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114A -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114A
KR20210017114A KR1020190095837A KR20190095837A KR20210017114A KR 20210017114 A KR20210017114 A KR 20210017114A KR 1020190095837 A KR1020190095837 A KR 1020190095837A KR 20190095837 A KR20190095837 A KR 20190095837A KR 20210017114 A KR20210017114 A KR 20210017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fixed body
underground power
locking block
rota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박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웅 filed Critical 박철웅
Priority to KR102019009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114A/ko
Publication of KR2021001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의 앵글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와 일단과 그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고정바디의 타단과 그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고정바디와의 사이에 개재된 지중전력선을 감싸는 회전커버와, 상기 고정바디와 회전커버 사이에 개재된 지중전력선을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수단과, 상기 고정바디의 타단과 회전커버의 타단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박수단은 회전커버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압박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에 대하여 회전커버의 내측으로 탄발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고정바디의 타단에 일정간격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된 록킹블럭과, 상기 록킹블럭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탄발력을 인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커버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블럭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후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블럭에는 작업자가 잡고 록킹블럭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전력선을 거치하는 작업이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양한 직경의 지중전력선을 직경의 차이에 상관없이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중전력선을 거치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 등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중전력선 거치장치{cable supporter}
본 발명은 지상의 전신주에서 지하로 이어지는 지중전력선을 거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의 공급은 발전소로부터 각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설치된 전력선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전력선을 그 지지방법에 따라 구분하자면 지상에서 전신주에 의해 지지되는 가공(架空)전력선과,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전력선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지중전력선은 가공전력선에 비해 도시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지상에 노출되지 않아 보안상의 위험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지중에 형성된 공동구에 매설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배전소까지는 그 구간의 거리가 길고 지리적인 특성상 지중공동구의 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가공전력선이 이용되고 있으며, 지중전력선은 전신주에 설치된 변압기 등에서부터 지중으로 유입되어 각 수용가로 이어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지중전력선(C)의 지상부분에 대한 거치구조는, 전신주에 구비된 앵글브라켓(3)에 장착된 거치기구(5)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거치기구(5)는 앵글브라켓(3)에 고정되는 베이스부(7) 및 이와 조합되는 덮개부(9)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에 따르면 베이스부(7)와 덮개부(9)가 나사결합되어 그 사이에 배치된 지중전력선(C)을 압박하여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지중전력선(C)의 거치작업 또는 탈거작업을 위해서는 거치기구(5)의 베이스부(7)와 덮개부(9)를 결합하는 나사를 각각 분리하거나 체결하는 세밀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하였으며, 고공의 전신주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특성상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거치기구(5)의 베이스부(7)와 덮개부(9)가 일정한 규격으로 이루어지고 나사결합되는 특성상, 지중전력선의 다양한 직경에 맞추어 베이스부(7)와 덮개부(9) 또한 이에 맞는 다양한 규격의 것이 마련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과정에서 지중전력선의 직경에 맞는 베이스부(7)와 덮개부(9)를 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지중전력선의 거치작업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중전력선 거치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의 앵글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와 일단과 그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고정바디의 타단과 그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고정바디와의 사이에 개재된 지중전력선을 감싸는 회전커버와, 상기 고정바디와 회전커버 사이에 개재된 지중전력선을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수단과, 상기 고정바디의 타단과 회전커버의 타단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박수단은 회전커버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압박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에 대하여 회전커버의 내측으로 탄발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고정바디의 타단에 일정간격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된 록킹블럭과, 상기 록킹블럭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탄발력을 인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커버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블럭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후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블럭에는 작업자가 잡고 록킹블럭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장치에 의하면, 지중전력선을 거치하는 작업이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양한 직경의 지중전력선을 직경의 차이에 상관없이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중전력선을 거치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 등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종래기술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장치가 앵글브라켓에 설치된 상태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4: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장치가 앵글브라켓에 설치된 상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5a, 5b, 5c: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장치에 의해 지중전력선이 거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2 부터 도 5c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장치(10)는, 전신주의 앵글브라켓(3)에 고정되는 고정바디(20)와, 상기 고정바디(20)와 일단과 그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고정바디(20)의 타단과 그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고정바디(20)와의 사이에 개재된 지중전력선(C)을 감싸는 회전커버(30)와, 상기 고정바디(20)와 회전커버(30) 사이에 개재된 지중전력선(C)을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수단과, 상기 고정바디(20)의 타단과 회전커버(30)의 타단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바디(20)는 앵글브라켓(3)에 접하는 베이스부(22)와, 베이스부(22)의 일측에 구성된 홀더부(224)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부(224)의 내측면은 곡면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바디(20)의 베이스부(22)의 후측면에는 앵글브라켓(3)의 끼움슬롯(3a)에 걸림장착되는 걸림막대부(221)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막대부(221)는 고정바디(20)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배치각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커버(30)의 내측면 역시 전체적으로는 상기 고정바디(20)의 홀더부(224)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커버(30)의 내측면에는 후술된 압박부재(40)의 밀착부(422)가 내재되도록 하는 내재홈(3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30)의 내재홈(30a) 중심에는 후술된 압박수단의 스프링(42)이 강하게 압착되는 경우 내재홈(30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회전커버(30) 내측으로 들어가 있도록 하는 스프링홈(도면상 안보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수단은 회전커버(30)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압박부재(40)와, 상기 압박부재(40)에 대하여 회전커버(30)의 내측으로 탄발력을 인가하는 스프링(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박부재(40)는 회전커버(30)를 관통하는 관통봉(421)과, 상기 관통봉(421)의 내측단에 구성된 밀착부(422)와, 상기 관통봉(421)의 외측단에 구성된 걸림링부(4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42)은 관통봉(421)에 끼워져서 밀착부(422)와 회전커버(30) 사이에 배치되게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422)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라운드형태로서, 회전커버(30)의 내측면의 내재홈(30a)과 형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특히 밀착부(422)가 회전커버(30)의 내재홈(30a)에 완전히 내재된 상태에서는 그 표면이 회전커버(30)의 내측면과 연접되어 매끈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은 고정바디(20)의 타단에 일정간격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된 록킹블럭(50)과, 상기 록킹블럭(50)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탄발력을 인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커버(30)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블럭(5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후크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블럭(50)에는 작업자가 잡고 록킹블럭(50)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5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디(20)의 타단은 서로 이격된 상부 걸림부(241)와 하부 걸림부(242)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걸림부(241)와 하부 걸림부(242)에는 록킹블럭(50)의 상단과 하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간격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작동홀(24a)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블럭(50)은 고정바디(20)의 상부 걸림부(241)와 하부 걸림부(242)에 사이에 개재되어 걸림장착되고, 손잡이(52)는 고정바디(20)의 타단의 외측에 배치되며, 스프링(54)은 상부 걸림부(241)와 하부 걸림부(242) 사이에서 록킹블럭(50)을 내측으로 압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록킹블럭(50)의 일측면은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재(32)는 상기 록킹블럭(50)의 일측면과 형합되도록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장치(10)는 고정바디(20)의 베이스부(22) 후면에 형성된 걸림막대부(221)가 앵글브라켓(3)의 끼움슬롯(3a)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앵글브라켓(3)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막대부(221)가 고정바디(20)와 직교하는 형태로 구성된 특성상, 걸림막대부(221)를 앵글브라켓(3)의 끼움슬롯(3a)에 넣고 고정바디(20)를 돌리면, 걸림막대부(221)가 끼움슬롯(3a)과 엇갈리게 됨으로써 고정바디(20)가 앵글브라켓(3)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5a, 5b, 5c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정바디(20)와 힌지연결된 회전커버(30)를 열고, 고정바디(20)의 홀더부(224)와 회전커버(30) 사이에 지중전력선(C)이 개재되도록 한 다음, 회전커버(30)를 닫아서 후크부재(32)가 체결수단과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수단에 의한 체결작동은, 작업자가 록킹블럭(50)의 손잡이(52)를 잡고 잡아당겨서 록킹블럭(50)이 스프링(54)을 압박하면서 외측으로 옮겨진 상태에서, 회전커버(30)의 후크부재(32)가 걸림부재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한 다음, 손잡이(52)를 놓아서 스프링(54)의 탄발력에 의해 록킹블럭(50)이 원위치로 돌아감으로써 후크부재(32)에 걸리는 이른바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바디(20)와 회전커버(30)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압박수단의 밀착부(422)가 지중전력선(C)에 의해 밀리면서 스프링(42)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된 스프링(42)의 탄발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밀착부(422)가 지중전력선(C)에 대해 압박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지중전력선(C)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압박부재(40)의 관통봉(421)이 회전커버(30)를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 특성상, 지중전력선(C)의 직경에 맞추어, 상기 압박부재(40)가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42)이 적당한 탄발력을 형성하게 되므로, 다양한 직경의 지중전력선(C)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선 거치장치(10)에 의하면, 지중전력선(C)을 거치하는 작업이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양한 직경의 지중전력선(C)을 직경의 차이에 상관없이 거치할 수 있게 된다.
10: 거치장치 20: 고정바디
22: 베이스부 221: 걸림막대부
24: 홀더부
30: 회전커버 30a: 내재홈 32: 후크부재
40: 압박부재 42: 스프링
421: 관통봉 422: 밀착부 423: 걸림링부
50; 록킹블럭 52: 손잡이 54: 스프링

Claims (4)

  1. 전신주의 앵글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와 일단과 그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고정바디의 타단과 그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고정바디와의 사이에 개재된 지중전력선을 감싸는 회전커버와,
    상기 고정바디와 회전커버 사이에 개재된 지중전력선을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수단과,
    상기 고정바디의 타단과 회전커버의 타단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수단은 회전커버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압박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에 대하여 회전커버의 내측으로 탄발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고정바디의 타단에 일정간격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된 록킹블럭과,
    상기 록킹블럭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탄발력을 인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커버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블럭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후크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블럭에는 작업자가 잡고 록킹블럭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KR1020190095837A 2019-08-07 2019-08-07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KR20210017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37A KR20210017114A (ko) 2019-08-07 2019-08-07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37A KR20210017114A (ko) 2019-08-07 2019-08-07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114A true KR20210017114A (ko) 2021-02-17

Family

ID=7473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37A KR20210017114A (ko) 2019-08-07 2019-08-07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1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7889A (zh) * 2021-12-10 2022-04-05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用装配式水电槽的预埋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7889A (zh) * 2021-12-10 2022-04-05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用装配式水电槽的预埋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472B1 (ko)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EP1637678A3 (en) Cable lockout assembly
KR20210017114A (ko) 지중전력선 거치장치
KR100946425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JP2013027057A (ja) 電線引留め方式
US2310032A (en) Telephone fixture
CN209183931U (zh) 一种服务器排线端子的安装工具
US20090231828A1 (en) Enclosure securing device
KR100931710B1 (ko) 송전선의 배선위치 조정식 전선라인 고정대
AU673601B2 (en) Holder for a low-voltage cable
KR100925068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US5758430A (en) Electrical box installation
CN112018663B (zh) 一种电力输电线路铺设线缆牵引装置
WO2004080646A3 (en) Clamp system
CN210898288U (zh) 一种耐张绝缘子更换工具
CN204778084U (zh) 一种手持式生料带缠绕机
CN211958568U (zh) 一种新型镜面反射式w销取销器
KR20210134149A (ko) 활선 작업용 전선 고정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US2554020A (en) Barbed-wire fence builder
US20200189478A1 (en) Headrest Hook Apparatus
CN206287036U (zh) 一种园林用便携式拾物钳
CN213085031U (zh) 一种水电施工用线缆收卷装置
US2455490A (en) Tool for applying armor rods to energized conductors
CN205097305U (zh) 一种油锯套筒固定结构
CN219458492U (zh) 一种带电作业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