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746A -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 Google Patents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746A
KR20210018746A KR1020190173460A KR20190173460A KR20210018746A KR 20210018746 A KR20210018746 A KR 20210018746A KR 1020190173460 A KR1020190173460 A KR 1020190173460A KR 20190173460 A KR20190173460 A KR 20190173460A KR 20210018746 A KR20210018746 A KR 20210018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concave
protruding
blow molding
referenc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보연
Original Assignee
(주) 하은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은캡 filed Critical (주) 하은캡
Priority to KR102019017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8746A/ko
Priority to CN202010313878.6A priority patent/CN112224606A/zh
Priority to PCT/KR2020/009256 priority patent/WO2021010729A1/ko
Priority to JP2022502610A priority patent/JP2022542654A/ja
Priority to CN202080064533.XA priority patent/CN115003604B/zh
Publication of KR2021001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5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으로 개구를 형성하고, 개구 주연의 상측 부위는 측벽과 일체를 이루며 덮힌 용기 형상으로,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면(F)에서 수평인 폭 방향 이미 설정한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한 일측(A)에 기준면(F)으로부터 계단 형상을 이루며 돌출한 형상의 돌출부(16)를 형성하고,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한 타측(B)에 기준면(F)으로부터 계단 형상을 이루는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18)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6)의 타측 부위가 상기 기준위치(CP)에서 타측(B) 위치에 이미 설정한 제1간격(d)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오목부(18)의 일측 부위가 상기 기준위치(CP)에서 일측(A) 위치에 이미 설정한 제2간격(d')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한 형상을 이루어 상기 돌출면(PF)의 타측과 오목면(CF)의 일측을 잇는 경계면(BW)이 상기 기준위치(CP)를 중심으로 상기 돌출면(PF)과 오목면(CF) 각각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상기 기준면(F)과 돌출부(16)와 오목부(18)를 이루는 각 부위의 형상이 상하 방향의 끝에서 끝까지 가로 질러 연속 형성하여 이루어진 결합부(20)를 포함하는 커플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를 포함한 상기 개구의 하측 부위는 블로우 성형으로 이미 설정한 두께 범위를 갖는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THE COUPLE BOTTLE MANUFACTURED BY BLOW MOLDING}
본 발명은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블로우 성형으로 동일하게 만들어져 이웃하는 두 개의 용기들이 서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AN(polyacrylonitrile), PVC(poly 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블로우 성형하여 만들어진 용기는, 청량음료, 생수, 차, 술 등의 각종 음료나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내부에 담아 보관 또는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를 구획하고, 대체로 상부의 일부 영역에 내용물의 출입이 있도록 한 주둥이를 형성하며, 이러한 주둥이에는 내용물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마개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용기는, 수용한 내용물이 액상일 경우, 대체로 한 종류의 내용물을 수용하며, 사용자에 따라 개방한 주둥이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음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용기는, 사용자 개개인에 대하여 일대일 사용이 대체적이고, 또 액상 내용물의 종류 또한 일종으로 제한적이다.
예시하자면, 둘 이상 종류의 음료를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각 음료에 대응하는 블로우 성형용기들을 준비하고, 이러한 블로우 성형용기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 그 보관이나 휴대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상술한 이유에서 관련 업계에서는 두 개의 용기를 세트화하여, 둘 이상의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나누어서 마실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세트화한 용기 내의 음료를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커플 용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 중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8796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665호(이하, '선행기술2'라 함)는, 서로 마주보는 결합면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 돌출형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결합면에 상술한 돌출형 결합부에 대응하는 오목형 결합부를 형성하여 서로 암수 구조의 끼움 형식으로 결합 및 그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위의 선행기술1은 서로 커플을 이루는 어느 하나의 용기는 측벽에 돌출형 결합부를 이루고, 다른 하나는 오목형 결합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의 결합은 어느 하나인 용기의 돌출형 결합부가 다른 하나인 용기의 오목부에 끼워지게 하고, 그 상태에서 서로 상대적 회전으로 걸림이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1은, 용기들의 각 주둥이를 마개로 막은 상태에서 그 결합 또는 결합의 해제가 있도록 한 것이며, 상대적으로 마개가 열린 상태에서 결합 또는 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기울어진 주둥이를 통해 유출될 위험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1은 돌출형 결합부를 갖는 용기와 오목형 결합부를 갖는 용기를 각각 제작해야 할 뿐 아니라, 서로 다른 유형을 취사선택해야 커플 용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 유형을 구분하여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2 중 일 실시 예는 돌출형 결합부를 가로의 폭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중시킨 위치에 형성하고, 가로의 폭 중심에서 타측으로 편중한 위치에 오목형 결합부를 형성한 단일 형태의 용기를 제작하여, 두 개의 용기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할 때에 서로 대향하는 돌출형 결합부가 오목형 결합부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지거나 빠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2는 두 개의 용기를 서로 결합하고자 할 때 또는 서로 분리하고자 할 때에, 상호 결합하는 방향으로 결합 압력 이상의 힘과 운동이 있고, 이에 따라 용기 안의 내용물은 순간적으로 한쪽으로 쏠리고(yaw 운동)며, 이때에 주둥이의 마개를 개방한 상태일 경우에는 결합 또는 결합을 분리하는데 따른 운동으로 내용물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요운동에 의한 내용물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 중에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126호(이하, '선행기술3'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3은, 첨부하는 도 6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커플 용기(1)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방식이 용기(1)의 측벽에 있는 레일돌출로(2)와 레일홈로(3)가 용기(1) 상측의 개구 형성방향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에 따른 용기(1)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액상 내용물의 요 운동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3은, 도 6과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개구의 형상이 내부의 수평 방향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여기서, 대체적인 음료 용기들은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지고, 블로우 성형에 의한 용기의 형상은 대체로 주둥이 부위를 제외한 상측 부위가 측벽과 대체로 동일한 두께의 범위로 덮힌 상태를 이루며, 그 두께의 범위는 용기의 사이즈와 이에 대한 파리손의 두께 및 형태에 의해 결정되며,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의 두께는 형상에 따른 부위별 두께의 차이가 있으나 파리손에 형상과 두께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8796호(2013.10.07.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665호(2011.03.22.공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126호(2013.10.01.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측벽 부위를 동일 수준의 두께를 유지하며 동일한 서로가 마주보는 결합부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금형의 단일화를 포함한 제조비용과 제품의 관리비용을 줄이도록 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플 용기는, 상측으로 개구를 형성하고, 개구 주연의 상측 부위는 측벽과 일체를 이루며 덮힌 용기 형상으로,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면(F)에서 수평인 폭 방향 이미 설정한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한 일측(A)에 기준면(F)으로부터 계단 형상을 이루며 돌출한 형상의 돌출부(16)를 형성하고,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한 타측(B)에 기준면(F)으로부터 계단 형상을 이루는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18)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6)의 타측 부위가 상기 기준위치(CP)에서 타측(B) 위치에 이미 설정한 제1간격(d)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오목부(18)의 일측 부위가 상기 기준위치(CP)에서 일측(A) 위치에 이미 설정한 제2간격(d')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한 형상을 이루어 상기 돌출면(PF)의 타측과 오목면(CF)의 일측을 잇는 경계면(BW)이 상기 기준위치(CP)를 중심으로 상기 돌출면(PF)과 오목면(CF) 각각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상기 기준면(F)과 돌출부(16)와 오목부(18)를 이루는 각 부위의 형상이 상하 방향의 끝에서 끝까지 가로 질러 연속 형성하여 이루어진 결합부(20)를 포함하는 커플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를 포함한 상기 개구의 하측 부위는 블로우 성형으로 이미 설정한 두께 범위를 갖는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일측(A)의 기준면(F)으로부터 세워진 제1지지면(a)과 타측(B)의 기준면(F)으로부터 깊이 방향 측면인 제2지지면(b)은 상기 경계면(BW)이 이루는 예각 이상의 예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더불어 상기 돌출면(PF)과 오목면(CF) 각각에 대하여 상기 경계면(BW)과 반대 방향의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계면(BW) 중 상하 방향 중간 부위에서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상기 돌출면(PF) 방향 부위에 걸림돌기(22) 또는 걸림홈(24)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상기 오목면(CF) 방향 부위에 상기 걸림돌기(22) 또는 걸림홈(24)에 대응하는 걸림홈(24) 또는 걸림돌기(2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8)의 내부 형상은 대향 위치하여 끼워지는 상기 돌출부(16)의 외형 이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서로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한 용기들이 서로 결합부를 정렬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단일 형상의 금형을 통해 제작이 이루어져 제조비용의 절감과 서로 다른 내용물들의 선택적 조합이 용이할 뿐 아니라 단일 형상에 의해 용기의 관리가 용이하고, 또 그 결합 또는 분리 과정에서 용기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또 그에 따른 내용물 분출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를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마개를 결합 또는 결합을 해제할 수 있어 마개의 개폐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 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상태 계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서로 마주하는 결합부가 수평 방향에서 상호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상태 계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결합부를 포함한 용기의 제조를 위한 금형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와 그에 따른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플 용기들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중간 위치에 대한 평면상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상측의 표현은 지구 중심의 반대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각 구성의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하측의 표현은 지구의 중심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각 구성의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이로부터 용기의 개구가 상측에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일측의 표현은 개구가 상측에 있도록 한 용기에서 결합부를 형성하는 일면의 수평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타측의 표현은 일면의 수평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다른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내측의 표현은 용기의 내부 중심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은 내측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병과 마찬가지로 사출성형기로 주둥이(나사부)를 갖는 예비성형품(preform) 이라고 부르는 파리손(parison)을 성형한 것을 소망하는 형태로 제작한 금형에 넣어 이미 설정한 온도로 가열한 후 압축공기를 불어 넣는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한 것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는, 마개(14)를 개방한 상태에서 내용물의 유출이 없도록 개구가 상측에 있도록 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는,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면(F)으로 할 때에, 기준면(F)의 수평인 폭 방향 중 이미 설정한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대체로 일측(A)에 기준면(F)으로부터 세워진 제1지지면(a)을 갖도록 돌출하여 이루며, 기준면(F)에 대해 계단 형상을 이루는 돌출면(PF)을 포함한 돌출부(16)를 형성하고, 대체로 타측(B)에 기준면(F)으로부터 깊이를 이루며, 깊이 방향의 측면인 제2지지면(b)을 형성하면서, 기준면(F)에 대해 깊이 방향 바닥인 오목면(CF)이 계단 형상을 이루도록 한 오목부(18)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준위치(CP)는 기준면(F)의 수평 방향 즉, 폭 방향의 중심에 있으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위치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폭 방향 중심에 있도록 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준위치(CP)를 축으로 하여 수평 방향 180° 회전 배치한 상대방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와 결합할 때, 이들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의 수평 방향 양측 부위가 서로 어긋나지 않고, 일대일 대향하여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결코 폭 방향 중심에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돌출부(1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면(PF) 중 타측 부위는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일측(A)에서 타측(B)으로 이미 설정한 제1간격(d)만큼 침범하여 있도록 연장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술한 오목부(18)는, 오목면(CF) 중 일측 부위가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타측(B)에서 일측(A)으로 이미 설정한 제2간격(d')만큼 침범하여 있도록 연장한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돌출면(PF)과 오목면(CF)은, 상술한 기준면(F)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에,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서로 연장한 각각의 제1, 2간격(d, d')만큼 겹치는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술한 제2간격(d')은, 제1간격(d)보다 더 일측과 내측으로 침범한 형태(d<d')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는 후술하겠으나 서로 마주보며 결합하는 두 개의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을 수평 방향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버퍼부(S)의 형성 조건을 이룬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오목부(18) 중 기준위치(CP)에서 일측(A)으로 침범한 부위는 마주하여 위치하는 상대측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의 돌출부(16)에 대하여 일측(A) 방향과 깊이 방향으로 더 깊이를 갖도록 하여 대향하는 대항 돌출부(16)와의 사이에 공간을 이루는 버퍼부(S)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돌출면(PF)의 타측 끝 부분과 오목면(CF)의 일측 끝 부분을 잇는 이들 사이의 경계면(BW)은, 기준위치(CP)를 중심으로 돌출면(PF)과 오목면(CF)에 대하여 서로 간의 엇각을 이루며, 그 각도는 예각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기준면(F)과 기준위치(CP)를 경계로 하여 오목부(18)가 이루는 체적 범위는 동일 조건으로 한 돌출부(16)의 체적 이상의 범위에 있도록 하며, 돌출면(PF)이 오목면(CF)에 맞닿은 상태에서 헐겁지 않은 상태 즉, 이미 설정한 간격 범위 내에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지지면(a)과 제2지지면(b)은, 돌출면(PF)과 오목면(CF) 각각에 대하여 경계면(BW)이 이루는 예각 이상에서 직각인 각도 범위 내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제1지지면(a)과 제2지지면(b)이 이루는 예각의 방향은 돌출면(PF)과 오목면(CF) 각각에 대하여 경계면(BW)이 이루는 예각과 반대 방향에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1지지면(a)과 제2지지면(b)이 이루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은, 서로 마주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이 결합한 상태에서 기준면(F)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탈하려는 힘에 대하여 서로의 돌출부(16)가 오목부(18)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제1지지면(a)과 제2지지면(b)이 맞닿은 상태에서 경계면(BW)을 통해 걸림 작용이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것은 오목부(18)의 깊이 방향의 폭이 넓고, 그 반대 방향의 폭이 좁은 형상을 갖도록 하여 그 내부에 동일한 형태의 구조가 협소해지는 공간으로 빠져나오기 힘들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지지면(a)과 제2지지면(b)이 이루는 예각 각도를 경계면(BW)이 이루는 예각 이상의 예각으로 형성하는 것은, 후술하는 금형(mold)로부터 추출시에 탄성부의 힘을 받는 푸시부의 작동에 의해 자연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며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의 한 측면을 이루는 기준면(F), 제1, 2지지면(a, b), 돌출면(PF), 오목면(CF), 경계면(BW)은 하나의 결합부(20)를 이루며, 이러한 결합부(20)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의 형성 측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끝에서 끝까지 가로 질러 연속하는 형상을 이룬다.
즉, 상술한 결합부(20)의 구성은, 서로 마주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 상호 간의 결합이 상하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딩하는 형태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그 이외의 방향에 대하여 결합과 그 결합의 해제가 곤란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경계면(BW)에는 상하 방향 중간 부위에서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돌출면(PF) 방향 부위에 걸림돌기(22) 또는 걸림홈(24)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상기 오목면(CF) 방향 부위에 상기 걸림돌기(22) 또는 걸림홈(24) 각각에 대응하는 걸림홈(24) 또는 걸림돌기(2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들 걸림돌기(22)와 걸림홈(24)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높이에서 하나의 경계면(BW) 상에 수평 배치를 이루며, 서로 마주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의 결합에서 서로 대향하는 걸림돌기(22)가 걸림홈(24)에 끼워지는 관계로 위치하여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이 서로 동일한 높이와 나란한 상태로 정렬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들 걸림돌기(22)와 걸림홈(24)은, 서로 마주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의 상하 방향으로 결합 또는 그 결합의 해제를 위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이미 설정한 힘 이상의 힘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에 있어, 상술한 버퍼부(S)가 이루는 공간에 대하여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상대측 방향으로 침범한 돌출부(16) 부위가 휘어지는 변형과 함께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탄성적 작용에 의해 경계면(BW)에 대하여 빡빡한 느낌을 연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술한 걸림돌기(22)와 걸림홈(24)은, 경계면(BW)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복수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돌출부(1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의 폭 방향 중간 부위에서 돌출면(PF)으로부터 오목하고,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변형유도홈(26) 또는 돌출면(PF)으로부터 볼록하고,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변형유도돌기(28)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유도홈(26)은,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의 결합을 상하 슬라이딩 방식 이외에 수평 방향에서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돌출부(16)의 전방 부위는, 대응하는 기준면(F) 위치의 오목부(18) 입구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 서로 마주하는 돌출부(16)와 돌출부(16)가 서로 약간 어긋난 상태에서 맞닿는다.
도 3b는, 도 3a의 도면 중 상측에 위치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가 정지한 상태에 있을 때에 아래에 위치한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가 화살표(F1) 방향으로 힘을 받거나, 상측에 위치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가 화살표(F2)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할 때에 아래에 위치한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가 화살표(F3) 방향으로 화살표(F2)보다 빠르게 이동하면서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을 서로 마주보게 가압하는 힘을 받음에 따른 서로 근접한 돌출부(16)의 변형관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작용으로부터 각 돌출부(16) 중 변형유도홈(26)을 기준으로 한 기준위치(CP) 방향에 있는 부위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맞닿는 경계면(BW)의 각도에 의해 변형유도홈(26)을 중심으로 화살표(f1, f1') 방향으로 변형하며, 그 변형은 제1지지면(a)의 위치가 제2지지면(b)의 경계 위치를 넘어서는 순간까지 즉,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이 서로 간에 1/2 간격(d")만큼 이동하게 하는 순간까지 계속한다.
이때, 상술한 버퍼부(S)는 변형유도홈(26)을 기준으로 한 돌출부(16)의 변형에 간섭이 없도록 그 공간을 확보한 것이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이 도 3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변형유도홈(26)에 대응하는 오목부(18)에는, 오목면(CF)으로부터 돌출한 형상의 변형유도돌기(28)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18)에 형성한 변형유도돌기(28)는, 돌출부(16)에 형성한 변형유도홈(26)의 기능과 반대로 결합이 이루어진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벌어지고자 할 때에 제1, 2지지면(a, b)들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술한 변형유도홈(26)과 변형유도돌기(28)는,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각이 위치한 돌출면(PF)과 오목면(CF)에 대하여 위상이 서로 반대 방향 즉, 돌출면(PF)에 대하여 변형유도돌기(28)를 형성하고, 오목면(CF)에 대하여 변형유도홈(26)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전술한 변형유도홈(26)과 변형유도돌기(28)에 대하여 위상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한 변형유도돌기(28)와 변형유도홈(26)은 도 3a 내지 도3c에 도시한 변형유도홈(26)과 변형유도돌기(28)와 동일 범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예측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변형유도홈(26)과 변형유도돌기(28)를 형성하는 이유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의 각각에 음료를 주입하는 것과 음료를 주입한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을 결합하여 공급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들을 상하 방향으로만 결합하게 하는 것은, 음료의 주입을 포함한 제조공정에서 공간과 결합에 따른 지연 및 그 결합을 위한 설비의 제작이 어려운 등의 불합리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수평 방향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은 음료의 주입과 계속하는 공정과정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그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4a는 금형(mold)의 형합이 이루어지기 전인 내측에 파리손(parison)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경계면(BW)과 버퍼부(S)를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sliding core)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의 성형 위치에서 간섭이 없는 위치로 후퇴한 상태에 놓인다.
이후, 도 4b는 금형의 형합이 이루어지고, 금형 상호 간에 맞닿는 부위의 푸시부(push part)가 탄성부(elasticity part)의 탄성력에 반하여 밀려 슬라이딩 코어(sliding core)를 성형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파리손(parison)에 공기압을 주입하여 금형과 슬라이딩 코어(sliding core)에 의한 성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c는 성형 이후 냉각 과정을 거쳐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의 제작이 완료한 상태이고, 금형이 개방되면, 먼저 푸시부가 탄성부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코어를 성형 위치로부터 후퇴시켜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10)에 대한 걸림작용을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상술한 제1, 2지지면(a, b)에 대한 언더컷 작용은 탄성부에 의해 이동하는 푸시부의 이동 변위에 따른 작동 힘에 의해 쉽게 분리가 가능한 정도의 예각의 범위로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슬라이딩 코어는, 제1, 2지지면(a, b)가 이루는 예각보다 더 작은 예각의 각도가 필요함에 따라 탄성부에 의해 이동하는 푸시부의 이동 변위에 대하여 더욱 빠른 후퇴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술한 경계면(BW)의 형상은, 슬라이딩 코어의 후퇴 속도와 위치에 대응하여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한 파형(波形)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10: 보틀 12: 주둥이
14: 마개 16: 돌출부
18: 오목부 20: 결합부
22: 걸림돌기 24: 걸림홈
26: 변형유도홈 28: 변형유도돌기
A: 일측 B: 타측
C: 수평의 중심 CF: 오목면
CP: 기준위치 F: 기준면
PF: 돌출면 BW: 경계면
a: 제1지지면 b: 제2지지면
d, d', d": 간격 S: 버퍼부

Claims (4)

  1. 상측으로 개구를 형성하고, 개구 주연의 상측 부위는 측벽과 일체를 이루며 덮힌 용기 형상으로,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면(F)에서 수평인 폭 방향 이미 설정한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한 일측(A)에 기준면(F)으로부터 계단 형상을 이루며 돌출한 형상의 돌출부(16)를 형성하고,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한 타측(B)에 기준면(F)으로부터 계단 형상을 이루는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18)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6)의 타측 부위가 상기 기준위치(CP)에서 타측(B) 위치에 이미 설정한 제1간격(d)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오목부(18)의 일측 부위가 상기 기준위치(CP)에서 일측(A) 위치에 이미 설정한 제2간격(d')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한 형상을 이루어 상기 돌출면(PF)의 타측과 오목면(CF)의 일측을 잇는 경계면(BW)이 상기 기준위치(CP)를 중심으로 상기 돌출면(PF)과 오목면(CF) 각각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상기 기준면(F)과 돌출부(16)와 오목부(18)를 이루는 각 부위의 형상이 상하 방향의 끝에서 끝까지 가로 질러 연속 형성하여 이루어진 결합부(20)를 포함하는 커플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를 포함한 상기 개구의 하측 부위는 블로우 성형으로 이미 설정한 두께 범위를 갖는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일측(A)의 기준면(F)으로부터 세워진 제1지지면(a)과 타측(B)의 기준면(F)으로부터 깊이 방향 측면인 제2지지면(b)은 상기 경계면(BW)이 이루는 예각 이상의 예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돌출면(PF)과 오목면(CF) 각각에 대하여 상기 경계면(BW)과 반대 방향의 예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면(BW) 중 상하 방향 중간 부위에서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상기 돌출면(PF) 방향 부위에 걸림돌기(22) 또는 걸림홈(24)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위치(CP)를 기준으로 상기 오목면(CF) 방향 부위에 상기 걸림돌기(22) 또는 걸림홈(24)에 대응하는 걸림홈(24) 또는 걸림돌기(22)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8) 내부의 형상과 체적은 대향 위치하여 끼워지는 상기 돌출부(16)의 외형 이상의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KR1020190173460A 2019-07-15 2019-12-23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KR20210018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60A KR20210018746A (ko) 2019-12-23 2019-12-23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CN202010313878.6A CN112224606A (zh) 2019-07-15 2020-04-20 由吹塑成型而制成的情侣容器
PCT/KR2020/009256 WO2021010729A1 (ko) 2019-07-15 2020-07-14 커플 용기
JP2022502610A JP2022542654A (ja) 2019-07-15 2020-07-14 カップル容器
CN202080064533.XA CN115003604B (zh) 2019-07-15 2020-07-14 情侣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60A KR20210018746A (ko) 2019-12-23 2019-12-23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251A Division KR102173020B1 (ko) 2019-07-15 2019-07-15 커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746A true KR20210018746A (ko) 2021-02-18

Family

ID=7468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60A KR20210018746A (ko) 2019-07-15 2019-12-23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874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665B1 (ko) 2011-01-19 2011-03-22 신영숙 커플 용기
KR20130107126A (ko) 2012-03-21 2013-10-01 유완석 선택적 결합사용이 가능한 트윈형 수용용기
KR20130108796A (ko) 2012-03-26 2013-10-07 (주)흥국에프엔비 커플 음료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665B1 (ko) 2011-01-19 2011-03-22 신영숙 커플 용기
KR20130107126A (ko) 2012-03-21 2013-10-01 유완석 선택적 결합사용이 가능한 트윈형 수용용기
KR20130108796A (ko) 2012-03-26 2013-10-07 (주)흥국에프엔비 커플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176B1 (ko) 최적의 플라스틱 분포를 갖는 블로우 성형된 용기를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MXPA97003516A (en) Plastic container with ma
US8747727B2 (en) Method of forming container
US4485065A (en) Method for forming bottle closure
US6068811A (en) Method of molding inner thread on neck portion of preform
US20100301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Having a Grip Region
US20120267381A1 (en) Container
EP11692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ap, and formed cap
US20090206524A1 (en) Moulding Apparatus and Method
JP5980813B2 (ja) パリソン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のブロー成形方法
RU2563761C2 (ru) Упаковка,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форму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US10618694B2 (en) Handle and container with handle
US200500371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in-walled products, and a product manufactured therewith
US20210309443A1 (en) Double-wall container,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wall container, and inversion device
US7157040B2 (en) Helical blow molding prefo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210018746A (ko)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진 커플 용기
KR102173020B1 (ko) 커플 용기
US7150847B2 (en) Staged, sequentially separated injection mold
CN115003604B (zh) 情侣容器
EP1710166A2 (en) Handled plastic container
CA2447430C (en) Staged, sequentially separated injection mold
KR20200117534A (ko) 사출물의 제조 방법
KR102256651B1 (ko) 중심 코어 고정형 사출금형 장치
EP364701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containing container
JP2004352332A (ja) 包装用カッ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