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756A - Automatic pumping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pump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756A
KR20210016756A KR1020190094928A KR20190094928A KR20210016756A KR 20210016756 A KR20210016756 A KR 20210016756A KR 1020190094928 A KR1020190094928 A KR 1020190094928A KR 20190094928 A KR20190094928 A KR 20190094928A KR 20210016756 A KR20210016756 A KR 20210016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bag
medicine
moving
unit
disp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4329B1 (en
Inventor
손인수
서상우
김영재
서한교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329B1/en
Publication of KR2021001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3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ill discharging apparatus comprising: a storage portion for storing medicine packets extending continuously; a body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djacent to the storage portion,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which is cut to discharge pills from the front thereof; a movement portion which is inserted inside the body portion to move the medicine packets downward; a cutt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side the body portion to cut the medicine packet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withdrawal portion for discharging the pills inside the medicine packets which are cut in the cutting portion, wherein the withdrawal portion comprises a pair of rollers and a gap at the opposite point of the pair of rollers, the medicine packets moving downward through the movement portion are inserted from the middle of the pair of rollers and at the same tim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cutting portion, and the pill are discharged by inducing the medicine packets to fall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nience is increased.

Description

알약 자동 배출 장치 {AUTOMATIC PUMPING DEVICE}Automatic tablet ejection device {AUTOMATIC PUMPING DEVICE}

본 발명은 알약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를 보관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인접하되, 전방에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디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약봉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약봉지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컷팅부로부터 절단된 약봉지 내부의 약이 배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인출부는 한 쌍의 롤러와 이와 반대 지점에 틈새부를 구비하여 약봉지 내부의 약을 배출함과 동시에 빈 약봉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ill discharge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dicine bag continuously extended, the body unit adjacent to the storage unit, but equipped with a cut outlet so that the medicine can be discharged in the front, inserted into the body unit, and moving to move the medicine bag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art and the body part, and includes a cutting part for cutting the medicine bag and a draw-out part for discharging the medicine inside the medicine bag cut from the cutting part. At the same time as the medicine is discharged, the empty medicine bag is moved to the rear.

현대인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또는 몸매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약을 복용하고,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Modern people take various kinds of drugs to cure diseases or to manage their body or health, and are often taken for a long time.

일반적으로 약국이나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처방해주는 약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약봉지에 담겨진 후 밀봉된 상태로 환자에게 제공된다.Generally, drugs prescribed to patients in pharmacies or hospitals are supplied to patients in a sealed state after being enclosed in a continuously connected medicine bag.

대부분의 약은 복용 시각이 정해져 있으며, 또한 병의 종류와 증상에 따라 약의 정류, 복용 시간, 복용량이 각각 다르다.Most of the drugs have a fixed time of administration, and the rectification, administration time, and dosage of the drug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and symptoms of the disease.

따라서, 환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아침, 점심, 저녁의 식사 전 또는 식사 후와 같이 구분되는 약복용 시각에 따라 약봉지 상부에 표시된 절취선을 절단하여 약을 꺼낸 후 복용한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patient to take the medicine, the perforation line marked on the upper part of the medicine bag is cut according to the divided dosage time such as breakfast, lunch, and dinner before or after meals to take the medicine out.

그러나, 사회활동을 하는 환자들,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 치매에 걸린 노인, 장기 혈압환자 및 당뇨 환자들의 경우, 약을 복용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약을 제 때에 복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ocially active patients, long-term medications, the elderly with dementia, long-term blood pressure patients, and diabetes patien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take the medication in time unless they pay attention to taking the medication. .

즉, 환자들은 정해진 시각에 정해진 약을 복용하여야 하나, 약 복용 시각을 지나치거나, 약복용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여 한번 더 먹는 실수를 하는 경우가 있다.In other words, patients have to take the prescribed medicine at a fixed time, but there are cases where they miss the time of taking the medicine or make a mistake of taking it again because they do not remember the fact of taking the medicine.

이러한 실수는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만성질환자나, 노인들에게 주로 일어나기 쉽다. 뿐만 아니라, 현재 시대는 핵가족 시대로 일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경우 자기 행위에 대한 확신이 결여되어 있어 보호자나 간병인이 약 복용 행위를 모니터링 해주어야 한다.These mistakes are most likely to occur in chronically ill or elderly people who take long-term medications.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the current era is the nuclear family era, and as the elderly lack confidence in their behavior, a guardian or caregiver must monitor the drug-taking behavior.

이와 같이, 환자들이 약복용을 제 시간에 맞게 복용하지 못하여 버려지는 약들이 한 해에 수십 억에 이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치료 효과가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크게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As such, the number of discarded drugs is reaching billions a year due to the inability of patients to take the drugs in time,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erapeutic effect of patients taking drugs is greatly halved at the national and social level.

이로 인해, 약을 장기간 복용하는 환자들을 위해 처방받은 약의 관리 및 복용의 관리가 가능한 장치 및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device and a system capable of managing and administering prescribed drugs for patients who take drugs for a long time.

KR 10-2009-0121265 AKR 10-2009-0121265 A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를 절단하여 약만 배출시켜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환자 및 간호사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약봉지를 보관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인접하되, 전방에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디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약봉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약봉지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컷팅부로부터 절단된 약봉지 내부의 약이 배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인출부는 한 쌍의 롤러와 이와 반대 지점에 틈새부를 구비하여 약봉지 내부의 약을 배출함과 동시에 빈 약봉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onvenience to patients and nurses who take medicine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cutting only the medicine by cutting the medicine bag continuously extended, and the medicine is adjacent to the storage unit and the storage unit to store the medicine bag. The body part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cut to be discharged, inserted into the body part, the moving part moving the medicine bag, inserted into the body part, the cutting part for cutting the medicine bag and the medicine inside the medicine bag cut from the cutting part Including the discharged withdrawal portion, the withdraw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llers and a gap at the opposite point to discharge the medicine inside the medicine bag and at the same time move the empty medicine bag to the re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약 자동 배출장치는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를 보관하는 저장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저장부에 인접하되, 전방에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약봉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약봉지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상기 컷팅부로부터 절단된 상기 약봉지의 내부에 약이 배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와 동일선상에서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약봉지는 한 쌍의 상기 롤러 사이에 삽입되고, 전방에 약을 배출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pill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ontinuously extended medicine bag; A body part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djacent to the storage part,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cut to allow the medicine to be discharged in the front; A moving part inserted into the body part and moving the medicine bag; A cutting part inserted into the body part to cut the medicine bag; And a lead-out portion for discharging the medicine into the inside of the medicine bag cut from the cutting portion, wherein the lead-out portion includes a pair of rollers on the same line with the moving portion based o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medicine bag is a pair It is inserted between the rollers of, and is moved to the rear while discharging the drug in the front.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의 전방에 인접하되, 상기 약봉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1 저장부의 일측에서 상기 약봉지를 넣을 수 있는 미닫이 형상의 개폐부;를 구비하되, 상기 개폐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약봉지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storage unit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first storage unit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erein so that the medicine bag can be moved; And a sliding door-shaped opening and closing unit through which the medicine bag can be inserted at one side of the first storage unit, wherein the opening/closing un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number of medicine bags stored therein can be check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되되, 각각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는 마주보고, 각각의 롤러들이 회전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후방에 스프링이 결합되되, 상기 제2 이동부와 맞닿아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2 이동부를 가압하여 가운데 삽입된 상기 약봉지를 하부로 이동시킨다.The mo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v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each having a roller; And a second moving part; wherein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face each other, and each of the rollers rotates, and the first moving part has a spring coupled to the rear thereof, and the second moving part and When rotat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moving part is pressed to move the medicine bag inserted in the center down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컷팅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넬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 삽입되는 각각의 절단날; 한 쌍으로, 상기 본체부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나사부; 및 한 쌍의 상기 나사부를 관통하는 각각의 스크류부;를 구비하되, 상기 나사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스크류부가 회전할 경우, 상기 나사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The cu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el-shaped body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Each cutting blad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s a pair, a ring-shaped screw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portion; And each screw portion penetrating the pair of screw portions, wherein a screw threa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w portion so that when the pair of screw portions rotates, the body portion reciprocates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screw portio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단날은, 상부에서 볼 때, 외부를 향하여 열려져 있는 알파벳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을 가진다.The cutt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alphabetic V-shape that is open toward the outside when viewed from above, and has a cross-section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출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회전 롤러부; 상기 회전 롤러부의 하부에서 인접하여 결합되는 각도 롤러부; 상기 각도 롤러부의 하부에서 위치되되, 경사를 지니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벽부;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배출구와 맞닿는다.The withdrawa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otating roller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 angle roller portion adjacent to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roller portion; A moving plate positioned below the angle roller part and having an inclination; And wall portion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ovable plate, wherein an end of the movable plate abuts the outl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 롤러부는, 상기 회전 롤러부와 반대되는 지점에서 중공부의 틈새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 롤러부 사이에 상기 약봉지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 롤러부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약봉지가 상기 틈새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ular roller part includes a gap part of the hollow part at a point opposite to the rotation roller part, but when the medicine bag is positioned between the rotation roller part, the rotation roller part rotates , The medicine bag is moved rearward through the g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출부의 후방에 인접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기 틈새부를 통과하는 상기 약봉지가 누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ing unit adjacent to the rear of the withdrawal un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processing unit accumulates the medicine bags passing through the g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서 관통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부를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Th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penetrat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processing portion may be separated and coupl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by using the handl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기 설정된 환자의 약복용 시간 마다 소리 또는 빛으로 출력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unit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d a speaker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alarm unit may output sound or light at each preset patient's medication use time.

본 발명의 알약 자동 배출 장치에 의하면 개폐부를 제1 저장부로부터 개폐하기 위해서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아닌 미닫이 형상으로 어린 아이와 같이 분별이 미숙한 객층에게 손쉽게 열람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약 복용 오남용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handle in order to open and close from the first storage unit, but is formed in a sliding door shape so that it is not easily accessible to undisciplined audiences such as small childre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또한,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을 가지는 스프링부를 구비한 제1 이동부가 제2 이동부를 향하여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사이에 삽입된 약봉지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ving portion having a spring portion having a push force by an elastic force applies a predetermined force toward the second moving portion to induce the medicine bag inserted between the first moving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portion to be moved downward. It works.

또한, 절단날의 알파벳 'V'자 형상에 의해 일반적으로 얇은 종이 재질을 가지는 약봉지의 휘어지는 반경까지 칼날을 보유하므로 약봉지의 절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ade is held up to the bending radius of the medicine bag having a generally thin paper material by the shape of the letter'V' of the cutting blad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utting rate of the medicine bag.

또한, 본체부의 양측면에서 절단날이 삽입되므로, 일방향에서만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왕복 운동하면서 약봉지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tting blades are inser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he medicine bag can be cut while reciprocating, not only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device is increased.

또한, 매 끼니마다 약복용을 위해 발생되는 쓰레기 처리를 환자의 편의대로 한 번에 처리부를 바디부로부터 분리 및 체결 작업으로 처리가 가능하여 약복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aking medicine by separating and fastening the treatment unit from the body at one time at the convenience of the patient at the disposal of garbage generated for drug use at each me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장치의 저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컷팅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이동부 및 컷팅부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인출부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인출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처리부의 사시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pill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unit of the automatic pill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part of the automatic pill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tting unit of the automatic pill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use of the moving part and the cutting part of the automatic tablet e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embodiment of the use of the withdrawal portion of the automatic tablet e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ithdrawal part of the automatic pill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unit of the automatic pill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refor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in which the reci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또한,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이란, 길이 방향과 폭방향이 동시에 수직하는 방향이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약이 배출되는 바디부(200)의 배출구(220) 방향과 가까운 쪽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배출구(220)와 가장 먼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definitions of terms used are as follows. "Length direction" refers to the x-axis direction based on FIG. 1, and "width direction" refers to the y-axis direction based on FIG. 1, and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re both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be. In addition, "inside" means a side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of the same member. In addition, "front" means a side close to the direction of the outlet 220 of the body part 200 from which the medicine is discharged, and "rear" means the direction farthest from the outlet 220. In addition, "upper part" means an upward direction from a vertical direction, and "lower part" means a downward direction from a vertical dire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알약 자동 배출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pi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알약 자동 배출 장치는 저장부(100), 바디부(200), 이동부(300), 컷팅부(400), 인출부(500) 및 처리부(600)를 포함한다.The automatic pill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100, a body unit 200, a moving unit 300, a cutting unit 400, a drawing unit 500, and a processing unit 600.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저장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orage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저장부(100)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1 저장부(110), 제2 저장부(120), 이동 롤러부(130) 및 개폐부(140)로 구비된다.The storage unit 1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110, a second storage unit 120, a moving roller unit 130, and an opening/closing unit 140.

제1 저장부(110)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내부에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10)가 수용된다.The first storage unit 110 has a shape having a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medicine bag 10 continuously extending therein is accommodated.

또한, 제1 저장부(11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면에서 제1 저장부(110)를 밀폐하도록 미닫이 형상의 개폐부(140)가 삽입 및 결합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first storage unit 110 is preferably mad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ade of plastic or synthetic resin, and a sliding door-shaped opening and closing unit 140 is inserted and coupled to seal the first storage unit 110 from one side. do.

이에 따라, 개폐부(140)를 제1 저장부(110)로부터 개폐하기 위해서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아닌 미닫이 형상으로 어린 아이와 같이 분별이 미숙한 객층에게 손쉽게 열람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약 복용 오남용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40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10, it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handle, but a sliding door shape that is formed so that it cannot be easily accessed by undisciplined audiences such as young children.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또한, 개폐부(140)의 재질은 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제1 저장부(110) 내부에 수용된 약봉지(10)를 수시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에게 약 처방 시점을 인지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4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medicine bag 10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0 can be checked at any time, so that patients who take the medicine for a long time can recognize the time of drug prescription. There is an advantage.

제2 저장부(120)는 제1 저장부(110)의 상부에서 소정의 길이만 연장 형성된다.The second storage unit 120 is formed to extend only a predetermined length above the first storage unit 110.

이때, 제2 저장부(120)의 하면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S)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unit 12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 having an inclination that increases in height toward the front.

따라서, 제1 저장부(110)에 수용된 약봉지(10)가 제2 저장부(12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후술할 바디부(200)로 진입될 때, 제2 저장부(120)에 형성된 경사면(S)으로 인해 이동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medicine bag 10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0 is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storage unit 120 and enters the body 2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form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20. There is an advantage of smooth movement due to the inclined surface (S).

또한, 제2 저장부(120)의 전방에는 소정의 길이만 절삭되어 약봉지(10)가 인출될 수 있고, 롤러가 구비되어 약봉지(10)가 인출될 때, 제2 저장부(120)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only a predetermined length is cut in front of the second storage unit 120 so that the medicine bag 10 can be withdrawn, and when the medicine bag 10 is withdrawn by a roller, friction with the second storage unit 120 Can be reduced.

약봉지(10)는 제2 저장부(120)에서 인출되어 인접된 바디부(200)의 내측을 향하여 진입된다.The medicine bag 10 is withdrawn from the second storage unit 120 and enters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adjacent body unit 200.

바디부(200)는 제2 저장부(120)의 하부와 맞닿고, 제1 저장부(110)의 전방의 면과 맞닿도록 인접하여 결합된다.The body part 200 abuts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torage part 120 and is adjacently coupled to abu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torage part 110.

바디부(200)의 내측면은 후술할 이동부(300), 컷팅부(400), 인출부(500) 및 처리부(600)가 수용되도록 중공부를 지니며, 상면은 약봉지(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한다.The inner side of the body part 200 has a hollow part to accommodate the moving part 300, the cutting part 400, the drawing part 500, and the processing par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upper surface is to accommodate the medicine bag 10. It is provided with a groove to be able to.

또한, 바디부(200)의 전방에는 손가락 두 개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삭된 배출구(2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in front of the body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n outlet 220 cut to a size such that two fingers can be inserted.

따라서, 바디부(200)의 전방에서 배출구(200)를 통해 약봉지(10) 내부의 포장된 약이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ckaged medicine inside the medicine bag 1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0 in front of the body part 200.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성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이동부(300)는 바디부(200) 상면에서 내측에 결합되는 제1 이동부(310) 및 제2 이동부(320)로 구비된다.The moving part 300 is provided with a first moving part 310 and a second moving part 320 that are coupled to the insi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200.

제1 이동부(320) 및 제2 이동부(320)는 동일한 형상으로, 마주보며 위치하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이동부(320)로만 설명하도록 한다.Since the first moving unit 320 and the second moving unit 320 have the same shape and are located facing each other, only the first moving unit 320 will be described to prevent overlapping descriptions.

제1 이동부(310)는 결합부(311), 본체부(312), 롤러부(313) 및 스프링부(314)로 구비된다.The first moving part 3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311, a main body part 312, a roller part 313, and a spring part 314.

결합부(311)는 바디부(200) 상면에서 알파벳 'T' 형상으로 결합되고, 결합부(311) 하부에 본체부(312)가 결합된다.The coupling portion 311 is coupled in an alphabetic'T'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31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311.

본체부(312)는 롤러부(31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이 구비되고, 롤러부(313)의 절반만을 수용한다.The body part 312 is provided with a shaft so that the roller part 313 can rotate, and accommodates only half of the roller part 313.

따라서, 수용되지 않는 방향에서 각각의 롤러부(313),(323)가 마주보고 회전하고, 각각의 롤러부(313),(323) 사이에 약봉지(10)가 삽입된다(도 3 참조).Therefore, in the direction not accommodated, each of the roller portions 313 and 323 rotate to face each other, and the medicine bag 10 is inserted between the respective roller portions 313 and 323 (see FIG. 3 ).

이에,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롤러부(313),(323)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된다.Thu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motor for driving each of the roller units 313 and 323 is provided.

이때, 제2 이동부(320)의 일측에는 인코더부(32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encoder unit 32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moving unit 320.

인코더부(324)는 공지된 회전각 변위를 측정하는 인코더의 종류인 로터리 인코더로 구현될 수 있고, 회전되는 축에 고정하여 회전각이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The encoder unit 324 may be implemented as a rotary encoder, which is a type of encoder that measures a known rotation angle displacement, and is fixed to a rotating shaft and used to measure a rotation angle or rotation speed.

이에 본 발명에서 인코더부(324)는 모터 축의 전환 및 회전을 추적해 위치 및 움직임에 대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지름이 6cm 인 인코더의 회전수 측정 구멍이 30도 당 1칸씩 배치됨을 가정하면, 각도를 계산하여 롤러가 회전하며 칸 당 이격되는 거리가 계산된다. 따라서, 약봉지(10)가 후술할 인출부(500)까지 도달하는 길이를 6cm 라고 가정했을 때, 인코더의 회전되는 칸수가 4칸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코더부(324)를 이용하여 이동부(300)에서 후술할 인출부(500)까지 약봉지(10)가 이동되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oder unit 324 may generate digital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movement by tracking the conversion and rotation of the motor shaft.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hole of the encoder with a roller diameter of 6cm is arranged at one space per 30 degrees, the distance that the roller rotates and spaced apart per spac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ngle. Therefore, assuming that the length of the medicine bag 10 to the withdrawal part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6 cm,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rotating cells of the encoder is 4 cells. In this way, the distance at which the medicine bag 10 is moved from the moving unit 300 to the draw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djusted using the encoder unit 324.

또한, 제1 이동부(310)의 후방에는 스프링부(314)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spring portion 314 is provided behind the first moving portion 310.

따라서,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을 가지는 스프링부(314)로 인해 제1 이동부(310)가 제2 이동부(320)를 향하여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제1 이동부(310) 및 제2 이동부(320) 사이에 삽입된 약봉지(10)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due to the spring portion 314 having a push force by an elastic force, the first moving portion 310 applies a predetermined force toward the second moving portion 320 so that the first moving portion 310 and the second mov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inducing the medicine bag 10 inserted between the 320 to be moved downward.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컷팅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utt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컷팅부(400)는 이동부(300)의 하부에 위치되고, 본체부(410), 절단날(420), 나사부(430) 및 스크류부(440)로 구비된다.The cutting part 400 is located under the moving part 300 and is provided with a body part 410, a cutting blade 420, a screw part 430, and a screw part 440.

본체부(4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닌다.The main body 4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본체부(4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한 쌍으로 링 형상의 나사부(430)가 결합된다.A pair of ring-shaped screw portions 430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portion 410.

나사부(43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스크류부(440)가 나사부(430) 내측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A screw threa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w portion 430 so that the screw portion 440 may rotat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w portion 430.

즉,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300)와 인출부(500)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약봉지(10)가 위치되고, 각각의 스크류부(440)가 한 쌍의 나사부(43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본체부(410)가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5, the medicine bag 10 is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moving part 300 and the withdrawal part 500, and each screw part 440 rotates inside a pair of screw parts 430 While doing so, the body portion 410 may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이때, 본체부(410)의 양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는 홈이 구비되어 절단날(420)이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grooves that are recessed toward the inside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10 so that the cutting blade 420 may be coupled.

절단날(420)은 상부에서 볼 때, 알파벳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utting blade 42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n alphabet'V' when viewed from the top.

따라서, 스크류부(440)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410)가 이동될 때, 절단날(420)은 약봉지(10)와 만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ody part 410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part 440, the cutting blade 420 meets the medicine bag 10.

상세히, 약봉지(10)는 절단날(420)과 맞닿고, 계속해서 회전하는 스크류부(440)에 의해 본체부(410)가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약봉지(10)는 상방 및 하방으로 분리되게 된다.In detail, the medicine bag 10 is in contact with the cutting blade 420, and the main body 410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screw part 440 that continuously rotates, so that the medicine bag 10 is separated upward and downward. .

이때, 상부에서 볼 때, 절단날(420)의 알파벳 'V'자 형상에 의해 일반적으로 얇은 종이 재질을 가지는 약봉지(10)의 절단이 수월한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the top, cutting of the medicine bag 10 having a generally thin paper material by the shape of the alphabet'V' of the cutting blade 420 is easy.

만약, 상부에서 볼 때, 절단날(420)의 모습이 일반적인 직선 형상으로 날이 구비된다면, 얇은 종이 재질을 가지는 약봉지(10)는 흐물해지는 형상으로 휘어져 계속해서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본체부(410)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If,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shape of the cutting blade 420 is provided with a blade in a general linear shape, the medicine bag 10 having a thin paper material is bent in a loose shape and is continuously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 Can be torn.

그러나, 본 발명의 절단날(420)의 알파벳 'V'자 형상으로 구비됨으로, 얇은 종이 재질을 갖는 약봉지(10)가 휘어지는 반경까지 칼날을 보유하므로 약봉지(10)의 절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However, since the cutting blade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alphabet'V', the medicine bag 10 having a thin paper material holds the blade up to the bending radius, so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utting rate of the medicine bag 10 have.

또한, 본체부(410)의 양측면에서 절단날(420)이 삽입되므로, 일방향에서만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왕복 운동하면서 약봉지(10)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tting blades 420 are inserted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10, the cutt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only in one direction, but the medicine bag 10 can be cut while reciprocating,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evice. .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인출부(50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the withdrawal part 500 will be described.

인출부(500)는 각도 롤러부(510), 회전 롤러부(520), 이동 플레이트(530) 및 벽부(540)로 구비된다.The lead part 500 is provided with an angle roller part 510, a rotation roller part 520, a moving plate 530, and a wall part 540.

회전 롤러부(52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롤러 형상으로, 한 쌍으로 구비된다. 또한, 각각의 롤러부(313),(323)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ng roller unit 520 has a rolle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provided in a pai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b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roller portions 313 and 323 and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제1 이동부(310) 및 제2 이동부(320) 사이에 삽입된 약봉지(10)가 이동하여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 내부에 삽입된다.Accordingly, the medicine bag 10 inserted between the first moving part 3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320 is moved and inserted into the pair of rotating roller parts 520.

이에,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는 사이에 삽입된 약봉지(10)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면 약봉지(10)는 이동부(300)와 회전 롤러부(520)에 의해 팽팽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air of rotating roller units 520 continuously rotates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ward the medicine bag 10 inserted therebetween, the medicine bag 10 is moved by the moving unit 300 and the rotating roller unit 520 It becomes taut.

이 후, 컷팅부(400)에 의해 약봉지(10)는 상방 및 하방으로 절단되어 분리되고,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가 계속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약봉지(10)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Thereafter, the medicine bag 10 is cut upward and downward by the cutting unit 400 to be separated, and the medicine bag 10 is lowered by continuously rotating a pair of rotating roller units 520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Will go to.

상세히, 회전 롤러부(520)와 인접하여 하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각도 롤러부(510)가 결합된다.In detail, an angle roller portion 510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djacent to the rotating roller portion 520.

각도 롤러부(510)는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벽부(540)에 관통되는 축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도 6 참조).The angle roller part 510 may be rotated by a shaft penetrating through a pair of wall parts 540 coupled to both sides (see FIG. 6 ).

또한,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벽부(540) 사이에 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이동 플레이트(530)가 결합된다.In addition, a moving plate 530 having a slope whos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front is coupled between the wall portions 54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따라서, 컷팅부(400)에 의해 절단된 약봉지(10)는 각도 롤러부(510)가 이동 플레이트(530)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절단된 약봉지(10)가 쓰러져 내부에 저장된 약이 이동 플레이트(530)에 배출되고, 환자는 배출구(220)를 통해 약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medicine bag 10 cut by the cutting part 4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ngular roller part 510 in the moving plate 530, and the cut medicine bag 10 collapses and the medicine stored therein is transferred to the moving plate ( It is discharged to 530, the patient is able to receive the drug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0.

이때,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는 계속해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rotating roller units 520 continuously rotate.

따라서, 약봉지(10) 내부에 저장된 약이 이동 플레이트(530)에 배출되고, 약봉지(10)는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bag 10 is discharged to the moving plate 530, and the medicine bag 10 is moved to the rear by the rot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roller units 520.

상세히, 각도 롤러부(510)에는 도 7과 같이, 회전 롤러부(520)와 반대되는 지점에서 소정의 두께가 절삭된 틈새(511)가 구비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7, the angle roller part 510 is provided with a gap 511 in which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cut at a point opposite to the rotation roller part 520.

이에 따라,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가 계속해서 회전함에 따라 후방으로 밀려 이동되는 약봉지(10)는 틈새(5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pair of rotating roller units 520 continuously rotates, the medicine bag 10 that is pushed and moved backward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gap 511.

이와 같이, 컷팅부(400)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 분리된 약봉지(10)를 회전 롤러부(520)가 지속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각도 롤러부(510)를 이동 플레이트(530)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만 회전시켜 약봉지(10) 내부에 저장된 약을 배출 및 약봉지(10)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rotating roller unit 520 continuously rotates the medicine bag 10 separat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cutting unit 400 and moves the angle roller unit 510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530. By rotating only by an angle, the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bag 10 can be discharged and the medicine bag 10 can be moved.

이는, 약봉지(10)가 얇은 종이 재질을 가지는 특성상 상방 및 하방으로 분리된 후, 흐물해져 약이 이동 플레이트(530)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This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medicine from being separa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moving plate 530 after being separated upward and downwar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ine bag 10 having a thin paper material.

즉, 각도 롤러부(510) 및 회전 롤러부(520)에 의해 약봉지(10)에 저장된 약을 즉각적으로 이동 플레이트(530)로 이동시켜 환자에게 공급되는 작업의 정확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supplied to the patient by immediately moving the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bag 10 to the moving plate 530 by the angle roller unit 510 and the rotation roller unit 520.

틈새(511)를 통해 배출된 약봉지(10)는 인출부(500) 후방에서 인접되어 결합되는 처리부(600)에 수용되어 진다.The medicine bag 10 discharged through the gap 511 is accommodated in the treatment unit 600 that is adjacent and coupled from the rear of the withdrawal unit 500.

도 8을 참조하면, 처리부(600)는 상면이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으로 중공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약봉지(10)를 수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processing unit 600 may have a hollow portion in the shape of a cube with an open top surface to accommodate the medicine bag 10 therein.

따라서, 약이 배출된 약봉지(10)를 한 번에 처리하기 위해 처리부(600)에 저장시킨 뒤에, 한 번에 약봉지(10)를 쓰레기 처리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fter the medicine bag 10 from which the medicine is discharged is stored in the processing unit 600 to be processed at a time, the medicine bag 10 is disposed of garbage at a time,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이와 같은 처리부(600)는 바디부(200)의 일측에서 분리가 가능하며, 손잡이(610)를 구비하여 편리성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600 can be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body unit 200, and the handle 610 may be provided to further increase convenience.

위와 같은 알약 자동 배출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약을 장기간 복용 중인 환자들은 다량의 약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using the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patients who are taking the drug for a long time can effectively manage a large amount of drugs.

상세히, 장기 복용 중인 약은 많은 양의 약봉지를 가지므로, 조식, 중식 및 석식에 따라 다른 성분을 가지는 약들을 포함하고 있어 매번 찾아야하는 번거로움과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In detail, since long-term medicines have a large amount of medicine bags, they contain medicines having different ingredients depending on breakfast, lunch, and dinner, so there is a hassle and difficult to manag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배출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약봉지(10)를 저장부(100)에 저장하기만 하면 약이 약봉지(10)로부터 배출되어 나오는 구성으로 관리가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medicine bag 1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in the order in which it is to be discharged,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bag 10, so that management is easy.

또한, 자동으로 약봉지(10)가 컷팅되어 약만 배출되는 구성으로 쓰레기 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dicine bag 10 is automatically cut and only medicine is discharged, there is an effect of easy waste disposal.

매 끼니마다 약복용을 위해 발생되는 쓰레기 처리를 환자의 편의대로 한 번에 처리가 가능하므로 약복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aking medicine because it is possible to treat garbage generated for each meal at a time at the convenience of the patient.

특히, 병원에서 본 발명의 알약 자동 배출장치의 효율성 및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the automatic pill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hospital can be maximized.

병원에 장기 입원하여 혈압환자, 당뇨환자 및 치매환자들은 매 시각에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자들을 일일이 관리가 어려운 구조 상 본 발명에 의한 알약 자동 배출장치를 매 시각 설정하여 자동으로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It is very important that blood pressure patients, diabetes patients, and dementia patients continue to take the medicine every time after a long-term hospitalization.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manage such patients individually, the automatic pill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at every hour to allow the drug to be automatically discharged.

이는, 알람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동될 수 있다.This may be driven by further including the alarm unit 700.

이하, 알람부(7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larm unit 7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알람부(700)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alarm unit 70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Flexible Display, 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여,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구동되는 스피커 모듈로, 폴 피스, 마스넷, 프레임, 보이스 코일, 진동판, 리벳 전기회로기판 및 FPCB판 등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speaker module provided with a speaker device and driven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ole piece, a mask net, a frame, a voice coil, a vibration plate, a rivet electric circuit board, and an FPCB plate.

따라서, 알람부(700)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현재 시각, 약의 종류, 약복용 방법, 남은 약봉지 수 등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urrent time, the type of medicine, the method of taking medicine, and the number of remaining medicine bags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alarm unit 700.

알람부(700)의 스피커 장치를 통해 약복용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Guidance comments for medic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device of the alarm unit 700.

이와 같이, 환자는 약복용 시간을 수신하여 약복용 시간을 놓치지 않고, 복용할 수 있고, 간호사, 환자 관리인 및 보호자는 인당 관리해야 하는 환자들의 모든 약복용 시간을 챙기는 업무가 생략되므로, 업무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atient receives the medication time and does not miss the medication time, and can take it, and the task of taking all the medication time of the patients to be managed per person is omitted by nurses, patient managers and guardians. This has an increasing effect.

여기서,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알람부(700)의 알람 기능을 위해 알람 울리는 시간 설정 및 안내 멘트 등은 제어부를 통하여 사전에 설정이 가능하며, 이는 공지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the alarm function of the alarm unit 700, an alarm sound time setting and a guide message may be set in advance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is is a 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알약 자동 배출장치는 단말기를 구비하여 보호자로 하여금 환자의 약복용 시간을 이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erminal so that the guardian can double manage the patient's medication time.

상세하게,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에 정보가 누적될 수 있어, 간호사, 환자 관리인 및 보호자는 환자의 약 복용에 대한 그래프 및 표를 통해 눈으로 즉각적으로 점검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약복용의 시간을 체크할 수 있어 관리의 편리성 및 병의 재발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In detail, the terminal can install an application, and information can be accumulated in the application, so that nurses, patient managers, and guardians can immediately check the patient's medication through graphs and tables on the patient's medication use. Since the time of administration can be check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currence rate and convenience of management occurs.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 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 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ROM, RAM, 플레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ROM, RAM, flash memory, etc.,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can be changed 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of

10 : 약봉지, 100 : 저장부,
110 : 제1 저장부, 120 : 제2 저장부,
130 : 이동 롤러부, 140 : 개폐부,
S : 경사면, 200 : 바디부,
210 : 홈, 220 : 배출구,
300 : 이동부, 310 : 제1 이동부,
311 : 결합부, 312 : 본체부,
313 : 롤러부, 314 : 스프링부,
320 : 제2 이동부, 321 : 결합부,
322 : 본체부, 323 : 롤러부,
324 : 인코더부, 400 : 컷팅부,
410 : 본체부, 420 : 절단날,
430 : 나사부, 440 : 스크류부,
500 : 인출부, 510 : 각도 롤러부,
511 : 틈새부, 520 : 회전 롤러부,
530 : 이동 플레이트, 540 : 벽부,
600 : 처리부, 610 : 손잡이,
700 : 알람부.
10: medicine bag, 100: storage,
110: first storage unit, 120: second storage unit,
130: moving roller part, 140: opening and closing part,
S: slope, 200: body,
210: groove, 220: outlet,
300: moving part, 310: first moving part,
311: coupling portion, 312: body portion,
313: roller part, 314: spring part,
320: second moving part, 321: coupling part,
322: main body, 323: roller,
324: encoder unit, 400: cutting unit,
410: main body, 420: cutting blade,
430: threaded portion, 440: screwed portion,
500: lead part, 510: angle roller part,
511: gap portion, 520: rotating roller portion,
530: moving plate, 540: wall,
600: processing unit, 610: handle,
700: alarm unit.

Claims (10)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를 보관하는 저장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저장부에 인접하되, 전방에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약봉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약봉지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상기 컷팅부로부터 절단된 상기 약봉지의 내부에 약이 배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와 동일선상에서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약봉지는 한 쌍의 상기 롤러 사이에 삽입되고, 전방에 약을 배출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되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inuously extended medicine bags;
A body part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djacent to the storage part,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cut to allow the medicine to be discharged in the front;
A moving part inserted into the body part and moving the medicine bag;
A cutting part inserted into the body part to cut the medicine bag; And
Including; a lead-out portion through which the medicine is discharged into the inside of the medicine bag cut from the cutting portion,
The withdrawal part includes a pair of rollers on the same line with the moving part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edicine bag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and the medicine is discharged to the front and moved backward at the same time.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의 전방에 인접하되, 상기 약봉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1 저장부의 일측에서 상기 약봉지를 넣을 수 있는 미닫이 형상의 개폐부;를 구비하되,
상기 개폐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약봉지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A first storage unit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storage unit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first storage unit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erein so that the medicine bag can be moved; And
It includes a; a sliding door-shape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to which the medicine bag can be put at one side of the first storage uni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number of medicine bags stored therein can be checked.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되되, 각각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는 마주보고, 각각의 롤러들이 회전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후방에 스프링이 결합되되,
상기 제2 이동부와 맞닿아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2 이동부를 가압하여 가운데 삽입된 상기 약봉지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ing part,
A first moving par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each having a roller; And a second moving part; and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face each other, and each of the rollers rotates,
The first moving part,
The spring is attached to the rear,
When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moving part, pressing the second moving part to move the medicine bag inserted in the middle to the bottom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넬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 삽입되는 각각의 절단날;
한 쌍으로, 상기 본체부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나사부; 및
한 쌍의 상기 나사부를 관통하는 각각의 스크류부;를 구비하되,
상기 나사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스크류부가 회전할 경우, 상기 나사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utting part,
A panel-shaped body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Each cutting blad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s a pair, a ring-shaped screw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portion; And
Each screw portion passing through the pair of screw portions; but,
A threa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crew part, so that when the pair of screw parts rotates, the body part reciprocates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screw part.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상부에서 볼 때, 외부를 향하여 열려져 있는 알파벳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을 가지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utting blade,
When viewed from the top,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alphabet V that is open toward the outside, but has a cross section that narrows the width toward the outside.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회전 롤러부;
상기 회전 롤러부의 하부에서 인접하여 결합되는 각도 롤러부;
상기 각도 롤러부의 하부에서 위치되되, 경사를 지니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벽부;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배출구와 맞닿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withdrawal part,
A pair of rotating roller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 angle roller portion adjacent to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roller portion;
A moving plate positioned below the angle roller part and having an inclination; And
A wall portion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oving plate;
The end of the moving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outlet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롤러부는, 상기 회전 롤러부와 반대되는 지점에서 중공부의 틈새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 롤러부 사이에 상기 약봉지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 롤러부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약봉지가 상기 틈새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angular roller unit includes a gap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at a point opposite to the rotation roller unit,
The medicine bag is located between the rotation roller part, and when the rotation roller part rotates, the medicine bag passes through the gap and moves backward.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의 후방에 인접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기 틈새부를 통과하는 상기 약봉지가 누적되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processing unit adjacent to the rear of the withdrawal unit,
The processing unit accumulates the medicine bag passing through the gap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서 관통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부를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알약 자동 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ing unit,
A handle portion penetrat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combine the treatment par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art using the handle part.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제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기 설정된 환자의 약복용 시간 마다 소리 또는 빛으로 출력 가능한
알약 자동 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d a speaker device,
The alarm unit can be output with sound or light every preset patient's medication time.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KR1020190094928A 2019-08-05 2019-08-05 Automatic pumping device KR1022843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28A KR102284329B1 (en) 2019-08-05 2019-08-05 Automatic pump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28A KR102284329B1 (en) 2019-08-05 2019-08-05 Automatic pump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56A true KR20210016756A (en) 2021-02-17
KR102284329B1 KR102284329B1 (en) 2021-07-30

Family

ID=7473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928A KR102284329B1 (en) 2019-08-05 2019-08-05 Automatic pump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32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265A (en) 2009-11-05 2009-11-25 양재정 Medicine packet automatic discharging apparatus
KR20130093343A (en) * 2012-02-14 2013-08-22 대진기술정보 (주)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KR20150001036A (en) * 2013-06-26 2015-0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KR101850518B1 (en) * 2017-05-26 2018-04-19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Smart apparatus for supplying medicine packaged by packet
KR101953750B1 (en) * 2018-08-14 2019-03-04 이선준 Drug Dispenser for Medication Manag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265A (en) 2009-11-05 2009-11-25 양재정 Medicine packet automatic discharging apparatus
KR20130093343A (en) * 2012-02-14 2013-08-22 대진기술정보 (주)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KR20150001036A (en) * 2013-06-26 2015-0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KR101850518B1 (en) * 2017-05-26 2018-04-19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Smart apparatus for supplying medicine packaged by packet
KR101953750B1 (en) * 2018-08-14 2019-03-04 이선준 Drug Dispenser for Medication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329B1 (en)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917B1 (en) Sensor-based dosing systems
CN104207943B (en) The dispensing machine that a kind of patient uses
CN109119139B (en) Variable dose dispensing system
RU2621654C2 (en) Dispensing apparatus
BR112012007490B1 (en) medicine dispenser and method of operation of a medicine dispenser
US20120006847A1 (en) Interactive medicine organizer
US20210401673A1 (en) Healthcare management services
BRPI0712210A2 (en) warning system for scheduled administration of medicines that have to be administered at certain times
JP2019530549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medical treatment
US11517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regulating removal of patient medications
CN107530226A (en) One kind is got it filled reminding medical kit and system
US202201256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pill dispensers with various dispensing mechanisms
KR20210154810A (en) Smart containers, sensors and methods for drug management
Mathew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medicine dispenser
KR20210016756A (en) Automatic pumping device
TWM495849U (en) Electronic medicine kit with medication notification and confirmation
KR20180055584A (en) Alarm For TAking Pill And Automatic Dispenser
CN113853353B (en) Computerized oral prescription administration for safe dispensing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TWM473833U (en) An intelligent and automatic pill dispenser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pill reminding, and pill medication managing functions
KR200457524Y1 (en) Apparatus for confirming taking medicine
Shastay Transdermal Iontophoretic FentaNYL PCA
US10588825B1 (en) Pill compliance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KR102643896B1 (en)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Medicine packet
US20220172813A1 (en) Automatic time-based medication dispenser
US11771591B2 (en) Liquid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