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487A - 황사 마스크 - Google Patents

황사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487A
KR20210017487A KR1020190096808A KR20190096808A KR20210017487A KR 20210017487 A KR20210017487 A KR 20210017487A KR 1020190096808 A KR1020190096808 A KR 1020190096808A KR 20190096808 A KR20190096808 A KR 20190096808A KR 20210017487 A KR20210017487 A KR 20210017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nose
wearer
fine dust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라이프
Priority to KR102019009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487A/ko
Publication of KR2021001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4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사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어 미세먼지나 분진의 유입을 차단하는내피와 상기 내피의 바깥쪽으로 적층 재봉되어 미세먼지나 분진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귀걸이끈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상기 내피에 재봉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입구가 형성되는 필터 주머니;와, 상기 필터 주머니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항균기능을 갖는 황토, 쑥, 솔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에 염색되어 유해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동시에,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하는 천 재질의 항균필터;와,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되어 상기 코마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코걸이끈;과, 상기 코걸이끈과 연결고정되되, 착용자의 콧구멍에 내입되어콧구멍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하는 코마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본체에 필터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필터 주머니에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항균필터를 내장함으로, 본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미세먼지, 분진 및 유해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집진 및 제거하여 착용자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마개를 통해 코로 유입될 수 있는 미세먼지 및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또한, 김서림 방지수단을 통해 본체의 내피와 외피를 강제 이격시켜 공기가 내피 및 외피를 각각 개별적으로 통과하도록 유도하여 공기의 원활한 통풍을 확보함으로, 종래의 마스크에서 내피와 외피가 밀착되어 마스크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으로 인해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되는 김서림의 발생 및 마스크의 기능상실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황사 마스크{yellow samask}
본 발명은 황사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안면에 [0001] 접촉되는 본체에 필터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필터 주머니에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항균필터를 내장함으로, 본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잔존하는 미세먼지, 분진 및 유해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집진 및 제거하여 착용자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마개를 통해 코로 유입될 수 있는 미세먼지 및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황사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도시 매연과 황사와 같은 미세먼지 및 분진이 인체의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되면서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정체불명의 유해 바이러스로 인한 사스, 독감, 신종플루, 변종플루 등과 같은 세균 감염에 의한 전염병이 확산되고있는 현실에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지닌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인체의 코와 입부분 및 턱을 포함한 안면부분을 감쌀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 면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와 귀 후면의 연골부에 걸치게 할 수 있는 고정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마스크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어 호흡기질환 환자가 착용시 외부의 찬 공기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병균이나입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종래의 마스크는 유해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작용이 완벽하지 못하고, 미세먼지 및 분진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사용하게 되면, 착용자가 내쉬는 숨(입김)이 내피와 외피가 밀착되어두껍게 형성되는 마스크를 통해서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마스크와 안면의 틈새로 배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착용자가 내쉬는 숨이 안경에 배출되어 안경렌즈에 뿌연 김이 서리게 되어 마스크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마스크를 통해 착용자가 내쉬는 숨이나 들이마시는 숨이 원활하게 유통되지 못하여 마스크와 안면의 틈새로 유통되므로,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하는 마스크의 기능을 기대하기 곤란하여 마스크의 사용이 무용지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본체에 필터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필터 주머니에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항균필터를내장함으로, 본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미세먼지, 분진 및 유해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집진 및제거하여 착용자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마개를 통해 코로 유입될 수 있는 미세먼지및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황사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김서림 방지수단을 통해 본체의 내피와 외피를 강제 이격시켜 공기가 내피 및 외피를 각각 개별적으로 통과하도록 유도하여 공기의 원활한 통풍을 확보함으로, 종래의 마스크에서 내피와 외피가 밀착되어 마스크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으로 인해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되는 김서림의 발생 및 마스크의 기능상실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황사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황사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어 미세먼지나 분진의유입을 차단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바깥쪽으로 적층 재봉되어 미세먼지나 분진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귀걸이끈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상기 내피에 재봉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입구가 형성되는 필터 주머니;와, 상기필터 주머니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항균기능을 갖는 황토, 쑥, 솔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에 염색되어 유해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동시에,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하는 천 재질의항균필터;와,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코마개와연결되어 상기 코마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코걸이끈;과, 상기 코걸이끈과 연결 고정되되, 착용자의 콧구멍에 내입되어 콧구멍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하는 코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사 마스크에 의하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본체에 필터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필터 주머니에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항균필터를 내장함으로, 본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잔존하는 미세먼지, 분진 및 유해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집진 및 제거하여 착용자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
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마개를 통해 코로 유입될 수 있는 미세먼지 및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김서림 방지수단을 통해 본체의 내피와 외피를 강제 이격시켜 공기가 내피 및 외피를 각각 개별적으로 통과하도록 유도하여 공기의 원활한 통풍을 확보함으로, 종래의 마스크에서 내피와외피가 밀착되어 마스크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으로 인해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되는 김서림의 발생 및 마스크의 기능상실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사 마스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황사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어 미세먼지나 분진의 유입을 차단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바깥쪽으로 적층 재봉되어 미세먼지나 분진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귀걸이끈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필터 주머니와, 항균필터와, 코걸이끈과, 코마개를 더 포함하고 있다.상기 필터 주머니는 상기내피에 재봉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형성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입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즉, 상기 필터 주머니의 입구를 통해 후설될 상기 항균필터를 간편히 내입할 수 있다.상기 항균필터는 상기 필터 주머니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항균기능을 갖는 황토, 쑥, 솔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에 염색되어 유해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동시에, 용이하게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할 수 있도록 천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항균기능을 갖는 황토, 쑥, 솔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염색되는 상기 항균필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및 분진을 흡착하여 걸러낼 뿐만 아니라, 항균기능을 갖는 황토, 쑥, 솔잎에
의해서 유해 바이러스를 제거함으로, 깨끗한 공기가 착용자의 호흡기로 공급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여기서, 상기 항균필터는 천 재질로 장시간 사용하여 더러워지면 간편히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걸이끈은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일단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후설될 상기 코마개와 연결되어 상기 코마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마개는 상기 코걸이끈과 연결 고정되되, 착용자의 콧구멍에 내입되어 콧구멍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을 갖는 구 형상을 가지되, 일측은 절개되는 천 재질의 코주머니와, 상기 코주머니의 절개된 부분으로 유입되어 상기 코주머니내부로 충진되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주머니에 충진되는 상기의해 상기 코마개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여 사람의 다양한 콧구멍 크기에 안정적으로 내입 고정될 수 있도록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황사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본체에 상기 필터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필터 주머니에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상기 항균필터를 내장함으로, 상기 본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미세먼지, 분진 및 유해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집진 및 제거하여 착용자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마개를 통해 코로 유입될수 있는 미세먼지 및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피와 외피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내피와 외피사이를 이격시켜 상기 본체 내부에 빈 공간을 강제로 형성하여 착용자가 내쉬는 숨이 상기 내피를 용이하게 통과한 후에 상기 외피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김서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김서림 방지수단은 상기 내피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판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자석과, 상기 외피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과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판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2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은 서로 동일한 극으로 마주보게 하여 상기 자석 반발작용으로 상기 자석이 결합되는 상기 내피와 외피가 강제로 이격되도록 유도함으로, 자연스럽게 상기 본체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내피와 외피를 순차적으로 개별 통과하게 되어 공기
의 원활한 통풍을 확보할 수 있어 종래의 마스크에서 내피와 외피가 밀착되어 마스크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으로 인해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되는 김서림의 발생 및 마스크의 기능상실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0038]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황사 마스크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사 마스크에 형성되는 필터 주머니에 항균필터를 간편히 내입 설치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사 마스크의 귀걸이끈을 착용자의 귀에 걸고, 코마개는 착용자의 콧구멍에 넣어 간편히 마스크의 착용을 완료한다.

Claims (1)

  1.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어 미세먼지나 분진의 유입을 차단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바깥쪽으로 적층 재봉되어 미세먼지나 분진의 유입을차단하는외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끝단에 각각형성되는 귀걸이끈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상기 내피에 재봉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입구가 형성되는 필터 주머니;상기 필터 주머니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항균기능을 갖는 황토, 쑥, 솔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에 염색되어 유해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동시에,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하는천 재질의 항균필터;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코마개와 연결되어 상기 코마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코걸이끈 및상기 코걸이끈과 연결 고정되되, 착용자의 콧구멍에 내입되어 콧구멍으로 유되는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하는 코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착용자의 입이나 코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나 분진을 안정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항균필터를 통해 공
    기 중에 잔존하는 유해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을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되,상기 코마개는,내부에 중공을 갖는 구 형상을 가지되, 일측은 절개되는 천 재질의 코주머니와, 상기 코주머니의 절개된 부분으로 유입되어 상기 코주머니내부로 충진되는 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상기 코주머니에 충진되는 상기 솜에 의해 상기 코마개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여 사람의 다양한콧구멍 크기에 안정적으로 내입 고정될 수 있도록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마스크
KR1020190096808A 2019-08-08 2019-08-08 황사 마스크 KR20210017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808A KR20210017487A (ko) 2019-08-08 2019-08-08 황사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808A KR20210017487A (ko) 2019-08-08 2019-08-08 황사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487A true KR20210017487A (ko) 2021-02-17

Family

ID=7473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808A KR20210017487A (ko) 2019-08-08 2019-08-08 황사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4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206U (ko) 황사 마스크
KR101619487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2021523B1 (ko)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KR20190032897A (ko)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US10960238B1 (en) Face mask
KR101856620B1 (ko)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100886253B1 (ko) 일회용 마스크
KR20200021492A (ko) 마스크
KR20170003790U (ko) 다기능 마스크
KR200426249Y1 (ko) 휴대용 건강 마스크
KR20210017487A (ko) 황사 마스크
KR101623863B1 (ko) 안심 마스크
KR200492402Y1 (ko) 기능 가변형 마스크
KR20040039250A (ko) 코 마스크와 이의 제조방법
KR101290487B1 (ko) 코용 공기여과기
KR20200144883A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064174B1 (ko) 인체접착 먼지제거 판
KR200496668Y1 (ko) 통기성 마스크
CN208114955U (zh) 一种便携式有氧源呼吸装置
KR102402986B1 (ko) 마스크
CN215136177U (zh) 一种带保护装置的呼吸面罩
KR20130075617A (ko) 미세 먼지 제거용 코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0496245Y1 (ko) 마스크
KR20210002314U (ko) 접이부를 구비한 마스크용 필터
KR20220014211A (ko) 보건용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