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343A -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343A
KR20130093343A KR1020120014859A KR20120014859A KR20130093343A KR 20130093343 A KR20130093343 A KR 20130093343A KR 1020120014859 A KR1020120014859 A KR 1020120014859A KR 20120014859 A KR20120014859 A KR 20120014859A KR 20130093343 A KR20130093343 A KR 20130093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case
drug
cover
medic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68644B1 (en
Inventor
권재국
Original Assignee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기술정보 (주) filed Critical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to KR102012001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644B1/en
Publication of KR2013009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6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edicine releasing device is provided to have advantage to be able to manage dosage of the fixed amount of medicine on time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medicine taking when inputting a roll type medicine package, and releasing the fixed amount of medicine on time. CONSTITUTION: A medicine releasing device (10) comprises a case (110) in which multiple medicine packages containing a single dose of medicine are input on one open side in a roll type and an outlet where the medicine package is drawn is equipped on the other side; a cover (120) installed in the one open side of the case in an openable/closable manner; an information recognition part equipped within the case and acquiring the medicine taking information printed on the medicine package; a transfer device equipped within the case and transferring the medicine package to the outlet one by one; a cutting device equipped within the outlet and cutting the medicine package one by one; a collection device (200) in which untaken medicine package which has missed the medicine taking set up time is settled from the outlet, and the settled medicine package is collected within the case; and a control box (130) applying or blocking the power to the information recognition part, the transfer device, the cutting device and the collection device.

Description

약제 배출장치 {DEVICE FOR EJECTING MEDICINE}Drug Dispenser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본 발명은 약제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만성 질환자들과 같이 장기적으로 약제를 처방받은 피복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정확한 종류 및 함량의 약제를 복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 아니라 미복용 시 미복용된 약제를 회수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dispensing device, and in particular, to help the coating users who have been prescribed drugs for a long time, such as chronic diseases, to help take the correct type and content of the drug at a predetermined time, as well as unused drugs It relates to a drug discharge device that can recover.

일반적으로, 환자는 질병 치료를 위하여 진단 결과에 따라 처방된 약을 주기적으로 복용한다. 특히, 결핵, 당뇨병 또는 고혈압 등 만성 질환자들은 질병의 특성상 처방된 약제를 장기적으로 정해진 시간에 정량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In general, patients take the prescribed medication 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for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for chronically ill patients such as tuberculosis, diabetes mellitus or high blood pressure to take a prescribed amount of prescribed medication in a long time due to the nature of the disease.

만약, 결핵, 당뇨병, 대사증후군 또는 고혈압 등의 질환자들이 정해진 시간에 약제를 복용하지 않는 미복용의 경우나, 정량 이상의 약제를 복용하는 과다복용의 경우 질병이 악화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목숨이 위태로워질 수도 있다.If patients with tuberculosis, diabetes, metabolic syndrome, or high blood pressure do not take medications on time, or overdose with over-dose medications, the disease may worsen. You may lose.

환자가 고령이거나, 기타 원인으로 인하여 기억력이 저하되는 경우, 또는 심신 미약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약제의 미복용보다는 과다 복용이 더 큰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This can occur more frequently in older people, when memory is impaired due to other causes, or in the case of physically and mentally weak people. In particular, overdose causes greater problems than non-drug use.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외국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복용해야 할 약제들을 병에 보관하도록 하여 피복용자가 스스로 인출하여 복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단일 질병으로 인하여 단일 약제만 복용하는 피복용자는 불편함이 없지만, 다양한 질병으로 인하여 복합적인 약제를 한꺼번에 복용해야 하는 피복용자는 각각의 약병에 수납된 약제들을 스스로 조합하여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에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복합적인 약제를 파우치 형태의 약포에 포함되도록 처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drug holders are required to store the medicines to be taken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that the coated medicines can be taken out by themselves. Because of various diseases, the coating container that needs to take a combination of medications at one time is inconvenient to take a combination of drugs contained in each vial. Therefore, as in Korea, there is a tendency to prescribe a complex drug to be included in the pouch form medicine.

또한, 만성 질환자들의 경우에는 감기나 몸살 등과 같은 3 ~ 5일 등의 단기적인 처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동일 약제에 대하여 한달 등의 장기적인 처방이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아침, 점심, 저녁, 취침 전 등과 같이 복약 시간에 따라 다르게 약제가 처방되기도 한다. 따라서, 피복용자들은 약제 복용에 대해서 더욱 불편함을 느끼며, 피복용자가 스스로 정시 정량의 약제를 복용하기 어렵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hronic diseases, a short-term prescription such as a cold or body ache is not made, but a long-term prescription of the same medicine is made for a month, and in some cases, such as breakfast, lunch, dinner, and before bedtime. Depending on the medication time, medications may be prescribed. Therefore, the coating users feel more uncomfortable with taking the medicine, and it is difficult for the coating users to take the medicines on tim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보호자 또는 환자를 관리하는 관리사들이 일일이 약제 투약시간 및 투약량을 확인하여 환자의 복용을 직접 도와주거나, 통신수단 등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통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aregiver of the patient or the manager who manages the patient to check the medication time and dose daily to help the patient directly, or to communicate to the patient using a communication means, etc. was inconvenient.

따라서,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약제를 배출하여 피복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the drug discharge device tha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coating users by discharging the drug in a fixed amount of time is being developed one after another.

그러나, 아침, 점심, 저녁 별로 투약하는 약제가 다른 환자의 경우, 정해진 시간에 불가피하게 약을 복용하지 못하게 될 경우 복용하지 못한 약제는 건너뛰고, 이후의 약제를 복용해야만 하는데, 그렇지 못하게 되면 약제의 오복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nother patient who is taking breakfast, lunch, or dinner, if the patient is inevitably unable to take the medicine at the appointed time, the medication that is not taken should be skipped and the next medication must be taken.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misuse.

또한, 환자의 복용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미복용 시 복용을 유도하기 위한 알림 또는 미복용 한 약제의 회수 등을 하기 어려워 복약 관리에 소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possible to directly check whether or not the patient is taking it, it is difficult to give a notification for induction or recovery of unused drugs, etc., because the patient may not be able to neglect the medication management.

또한, 장기간 출장 또는 여행 등으로 인하여 추후에 복용할 약제를 미리배출하여 지참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정시에 정량의 약제만 배출하는 장치에서는 불편함이 있으며, 복약 관리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and bring drugs to be taken later in advance due to long-term business trips or travel, etc., there is inconvenience in the device for discharging only a fixed amount of medication on tim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medica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속된 롤 형태의 약포를 정해진 시간에 정량 배출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g discharge device capable of quantitatively discharging the drug in the form of a continuous roll at a predetermined time.

또한, 본 발명은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지 못한 약제를 자동 회수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g discharge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vering a drug that can not be taken at a predetermined time.

또한, 본 발명은 실제 환자의 투약 여부를 감지하여 복약 관리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g discharge device that can manage the medication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actual medication.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에 추후에 복용할 약제를 강제 배출하여 복약 관리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g dispensing apparatus that can be forced to discharge the drug to be taken later if necessary to manage the medication.

본 발명은 1회 복용할 정량의 약제를 함유하는 복수개의 약포가 롤 타입으로 개방된 일면에 투입되고, 약포가 인출되는 인출구가 다른 일면에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약포에 인쇄된 복약정보의 취득하는 정보인식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약포를 하나씩 상기 인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인출구 내부에 구비되고, 약포를 하나씩 절단하는 절단장치; 상기 인출구로부터 약복용 설정시간이 지나 미복용한 약포가 안착되고, 안착된 약포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회수하는 회수장치; 및 상기 정보인식부, 이송장치, 절단장치 및 회수장치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medicines containing a quantity of medicine to be taken once is put into one surface opened in a roll type, the outlet is withdrawn on the other side is drawn out; A cove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one open surface of the case; A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cquiring medication information printed on a medicine package; A conveying apparatus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transferring medicines to the outlets one by one; A cutt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outlet, for cutting medicines one by one; A recovery device for restoring the unused medicine medicine after the set time for medicine medicine is set from the outlet, and collecting the medicine medicine that has been seated into the case; And a control box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the transfer device, the cutting device, and the recover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롤 타입의 약포를 투입 시에 복약에 관련된 정보를 자동 인식하고, 정시에 정량의 약제를 배출함으로써, 정시에 정량의 약제를 투약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rug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dication when the roll-type medicine is put in, and discharging the quantitative medication on time, thereby managing and administering the quantitative medication on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정시에 정량의 약제를 배출하고, 설정시간 경과 후에 복용하지 못한 약제를 자동 회수함으로써, 정시에 정량의 약제를 투약 관리할 뿐 아니라 약제 오복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rug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a fixed amount of the drug on time, and automatically recovers a drug that has not been taken after the set time,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nage the dosage of the drug on time but also to prevent drug misuse.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실제 환자의 투약 여부를 영상 촬영을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피복용자의 정확한 복약여부와 효율적인 복약 관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rug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correct medication and effective medication by the coating user by checking whether the actual patient is administered through imag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필요 시에 추후에 복용할 약제를 강제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장기간 출장 또는 여행 등에 지참하여야 하는 약제를 배출 가능하도록 하여 유연하게 복약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rug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orcibly discharge the drug to be taken later, if necessary, to be able to discharge the drug that must be carried on a long-term business trip or travel, etc. to flexibly manage the med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약포 인출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drug extraction state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addition, Variation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약포 인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1 to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drug extraction state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일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타입의 약포(1)가 수납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약포잔량센서(115)와, 상기 케이스(110)에 개폐되는 커버(120)와, 상기 약제배출장치(10)의 동작과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박스(130)와,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약포가 인출되기 전까지 거치게 되는 정보인식부(140)와 이송장치(150) 및 절단장치(160)와, 상기 약제배출장치(1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피복용자에게 정보전달이 가능한 표시장치(170)와 촬영장치(180) 및 메인버튼(190)과, 미복용된 약포를 회수하는 회수장치(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An example of the drug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110 and a medicine drug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side of the case 110 is accommodated in the roll-type medicine medicine 1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remaining amount sensor 115, the cover 120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the case 110, the control box 130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and the medicine from the case 110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and the conveying device 150 and the cutting device 160 to be passed until the withdrawal, and the display device 170 to display the state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or to transmit information to the coating us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hotographing device 180 and the main button 190, and a recovery device 200 for recovering unused medicine.

보통, 약포(1)는 1회에 복용할 약제가 포장된 것으로써, 얇은 유포지 재질이나 비닐 재질의 직사각형의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며, 대개 복수개의 약포(1)가 일렬로 연결된 상태로 제공되고, 동일 종류의 약제로 구성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아침, 점심, 저녁 등 복용시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종류의 약제로 구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 배출장치(10)에는, 이러한 약포들(1)이 롤 형태로 감겨 수납된다.Usually, the medicine 1 is packaged with a medicine to be taken at a time,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pouch or a rectangular pouch of vinyl material, usu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dicines 1 connected in a line, It may be composed of the same kind of drugs, but in some cases, depending on the time taken, such as breakfast, lunch, dinner may be composed of different kinds of drugs. Therefore, in the medicine discharg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edicines 1 are wound in a roll form and accommodated.

상기 케이스(11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써, 롤 타입으로 감긴 약포들(1)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될 수 있으며, 약포(1)의 인출 시에 롤이 풀려지면서 90° 회전하여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는 약포들(1)이 통과하는 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장치(150)가 약포들(1)을 견인함에 따라 약포들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90°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내부에 롤 타입의 약포(1)가 수납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반대 방향 일측면에 약포(1)가 인출될 수 있는 인출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인출구(111)는 일반적인 약포(1)의 형태와 같이 얇은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ase 110 has an open top surface, and can be stored in a rolled-up form of the medicines 1, and is configured to be pulled out by rotating 90 ° while the rolls are released when the medicines 1 are drawn out. do. To this end, a guid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medicines 1 pass may be provided in the case 110, and the medicines are moved along the guide as the transport device 150 pulls the medicines 1.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90 ° while moving. In addition, a roll type medicine bag 1 is accommodated inside one side of the case 110, and a discharge port 111 through which the medicine bag 1 may be drawn out on one side of the case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provided. The outlet 111 may be formed in a thin slit shape as in the form of a general medicine (1).

상기 약포잔량센서(115)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수납된 약포들(1)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로써,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구비된 포토 센서 또는 자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보호자 및 관리사의 무관심으로 사용자가 약을 다 복용한 경우, 즉 약포들(1)의 잔량이 부족하여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약포잔량센서로부터 전달된 약포들의 잔량이 일정량에 이하로 줄어들면, 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약의 보충을 알리거나, 하기에 기술되는 통신모듈(도 5에 도시 : 350)과 메인서버(도 5에 도시 :400)을 통하여 보호자 및 관리사 등에게 통보하여 미리 약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The medicine remaining amount sensor 115 is a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edicines (1)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a photo sensor or an ultraviolet sensor provided on the bottom or side of the case 110 And the like. Therefore, when the user has exhausted the medicine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or the indifference of the caregiver and the manager, that is, when the user cannot take the medicine becaus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edicines 1 is insufficient, the medicines delivered from the medicine remaining amount sensor When the remaining amount is reduced to a certain amount or less,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inform the user of the medicine through the display device, or the communication module (shown in Figure 5: 350) and the main server (shown in Figure 5) described below (400) to inform the guardian and the manager so that the medicine can be prepared in advance.

상기 커버(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커버(120)의 선단이 개폐되고, 상기 커버(120)의 후단이 하나 또는 다수의 힌지(124)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커버(120)의 일부에는 투명창(121)이 구비되는데, 상기 약포잔량센서(115)가 약포들(1)의 잔량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지만, 상기 투명창(121)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수납된 약포들(1)의 잔량 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The cover 120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the front end of the cover 120 is opened and closed, the rear end of the cover 120 to one or more hinges 124 Connected. In particular, a portion of the cover 120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121, although the drug remaining amount sensor 115 continuously monitor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edicines (1), the transparent window 121 is the cas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edicines (1) accommodated inside (110).

상기 케이스(110)와 커버(120) 사이에는 상기 커버(120)를 상기 케이스(110)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잠금시키는 잠금장치(122)가 구비되는데, 영유아를 비롯하여 치매 질환자, 약에 대한 편집증이 있는 사람들 등 심신이 미약한 사람들이 상기 케이스(110)와 커버(120) 내부의 약포들(1)을 함부로 꺼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배출장치(10)에는 상기 커버(120)가 상기 케이스(110)에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스위치(123)가 구비되는데, 상기 안전스위치(123)는 상기 커버(120)가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약제배출장치(10)의 모든 작동을 차단하여 상기 이송장치(150) 또는 절단장치(160)의 손상과 칼날 등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안전스위치(123)가 반드시 동작되어 닫힘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박스(130)의 통제에 의해 상기 약제배출장치(10)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Between the case 110 and the cover 120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122 for automatically or manually locking the cover 120 to the case 110, paranoia about infants, dementia disease, medicine Those who are weak in mind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taking out the medicines (1) in the case 110 and the cover 120. In addition,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safety switch 123 for detecting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120 is closed to the case 110, the safety switch 123 is the cover 120 By closing all operations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in the closed stat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 safety accidents such as damage and blades of the transfer device 150 or cutting device 160. Of course, as the safety switch 123 is necessarily operated to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e closed state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box 130.

상기 컨트롤박스(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일종의 보드(Board) 형태로 구비되며,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 도 5 참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box 1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110 in the form of a board (Boar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trol unit 300 (see Fig. 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상기 정보인식부(140)와 이송장치(150) 및 절단장치(16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는데, 약포(1)가 내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인출구(111) 내측에 일렬로 배열되며, 약포(1)가 순서대로 지나면서 상기 인출구(111)를 통하여 배출된다.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the transfer device 150 and the cutting device 160 are provided in the case 110, and are arranged in a line inside the outlet 111 from the position where the medicine bag 1 is embedded. , While the medicine bag 1 passes in order,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1.

상기 정보인식부(140)는 일종의 스캐너로써, 약포들(1)의 최선단 일면에 인쇄된 bar-code, QR-code, RFID 등으로부터 약제의 복용시간, 복용횟수, 피복용자에 대한 정보, 복약정보 등을 송신할 메인서버 주소 등의 정보를 획득하며, 복약이 개시됨에 따라 약포(1)의 통과 시 개별 약포(1)에 대한 복약시간 정보를 획득한 다음, 이러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박스(130)의 제어부(300 : 도 5에 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약포(1)는 롤 타입으로 세워진 상태로 보관되지만, 약포(1)의 방향이 90° 눕혀짐에 따라 약포(1)의 일면이 상기 정보인식부(140) 위를 통과하게 되고, 해당 정보가 스캐닝된다. 동시에 상기 정보인식부(140)는 연결된 약포들(1)의 절단선을 감지하여 상기 이송장치(150)와 절단장치(160)를 제어함으로써, 약포들이 상기 이송장치(150)에 의해 정확한 거리를 이송하도록 하거나, 상기 절단장치(160)에 의해 정확한 지점에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is a kind of scanner, the time of taking the drug, the number of times, the information on the coating user, medication from the bar-code, QR-code, RFID, etc. pri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edicines (1) Acquire information such as a main server address to transmit information, etc., and as the medication starts, acquires medication time information for the individual medicine 1 when the medicine 1 passes, and then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box 130. ) To the control unit 300 (shown in FIG. 5). Of course, the medicine 1 is stored in a rolled-up state, but as the direction of the medicine 1 lies 90 °, one surface of the medicine 1 passes through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and The information is scanned. At the same time,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controls the transfer device 150 and the cutting device 160 by detecting the cutting lines of the connected medicines 1, so that the medicines are precisely distanced by the transfer device 150. The cutting device 160 allows the cutting to be carried out at the correct point.

상기 이송장치(150)는 약포(1)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로써, 상기 컨트롤박스(130)의 제어부(300 : 도 5에 도시)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이송장치(150)는 상기 메인버튼(190)의 동작이나 상기 정보인식부(140)에서 획득된 복용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복용이 이루어질 때에도 약포(1)를 하나씩 이송하도록 작동되며, 별도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형태로 작동될 수도 있다.The transfer device 150 is a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the medicine 1 in one direction, the operation of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0 (shown in FIG. 5) of the control box 130. In this case, the transfer device 150 is operated to transfer the medicine 1 one by one even when un-dosing is made despite the elapse of the taking time obtained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button 190 or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In addition, it may be operated in other forms according to a separate control signal.

상기 절단장치(160)는 상기 인출구(111) 내측에서 약포들(1)을 하나씩 절단하는 장치로써, 마찬가지로 상기 컨트롤박스(130)의 제어부(300 : 도 5에 도시)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절단장치(160)는 일렬로 연결된 약포들(1)을 하나씩 절단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이송장치(150)와 연동되도록 별도의 제어신호에 따른 다른 형태로 작동될 수도 있다.The cutting device 160 is a device for cutting the medicines (1) one by one inside the outlet 111, likewise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0 of the control box 130 (shown in FIG. 5). . In this case, the cutting device 160 is operated to cut the medicines 1 connected in series one by one, it may be operated in another form according to a separate control signal to interlock with the transfer device 150.

상기 표시장치(170)와 촬영장치(180) 및 메인버튼(190)은 상기 컨트롤박스(130)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데, 피복용자가 손쉽게 보고 조작할 수 있도록 비스듬한 경사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70, the photographing device 180, and the main button 190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ontrol box 130, and may be provided on an obliqu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covering user can easily view and manipulate the cover device.

상기 표시장치(170)는 문자, 그림 등의 형태로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일종의 디스플레이로써, LCD,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성 지원이 가능하도록 스피커가 추가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표시장치(170)는 상기 컨트롤박스(130)의 제어부(300 : 도 5에 도시)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표시장치(170)는 정해진 복용 시간이 도달한 경우, 복용시간이 도래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정보인식부(140)로부터 약포에 표시된 약제 정보를 비롯하여 복용법 등과 같은 정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복용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복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미복용 감지신호에 따라 미복용 알림 또는 복용 권고 등과 같은 경고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70 is a kind of display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in the form of a text, a picture, etc., may be configured as an LCD, a touch screen, or the like, and a speaker may be added to enable voice support. Of course,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7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0 (shown in FIG. 5) of the control box 130.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70 periodically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aking time has arrived, or the information message such as med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edicine from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such as the dosage method, etc. If the dose is not taken even after taking the elapsed time, it may periodically display a warning message, such as a non-dose notification or dose recommendation according to the undosed detection signal.

상기 촬영장치(180)는 피복용자의 복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로써, 상기 표시장치(170)의 상측 중앙에 위치되며, 넓은 공간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광각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촬영장치(180)는 피복용자의 복용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컨트롤박스(130)의 제어부(300 : 도 5에 도시)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박스(130)의 제어부(300 : 도 5에 도시)는 촬영된 영상을 하기에서 설명될 통신모듈(350 : 도 5에 도시)을 통하여 메인서버(400 : 도 5에 도시)로 전달하게 되며, 전달된 영상은 보호자, 담당 관리사 등에게 제공되도록 한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180 is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covering user, and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apparatus 170, and a wide-angle lens is preferably used to capture a wide space.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80 photographs the taking image of the covering user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ler 300 of the control box 130 (shown in FIG. 5), and the controller 300 of the control box 130 (FIG. 5). The image is transferred to the main server 400 (shown in FIG. 5)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50 (shown in FIG. 5),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delivered image is provided to a guardian or a responsible manager. Be sure to

상기 메인버튼(190)은 복용시간이 도래했음을 알리는 중에 약포의 배출을 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피복용자가 필요 시에 강제로 순서대로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버튼을 작동시키면, 피복용자가 추후에 복용할 약포들(1)을 미리 인출하도록 하여 출장, 여행 등과 같이 장기간 외출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인버튼(190)을 눌러 작동이 개시되면, 이 신호는 상기 컨트롤박스(130)의 제어부(300 : 도 5에 도시)로 인가됨에 따라 복용시간이 도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장치(170)나 스피커를 통하여 아직 약을 복용할 시간이 아님을 피복용자에게 주지시키고, 복용시간이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이송장치(150)와 절단장치(160)를 작동시킴으로써, 약포가 상기 인출구(111)를 통하여 인출되도록 한다. 또한, 피복용자가 상기의 강제배출을 원하는 경우에는 약을 복용할 시간이 아님을 피복용자에게 주지시키고, 그럼에도 상기 메인버튼을 지속적으로 눌러지면, 피복용자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암호를 입력하게 하거나, 피복용자의 보호자나 담당 관리사에게 통신망을 통하여 승인을 얻은 다음, 약포(1)가 인출되도록 한다. 그 외에도, 상기 메인버튼(190) 근처 일단에는 약포(1)가 배출되는 시간, 횟수 등을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긴급 상황을 알리는 등의 기능을 가진 다양한 형태의 버튼(191)이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utton 190 may generate a signal for initiating the discharge of the medicine while informing that the taking time has arrived, or may generate a signal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medicine in order when the coating user. Therefore, when the main button is operated, the cover user may draw out the medicines 1 to be taken later, so that it may be useful when going out for a long time such as a business trip or a trip. Of course, 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by pressing the main button 190, this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300 of the control box 130 (shown in FIG. 5) when the taking time does not arrive in the display device ( 170) or through the loudspeaker to inform the coating user that it is not yet time to take the medicine, and when the time to take the medicine 150 is operated by the transfer device 150 and the cutting device 160, the drug outlet 111 Withdraw through. In addition, if the cover user wants the forced discharge, the cover user should be informed that it is not time to take the medicine. If the main button is still pressed, the cover user should enter a preset password or password. After obtaining approv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medicine (1) shall be withdrawn. In addition, one end near the main button 19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buttons 191 having a function of manually setting the time, the number of times the medicine 1 is discharged, or informing an emergency situation. .

상기 회수장치(200)는 개폐 가능한 안착커버(210)와, 상기 안착커버(210)에 의해 개폐되는 회수유로(220)와, 상기 회수유로(220)에 의해 안내된 회수통(230)과, 상기 안착커버(210)를 개폐시키도록 움직이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recovery device 200 includes a seating cover 21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 recovery passageway 220 opened and closed by the seating cover 210, a recovery container 230 guided by the recovery passageway 22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unit (not shown) to open and close the seating cover 210.

상기 안착커버(210)는 상기 인출구(111) 바로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커버(210)는 평판 형태로 상기 회수유로(2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안착커버(210)는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구동되는데, 상기 구동부는 엑추에이터 또는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박스(130)의 제어부(300 : 도 5에 도시)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The seating cover 210 is provided to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outlet port 111, and the seating cover 210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recovery passageway 22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t this time, the seating cover 210 is driven by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unit, the drive un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actuator or a solenoid, etc., the control unit 300 of the control box 130 shown in Figure 5 Its operation is controlled.

상기 회수유로(220)는 상기 안착커버(2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약포가 하향 경사진 면을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경사진 하측면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회수유로(220)는 상기 케이스(110) 또는 컨트롤박스(130) 내부까지도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회수통(230) 상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recovery flow path 220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surface open to allow the seating cover 210 to be installed, and an inclined lower surface to be guided along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This is possible. However, the recovery passage 220 may extend to the case 110 or the inside of the control box 130 and may extend to an upper side of the recovery container 230.

상기 회수통(230)은 상기 케이스(110) 또는 컨트롤박스(130)에 출납 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종의 서랍으로써, 미복용된 약포를 회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영유아를 비롯하여 치매 질환자 등 심신이 미약한 사람들이 상기 회수통(230)에 회수된 약포들(1)을 꺼내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잠금장치(미도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회수통(230)의 출납되는 부분에는 상기 잠금장치(122)와 연동되는 별도의 잠금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잠금이 해제된 경우, 상기 회수통(230)을 손쉽게 출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회수통(230)의 전면 상부에 볼록한 형태의 손잡이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recovery container 230 is a kind of drawer provided in the case 110 or the control box 130 so as to be able to withdraw and is configured to recover the unused medicine. In this case, a kind of locking device (not shown) is required to prevent infants and other people with weak mental bodies such as dementia diseases from taking out the medicines 1 recover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230. In and out of the portion 23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locking device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device 122. Of course, when the lock is released, the recovery container 230 can be easily withdrawn and, for this purpose, a handle portion 231 of a convex shap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recovery container 230.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에는,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10)와, 약제 복용시간 적산을 위한 타이머(320)와, 사용자의 약제 복용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30)와,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의 작동 방식(상태)를 셋팅하기 위한 버튼부(190,191)와, 사용자에게 약제 복용과 관련된 경고 메세지 등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170) 및 이러한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포함된다.In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3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the timer 320 for the integration of the drug taking time, and the user medication taking information Memory unit 330 for storing the, Buttons 190, 191 for setting the operation method (state)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and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and the like related to taking the drug to the user ( 170 and a controller 3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se components.

상기 타이머(320)는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버튼부(190,191)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시간 셋팅이 이루어어지고, 상기 제어부(300)에 시간을 제공하여 복용시간의 도래와 지나감 등을 연산하거나 적산할 수 있다.When the timer 320 is supplied with the power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a predetermined time setting is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190,191, and provides a time to the control unit 300 to take the time You can compute or integrate the arrival and the passing of.

상기 메모리부(330)는 약제들의 선단에 위치하는 복약정보를 상기 정보인식부(140 : 도 4에 도시)가 스캐닝한 내용들 즉, 사용자의 약복용에 대한 정보, 즉 약제 투약 시간정보, 약제의 복용 또는 미복용 여부에 대한 체크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330 scans the medication information, which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medications, by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shown in FIG. 4),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medication use, that is,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nd medications. Check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o take or may not be stored.

상기 버튼부(190,19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제 배출장치(10)의 시간설정, 복용시간 도래 시 약제의 배출, 외출 또는 출장 시 약제의 강제배출 등을 세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units 190 and 191 may set a time setting of the drug discharging device 10, discharge of the drug when the dose is reached, forced discharge of the drug when going out or a business trip.

상기 표시장치(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기 복용시간을 표시하거나, 복용법 또는 의사 지시 등과 같은 복용정보를 표시하거나, 미복용 시 미복용 알림 또는 복용 권고 등의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시장치(170)는 이러한 메세지를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70 may display the next taking time, display the taking information such as a taking method or a doctor's instruction, or display guide information such as an untaken notification or a taking recommendation when not taken. Of course, the display device 170 may display such a message periodically or repeatedly.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에는 통신 모듈(3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통신 모듈(350)은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를 메인 서버(400)에 통신하는 장치로서 규정된다. 즉, 사용자의 복용정보, 미복용정보, 강제배출정보 등의 내용들을 상기 메인서버(400)로 송신하거나, 상기 메인서버(400)에서 지시되는 전달사항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rug discharge device 10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350. The communication module 350 is defined as a device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to the main server 400. That is, the user's taking information, unused information, forced discharge information, etc., transmits the contents to the main server 400, or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delivery items indicated by the main server 400.

그리고, 상기 통신 모듈(350)에는 상기 메인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통신방식 결정단(352)이 포함된다. 상기 통신방식 결정단(352)은 복수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통신방식 결정단(352)에는 여러가지의 통신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350 includes a communication method determination unit 352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erver 400. The communication method determination terminal 35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various communication schemes may exist in the communication scheme determination unit 352.

일예로서, 상기 통신 방식에는 유선 방식으로서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PSDN (Packet switched data network)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무선 방식으로서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RF (Radio frequency)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or a packet switched data network (PSDN) scheme may be adopted as the wired scheme,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may be employed as the wireless scheme. ), ZIGBEE, Bluetooth, or RF (Radio frequency) scheme may be employ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약제 배출장치(10)는,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의 설치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통신 모듈(350)을 자유롭게 취사선택하여 탄력적으로 호환 및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rug discharging device 10 is not limi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drug discharging device 10, it is free to select the communication module 350 can be elastically compatible and installed.

한편, 상기 통신 모듈(350)은 상기 약제 배출장치(10) 내에 기본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환경과 장소에 따라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어,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와 외부의 메인 서버(400)간의 통신은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50 may be basically mounted in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but may be configured to be removable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location of the user,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and the outsid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server 400 can be operated elastically.

즉, 사용자의 질병 정도가 약하거나, 정시 정량의 약제를 복용할 가능성이 높아 관리시스템이나 관리나, 보호자와 굳이 통신할 필요가 없이 상기 약제 배출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 모듈(350) 없이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의 정시 정량 복용 기능만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s disease level is weak or the possibility of taking medications on time is high, and there is no need to communicate with 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or caregiver, the communication module (10) is used when the medicine discharging device 10 is used. 350) may also use only the on-time metering function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 모듈(350)을 통하여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의 작동에 관련한 정보, 예를 들어 복용 시간에 맞추어 약제를 복용하였는지 또는 복용 시간을 경과하였는지에 관한 정보, 약제 보충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상기 메인 서버(4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rug discharging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50,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o take the med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aking time, or whether the medication time, whether or not replenishing the drug Information about the server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400.

한편, 상기 메인 서버(400)는 상기 약제 배출장치(10)로부터 받은 정보에 따라, SMS(문자 전송) 또는 WEB 연결 방식을 통하여, 약제를 복용하는 피복용자, 보호자 또는 담당 관리사에게 경고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server 40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via a SMS (text transmission) or WEB connection method, to send a warning message to the coating user, guardian or responsible manager taking the medicine Can be.

예를 들어, 사용자(피복용자)가 약제를 미복용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보호자나 관리사에게 SMS(문자 전송)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미복용 사실을 통보하고, 이를 인지한 보호자나 관리사는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하여 약제를 복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약제를 미복용하는 경우 어떠한 중대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수도 있음을 경고하는 메세지를 보호자 또는 담당 관리사에게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a user (subscriber) has not taken a medicine and a certain time has elapsed, he / she sends a text message (SMS) to the guardian or manager to notify the user of the user's unused medication. The user may be contacted to take the medication and a message may be sent to the guardian or manager informing them that any significant problem may have occurred if the user continues to take the medication.

이와 같은 약제 배출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정량의 약제를 정시에 복용할 수 있게 하여 질병의 치료나 완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병세의 진행으로 인한 의료비를 절감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the user can expect to cure or alleviate the disease by allowing the user to take a quantitative drug on time, reduce the medical costs due to the progress of the disease, and maintain a healthy life There i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 1,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ocess using the drug discharg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1, 4, 5 as follows.

먼저, 사용자나, 사용자의 거동이 불편한 경우 보호자나 도우미, 관리사가 처방된 약제가 담겨진 약포들(1)을 직접 수령해 오면,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에 수납시킨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122)를 해제하고,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상기 커버(120)를 개방시킨 다음, 롤 타입의 약포들(1)을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세워진 상태로 수납하는데, 이러한 약포들(1)의 최선단 일면에 인쇄된 bar-code, QR-code, RFID 등이 상기 정보인식부(140)에 인식이 가능한 방향으로 수납한다.First, when the user or the user's behavior is inconvenient, when the caregiver, helper, or manager receives the medicines 1 containing the prescribed medicines directly, they are stored in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At this time, the locking device 122 is released, the cover 120 is opened from the case 110, and the roll type medicines 1 are stored in a standing state inside the case 110. The bar-code, QR-code, RFID, etc. printed on one end of the medicines 1 are accommodated in the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140 in a recognizable direction.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약포들(1)이 수납되면, 상기 커버(120)를 닫고, 상기 커버(120)가 닫힘에 따라 상기 안전스위치(123)가 동작되어 상기 약제 배출장치(10)가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약제 배출장치(10)가 동작을 개시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표시장치(17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시간의 설정을 요구하고, 사용자는 상기 버튼부(190,191)를 이용하여 현재의 시간을 설정하며, 이 시점부터 상기 타이머(320)는 정상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When the medicines 1 are stored in the case 110, the cover 120 is closed, and the safety switch 123 is operated as the cover 120 is closed, so that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is closed. The operation starts. Therefore, when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starts to operate, the controller 300 requests the user to set the current time through the display device 170, and the user uses the buttons 190 and 191. The current time is set, and from this point on, the timer 320 starts normal operation.

상기 타이머(320)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이송장치(150)로 하여금 약포들(1)을 이송시키고, 약포들(1)이 이송 중에 상기 정보인식부(14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보인식부(140)는 약포(1)의 절단선을 감지하여 상기 이송장치(150)로 하여금 약포들의 이송을 중단시킨다. 또한, 상기 정보인식부(140)는 이송 중단된 약포들(1)의 최선단에 위치한 복약에 대한 정보 즉, 약제의 복용 시간, 복용자, 해당 정보의 송신 위치 등을 취득하고, 이러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300)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부(330)에 저장되며,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약제 배출장치(10)가 정상 작동하게 된다.When the setting of the timer 32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300 causes the transfer device 150 to transfer the medicines 1, and the medicines 1 carry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during the transfer. Will pass.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detects the cutting line of the medicine 1 to cause the transfer device 150 to stop the delivery of the medicine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acquires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s located at the top of the medicines 1 that have been stopped, that is, the taking time of the medicine, the taking person, the transmission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memory device 330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330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operates normally based on th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300)를 통하여 정보가 취득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정보인식부(140)와 이송장치(150)를 가동하여 약포들(1)의 최선단이 상기 절단장치(160)를 통과하도록 한 다음, 절단하고, 다음 약 복용시간을 대기하도록 명령한다. When the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the control unit 300 operates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and the transfer device 150 so that the most extremes of the medicines 1 may operate the cutting device 160. Pass through, then cut and order to wait for the next dose.

한편, 상기 약제 배출장치(10)가 지속적으로 시간을 체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약 복용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표시장치(170)나 스피커를 통하여 약 복용시간을 사용자에게 주지시키기 시작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continuously checks the time, when the user's medicine taking time arrives, the user starts notifying the medicine taking time through the display device 170 or the speaker.

사용자가 상기 약제 배출장치(10)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이러한 알람, 음성통보 등을 상기 표시장치(170)나 스피커를 통하여 인식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메인버튼(190)을 눌러 약의 배출을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인식부(140)와 이송장치(150)를 가동하여 해당 약포를 이송 후, 절단하여 상기 안착커버(210)에 배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복약을 꼭 확인하여야 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결핵 환자 등일 경우, 상기 안착커버(210)에 약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촬영장치(180)를 작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동영상을 촬영하게 되며, 이러한 촬영정보는 상기 통신모듈(350)을 통하여 상기 메인서버(400)로 송신됨에 따라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When the user is located near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such an alarm, voice notification, etc. are recogniz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70 or a speaker, and the user presses the main button 190 to release the medicine. If requeste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and the conveying device 150 to transfer the medicine, then cut and discharged to the seating cover 210. At this time, when the user's medication must be checked, that is, when the user is a tuberculosis patient, etc., the medicine is discharged to the seating cover 210 and at the same time operat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80 to shoot a video for a predetermined time, Such photographing information may be usefully transmitted as it is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50.

사용자가 상기 약제 배출장치(10) 주변에 없거나, 알람을 인식하지 못하여 복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약제 배출장치(10)가 일정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약의 복용을 알리며, 이러한 알람에도 지속적인 미복용 상태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약제 배출장치(10)는 통신망(352)과 메인서버(400)를 통하여 본인 또는 보호자 등에게 미복용 사실을 통보하여 복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is not around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or do not take the alarm because it does not recognize the alarm,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continuously informs the taking of medic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ntinuous unused even in this alarm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in the state,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notifies the unused facts to the person or guardia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52 and the main server 400 so that the taking can be made.

그럼에도, 사용자가 해당 복용시간에 해당 약제를 복용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하여 다음 복용시간이 도래하게 되면, 사용자는 다음 약을 복용하여야 하는데, 약의 종류가 동일 약제인 경우에 문제의 소지가 적으나, 복용 시간에 따라 먹는 약제의 종류가 상이한 경우에 약의 오복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반드시 회피되어야 한다.Nevertheless, if the user does not take the medicine at the time of taking, and the time of the next dose arrives, the user should take the next medicine. However, if the type of drug to be taken according to the taking time is to be avoided as the misuse of the drug is made.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복용시간에 해당 약제를 복용하지 않고, 다음 복용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에게 약 복용을 주지시키기 전에 상기 정보인식부(140)와 이송장치(150) 및 절단장치(160)를 가동하여 미복용된 약포(1)를 상기 안착커버(210) 위에 절단하고, 상기 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켜 상기 안착커버(210)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안착커버(210) 위에 놓인 약포(1)가 상기 회수유로(220)를 따라 상기 회수통(230)으로 회수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 본인이나 보호자 및 관리사는 미복용하여 상기 회수통(230)에 적재된 약포들(1)은 환경오염의 방지 또는 오복용의 방지를 위하여 회수되어 약국이나 병원에 반납하던지 소각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다음, 상기에 기술된 약 복용 절차를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does not take the medicine at the taking time, and the next taking time arrives, the control unit 300 before the user is informed of taking the medicine,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and the transfer device 150 and The cutting device 160 is operated to cut the unused medicine package 1 onto the seating cover 210, and to operate the driving unit (not shown) to open the seating cover 210 to open the seating cover 210. The medicine bag 1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edicine bag 1 is recovered along the recovery passageway 220 to the recovery container 230. Of course, the user himself or his guardian and the manager is unused and the medicines (1) loaded in the recovery container 230 is recovered for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or misuse or returned to the pharmacy or hospital or incinerated desirable. After this process, the above-described medicine taking procedure is repeated.

사용자가 약을 정상적으로 복용하고, 다음 복용시간이 도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억력의 저하 등으로 인하여 추가로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의 메인버튼(190)을 눌러 약을 요구하게 되면, 상기 약제 배출장치(10)는 '약을 정상적으로 복용하였습니다' 등과 같은 복용 여부를 확인해 주는 정보나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안심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ser normally takes the medicine and the next taking time does not arrive, when the user presses the main button 190 of the drug discharging device 10 due to a decrease in memory, etc., the medicine is discharged. The device 10 may generate information or an alarm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medicine has been taken normally, such that the user may be assured.

사용자가 외출, 외박, 출장, 여행 등의 사유로 약의 강제 인출이 필요하면, 사용자는 상기 메인버튼(190)을 누르게 되고, 이럴 경우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용 여부를 확인해 주는 정보나 알람이 발생하게 된다. 그렇더라도,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상기 메인버튼(190)을 누르고 있으면, 상기 약제 배출장치(10)는 암호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서버(400)에 보고하여 관리사 또는 보호자의 승인 하에 약제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user is forced to withdraw the drug for reasons such as going out, sleeping, traveling or traveling, the user presses the main button 190.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or an alarm for confirming taking Will occur. Even so, if the user is continuously pressing the main button 190,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to enter a password or password, and report to the main server 400 of the drug under the approval of the manager or guardian Allowing for discharge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여 상기 약제배출장치(10)에 수납된 약제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면, 상기 약포잔량센서(125)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170)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알림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약을 새로이 처방받아 수령하여 수납하게 하거나, 보호자나 관리사에게 통보하여 약이 떨어지기 전에 미리미리 보충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user continuously takes the medicin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edicine stored in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by the medicine package remaining amount sensor 125 to notify through the display device 170 or a speaker, the user You can have your doctor take a new prescription and receive it, or you can notify your guardian or caretaker about it before it runs out.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응급신호 발생부에 관한 구성을 추가한 점에 있어 차이가 있는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rug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erms of differences in the addi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 Th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us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응급발생부(370)와, 응급발생부(370)의 조작에 따라 응급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60)가 포함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generating unit 370, and a receiving unit 360 for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generating unit 370.

상기 응급신호 발생부(370)는, 사용자(피복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도래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갑작스럽게 악화된 경우나, 가정 내에서 불미스러운 사고등이 발생하여 제 3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 경우 사용자가 이를 조작할 수 있다.The emergency signal generation unit 370, when an emergency situation arrives to the user (the recipient), for example, when the user's health condition suddenly worsened, or an unpleasant accident occurs in the home and the third If you need help, you can manipulate it.

상기 응급신호 발생부(370)는 상기 약제 배출장치(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특정장소 즉, 화장실, 식탁 위, 침실 옆 등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37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or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rug discharge device 10 so that the user carries it on a body, or a specific place, that is, a toilet. It can be installed on the table, on the side of the bedroom, etc.

응급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상기 응급신호 발생부(370)를 조작하면 응급신호는 상기 응급신호 발생부(370)로부터 상기 수신부(360)로 전달된다.When an emergency occurs and a user operates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370,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370 to the receiver 360.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신부(360)에 전달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통신모듈(350)을 통하여 상기 메인 서버(400)로 응급상황 발생신호를 상기 메인 서버(400)에 통신한다.The controller 300 communicates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to the main server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50 to the main server 400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er 360.

그리고, 상기 메인 서버(400)는 SMS 또는 WEB 전송방식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메세지를 보호자, 담당 관리사 또는 응급 구조대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400 may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o a user, a guardian, a manager, or an emergency rescue team by an SMS or a WEB transmission method.

그러면, 상기 보호자, 담당 관리사 또는 응급 구조대는 사용자(피복용자)에게 별도로 연락을 취하거나 가정 방문 등을 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Then, the guardian, the manager in charge or the rescue team can directly check the user's status by separately contacting the user (the recipient) or making a home visit.

이와 같은 약제 배출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정량의 약제를 정시에 복용할 수 있도록 경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사용자가 노약자인 경우 불의의 사고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discharging device, not only can the user be warned to take a certain amount of medicine on time, but also ha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respond quickly to unexpected accidents, especially if the user is an elderly person.

110 : 케이스 120 : 커버
130 : 컨트롤박스 140 : 정보인식부
150 : 이송장치 160 : 절단장치
170 : 표시장치 180 : 촬영장치
190 : 메인버튼 200 : 회수장치
110: case 120: cover
130: control box 140: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50: feeder 160: cutting device
170: display device 180: recording device
190: main button 200: recovery device

Claims (11)

1회 복용할 정량의 약제를 함유하는 복수개의 약포가 롤 타입으로 개방된 일면에 투입되고, 약포가 인출되는 인출구가 다른 일면에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약포에 인쇄된 복약정보의 취득하는 정보인식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약포를 하나씩 상기 인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인출구 내부에 구비되고, 약포를 하나씩 절단하는 절단장치;
상기 인출구로부터 약복용 설정시간이 지나 미복용한 약포가 안착되고, 안착된 약포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회수하는 회수장치; 및
상기 정보인식부, 이송장치, 절단장치 및 회수장치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장치.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medicines containing a quantity of medicine to be taken once is added to one surface opened in a roll type, and a withdrawal port through which the medicines are drawn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A cove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one open surface of the case;
A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cquiring medication information printed on a medicine package;
A conveying apparatus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transferring medicines to the outlets one by one;
A cutt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outlet, for cutting medicines one by one;
A recovery device for restoring the unused medicine medicine after the set time for medicine medicine is set from the outlet, and collecting the medicine medicine that has been seated into the case; And
And a control box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e transfer device, the cutting device, and the recove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약포들을 볼 수 있는 투명창이 구비된 약제 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is a drug discharge devic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for viewing the medicine in th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닫힘 상태에 상기 약제배출장치를 작동시키는 안전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약제 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afety switch provided between the case and the cover and operating the drug discharging device in the closed state of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약포에 기록된 약제 정보를 인식하는 정보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정보인식부로부터 전달된 약제 정보에 따라 상기 이송장치와 절단장치 및 회수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약제 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recognizing drug information recorded in the medicine package.
The control box is a drug discharge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cutting device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dru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에 구비되고, 상기 약제배출장치에 수납된 약포를 투약하도록 알려주는 메세지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control box and outputting a message or a voice informing to administer the medicine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dispens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에 근접하도록 구비되고, 수동 조작 시에 약포가 인출되도록 상기 이송장치와 절단장치의 작동을 개시하는 메인버튼;을 더 포함하는 약제 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a main button provided to be close to the display device and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and the cutting device such that medicines are drawn out during manual op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에 근접하도록 구비되고, 영상 촬영을 통하여 복약을 여부를 감지하는 촬영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박스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거나 송신을 조절하는 약제 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ed to approach the display apparatus and detecting whether to take a medicine through image capturing.
The control box is a drug discharge device for storing 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ma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는, 외부 메인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모듈이 내장된 약제 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box, drug discharge device with a built-in communication module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main ser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을 구성하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통신 방식에는,
PSTN, PSDN, CDMA, GSM, ZIGBEE, BLUETOOTH 또는 RF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이 포함되는 약제 배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pplicable communication scheme for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module,
Drug discharge device including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 of PSTN, PSDN, CDMA, GSM, ZIGBEE, BLUETOOTH or RF.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는,
상기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약포가 올려지는 안착커버와,
상기 안착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된 회수유로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회수유로를 따라 안내된 약포가 모아지는 회수통과,
상기 콘트롤박스에 의해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됨에 따라 상기 안착커버를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recovery device,
A seating cover on which the medicine is drawn out from the outlet;
A recovery passage opened and closed by the seating cover and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ase;
A collection passage provided in the case so as to be able to take out and out of the case and collecting medicines guided along the collection passage;
Drug discharge device comprising a drive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ating cover as the power supply or cut off by the control box.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커버의 개폐와 상기 회수통의 인출을 연동시키는 약제 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case and the cover,
The locking device is a drug discharge device for interlock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the withdrawal of the recovery container.

KR1020120014859A 2012-02-14 2012-02-14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KR101368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59A KR101368644B1 (en) 2012-02-14 2012-02-14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59A KR101368644B1 (en) 2012-02-14 2012-02-14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343A true KR20130093343A (en) 2013-08-22
KR101368644B1 KR101368644B1 (en) 2014-03-20

Family

ID=4921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859A KR101368644B1 (en) 2012-02-14 2012-02-14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644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09B1 (en) * 2012-10-18 2014-07-24 (주)제이브이엠 Management apparatus for taking medicine
KR101426607B1 (en) * 2012-10-18 2014-08-05 (주)제이브이엠 Management apparatus for taking medicine
KR20150062066A (en)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인포피아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medicine package
KR20160052159A (en)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휴로 Medicine storage box having wireless control function
KR20210016756A (en) * 2019-08-05 2021-02-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pumping device
KR20210146077A (en) * 2020-05-26 2021-12-03 주성덕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Medicin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20077493A (en) * 2020-12-02 2022-06-09 장복녀 Medication Reminder Device
KR20220168740A (en) * 2021-06-17 2022-12-26 권순욱 Device for Automatic Supply of Drug
KR20230064039A (en) * 2021-11-02 2023-05-10 김미연 Drug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Retrieving and Redistributing Dru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99B1 (en) * 2019-07-31 2020-05-12 송용진 Dementia drug delivery device to help patients with dementia get dementia
KR102311651B1 (en) * 2019-09-19 2021-10-08 남승현 Drug storage ca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96282T1 (en) 1993-01-04 2000-09-15 Thomas J Shaw AUTOMATIC PILL DISPENSING DEVICE
JP4685280B2 (en) 2001-06-27 2011-05-18 エーザイ・アール・アンド・ディー・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rug dose management devi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09B1 (en) * 2012-10-18 2014-07-24 (주)제이브이엠 Management apparatus for taking medicine
KR101426607B1 (en) * 2012-10-18 2014-08-05 (주)제이브이엠 Management apparatus for taking medicine
KR20150062066A (en)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인포피아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medicine package
KR20160052159A (en)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휴로 Medicine storage box having wireless control function
KR20210016756A (en) * 2019-08-05 2021-02-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pumping device
KR20210146077A (en) * 2020-05-26 2021-12-03 주성덕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Medicin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20077493A (en) * 2020-12-02 2022-06-09 장복녀 Medication Reminder Device
KR20220168740A (en) * 2021-06-17 2022-12-26 권순욱 Device for Automatic Supply of Drug
KR20230064039A (en) * 2021-11-02 2023-05-10 김미연 Drug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Retrieving and Redistributing Drug
WO2023080570A1 (en) * 2021-11-02 2023-05-11 김미연 Drug dispenser capable of dispensing, retrieving and redistributing dr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644B1 (en)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644B1 (en)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CN111372549B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ing medication management
TW439048B (en) Interactive prescription compliance, and life safety system
AU2007351001B2 (en) Tablet dispenser system
US20140114471A1 (en) Medicine-taking management apparatus
KR101515494B1 (en) Med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US20120083666A1 (en) Medication delivery and complian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50186615A1 (en) Medication compliance
US10682284B2 (en) Pill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pills
KR20170112704A (en) Medica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CA2821616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ensation of medications from a medication dispenser
US9743781B2 (en) Multi-functional homecare device
JP6401989B2 (en) Medicine storage device an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KR20090121265A (en) Medicine packet automatic discharging apparatus
JP2021501613A (en) Drug dispenser
KR101497307B1 (en) Management system for taking medicine and supplying method of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same
KR20140139998A (en) Management system for taking medicine and supplying method of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same
KR2016013495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rsonal dispenser and method thereof
JP47470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 medicament
US1131146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cure storage for dispensing of opioids (SSDO)
KR20110138735A (en) A device for ejecting medicine
KR20150039341A (en) Management apparatus for taking medicine
US20140006040A1 (en) Home healthcare system includ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of dispensing medicines
KR101426607B1 (en) Management apparatus for taking medicine
KR101421809B1 (en) Management apparatus for taking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