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742A - 이동형 정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정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6742A KR20210016742A KR1020190094878A KR20190094878A KR20210016742A KR 20210016742 A KR20210016742 A KR 20210016742A KR 1020190094878 A KR1020190094878 A KR 1020190094878A KR 20190094878 A KR20190094878 A KR 20190094878A KR 20210016742 A KR20210016742 A KR 202100167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ipe
- water
- swash plate
- coagulatio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HZUVFJBSILHOK-UHFFFAOYSA-N anthracen-1-ylmethanolate Chemical compound C1=CC=C2C=C3C(C[O-])=CC=CC3=CC2=C1 RHZUVFJBSILH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30 anthrac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2 coars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74 membrane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7 sand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01D24/4621—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by nozzles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 material, or by fluids acting in co-current direction with the feed strea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부, 응집침전부 및 여과부가 이동 차량에 적재되어 있어, 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신속하면서도 안전한 먹는 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형 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형 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적으로 전력 생산이 가능하고, 응집, 침전 및 여과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어 신속하면서도 안전한 먹는 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형 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UN 세계 수자원 개발 보고서에 의하면, 2025년에는 세계 인구의 40%인 약 27억 명이 물 부족에 직면할 것이고, 전 세계 국가의 약 20%는 심각한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는 공급은 한정되어 있는 반면 인구증가, 소득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수요가 계속 증가하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가 마시는 수돗물은 강, 댐, 호수 등 각종 수계를 원수로 이용하여 정화한 후 생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취수한 원수는 정수장에서 응집단계, 침전단계, 모래여과단계, 활성탄여과단계, 오존산화단계, 분리막 여과 단계 등을 거쳐 각종 현탁물질과 용존물질을 제거한다.
이후 미처 제거되지 못한 미생물들과 급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지막으로 살균과정 후 각 가정으로 급수하는 것이 일반적인 정수처리과정이다.
하지만, 섬이나 도서산간지역의 경우에는 제대로 된 정수장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이 있고, 간이정수장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운영상의 미숙 등으로 인해 안전한 먹는 물을 생산 공급하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수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충분한 양으로 먹는 물을 공급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신속하게 먹는 물을 생산 제공할 수 있는 이동형 정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형 정수처리장치는, 발전부(100), 응집침전부(200) 및 여과부(300)가 이동 차량에 적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에서, 상기 발전부(100)는, 상기 태양광 패널(120)을 지지하면서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대(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태양광 패널(120)은 상기 지지대(110)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에서, 상기 응집침전부(200)와 여과부(300)는 상기 발전부(100)의 공간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에서, 상기 응집침전부(200)는 응집침전 본체부(210),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 고액 분리부(230) 및 교반기(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에서, 상기 응집침전부(200)는, 소정의 부피와 형상을 가지며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211)와 상등수가 배출되는 출구(212)가 구비된 응집침전 본체부(210); 및 상기 응집침전 본체부(210)의 내부 공간을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와 고액 분리부(230)로 구획하는 분리 격벽(216)을 포함하되, 상기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는 1개 이상의 제1 방해판(222)과 1개 이상의 제2 방해판(224)을 포함하고, 상기 고액 분리부(230)는 다수개의 통공(231-1)이 형성된 1개 이상의 다공판(231)과, 수면과 50° 내지 70° 경사진 2개 이상의 경사판(233)을 포함하고, 각 경사판(233)은 4cm 내지 6cm 이격되어 있고, 상기 여과부(3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소정형상의 단면과 높이를 가지며, 벽면 소정 위치에는 여과수 배출관(310-3)이 구비된 여과장치 본체부(310); 상기 여과장치 본체부(310) 내부 소정 높이에 위치하며, 중앙부에는 여과용 원수 또는 역세척 폐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제1 메인관로(318)가 연결되는 제1 메인관로 연결공(31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메인관로 연결공(311-1) 외측으로는 관통관 제1 연결공(311-2)이 형성된 상협하광 구조를 갖는 제1 경사판(311); 관통관 제2 연결공(312-2)이 형성된 상협하광 구조를 갖는 상기 제1 경사판(311) 아래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경사판(312); 상기 제2 경사판(312)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아래에 위치하는 여과재층(314); 상기 여과재층(314) 아래에 위치하는 집수공간(315); 및 상기 관통관 제1 연결공(311-2)과 관통관 제2 연결공(312-2)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여과재층(314)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관통관(317)을 포함하고, 여과재층(314) 상부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날개판(313-2)이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판(313-1), 제2 메인관로(319)에서 연장되어 날개판(313-2)을 따라 위치하는 다수개의 분기관(313-3) 및 분기관(313-3)에 연결되어 날개판(313-2)을 향하고 있는 1개 이상의 노즐(313-4)로 이루어진 세척부(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정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이동이 가능한 차량에 정수처리장치를 탑재하고 있어 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먹는 물을 생산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정수처리장치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이 차량에 구비되어 있어 장치의 운전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응집침전부와 여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는 발전부의 사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응집침전부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과부로서, 상등수의 여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경사판과 제2 경사판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여과재층의 세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세척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가압부재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응집침전부와 여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는 발전부의 사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응집침전부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과부로서, 상등수의 여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경사판과 제2 경사판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여과재층의 세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세척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가압부재의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정수처리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는 이동 차량, 이동 차량에 탑재되는 발전부(100), 응집침전부(200) 및 여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독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리막 여과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정수처리에 필요한 장치가 이동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긴급하게 음용수가 필요하거나 정수처리시설이 없는 지역이라 하더라도 음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응집침전부와 여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는 발전부의 사사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발전부(100)는 응집침전부(200) 및 여과부(300)를 가동시킴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 패널(110)과 지지대(120)로 이루어지며, 응집침전부(200)와 여과부(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차량 적재부의 바닥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태양광 패널(110)과 지지대(120)가 설치되기 때문에 태양의 고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집광과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
한편, 일부의 태양광 패널(110)은 지지대(120)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집광효율을 높이거나 응집침전부(200)와 여과부(300)의 조작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응집침전부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집침전부(200)는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와 고액 분리부(230)가 하나의 본체부(210)에 구비되어 있다. 즉, 도 3에서 볼 때, 응집침전 본체부(210) 길이 방향을 따라 분리 격벽(216)이 구비되어, 오른쪽에는 원수가 유입된 후 활성탄에 의해 냄새유발물질 등 각종 미량 오염물질이 흡착되고 또 이들 활성탄과 각종 오염물질이 주입한 응집제에 의해 서로 응집되는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가 위치하고, 왼쪽에는 흡착과 응집된 원수가 유입된 후 고액 분리가 이루어지는 고액 분리부(230)가 위치한다.
종래에는 활성탄 흡착을 위한 반응조와 고액 분리를 위한 응집/침전 반응조가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였고 또 반응조를 별도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많이 들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응집침전부(200)는 하나의 응집침전 본체부(210) 내부에 일측에는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 그리고 인근하는 타측에는 고액 분리부(230)를 함께 구비하고 있어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응집침전 본체부(210)는 위에서 바라본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그리고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는 비어 있다. 또 일측에는 하천수나 호소수 등 먹는 물로 정화할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입구(211)가 구비되어 있고, 동일 측면 인근에는 최종 처리수가 배출되는 상등수 출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응집침전 본체부(210) 바닥면은 후술할 활성탄 흡착공정, 응집공정, 침전공정에서 발생하는 침강 또는 응집된 슬러지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하는 호퍼 형상의 슬러지 수집부(2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 수집부(213)는 활성탄 흡착공정, 응집공정 및 침전공정 각각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개별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슬러지 수집부(213)에는 수집된 슬러지가 소정 농도 이상으로 농축되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관(214)이 구비되어 있고, 슬러지 배출관(214)에는 슬러지의 배출을 개폐하는 슬러지 배출밸브(215)가 장착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3과 4를 함께 참조하면서 응집침전 본체부(210) 일측 공간부에 구비된 흡착 및 응집 반응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응집침전 본체부(210)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분리 격벽(216)에 의해 형성되는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는 1개 이상의 제1 방해판(222)과 1개 이상의 제2 방해판(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 입구(211)로 유입된 원수가 활성탄과 먼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1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제1 방해판(222)이 구비되어 있고, 원수 입구(211) 인근에는 활성탄을 주입하기 위한 활성탄 주입관(221)이 위치하고 있다. 이때 제1 방해판(222)은 위에서 바라볼 때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이동하는 원수의 수류에 의해 활성탄과 자연스럽게 교반 및 혼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활성탄은 분말활성탄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0메쉬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물과 혼합한 슬러스 상태로 주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제1 방해판(222) 후방에는 응집제 주입관(223), 제2 방해판(224) 그리고 교반기(225)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응집제 주입관(223)을 통해 알루미늄 또는 철을 메인으로 하는 공지의 응집제가 제1 방해판(222) 후방에 소정 농도 범위로 주입된다. 이어서 1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제2 방해판(224)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에는 교반기(225)가 위치하여, 응집제와 원수를 교반한다.
이때 상기 교반기(225)는 2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1개는 급속교반용이고 나머지 1개는 완속 교반용이다. 상기와 같은 급속교반과 완속교반은 응집제를 이용한 수처리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채용하는 기술에 해당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1개의 교반기(225)를 급속교반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는 후술할 다공판(231)이 완속교반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 방해판(222)과는 달리 제2 방해판은(224)은 상부 주연부를 제외한 나머지 하부 및 양측면 주연부는 본체부(210) 바닥, 측면 그리고 분리 격벽(216)과 접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방해판(222)을 통과하는 원수는 제2 방해판(224)의 상부 주연부를 월류하면서 이동하고, 이를 위해 제1 방해판(222)보다 제2 방해판(224)의 높이가 낮다.
이상에서와 같은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에서는, 원수에 포함되는 있는 냄새유발물질 등 각종 오염물질이 분말활성탄과 접촉함으로써 흡착되고, 이후 응집제 주입에 의해 현탁하는 오염물질과 용존하는 오염물질의 일부는 입자화되어 응집침전 본체부(210) 바닥으로 침전하고, 침전된 오염물질들은 슬러지 수집부(213)에 모인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5를 함께 참조하면서 응집침전 본체부(210) 일측 공간부에 구비된 고액 분리부(23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에서는 분말활성탄과 응집제를 주입함으로써 각종 오염물질의 일부를 침전 제거시킬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추가적인 정화단계가 필요하다. 특히 응집제를 주입하고 교반하면 입자가 커져 침강하기 쉬운 상태로 변하지만 일부 입자들은 여전히 작아 쉽게 침강하지 못한다. 고액 분리부(230)에서는 상기와 같이 입자가 작은 오염물질들을 더욱 크게 하여 침강시키고, 더 이상 입자가 커지지 않아 침강하기 어려운 물질들을 분리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액 분리부(230)는 다수개의 통공(231-1)이 형성된 1개 이상의 다공판(231), 안내판(232) 그리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2개 이상의 경사판(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분리 격벽(216)을 사이에 두고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 반대측의 응집침전 본체부(210) 공간부에는, 표면에 다수개의 통공(231-1)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뚫려 있는 얇은 다공판(231)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어, 오염물질들의 입자가 커지는 것을 유도한다. 즉,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를 통과한 원수는 다공판(231)의 통공(231-1)을 통과할 때는 유속이 빨라지는 반면, 통공(231-1)을 통과한 이후에는 유속이 낮아지기 때문에 원수의 교반효과를 유도하고, 따라서 입자가 작은 오염물질도 다공판(231)을 통과하면서 침강할 수 있을 정도로 입경이 커질 수 있다.
한편,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 유출수가 고액 분리부(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출구(212)와 가장 멀리 있는 다공판(231) 인근의 분리 격벽(216)은 약간 낮게 설치되거나, 분리 격벽(216)에 유로(미도시)가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판(231) 후방에는 다공판(231)을 통과한 원수가 본체부(210) 바닥 부근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 주연부가 출구(212)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된 안내판(232)이 위치한다. 이는 원수가 후술할 경사판(233)을 상향류로 통과할 수 있도록 원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1개 이상의 다공판(231)을 통과하면서 오염입자들의 크기가 충분히 커져 본체부(210) 바닥으로 침강하지만, 더 이상 입자가 커지지 않는 오염물질들도 존재한다.
상기 안내판(232) 후방에 구비된 경사판(233)은 원수를 상향류로 유도하여 입자들과 경사판(233)과의 충돌을 야기시켜 침강하기 어려운 입자들도 제거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경사판(233)은 소정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면과 50° 내지 70° 경사져 있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2개 이상의 경사판(233)은 소정 간격, 보다 바람직하게는 4cm 내지 6cm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사판(233)의 각도가 50° 미만이거나 이격거리가 4cm 미만이면 원수의 처리용량이 너무 적고, 반대로 경사판(233)의 각도가 70°를 초과하거나 이격거리가 6cm를 초과하면 입자들과 경사판(233)이 충분히 접촉할 수 없어 입자들의 제거효율이 낮으므로 경사판(233)의 각도와 이격거리는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향류로 경사판(233)을 통과한 물에는 조류와 각종 오염물질의 농도가 현저하게 낮고, 이후 경사판(233) 상부에 위치하는 월류웨어(234)를 경유한 후 최종 처리수는 출구(212)로 배출된다.
계속해서 여과부(3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과부로서, 상등수의 여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1 경사판과 제2 경사판의 확대사시도 그리고 도 8은 여과재층의 세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부(300)는, 여과장치 본체부(310), 여과장치 본체부(310) 내부에 위치하는 제1 경사판(311), 제2 경사판(312), 세척부(313), 여과재층(314), 집수공간(350), 가압부재(316) 및 관통관(31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장치 본체부(31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등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경사판(311), 제2 경사판(312), 세척부(313), 여과재층(314), 집수공간(315), 가압부재(316) 및 관통관(317)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여과장치 본체부(31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일예로 내식성 및 내구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장치 본체부(310) 내부의 소정 높이에는 제1 경사판(3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경사판(311)은 여과용 원수인 상등수나 역세척 폐수가 이동하는 통로로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경사판(311)의 중앙부에는 제1 메인관로 연결공(311-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메인관로 연결공(311-1) 외측으로는 1개 이상의 관통관 제1 연결공(311-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메인관로 연결공(311-1)에는, 상등수를 공급하거나, 여과재층(314)에 쌓인 오염물질 입자층(314-1)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메인관로(318)가 연결된다. 또 1개 이상의 관통관 제1 연결공(311-2)에는 관통관(317)이 장착된다.
제1 경사판(311)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상협하광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과재층(314) 역세척 시 발생하는 역세척 폐수를 용이하게 집수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경사판(311) 아래에는 여과재층(314) 표면에 상등수를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한 제2 경사판(312)이 구비된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경사판(312)은 제1 경사판(311)과 유사한 상협하광 구조이며, 관통관(317)이 장착되는 1개 이상의 관통공 제2 연결공(312-2)과 다수개의 급수공(312-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다수개의 급수공(312-1)은 중심부, 즉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부에 형성된 급수공(312-1)의 단면적은 작고, 외곽부인 하부로 갈수록 급수공(312-1)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재를 사용한 여과공정의 경우, 입자상 물질은 여과재 표면에서 주로 제거되며 따라서 여과시간을 늘이거나 입자상 물질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여과재 표면에 상등수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협하광 구조이고 게다가 중심부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다수개의 급수공(312-1)이 형성된 제2 경사판(312)을 구비하고 있어, 여과재층(314)에 공급하는 여과용 원수인 상등수를 매우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 경사판(312) 중심 부근으로 공급된 상등수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급수공(312-1)으로 일부만 통과하고, 나머지는 경사판(312)을 따라 흘러가면서 급수공(312-1)을 통과하기 때문에 여과재층(314)의 모든 표면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 경사판(312) 아래에는 여과재층(314)이 충진된다. 상기 여과재층(314)은 상등수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의 조대입자와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로 갈수록 입경이 작은 여과재가 충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여과재는 자갈, 모래, 안트라사이트 및 활성탄 중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여과재층(314) 아래에는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집수공간(315)이 구비된다. 상기 집수공간(315)에는 여과재층(314)을 통과하면서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여과수가 모이는 곳으로, 이렇게 모인 여과수는 관통관(317)을 경유하여 제1 경사판(311) 상부로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 경사판(312)과 여과재층(314) 사이에는 세척부(31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용 원수를 여과재층(314)으로 통과시키면 상등수에 포함되어 있던 입자상 물질이 여과재층(314)에서 제거되지만, 여과재층(314)에서 제거된 입자상 물질이 여과재의 공극을 폐쇄하게 되어 상등수가 여과재층(314)을 잘 통과하지 못하게 되다. 따라서 일정시간 또는 일정량의 상등수를 공급하여 여과한 이후에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여과재층(314)을 세척하는 역세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때 상등수의 공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여과수를 공급하면 여과재층(314)의 표면에 쌓인 오염물질 입자층(314-1)과 여과재 사이 공극을 막고 있는 입자들이 떨어져 여과성능을 회복하게 된다.
그러나 여과재층(314) 상부에 축적된 오염물질 입자층(314-1)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여과재층(314) 하부로 공급되는 역세수가 잘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역세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염물질 입자층(314-1)을 용이하게 파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여과재층(314) 상부에 세척부(313)를 더 구비하고 있어, 여과재층(314)의 역세를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세척부의 확대사시도인 도 9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세척부(313)는 제2 메인관로(319) 일측이 관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축이 위치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날개판(313-2)이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판(313-1), 제2 메인관로(319)에서 연장되어 날개판(313-2)을 따라 위치하는 다수개의 분기관(313-3) 그리고 분기관(313-3)에 연결된 채 날개판(313-2)을 향하고 있는 1개 이상의 노즐(313-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날개판(313-2)은 모두가 동일한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고, 노즐(313-4)은 경사면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분기관(313-3)과 노즐(313-4)은 제2 메인관로(319)와 연통되어 있고, 또 상기 제2 메인관로(319)에는 제1 메인관로(318)와 연통되도록 제2 보조관로(318-2)와 제3 밸브(319-1)가 구비된다. 따라서 세척부(331-3)에 에어만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2 보조관로(318-2)를 폐쇄하고 콤프레서(미도시)로부터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며, 역세용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2 보조관로(318-2)를 개방함으로써, 에어 또는 역세용수를 선택할 수 있다.
통상 에어나 역세용수만으로 여과재층(314)을 역세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 노즐을 다량 준비해야 하고 또 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나 역세용수들이 서 겹쳐지기 때문에 충분한 역세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에어나 역세용수를 분사하는 노즐(313-4)이 경사진 날개판(313-2)을 향하고 있으며 이는 날개판(312-2)의 회전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여과재층(314) 표면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세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여과부(300)는 상기 제1 경사판(311), 제2 경사판(312) 그리고 여과재층(31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수직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관통관(317)을 더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관(317)은 상기 제1 경사판(311)의 관통관 제1 연결공(311-2)과 제2 경사판(312)의 관통관 제2 연결관(312-2)을 관통한 후, 다시 여과재층(314)을 통과하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관(317)은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측면은 폐쇄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여과재층(314) 아래에 위치하는 집수공간(315)의 여과수가 상기 제1 경사판(311) 상부로 이동하거나, 또는 제1 경사판(311) 상부의 여과수가 집수공간(315)으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1 경사판(311)과 제2 경사판(312) 사이 또는 제2 경사판(312)과 여과재층(314) 사이에 공급되는 여과용 원수와 역세척 폐수는 관통관(317)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여과부(300)는, 여과재층(314)의 역세효과를 향상시키고 또 저에너지로 여과장치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제1 경사판(311) 상부에 가압부재(316)를 더 포함하고 있다.
가압부재의 확대단면도인 도 10을 참고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316)는 여과장치 본체부(310) 내부 상측에 위치하며,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 가압부재(316) 상부에는 일측이 여과장치 본체부(310)에 고정된 가압부재 고정부(316-3)가 구비되고, 가압부재(316) 아래에는 가압부재 이동부(316-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 고정부(316-3)는 가압부재(316)가 여과장치 본체부(310)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고, 가압부재 이동부(316-4)는 가압부재(316)의 수축과 팽창을 자유롭게 허용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316)에만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 이동부(316-4)는 제2 경사판(312) 상부의 여과수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여과장치 본체부(310) 내부 벽면과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316)의 팽창과 수축을 위하여, 유체 공급관로(316-1)와 유체 배출관로(316-2)가 가압부재(316) 일측에 연결되고, 여과장치 본체부(310) 내부에는 수위센서(310-1)가 구비된다. 즉, 여과재층(314) 역세척 시, 제1 경사판(311) 상부의 수위를 수위센서(310-1)가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소정 수위 이하로 낮아지면 유체 공급관로(316-1)를 개방하여 유체를 공급하여 가압부재(316)를 팽창시킨다. 반대로 여과재층(314)의 역세가 종료되면, 유체 공급관로(316-1)를 폐쇄하고 유출 배출관로(316-2)를 개방하여 가압부재(316)가 자연 수축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제1 경사판(311)의 제1 메인관로 연결공(311-1)에는 여과용 원수를 공급하거나 역세척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 메인관로(318)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메인관로(318)에는 제1 및 제2 보조관로(318-1, 318-2)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 부호 310-3은 여과수 배출관으로 여과장치 본체부(310)의 소정 높이에 구비되며 벽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도면 부호 310-2는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정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음용수가 필요한 장소까지 이동 차량을 이동시킨 후, 응집침전 본체부(210) 입구(211)로 하천수나 댐수 등 정화를 위한 원수를 공급한다. 또 원수 공급과 동시에 또는 이후에 활성탄 주입관(221)으로 소정 범위로 분말 활성탄을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주입한다. 그러면 분말 활성탄과 원수는 제1 방해판(222)을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교반되고, 이 과정에서 각종 오염물질들이 활성탄에 흡착된다.
이후 응집제 주입관(223)으로 응집제를 소정 범위로 주입하면서 교반기(225)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탄과 각종 오염물질들이 응집되며, 비교적 큰 입자들은 본체부(210)의 슬러지 수집부(213)로 침강한다.
응집 반응부에서 침강하지 못한 비교적 작은 오염입자들이 다공판(231)을 통과하면서 입자가 커지고, 일부 입자들은 침강한다. 이후 경사판(233)을 상향류로 통과하면서 침강하지 못한 더욱 미세한 입자들도 제거되고, 월류웨어(234)를 경유한 후 출구(212)로 상등수가 배출된다.
응집침전부(200)에서 배출된 상등수는 여과부(300)의 제1 메인관로(318)로 공급되어 여과된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관로(318)의 제1 밸브(318-3)는 개방하고, 나머지 제2 밸브(318-4)와 제3 밸브(319-1)는 폐쇄시켜, 상등수를 제2 경사판(312) 상부면으로 공급한다. 여과재층(314)을 통과하면서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여과수는 집수공간(315) 및 관통관(317)을 경유한 후, 여과수 배출관(310-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역세척 시 가압부재(316)를 팽창시킨 경우에는 상등수를 공급하기 전 또는 공급과 함께 유체 배출관로(316-2)를 개방하여 가압부재(316)를 수축시켜야 함은 자명하다.
상등수를 일정 시간 공급한 이후에는 여과재층(314)에 쌓인 오염물질 입자층(314-1)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척이 요구되고 따라서 상등수의 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나서 에어 및 여과수로 여과재층(314)의 세척을 수행하고, 발생한 역세척 폐수를 배출한다. 즉, 제1 메인관로(318)의 제1 밸브(318-3)를 폐쇄하고, 제2 밸브(318-4)를 개방한다. 또 제3 밸브(319-1)는 에어를 공급할 것인지 아니면 역세용수를 공급할 것인지 선택하여 밸브의 개폐 각도를 조절한다. 만약 에어만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2 메인관로(319)와 제2 보조관로(318-2)가 연통되지 않도록 제3 밸브(319-1)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고, 반대로 역세용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2 메인관로(319)와 제2 보조관로(318-2)가 연통되도록 제3 밸브(319-1)의 개폐 각도를 조절한다.
그러면 제2 메인관로(319)로 공급되는 에어 또는 역세용수는 분기관(313-3)을 경유하여 노즐(313-4)로 이동하므로 회전판(313-3)이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이후에 제1 경사판(311) 상부의 여과수가 관통관(317)과 집수공간(315)을 경유한 후, 여과재층(314)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고, 오염물질이 포함된 역세척 폐수는 제1 메인관로(318)와 제1 보조관로(318-1)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판(311) 상부의 여과수가 관통관(317)으로 이동할 시에는 제1 경사판(311) 상부의 수위를 수위센서(310-1)로 측정하고, 만약 수위가 소정범위 이하로 낮아진 경우에는 유체 공급관로(316-1)로 유체를 공급하여 가압부재(316)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가압부재(316)를 팽창시켜 여과수를 가압하게 되면, 여과수의 수위가 낮더라도 여과재층(314)의 역세에 필요한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어 역세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발전부
110 : 태양광 패널
120 : 지지대
200 : 응집침전부
210 : 응집침전 본체부
211 : 원수 입구 212 : 상등수 출구
213 : 슬러지 수집부 214 : 슬러지 배출관
215 : 슬러지 배출밸브 216 : 분리 격벽
220 : 흡착 및 응집 반응부
221 : 활성탄 주입관 222 : 제1 방해판
223 : 응집제 주입관 224 : 제2 방해판
225 : 교반기
230 : 고액 분리부
231 : 다공판 231-1 : 통공
232 : 안내판 233 : 경사판
234 : 월류웨어
240 : 교반기
300 : 여과부
310 : 여과장치 본체부
310-1 : 수위센서 310-2 : 기체 배출관
310-3 : 여과수 배출관
311 : 제1 경사판
311-1 : 제1 메인관로 연결공 311-2 : 관통관 제1 연결공
312 : 제2 경사판
312-1 : 급수공 312-2 : 관통관 제2 연결공
313 : 세척부
313-1 : 회전판 313-2 : 날개판
313-3 : 분기관 313-4 : 노즐
314 : 여과재층
314-1 : 오염물질 입자층
315 : 집수공간
316 : 가압부재
316-1 : 유체 공급관로 316-2 : 유체 배출관로
316-3 : 가압부재 고정부 316-4 : 가압부재 이동부
317 : 관통관
318 : 제1 메인관로
318-1 : 제1 보조관로 318-2 : 제2 보조관로
318-3 : 제1 밸브 318-4 : 제2 밸브
319 : 제2 메인관로
319-1 : 제3 밸브
110 : 태양광 패널
120 : 지지대
200 : 응집침전부
210 : 응집침전 본체부
211 : 원수 입구 212 : 상등수 출구
213 : 슬러지 수집부 214 : 슬러지 배출관
215 : 슬러지 배출밸브 216 : 분리 격벽
220 : 흡착 및 응집 반응부
221 : 활성탄 주입관 222 : 제1 방해판
223 : 응집제 주입관 224 : 제2 방해판
225 : 교반기
230 : 고액 분리부
231 : 다공판 231-1 : 통공
232 : 안내판 233 : 경사판
234 : 월류웨어
240 : 교반기
300 : 여과부
310 : 여과장치 본체부
310-1 : 수위센서 310-2 : 기체 배출관
310-3 : 여과수 배출관
311 : 제1 경사판
311-1 : 제1 메인관로 연결공 311-2 : 관통관 제1 연결공
312 : 제2 경사판
312-1 : 급수공 312-2 : 관통관 제2 연결공
313 : 세척부
313-1 : 회전판 313-2 : 날개판
313-3 : 분기관 313-4 : 노즐
314 : 여과재층
314-1 : 오염물질 입자층
315 : 집수공간
316 : 가압부재
316-1 : 유체 공급관로 316-2 : 유체 배출관로
316-3 : 가압부재 고정부 316-4 : 가압부재 이동부
317 : 관통관
318 : 제1 메인관로
318-1 : 제1 보조관로 318-2 : 제2 보조관로
318-3 : 제1 밸브 318-4 : 제2 밸브
319 : 제2 메인관로
319-1 : 제3 밸브
Claims (5)
- 발전부(100), 응집침전부(200) 및 여과부(300)가 이동 차량에 적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100)는, 상기 태양광 패널(120)을 지지하면서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대(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태양광 패널(120)은 상기 지지대(110)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침전부(200)와 여과부(300)는 상기 발전부(100)의 공간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침전부(200)는 응집침전 본체부(210),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 고액 분리부(230) 및 교반기(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침전부(200)는, 소정의 부피와 형상을 가지며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211)와 상등수가 배출되는 출구(212)가 구비된 응집침전 본체부(210); 및 상기 응집침전 본체부(210)의 내부 공간을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와 고액 분리부(230)로 구획하는 분리 격벽(216)을 포함하되,
상기 흡착 및 응집 반응부(220)는 1개 이상의 제1 방해판(222)과 1개 이상의 제2 방해판(224)을 포함하고, 상기 고액 분리부(230)는 다수개의 통공(231-1)이 형성된 1개 이상의 다공판(231)과, 수면과 50° 내지 70° 경사진 2개 이상의 경사판(233)을 포함하고, 각 경사판(233)은 4cm 내지 6cm 이격되어 있고,
상기 여과부(3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소정형상의 단면과 높이를 가지며, 벽면 소정 위치에는 여과수 배출관(310-3)이 구비된 여과장치 본체부(310); 상기 여과장치 본체부(310) 내부 소정 높이에 위치하며, 중앙부에는 여과용 원수 또는 역세척 폐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제1 메인관로(318)가 연결되는 제1 메인관로 연결공(31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메인관로 연결공(311-1) 외측으로는 관통관 제1 연결공(311-2)이 형성된 상협하광 구조를 갖는 제1 경사판(311); 관통관 제2 연결공(312-2)이 형성된 상협하광 구조를 갖는 상기 제1 경사판(311) 아래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경사판(312); 상기 제2 경사판(312)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아래에 위치하는 여과재층(314); 상기 여과재층(314) 아래에 위치하는 집수공간(315); 및 상기 관통관 제1 연결공(311-2)과 관통관 제2 연결공(312-2)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여과재층(314)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관통관(317)을 포함하고, 여과재층(314) 상부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날개판(313-2)이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판(313-1), 제2 메인관로(319)에서 연장되어 날개판(313-2)을 따라 위치하는 다수개의 분기관(313-3) 및 분기관(313-3)에 연결되어 날개판(313-2)을 향하고 있는 1개 이상의 노즐(313-4)로 이루어진 세척부(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정수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4878A KR102291828B1 (ko) | 2019-08-05 | 2019-08-05 | 이동형 정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4878A KR102291828B1 (ko) | 2019-08-05 | 2019-08-05 | 이동형 정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6742A true KR20210016742A (ko) | 2021-02-17 |
KR102291828B1 KR102291828B1 (ko) | 2021-08-24 |
Family
ID=7473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4878A KR102291828B1 (ko) | 2019-08-05 | 2019-08-05 | 이동형 정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182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4684B1 (ko) | 2022-09-27 | 2023-03-29 |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 유공블럭형 집수부재가 구비된 활성탄 여과장치의 운전방법 |
KR102514676B1 (ko) | 2022-09-27 | 2023-03-29 |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 유공블럭형 집수부재가 구비된 활성탄 여과장치 |
CN116212705A (zh) * | 2023-03-02 | 2023-06-06 | 安徽百帮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太阳能的一体化污水处理设备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4991B1 (ko) * | 2013-06-25 | 2014-05-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동형 정수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한 이동형 정수 차량 |
KR101582987B1 (ko) * | 2014-09-03 | 2016-01-07 |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 태양광발전판을 구비하는 담수화장치 |
KR101645540B1 (ko) | 2015-05-18 | 2016-08-04 | 곽종운 | 정수 처리용 응집제 주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
KR101833213B1 (ko) * | 2017-02-01 | 2018-03-02 | 효림산업주식회사 | 저에너지형 여과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
KR20190019311A (ko) * | 2017-08-17 | 2019-02-27 | 효림산업주식회사 | 유입원수 수질 변화에 따른 저에너지 일체형 정수처리장치 |
-
2019
- 2019-08-05 KR KR1020190094878A patent/KR1022918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4991B1 (ko) * | 2013-06-25 | 2014-05-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동형 정수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한 이동형 정수 차량 |
KR101582987B1 (ko) * | 2014-09-03 | 2016-01-07 |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 태양광발전판을 구비하는 담수화장치 |
KR101645540B1 (ko) | 2015-05-18 | 2016-08-04 | 곽종운 | 정수 처리용 응집제 주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
KR101833213B1 (ko) * | 2017-02-01 | 2018-03-02 | 효림산업주식회사 | 저에너지형 여과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
KR20190019311A (ko) * | 2017-08-17 | 2019-02-27 | 효림산업주식회사 | 유입원수 수질 변화에 따른 저에너지 일체형 정수처리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4684B1 (ko) | 2022-09-27 | 2023-03-29 |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 유공블럭형 집수부재가 구비된 활성탄 여과장치의 운전방법 |
KR102514676B1 (ko) | 2022-09-27 | 2023-03-29 |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 유공블럭형 집수부재가 구비된 활성탄 여과장치 |
CN116212705A (zh) * | 2023-03-02 | 2023-06-06 | 安徽百帮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太阳能的一体化污水处理设备 |
CN116212705B (zh) * | 2023-03-02 | 2024-01-05 | 安徽百帮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太阳能的一体化污水处理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1828B1 (ko) | 2021-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62711B2 (en) | Biofilter units and water treatment facilities with using the same biofilter units | |
KR102291828B1 (ko) | 이동형 정수처리장치 | |
WO2018103537A1 (zh) | 水平流砂滤池及其水处理工艺 | |
KR101547484B1 (ko) | 스월 장치와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CN201313016Y (zh) | 射流混凝沉淀过滤型一体化净水器 | |
KR100961452B1 (ko) | 생물막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 |
RO201400001U1 (ro) | Dispozitiv pentru tratarea şi post-tratarea biologică a apei uzate şi metodă de tratare şi post-tratare biologică a apei uzate | |
CN210905866U (zh) | 高浓度含盐废水处理工艺中的搅拌澄清池 | |
CN201292297Y (zh) | 一体化净水器 | |
CN113880350B (zh) | 一种低浊度精密污水过滤系统及使用方法 | |
CN214287071U (zh) | 一种轻质滤料升流式滤池 | |
CN110668568B (zh) | 一种多功能分区的反硝化一体化方法及设备 | |
KR20220051045A (ko) | 모듈형 저에너지 정수처리장치 | |
CN211644773U (zh) | 一种高效硝化/反硝化脱氮滤池 | |
KR20220144573A (ko) | 콤팩트형 저에너지 정수처리시스템 | |
CN203411417U (zh) | 逆流连续式过滤净化器 | |
CN102583834A (zh) | 具有防活性炭粉末泄漏功能的多孔板水帽活性炭过滤器 | |
CN1168670C (zh) | 一种水净化装置 | |
KR20080082852A (ko) | 오폐수 처리용 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 |
KR20190019311A (ko) | 유입원수 수질 변화에 따른 저에너지 일체형 정수처리장치 | |
JP2022528959A (ja) | 自然水および廃水の浄化方法 | |
CN215427748U (zh) | 过滤系统 | |
CN216403988U (zh) | 一种便于使用的污水处理用沉淀装置 | |
CN215712449U (zh) | 一种反硝化生物滤池系统 | |
KR102606917B1 (ko) | 2단 압력 분배구조 및 비정형 다공성 플레이트 필터를 이용한 정밀여과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