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778A -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778A
KR20210016778A KR1020190094976A KR20190094976A KR20210016778A KR 20210016778 A KR20210016778 A KR 20210016778A KR 1020190094976 A KR1020190094976 A KR 1020190094976A KR 20190094976 A KR20190094976 A KR 20190094976A KR 20210016778 A KR20210016778 A KR 20210016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air
vinyl
arch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159B1 (ko
Inventor
양세진
김영애
Original Assignee
양세진
김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43192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01677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양세진, 김영애 filed Critical 양세진
Priority to KR102019009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159B1/ko
Priority to CN201910841770.1A priority patent/CN112314266A/zh
Priority to PCT/KR2020/009514 priority patent/WO2021025331A2/ko
Publication of KR2021001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2Lamellar or like bli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을 재배하는 내측하우스수단과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외측하우스수단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켜 내측하우스수단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한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인 바, 본 발명은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식물을 재배하는 내측하우스수단; 상기 내측하우스수단으로 외부 공기가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측하우스수단의 내부 온도를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공기를 이동시키는 외측하우스수단과; 상기 내측하우스수단과 외측하우스수단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가두거나 이동시키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Greenhouse with multi-stage venti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을 재배하는 내측하우스수단과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외측하우스수단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켜 내측하우스수단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한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일정한 간격으로 땅에 꽂혀진 아치형 파이프에 횡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한 프레임 구조체에 비닐을 씌워 구성토록 한 것으로, 화훼단지나 논, 밭 등에서 화초나 야채 등의 농작물, 식물 등을 대량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동식 비닐하우스는 아치형의 골조를 이용하여 복열로 인접되게 설치하고, 그 외부에 비닐을 씌워 실내 온도를 높이면서도 자연광을 최대한 이용하고, 부족한 열은 인위적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며 내부 식물의 원활한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비닐하우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온도 및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통풍 구조들을 구비하게 된다. 예를 들면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개폐기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의 일부를 개폐시키는 구조가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고가이며, 구조 자체가 복잡하여 사용 과정에서의 고장이 빈번하고 이로 인한 유지 보수 비용 또한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비닐하우스에 구비되는 환기 수단 중의 하나로 측면 윈도우를 설치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측면 윈도우를 구성하여 내부 환기를 시키는 구조의 경우 내부 가장자리에 있는 공기는 원활하게 환기시킬 수 있어도 비닐하우스 내부 상측 특히 지붕에 위치된 공기의 환기 효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가온된 공기가 비중이 낮아 상승하도록 하여 지붕에 환기창을 구비하여 이용하게 되는데, 그 일예로 비닐하우스 지붕에 환기창을 수직에 가깝게 형성한 다음 그 상부를 개폐하여 외부 기류의 흐름에 따라 바깥쪽 공기가 안쪽으로 또는 안쪽 공기가 바깥쪽으로 자연 통풍되도록 하고, 이러한 기류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교환하기 위하여 이러한 형태의 환기창을 복수개 설치하는 종류의 비닐하우스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직 구조 종류의 환기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는, 그 지붕의 구조 변경이 있어야 실시 가능하고 사용에 따른 유격 현상이 발생되어 번잡한 유지 보수를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에 구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통풍구를 원활하게 자동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 국내 실용신안 공개 실1996-035931호에 의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 환기창을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피할 수 없다.
한편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진보된 형태를 갖는 환기 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구조가 개시되고 있는바, 예컨대 국내 특허등록 제10-1375310호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가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유지를 위하여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면서 개폐되는 절첩환기창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절첩환기창이 비닐하우스의 크기 또는 작물의 재배조건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환기상태를 감안하여 일정한 크기로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적용이 가능토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절첩환기창이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설치 가능하면서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지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열림의 단속을 제한하면서도 누수의 우려도 없이 구현이 가능토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비닐하우스 프레임의 상방측에 별도로 날개 형상으로 활개 및 절첩 가능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 시공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설치 시공비의 절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절첩 구조물의 절첩 구동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요함은 물론, 오랜 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절첩 수단들의 오작동 또는 작동불능 상태에 이르게 될 경우 이에 대한 유지보수 및 그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와는 달리 다소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0-0439400호의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의 경우, 비닐하우스 천정의 일부를 터진 상태로 구성하여 언제나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통풍창을 형성하되, 상기 통풍창 상부에 덮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통풍창을 통하여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천정을 개방한 후 그 개방된 부분을 덮개부를 이용하여 활개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비닐하우스로 유입되거나 또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한 통풍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나, 덮개부를 인위적으로 들어올려 개방하거나 또는 닫혀지는 작업을 수작업에 의해 진행하게 되므로 통풍 조건을 이루기 위한 작업이 번거롭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실용신안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덮개부를 개폐시키는 것을 예상할 경우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국내 실용신안 공개 실1996-035931호의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11027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내측하우스수단의 온도를 외부온도보다 7℃ 이상 낮출 수 있어 여름철에도 하우스의 생산이 가능하며 겨울에는 보온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영하의 기온에서도 요구되는 식물의 성장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스의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이점과, 여름에는 자연환풍이 가능함으로 별도의 장비가 없이도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자연풍이 없을시 설치된 환풍시설이 자동가동됨으로써 내부에 공기를 강제로 환풍시킴으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식물을 재배하는 내측하우스수단과; 상기 내측하우스수단으로 외부 공기가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측하우스수단의 내부 온도를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공기를 이동시키는 외측하우스수단과; 상기 내측하우스수단과 외측하우스수단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가두거나 이동시키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내측하우스수단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와; 상기 비닐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햇빛을 반사시키는 단열수단과; 내측으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스크린부재와 또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외측하우스수단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폐쇄면을 다른 일측면은 개방면을 형성하고 폐쇄면에는 출입가능한 도어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부를 구비한 제1하우수부와; 상기 제1하우수부의 개방면 측면보다 폭은 동일하고 높이가 제1하우수부보다 높게 이루어진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에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공이 더 형성되며 일측면에 출입가능한 도어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공을 구비한 제2하우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외측하우스수단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폐쇄면을 다른 일측면은 개방면을 형성하고 폐쇄면에는 출입가능한 도어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부를 구비한 제1하우수부와; 상기 제1하우수부의 개방면 측면과 폭은 동일하고 높이가 제1하우수부보다 높게 이루어진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에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공이 더 형성되며 일측면에 출입가능한 도어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공을 구비한 제3하우수부와; 상기 제1하우스부재와 제3하우수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제1하우수부재의 측면 폭과 동일하고 높이가 제1하우수부보다 높게 제3하우수부재 보다는 낮게 형성되는 단턱부에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공이 구비된 제2하우수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단열수단은 부직포, 직포, 시트 중 어느 하나에 햇볕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내측하우스수단의 내측에 송풍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내측하우스수단 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을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배출통공과 에어조절공에는 공기의 흐름을 개방 및 차단하는 창문도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공간부를 일정한 비율로 등분하는 공간분할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공간분할수단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내측하우스수단의 온도를 외부온도보다 7℃ 이상 낮출 수 있어 여름철에도 하우스의 생산이 가능하며 겨울에는 보온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영하의 기온에서도 요구되는 식물의 성장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스의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이점과, 여름에는 자연환풍이 가능함으로 별도의 장비가 없이도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자연풍이 없을시 설치된 환풍시설이 자동가동됨으로써 내부에 공기를 강제로 환풍시킴으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내측하우스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내측하우스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의 외부공기의 인입과 내부공기 배출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공간부의 온도조절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내측하우스수단의 온도조절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인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1)의 구조는 식물을 재배하는 내측하우스수단(10)과 상기 내측하우스수단(10)으로 외부 공기가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측하우스수단(10)의 내부 온도를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공기를 차단시키는 외측하우스수단(20)으로 대별 구성한다. 한편 상기 내측하우스수단(10)과 외측하우스수단(20)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가두거나 이동시키는 공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내측하우스수단(10)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파이프 형태를 갖으며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11)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11)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여 쓰러짐을 방지하면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수평연결프레임(12)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11)을 덮어씌워 내부와 내부를 구회하면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과 외부공기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식물이 성장하는 장소를 구획하기 위해 비닐부재(13)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비닐부재(13)의 외측으로는 햇빛을 반사시키는 첨부도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수단(14)이 설치된다. 상기 단열수단(14)의 구조는 햇볕을 흡수할 수 있는 부직포, 직포, 시트 중 어느 하나인 흡수시트(14a)에 햇볕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14b)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2중 구조로 제조하는 이유는 햇살이 많은 하절기시에는 반사시트(14b)를 이용하여 하우스 내부로 들어오는 햇볕을 반사시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서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함이고 동절기시에는 일조량이 적어 하우스 내부로 들어오는 햇살을 흡수시트(14a)를 이용하여 햇빛을 흡수하여 내부 온도를 올리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작업자가 식물을 재배하는 장소를 출입할 수 있는 스크린부재와 또는 도어(15)가 아치형골조프레임(11) 측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스크린부재는 직포 또는 부직포 및 매쉬망 형태의 원단에 자석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구조이거나 상기 도어(15)는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의 것이다.
상기 내측하우스수단(10)의 상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내측하우스수단(10)의 내측 공기를 외부로 강제 이송시키는 송풍수단(16)을 설치하여 대류에 의한 공기 순환을 강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어(15)가 설치된 양 측면에 공기흐름창(17)을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흐름창(17)은 외부 공기를 내측하우스수단(10)으로 도어(15)를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측하우스수단(20)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21)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21)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22)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21)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23)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폐쇄면을 다른 일측면은 개방면을 형성하고 폐쇄면에는 출입가능한 도어(25)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부(26)를 구비한 제1하우수부(20A)와 상기 제1하우수부(20A)의 개방면 측면보다 폭은 동일하고 높이가 제1하우수부(20A)보다 높게 이루어진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에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공(27)이 더 형성되며 일측면에 출입가능한 도어(25a)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부(26a)를 구비한 제2하우수부(20B)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하우스수단(20)을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21)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21)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22)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21)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23)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폐쇄면을 다른 일측면은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져 출입가능한 도어(25)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부(26)를 구비한 제1하우수부(20A)와 상기 제1하우수부(20A)의 개방면 측면과 폭은 동일하고 높이가 제1하우수부(20A)보다 높게 이루어진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에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공(27a)이 더 형성되며 일측면에 출입가능한 도어(25a)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부(26a)를 구비한 제3하우수부와 상기 제1하우스부(20A)와 제2하우수부(20B) 사이에 설치되며 제1하우수부(20A)의 측면 폭과 동일하고 높이가 제1하우수부(20A)보다 높게 제2하우수부(20B) 보다는 낮게 형성되는 단턱부에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공(27a)이 구비된 제2하우수부(20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변경하여 2단 내지 3단으로 외측하우스수단(20)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출입가능한 도어(25)(25a)는 힌지 회동하는 통상의 출입문이며 상기 배출통공(27)과 에어조절부(26)(26a)에는 공기의 흐름을 개방 및 차단하는 창문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문도어는 미닫이 여닫이 또는 상부에 힌지가 설치되어 있어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하는 형태의 문짝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어조절부(26)(26a)는 외측하우스수단(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대류에 의해 외측하우스수단(2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바람의 방향에 따라 에어조절부(26)(26a) 및 배출통공(27)은, 개방 및 폐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측하우스수단(10)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으면 외측공기가 내측하우스수단(10)의 내부에도 공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공(27)은 에어조절부(26)(26a)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들어오면 내부에 잔류하는 따뜻한 공기를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통공이다. 상기 내측하우스수단(10)과 외측하우스수단(20)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가두거나 이동시키는 공간부(30)는 동절기시에는 내측하우스수단(10)이 외측면이 추위에 차가워진 외부공기와 직접 마찰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며 또한 외부공기와 식물을 재배하는 내부 공기의 중간에 완충구역을 형성시켜 외부는 냉각 중간의 공간부는 중간온도 내측하우스수단의 온도는 외부의 온도보다 상승된 고온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30)를 일정한 비율로 등분하는 공간분할수단(40)을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분할수단(40)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41)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42)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4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공간분할수단은 공간부를 2개 층으로 분할하여 단열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는 하절시 사용과 동절기 사용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절기 때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1)의 사용 예는 햇볕이 강한 하절기 때에는 먼저 내측하우스수단(10)의 대지에 작물을 심고 재배할 때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하우스수단(10)의 양측에 설치된 스크린부재 또는 도어(15)를 개방하여 오픈시키면 내측하우스수단(10)의 양측면이 오픈된 상태가 된다.
이때 외측하우스수단(20)의 에어조절부(26)의 차단하고 있는 창문도어를 개방하면 일정한 온도로 더워진 외부 공기가 에어조절부(26)를 통해 유입되면서 그대로 내측하우스수단(10)으로 공급하여 환기시킨다. 물론 바람직 약할 때에는 도어(25)를 개방시키거나 도어(25)와 에어조절부(26) 모두를 바람의 흐름에 따라서 개방시킬 수 있다.
따듯한 온도의 외부 공기가 공급되면 스크린부재 또는 도어(15)를 닫아 내측하우스수단(1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키면 내측하우스수단(10)의 내부공기 온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한 범위로 점차적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 이유는 내측하우스수단(10)의 외표면에는 단열수단(14)이 설치되어 있어 햇볕이 차단된 상태가 됨으로 내측하우스수단(10)의 내부공기 온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한 범위로 점차적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단열수단(14)의 반사시트(14b)에 의해 반사된 햇볕과 외측하우스수단(20)으로 입사되어 들어온 햇볕에 의해 공간부(30)의 공기가 데워지게 되며 외측하우스수단(20)의 공기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낮게 유지된다.
상기 공간부(30)의 온도가 비닐하우스의 바깥 온도보다 낮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유는 첨부도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조절부(26)에 구비된 창문도어를 개방하면 에어조절부(26)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들어온 공기는 공간부(30)를 채우게 되고 상기 에어조절부(26)로 들어온 공기는 공간부(30)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를 상부로 밀어올려 이동시키면 대류현상에 의해 이동된 공기는 창문도어를 개방해 놓은 배출통공(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또는 온도 조절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하우스수단(10)의 온도는 외부온도보다 7℃ 이상 낮추어져 여름철에도 별도의 냉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자연환풍이 가능함으로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를 조절할 수 있어 하우스의 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자연풍이 없을시 설치된 송풍수단(16)이 자동가동됨으로써 내부에 공기를 강제로 환풍시킴으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동절기 때 비닐하우스의 사용 예는 햇볕의 일조량이 하절기보다 적으므로 단열수단(14)의 반사시트(14b)가 하부로 놓여지도록 단열수단(14)을 뒤집으면 반사시트(14b)와 부착되어 있는 부직포, 직포, 시트 중 어느 하나인 흡수시트(14a)에 의하여 햇볕이 흡수되어 주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단열수단(14)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동절기시에는 단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투과되어 들어오는 햇볕을 그대로 내측하우스수단으로 투과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간부(30)의 온도가 상승되면 내측하우스수단(10)의 주변온도가 상승되며 이때 스크린부재 또는 도어(15)를 개방하여 따듯하게 데워진 온도를 갖는 공기를 내측하우스수단(10)의 내측으로 유입시킨다. 한편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조절부(26)와 배출통공(27)의 도어를 닫아 공기를 유입을 차단시킨다.
겨울에는 보온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영하의 기온에서도 요구되는 식물의 성장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스의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이점과, 또한 자연풍이 없을시 설치된 환풍시설이 자동 가동됨으로써 내부에 공기를 강제로 환풍시킴으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물론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위해 단열수단을 일정한 시간동안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 :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10 : 내측하우스수단 11 : 아치형골조프레임
12 : 수평연결프레임 13 : 비닐부재
14 : 단열수단 14a : 흡수시트
14b : 반사시트 15 : 도어
16 : 송풍수단 17 : 공기흐름창
20 : 외측하우스수단 20A : 제1하우수부
20B : 제2하우수부 21 : 아치형골조프레임
22 : 수평연결프레임 23 : 비닐부재
25,25a : 도어 26,26a : 에어조절부
2727a : 배출통공 30 : 공간부
40 : 공간분할수단 41 : 아치형골조프레임
42 : 수평연결프레임 43 : 비닐부재

Claims (9)

  1.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식물을 재배하는 내측하우스수단과;
    상기 내측하우스수단으로 외부 공기가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측하우스수단의 내부 온도를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공기를 이동시키는 외측하우스수단과;
    상기 내측하우스수단과 외측하우스수단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가두거나 이동시키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하우스수단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와;
    상기 비닐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햇빛을 반사시키는 단열수단과;
    작업자가 식물을 재배하는 장소를 출입할 수 있는 스크린부재와 또는 도어가 아치형골조프레임 측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하우스수단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폐쇄면을 다른 일측면은 개방면을 형성하고 폐쇄면에는 출입가능한 도어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부를 구비한 제1하우수부와;
    상기 제1하우수부의 개방면 측면보다 폭은 동일하고 높이가 제1하우수부보다 높게 이루어진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에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공이 더 형성되며 일측면에 출입가능한 도어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공을 구비한 제2하우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하우스수단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폐쇄면을 다른 일측면은 개방면을 형성하고 폐쇄면에는 출입가능한 도어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부를 구비한 제1하우수부와;
    상기 제1하우수부의 개방면 측면과 폭은 동일하고 높이가 제1하우수부보다 높게 이루어진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에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공이 더 형성되며 일측면에 출입가능한 도어와 외부공기가 이동가능하게 열고 닫치는 에어조절공을 구비한 제3하우수부와;
    상기 제1하우스부재와 제3하우수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제1하우수부재의 측면 폭과 동일하고 높이가 제1하우수부보다 높게 제3하우수부재 보다는 낮게 형성되는 단턱부에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공이 구비된 제2하우수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수단은 부직포, 직포, 시트로 이루어진 흡수시트에 햇볕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하우스수단의 내측에 송풍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내측하우스수단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을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공과 에어조절공에는 공기의 흐름을 개방 및 차단하는 창문도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일정한 비율로 등분하는 공간분할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할수단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상의 아치형골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들의 양측면을 따라 수평상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과;
    상기 아치형골조프레임을 덮어씌워 설치된 비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KR1020190094976A 2019-08-05 2019-08-05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KR10237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76A KR102376159B1 (ko) 2019-08-05 2019-08-05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CN201910841770.1A CN112314266A (zh) 2019-08-05 2019-09-06 配备多段通风结构的塑料大棚
PCT/KR2020/009514 WO2021025331A2 (ko) 2019-08-05 2020-07-20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76A KR102376159B1 (ko) 2019-08-05 2019-08-05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78A true KR20210016778A (ko) 2021-02-17
KR102376159B1 KR102376159B1 (ko) 2022-03-18

Family

ID=7431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976A KR102376159B1 (ko) 2019-08-05 2019-08-05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76159B1 (ko)
CN (1) CN112314266A (ko)
WO (1) WO20210253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7482A (zh) * 2021-11-03 2022-03-01 山东艾维农业科技有限公司 被动式日光温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883A (ko) * 2000-10-16 2001-02-05 윤건모 환기 및 단열수단을 구비한 농작물 재배사
KR20030093606A (ko) * 2002-06-03 2003-12-11 반채연 수막필름
KR101911027B1 (ko) 2017-05-12 2018-10-24 권수현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9814B2 (ja) * 2008-04-09 2013-09-11 フルタ電機株式会社 ハウスの送風及び/又は換気方法
KR101378226B1 (ko) * 2009-12-15 2014-03-27 공번아 다층 온실 시스템
KR101172269B1 (ko) * 2010-05-04 2012-08-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비닐하우스의 광투과율 저하를 막기 위한 수막재배장치 및 방법
CN103155825A (zh) * 2011-12-16 2013-06-19 詹文圆 一种简易控温食用菌温室大棚设计方法
CN202979786U (zh) * 2012-10-30 2013-06-12 平泉县瀑河源食品有限公司 一种温室大棚
CN105052614B (zh) * 2015-07-21 2017-10-10 江苏丘陵地区镇江农业科学研究所 一种两连栋三层保温草莓大棚及应用
KR101818335B1 (ko) * 2016-04-25 2018-02-21 황보기만 이중 작물 하우스의 온습 공급시스템
CN205830563U (zh) * 2016-06-23 2016-12-28 湖北裕国菇业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控制双拱温室大棚
CN208113504U (zh) * 2018-02-06 2018-11-20 衢州市柯城区柴家柑桔专业合作社 双屋面温室大棚
CN208387424U (zh) * 2018-06-29 2019-01-18 广州东升农场有限公司 一种双层保温通风大棚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883A (ko) * 2000-10-16 2001-02-05 윤건모 환기 및 단열수단을 구비한 농작물 재배사
KR20030093606A (ko) * 2002-06-03 2003-12-11 반채연 수막필름
KR101911027B1 (ko) 2017-05-12 2018-10-24 권수현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14266A (zh) 2021-02-05
WO2021025331A2 (ko) 2021-02-11
KR102376159B1 (ko) 2022-03-18
WO2021025331A3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641B1 (en) Solar heat absorbing and distributing system
CN105257179B (zh) 蓄热型绿植节能窗
KR101911027B1 (ko)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KR101892913B1 (ko) 스마트 버섯재배사
CN201567700U (zh) 龙骨通风式双层玻璃幕墙
KR101062187B1 (ko) 하이브리드 파사드 시스템 및 건물의 실내공기 제어방법
US20100009619A1 (en) Window with a ventilation device
CN105830819B (zh) 一种湿帘风机正压通风循环降温系统及其分段降温方法
US4979331A (en) Hothouse for cultivation
US4141498A (en) Combination structure and greenhouse utilizing indirect solar energy
FI125104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atilan tuotantorakennuksen ikkunajärjestelyssä
KR101377218B1 (ko) 터널형 온실
KR20150025436A (ko) 이중 피복 온실
KR102376159B1 (ko)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KR0156292B1 (ko) 계사의 환기와 온도를 자동 조절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9134A (ko) 온실
KR200487259Y1 (ko)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
KR100396028B1 (ko) 자갈축열 태양열 온실
CN101356338A (zh) 通风门
KR20210034234A (ko) 비닐 하우스용 다단 골조 프레임 결합 구조
KR101913626B1 (ko) 고온건조기후형 저에너지건축물
JP2018080904A (ja) 都市型パッシブデザイン
KR101589979B1 (ko) 친환경 주택
CN219656232U (zh) 复合通风系统
Guyer et al. An introduction to natural ventilation for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