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955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955A
KR20210016955A KR1020190095451A KR20190095451A KR20210016955A KR 20210016955 A KR20210016955 A KR 20210016955A KR 1020190095451 A KR1020190095451 A KR 1020190095451A KR 20190095451 A KR20190095451 A KR 20190095451A KR 20210016955 A KR20210016955 A KR 2021001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transmission performance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6955A/ko
Priority to US16/985,659 priority patent/US11252657B2/en
Publication of KR2021001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자장치는, 중계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된 통신회로와; 통신회로에 접속 가능하며, 주파수대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중계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복수의 중계장치 중에서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중계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AP(Access Point) 등의 통신중계장치를 통해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통신 접속이 가능한 복수의 통신중계장치 중에서 가장 최적화된 통신 품질을 제공하는 통신중계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기기로 구현되는 전자장치는 휴대성이 필수적이므로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V 등과 같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전자장치라고 하더라도, 복잡하게 얽히는 여러 케이블로 인한 미관상, 관리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되기도 한다. 두 대의 전자장치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두 전자장치가 1대 1로 다이렉트로 접속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무선통신규격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지그비(Zigbee) 등이 있다. 다른 하나는 각 전자장치가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된 여러 통신중계장치에 각기 접속하고, 이들 통신중계장치를 경유하는 형태로 두 전자장치가 상호 접속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무선통신규격으로는 와이파이(Wi-Fi)가 있다.
통신중계장치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AP가 있다. AP는 소정 거리의 통신가능영역을 가지며, 전자장치는 이 통신가능영역에 있을 때에 AP와 통신 접속이 가능하다. 전자장치는 AP의 통신가능영역에 진입하면 해당 AP와 접속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UI를 표시하고, 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해당 AP와 통신 접속한다.
전자장치가 하나의 AP의 통신가능영역이 아닌, 복수의 AP의 통신가능영역에 진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자장치는 복수의 AP 중 어느 것과 접속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UI를 표시하고, UI를 통해 선택된 AP와 통신 접속한다. 전자장치는 복수의 AP를 스캔하면서 감지되는 순서대로 UI에서 복수의 AP의 순서를 정렬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UI는 복수의 AP 중 어느 AP와 접속할 경우에 네트워크 품질이 가장 좋은지에 관해서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장치가 복수의 AP와 접속 가능한 환경 하에서, 실질적인 네트워크 품질이 가장 좋은 AP를 선별하는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중계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된 통신회로와, 상기 통신회로에 접속 가능하며, 주파수대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중계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복수의 중계장치 중에서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중계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파수대역과 상기 전송 성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 중계장치의 신호세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대역은 복수의 전송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중계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전송모드 중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각 전송모드에서의 전송 성능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회로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칩셋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칩셋의 주파수대역 별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통신칩셋의 주파수대역 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 성능이 높은 중계장치를 다른 중계장치보다 우선적으로 접속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중계장치를 상기 전송 성능에 따른 순서대로 정렬하여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회로가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식별된 중계장치에 접속되도록 상기 통신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회로는 IEEE 802.11 규격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자장치에 접속 가능하며 주파수대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복수의 중계장치 중에서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중계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전자장치가 복수의 AP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전자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전자장치 및 AP 사이의 통신 접속 절차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전자장치가 포함하는 제1통신모듈의 전송모드 별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도 6은 전자장치가 포함하는 제2통신모듈의 전송모드 별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전자장치가 가장 좋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AP를 식별하기 위한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전자장치가 복수의 AP 중에서 가장 데이터 전송속도가 높은 AP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전자장치가 복수의 AP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휴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된다. 전자장치(100)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영될 수 있는 전자장치(100)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TV, 전자액자,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 등의 영상처리장치, 생활가전, 정보처리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다양한 무선통신규격을 지원함으로써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 방식은 개략적으로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하나는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된 통신중계장치(110, 120, 130)에 접속되는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개별 장치와 1:1로 다이렉트로 접속되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의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통신중계장치(110, 120, 130)는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에 유선으로 접속됨으로써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접속된 제반 장치들의 무선통신을 중계한다. 통신중계장치(110, 120, 130)는 통신허브, 무선공유기 등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중계장치(110, 120, 130)는 다양한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통신중계장치(110, 120, 130)는 IEEE 802.11 규격을 지원하는 AP(110, 120, 130)를 포함한다.
AP(110, 120, 130)는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장치들이 WLAN(wireless LAN)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2.4GHz 또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AP(110, 120, 130)가 통신 접속을 제공 가능한 영역의 범위는, 실내인 경우 및 실외인 경우, 주파수 대역 별, 전송모드 별로 각기 상이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본 범위는 적게는 수십 미터부터, 실외 환경 하에서 주파수 및 전송모드에 따라서는 최대 250미터 정도까지 가능하다.
복수의 AP(110, 120, 130)의 배치 형태와, 전자장치(100)의 위치에 따라서, 전자장치(100)는 복수의 AP(110, 120, 130)와 통신 접속이 가능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자장치(100)는 복수의 AP(110, 120, 13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함으로써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100)는 복수의 AP(110, 120, 130) 중에서 가장 통신 품질이 좋다고 식별되는 어느 하나의 AP(110, 120, 130)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00)는 현재 접속 가능한 복수의 AP(110, 120, 130)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UI(140)를 표시하고, UI(140)를 통해 선택된 AP(110, 120, 130)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00)는 UI(140) 상에서 통신 품질이 좋은 순서대로 복수의 AP(110, 120, 130)를 정렬시켜 표시할 수 있다. 통신 품질은 여러 가지 패러미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품질이 장치 간 데이터의 전송 성능을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는 제1AP(110), 제2AP(120), 제3AP(130)와 접속이 가능하다고 할 때, 전자장치(100)가 제1AP(110), 제2AP(120), 제3AP(130) 각각에 접속되었을 경우의 통신 품질을 식별하고, 식별 결과 통신 품질이 좋은 순서대로 제1AP(110), 제2AP(120), 제3AP(130)의 항목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UI(140)는 접속 가능한 AP(110, 120, 130)가 많은 경우에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AP(110, 120, 130)가 최상측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UI(140)를 스크롤하여 찾을 필요 없이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AP(110, 120, 130)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것이 제3AP(130)이면, UI(140)는 제3AP(130)를 선택하기 위한 항목을 복수의 AP(110, 120, 130)의 리스트 중에서 가장 최상측에 배치한다.
전자장치(100)는 복수의 AP(110, 120, 130) 각각에 대한 통신 품질, 구체적으로는 전자장치(100)와 각 AP(110, 120, 130) 사이의 전송 성능을 수치상으로 식별함으로써, 복수의 AP(110, 120, 130) 각각의 통신 품질을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전자장치(1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전자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210)은 통신부(211)와, 신호입출력부(212)와, 디스플레이부(213)와, 사용자입력부(214)와, 저장부(215)와, 프로세서(216)를 포함한다.
통신부(211)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셋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1)는 와이파이 방식에 따라서 AP(201)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1대 1 다이렉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이나,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1)는 AP(201)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 또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212)는 TV, 광학미디어 재생장치, 컴퓨터본체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1:1 또는 1:N(N은 자연수)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한다. 신호입출력부(212)는 예를 들면 HDMI 포트, DisplayPort, DVI 포트, 썬더볼트, USB 포트 등과 같이, 기 설정된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13)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213)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디스플레이부(213)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214)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 관련 회로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214)는 전자장치(210)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전자장치(210)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터치패드, 디스플레이부(213)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저장부(215)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15)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 속성의 스토리지(storage)와, 프로세서(216)에 의해 처리되기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는 휘발성 속성의 메모리(memory)를 포함한다. 스토리지에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으며, 메모리에는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다.
프로세서(216)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전자장치(210)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260)는 통신부(210)를 통해 AP(201)가 새로 검색되면, AP(201)와 통신경로를 구축하기 위해 AP(201)와의 사이에 정보 패킷을 송수신한다. 프로세서(260)는 복수의 AP(201)가 검색되면, 각 AP(201)와의 통신 품질을 식별하고, 가장 통신 품질이 좋은 AP(201)에 자동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통신 품질이 좋은 순서대로 복수의 AP(201)를 선택 가능한 UI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60)는 복수의 AP(201) 중에서 가장 통신 품질이 좋은 AP(201)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네트워크(neural network),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260)는 학습부 및 인식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인식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식(또는, 추론, 예측, 추정,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저장부(250)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학습을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AP(201)의 통신 품질 식별에 관한 동작을 수행한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키기 전에, 획득된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학습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학습부는 전처리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AP(201)의 식별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는,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또는,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가중치를 가지며,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들은 일 신경망 네트워크의 출력 값이 다른 신경망 네트워크의 입력 값으로 이용되도록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신경망 네트워크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와 같은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식부는 AP(201) 식별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저장부(250)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인식 대상이 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전에, 획득된 타겟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타겟 데이터들 중에서 인식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 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인식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인식부는 전처리된 타겟 데이터를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함으로써, 신경망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인식부는 출력값과 함께, 확률값 또는 신뢰도값을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전자장치(200)가 복수의 AP(201) 중에서 어느 하나의 AP(201)를 식별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동작은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31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AP를 식별한다. 전자장치가 통신 접속이 가능한 여러 AP를 식별하는 것은 각 AP로부터 수신되는 비컨에 기반한 스캐닝을 통해 수행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32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식별된 각 AP의 주파수대역 별 전송 성능을 획득한다. 전송 성능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패러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IEEE 802.11 규격의 경우에 유효한 주파수대역은 2.4GHz 및 5GHz가 있으며, AP 중에는 2.4GHz 및 5GHz를 모두 지원하는 AP가 있고, 2.4GHz 및 5GHz 중 어느 하나만을 지원하는 AP가 있다.
33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각 AP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 별 전송 성능을 식별한다. 예를 들면, 2.4GHz 및 5GHz 중에서 2.4GHz에서의 전송 성능이 더 좋은 AP가 있을 수 있고, 2.4GHz 및 5GHz 중에서 5GHz에서의 전송 성능이 더 좋은 AP가 있을 수 있다.
34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복수의 AP 각각의 식별된 전송 성능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 성능의 AP를 식별한다.
35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식별된 AP와의 무선 통신에 관한 동작을 수행한다. 본 동작은 식별된 AP에 대한 자동 접속일 수 있고, 또는 식별된 AP를 가장 선택하기 용이하게 배치된 UI를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로써, 전자장치는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전송 성능을 가진 통신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전자장치가 AP와 통신 접속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전자장치 및 AP 사이의 통신 접속 절차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400)가 IEEE 802.11 규격에 따라서 AP(401)와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하기 위해서는, 개략적으로 Beacon(410), Probe Request(420), Probe Response(430), Authentication Request(440), Authentication Response(450), Association Request(460), Association Response(470)의 단계를 거친다. 기본적으로, 전자장치(400)가 AP(401)에 대해 소정 목적의 Request를 전송하고, AP(401)로부터 해당 Request에 대한 Response를 수신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Beacon(410), Probe Request(420), Probe Response(430) 단계에서는, 전자장치(400)가 AP(401)에 접속하기 위해 해당 AP(401)가 사용하는 채널의 탐색과정을 수행한다. 탐색에는 수동탐색과 능동탐색이 있다. 수동탐색은 AP(401)가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Beacon Frame으로부터 전자장치(400)가 해당 AP(401)를 찾는 과정이다. 능동탐색은 각 채널 별로 Probe 요청 프레임을 사용하여 AP(401)를 탐색하는 과정이다. 이미 전자장치(400)가 AP(401)에 관한 네트워크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Beacon(410)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AP(401)가 송신하는 Beacon Frame은 AP(401)의 SSID(SubSystem Identification), 채널, 암호화 정보, 전송률 등 AP(401)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한다. 전자장치(400)는 AP(401)와 Probe Request (420) 및 Probe Response (430)를 수행함으로써 AP(401)를 인지한다.
Authentication Request(440), Authentication Response(450) 단계에서는 전자장치(400)의 보안 인증을 AP(401)가 수행한다.
Association Request(460), Association Response(470) 단계에서는 해당 AP(401)에 대한 전자장치(400)의 접속 설정 과정이 수행된다. 이 때, 전자장치(400)가 해당 AP(401)에 대한 접속 절차, 또는 다른 AP(401)로의 이동 시 재결합 과정이 수행된다. 전자장치(400)는 AP(401)와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AP(401)를 통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전자장치(400)는 복수의 AP(401)를 탐색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각 AP(401) 별 통신 품질을 식별하고, 식별된 통신 품질 기반으로 각 AP(401)를 선택 가능하게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전자장치(400)는 사용자가 선택한 AP(401)에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이하, 전자장치가 각 AP의 통신 품질을 식별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전자장치가 포함하는 제1통신모듈의 전송모드 별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통신모듈에 대한 환경 별 통신 성능을 나타내는 리스트(5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500)는 제조사 또는 개발자에 의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작성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전자장치의 저장부에 기록되거나, 해당 리스트(500)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전자장치가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AP와의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 또는 통신칩셋을 가진다. 여러 통신모듈은 제조사 또는 모델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속성을 가지며, 동일한 사용 환경 하에서 여러 통신모듈은 속성 별로 서로 다른 통신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제조사의 소정 모델인 제1통신모듈에 관한 리스트(500)는, 복수의 신호세기 별로 복수의 전송모드 시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낸다.
IEEE 802.11 규격의 경우에,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은 2.4GHz 및 5GHz의 두 가지가 있다. 2.4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모드는 802.11b, 802.11g, 802.11n 등이 있고, 5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모드는 802.11a, 802.11n, 802.11ac 등이 있다. 802.11n 전송모드의 경우는 2.4GHz 및 5GHz 모두에 존재한다.
802.11b는 1999년에 배포되었으며, 2.4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고, 11Mbps의 최고 전송 속도를 가진다. 802.11a는 1999년에 배포되었으며, 5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고, 54Mbps의 최고 전송 속도를 가진다. 802.11g는 2003년에 배포되었으며, 2.4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고, 54Mbps의 최고 전송 속도를 가진다. 802.11n은 2009년에 배포되었으며, 2.4GHz 또는 5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고, 600Mbps의 최고 전송 속도를 가진다. 802.11ac는 2012년에 배포되었으며, 5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한다. 802.11ac에 따르면, 다중 단말의 무선랜 속도는 최소 1Gbit/s, 최대 단일 링크 속도는 최소 500Mbit/s 까지 가능하게 된다.
5GHz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품질이 2.4GHz보다 나중에 제안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통신 품질이 상대적으로 좋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실제로 전자장치 및 AP 사이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전자장치 및 AP 사이의 통신 품질은 2.4GHz보다 5GHz가 더 좋을 수도 있고, 5GHz보다 2.4GHz가 더 좋을 수도 있다. 5GHz는 이론상 최대속도는 2.4GHz보다 높지만, 장애물에 상대적으로 약하다. 즉, 2.4GHz의 경우는 5GHz에 비해 한층 넓은 커버리지를 가진다. 또한, 전송모드 측면에서 보면, 802.11ac는 상대적으로 강한 신호세기 하에서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일괄적으로 2.4GHz보다 5GHz가 좋다고 한정할 수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 및 AP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전송모드가 선택된다.
이하, 리스트(500)의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리스트(500)는 주파수 대역 별 복수의 전송모드에서, 각 신호세기 별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낸다. 2.4GHz에는 802.11b, 802.11g, 802.11n의 전송모드가 있고, 5GHz에는 802.11a, 801.11n, 801.11ac의 전송모드가 있다.
신호세기는 전자장치가 AP에 Request를 보내고 AP가 Response를 전자장치에 보내는 과정에서 계측된다. 신호세기는 통상적으로 전자장치 및 AP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나, 모든 경우에 그러한 것은 아니다. 전자장치 및 AP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 중요한 것은 데이터 전송속도인데, 신호세기가 강하다고 해서 반드시 데이터 전송속도가 높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본 리스트(500)에 따르면, 신호세기가 -50dBm일 때, 데이터 전송속도는 802.11b의 경우에 10, 802.11g의 경우에 53, 802.11n(2.4GHz)의 경우에 67, 802.11a의 경우에 52, 801.11n(5GHz)의 경우에 90, 801.11ac의 경우에 250(이상, 단위는 Mbps)이다. 신호세기가 -50dBm일 때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빠른 순서대로 801.11ac, 801.11n(5GHz), 802.11n(2.4GHz), 802.11a, 802.11g, 802.11b가 된다. 신호세기가 -50dBm일 때에는 5GHz의 802.11ac 및 802.11n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2.4GHz의 데이터 전송속도보다 빠른 반면, 5GHz의 802.11a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2.4GHz의 802.11n 및 802.11g의 데이터 전송속도보다 느리다.
또는, 신호세기가 -75dBm일 때, 데이터 전송속도는 802.11b의 경우에 3, 802.11g의 경우에 10, 802.11n(2.4GHz)의 경우에 2.5, 802.11a의 경우에 13, 801.11n(5GHz)의 경우에 9, 801.11ac의 경우에 0.3(이상, 단위는 Mbps)이다. 신호세기가 -75dBm일 때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빠른 순서대로 801.11a, 801.11g, 802.11n(5GHz), 802.11b, 802.11n(2.4GHz), 802.11ac가 된다. 이 경우에는 802.11ac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가장 느려지며, 802.11a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가장 빠르다. 또한, 이 경우에 2.4GHz의 802.11g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5GHz의 802.11n의 데이터 전송속도보다 빠르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는 복수의 AP를 검색하면 각 AP에 대한 신호세기를 획득한다. 전자장치는 제1통신모듈을 구비한 경우에는 제1통신모듈에 기반한 리스트(500)에 기초하여, 획득한 신호세기에서의 전송모드 별 데이터 전송속도를 식별한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는 통신모듈의 속성에 대응하는 신호세기 별 전송모드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리스트(500)에 기초하여, 가장 좋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전송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각 AP의 비컨으로부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해당 AP가 지원하는 전송모드를 식별하고, AP가 지원하지 않는 전송모드는 제외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AP가 802.11b, 802.11g, 802.11n(2.4GHz), 802.11a, 801.11n(5GHz), 801.11ac 중에서 801.11ac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전자장치는 리스트(500) 상에서 나머지 802.11b, 802.11g, 802.11n(2.4GHz), 802.11a, 801.11n(5GHz)에 대해서만 데이터 전송속도를 식별한다.
한편, 본 리스트(500)는 모든 통신모듈에 대해 마련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속성에 따라서 상이한 성능을 가지므로, 리스트(500)의 수치들은 통신모듈의 속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제1통신모듈과 상이한 속성의 제2통신모델의 리스트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전자장치가 포함하는 제2통신모듈의 전송모드 별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신모듈과 상이한 속성의 제2통신모델의 리스트(600)가 전자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리스트(600)의 기본적인 사항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통신모듈은 제1통신모듈과 상이한 제조사의 모델이거나, 또는 동일한 제조사라고 하더라도 상이한 모델이거나, 또는 동일한 제조사 및 모델이라고 하더라도 생산공정이 상이한 등의 차이를 가진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제2통신모듈에 관한 리스트(600)의 개별적인 항목들은 제1통신모듈의 경우와 상이한 수치를 나타낸다.
본 리스트(600)에 따르면, 신호세기가 -50dBm일 때, 데이터 전송속도는 802.11b의 경우에 10, 802.11g의 경우에 53, 802.11n(2.4GHz)의 경우에 78, 802.11a의 경우에 41, 801.11n(5GHz)의 경우에 60, 801.11ac의 경우에 220(이상, 단위는 Mbps)이다. 동일 신호세기에 대응하는 앞선 제1통신모듈에서의 수치와 비교할 때 차이가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신호세기가 -50dBm일 때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빠른 순서대로 801.11ac, 801.11n(2.4GHz), 802.11n(5GHz), 802.11g, 802.11a, 802.11b가 된다. 신호세기가 -50dBm일 때에는 2.4GHz의 802.11n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5GHz의 802.11n의 데이터 전송속도보다 빠르게 나타난다.
또는, 신호세기가 -75dBm일 때, 데이터 전송속도는 802.11b의 경우에 3, 802.11g의 경우에 10, 802.11n(2.4GHz)의 경우에 2.5, 802.11a의 경우에 3, 801.11n(5GHz)의 경우에 8, 801.11ac의 경우에 2(이상, 단위는 Mbps)이다. 신호세기가 -75dBm일 때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빠른 순서대로 801.11g, 801.11n(2.4GHz), 802.11b, 802.11a, 802.11n(5GHz), 802.11ac가 된다. 즉, 802.11ac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가장 느리며, 802.11g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가장 빠르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는 구비한 통신모듈의 속성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획득하고, 획득한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데이터 전송속도가 높은 AP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리스트를 참조하여 전자장치가 복수의 AP 중 가장 좋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AP를 식별하는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전자장치가 가장 좋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AP를 식별하기 위한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접속 가능한 복수의 AP 각각에 대해, 가장 좋은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전송모드를 식별한다. 이러한 식별 동작은 각 AP의 통신모듈의 속성에 대응하는 리스트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가 제1AP와 접속을 시도했을 때에 신호세기가 -60dBM이고, 전자장치 및 AP가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전송모드가 802.11b, 802.11g, 802.11a, 802.11n(2.4Hz), 802.11n(5GHz)인 경우를 고려한다. 앞선 도 5의 리스트(500)에 따르면, 각 전송모드에서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802.11b에서 9, 802.11g에서 46, 802.11a에서 51, 802.11n(2.4Hz)에서 55, 802.11n(5GHz)에서 88(이상 단위는 Mbps)이다. 이에, 전자장치는 제1AP에 대한 가장 좋은 데이터 전송모드는 802.11n(5GHz)라고 식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장치에 접속 가능한 제2AP, 제3AP, 제4AP에 대한 가장 좋은 데이터 전송모드를 식별하는 리스트(700)가 작성될 수 있다. 본 리스트(700)는 실시예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편의상 작성된 것으로서, 전자장치가 동작 중에 반드시 본 리스트(700)를 작성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리스트(700)는 네 AP 각각의 가장 빠른 전송속도를 나타낸다. 네 AP 중에서 가장 빠른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것은, 802.11n(5GHz)로 동작하는 제1AP이다. 반면에, 네 AP 중에서 가장 느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것은, 802.11g로 동작하는 제3AP이다.
이에,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네 AP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UI를 표시하되, 해당 UI에서 제1AP, 제2AP, 제4AP, 제3AP 순서대로 정렬하여 나타낸다. 또는, 전자장치는 네 AP 중에서 제1AP를 선택하고, 제1AP와 802.11n(5GHz)로 무선통신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한편, 전자장치는 본 리스트(700)와 같은 결과에 별도의 패러미터를 추가 반영하여 순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리스트(700)는 통신품질지수라는 패러미터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통신품질지수는 소정 AP의 통신 접속 상태에 관한 이력에 기초한, 해당 AP의 통신상태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통신품질지수는 AP의 통신 접속이 종종 끊기는 빈도 또는 끊겨 있는 총 시간에 반비례한다. 통신품질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AP와의 통신접속상태가 양호하다고 기대되며, 통신품질지수가 낮을수록 해당 AP와의 통신접속상태가 불량하다고 기대된다.
예를 들어 제1AP의 통신품질지수가 매우 낮고 제2AP의 통신품질지수가 매우 높다고 가정한다. 제1AP의 전송 성능이 가장 좋게 나타난다고 해도, 제1AP와의 통신 품질은 좋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제2AP의 전송 성능이 제1AP보다 낮다고 해도, 제2AP와의 통신 품질은 제1AP의 경우에 비해 안정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자장치는 각 AP의 전송 성능에 통신품질지수를 합하여, 전체적인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AP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전자장치가 복수의 AP 중에서 가장 데이터 전송속도가 높은 AP를 식별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전자장치가 복수의 AP 중에서 가장 데이터 전송속도가 높은 AP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동작은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81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접속 가능한 복수의 AP를 식별한다.
82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복수의 AP 중 최속의 전송모드가 식별되지 않은 AP의 신호세기를 식별한다.
83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해당 AP의 칩셋 속성에 대응하여, 식별된 신호세기에서 최속의 전송모드를 식별한다.
84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최속의 전송모드가 식별되지 않은 AP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최속의 전송모드가 식별되지 않은 AP가 존재하면, 전자장치는 820 단계로 이행한다.
최속의 전송모드가 식별되지 않은 AP가 존재하지 않으면, 즉 접속 가능한 모든 AP에 대해 최속의 전송모드가 식별되었으면, 85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각 AP 별 최속의 전송모드의 전송속도를 비교한다.
86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가장 빠른 전송속도 순서에 따라서 복수의 AP를 정렬한 UI를 표시한다.
87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UI를 통해 선택된 AP에 대해, 식별된 최속의 전송모드로 통신 접속한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의 동작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제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 내지는 인간 수준에 버금가는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 경험의 누적에 기반하여 인식률 및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학습 기술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의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요소 기술들은,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와 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 및 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차량의 자율 주행이나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적인 이해는 인간의 언어 또는 문자를 인식하고 응용 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의 처리, 기계 번역,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 및 합성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 및 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데이터의 생성 및 분류와 같은 지식 구축, 데이터의 활용과 같은 지식 관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USB 메모리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ROM, 플래시메모리, 메모리 칩,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100 : 전자장치
110, 120, 130 : 통신중계장치

Claims (18)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중계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된 통신회로와,
    상기 통신회로에 접속 가능하며, 주파수대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중계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복수의 중계장치 중에서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중계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파수대역과 상기 전송 성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 중계장치의 신호세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대역은 복수의 전송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중계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전송모드 중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각 전송모드에서의 전송 성능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칩셋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칩셋의 주파수대역 별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통신칩셋의 주파수대역 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 성능이 높은 중계장치를 다른 중계장치보다 우선적으로 접속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중계장치를 상기 전송 성능에 따른 순서대로 정렬하여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회로가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식별된 중계장치에 접속되도록 상기 통신회로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IEEE 802.11 규격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 전자장치.
  10.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에 접속 가능하며 주파수대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복수의 중계장치 중에서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중계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대역과 상기 전송 성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중계장치의 신호세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대역은 복수의 전송모드를 포함하며,
    복수의 중계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전송모드 중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각 전송모드에서의 전송 성능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통신칩셋의 주파수대역 별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통신칩셋의 주파수대역 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의 중계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성능이 높은 중계장치를 다른 중계장치보다 우선적으로 접속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계장치를 상기 전송 성능에 따른 순서대로 정렬하여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전자장치가 상기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식별된 중계장치에 접속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IEEE 802.11 규격에 기반하여 상기 중계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95451A 2019-08-06 2019-08-06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16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451A KR20210016955A (ko) 2019-08-06 2019-08-06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985,659 US11252657B2 (en) 2019-08-06 2020-08-05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451A KR20210016955A (ko) 2019-08-06 2019-08-06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955A true KR20210016955A (ko) 2021-02-17

Family

ID=7449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451A KR20210016955A (ko) 2019-08-06 2019-08-06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52657B2 (ko)
KR (1) KR20210016955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8929B2 (en) * 2001-09-28 2008-08-05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nd packet
US7813695B2 (en) * 2005-05-06 2010-10-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e assisted relay selec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5394882B2 (ja) * 2009-10-27 2014-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機及び受信方法
US9258692B2 (en) * 2012-03-30 2016-02-09 Qualcomm Incorporated Relay assisted peer discovery
KR101908032B1 (ko) * 2012-09-21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시스템에서 채널을 선택하는 중계기 및 그 방법
KR101851634B1 (ko) 2016-02-19 201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6773968B2 (ja) * 2016-08-31 2020-10-21 アイコム株式会社 マルチサイトトランキングシステム、およびサイト切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45053A1 (en) 2021-02-11
US11252657B2 (en)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060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887262B2 (en) Recommendations for extended reality systems
Gomes et al. Random forest classifier in SDN framework for user-based indoor localization
EP36480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object
KR102186547B1 (ko) 선택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0168530A (zh) 电子设备和操作该电子设备的方法
US10460258B2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edge device
CN109656827B (zh) 一种控件树生成方法和终端设备
EP3474517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8463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and program
CN106293404A (zh) 多屏幕共享显示画面的方法及通信终端
US20200110788A1 (en) Mediating method and device
US114301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019388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N108495284A (zh) 传感器连接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0819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cene builder
KR102545072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347805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1158881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608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image
KR20210016955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618990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7522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ukowski et al. Comprehensive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pproach.
EP380591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