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863B1 - 안심 마스크 - Google Patents

안심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863B1
KR101623863B1 KR1020150042226A KR20150042226A KR101623863B1 KR 101623863 B1 KR101623863 B1 KR 101623863B1 KR 1020150042226 A KR1020150042226 A KR 1020150042226A KR 20150042226 A KR20150042226 A KR 20150042226A KR 101623863 B1 KR101623863 B1 KR 101623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sk
nose
spa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339A (ko
Inventor
한기언
Original Assignee
한기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언 filed Critical 한기언
Publication of KR2016002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 호흡이 코 하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경을 낀 사용자의 경우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비가 내릴 경우에도 마스크의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호흡시 공기의 유통이 필터를 거치면서 각종 세균 및 미세먼지를 정화하고 마스크 자체에서 음이온과 원적외선 자연방사선이 발생하여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안전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심 마스크는, 얼굴의 눈 아래쪽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귀에 걸 수 있도록 귀밴드부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 상부로부터 중간부까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코 수용부; 상기 코 수용부의 내하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호흡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2개의 삽입돌기;상기 코 수용부의 하면에 상기 통공과 통하도록 형성된 필터 수용공간; 및 상기 필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호흡시 외부 이물질 또는 세균을 걸러주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심 마스크{Safe mask}
본 발명은 안심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 호흡이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경의 김 서림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비가 내릴 경우에도 마스크의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호흡시 공기의 유통이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각종 세균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고, 마스크 자체에서 음이온이 발생하여 항균작용 탈취작용을 하는 기능으로 호흡기 질환을 예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호흡이 양호해야 함과 동시에 먼지와 세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링 효과를 가져야 하는 것으로, 통상 순면사의 면직물 또는 부직포 등을 외피와 내피로 중첩시켜 박음질하고 그 양쪽에는 귀에 걸 수 있도록 밴드를 구성하여 세균 증식으로 감염우려가 있거나 남을 감염시킬 우려가 있는 환자나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작업장의 인부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근자에 와서는 초정밀분야에서의 분진방지를 위하여서도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마스크는 호흡을 위해 어느 정도의 공극이 존재해야만 하는 것이고, 세균은 그 종류에 따라 바이러스와 같이 아주 미세한 것이 있게 마련이므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더라도 살균력이 없어 마스크의 공극을 통해 세균이 사용자의 몸으로 침투할 가능성은 언제나 가지고 있다 할 수 있으며, 특히 병원과 같은 장소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각종 세균이 무수히 많이 공기중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세균에 오염될 경우 오히려 병을 악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마스크는 호흡과정에서 입김으로 인한 습기와 외부의 습기로 인해 마스크에 엄청난 세균이 증식하게 되므로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사용자의 세균감염 우려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 제 297727 호 등과 같이 은과 같은 기능성 필터부재를 사용하여 세균을 억제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 297727 호 등과 같은 대부분의 기능성 마스크는 호흡이 정면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안경을 낀 사용자의 경우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되고, 비가 오게 되면 호흡이 불편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일반적인 마스크는 면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마스크의 필터링 효과 이외에는 특별한 기능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여서 보다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마스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코 호흡이 코 하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경을 낀 사용자의 경우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비가 내릴 경우에도 마스크의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호흡시 공기의 유통이 필터를 거치면서 각종 세균 및 미세먼지를 정화하고 마스크 자체에서 음이온과 원적외선 자연방사선이 발생하여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안전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심 마스크는, 얼굴의 눈 아래쪽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귀에 걸 수 있도록 귀밴드부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 상부로부터 중간부까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코 수용부; 상기 코 수용부의 내하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호흡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2개의 삽입돌기; 상기 코 수용부의 하면에 상기 통공과 통하도록 형성된 필터 수용공간; 및 상기 필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호흡시 외부 이물질 또는 세균을 걸러주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코 수용부의 하면에 장착되며, 하단이 상기 필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1돌기부; 상기 제1돌기부의 상단에서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일정 각도 절곡 형성되며, 상기 코 수용부에 배치되는 제2돌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부의 양측에는 상기 코 수용부의 하면에 접하는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돌기부의 둘레에는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쉽게 되빠지지 않도록 다단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마스크 본체의 코 수용부 하부 위치에는 상기 필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 호흡 및 목소리 전달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귀밴드부는, 상부밴드와 하부밴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하부밴드의 자유단부에는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밴드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고리에 끼움되도록 다단의 고정볼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 수용공간은, 상기 코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입까지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면서, 가운데에 구비된 칸막이에 의해 좌우 분리되는 제1필터공간; 상기 제1필터공간에서 상기 칸막이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얼굴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필터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제1필터공간을 덮는 제1필터부재; 상기 제2필터공간에 장착되는 제2필터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상기 제1필터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부재에는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심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코 수용부에 사용자의 코가 수용될 수 있어 불편함 없이 착용할 수 있고, 코 수용부 하부에 형성된 삽입돌기는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콧구멍 크기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성인이라면 모두 착용이 가능해지며, 코 호흡을 하면 공기가 필터부재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코로 유입될 수 있어 외부 이물질 또는 각종 세균을 양호하게 걸러줌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코 호흡이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안경을 낀 사용자의 경우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고, 비가 내리는 경우에도 호흡에 전혀 지장이 없는 것이므로 기후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게 된다.
마스크 본체는 실리콘을 주재료로 하여 여기에 미량의 모나자이트와 게르마늄이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실리콘 특유의 착용감을 통해 거부감 없는 사용이 가능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모나자이트와 게르마늄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귀밴드부가 고리와 고정볼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밴드와 상부밴드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에 얼굴 크기에 따라 상기 귀밴드부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어서 어린이나 어른에 상관없이 착용자의 얼굴 크기가 다르더라도 여러 사람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타방향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타방향 전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삽입돌기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에서 필터부재를 하나만 구성하는 경우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에서 필터부재를 2개 구성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타방향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타방향 전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삽입돌기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0), 코 수용부(200), 삽입돌기(300), 필터 수용공간(400) 및 필터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얼굴의 눈 아래쪽부터 턱 부분까지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지며, 얼굴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착용시 안면과 밀착되도록 실리콘을 주재료로 하여 여기에 모나자이트와 게르마늄을 혼합, 성형함으로써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다량 발생하도록 하여 항균작용, 탈취작용과 바이러스 차단을 통해 감기, 신종플루를 차단하고 비염, 축농증을 치료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마스크 본체(100)가 실리콘을 주재료로 하고 있으므로 물로 손쉽게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양측에는 양측에 귀에 걸 수 있도록 귀밴드부(11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귀밴드부(110)는 마스크 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양측면에 얇고 긴 줄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하부밴드(111)와 상부밴드(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밴드(111)는 자유단부에 원형의 고리(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밴드(113)의 자유단부에는 고리(112)에 선택적으로 끼움되도록 다수개의 고정볼(1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볼(114)은 상기 상부밴드(113)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고정볼(114)이 상기 고리(1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손쉽게 되빠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볼(114)의 직경은 상기 고리(11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귀밴드부(110)가 고리(112)와 고정볼(114)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밴드(111)와 상부밴드(113)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에 얼굴 크기에 따라 상기 귀밴드부(11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어서 어린이나 어른에 상관없이 착용자의 얼굴 크기가 다르더라도 여러 사람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0)에는 후술할 코 수용부(200)의 하부에 후술할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 호흡 및 목소리 전달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의 테두리를 따라 후술할 제1필터부재(500)가 결합되는 결합홈(1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0)에는 후술할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의 가운데에 배치되며,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돌출된 칸막이(14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코 수용부(20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 상부로부터 중간부까지 구면 형상과 같이 전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으로, 사용자의 코의 아래 부분을 수용한다.
이러한 상기 코 수용부(200)에는 상기 삽입돌기(30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삽입돌기(300)는 상기 코 수용부(200)의 하면(210)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고, 통공(300a)이 상하 관통 형성되며, 호흡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끼워지도록 2개로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돌기(300)는 제1돌기부(310) 및 제2돌기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돌기부(3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관 형상이며, 상단이 상기 코 수용부(200)의 하면(210)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 즉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돌기부(310)의 양측에는 상기 코 수용부(200)의 하면(210)에 접하는 고정돌기(31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11)는 상기 삽입돌기(300)가 상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돌기부(320)는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돌기부(310) 보다 직경이 원통형의 관 형상이고, 상기 제1돌기부(310)의 상단에서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일정 각도 절곡 형성되며, 상기 코 수용부(200)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돌기부(320)은 상기 제1돌기부(310)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력이 가해지면 약간씩 휘어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기부(320)의 둘레에는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쉽게 되빠지지 않도록 다단의 걸림돌기(32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21)는 원반 형상이며, 상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통공(300a)은 상기 제1돌기부(310)에서 상기 제2돌기부(320)로 관통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과 상기 코 수용부(200)를 연통시키며, 상기 삽입돌기(30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콧구멍 속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돌기(300)가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에 배치되는 제1돌기부(310)와 상기 코 수용부(200)에 배치되는 제2돌기부(3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돌기부(320)가 얼굴 방향으로 일정 각도 절곡 형성됨으로써, 콧구멍에 쉽게 삽입되며 착용감을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300)는 상기 코 수용부(200)의 하면(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삽입돌기(300)가 손상되거나 오염되었을 때 상기 삽입돌기(300)만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돌기부(320)의 외측에 상기 걸림돌기(321)가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돌기(300)와 콧구멍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상기 삽입돌기(30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은 상기 마스크 본체(100)에서 상기 코 수용부(200)의 하면(210) 하부에 배치된 공간으로, 상기 삽입돌기(300)의 통공(300a)과 연통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은 제1필터공간(410)과 제2필터공간(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필터공간(410)은 상기 코 수용부(200)의 하면(210) 하부에서 얼굴의 턱까지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을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면서, 가운데에 구비된 상기 칸막이(140)에 의해 공간이 좌우 분리된다.
상기 제2필터공간(420)은 대략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필터공간(410)에서 상기 칸막이(14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얼굴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필터공간(420)은 상기 관통공(120)과 연통되며, 후술할 상기 필터부재(500)가 삽입 장착된다.
상기 필터부재(500)는 상기 제1필터공간(410)을 덮는 제1필터부재(510)와, 상기 제2필터공간(420)에 삽입 장착되는 제2필터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필터부재(510)는 상기 제1필터공간(41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 상기 결합홈(13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5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511)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결합돌기(511)를 따라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접촉돌기(5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필터부재(510)는 시중에 나와있는 다양한 기능성 필터로 적용 가능하므로 재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필터부재(500)는 상기 결합홈(130)에 끼워 장착함으로써,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마스크의 착용시 상기 접촉돌기(512)가 얼굴의 피부에 접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2필터부재(520)는 상기 제2필터공간(420)에 삽입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상기 제1필터부재(510)와 마찬가지로 시중에 나와있는 다양한 기능성 필터로 적용 가능하므로 재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필터부재(52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필터공간(420)에 각각 하나씩 삽입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필터공간(420)이 좌우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될 경우 상기 제2필터부재(520)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필터부재(500)는 사용 장소, 사용 시간 등에 따라 기능성이 상실될 수 있으며, 필터로서의 기능성이 상실되면 필터부재(500)를 필터 수용공간(400)으로부터 탈거하고, 새로운 필터부재(500)를 다시 필터 수용공간(400)에 끼워주면 되는 것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마스크를 필터부재(500) 교체만으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는, 상기 필터 수용공간(400)에 상기 필터부재(500)가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귀밴드부(110)의 둘레를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게 조절한 후, 상기 귀밴드부(110)를 귀에 걸어 상기 마스크 본체(100)가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도록 착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삽입돌기(300)의 제2돌기부(320)는 콧구멍 속에 끼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를 착용한 후 코 호흡을 하게 되면 공기가 삽입돌기(300)의 통공(300a)과 필터부재(500)를 통해 유통되면서 외부의 이물질 또는 공기 중의 각종 병원균을 걸러줄 수 있어 미세먼지에 의한 기관지염, 감기, 축농증, 비염, 신종플루, 독감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코 호흡이 코 구멍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코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눈쪽으로 이동하지 않아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고, 비가 내리더라도 호흡에 전혀 방해를 받지 않아 마스크로서의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에서 필터부재를 하나만 구성하는 경우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심 마스크에서 필터부재를 2개 구성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코 호흡이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비가 내릴 경우에도 마스크의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안심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에 코 수용부(20)가 형성되고, 코 수용부(20)에는 사용자의 콧구멍에 끼워지는 삽입돌기(30)가 형성되며, 삽입돌기(30)에 형성된 통공(31)과 통하도록 필터 수용공간(41)이 형성되어 여기에 필터부재(40)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이루어진다.
마스크 본체(10)는 얼굴의 눈 아래쪽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마스크 본체(10)의 양측에는 귀에 걸 수 있도록 귀밴드부(11)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다.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시 안면과 밀착되도록 실리콘을 주재료로 하여 여기에 모나자이트와 게르마늄을 혼합, 성형함으로써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다량 발생하도록 하여 항균작용, 탈취작용과 바이러스 차단을 통해 감기, 신종플루를 차단하고 비염, 축농증을 치료하도록 구성된다.
귀밴드부(11)는 마스크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양측면에 일체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귀밴드부(11)는 사용자의 얼굴크기와 상관없이 성인이면 대부분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부밴드(12)와 하부밴드(13)를 분리 구성하고, 하부밴드(13)의 자유단부에는 고리(14)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부밴드(12)의 자유단부에는 고리(14)에 선택적으로 끼움되도록 다단의 고정볼(15)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볼(15)이 고리(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손쉽게 되빠지지 않도록 고정볼(15)의 직경은 고리(14)의 내경보다는 크게 구성해야 함은 자명하다.
코 수용부(20)는 마스크 본체(10)의 중앙 상부로부터 중간부까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부위로서, 인체의 코 형상을 감안하여 정면과 측면상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굴곡지면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코 수용부(20)의 내하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30)는 인체의 콧구멍 개수를 감안하여 인접한 2개의 삽입돌기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삽입돌기(30)는 크기가 각각 다른 다양한 사람들의 콧구멍 크기를 감안하여 상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굴곡지면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며, 삽입돌기(30)의 중앙부로부터 하방향으로 통공(31)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돌기(30)의 둘레에는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쉽게 되빠지지 않도록 다단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코 수용부(20)의 하면에는 통공(31)과 통하도록 필터 수용공간(41)이 형성되며, 필터부재(40)는 이러한 필터 수용공간(4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호흡시 외부 이물질 또는 세균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부재(40)는 필터 수용공간(41)의 크기에 맞게 성형되어야 함은 자명한 것으로, 예를 들어 필터 수용공간(41)을 삽입돌기(30)별로 하나씩 형성하는 경우 필터부재(40)는 각각 구비되어야 하고, 필터 수용공간(41)을 2개의 삽입돌기(30)와 모두 통하도록 하나의 공간으로만 형성하는 경우 필터부재(40)는 하나의 공간으로만 형성된 필터 수용공간(41)에 끼워지도록 길게 하나만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필터부재(40)는 시중에 나와있는 다양한 기능성 필터부재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으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마스크 본체(10)의 코 수용부 하부 위치에는 사용자의 입 호흡 및 목소리 전달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공(5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마스크 본체(10)의 하단부에는 마스크 본체(10)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턱을 수용하는 턱 수용부(6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마스크 본체(10)를 잡고 코 수용부(20) 내하면의 삽입돌기(30)를 자신의 코에 각각 끼워주고, 턱 수용부(60)를 늘여 자신의 턱에 씌워주며, 마스크 본체(10) 양측의 귀밴드부(11)를 각각 양쪽 귀에 걸어주면 착용이 완료된다.
마스크 본체(10)는 실리콘을 주재료로 하고 있으므로 고탄성을 가지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늘어날 수 있고, 압력을 해제하면 곧바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착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10)의 착용이 완료되면 마스크 본체(10)를 이루는 실리콘 특유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착용감을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10)의 착용 전에 귀밴드부(11)의 상부밴드(12) 자유단부에 형성된 고정볼(15)을 자신의 얼굴크기에 맞게 단수를 선택하여 하부밴드(13)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고리(14)에 끼워주면 마스크 본체(10)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에 따라 자신의 얼굴크기에 맞게 고리(14)에 끼워지는 고정볼(15)의 단수를 선택하여 끼워주면 된다.
사용자의 코 구멍에 끼워지는 삽입돌기(30)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콧구멍 크기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성인이면 본 발명에 따른 안심 마스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각 삽입돌기(30)의 둘레에는 다단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돌기(30)가 사용자의 콧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손쉽게 되빠지지 않는 이점도 있게 된다.
마스크를 착용한 후 코 호흡을 하게 되면 공기가 삽입돌기(30)의 통공(31)과 필터부재(40)를 통해 유통되면서 외부의 이물질 또는 공기 중의 각종 병원균을 걸러줄 수 있어 미세먼지에 의한 기관지염, 감기, 축농증, 비염, 신종플루, 독감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코 호흡이 코 구멍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코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눈쪽으로 이동하지 않아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고, 비가 내리더라도 호흡에 전혀 방해를 받지 않아 마스크로서의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스크 본체(100)를 이루는 실리콘에 모나자이트와 게르마늄이 분산되어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모나자이트와 게르마늄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건강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건강증진 효과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10)의 코 수용부 하부 위치에 다수의 미세공(50)이 형성된 것이므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의사 소통 및 입 호흡도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게 된다.
한편, 필터부재(40)는 사용 장소, 사용 시간 등에 따라 기능성이 상실될 수 있으며, 필터로서의 기능성이 상실되면 필터부재(40)를 필터 수용공간(41)으로부터 탈거하고, 새로운 필터부재(40)를 다시 필터 수용공간(41)에 끼워주면 되는 것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마스크를 필터부재(40) 교체만으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가 실리콘을 주재료로 하고 있으므로 물로 손쉽게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마스크 본체 110 : 귀밴드부
111 : 하부밴드 112 : 고리부
113 : 상부밴드 114 : 고정볼
120 : 관통공 130 : 결합홈
140 : 칸막이 200 : 코 수용부
210 : 코 수용부의 하면 300 : 삽입돌기
300a : 통공 310 : 제1돌기부
311 : 고정돌기 320 : 제2돌기부
321 : 걸림돌기 400 : 필터 수용공간
410 : 제1필터공간 420 : 제2필터공간
500 : 필터부재 510 : 제1필터부재
511 : 결합돌기 512: 접촉돌기
520 : 제2필터부재

Claims (7)

  1. 얼굴의 눈 아래쪽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귀에 걸 수 있도록 귀밴드부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 상부로부터 중간부까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코 수용부;
    상기 코 수용부의 내하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호흡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2개의 삽입돌기;
    상기 코 수용부의 하면에 상기 통공과 통하도록 형성된 필터 수용공간; 및
    상기 필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호흡시 외부 이물질 또는 세균을 걸러주는 필터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 수용공간은,
    상기 코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입까지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면서, 가운데에 구비된 칸막이에 의해 좌우 분리되는 제1필터공간;
    상기 제1필터공간에서 상기 칸막이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얼굴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필터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제1필터공간을 덮는 제1필터부재;
    상기 제2필터공간에 장착되는 제2필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코 수용부의 하면에 장착되며, 하단이 상기 필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1돌기부;
    상기 제1돌기부의 상단에서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일정 각도 절곡 형성되며, 상기 코 수용부에 배치되는 제2돌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부의 양측에는 상기 코 수용부의 하면에 접하는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마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의 둘레에는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쉽게 되빠지지 않도록 다단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코 수용부 하부 위치에는 상기 필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 호흡 및 목소리 전달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마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귀밴드부는, 상부밴드와 하부밴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하부밴드의 자유단부에는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밴드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고리에 끼움되도록 다단의 고정볼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마스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상기 제1필터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부재에는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마스크.
KR1020150042226A 2014-08-13 2015-03-26 안심 마스크 KR101623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5191 2014-08-13
KR1020140105191 2014-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39A KR20160020339A (ko) 2016-02-23
KR101623863B1 true KR101623863B1 (ko) 2016-05-24

Family

ID=5544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226A KR101623863B1 (ko) 2014-08-13 2015-03-26 안심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023B1 (ko) * 2020-04-29 2020-11-10 (주)멋진여성 끈이 없고 입을 감싸면서 코에 삽입하여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2331231B1 (ko) * 2020-05-07 2021-12-01 린제이앤코스 주식회사 다용도 안면마스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5603A1 (en) 2002-09-23 2004-03-25 Bruce Carol Jean Emery Intra-nasal filter device
JP2014111193A (ja) 2014-02-20 2014-06-19 Mitsuya Kitada マスク、マスク用ノーズアダプタ、およびマスクセ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5603A1 (en) 2002-09-23 2004-03-25 Bruce Carol Jean Emery Intra-nasal filter device
JP2014111193A (ja) 2014-02-20 2014-06-19 Mitsuya Kitada マスク、マスク用ノーズアダプタ、およびマスク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39A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975B1 (ko) 휴대용 다기능 마스크
KR101634866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856620B1 (ko)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101132000B1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20200023033A (ko) 스포츠용 마스크
KR20160094153A (ko) 필터 마스크
KR101623863B1 (ko) 안심 마스크
KR101582353B1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JPH0626615B2 (ja) 花粉防護装置
KR20170003790U (ko) 다기능 마스크
KR20160135568A (ko) 코마개 탈착형 마스크
KR102316215B1 (ko) 릴형 헤드셋 착용 방식의 마스크
KR101533262B1 (ko) 결로 방지 프레임마스크와 면마스크 결합형 방진 마스크
KR20170060464A (ko) 콧속내장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10108910A (ko) 흡착 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및 흡습용 피부 부착 필름
KR20040039250A (ko) 코 마스크와 이의 제조방법
KR20160109208A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102574967B1 (ko) 김서림 방지구
KR20130075617A (ko) 미세 먼지 제거용 코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160068217A (ko) 김서림 방지 및 발음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된 마스크
KR200338221Y1 (ko) 코 필터
KR200354993Y1 (ko) 코 보 마스크 : (코 호흡을 보호한다는 의미의약어).
KR102096807B1 (ko) 코 부착형 공기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