액세스 부의 이동 가능부에 고정되며 핸들이 액세스 부의 고정 부와 관련된 스위칭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키 액추에이터와 일체형으로 작동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체의 핸들을 액세스 부의 이동 가능부에 고정하는 것은 나사, 핀, 스냅-인 수단과 같은 공통 고정 부재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쉘에, 또한 핸들의 모양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의 또 다른 예는 본 출원인 명의의 EP2112674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핸들의 첫 번째 단점은 핸들이 도어에 장착되면 액세스 부의 이동 가능부에 대한 고정 수단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사실로 나타나서, 고정 수단을 제거하고 결과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조건에서 핸들을 분해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핸들의 일부 또는 전체 핸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준수 동작이 발생했다는 증거없이, 플랜트를 멈추지 않고 안전 경계 내부에 액세스할 수 있다.
공지된 핸들의 추가적인 제한사항은 사용자 맞춤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공지된 핸들은 특정 목적을 위해 특별히 독점적으로 설계된 핸들이 필요하지 않는 한,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선택한 특정 제어 또는 신호 장치를 적용할지 결정할 수 없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산업용 핸들은 작동 버튼과 신호 라이트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핸들은 구성 가능성이 매우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광선의 색상과 같은 순수 심미적 양태로 제한된다.
또한, 이러한 핸들은 동일한 기본 구조를 다른 유형의 액추에이터에 사용 또는 적용할 수 없게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핸들은 이동 가능부의 폐쇄/개방과 함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및/또는 액세스 부의 잠금/잠금해제를 생성하기 위해 기계 또는 플랜트 제어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효율 및 상대적 비용 효율성을 특징으로 하며 산업 기계 또는 플랜트의 제어를 위해 액세스 부에 적용되도록 구성된 안전 핸들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목적은 폐쇄된 액세스 상태에서 분해하려는 가능한 시도에 대항하여 매우 안전한 안전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의의 변조 또는 분해 시도의 증거를 제공하는 안전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종 사용자가 선택한 작동 또는 신호 장치에 따라 기본 구조를 수정할 필요없이, 기능적 관점과 심미적 관점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구성 가능성을 가진 안전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보다 명백해질 다른 목적뿐만 아니라 이러한 목적은 제 1 항에 따른 안전 핸들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제어될 액세스 부의 이동 가능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세스 부의 이동 가능부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를 액세스의 이동 가능부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본체와 관련되기에 적합하며,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가 제어될 수 있도록, 폐쇄시 상기 액세스 부의 고정 부와 관련된 제어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전원 및/또는 서비스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 및/또는 제어 장치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스 부가 폐쇄될 때 액추에이터와 제어 수단 사이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 이외에도, 예를 들어 기계 또는 플랜트의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핸들은 안전한 액세스 제어를 위해 유용한 추가적 명령 또는 가시 및/또는 가청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예는 종속 항에 따라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핸들의 일부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보다 명백해질 것이고,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움으로 비-제한적인 예로서 예시된 것이다.
도 1은 액세스 부에 적용된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서의 핸들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액세스 부는 개방되어 있다.
도 2는 액세스 부에 적용된 도 1의 핸들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액세스 부는 폐쇄되어 있다.
도 3은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서의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독특한 변형에 따른 도 3의 핸들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핸들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 1 조립 방식으로의 도 3의 핸들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2 조립 방식으로의 도 8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10은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서의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핸들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서의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를 보호하는 경계 또는 안전 배리어의 액세스 부에 적용되는 안전 핸들의 일부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액세스 부는 개방되거나 잠금 해제된 경우에만 기계 또는 플랜트, 또는 그 일부의 작동을 중단하기에 적합하거나, 또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따라서, 이후에 더 자세히 개시되지 않음) 오퍼레이터가 개입할 수 있도록 릴리스 또는 개방 신호를 보내는데 적합한 적절한 전자 또는 전기 기계 안전 장치를 적절히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1로 표시된 핸들(1)은 제어될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되도록 설계되고, 액세스 부가 폐쇄될 때 액추에이터(2)는 액세스 부(A)의 고정 부(F)와 관련되며, 스위치(S) 내부에 있기에 보이지 않지만, 여기에 공지된 양식에 따라(따라서, 이후에 더 자세히 개시되지 않음) 액세스 부(A)의 개방/폐쇄 또는 잠금/잠금해제 후에 개방/폐쇄하도록 기계 또는 플랜트의 전원 및 서비스 회로에 연결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스위치(S)와 상호 작용한다.
보다 일반적인 구성에서, 핸들(1)은 제어될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이동 가능부(M)를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또한 고정 또는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기계 또는 플랜트가 제어될 수 있도록, 폐쇄시 액세스 부(A)의 고정 부(F)와 관련된 제어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2)에 관련된다.
도 3에서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는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는 2 개의 별개의 요소, 즉 제어될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과 쉘(4)로 구성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 예에서 후자는 또한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의 기능을 가지며, 이동 가능부(M)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따르면, 핸들은 고정 또는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쉘 자체(4) 또는 브라켓(3)에 연결된 쉘(4)과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특정 실시 예에서, 쉘(4)은 브라켓(3)과 쉘(4)에 각각 구현된 상호 정렬된 홀들(6, 7)의 대응하는 쌍에 삽입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5)를 포함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브라켓(3)에 연결된다.
각 쌍의 적어도 하나의 홀은 각각의 연결 부재(5)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관통 유형이다.
특히, 예시되었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 예에서, 2 개의 연결 나사(5, 5')의 전면 삽입을 위해 서로 축 방향으로 정렬된 두 쌍의 전면 홀들(6, 7; 6', 7') 및 추가적인 연결 나사(5'')의 측면 삽입을 위해 축 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측면 홀들(6'', 7'')이 존재한다.
적어도, 쉘(4)에 만들어진 홀들(7, 7', 7'')은 관통 홀이고, 브라켓(3)에 만들어진 홀들(6, 6', 6'')은 특별한 제한없이 블라인드이거나 관통될 수 있다.
본체는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나사, 핀 또는 유사한 부재일 수 있음)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통로(8, 8', 8'')를 구비할 것이다.
유리하게는, 통로(8, 8', 8'')는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조립하는 동안 본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쭉한 슬롯일 수 있다.
예시된 비-제한적인 실시 예에서, 통로(8, 8', 8'')는 브라켓(3)에 만들어진다.
고정 통로(8, 8', 8'')(도시된 실시 예에서 3 개임)의 개수 및 모양은 브라켓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대해 제한하는 양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쉘(4)은 안전 경계의 내부를 향하는 후방 부분을 제외하고 브라켓(3)을 완전히 덮도록 성형되고, 결과적으로 통로(8, 8', 8'')는 쉘(4)에 의해 보호된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따르면, 쉘(4)은 브라켓(3)의 일부를 자유롭게(free) 남겨둘 수 있고, 가능하게는 또한 고정 통로(8, 8', 8'') 중 하나 이상을 남겨 둘 수 있다.
브라켓(3)은 또한 제어될 액세스 부(A)의 고정 부(F)에 장착된 스위치(S)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2)를 구비한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따르면, 액추에이터(2)는 쉘(4)에 장착되거나, 또는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액추에이터(2)는 액세스 부(A)의 폐쇄 신호를 보내기 위해 고정 스위치(S)에 배치된 안테나와 통신하도록 설계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장착한 원격-작동 유형이다.
유리하게는, RFID 태그는 스위치(S)에 의해 고유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코딩될 것이고, 이에 의해 핸들(1)에 연결된 것과 다른 액추에이터의 사용을 방지하여 액세스 부(A)의 안전하지 않은 개방의 위험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실시 예에서, 액추에이터(2)는 태그를 포함하고, 스위치(S)의 케이싱(C)에 제공된 홀(H)에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공지된 방법(예를 들어, 동일한 출원인 명의의 WO2015083143에 개시됨)에 따라 스위치 케이싱 내에 위치하는 잠금 장치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핸들(1)을 스위치(S)에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센터링 요소(10)를 구비하는 격납 본체(9)를 포함한다.
그러나, 액추에이터(2)는 또한 다른 유형, 예를 들어 키 액추에이터와 같은 전기 기계적 작용을 갖거나, 자기 또는 전자기, 광학 또는 다른 유형의 센서에 의한 것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체를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덮기 위한 밀봉 수단이 제공되어, 이러한 고정 수단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밀봉 수단은 브라켓(3)의 고정 수단, 즉 통로(8, 8', 8'') 및 그 안에 삽입된 상대 고정 부재를 덮을 것이다.
밀봉 수단은 쉘(4)이 브라켓(3)을 완전히 덮는 경우, 고정 수단에 대한 적용에 의해 고정 수단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면의 구성에서, 고정 수단은 각각의 연결 부재(5)에 대하여, 외부를 향하는 개방 단부에서 홀들의 대응하는 쌍의 관통 홀(7, 7', 7'')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변조 방지 플러그(11, 11', 11'')를 포함하고, 이는 나사, 핀 또는 유사한 부재일 수 있는 연결 부재(5, 5', 5'')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러한 동작의 흔적을 남기지 않고 브라켓(3)으로부터 쉘(4)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고, 따라서 그 흔적을 남기지 않고 브라켓(3)의 고정 수단에 액세스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따르면, 쉘(4)은 고정 통로(8, 8', 8'')를 덮혀지지 않은 채로 남겨둘 것이고, 이 경우 변조 방지 플러그(11, 11', 11'')는 직접 또는 추가적인 보호 요소를 통해, 고정 통로(8, 8', 8'')에 삽입된 고정 부재에 직접 적용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변조 방지 플러그는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하지 않도록, 쉘(4)에 만들어진 대응하는 관통 홀(7', 7'')에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변조 방지 플러그(11, 11', 11'')는 재삽입을 방지하고 즉각적으로 제거 시도의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되면 파손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변조 방지 플러그(11, 11', 11'')는 내부가 비어있어(hollow), 도면 보다 크며 비-평면 헤드(12, 12', 12'')를 갖는 연결 부재(5, 5', 5'')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 조합 덕분에, 핸들(1)은 특정 구성에 따라 브라켓(3), 또는 본체 또는 그 부분으로부터 쉘(4)을 분해하여 액세스 부가 안전하지 않은 상태로 되게 하는 모든 가능한 액션 또는 작업에 대항하여 항상 적절하게 보호될 것이다.
실제로, 밀봉 수단의 존재는 핸들의 분해를 더 어렵게 만드는 것 이외에도, 핸들(1)의 초기 상태를 더 이상 복원할 수 없기 때문에, 그러한 시도의 증거를 제공할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따르면, 연결 부재(5, 5', 5'') 또는 본체를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밀봉 수단과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은 액세스 부(A)에 고정하고 쉘(4)을 고정하기 위한 평판(13)을 포함한다.
평판(13)은 액추에이터(2)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을 갖는 곡선 형상판(14)과 일체를 이룬다.
유리하게는, 형상판(14)은 서로 직교하고 중간 만곡부(17)에 의해 연결되거나 임의의 경우에 각진 2 개의 편평한 부분(15, 16)을 포함한다.
2 개의 편평한 부분(15, 16) 각각은 도 8 및 도 9의 비교에서 볼 수 있듯이, 대응하는 나사 연결 부재(19) 등에 의해 서로 90°회전된 2 개의 상이한 위치에 액추에이터(2)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일련의 홀들(18, 18')(도시된 구성에서, 각각의 일련에 대해 4 개)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따르면, 액추에이터(2)는 특별한 이론적 제한없이, 스냅-커플링, 간섭(interference) 또는 다른 유형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2)를 구비하는 핸들(1)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 핸들(1)이 수평 중앙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 될 것이기 때문에, 좌우 유형 모두의 스윙 및 슬라이딩 개방 액세스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변형에 따르면, 또한 액추에이터(2)의 브라켓(3)에 대한 연결 부재(19)는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변조 방지 플러그(20)와 관련되어, 액추에이터(2)가 핸들(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위치(S)와 합동하여 사용되어 시스템이 개방된 액세스 부의 안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하지 않도록 한다.
쉘(4)은 일반적으로 요구 사항에 따라 완전하거나 속이 빈 적절한 강도의 플라스틱 본체로 구성된다.
특히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3, 4)는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경우에는 적절한 전기 및/또는 전자 연결 수단의 제공을 통해 기계 또는 플랜트의 회로에 연결될 수 있는 플랜트 작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적 명령 및/또는 신호 장치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변형에서, 쉘(4)은 고정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전면 마스크(22)를 갖는 전면 파지 요소(21)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스크(22)는 예를 들어, 특정 문자 또는 기호를 쓰거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핸들(1)을 맞춤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마스크(22)는 제거 가능하거나 고정된 방식으로 전방 파지 요소(21)에 고정될 수 있다.
특정 변형에서, 파지 요소(21)는 마스크(22)가 제거 가능한 경우, 마스크(22)를 제거함으로써 액세스 가능하게 될 수 있는 내부 하우징(23)을 정의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 있을 것이다.
하우징(23) 내부에, 예를 들어 PCB(인쇄 회로 기판)(24)와 같은 하우징(23) 내부에 위치한 전기 및/또는 전자 연결 수단을 통해 기계 또는 플랜트의 회로에 연결된 전술한 보조 제어 및/또는 신호 장치를 삽입할 수 있다.
특정 변형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PCB(24) 상에 직접 배치된 하나 이상의 LED 조명(25)과 같은 하나 이상의 광원을 삽입할 수 있으며, 이는 기계 또는 플랜트의 상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모드에 따라 조명될 수 있고, 그것에 대한 즉각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특히, 신호 장치(25)는 제어될 액세스 부(A)의 작동 상태에 따라 가변하는 색상 및/또는 스위칭 온/오프 주파수를 갖는 각각의 광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크(22)는 광원(25)에 의해 생성된 광선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일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LED 조명(25)을 포함하는 제어 및/또는 신호 장치가 본체(3, 4)의 임의의 부분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파지 요소(21)상의 LED 조명(25)의 위치는 단지 예일 뿐이라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0에 도시된 또 다른 변형에 따르면, 핸들(1)은 제어될 기계 또는 플랜트의 전원 및/또는 서비스 회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어 또는 신호 장치(26)를 구비할 것이다.
제어 또는 신호 장치(2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버튼, 선택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또는 기계 또는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전원 및/또는 서비스 회로에 명령을 내리거나 신호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전기적, 전자적, 전기 기계적 장치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변형에 따르면, 핸들(1)은 기계 또는 플랜트에서 작동 가능한 오퍼레이터 소유인 식별 장치(예를 들어, 배지, 전자 키 또는 유사한 키)에 수용된 단일 코딩을 갖는 RFID 태그와 대화 및 인식하도록 구성된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고, 따라서 액세스 부(A)의 개방은 안테나에 의한 태그의 인식 후에만 단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다른 제어 또는 신호 장치는 지문 인식, 얼굴 인식 또는 다른 유형의 인식을 위한 장치와 같은 생체 인식 장치 중에서 특별한 제한없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장치(26)를 통해 액세스 부(A)의 개방 또는 잠금 해제, 기계 또는 플랜트의 중단을 요청하는 신호 또는 추가 서비스 신호와 같은 전기 명령을 기계 또는 플랜트에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마스크(22)는 명령 유형에 의존하는 방법에 따라, 하우징(23) 내부에 위치하고 PCB(24)에 연결된 접촉 유닛(29)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제어 또는 신호 장치(26)에 속하는 액추에이터(28)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트(27)를 포함한다.
마스크(22)를 쉘(4)에 고정하는 것은 특별한 이론적 제한없이, 나사 또는 유사한 유형의 연결 수단(30)에 의해, 또는 스냅 또는 간섭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따르면, 핸들(1)은 하나 이상의 신호 및/또는 제어 장치(26) 및 예를 들어, PCB(24)와 관련된 광원(25)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
도 14는 핸들(1)의 추가 실시 예를 도시하는데, 이는 우선 본체의 보다 선형적인 형상으로 인해 앞선 것들과 상이하다. 이러한 형상은 액추에이터(2)가 센터링 및 잠금 요소없이 본체 내부에 수용된 RFID 태그(31)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태그(31)를 핸들(1)의 본체에 연결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단지 예로서, 태그(31)는 브라켓(3) 또는 쉘(4) 내부에 만들어진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시트에 인터로킹(interlocked)될 수 있다.
태그(31)는 전술한 스위치(S) 대신에 액세스 부(A)의 고정 부(F)에 위치한 대응 센서 수단과 상호 작용하여, 예를 들어 WO2013098788에 개시된 공지 방법에 따라 적절한 기계 또는 플랜트 제어 수단에 의해 처리될 존재(presence) 신호를 전송한다.
이 실시 예에서, 본체는 브라켓(3) 없이 핸들의 기능만을 갖는 쉘(4) 또는 전체 브라켓(3)을 정면으로 덮어 파지 기능을 갖는 쉘(4)로 구성될 것이다.
첫 번째 경우, 연결 부재(5, 5')는 또한 고정 수단으로 기능하며, 쉘(4)의 관통 홀(7, 7')에 꼭 맞게 끼워진 밀봉 수단으로 작용하는 2 개의 변조 방지 플러그(11, 11')에 의해 보호될 것이다.
두 번째 경우, 연결 부재(5, 5')는 쉘(4)을 브라켓(3)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기능만을 가질 것이며, 이는 상기 개시내용과 유사하게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은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표현된 발명 개념의 범위 내에 있다. 모든 세부 사항은 기술적으로 동등한 다른 요소로 대체될 수 있으며, 재료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Claims (10)

  1.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핸들로서,
    -제어될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를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 파지 부재를 구비하는 본체(3, 4);
    -상기 본체(3, 4)를 상기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및
    -상기 본체(3, 4)와 관련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가 제어될 수 있도록, 폐쇄시 상기 액세스 부(A)의 고정 부(F)와 관련된 제어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2);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3, 4)는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전원 및/또는 서비스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 및/또는 제어 장치(25, 26)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신호 및/또는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광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광원(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및/또는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신호를 기계 또는 플랜트에 전송하기 위해, 제어될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의 전원 또는 서비스 회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6)는 버튼, 선택기, 터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RFID 태그, 생체 인식 센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25)은 제어될 액세스 부(A)의 작동 상태에 따라 가변하는 색상 및/또는 스위칭 온/오프 주파수를 갖는 각각의 광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 4)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25)에 의해 생성된 광선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전면 마스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 4)는 대응하는 제어 및/또는 신호 장치(25, 26)를 위한 하나 이상의 내부 하우징(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 4)를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고정 수단을 덮도록 또한 제공되어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방지하는 밀봉 수단(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 4)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로(8)를 구비하는 액세스 부(A)의 이동 가능부(M)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 및 상기 브라켓(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고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브라켓(3)에 고정되는 쉘(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쉘(4)은 적어도 상기 통로(8)에서 상기 브라켓(3)을 덮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브라켓(3) 및 상기 쉘(4)에 각각 만들어진 상호 정렬된 홀들(6, 7)의 대응 쌍에 삽입되며, 각각의 연결 부재(5)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7)을 갖는 복수의 연결 부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KR1020207036956A 2018-05-31 2019-05-31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핸들 KR202100188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8000005914A IT201800005914A1 (it) 2018-05-31 2018-05-31 Maniglia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di macchine o impianti industriali
IT102018000005914 2018-05-31
PCT/IB2019/054543 WO2019229717A1 (en) 2018-05-31 2019-05-31 Safety handle for the control of access for machines or industrial pl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851A true KR20210018851A (ko) 2021-02-18

Family

ID=6324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956A KR20210018851A (ko) 2018-05-31 2019-05-31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핸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30904A1 (ko)
EP (1) EP3802998A1 (ko)
JP (1) JP7362196B2 (ko)
KR (1) KR20210018851A (ko)
CN (1) CN112204212B (ko)
BR (1) BR112020023905A2 (ko)
IT (1) IT201800005914A1 (ko)
WO (1) WO2019229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6228A1 (de) * 2020-06-18 2021-12-22 EUCHNER GmbH + Co. KG Sicherheitseinrichtung
IT202000025354A1 (it) 2020-10-26 2022-04-26 Pizzato Elettrica Srl Dispositivo azionatore a maniglia per accessi di macchine o impianti industriali e relativo assieme
IT202100005189A1 (it) * 2021-03-05 2022-09-05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IT202100012845A1 (it) 2021-05-18 2022-11-18 Pizzato Elettrica Srl Sistema per il controllo di una protezione per macchine o impianti industriali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0709B2 (ja) * 2003-05-30 2010-08-11 サンクス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DE102004007995A1 (de) * 2004-02-18 2005-09-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Programmgesteuertes Haushaltsgerät
DE102006010106A1 (de) * 2006-03-01 2007-09-06 Pilz Gmbh & Co. Kg Sicherheitsschaltvorrichtung zum fehlersicheren Abschalten eines elektrischen Verbrauchers
ITVI20080101A1 (it) * 2008-04-24 2009-10-25 Pizzato Elettrica Srl Apparato ad interruttore di sicurezza.
JP5292065B2 (ja) * 2008-11-18 2013-09-18 Idec株式会社 安全システム
DE102010007388A1 (de) * 2010-02-02 2011-08-04 Pilz Auslandsbeteiligungen GmbH, 73760 Verrieglungseinrichtung mit Zuhaltung für Schutztüren
CN202450862U (zh) * 2012-01-17 2012-09-26 宁波知上智能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带指示灯的门把手
DE102012111342A1 (de) * 2012-11-23 2014-05-28 Pilz Gmbh & Co. Kg Schutztürüberwachungssystem
US10257470B2 (en) * 2013-03-18 2019-04-09 Fadi Ibsies Automated door
ITVI20130291A1 (it) * 2013-12-06 2015-06-07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temporizzato ad azionamento manuale
US20160371908A1 (en) * 2015-06-22 2016-12-2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Trapped Keys
ES1147183Y (es) * 2015-10-22 2016-03-01 Ojmar Sa Cerradura electronica y sistema de cierre electronico para muebles, armarios o taquillas
JP2017159878A (ja) * 2016-03-02 2017-09-14 達雄 本間 車両のドアへの接触追突防止灯装置
ITUA20163940A1 (it) * 2016-05-30 2017-11-30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ITUA20163941A1 (it) * 2016-05-30 2017-11-30 Pizzato Elettrica Srl Struttura modulare per interruttori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US20180030759A1 (en) * 2016-07-26 2018-02-01 James Chanbonpin Electronic Gate L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5340A (ja) 2021-09-24
WO2019229717A1 (en) 2019-12-05
EP3802998A1 (en) 2021-04-14
IT201800005914A1 (it) 2019-12-01
BR112020023905A2 (pt) 2021-02-09
US20210230904A1 (en) 2021-07-29
CN112204212A (zh) 2021-01-08
JP7362196B2 (ja) 2023-10-17
CN112204212B (zh)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8851A (ko)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핸들
EP3161844B1 (en) Safety switch with lock-out device
US20220262186A1 (en) Safety switch with push-button panel
US11959591B2 (en) Safety handle for the control of access for machines or industrial plants
US20220251876A1 (en) Safety switch with touch panel for monitoring access to machines or industrial plants
US20230392748A1 (en) Handle actuator device for access to industrial machines or plants and related assembly
IT202100005189A1 (it) Interruttore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EP4352770A1 (en) Safety switch for guarding ac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